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4190A - 휴대 단말기용 전자침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전자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4190A
KR20130034190A KR1020110098086A KR20110098086A KR20130034190A KR 20130034190 A KR20130034190 A KR 20130034190A KR 1020110098086 A KR1020110098086 A KR 1020110098086A KR 20110098086 A KR20110098086 A KR 20110098086A KR 20130034190 A KR20130034190 A KR 20130034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portable terminal
current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2074B1 (ko
Inventor
이경도
Original Assignee
이경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도 filed Critical 이경도
Priority to KR1020110098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2074B1/ko
Publication of KR20130034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4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02Using electric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1Measuring skin impedance
    • A61B5/0532Measuring skin impedance specially adapted for acupuncture or moxibus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61H2201/501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35Several programs selec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65Impedance, e.g. skin conductivity; capacitance, e.g. galvanic skin response [GSR]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전자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에 전자침을 꽂아서 침 효과를 제공하며, 특히 휴대 및 설치가 간편하면서 침점 부위의 생태 전류 측정을 통한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것은 물론 침술 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전자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휴대 단말기용 전자침은,
침봉이 상하 이동하기 위한 구멍이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되며, 미세 전류를 인체에 전도하는 침봉(200)과;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잭 또는 디엠비 잭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형성되는 고정부재(300)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버튼부가 눌려지면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류발생부(400)와;
상기 전류발생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버튼부(500)와;
상기 전류발생부에서 발생된 전류를 침봉에 전도하는 전도선(600)과;
상기 침봉의 하단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침봉이 상측으로 이동시 버튼부를 누르는 누름부(700)와;
본체부 내부에 설치 구성되며, 질환의 증상별 반응점을 표현한 혈도 정보 및 생태 전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휴대 단말기로부터 건강상태 체크 모드 혹은 경혈자극 모드 중 선택된 모드 정보가 건강상태 체크 모드일 경우에 침봉이 접촉된 인체 부위로부터 생태 전류를 획득하여 휴대 단말기로 송출하여 표시창에 표출시키도록 하는 전자침제어수단(8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휴대 단말기에 전자침을 꽂아서 침 효과를 제공하며, 특히 휴대 및 설치가 간편하면서 침점 부위의 생태 전류 측정을 통한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것은 물론 침술 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의 간편성과 침술 및 건강 상태를 동시에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전자침{handset electronic needl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전자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에 전자침을 꽂아서 침 효과를 제공하며, 특히 휴대 및 설치가 간편하면서 침점 부위의 생태 전류 측정을 통한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것은 물론 침술 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전자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鍼)의 효능은 잘 알려져 있으며, 인체에 있는 경혈에 적당한 자극을 주어 혈행을 좋게 하고, 근육 속의 어혈(瘀血)과 같은 노폐물을 분해시키는 작용으로 증세에 따른 질병을 치료하는 한방의 의학술이다.
특히, 인체에는 약 700여 개의 경혈점이 있어, 인체 내에 질병이 발생하면 반드시 피부 상의 어느 부위와 관련된 경락상의 경혈점에 과민 압통점이 있으며, 이러한 질병의 반응은 인체 끝부분으로 갈수록 강하게 나타나며, 한방 치료법에서는 이와 같은 경혈점을 찾아내어 침으로 피부에 자극을 가하여 오장육부, 혈관 및 자율 신경등 이상 항진에 대하여 제지, 진정작용과 신체 내부의 조절 작용이 발생되어 인체의 자연 치유능력을 증강시키므로 인체의 질병을 퇴치 및 예방할 수 있게 하였다.
이와 같은 침을 시술하기 위해서는 혈도에 침(鍼)을 꽂아 주는 것이 보통이나, 시술중 잡균이 침입하여 오히려 시술한 부위에 상처를 입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고, 이를 보완하고자, 전자적으로 인체의 경혈점을 자극하여 침 시술의 효능을 발휘 되게 한 전자침 시술기가 소개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전자침기는 전기발생기를 작동하여 신체의 경혈부위의 피부 표면에 밀착 접촉하여 발생된 미세한 전류를 경혈에 전도하여 자극을 줌으로써 인체의 경혈부위의 질병을 치유하는 가정용 및 휴대용 전자침기가 제공되었다.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0212812호(2000.11.27) 인 '휴대용 전자침'이 있으며, 이는 배터리의 전원으로 전자침이 작동되도록 하여 전자침을 간편하게 휴대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혈관계통 및 관절계통 등을 치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배경기술은 별도의 전자침기를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불편함이 있으며, 가정에서 또는 휴대시에 어느 때든, 사용하고자 할 시에는 신체의 경혈부위인 피부 표면에 밀착 접촉시켜 전기발생기에서 발생된 미세한 전류를 침봉으로 전도시켜 경혈에 영향을 주는 기능 밖에는 별다른 기능이 없어서 그 이상의 효과를 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경혈부위의 피부 표면에 밀착 접촉시켜 치유하는 전자침기이므로 약 수백개의 경혈부위의 위치선정이 용이하지 못하면 발생된 미세한 전류가 경혈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신안문헌)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공보 0212812호 (2000.11.27)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 전자침을 꽂아서 침 효과를 제공하며, 특히 휴대 및 설치가 간편하면서 침점 부위의 생태 전류 측정을 통한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것은 물론 침술 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혈 자극 모드 및 건강상태 체크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모드 체크를 통해 건강상태 체크 모드인데도 미세 전류가 발생되면 휴대 단말기에 오류 신호를 송출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며, 침봉에 접촉된 부위의 맥파 파형을 판단하여 경혈 위치인지를 판단한 후 경혈이 아닐 경우에 오류 신호를 휴대 단말기로 송출하는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정확한 위치에 접촉시키도록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전자침은,
침봉이 상하 이동하기 위한 구멍이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되며, 미세 전류를 인체에 전도하는 침봉(200)과;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잭 또는 디엠비 잭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형성되는 고정부재(300)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버튼부가 눌려지면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류발생부(400)와;
상기 전류발생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버튼부(500)와;
상기 전류발생부에서 발생된 전류를 침봉에 전도하는 전도선(600)과;
상기 침봉의 하단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침봉이 상측으로 이동시 버튼부를 누르는 누름부(700)와;
본체부 내부에 설치 구성되며, 질환의 증상별 반응점을 표현한 혈도 정보 및 생태 전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휴대 단말기로부터 건강상태 체크 모드 혹은 경혈자극 모드 중 선택된 모드 정보가 건강상태 체크 모드일 경우에 침봉이 접촉된 인체 부위로부터 생태 전류를 획득하여 휴대 단말기로 송출하여 표시창에 표출시키도록 하는 전자침제어수단(8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전자침은,
휴대 단말기에 전자침을 꽂아서 침 효과를 제공하며, 특히 휴대 및 설치가 간편하면서 침점 부위의 생태 전류 측정을 통한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것은 물론 침술 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의 간편성과 침술 및 건강 상태를 동시에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혈 자극 모드 및 건강상태 체크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모드 체크를 통해 건강상태 체크 모드인데도 미세 전류가 발생되면 휴대 단말기에 오류 신호를 송출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며, 침봉에 접촉된 부위의 맥파 파형을 판단하여 경혈 위치인지를 판단한 후 경혈이 아닐 경우에 오류 신호를 휴대 단말기로 송출하는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정확한 위치에 접촉시키도록 유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침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손용 전자침 및 발용 전자침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전자침을 다양화시켜 판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업체의 수익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전자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전자침이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전자침의 미세 전류 발생시를 나타낸 내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전자침의 생태 전류 측정시를 나타낸 내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전자침의 전자침제어수단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전자침의 생태 전류 측정시 휴대 단말기에 표출되는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전자침의 경혈시 경혈 위치가 틀렸을 경우에 휴대 단말기에 표출되는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전자침은,
휴대 단말기용 전자침에 있어서,
침봉이 상하 이동하기 위한 구멍이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되며, 미세 전류를 인체에 전도하는 침봉(200)과;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잭 또는 디엠비 잭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형성되는 고정부재(300)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버튼부가 눌려지면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류발생부(400)와;
상기 전류발생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버튼부(500)와;
상기 전류발생부에서 발생된 전류를 침봉에 전도하는 전도선(600)과;
상기 침봉의 하단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침봉이 상측으로 이동시 버튼부를 누르는 누름부(700)와;
본체부 내부에 설치 구성되며, 질환의 증상별 반응점을 표현한 혈도 정보 및 생태 전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휴대 단말기로부터 건강상태 체크 모드 혹은 경혈자극 모드 중 선택된 모드 정보가 건강상태 체크 모드일 경우에 침봉이 접촉된 인체 부위로부터 생태 전류를 획득하여 휴대 단말기로 송출하여 표시창에 표출시키도록 하는 전자침제어수단(8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300)에 결합되는 악세사리부(900)와;
상기 악세사리부에 일측이 연결되어 휴대 단말기에 연결하는 연결부재(9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자침제어수단(800)은,
질환의 증상별 반응점을 표현한 혈도 정보 및 생태 전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810)와,
휴대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정보가 건강상태 체크 모드인지 경혈 자극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모드판단부(820)와,
상기 모드판단부의 판단 결과가 건강상태 체크 모드일 경우에 침봉이 접촉된 인체 부위로부터 생태 전류를 획득하는 생태전류획득부(830)와,
상기 모드판단부의 판단 결과가 건강상태 체크 모드인데도 미세 전류가 발생되는지를 체크하는 미세전류체크부(840)와,
상기 미세전류체크부에 의해 미세 전류가 체크되면, 휴대 단말기에 오류 신호를 송출하는 오류신호송출부(850)와,
상기 각각의 부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전자침제어부(8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자침제어수단(800)은,
휴대 단말기로부터 앱 설치 완료 신호가 수신되면, 메모리부에 저장된 혈도 정보 및 생태 전류 정보를 휴대 단말기로 송출하는 정보송출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메모리부에,
손, 발 중 어느 하나의 혈도 정보 및 생태 전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혈도 정보에는,
맥파 파형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자침제어수단(800)은,
모드판단부의 판단 결과가 경혈 자극 모드일 경우에 침봉에 접촉된 부위의 맥파 파형을 검출하는 맥파검출부(870)와,
메모리부에 저장된 맥파 파형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맥파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맥파 파형을 가지는 부위가 경혈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경혈판단부(880)와,
상기 경혈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결과, 경혈이 아닐 경우에 오류 신호를 휴대 단말기로 송출하는 경혈오류신호송출부(8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전자침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전자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전자침이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전자침의 미세 전류 발생시를 나타낸 내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전자침의 생태 전류 측정시를 나타낸 내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휴대 단말기용 전자침은,
침봉이 상하 이동하기 위한 구멍이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되며, 미세 전류를 인체에 전도하는 침봉(200)과;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잭 또는 디엠비 잭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형성되는 고정부재(300)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버튼부가 눌려지면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류발생부(400)와;
상기 전류발생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버튼부(500)와;
상기 전류발생부에서 발생된 전류를 침봉에 전도하는 전도선(600)과;
상기 침봉의 하단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침봉이 상측으로 이동시 버튼부를 누르는 누름부(700)와;
본체부 내부에 설치 구성되며, 질환의 증상별 반응점을 표현한 혈도 정보 및 생태 전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휴대 단말기로부터 건강상태 체크 모드 혹은 경혈자극 모드 중 선택된 모드 정보가 건강상태 체크 모드일 경우에 침봉이 접촉된 인체 부위로부터 생태 전류를 획득하여 휴대 단말기로 송출하여 표시창에 표출시키도록 하는 전자침제어수단(8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0)에는 침봉이 상하 이동하기 위한 구멍이 상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침봉(200)이 본체부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되며, 미세 전류를 인체에 전도하거나 생태 전류를 측정하는데 이용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300)는 본체부의 하측에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잭 또는 디엠비 잭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형성되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잭에 연결되면, 휴대 단말기와 전자침제어수단 간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대기 상태가 된다.
상기 전류발생부(400)는 본체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버튼부가 눌려지면 전류를 발생시키게 되며, 적절한 전류를 발생하여 경혈에 전류를 전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류발생부에서 발생된 전류가 침봉에 원활하게 전도되기 위해서 보호하는 피복이 형성되며, 전도선이 접촉하는 부위에서는 벗겨지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전자침으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세사리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고정부재(300)에 결합되는 악세사리부(900)와;
상기 악세사리부에 일측이 연결되어 휴대 단말기에 연결하는 연결부재(950);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악세사리로 사용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침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고정부재를 악세사리부로부터 분리하게 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잭에 삽입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는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에 사용되는 각종 탄성 부재 혹은 고리 등이 될 수 있으며, 연결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어떠한 부재도 상관없을 것이다.
이후, 침봉을 상측으로 잡아 당기면, 침봉의 하측에 구성된 누름부가 버튼부를 눌러 전류발생부를 동작시키게 된다.
이때, 전류발생부는 소정의 전류를 발생시키게 되며, 발생된 전류는 전도선을 통해 침봉으로 공급되며, 공급된 소정의 전류는 침봉에 전달되어 경혈에 전달된다.
도 4는 누름부가 버튼부와 어느 정도 이격되어 전류발생부를 동작시키지 않도록 하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침봉을 내부로 삽입하여 이격시키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전자침의 전자침제어수단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핵심 기술인 상기 전자침제어수단(800)은,
질환의 증상별 반응점을 표현한 혈도 정보 및 생태 전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810)와,
휴대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정보가 건강상태 체크 모드인지 경혈 자극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모드판단부(820)와,
상기 모드판단부의 판단 결과가 건강상태 체크 모드일 경우에 침봉이 접촉된 인체 부위로부터 생태 전류를 획득하는 생태전류획득부(830)와,
상기 모드판단부의 판단 결과가 건강상태 체크 모드인데도 미세 전류가 발생되는지를 체크하는 미세전류체크부(840)와,
상기 미세전류체크부에 의해 미세 전류가 체크되면, 휴대 단말기에 오류 신호를 송출하는 오류신호송출부(850)와,
상기 각각의 부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전자침제어부(8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침제어수단은 휴대 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여 인체 내에 질병이 발생하면 피부 상의 어느 부위와 관련된 경락상의 경혈점에 과민 압통점이 있는지를 항상 휴대 단말기를 통해 볼 수 있게 하여 한방 치료법에서와 같이 경혈점을 찾아내어 침으로 피부에 자극을 가하여 오장육부, 혈관 및 자율 신경 등 이상 항진에 대하여 제지, 진정작용과 신체 내부의 조절 작용이 발생되어 인체의 자연 치유능력을 증강시켜 인체의 질병을 퇴치 및 예방할 수 있도록 하게 한다.
상기 메모리부에는 질환의 증상별 반응점을 휴대 단말기를 통해 표현한 혈도 정보 및 생태 전류 정보를 저장하고 있게 된다.
즉, 질환의 증상별로 각각의 반응점을 표현한 혈도를 메모리부에 저장하여 휴대 단말기(1000)의 중앙제어부(1100)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고, 입력된 혈도에 관한 정보는 휴대 단말기를 조작하여 원하는 증상별로 문자키를 이용하여 증상을 입력하여 상기 중앙제어부를 통해 전자침제어수단으로부터 해당 혈도를 불러내어 표시창에 표출되게 한다.
이때, 휴대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정보 즉, 모드 설정 정보가 건강상태 체크 모드인지 경혈 자극 모드인지를 모드판단부(820)에서 판단하게 된다.
이는 건강상태 체크 및 경혈 자극에 따라 미세 전류를 공급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생태전류획득부(830)는 모드판단부의 판단 결과가 건강상태 체크 모드일 경우에 침봉이 접촉된 인체 부위로부터 생태 전류를 획득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A라는 경혈에서의 정상 범위는 5 ~ 10mA이고, 해당 부위의 생태 전류 측정치가 15mA라면 이는 정상적이지 않은 것으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미세전류체크부(840)가 모드판단부의 판단 결과가 건강상태 체크 모드인데도 미세 전류가 발생되는지를 체크하며, 미세전류체크부에 의해 미세 전류가 체크되면, 오류신호송출부(850)에서는 휴대 단말기에 오류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그러면, 휴대 단말기의 화면에는 ' 현재 경혈 자극을 위한 미세 전류가 공급되고 있으므로 침봉을 눌러서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여 주세요'라는 오류 신호에 따른 메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내장된 중앙제어부와 각종 혈도 정보 및 생태 전류 정보가 저장된 전자침제어수단을 상호 인터페이스하여 입력된 혈도정보를 소프트웨어화 함으로써, 디지탈 신호로서 변환하게 된다.
한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전자침제어수단(800)은 휴대 단말기로부터 앱 설치 완료 신호가 수신되면, 메모리부에 저장된 혈도 정보 및 생태 전류 정보를 휴대 단말기로 송출하는 정보송출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이는 휴대 단말기와 상호 인터페이스화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를 통해 전자침을 사용하기 위한 앱(APP)를 휴대 단말기(스마트폰)을 통해 다운로드받아 설치하게 되면, 앱 설치 완료 신호를 송출하고 이때, 전자침에 내장된 정보를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여 대기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에는 손, 발 중 어느 하나의 혈도 정보 및 생태 전류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즉, 경혈점에 과민 압통점이 있으며, 인체 끝부분으로 갈수록 강하게 나타나므로 이 중 손과 발에 해당하는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있다가 휴대 단말기로 인터페이싱시키게 되면 손이나 발의 경혈점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손용 전자침 및 발용 전자침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전자침을 다양화시켜 판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업체의 수익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혈도 정보에는 맥파 파형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즉, 메모리부에 상기 맥파 파형 정보를 저장하게 되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침제어수단(800)은,
모드판단부의 판단 결과가 경혈 자극 모드일 경우에 침봉에 접촉된 부위의 맥파 파형을 검출하는 맥파검출부(870)와,
메모리부에 저장된 맥파 파형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맥파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맥파 파형을 가지는 부위가 경혈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경혈판단부(880)와,
상기 경혈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결과, 경혈이 아닐 경우에 오류 신호를 휴대 단말기로 송출하는 경혈오류신호송출부(89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맥파검출부(870)에서는 모드판단부의 판단 결과가 경혈 자극 모드일 경우에 침봉에 접촉된 부위의 맥파 파형을 검출하게 되며, 경혈판단부(880)에서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맥파 파형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맥파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맥파 파형을 가지는 부위가 경혈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만약, 상기 경혈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결과, 경혈이 아닐 경우에 전자침제어부에서 경혈오류신호송출부(890)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경혈오류신호송출부에 의해 발생된 오류 신호를 휴대 단말기로 송출하게 된다.
이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혈 위치가 틀렸을 경우에 휴대 단말기에 '경혈 위치가 틀렸습니다. 화면을 보시고, 경혈 위치에 정확하게 침봉을 위치시켜 주시기 바랍니다.'라는 메세지를 표출하여 침술 효과를 극대화시키게 된다.
왜냐하면, 정확한 경혈 위치에 침술을 제공하여 그 효과가 크지만, 그 주변 부위에 침술을 제공하면 그 효과는 미미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상기 맥파검출부의 맥파 파형 검출 기술은 이미 당업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겠다.
결국,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을 통해 휴대 단말기에 전자침을 꽂아서 침 효과를 제공하며, 특히 휴대 및 설치가 간편하면서 침점 부위의 생태 전류 측정을 통한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것은 물론 침술 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의 간편성과 침술 및 건강 상태를 동시에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혈 자극 모드 및 건강상태 체크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모드 체크를 통해 건강상태 체크 모드인데도 미세 전류가 발생되면 휴대 단말기에 오류 신호를 송출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며, 침봉에 접촉된 부위의 맥파 파형을 판단하여 경혈 위치인지를 판단한 후 경혈이 아닐 경우에 오류 신호를 휴대 단말기로 송출하는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정확한 위치에 접촉시키도록 유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침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본체부
200 : 침봉
300 : 고정부재
400 : 전류발생부
500 : 버튼부
600 : 전도선
700 : 누름부
800 : 전자침제어수단

Claims (7)

  1. 휴대 단말기용 전자침에 있어서,
    침봉이 상하 이동하기 위한 구멍이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되며, 미세 전류를 인체에 전도하는 침봉(200)과;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잭 또는 디엠비 잭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형성되는 고정부재(300)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버튼부가 눌려지면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류발생부(400)와;
    상기 전류발생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버튼부(500)와;
    상기 전류발생부에서 발생된 전류를 침봉에 전도하는 전도선(600)과;
    상기 침봉의 하단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침봉이 상측으로 이동시 버튼부를 누르는 누름부(700)와;
    본체부 내부에 설치 구성되며, 질환의 증상별 반응점을 표현한 혈도 정보 및 생태 전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휴대 단말기로부터 건강상태 체크 모드 혹은 경혈자극 모드 중 선택된 모드 정보가 건강상태 체크 모드일 경우에 침봉이 접촉된 인체 부위로부터 생태 전류를 획득하여 휴대 단말기로 송출하여 표시창에 표출시키도록 하는 전자침제어수단(8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전자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00)에 결합되는 악세사리부(900)와;
    상기 악세사리부에 일측이 연결되어 휴대 단말기에 연결하는 연결부재(9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전자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침제어수단(800)은,
    질환의 증상별 반응점을 표현한 혈도 정보 및 생태 전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810)와,
    휴대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정보가 건강상태 체크 모드인지 경혈 자극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모드판단부(820)와,
    상기 모드판단부의 판단 결과가 건강상태 체크 모드일 경우에 침봉이 접촉된 인체 부위로부터 생태 전류를 획득하는 생태전류획득부(830)와,
    상기 모드판단부의 판단 결과가 건강상태 체크 모드인데도 미세 전류가 발생되는지를 체크하는 미세전류체크부(840)와,
    상기 미세전류체크부에 의해 미세 전류가 체크되면, 휴대 단말기에 오류 신호를 송출하는 오류신호송출부(850)와,
    상기 각각의 부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전자침제어부(8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전자침.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침제어수단(800)은,
    휴대 단말기로부터 앱 설치 완료 신호가 수신되면, 메모리부에 저장된 혈도 정보 및 생태 전류 정보를 휴대 단말기로 송출하는 정보송출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전자침.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에,
    손, 발 중 어느 하나의 혈도 정보 및 생태 전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전자침.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혈도 정보에는,
    맥파 파형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전자침.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침제어수단(800)은,
    모드판단부의 판단 결과가 경혈 자극 모드일 경우에 침봉에 접촉된 부위의 맥파 파형을 검출하는 맥파검출부(870)와,
    메모리부에 저장된 맥파 파형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맥파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맥파 파형을 가지는 부위가 경혈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경혈판단부(880)와,
    상기 경혈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결과, 경혈이 아닐 경우에 오류 신호를 휴대 단말기로 송출하는 경혈오류신호송출부(8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전자침.


KR1020110098086A 2011-09-28 2011-09-28 휴대 단말기용 전자침 KR101302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086A KR101302074B1 (ko) 2011-09-28 2011-09-28 휴대 단말기용 전자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086A KR101302074B1 (ko) 2011-09-28 2011-09-28 휴대 단말기용 전자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190A true KR20130034190A (ko) 2013-04-05
KR101302074B1 KR101302074B1 (ko) 2013-09-05

Family

ID=48436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086A KR101302074B1 (ko) 2011-09-28 2011-09-28 휴대 단말기용 전자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20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0991A (ko) 2019-03-18 2020-09-28 본도방 유에스에이 아이엔씨 전자기 치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857B1 (ko) * 2015-03-10 2016-12-09 이경도 휴대용 멀티자극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자극장치
CN105457160A (zh) * 2015-12-05 2016-04-06 浙江大学 基于移动终端的电针仪装置
CN105457161A (zh) * 2015-12-05 2016-04-06 浙江大学 基于移动终端的穴位电刺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350Y1 (ko) * 2001-02-08 2001-06-15 고현석 전자침이 구비된 이동통신기기
KR100550666B1 (ko) * 2003-01-28 2006-02-08 주식회사 헬스피아 휴대용 신경/근육 치료 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0991A (ko) 2019-03-18 2020-09-28 본도방 유에스에이 아이엔씨 전자기 치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2074B1 (ko) 201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401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ducing interference in stimulation treatment
US11116986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perform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test stimulation
US10124171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automatically enabling different workflows based on selected medical devices
US10213363B2 (en) Acupuncture needles with accessories for sensing and stimulation
CN107929942B (zh) 智能产后康复治疗装置及其实现方法和康复治疗仪
KR101302074B1 (ko) 휴대 단말기용 전자침
US101302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nomic nervous system sensitivity-point testing
KR101100718B1 (ko) 전기 자극을 이용한 측정·경락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락방법
KR101331595B1 (ko)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저주파 치료기 및 그 제어방법
US100522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imulative electrotherapy
CN105592789B (zh) 用于自主神经系统敏感点测试的方法和装置
EP30077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imulative electrotherapy
KR20190008005A (ko) 저주파 자극 운동기기
CN206631013U (zh) 盆底肌肉治疗头
JP2009106429A (ja) リハビリ用足裏刺激板及び当該リハビリ用足裏刺激板を備えたリハビリテーション装置
KR20140065571A (ko) 피부 접촉 저항 측정 장치
KR20130059071A (ko) 피부 접촉 저항 측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