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0415A - 전등용 조도 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등용 조도 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0415A
KR20030080415A KR1020020019016A KR20020019016A KR20030080415A KR 20030080415 A KR20030080415 A KR 20030080415A KR 1020020019016 A KR1020020019016 A KR 1020020019016A KR 20020019016 A KR20020019016 A KR 20020019016A KR 20030080415 A KR20030080415 A KR 20030080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unit
illuminance
lamp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9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에너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에너지
Priority to KR1020020019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0415A/ko
Publication of KR20030080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041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 H05B41/38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등용 조도 조절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교류전원을 정류하여 소정의 정격전압을 형성하여 이를 외부로 공급하는 전원부와, 전원부와 연동하여 전원부에 입력된 교류신호의 제로점을 검출한 후 교류신호가 제로점을 가로지를 때 제어용 펄스 신호를 발생시켜 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로 크로스 검출부와, 전등의 조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전등의 조도를 소정값으로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전등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어신호 입력부와, 사용자가 입력한 소정의 전등에 대한 선택신호에 의거하여 전등을 설정하고, 전등이 저 조도로 조정 시 발생하는 플리커링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등의 조도가 떨어지는 범위를 설정하는 설정부와, 사용자가 선택한 전등의 종류 및 조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가 제어신호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한 해당 전등의 조도값 및 해당 전등의 재 설정된 조도값을 입력받아 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제로 크로스 검출부로부터 입력된 제어용 펄스 신호와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전등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램프의 제어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외부로 전송하고, 정전 등의 이벤트 발생 시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가 설정한 조도값으로 해당 전등의 조도를 복귀시키고, 각 구성요소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전등으로 입력되는 전원을 조절하여 전등의 점ㆍ소등 및 조도를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최근에 설정한 전등의 종류, 조도값 등을 입력받아 이를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한 전등의 조도 값을 전등의 특색에 적합하게 용이하게 조절할 뿐만 아니라 전등의 온/오프 시 전등의 조도 값을 항상 일정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등용 조도 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 Device for controlling the illuminance of electric lamp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등용 조도 조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선택한 전등의 조도값을 전등의 특색에 적합하게 조절하고 또한 전등의 온/오프 시 전등의 조도값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전등용 조도 조절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은 어두운 공간을 백열전구, 형광램프, 수은램프와 같은 램프를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밝게 비추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전등으로부터 제공되는 빛은 사물과 주변을 밝게 비추거나, 무대·쇼윈도우·레스토랑 등과 같은 시설에 특별한 분위기를 형성한다.
또한, 조명은 실내 전체를 균등하게 비추는 전반조명과, 작업장으로부터 비교적 짧은 거리에 부가적으로 조명하는 국부조명, 그리고 작업이 수행되는 장소만 부분적으로 높은 조명도를 써서 그 외의 장소는 상대적으로 낮은 조명도를 제공하는 국부적 전반조명으로 나눌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사무실이나 작업장에서는 전반조명으로 대표적이라 할 수 있는 형광램프를 사용하고, 보다 세밀하고 정밀한 작업을 할 때에는 조명도가 높은 국부조명기구 및 국부적 전반조명기구, 예를 들면 스탠드 램프를 추가로 설치하여 작업의 변화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조명의 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한 조명 기구의 조도 조절 장치는 특정의 조도를 요하는 소정의 장소, 예를 들면 회의실, 교육/세미나실, 연수원 등의 Presentation 관련분야, 컴퓨터 프로그램 개발실, 전산 운영실, 정밀 작업실 등의 정밀 작업실, 특수시설(상설 전시장), 기업 제품 전시실 등의 고급 인테리어, 발전소, 이동통신, 방송국, 공장 중앙 통제실 등의 모니터링 및 통제실, 갤러리, 박물관, 과학관, 전시홀, 테마파크 등의 전시 및 테마홀, 연구소, 병원, 방송국 스튜디오 등의 조명제어, 빌딩전체의 조명관리 등의 인텔리젼트 빌딩(IBS), 고급빌라, 안방극장, 무드조명, 인테리어용 등의 가정용, 교회성전, 사찰건물 등의 교회 및 사찰 및 HOTEL 시설, 공단시설, 공항, 위락시설 등의 시설물 전체 조명관리 등의 특정 장소에 설치된 조명자치에 사용함으로써, 상기 조명장치가 설치된 주위환경에 대응하여 조명의 적합한 조도룰 조절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의 조도를 요구하는 장소에 대한 특별한 분위기를 제공하고 또한 상기 장소가 제공하는 기능을 최적화 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조도 조절장치에 있어서는 서로 다른 종류의 전등, 예를 들면 백열등, 전기식 형광등 및 자기식 형광등 등의 서로 다른 종류의 전등을 제어시에 각각의 전등에 대한 제어회로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고 설치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조도 조절장치에 있어서는 정전 및 전원의 온/오프 등의 이벤트가 발생 시 상기 전등의 조도값이 변동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이벤트의 발생시 마다 상기 전등의 조도값을 재 설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최근에 설정한 조명의 종류 및 조도 설정치에 의거하여, 정전 또는 전원의 온/오프 등의 이벤트 발생 시 조명의 조도를 기존에 설정된 조도 설정치로 자동 복귀시키는 전등용 조도 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등용 조도 조절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크로스 검출부의 회로 구성도 및 출력 파형을 도시한 도면.
도 4(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등용 조도 조절장치의 제어방법의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전원부 11 : 전원입력부
12 : 정류부 13 : 레귤레이터
14 : 검출부 15 : 비교부
16 : 기준신호 발생부 17 : 증폭부
18 : 신호 제어부 20 : 제어 크로스 검출부
30 : 제어신호 입력부 40 : 설정부
50 : 디스플레이부 60 : 저장부
70 : 제어부 80 : 구동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교류전원을 정류하여 소정의 정격전압을 형성하여 이를 외부로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와 연동하여 상기 전원부에 입력된 상기 교류신호의 제로점을 검출한 후 상기 교류신호가 상기 제로점을 가로지를 때 제어용 펄스 신호를 발생시켜 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로 크로스 검출부와, 전등의 조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전등의 조도를 소정값으로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전등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어신호 입력부와, 사용자가 입력한 소정의 전등에 대한 선택신호에 의거하여 해당 전등을 설정한 후 상기 해당 전등이 저 조도로 조정 시 발생하는 플리커링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등의 조도가 떨어지는 범위를 설정하는 설정부와, 사용자가 선택한 전등의 종류 및 상기 전등의 조도를 소정의 표시부재를 사용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가 상기 제어신호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한 해당 전등의 조도값 및 해당 전등의 재 설정된 조도값을 입력받아 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제로 크로스 검출부로부터 입력된 제어용 펄스 신호와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전등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전등의 제어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외부로 전송하고, 정전 또는 전등의 온/오프 등의 이벤트 발생 시 상기저장부에 저장된 최근에 설정된 상기 전등의 조도 설정값으로 해당 전등의 조도를 자동으로 복귀시키고, 각 구성요소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전등으로 입력되는 전원을 조절하여 상기 전등의 점ㆍ소등 및 조도를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등용 조도 조절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등용 조도 조절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2는 소정의 정격전압을 제공하는 전원부의 블럭도 이고, 도 3은 교류신호에 대한 제로점을 추출하는 제로 크로스 검출부의 회로도 및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등용 조도 조절 장치의 조도 제어과정을 도신한 순서도 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1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소정의 교류전원을 소정의 직류전원, 예를 들면 직류 5V로 변환하여 후술하는 제어부로 소정의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전원입력부(11), 정류부(12) 및 레귤레이터(13)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전원부(10)의 전원 입력부(11)는 소정의 전송선로, 예를 들면 2상 또는 3상의 전송선로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소정치의 교류 전원전압을 입력받아 이를 후술하는 정류부(12)로 전달한다.
상기 전원부(10)의 정류부는 상기 전원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치의 교류 전원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상기 소정치의 교류 전원전압을 일정한 크기의 교류 전원전압으로 다운시키기 위한 변압기와 상기 변압기에 의해 다운된 상기 교류 전원전압을 소정치, 예를 들면 직류 5 볼트의 직류전압으로 정류하기 위한 소정의 정류소자인 다이오드로 형성된 브리지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원부(10)의 레귤레이터(13)는 상기 정류부에 의해 정류되어 출력되는 소정의 직류 전원전압을 소정의 정격전압으로 변환하여 후술하는 제어부(70)에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레귤레이터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귤레이터(13)는 신호 검출부(14)에서 상기 정류부(12)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압의 일부를 검출하여 이를 비교부(15)로 전달하고, 상기 비교부(15)는 상기 신호 검출부(14)로부터 전달된 출력전압과 소정의 기준전압을 발생시키는 기준부(16)로부터 입력된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전압간의 차신호를 증폭부(17)로 출력한다.
이때, 출력전압의 변동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상기 비교부의 성능이 크게 좌우하기 때문에 상기 비교부에 트랜지스터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Op-Amp를 이용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성능을 갖는 것을 얻을 수 있다
이후, 신호 제어부(18)는 상기 증폭기(17)를 통하여 증폭되어 입력된 상기 전압간의 차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정격전압이 형성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제로 크로스 검출부(20)는, 외부로부터 소정의 교류신호가 상기 전원부(10)의 전원 입력부(11)에 입력 시, 상기 변압기에 의해 감쇠 된 상기 교류신호의 제로점을 검출한 후 상기 교류신호가 상기 제로점을 가로지를 때 후술하는 구동부(80)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후술하는 제어부(70)로 전달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제어 크로스 검출부(20)의 구성 및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로 크로스 검출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 신호가 제로점을 가로지를때 소정의 정현파 파형을 펄스파인 방형파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출력전압이 소정의 값, 예를 들면 5V의 진폭이 되도록 4.7V의 제너 다이오드를 2개의 반대 방향으로 직렬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로 크로스 검출부(20)가 제로점에서 동작시키기 위해서 저항(R4)의 저항값을 크게 무한대의 값을 갖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또한 입력파형에 노이즈가 섞여 들어올 경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저항(R3)를 통하여 약간만 플러스 귀환을 걸어 줄 수 있돌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신호 입력부(30)는 상기 전등의 조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전등의 조도를 소정값으로 설정하기 위한 소정의 설정 키, 예를 들면 파워 온/오프 키, 상기 전등의 조도에 대한 업/다운 키 및 채널 설정을 위한 채널 설정키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어신호 입력부(30)는 사용자가 상기 소정의 설정키를 통하여 입력한 상기 전등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후술하는 제어부(70)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전등의 온/오프 및 조도의 업/다운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는 리모콘을 이용하여 상기 전등의 온/오프 및 조도의 업/다운에 대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전등의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 주의 해야 한다.
설정부(40)는, 사용자가 상기 제어신호 입력부(30) 또는 리모콘을 사용하여 소정의 전등, 예를 들면 백열등, 자기식 형광등 및 전자식 형광등의 선택 신호를 입력 시, 사용자가 입력한 소정 부하의 선택 신호에 의거하여 해당 전등을 설정한다.
또한, 설정부(40)는 사용자가 선택한 전등이 저 조도로 조정 시 발생하는 플리커링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해당 전등에 대한 저 조도값을 설정한 한 후 해당 전등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 시 상기 설정된 저 조도값에 의거하여 해당 전등의 조도값을 조정한다.
디스플레이부(50)는 사용자가 선택한 전등의 종류, 예를 들면 백열등, 자기식 형광등 및 전자식 형광등 등의 전등의 종류 및 상기 전등의 조도치를 후술하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소정의 표시부재, 예를 들면 LED 등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저장부(60)는 사용자가 상기 제어신호 입력부(30)를 통하여 입력한 해당 조명의 조도값을 입력받아 이를 소정의 저장수단에 저장한 후 정전 등의 이벤트가 발생 시 상기 이벤트가 소멸한 후 후술하는 제어부(70)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기 설정된 해당 전등의 조도값으로 해당 전등의 조도값을 재 설정한다.
또한, 저장부(60)는 사용자가 최근에 조정한 해당 전등의 조도값을 소정의저장수단에 저장한 후 이후 사용자가 해당 전등을 재 점등한 경우 소정의 예열시간이 경과한 후 해당 전등을 최근에 조정된 조도값으로 전환한다.
제어부(70)는 상기 제로 크로스 검출부(20)로부터 입력된 제어용 펄스 신호와 상기 제어신호 입력부(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상기 전등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후술하는 구동부(80)에 대한 제어신호를 산출한 후 상기 구동부(80)로 상기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제어부(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소정의 전등, 예를 들면 백열등, 전자식 형광등 및 자기식 형광등 등의 소정의 전등에 대한 설정신호가 상기 제어신호 입력부(30)로부터 입력 시,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전등의 설정을 위하여 상기 설정부(40)로 해당 전등에 대한 설정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설정부(40)의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70)는, 소정의 전등, 예를 들면 형광등 등의 전등이 저 조도로 조정 시 발생하는 플리커링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신호 입력부(30)로부터 해당 전등에 대한 저 조도값의 선택신호가 입력 시 상기 설정된 저 조도값에 의거하여 해당 전등의 조도값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설정부(40)로 전송한다..
제어부(70)는, 정전 등의 이벤트가 발생 시 상기 이벤트가 소멸한 후 기 설정된 해당 전등의 조도값으로 해당 전등의 조도값을 재 설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설정부(40)로 전송한다.
제어부(70)는 사용자가 해당 전등을 재 점등한 경우 소정의 예열시간이 경과한 후 해당 전등을 최근에 조정된 조도값으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저장부(6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70)는, 사용자가 상기 제어신호 입력부를 통하여 선택한 전등의 종류 및 상기 전등의 조도값을 입력 시, 소정의 표시수단, 예를 들면 LED 등으로 구성된 상기 디스플레이부(50)에 상기 전등의 종류 및 조도값을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50)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구동부(80)는, 상기 제어부(7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소정의 구동부재, 예를 들면 트라이액을 구동하여 소정의 전등으로 인가되는 교류전원을 제어함으로써, 소정의 전등, 예를 들면 백열등, 전자식 형광등 및 자기식 형광등 등의 전등에 대한 온/오프 및 조도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도 조절 장치에 대한 조도 조절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제어신호 입력부(20)에 형성된 파워버튼을 선택하여 소정의 전등을 온 한 후 소정의 초기 설정 데이터, 예를 들면 전등의 종류 및 상기 전등의 조도량을 포함하는 상기 초기 설정 데이터를 입력 시(S100), 제어부(70)는 상기 초기 설정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등의 종류 및 상기 전등에 대한 조도량의 설정을 위한 제어신호를 설정부(40)로 전달한다(S101).
상기 제어부(70)로부터 입력된 초기 설정 데이터에 대한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설정부(40)가 전등의 종류 및 상기 전등의 조도량을 설정한 후 이를 상기 제어부(70)로 전달 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설정부(40)에서 설정된 초기 설정 데이터, 예를 들면 전등의 종류 및 상기 전등의 조도량 등의 초기 설정 데이터를 저장부(60)에 저장시킨다(S102).
이후, 상기 제어신호 입력부(20) 또는 외부로부터 소정의 이벤트, 예를 들면 전등의 변동 또는 정전 및 전원의 온/오프 등의 이벤트가 발생 시(S103),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이벤트가 전등의 변동 또는 정전에 의한 전원의 온/오프 중 어느것 인가를 판단한다(S104).
단계(S104)의 판단 결과 상기 이벤트가 전등의 변동인 경우, 상기 제어부
(70)는 사용자가 상기 제어신호 입력부(30)를 통하여 입력한 소정의 전등, 예를 들면 백열등, 전자식 형광등 및 자기식 형광등 등의 소정의 전등에 대한 선택신호에 대응하여 제어신호를 상기 설정부(40)로 전송한다(S105).
이후, 상기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소정의 전등을 설정한 후 상기 전등에 대한 설정신호가 상기 설정부(40)로부터 입력 시(S106), 상기 제어부(70)는 설정된 전등 데이터를 상기 설정부(40)에 설정 시킨 후, 상기 전등의 조도량에 대한 변경신호의 입력여부를 판단한다(S107).
단계(S107)의 판단 결과 상기 전등의 조도량에 대한 변경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전등의 조도량을 상기 저장부(60)에 저장시킨 후 상기 제어신호 입력부(30)로부터 입력된 전등의 온/오프 신호에 의거하여 구동부(80)를 구동하여 상기 전등의 온/오프를 수행한다(S108).
이때,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전등의 조도량을 소정의 표시부재, 예를 들면 LED 등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부(5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조도량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50)로 소정의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단계(S107)의 판단 결과 상기 전등의 조도량에 대한 변경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전등의 조도량이 상기 설정부에 형성된 저 조도의 범위를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9).
단계(S109)의 판단 결과 상기 전등의 조도량이 상기 설정부에 형성된 저 조도의 범위를 초과하지 않은경우,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제어신호 입력부(30)로부터 입력된 전등의 온/오프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저장부(60)에 설정된 조도량에 대응하여 상기 전등의 온/오프를 수행한다(S110).
단계(S109)의 판단 결과 상기 전등의 조도량이 상기 설정부(40)에 형성된 저 조도의 범위를 초과한 경우,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전등의 플리거링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설정부(40)로 전송한다(S111).
상기 설정부(40)에서 상기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전등의 플리거링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전등의 저 조도를 재 설정 시(S112),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설정부(40)에 의해 재조정된 상기 전등에 대한 조도값을 상기 저장부(60)에 저장시킨다(S113)
이후, 상기 제어신호 입력부(30)로부터 상기 전등에 대한 점등 및 소등신호가 입력 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제어신호 입력부(30)로부터 입력된 부하의 점등 및 소등 신호가 입력 시 상기 구동부(80)를 구동하여 상기 저장부(60)에 설정된 조도량으로 상기 부하의 점등 및 소등을 수행한다(S114).
단계(S105)의 판단 결과 상기 이벤트가 정전에 의한 전원의 온/오프인 경우,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전등에 전원이 재 공급시 상기 전등의 조도값이 상기 저장부(60)에 저장된 소정의 조도값인 가를 판단한다(S115).
단계(S114)의 판단 결과 상기 전등의 조도값이 기 설정된 소정의 조도값이 아닌 경우,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전등의 조도값이 기 설정된 조도값을 갖도록 상기 설정부(40)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등의 조도값을 기존 설정된 조도값으로 자동 복귀시킨다(S116).
단계(114)의 판단 결과 상기 전등의 조도값이 기 설정된 소정의 조도값인 경우,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저장부(60)에 저장된 전등의 조도값에 의거하여 상기 구동부(80)를 구동하여 상기 전등의 점등 및 소등을 수행한다(S117).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등용 조도 조절 장치 및 제어방법 따르면, 사용자가 최근에 설정한 전등의 종류, 조도값 등을 입력받아 이를 저장함으로써, 전등의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선택한 전등의 조도값을 전등의 특색에 적합하게 용이하게 조절할 뿐만 아니라 전등의 온/오프시 전등의 조도값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교류전원을 정류하여 소정의 정격전압을 형성하여 이를 외부로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와 연동하여 상기 전원부에 입력된 상기 교류신호의 제로점을 검출한 후 상기 교류신호가 상기 제로점을 가로지를 때 제어용 펄스 신호를 발생시켜 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로 크로스 검출부와, 전등의 조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전등의 조도를 소정값으로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전등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어신호 입력부와, 사용자가 입력한 소정의 전등에 대한 선택신호에 의거하여 해당 전등을 설정한 후 상기 해당 전등이 저 조도로 조정 시 발생하는 플리커링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등의 조도가 떨어지는 범위를 설정하는 설정부와, 사용자가 선택한 전등의 종류 및 상기 전등의 조도를 소정의 표시부재를 사용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가 상기 제어신호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한 해당 전등의 조도값 및 해당 전등의 재 설정된 조도값을 입력받아 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제로 크로스 검출부로부터 입력된 제어용 펄스 신호와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전등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전등의 제어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외부로 전송하고, 정전 또는 전등의 온/오프 등의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최근에 설정된 상기 전등의 조도 설정값으로 해당 전등의 조도를 자동으로 복귀시키고, 각 구성요소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전등으로 입력되는 전원을 조절하여 상기 전등의 점ㆍ소등 및 조도를 제어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용 조도 조절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백열전구, 전기식 형광등 및 자기식 형광등 중 상기 제어신호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소정의 전등 선택 신호에 의거하여 해당 전등을 상기 설정부에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용 조도 조절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등이 저 조도로 조정 시 발생하는 플리커링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신호 입력부로부터 해당 전등에 대한 저 조도값의 선택신호가 입력 시 상기 설정된 저 조도값에 의거하여 해당 전등의 조도값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용 조도 조절장치.
  4. (1) 사용자가 제어신호 입력부에 형성된 파워버튼을 선택하여 소정의 전등을 온 한 후 전등의 종류 및 상기 전등의 조도량을 포함하는 상기 초기 설정 데이터를 입력 시, 제어부에서 상기 초기 설정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등의 종류 및 상기 전등에 대한 조도량의 설정을 위한 제어신호를 설정부로 전달하는 단계;
    (2) 상기 초기 설정 데이터에 대한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설정부가 전등의 종류 및 상기 전등의 조도량을 설정 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설정부(40)에 설정된 전등의 종류 및 상기 전등의 조도량 등의 초기 설정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단계;
    (3) 제어신호 입력부 또는 외부로부터 전등의 변동 또는 정전에 의한 전원의 온/오프 등의 이벤트가 발생 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이벤트가 전등의 변동 또는 정전에 의한 전원의 온/오프 중 어느것 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4) 단계(3)의 판단 결과 상기 이벤트가 전등의 변동인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어신호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백열등, 전자식 형광등 및 자기식 형광등 등의 소정의 전등에 대한 선택신호에 대응하여 제어신호를 상기 설정부로 전송하는 단계;
    (5) 상기 설정부로부터 상기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소정의 전등을 설정한 후 상기 전등에 대한 설정신호가 입력 시, 상기 제어부에서 설정된 전등 데이터를 상기 설정부에 설정 시킨 후 상기 전등의 조도량에 대한 변경신호의 입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6) 단계(5)의 판단 결과 상기 전등의 조도량에 대한 변경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전등의 조도량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킨 후 상기 제어신호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전등의 온/오프 신호에 의거하여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전등의 온/오프를 수행하는 단계;
    (7) 단계(5)의 판단 결과 상기 전등의 조도량에 대한 변경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전등의 조도량이 상기 설정부에 형성된 저 조도의 범위를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8) 단계(7)의 판단 결과 상기 전등의 조도량이 상기 설정부에 형성된 저 조도의 범위를 초과하지 않은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제어신호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전등의 온/오프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저장부에 설정된 조도량에 대응하여 상기 전등의 온/오프를 수행하는 단계;
    (9) 단계(7)의 판단 결과 상기 전등의 조도량이 상기 설정부에 형성된 저 조도의 범위를 초과한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전등의 플리거링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설정부로 전송하는 단계;
    (10) 상기 설정부에서 상기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전등의 플리거링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전등의 저 조도를 재 설정 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설정부에 의해 재 조정된 상기 전등에 대한 조도값을 상기 저장부 저장시킨 후 상기 제어신호 입력부로부터 상기 전등에 대한 점등 및 소등신호가 입력 시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저장부에 설정된 조도량으로 상기 부하의 점등 및 소등을 수행하는 단계;
    (11) 단계(3)의 판단 결과 상기 이벤트가 정전에 의한 전원의 온/오프인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전등에 전원이 재 공급시 상기 전등의 조도값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소정의 조도값인 가를 판단하는 단계;
    (12) 단계(11)의 판단 결과 상기 전등의 조도값이 기 설정된 소정의 조도값이 아닌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전등의 조도값이 기 설정된 조도값을 갖도록 상기 설정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등의 조도값을 기존 설정된 조도값으로 자동 복귀시키는 단계;
    (13) 단계(11)의 판단 결과 상기 전등의 조도값이 기 설정된 소정의 조도값인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전등의 조도값에 의거하여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전등의 점등 및 소등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용 조도 조절 장치의 조도 제어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14) 상기 제어부에서 설정된 해당 전등의 종류 및 상기 전등의 조도량을 LED 등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부 통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전등의 종류 및 해당 전등의 조도량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용 조도 조절 장치의 조도 제어 방법.
KR1020020019016A 2002-04-08 2002-04-08 전등용 조도 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804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016A KR20030080415A (ko) 2002-04-08 2002-04-08 전등용 조도 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016A KR20030080415A (ko) 2002-04-08 2002-04-08 전등용 조도 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0415A true KR20030080415A (ko) 2003-10-17

Family

ID=32378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9016A KR20030080415A (ko) 2002-04-08 2002-04-08 전등용 조도 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0415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231B1 (ko) * 2006-06-30 2007-04-03 윤경호 조명 밝기조절 장치 및 그 방법
KR100768584B1 (ko) * 2004-11-17 2007-10-22 주식회사 래도 가변정보표지판의 휘도 제어장치 및 휘도 제어방법
KR100787702B1 (ko) * 2005-05-20 2007-12-21 매스 테크놀러지 (홍콩) 리미티드 단계적으로 조도 조절하는 형광등용 안정기
KR100860787B1 (ko) * 2007-02-05 2008-09-29 주식회사 필룩스 조명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865116B1 (ko) * 2006-12-21 2008-10-24 원 호 이 전시물 조명 장치 및 조명 제어 장치
KR100886742B1 (ko) * 2008-09-22 2009-03-04 김경남 밝기 제어가 가능한 엘이디 조명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955030B1 (ko) * 2007-11-02 2010-04-28 주식회사 에이알테크 감광 센서를 이용한 조명 기구의 자동 반전 제어 장치
WO2013048085A1 (ko) * 2011-09-28 2013-04-04 Suh Young Suk 엘이디 조명용 조명제어회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204A (ko) * 1990-02-28 1992-01-10 쯔루오 즈도무 조명 제어장치
KR19980083628A (ko) * 1997-05-16 1998-12-05 배순훈 최적 조도 유지 방법
JPH11135266A (ja) * 1997-10-28 1999-05-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制御操作装置
KR20000013636A (ko) * 1998-08-11 2000-03-06 구자홍 마이크로파 조명 장치
JP2000308161A (ja) * 1999-04-23 2000-11-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多重伝送システムのパターングループ設定器
KR20020078630A (ko) * 2001-04-06 2002-10-19 원 호 이 조도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204A (ko) * 1990-02-28 1992-01-10 쯔루오 즈도무 조명 제어장치
KR19980083628A (ko) * 1997-05-16 1998-12-05 배순훈 최적 조도 유지 방법
JPH11135266A (ja) * 1997-10-28 1999-05-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制御操作装置
KR20000013636A (ko) * 1998-08-11 2000-03-06 구자홍 마이크로파 조명 장치
JP2000308161A (ja) * 1999-04-23 2000-11-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多重伝送システムのパターングループ設定器
KR20020078630A (ko) * 2001-04-06 2002-10-19 원 호 이 조도조절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584B1 (ko) * 2004-11-17 2007-10-22 주식회사 래도 가변정보표지판의 휘도 제어장치 및 휘도 제어방법
KR100787702B1 (ko) * 2005-05-20 2007-12-21 매스 테크놀러지 (홍콩) 리미티드 단계적으로 조도 조절하는 형광등용 안정기
KR100702231B1 (ko) * 2006-06-30 2007-04-03 윤경호 조명 밝기조절 장치 및 그 방법
KR100865116B1 (ko) * 2006-12-21 2008-10-24 원 호 이 전시물 조명 장치 및 조명 제어 장치
KR100860787B1 (ko) * 2007-02-05 2008-09-29 주식회사 필룩스 조명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955030B1 (ko) * 2007-11-02 2010-04-28 주식회사 에이알테크 감광 센서를 이용한 조명 기구의 자동 반전 제어 장치
KR100886742B1 (ko) * 2008-09-22 2009-03-04 김경남 밝기 제어가 가능한 엘이디 조명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3048085A1 (ko) * 2011-09-28 2013-04-04 Suh Young Suk 엘이디 조명용 조명제어회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79429A1 (en) Solid State Lighting Systems
US1037579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ower and data to devices
US1150369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ower and data to devices
US9419435B2 (en) Universal power control device
US871077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ower and data to lighting devices
US20180112837A1 (en) Solid state fluorescent lamp and high intensity discharge replacement
US9907149B1 (en) Combined lighting device with an integrated dimming control system
EP2293653A2 (en) Ac-powered led lighting system
US20190098734A1 (en) Combined lighting device with an integrated dimming control system
US10678286B2 (en) Power control device with calibration features
US20180145507A9 (en) Universal power control device
KR20090117342A (ko) 밝기 조절기능을 갖는 교류전원 엘이디 조명시스템
KR20030080415A (ko) 전등용 조도 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294918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ower and data to lighting devices
KR20170011078A (ko) 조명 제어 장치
JPS62219494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WO2017117316A1 (en) Personalized Lighting Systems
KR200281918Y1 (ko) 전등용 조도 조절장치
US1191774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ower and data to devices
EP0940061B1 (en) Distributed network control of a dimmable fluorescent lighting system
US20150282275A1 (en) Dimmer with photo sensor and high/low clamping
KR200383101Y1 (ko) 이동식 조명장치
KR102394440B1 (ko) Led 집단조명등 디밍 및 절전 방법 및 시스템
US2024019650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ower and data to devices
KR102401318B1 (ko) 스마트 스위치용 전원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