KR20130034377A - Led조명용 조명제어회로 - Google Patents

Led조명용 조명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4377A
KR20130034377A KR1020110098357A KR20110098357A KR20130034377A KR 20130034377 A KR20130034377 A KR 20130034377A KR 1020110098357 A KR1020110098357 A KR 1020110098357A KR 20110098357 A KR20110098357 A KR 20110098357A KR 20130034377 A KR20130034377 A KR 20130034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emory
input
led
contro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8848B1 (ko
Inventor
서영석
Original Assignee
서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석 filed Critical 서영석
Priority to KR1020110098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8848B1/ko
Priority to PCT/KR2012/007707 priority patent/WO2013048085A1/ko
Publication of KR20130034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4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05B45/372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빌딩이나 가정에서 사용되는 교류100V ~ 교류250V 내외의 전기를 사용해서 LED조명을 제어하는 LED조명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LED조명용 조명제어회로는 입력교류전원을 LED(5)의 구동전원으로 변환하는 전력변환부(2); 상기 입력교류전원의 온오프를 센싱하는 전원온오프 센싱부(24); 상기 전원온오프 센싱부의 출력 데이터인 온오프 정보를 저장하는 제1메모리(28); 입력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교류/직류변환기(7); 상기 입력교류전원이 오프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될 때 상기 제1메모리(28)를 리셋시키는 메모리 리셋부(23) 및, 상기 제1메모리(28)에 저장된 상기 온오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전력변환부(2)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LED(5)의 밝기를 조정하는 조도제어부(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의 LED조명제어회로는 소용량의 커패시터나 저항과 같은 간단한 전자부품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밝기조절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LED조명용 조명제어회로{A lighting Control Circuit for LED lighting}
본 발명은 LED조명용 조명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빌딩이나 가정에서 사용되는 AC100 ~ AC250V 내외의 교류전원을 사용하여 LED조명의 밝기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LED조명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가정용 교류전원을 이용한 LED조명은 빛을 방출하는 LED와 조명제어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조명제어회로는 LED조명의 온오프나 밝기를 조절하고 LED에 적절한 동작을 하도록 제어하는 회로이다.
최근까지 벽면스위치로 LED조명의 밝기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이에 따라 벽면스위치를 주어진 시간에 켜고 끄는 동작을 반복할 때 이러한 온오프이력정보를 기반으로 LED조명의 밝기를 조절하는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LED조명제어회로가 온오프 정보를 기억하기 위해서 입력교류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LED조명제어회로에 전기에너지가 공급되고 있어야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은 입력교류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와 같은 대용량의 전기저장장치를 장착하는 방법이 있으나 대용량의 전기저장장치는 회로를 복잡하게 하고 추가적인 비용을 증가시키며, 회로의 불량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교류전원을 사용하는 LED조명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있어서, 케패시터나 저항과 같은 간단한 전자부품을 이용하여 입력교류전원의 온오프 정보를 감지하고 기억함으로써 LED조명의 점등, 소등 및 밝기조정 등의 동작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LED조명제어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조명제어회로는, 입력교류전원을 LED의 구동전원으로 변환하는 전력변환부와; 상기 입력교류전원의 온오프를 센싱하는 전원온오프 센싱부와; 상기 전원온오프 센싱부의 출력 데이터인 온오프 정보를 저장하는 제1메모리와; 입력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교류/직류변환기와; 상기 입력교류전원이 오프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 될 때 상기 제1메모리를 리셋시키는 메모리 리셋부 및, 상기 제1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온오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전력변환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LED의 밝기를 조정하는 조도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조명제어회로는, 입력교류전원을 LED의 구동전원으로 변환하는 전력변환부와; 상기 입력교류전원의 온오프를 센싱하는 전원온오프 센싱부와; 상기 전원온오프 센싱부의 출력 데이터인 온오프 정보를 저장하는 제1메모리와; 입력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교류/직류변환기와; 상기 입력교류전원이 오프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될 때 상기 제1메모리를 리셋시키는 메모리 리셋부 및, 상기 제1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온오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전력변환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LED의 밝기를 조정하는 조도제어부와; 상기 교류/직류변환기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1메모리의 제1바이어스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역방향 전류를 차단하는 제1다이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조명제어회로는, 입력교류전원을 LED의 구동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변환부와; 상기 입력교류전원의 온오프를 센싱하는 전원온오프 센싱부와; 상기 전원온오프 센싱부의 출력 데이터인 온오프 정보를 저장하는 제2메모리와; 상기 입력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교류/직류 변환기와; 상기 교류/직류변환기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2메모리의 제2바이어스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역방향 전류를 차단하는 제3다이오드와; 상기 제2메모리의 제2바이어스단자에 연결된 커패시터의 방전시간을 조절하는 커패시터 전압제어수단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온오프 횟수나 온오프 시간을 근거로 상기 전력변환부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LED의 밝기를 조정하는 조도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LED조명용 조명제어회로는 소용량의 커패시터로 입력교류전원의 온오프 정보를 측정하고 기억할 수 있으며, 세라믹 커패시터나 칩 저항과 같은 저가격의 간단한 전자부품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조명 동작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LED조명제어회로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LED조명제어회로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LED조명제어회로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LED조명용 조명제어회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볼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LED조명제어회로(1, 31)는 교류전원의 입력단자(3, 33)로 공급되는 전기의 온오프 상태를 전원온오프 센싱부(24, 54)가 센싱하고 이 데이터는 제1메모리(28, 58)에 저장되며, 조도제어부(12, 42)는 제1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전력변환부(2, 32)의 동작을 제어하여 LED(5, 35)의 밝기를 제어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LED조명제어회로(61)는 교류전원의 입력단자(63)로 공급되는 전기의 온오프 상태를 전원온오프 센싱부(84)가 센싱하고 이 데이터는 제2메모리(88)에 저장되고, 조도제어부(72)는 제2메모리(88)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전력변환부(62)를 제어하여 LED(65)의 밝기를 제어한다.
도 1 내지 도 3의 전력변환부(2, 32, 62)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가정용 AC전기인 AC100 ~ AC250V 전기를 LED조명등을 구동하기 전기로 변환하는 부분이다. 통상적으로 전력변환부(2, 32, 62)는 교류전원에 직접LED를 연결한 교류직접구동회로가 사용되거나, 다이오드, 변압기, 커패시터 등으로 구성된 벅부스트회로나 플라이벡 컨버터회로가 사용될 수 있으며 교류전원의 입력단자(3, 33, 63)로 전기를 공급받는다.
전력변환부(2, 32, 62)는 교류직접구동회로 또는 벅부스트회로 또는 플라이벡회로 등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특정방법의 전력변환부(2, 32, 62)를 제한하지 않는다. 통상적으로 LED의 밝기를 제어하기 위해 LED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조정하거나 LED에 가해지는 펄스 전압의 듀티비를 조정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도 1 내지 도 3의 전원온오프 센싱부(24, 54, 84)는, 교류전원의 입력단자(3, 33, 63)로 전기가 공급되고 있는지 센싱하는 부분이다. 전원온오프 센싱부는 입력단자(25, 55, 85)와 출력단자(26, 56, 86)를 가지고 있으며, 교류전원의 입력단자로 전기가 공급되고 있는지 아닌지 센싱하는 부분이다. 전원온오프 센싱부의 동작의 일례로 전기가 공급되고 있으면 5V를 출력하고, 전기가 공급되고 있지 않으면 0V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교류전원의 입력단자(3, 33, 63)로부터 전기가 공급되고 있지 않은 상태로 시간이 지나면, 결국, 도 1 내지 도 3의 회로 내부의 모든 단자에 전기가 공급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전기공급의 유무를 센싱하기 위해서, 도 1 내지 도 3의 회로 내부의 단자의 전압을 측정해서 전원온오프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 내지 도 3의 전원온오프 센싱부(24, 54, 84)의 입력단자(25, 55, 85)는 전력변환부(2, 32, 62)의 한 단자(6, 36, 66)나, 조도제어부(12, 42, 72)의 한 단자(10, 40, 70)나, 교류/직류변환기(7, 37, 67)의 한 단자(8, 38, 68)에 연결되어, 이들 단자의 전압을 측정하면 전원온오프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이들 단자는 교류전원의 입력단자(3, 33, 63)로부터 전기공급이 차단되면 전압이 0으로 간다.
도 1 및 도 2의 교류/직류변환기(7, 37)는 조도제어부(12, 42) 또는 온오프센싱부(24, 54) 또는 메모리 리셋부(23, 53)와 제1메모리(28, 58)에 필요한 DC전기를 만들어 주는 회로이다. 바람직하게는 교류/직류변환기(7, 37)는 조도제어부(12, 42), 온오프센싱부(24, 54), 제1메모리(28, 58) 및 메모리 리셋부(23, 53) 등 모든 회로에 필요한 DC를 공급한다.
도 3의 교류/직류변환기(67)는 조도제어부(72) 또는 전원온오프 센싱부(84) 와 제2메모리(88)에 필요한 DC전기를 만들어 주는 회로이다. 바람직하게는 교류/직류변환기(67)는 조도제어부(72), 전원온오프 센싱부(84) 및 제2메모리(88) 등 모든 회로에 필요한 DC를 공급한다.
도 1 내지 도 3의 교류/직류변환기(7, 37, 67)를 구현하는 일례로 교류전원의 입력단자(3, 33, 63)로 공급되는 AC100V ~ AC250V 내외의 교류전기를 변압기를 이용하여 수 볼트 내외의 교류전기로 변환한 다음 다이오드로 정류하고 커패시터로 필터링하여 5V내외의 DC전기를 얻는 회로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LED조명용 조명제어회로는 상기 교류/직류변환기(37)의 출력단자(39)와 상기 제1메모리(58)의 제1바이어스단자(VCC1) 사이에 연결되어 역방향 전류를 차단하는 제1다이오드(44)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LED조명용 조명제어회로는 상기 교류/직류변환기(67)의 출력단자(69)와 상기 제2메모리의 제2바이어스단자(VCC2) 사이에 연결되어 역방향 전류를 차단하는 제3다이오드(74)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및 도 2의 제1바이어스단자(VCC1)는 제1메모리(28, 58)에 필요한 DC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단자이다. 또한, 도 1 및 도 2의 제1메모리(28, 58)의 제1바이어스단자(VCC1)에 병열로 연결된 커패시터(13, 43)는 제1메모리(28, 58)에 공급되는 DC전원의 노이즈를 줄이고 일시적으로 제1메모리(28, 58)에 전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에서와 같이 제2메모리(88)의 제2바이어스단자(VCC2)에 병열로 연결된 커패시터(73)는 제2메모리(88)에 공급되는 DC전원의 노이즈를 줄이고 일시적으로 제2메모리(88)에 전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들 커패시터(13, 43, 73)의 일례로 세라믹 커패시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용 세라믹 커패시터는 주로 1uF 이하의 값을 가진 제품이 많이 사용된다.
도 2의 제1다이오드(44)는 상기 제1바이어스단자(VCC1)에 붙어있는 커패시터(43)에 저장된 전하가 상기 교류/직류변환기(37)의 출력단자(39)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교류/직류변환기(37)의 출력전압이 낮아질 때 일시적으로 제1메모리(58)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의 제3다이오드(74)는 상기 제2바이어스단자(VCC2)에 붙어있는 커패시터(73)에 저장된 전하가 상기 교류/직류변환기(67)의 출력단자(69)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교류/직류변환기(67)의 출력전압이 낮아질 때 일시적으로 제2메모리(88)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2의 제1메모리(28, 58)와 도 3의 제2메모리(88)는 전원온오프 센싱부(24, 54, 84)로부터 들어오는 신호를 받아서 전원의 온오프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메모리(28, 58)와 제2메모리(88)는 레지스터로 구성된 휘발성 메모리나 플레시 메모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온오프 정보를 이진수 형태로 저장하고 있다.
상기 온오프 정보는 상기 입력교류전원의 온오프 횟수나 온오프 시간이 될 수 있다. 온오프횟수는 AC전원입력단자로 전기가 차단된 횟수 혹은 연결된 횟수를 의미한다. 일례로 전원이 오프상태에서 한번 켜고, 다시 끄고, 다시 켜고, 다시 끄고, 다시 한번 켜면 온 횟수는 3회이고 오프횟수는 2회이다.
온오프시간은 전원을 켜고 끄는 상태를 반복할 때 각 상태에서 온시간 혹은 오프시간을 의미한다, 온시간은 켜진 시간을 의미하고, 오프시간은 꺼진 시간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전원이 오프상태에서 켜서 1.5초 있다가 꺼지고 1.2초 있다가 다시 켜지면 온시간은 1.5초이며 오프시간은 1.2초이다.
상기 제1메모리(28, 58)는 상기 메모리 리셋부(23, 53)의 출력전압이 미리 설정된 전압 이하로 저하되는 것에 의하여 리셋되어 상기 온오프 정보가 초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및 도 2의 제1메모리(28, 58)의 리셋단자(rst)는 제1메모리(28, 58)의 내용을 리셋시키기 위한 단자이다. 제1메모리(28, 58)가 리셋되면 제1메모리(28, 58)의 내부에 저장된 온오프 정보인 온오프횟수와 온오프시간은 모두 초기화된다. 초기화의 일례로 초기화 되면 내부값은 모두 0으로 된다. 일례로 상기 제1메모리(28, 58)는 리셋단자(rst)의 전압이 1V이하로 내려가면 리셋되도록 사전에 만들어질 수 있다.
도 3의 제2메모리(88)는 제2바이어스단자(VCC2)를 가지고 있으며, 제2바이어스단자(VCC2)를 통해 제2메모리(88)에 필요한 DC전기를 공급하며, 상기 제2메모리(88)의 제2바이어스단자(VCC2)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전압 이하로 저하되는 것에 의하여 리셋되어 상기 온오프 횟수나 온오프 시간이 초기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바이어스단자(VCC2)의 전압이 사전에 설정한 일정한 전압 이하로 내려가면 제2메모리(88)의 내용은 리셋되고 다음에 켜질 때 초기값으로 설정된다. 일례로 상기 제2메모리(88)는 정상상태에서 5V가 공급되고 있고 1V이하로 내려가면 리셋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초기화의 일례로 초기화되면 내부값은 모두 0으로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의 조도제어부(12, 42)는 상기 제1메모리(28)에 저장된 상기 온오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전력변환부(2, 32)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LED(5, 35)의 밝기를 조정한다.
또한, 도 3의 조도제어부(72)는 상기 제2메모리(88)에 저장된 상기 온오프 정보를 근거로 전력변환부(62)의 동작을 제어하여 LED(65)의 밝기를 조정한다.
조도제어부(12, 42, 72)의 동작의 일례로, 온 횟수가 1회일 때 LED 최대밝기의 100%를 출력하게 하고, 온 횟수가 2회 일 때 LED 최대밝기의 70%를 출력하도록 하고, 온 횟수가 3회 일 때 LED 최대밝기의 30%만 출력하도록 하는 동작을 들 수 있다. 온 시간과 오프시간을 이용하여 밝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다른 일례로 조도제어부(12, 42, 72)는 온시간이 길어지면 비례해서 밝기가 감소 되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 리셋부(23, 53)는 입력교류전원이 오프된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상기 제1메모리(28, 58)의 리셋단자(rst)에 전압의 변화를 유발시켜서 제1메모리(28, 58)가 리셋되어 내용이 초기화 되도록 한다.
입력교류전원이 오프되면 메모리 리셋부(23, 53)의 입력단자(18, 48)에 전압의 변화가 발생하고 이를 트리거신호로 하여 일정시간이 지나면 메모리 리셋부(23, 53)의 출력단자(19, 49)에 상기 제1메모리(28, 58)를 리셋시키는 전압을 유발하게 된다.
상기 메모리 리셋부(23, 53)는 역방향 전류를 차단하는 제2다이오드(20, 50)와 상기 제2다이오드(20, 50)와 직열로 연결되며 상기 메모리 리셋부(23, 53)의 입력단자(18,48)의 전압이 차단되면 시간에 따라 상기 메모리 리셋부(23,53)의 출력단자(19,49)의 전압이 변화하는 타이머회로(29, 5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이머회로(29, 59)의 일례로 상기 타이머회로는 저항과 커패시터의 병열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교류전원의 입력단자(3, 33, 63)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상기 제2다이오드(VCC2)의 바이어스전압이 턴온전압 이하로 가면 타이머회로(29, 59)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고 타이머회로(29, 59)의 출력단자(19, 49)의 전압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타이머회로의 출력전압은 교류전원의 입력단자(3, 33, 63) 전압이 차단된 후 시간 시간이 얼마나 진행되었는지를 측정하기 위한 물리량이다.
타이머회로(29, 59)는 제1메모리(28, 58)가 리셋되는 시간을 조절하는 회로이다. 상기 타이머회로(29, 59)의 일례로 도1 및 도2의 저항(21, 51)과 커패시터(22, 52)로 이루어진 저항 커패시터 병열회로를 사용할 수 있다. 타이머회로의 입력단자(17, 47)에 전류공급이 차단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커패시터(22, 52)에 저장된 전하가 저항(21, 51)과 제1메모리(28, 58)를 통해 방전되고, 타이머회로(29, 59)의 출력단자(49)의 전압은 낮아지게 되고 메모리 리셋부(23, 53)의 출력전압도 낮아지게 된다.
상기 제1메모리(28, 58) 동작의 일례로 메모리 리셋부(23, 53)의 출력전압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전압 이하로 내려가면 상기 제1메모리(28, 58)의 내용은 초기화된다.
타이머회로(29, 59)를 이용한 리셋시간 조절의 일례로, 교류전원이 온 상태일 경우 제1메로리(28, 58)의 리셋단자(rst)의 전압이 5V이고, 리셋단자(rst)의 전압이 1V이하로 내려가면 제1메모리(28, 58)가 리셋되며, 타이머 내부의 커패시터(22, 52)의 용량이 100nF이고, 타이머 내부의 저항(21, 51)값이 5MOhm이고, 제1메모리(28, 58)의 리셋단자(rst)의 입력저항이 100MOhm이고 제1메모리(28, 58)의 리셋단자(rst)의 입력케페시턴스가 100pF이면, 입력교류전원이 차단된 이후 리셋단자(rst)의 전압은 5exp(-t/tau)로 감소하며, 여기서 t는 시간이고, tau=전체저항값(1/(1/100MOhm+1/5MOhm)) x 전체커패시터값(100nF+100pF)이다.
타이머회로(29, 59)를 도1 및 도2와 같이 구성할 때, 일례로 5V에서 1V까지 전압이 낮아지는 시간이 약1.6초이면, 벽면스위치를 끄고나서 1.6초 이상 시간이 지나면 상기 제1메모리의 내용이 리셋된다. 리셋시간은 저항값(21, 51)과 커패시터값(22,52)을 조정해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커패시터 전압제어수단(75)은 상기 제2바이어스단자(VCC2)의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며 일례로 저항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교류전원의 입력단자(33)로부터 전기가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제2바이어스단자(VCC2)의 전압이 감소되는 시간을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는 커패시터 전압제어수단(75)은 제2메모리(88)의 제2바이어스단자(VCC2)에 연결되어 제2메모리의 리셋시간을 조절한다.
상기 커패시터 전압제어수단(75)을 이용한 리셋시간 조절의 일례로, 교류전원의 입력단자(63)의 전압이 온 상태일 경우 제2바이어스단자(VCC2)의 전압이 5V이고, 제2바이어스단자(VCC2)의 전압이 1V이하로 내려가면 제2메모리(88)가 리셋되며, 케페시터 전압제어수단(75)으로 사용되는 저항값이 5MOhm이고, 제2바이어스단자(VCC2)의 입력저항이 100MOhm이고, 제2메모리(88)의 전원단자 커패시터(73)의 용량이 100nF이고, 제2바이어스단자(VCC2)의 입력케페시턴스가 100pF이면, 입력교류전원이 차단된 이후 제2바이어스단자(VCC2)의 전압은 5exp(-t/tau)로 감소하며, 여기서 t는 시간이고, tau=전체저항값(1/(1/100MOhm+1/5MOhm)) x 전체커패시터값(100nF+100pF)이다. 이 경우 5V에서 1V까지 전압이 낮아지는 시간이 1.6초이면, 벽면스위치를 끄고 나서 1.6초 이상 시간이 지나면 제2메모리(88)의 내용이 리셋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LED조명제어회로에 의하면 교류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회로에 저장된 전하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교류전원의 온오프정보를 측정하고 기억할 수 있으며 리셋시간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LED조명제어회로는 커패시터나 저항과 같은 간단한 전자부품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밝기조절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31, 61 : LED조명제어회로 2, 32, 62 : 전력변환부
3, 33, 63 : 교류전원의 입력단자 5, 35, 65 : LED
7, 37, 67 : 교류/직류변환기 12, 42, 72 : 조도제어부
20, 50 : 제2다이오드 23, 53 : 메모리 리셋부
24, 54, 84 : 전원온오프 센싱부 28, 58 : 제1메모리
29, 59 : 타이머회로 74 : 제3다이오드
75 : 커패시터 전압제어수단 88 : 제2메모리
rst : 리셋단자 VCC1 : 제1바이어스단자
VCC2 : 제2바이어스단자

Claims (10)

  1. LED 조명용 조명제어회로에 있어서,
    입력교류전원을 LED(5)의 구동전원으로 변환하는 전력변환부(2)와;
    상기 입력교류전원의 온오프를 센싱하는 전원온오프 센싱부(24)와;
    상기 전원온오프 센싱부의 출력 데이터인 온오프 정보를 저장하는 제1메모리(28)와;
    입력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교류/직류변환기(7)와;
    상기 입력교류전원이 오프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될 때 상기 제1메모리(28)를 리셋시키는 메모리 리셋부(23)와;
    상기 제1메모리(28)에 저장된 상기 온오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전력변환부(2)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LED(5)의 밝기를 조정하는 조도제어부(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용 조명제어회로.
  2. LED 조명용 조명제어회로에 있어서,
    입력교류전원을 LED(35)의 구동전원으로 변환하는 전력변환부(32)와;
    상기 입력교류전원의 온오프를 센싱하는 전원온오프 센싱부(54)와;
    상기 전원온오프 센싱부의 출력 데이터인 온오프 정보를 저장하는 제1메모리(58)와;
    입력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교류/직류변환기(37)와;
    상기 입력교류전원이 오프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될 때 상기 제1메모리(58)를 리셋시키는 메모리 리셋부(53)와;
    상기 제1메모리(58)에 저장된 상기 온오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전력변환부(32)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LED(35)의 밝기를 조정하는 조도제어부(42)와;
    상기 교류/직류변환기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1메모리(58)의 제1바이어스단자(VCC1) 사이에 연결되어 역방향 전류를 차단하는 제1다이오드(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용 조명제어회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 정보는 상기 입력교류전원의 온오프 횟수나 온오프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용 조명제어회로.
  4.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리셋부(23, 53)는 역방향 전류를 차단하는 제2다이오드(20, 50)와;
    상기 제2다이오드와 직열로 연결되며 상기 메모리 리셋부의 입력단자(18, 48)의 전압이 차단되면 시간에 따라 상기 메모리 리셋부(23, 53)의 출력전압이 변화하는 타이머회로(29, 5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용 조명제어회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모리(28,58)는 상기 메모리 리셋부(23,53)의 출력전압이 미리 설정된 전압 이하로 저하되는 것에 의하여 리셋되어 상기 온오프 정보가 초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용 조명제어회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회로(29, 59)는 저항과 커패시터의 병열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용 조명제어회로.
  7. LED 조명용 조명제어회로에 있어서,
    입력교류전원을 LED(65)의 구동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변환부(62)와;
    상기 입력교류전원의 온오프를 센싱하는 전원온오프 센싱부(84)와;
    상기 전원온오프 센싱부의 출력 데이터인 온오프 정보를 저장하는 제2메모리(88)와;
    상기 입력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교류/직류 변환기(6)와;
    상기 교류/직류변환기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2메모리의 제2바이어스단자(VCC2) 사이에 연결되어 역방향 전류를 차단하는 제3다이오드(74)와;
    상기 제2메모리(88)의 제2바이어스단자에 연결된 커패시터의 방전시간을 조절하는 커패시터 전압제어수단(75)과;
    상기 메모리(88)에 저장된 상기 온오프 횟수나 온오프 시간을 근거로 상기 전력변환부(62)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LED(65)의 밝기를 조정하는 조도제어부(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용 조명제어회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메모리(88)는 상기 제2메모리의 제2바이어스단자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전압 이하로 저하되는 것에 의하여 리셋되어 상기 온오프 정보가 초기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용 조명제어회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 전압제어수단(75)은 저항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용 조명제어회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 정보는 상기 입력교류전원의 온오프 횟수나 온오프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용 조명제어회로.
KR1020110098357A 2011-09-28 2011-09-28 Led조명용 조명제어회로 KR101288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357A KR101288848B1 (ko) 2011-09-28 2011-09-28 Led조명용 조명제어회로
PCT/KR2012/007707 WO2013048085A1 (ko) 2011-09-28 2012-09-25 엘이디 조명용 조명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357A KR101288848B1 (ko) 2011-09-28 2011-09-28 Led조명용 조명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377A true KR20130034377A (ko) 2013-04-05
KR101288848B1 KR101288848B1 (ko) 2013-07-23

Family

ID=47996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357A KR101288848B1 (ko) 2011-09-28 2011-09-28 Led조명용 조명제어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88848B1 (ko)
WO (1) WO20130480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70139B (zh) * 2014-12-11 2017-10-31 大连海事大学 一种隧道照明闭环反馈控制方法
KR102663109B1 (ko) 2023-08-30 2024-05-03 금호이앤지 (주) Led 조명용 전원 경로 선택 회로 및 이를 갖는 전력 효율 향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0415A (ko) * 2002-04-08 2003-10-17 주식회사 포스에너지 전등용 조도 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53711A (ko) * 2002-12-16 2004-06-24 김형광 온오프스위치
US8264159B2 (en) * 2007-06-29 2012-09-11 Osram Ag Circuit arrange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at least one LED and at least one fluorescent lamp
TW201105169A (en) * 2009-07-24 2011-02-01 Xu Xiu Yu Intelligent control module and method for lighting 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8848B1 (ko) 2013-07-23
WO2013048085A1 (ko) 201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1651B2 (en) Illuminating device
RU2606387C2 (ru) Блок управления мощностью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ой мощностью, выдаваемой на нагрузку, в частности в блок светоизлучающих диодов и блок управления напряжением,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выходным напряжением блока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я
EP2637481A2 (en) Power supply for illumination and luminaire
WO2013027119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iac applications
KR101536108B1 (ko)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의 제어 회로 및 전압 생성 방법
US10404158B2 (en) Power factor correction (PFC) module operating in discontinuous current mode (DCM), system containing the PFC module and methods of operating therefor
KR101288848B1 (ko) Led조명용 조명제어회로
CN103687176A (zh) 使用分数分压器以调节电压的线性led驱动电路
JP7066060B2 (ja) 駆動回路及び関連ランプ
JP2006032030A (ja) 調光装置
US20080204956A1 (en) Override protection circuit device
KR101216677B1 (ko) Led조명용 ac-dc컨버터의 제어기
JP5645250B2 (ja) Led点灯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EP3001778B1 (en) An accessory device connectable to an operating device
US20140021872A1 (en) Circuit for controlling a lighting unit with light-emitting diodes
KR101555146B1 (ko) 프로그램할 수 있는 교류 전원 전자 스위치
JP6282012B2 (ja) 照明用電源装置および照明用電源システム
JP4772472B2 (ja) 複数箇所に設置されたスイッチの制御方法及びそのスイッチ装置
JP2011086587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CN211698017U (zh) 一种可控硅调光器检测装置、电路
US20140071573A1 (en) Electrical Load Controller with Neutral Detection
WO2022175125A1 (en) Driver for lighting means
JP2013235776A (ja) 調光信号変換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