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4267A -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 Google Patents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4267A
KR20130034267A KR1020110098182A KR20110098182A KR20130034267A KR 20130034267 A KR20130034267 A KR 20130034267A KR 1020110098182 A KR1020110098182 A KR 1020110098182A KR 20110098182 A KR20110098182 A KR 20110098182A KR 20130034267 A KR20130034267 A KR 20130034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rotor
salient pole
switched reluctance
blad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환
윤태호
윤영복
이상종
윤희수
배한경
장수봉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8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4267A/ko
Priority to US13/458,419 priority patent/US20130076212A1/en
Priority to CN2012101527982A priority patent/CN103036359A/zh
Publication of KR20130034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42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9/00Synchronous motors or generators
    • H02K19/02Synchronous motors
    • H02K19/10Synchronous motors for multi-phase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0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 H02K9/04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 H02K9/06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with fans or impellers driven by the machine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25/06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the electric motor being specially adapted for integration in the pum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4Ro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Variable reluctance rotors
    • H02K1/246Variable reluctance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9/00Synchronous motors or generators
    • H02K19/02Synchronous motors
    • H02K19/10Synchronous motors for multi-phase current
    • H02K19/103Motors having windings on the stator and a variable reluctance soft-iron rotor without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ynchronous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주면에 복수 개의 돌극이 형성되고, 상기 돌극에 권선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고정자부와, 상기 고정자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릴럭턴스 토크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자부를 포함하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로서, 상기 회전자부는 회전축이 삽입되는 회전축공이 형성된 회전자 코어와, 상기 고정자부의 돌극에 대향되도록 상기 회전자 코어로부터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회전자 돌극을 구비하는 회전자 및 상기 회전자 돌극과 돌극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유체의 흐름이 발생시키는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Switched reluctance motor}
본 발명은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고정돌극(11)을 구비하는 고정자부(10)와, 상기 복수 개의 고정돌극(11)과 대향되는 복수 개의 회전돌극(22)을 구비하는 회전자(20)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자부(10)는 상기 회전자(20)를 향하도록 상기 고정자부(10)의 내주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고정돌극(11)과 각각의 상기 고정돌극(11)에 권선되는 코일(1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회전자(20)는 각각의 상기 고정돌극(11)과 대향되는 복수 개의 상기 회전돌극(22)이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코어(21)가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회전자(20)의 중앙으로는 외부로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30)이 결합되어 상기 회전자(20)와 함께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극(11)에는 집중권의 상기 코일(12)이 권선되는 반면 상기 회전자(20)는 어떠한 여자장치, 예를 들어 코일의 권선 또는 영구자석 없이 철심만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상기 코일(12)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상기 코일(12)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에 의해 상기 회전자(20)가 상기 코일(12)이 권선된 상기 고정돌극(11) 방향으로 이동하는 릴럭턴스 토크가 발생하게 되어 상기 회전자(20)는 자기회로의 저항이 최소가 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는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다양한 산업 분야에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진공 청소기에 장착되어 유체를 흡입하기 위한 용도로도 이용될 수도 있다.
하지만, 종래의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는 일반적으로 모터의 작동시간이 장시간 경과할 경우 모터 내부에서는 상당한 열이 발생하게 되어 모터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자(20)의 회전에 의해 모터 내부에서는 어느 정도의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지만 이는 모터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자체적으로 냉각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결국 모터의 냉각특성이 저하되고 따라서 제품의 신뢰성이 또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진공 청소기와 같이 외부의 유체를 흡입하는 기능의 제품에 적용될 경우 일정한 수준의 요구되는 유체 흡입력을 제공하기에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유체 흡입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모터의 회전력을 증가시킬 경우 더욱더 모터는 과열되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축 방향으로 유체의 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회전자 돌극과 돌극 사이에 배치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주면에 복수 개의 돌극이 형성되고, 상기 돌극에 권선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고정자부와, 상기 고정자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릴럭턴스 토크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자부를 포함하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로서, 상기 회전자부는 회전축이 삽입되는 회전축공이 형성된 회전자 코어와, 상기 고정자부의 돌극에 대향되도록 상기 회전자 코어로부터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회전자 돌극을 구비하는 회전자 및 상기 회전자 돌극과 돌극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유체의 흐름이 발생시키는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회전축공과 대응되는 중공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자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블레이드 바디와, 상기 제1 블레이드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블레이드날로 이루어지는 제1 블레이드부 및 상기 회전축공과 대응되는 중공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자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 블레이드 바디와, 상기 제2 블레이드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블레이드 날로 이루어지는 제2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 날은 상기 제1 블레이드부를 구성하는 상기 제1 블레이드 날과 상기 제2 블레이드부를 구성하는 상기 제2 블레이드 날이 상하로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블레이드 바디는 상기 회전자 돌극과 돌극 사이의 외주면의 일부분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블레이드 날은 상기 회전자 돌극과 돌극 사이의 외주면의 일부분을 커버하는 상기 제1 블레이드 바디 영역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자 돌극의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블레이드 바디는 상기 회전자 돌극과 돌극 사이의 외주면의 일부분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블레이드 날은 상기 회전자 돌극과 돌극 사이의 외주면의 일부분을 커버하는 상기 제2 블레이드 바디 영역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자 돌극의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회전축공과 대응되는 중공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자의 상부에 결합되며 일부 영역은 상기 회전자 돌극과 돌극 사이의 외주면을 커버하는 상부 블레이드 바디 및 상기 회전자 돌극과 돌극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상부 블레이드 바디 영역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자 돌극의 측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자부는 비자성, 절연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축공과 대응되는 중공홀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자 코어의 하부에 결합되는 밸런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회전축공과 대응되는 중공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자의 하부에 결합되며 일부 영역은 상기 회전자 돌극과 돌극 사이의 외주면을 커버하는 하부 블레이드 바디 및 상기 회전자 돌극과 돌극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하부 블레이드 바디 영역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자 돌극의 측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자부는 비자성, 절연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축공과 대응되는 중공홀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자 코어의 상부에 결합되는 밸런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블레이드부는 상기 제1 블레이드부의 제1 블레이드 날과 제1 블레이드 날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블레이드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돌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블레이드부는 상기 제2 블레이드부의 제2 블레이드 날과 제2 블레이드 날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 블레이드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돌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회전축공과 대응되는 중공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자의 상부에 결합되며 일부 영역은 상기 회전자 돌극과 돌극 사이의 외주면을 커버하는 제1 블레이드 바디와, 상기 회전자 돌극과 돌극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1 블레이드 바디 영역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돌극으로 이루어지는 제1 블레이드부 및 상기 회전축공과 대응되는 중공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자의 하부에 결합되며 일부 영역은 상기 회전자 돌극과 돌극 사이의 외주면을 커버하는 제2 블레이드 바디와, 상기 회전자 돌극과 돌극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2 블레이드 바디 영역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돌극 이루어지는 제2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제1 블레이드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상기 돌극과 상기 제2블레이드 바디로부터 돌출형성된 복수 개의 상기 돌극은 상하로 서로 연결되어 복수 개의 블레이드 돌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와 접촉되는 상기 블레이드의 면은 직선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와 접촉되는 상기 블레이드의 면은 상기 블레이드의 측면에 결합된 상기 회전자 돌극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라운드진 곡선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와 접촉되는 상기 블레이드의 면은 대향되는 다른 하나의 블레이드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라운드진 곡선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회전자 돌극과 돌극 사이에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배치함으로써, 회전자부의 회전 시 회전축 방향으로 유체의 흐름을 유발시켜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유체 흡입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증가된 유체의 흐름에 의해 모터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자체적으로 방열시키게 되어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냉각특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블레이드부를 비자성, 절연물질인 플라스틱 재료 또는 수지재로 제작함으로써, 회전자부의 밸런스을 제어하기 위한 밸런싱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가 장착된 진공 청소기의 내부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부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부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부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형상에 관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의 흡입력을 분석한 분석도.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의 유입속도 변화에 따른 회전자의 흡입력을 분석한 분석도.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는 고정자부(100) 및 회전자부(200)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자부(100)는 내부에 수용홀(140)이 형성된 요크(110)와 상기 요크(110)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돌극(120)을 포함한다.
또한, 각각의 상기 돌극(120)으로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코일(130)이 다수 회 권선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자부(200)는 회전자(210) 및 블레이드부(22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자(210)는 회전축(280)이 삽입되는 회전축공(213)이 중앙에 형성된 회전자 코어(21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자(210)는 상기 고정자부(100)의 복수 개의 돌극(120)에 대향되도록 상기 회전자 코어(211)로부터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회전자 돌극(212)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부(220)는 블레이드 바디(230)와 상기 블레이드 바디(230)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2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240)는 상기 회전자 돌극(212)과 돌극(21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280) 방향으로 유체의 흐름을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회전축(280)의 일단으로는 팬(290)이 결합되며 상기 회전자부(200)의 회전방향을 임의로 선택함으로써, 외부의 유체를 흡입하는 진공 청소기 또는 외부의 유체를 흡입 또는 배출할 수 있는 팬-모터에 이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전자(210)는 상기 회전자 코어(211)로부터 돌출 형성된 2개의 상기 회전자 돌극(212)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자부(100)의 요크(110)로부터 돌출 형성된 4개의 돌극(120)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회전자 돌극(212)과 고정자부(100)의 돌극(12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만, 회전자 돌극(212)과 고정자부(100)의 돌극(120)의 비는 4:6 또는 6:8 등의 비율을 이루도록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블레이드(240)는 상기 회전자 돌극(212)의 측면에 접하도록 상기 블레이드부(220)로 부터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240)와 블레이드(240) 사이에는 상기 팬(290)에 의해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유체가 모터 내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유체관통부(250)를 이루게 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가 장착된 진공 청소기의 내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130)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상기 고정자부(100)와 상기 회전자부(200) 사이에 릴럭턴스 토크가 발생하게 되어 상기 회전자부(200)와 함께 상기 회전축(280)이 임의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자 돌극(212)의 측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240)에 의해 상기 모터의 내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고정자부(100)와 회전자부(200) 사이는 상기 모터의 바깥쪽,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고정자부(100)의 바깥쪽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이 생성되어 상기 회전축(280) 방향으로 유체의 흐름이 발생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팬(290)에 의해 1차적으로 흡입되는 외부의 유체가 진공 청소기의 모터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이후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부(22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240)에 의해 상기 모터의 바깥쪽 주변으로는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이 생성되어 있으므로 대략 A 지점에서는 유입되는 유체의 방향이 크게 두 방향으로 나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터의 바깥쪽 방향, 즉 상기 고정자부(100)의 바깥쪽 방향으로 흐르는 유체와 상기 회전축(280) 방향으로 발생한 유체의 흐름에 의해 상기 모터의 내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고정자부(100)와 회전자부(200) 사이로 유입되는 유체로 나누어 지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부의 흡입력을 분석한 분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블레이드가 구비된 상기 모터는 외부의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 측 압력과 상기 모터 내부로 유입되어 배출되는 출구 측 압력이 서로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실험조건으로는 회전자부의 회전 속도는 39,000 rpm, 입구측(Input A)에서의 속도는 20m/s일 경우에 있어서, 회전자 돌극의 측면에 복수 개의 블레이드가 배치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입구 측(Input A)과 출구 측(Output B)에서의 압력 차이를 분석하였다.
블레이드 유무 압력 차
(Output B - Input A)
비고
없음 -632.4 0
4개 -527.1 105.3
이는 상기 회전자 돌극의 측면에 배치된 복수 개의 상기 블레이드에 의하여 약 105Pa의 압력 차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회전자 돌극의 측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블레이드에 의하여 상기 모터의 입구 측과 출구 측에서 압력 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회전축 방향으로 유체의 흐름이 발생하게 되어 유체는 상기 모터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또한, 입구 측(Input A)과 출구 측(Output B)의 압력 차는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의미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1차 적으로 상기 팬(290)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체가 유입되어 들어오면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가 형성하는 상기 유체관통부를 따라 유체가 상기 모터 내부로 보다 효과적으로 유입되어 상기 모터의 유체 흡입력이 증대된다.
이는 외부의 유체를 흡입하는 속도가 단계별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진공 청소기에 적용될 경우, 복수 개의 상기 블레이드로 인해 증대된 유체 흡입력을 이용하여 저속으로 진공 청소기가 구동하여도 외부의 유체를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 날의 수에 따라서 더 많은 압력차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더 많은 유체가 상기 모터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 돌극과 돌극 사이에 배치되는 블레이드의 수는 한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블레이드에 의해 압력차가 발생하여 유체 흡입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상기 모터 내부의 열을 방열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의 유입속도 변화에 따른 회전자부의 흡입력을 분석한 시뮬레이션 분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으로는 FLUENT를 사용하였으며, 시뮬레이션 조건으로는 회전축의 회전을 39,000rpm, 회전자 돌극의 측면에 배치되는 블레이드의 수를 6개로 하였다.
또한 시뮬레이션을 위한 변수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3a에서는 유입되는 유체의 속도를 20m/s, 도 13b에서는 10m/s, 도 13c에서는 5m/s로 변화하며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도 13a 내지 도 1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되는 유체의 유입속도가 실험조건인 20m/s와 같이 일정수준으로 빠른 경우 모터 내부로 유체가 자연스럽게 유입된다.
반면, 유입되는 유체의 유입속도가 실험조건인 10m/s 또는 5m/s와 같이 20m/s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을 경우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회전자 돌극의 측면에 배치된 복수 개의 블레이드에 의해 모터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m/s으로 유입될 경우 Input B 지점에서부터,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5m/s으로 유입될 경우 Input C 지점에서부터 외부로부터 저속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모터 내부인 고정자부와 회전자부 사이로 더욱 더 빨아 드리게 된다.
이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모터 내부로 흡입되게 되고, 상기 모터 내부로 흡입되는 유체는 상기 고정자부(100) 및 회전자부(200)의 빈 공간을 지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자부(100) 및 회전자부(200)의 주변을 지나는 유체에 의해 대류열전달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모터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상기 블레이드를 제공함으로써, 회전축 방향의 유속성분을 상기 모터 내부로 유도하여 과열된 상기 모터 내부를 냉각시켜 모터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회전자(21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280)이 삽입되는 회전축공(213)이 중앙에 형성된 회전자 코어(21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자(210)는 상기 고정자부(100)의 복수 개의 돌극(120)에 대향되도록 상기 회전자 코어(211)로부터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회전자 돌극(212)을 포함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부(220)는 상기 회전자(2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블레이드부(220a)와 상기 회전자(2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 블레이드부(220b)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블레이드부(220a)는 상기 회전축공(213)과 대응되는 중공홀(232a)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자 돌극(212)과 돌극(212) 사이의 외주면의 일부분을 커버하는 제1 블레이드 바디(230a)와 복수 개의 제1 블레이드 날(241a, 242a)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제1 블레이드 날(241a, 242a)은 상기 회전자 돌극(212)과 돌극(212) 사이를 커버하는 상기 제1 블레이드 바디 영역(231a)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자 돌극(212)의 측면(214)과 접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블레이드부(220b)는 상기 회전자 돌극(212)과 돌극(212) 사이의 외주면의 일부분을 커버하는 제2 블레이드 바디(230b)와 복수 개의 제2 블레이드 날(241b, 242b)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블레이드 바디(230b)는 상기 회전축공(213) 및 상기 제1 블레이드부(220a)를 구성하는 상기 제1 블레이드 바디(230a)에 형성된 상기 중공홀(232a)과 대응되는 중공홀(232b)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블레이드 바디(230a)에 형성된 상기 중공홀(232a)과 상기 제2 블레이드 바디(230b)에 형성된 상기 중공홀(232b)에 상기 회전축(280)이 관통되어 고정 결합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제2 블레이드 날(241b, 242b)은 상기 회전자 돌극(212)과 돌극(212) 사이를 커버하는 상기 제2 블레이드 바디 영역(231b)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자 돌극(212)의 측면(214))과 접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블레이드부(220b)는 상기 회전자(210)의 하부에 결합되기 때문에 복수 개의 상기 제2 블레이드 날(241b, 242b)은 복수 개의 상기 제1 블레이드 날(241a, 242a)의 하부에 접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블레이드부(220a)를 구성하는 상기 제1 블레이드 날(241a)은 상기 제2 블레이드부(220b)를 구성하는 상기 제2 블레이드 날(241b)과 연결되어 하나의 블레이드(240)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1 블레이드부(220a)를 구성하는 다른 하나의 상기 제1 블레이드 날(242a)은 상기 제2 블레이드부(220b)를 구성하는 다른 하나의 상기 제2 블레이드 날(242b)과 연결되어 다른 하나의 블레이드(240)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블레이드부(220a)와 제2 블레이드부(220b)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 비자성, 절연물질인 플라스틱 재료 또는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자성, 절연물질인 플라스틱 재료 또는 수지재로 제작되는 상기 제1 블레이드부(220a)와 제2 블레이드부(220b)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를 구성하는 상기 회전자부(200)의 밸런싱을 위하여 복수 개의 상기 제1 블레이드 날(241a, 242a,) 및 제2 블레이드 날(241b, 242b)이 돌출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을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이전 실시예와 동일 또는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부(220c)는 상기 회전자(21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자 돌극(212)과 돌극(212) 사이의 외주면을 커버하는 상부 블레이드 바디(230c)와 상기 상부 블레이드 바디(230c)로부터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블레이드(2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 블레이드 바디(230c)는 상기 회전축공(213)과 대응되는 중공홀(232c)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280)이 관통되어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240)는 상기 회전자 돌극(212)과 돌극(212) 사이를 커버하는 상기 상부 블레이드 바디 영역(231a)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자 돌극(212)의 측면(214)과 접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부(220c)는 비자성, 절연물질인 플라스틱 재료 또는 수지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자(210)의 하부에는 비자성, 절연물질인 플라스틱 재료 또는 수지재로 제작되고, 상기 회전축공(213) 및 상기 상부 블레이드 바디(230c)에 형성된 상기 중공홀(232c)과 대응되는 중공홀(251)이 형성된 밸런싱부(25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를 구성하는 상기 회전자부(200)의 밸런싱을 위하여 복수 개의 상기 블레이드(240)가 돌출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상기 블레이드부(220c)의 다른 영역과 상기 밸런싱부(250)는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부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이전 실시예와 동일 또는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부(220d)는 상기 회전자(2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자 돌극(212)과 돌극(212) 사이의 외주면을 커버하는 하부 블레이드 바디(230d)와 상기 하부 블레이드 바디(230d)로부터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블레이드(2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부 블레이드 바디(230d)는 상기 회전축공(213)과 대응되는 중공홀(232d)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280)이 관통되어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240)는 상기 회전자 돌극(212)과 돌극(212) 사이를 커버하는 상기 하부 블레이드 바디 영역(231d)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자 돌극(212)의 측면(214)과 접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부(240)는 비자성, 절연물질인 플라스틱 재료 또는 수지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자(210)의 상부에는 비자성, 절연물질인 플라스틱 재료 또는 수지재로 제작되고 상기 회전축공(213) 및 상기 하부 블레이드 바디(230d)에 형성된 상기 중공홀(232d)과 대응되는 중공홀(251)이 형성된 밸런싱부(25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를 구성하는 상기 회전자부(200)의 밸런싱을 위하여 복수 개의 상기 블레이드(240)가 돌출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상기 블레이드부(220d)의 다른 영역과 상기 밸런싱부(250)는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부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이전 실시예와 동일 또는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블레이드부(220)의 제4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부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부(220a)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상부 돌극(243a) 및 제2 블레이드부(220b)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하부 돌극(243b)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돌극(243a)은 상기 제1 블레이드부(220a)를 구성하는 상기 블레이드 날(241a)과 상기 블레이드 날(242a)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블레이드 바디(230a)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돌극(243b)은 상기 제2 블레이드부(220b)를 구성하는 상기 블레이드 날(241b)과 상기 블레이드 날(242b)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 블레이드 바디(230b)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제1 블레이드 바디(230a)로부터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상기 돌극(243a)과 상기 제2 블레이드 바디(230b)로부터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상기 돌극(243b)은 상하로 서로 연결되어 복수 개의 보조 블레이드를 형성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부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이전 실시예와 동일 또는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블레이드부(420)는 상기 회전자(2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블레이드부(420a)와 상기 회전자(2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 블레이드부(420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불레이드부(420a)는 상기 회전축(280)과 대응되는 중공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자 돌극(212)과 돌극(212) 사이의 외주면의 일부분을 커버하는 블레이드 바디(430a)와 상기 블레이드 바디(430a)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돌극(440a)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극(440a)은 상기 회전자 돌극(212)과 돌극(212) 사이의 외주면을 커버하는 상기 블레이드 바디(430a) 영역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불레이드부(420b)는 상기 회전축공(213) 및 상기 제1 블레이드부(420a)를 구성하는 상기 블레이드 바디(430a)에 형성된 중공홀(미도시)과 대응되는 중공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자 돌극(212)과 돌극(212) 사이의 외주면의 일부분을 커버하는 블레이드 바디(430b)와 상기 블레이드 바디(430b)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돌극(440b)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블레이드부(420b)를 구성하는 상기 돌극(440b) 또한 상기 제1 블레이드부(420a)를 구성하는 상기 돌극(440a)과 동일하게 상기 회전자 돌극(212)과 돌극(212) 사이를 커버하는 상기 제2 블레이드부(420b)를 구성하는 상기 브레이드 바디(430b)영역으로 부터 돌출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제1 블레이드부(420a)를 구성하는 상기 블레이드 바디(430a)로부터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상기 돌극(440a)과 상기 제2 블레이드부(420b)를 구성하는 상기 블레이드 바디(430b)로부터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상기 돌극(440b)은 상하로 서로 연결되어 복수 개의 블레이드 돌극을 형성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형상에 관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이전 실시예와 동일 또는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다양한 형상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부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상기 블레이드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와 접촉하는 면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블레이드 날(241a)과 상기 제2 블레이드 날(241b)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상기 블레이드(240)는 상기 회전축(280) 방향으로 유입되는 유체와 접촉되는 면(260)이 직선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유체가 유입되는 상기 유체관통부(250)의 입구와 중심 부근 및 유체가 배출되는 출구의 면적은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블레이드 날(251a)과 제2 블레이드 날(251b)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상기 블레이드(240)는 상기 회전축(280) 방향으로 유입되는 유체와 접촉되는 면(270)이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체와 접촉되는 상기 블레이드의 면(270)은 상기 블레이드(240)의 측면에 접하는 상기 회전자 돌극(212) 방향으로 오목하게 라운드 되는 상기 곡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체관통부(250)는 오목한 곡면 통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체가 유입되는 상기 유체관통부(250)의 입구에서부터 점차 상기 유체관통부(250)의 중심 부근으로 갈수록 입구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크게 형성되며 유체가 배출되는 출구로 갈수록 다시 입구와 동일하게 면적이 작아 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상기 블레이드(240)는 제1 블레이드 날(271a)과 제2 블레이드 날(271b)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240)와 대향되는 다른 하나의 상기 블레이드(240)는 제1 블레이드 날(272a)과 제2 블레이드 날(272b)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240)는 상기 회전축(280)을 방향으로 유입되는 유체와의 접촉되는 면(280)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체와 접촉되는 상기 블레이드의 면(280)은 대향되는 다른 하나의 블레이드(240) 방향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곡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체관통부(250)는 볼록한 곡면 통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체가 유입되는 상기 유체관통부(250)의 입구는 넓게 형성되고 점차 상기 유체관통부(250)의 중심 부근으로 갈수록 입구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좁게 형성되며 유체가 배출되는 출구로 갈수록 입구와 동일하게 넓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회전축 방향과 동일하도록 회전자 돌극의 측면에 배치되는 블레이드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경함으로써 회전축 방향으로 유도되는 유량의 크기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이는 회전자와 일체로 결합되는 블레이드부를 구성하는 블레이드의 형상을 간단히 변형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가 요구하는 흡입력의 범위를 다양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범위의 흡입력을 가지는 진공 청소기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고정자부 110: 요크
120: 돌극 130: 코일
200: 회전자부 210: 회전자
220: 블레이드부 240: 블레이드
250: 유체관통부 280: 회전축
290: 팬

Claims (18)

  1. 내주면에 복수 개의 돌극이 형성되고, 상기 돌극에 권선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고정자부와, 상기 고정자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릴럭턴스 토크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자부를 포함하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로서,
    상기 회전자부는
    회전축이 삽입되는 회전축공이 형성된 회전자 코어와, 상기 고정자부의 돌극에 대향되도록 상기 회전자 코어로부터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회전자 돌극을 구비하는 회전자; 및
    상기 회전자 돌극과 돌극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유체의 흐름이 발생시키는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회전축공과 대응되는 중공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자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블레이드 바디와, 상기 제1 블레이드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블레이드날로 이루어지는 제1 블레이드부; 및
    상기 회전축공과 대응되는 중공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자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 블레이드 바디와, 상기 제2 블레이드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블레이드 날로 이루어지는 제2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날은
    상기 제1 블레이드부를 구성하는 상기 제1 블레이드 날과 상기 제2 블레이드부를 구성하는 상기 제2 블레이드 날이 상하로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4. 상기 2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 바디는
    상기 회전자 돌극과 돌극 사이의 외주면의 일부분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5. 상기 4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 날은
    상기 회전자 돌극과 돌극 사이의 외주면의 일부분을 커버하는 상기 제1 블레이드 바디 영역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자 돌극의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6. 상기 2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레이드 바디는
    상기 회전자 돌극과 돌극 사이의 외주면의 일부분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7. 상기 6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레이드 날은
    상기 회전자 돌극과 돌극 사이의 외주면의 일부분을 커버하는 상기 제2 블레이드 바디 영역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자 돌극의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회전축공과 대응되는 중공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자의 상부에 결합되며 일부 영역은 상기 회전자 돌극과 돌극 사이의 외주면을 커버하는 상부 블레이드 바디; 및
    상기 회전자 돌극과 돌극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상부 블레이드 바디 영역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자 돌극의 측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부는
    비자성, 절연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축공과 대응되는 중공홀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자 코어의 하부에 결합되는 밸런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회전축공과 대응되는 중공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자의 하부에 결합되며 일부 영역은 상기 회전자 돌극과 돌극 사이의 외주면을 커버하는 하부 블레이드 바디; 및
    상기 회전자 돌극과 돌극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하부 블레이드 바디 영역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자 돌극의 측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부는
    비자성, 절연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축공과 대응되는 중공홀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자 코어의 상부에 결합되는 밸런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1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부는
    상기 제1 블레이드부의 제1 블레이드 날과 제1 블레이드 날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블레이드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돌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레이드부는
    상기 제2 블레이드부의 제2 블레이드 날과 제2 블레이드 날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 블레이드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돌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회전축공과 대응되는 중공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자의 상부에 결합되며 일부 영역은 상기 회전자 돌극과 돌극 사이의 외주면을 커버하는 제1 블레이드 바디와, 상기 회전자 돌극과 돌극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1 블레이드 바디 영역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돌극으로 이루어지는 제1 블레이드부: 및
    상기 회전축공과 대응되는 중공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자의 하부에 결합되며 일부 영역은 상기 회전자 돌극과 돌극 사이의 외주면을 커버하는 제2 블레이드 바디와, 상기 회전자 돌극과 돌극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2 블레이드 바디 영역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돌극 이루어지는 제2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제1 블레이드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상기 돌극과 상기 제2블레이드 바디로부터 돌출형성된 복수 개의 상기 돌극은 상하로 서로 연결되어 복수 개의 블레이드 돌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와 접촉되는 상기 블레이드의 면은 직선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와 접촉되는 상기 블레이드의 면은 상기 블레이드의 측면에 결합된 상기 회전자 돌극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라운드진 곡선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와 접촉되는 상기 블레이드의 면은 대향되는 다른 하나의 블레이드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라운드진 곡선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KR1020110098182A 2011-09-28 2011-09-28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KR2013003426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182A KR20130034267A (ko) 2011-09-28 2011-09-28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US13/458,419 US20130076212A1 (en) 2011-09-28 2012-04-27 Switched reluctance motor
CN2012101527982A CN103036359A (zh) 2011-09-28 2012-05-16 开关磁阻电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182A KR20130034267A (ko) 2011-09-28 2011-09-28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267A true KR20130034267A (ko) 2013-04-05

Family

ID=47910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182A KR20130034267A (ko) 2011-09-28 2011-09-28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076212A1 (ko)
KR (1) KR20130034267A (ko)
CN (1) CN1030363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1132A1 (ko) * 2016-03-30 2017-10-05 주식회사 에스엔이노베이션 3차원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9917A (ko) * 2011-11-29 2013-06-07 삼성전기주식회사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US20140124231A1 (en) * 2012-11-06 2014-05-08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Electric motor for a power tool
US10432045B2 (en) 2012-11-06 2019-10-01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Electric motor for a power tool
NZ630743A (en) 2014-01-17 2016-05-27 Resmed Motor Technologies Inc Switched reluctance motor
CN103973038A (zh) * 2014-05-22 2014-08-06 王秀云 一种电机用散热装置
CN110999032B (zh) 2017-08-09 2022-08-09 Lg伊诺特有限公司 转子及包括该转子的电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8246A (en) * 1998-03-13 1999-04-2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Control of reluctance dynamoelectric machine cooling fluid
JP2004197714A (ja) * 2002-12-20 2004-07-15 Nissan Motor Co Ltd モータ
KR100631277B1 (ko) * 2004-07-27 2006-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JP2008259376A (ja) * 2007-04-09 2008-10-23 Mitsuba Corp モータ装置
CN201766479U (zh) * 2010-08-31 2011-03-16 安徽络力机电科技有限公司 新型开关磁阻电机转子铁芯散热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1132A1 (ko) * 2016-03-30 2017-10-05 주식회사 에스엔이노베이션 3차원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36359A (zh) 2013-04-10
US20130076212A1 (en) 201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4267A (ko)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WO2016174790A1 (ja) 遠心送風機および掃除機
US9680340B2 (en) Electrically rotating machine
JP7090767B2 (ja) モータ、送風機、電気掃除機および手乾燥装置
US9140265B2 (en) Blower
CN101117962A (zh) 风扇单元
CN106208582B (zh) 电机、泵及清洗装置
US20140147311A1 (en) Switched reluctance motor assembly
KR101784402B1 (ko) 모터 및 그 제작방법
CN106469966A (zh) 气流产生装置及吸尘器、干手器、干发器、吹风机
CN111886414B (zh) 电动鼓风机、电动吸尘器及干手装置
KR20090005460A (ko) 비엘디씨 모터 어셈블리
JP5907205B2 (ja) 送風装置
US20140377093A1 (en) Cooling Fan
KR20220014203A (ko) 팬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JP2012180810A (ja) 送風装置
US6917128B2 (en) Electric blower
CN105703591B (zh) 单相电机及使用该单相电机的泵
CN110680229B (zh) 电动风机和搭载其的电动吸尘器
CN206452196U (zh) 一种无刷吸尘器电机
JP6135702B2 (ja) 送風装置
JP2020193602A (ja) 送風装置、および掃除機
JP2022062289A (ja) 電動機及び電動送風機
KR100445649B1 (ko) 진공청소기용 모터
CN218817096U (zh) 小型离心叶轮、离心风机和便携式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