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350Y1 - 전자침이 구비된 이동통신기기 - Google Patents

전자침이 구비된 이동통신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350Y1
KR200228350Y1 KR2020010003073U KR20010003073U KR200228350Y1 KR 200228350 Y1 KR200228350 Y1 KR 200228350Y1 KR 2020010003073 U KR2020010003073 U KR 2020010003073U KR 20010003073 U KR20010003073 U KR 20010003073U KR 200228350 Y1 KR200228350 Y1 KR 2002283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needle
pres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30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현석
Original Assignee
고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현석 filed Critical 고현석
Priority to KR20200100030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3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3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350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이동통신기기의 안테나를 전자침으로 하는 전자침이 구비된 이동통신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일반적인 이동통신기기의 안테나를 전자침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신체의 경혈부위에 대한 정보를 이동통신기기 상에서 표시할 수 있는 전자침이 구비된 이동통신기기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소정의 전류를 발생하여 인체의 경혈점에 침을 놓을 수 있는 전자침에 있어서, 소정 주파수의 전파를 송ㆍ수신하기에 적절한 길이를 갖는 이동통신기기의 안테나(20)와; 상기 안테나(20)의 밑부분에 미세전류를 경혈에 전도하는 침봉(60)과; 상기 안테나(20)를 이동통신기기에 고정하기 위한 안테나 고정부재(70)와; 상기 안테나 고정부재(70)의 내측에 삽입되어 소정의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류발생기(30)와; 상기 전류발생기(30)를 구동하기 위한 타진버튼(40)과; 상기 전류발생기(30)에서 발생된 전류를 침봉(60)에 전도하도록 안테나(20)에 유도하는 유도선(50)과; 상기 안테나(20)의 첨두(尖斗)부에 위치한 누름부재(10) 및; 상기 이동통신기기의 서비스 프로그램에 인체의 경혈점에 대한 정보를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누름부재(10)는, 하부의 일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타진버튼(40)을 타진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누름부재(10)의 하부면이 편평하게 구성되어 상기 타진버튼(40)의 타진동작을 제어하도록 상기 안테나 고정부재(7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된 안전봉(85)과, 상기 안테나를 전자침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누름부재(10)가 타진버튼(40)을 타진할 수 있도록 상기 안전봉(85)을 누름부재(10)의 반대방향으로 전진시키는 스프링(86)으로 형성된 안전장치(8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침이 구비된 이동통신기기{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electric needle for acupuncture}
본 고안은 전자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이동통신기기의 안테나를 전자침으로 하는 전자침이 구비된 이동통신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鍼)의 효능은 잘 알려져 있으며, 인체에 있는 경혈에 적당한 자극을 주어 혈행을 좋게 하고, 근육 속의 어혈(瘀血)과 같은 노폐물을 분해시키는 작용으로 증세에 따른 질병을 치료하는 한방의 의학술이다.
특히 인체에는 약 700여 개의 경혈점이 있어, 인체내에 질병이 발생하면 반드시 피부 상의 어느 부위와 관련된 경락상의 경혈점에 과민 압통점이 있으며, 이러한 질병의 반응은 인체 끝부분으로 갈수록 강하게 나타나며, 한방 치료법에서는 이와 같은 경혈점을 찾아내어 침으로 피부에 자극을 가하여 오장육부, 혈관 및 자율 신경등 이상 항진에 대하여 제지, 진정작용과 신체 내부의 조절 작용이 발생되어 인체의 자연 치유능력을 증강시키므로 인체의 질병을 퇴치 및 예방할 수 있게 하였다.
이와 같은 침을 시술하기 위해서는 혈도에 침(鍼)을 꽂아 주는 것이 보통이나, 시술중 잡균이 침입하여 오히려 시술한 부위에 상처를 입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고, 이를 보완하고자, 전자적으로 인체의 경혈점을 자극하여 침 시술의 효능을 발휘 되게 한 전자침 시술기가 소개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전자침기는 전기발생기를 작동하여 신체의 경혈부위의 피부 표면에 밀착 접촉하여 발생된 미세한 전류를 경혈에 전도하여 자극을 줌으로써 인체의 경혈부위의 질병을 치유하는 가정용 및 휴대용 전자침기가 제공되었다.
도5는 종래의 일반적인 전자침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침기는 전기발생기(3)를 내장한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외주면은 매끄럽게 형성된 형상으로 사용자의 손바닥에 맞도록 길게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몸체(1)상부로는 누름버튼(2)과 하부로는 침봉(4)을 구비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상기 전자침기는 인체의 경혈부위를 치유하기 위해 미세한 전류를 발생시켜 경혈이 있는 신체 표면에 상기 침봉(4)을 밀착 접촉하여 발생된 전류를 경혈로 전도한다.
따라서 상기 전자침기는 전기발생기(3)에서 발생된 미세한 전류을 침봉(4)으로 흐르게 하여 경혈로 전도함에 있어서 침투된 전류에 의해 자극받아 경혈의 안좋은 부분을 치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전자침기는 가정에서 또는 휴대시에 어느 때든, 사용하고자 할 시에는 신체의 경혈부위인 피부 표면에 밀착 접촉시켜 전기발생기에서 발생된 미세한 전류를 침봉으로 전도시켜 경혈에 영향을 주는 기능밖에는 별다른 기능이 없어서 그 이상의 효과를 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경혈부위의 피부 표면에 밀착 접촉시켜 치유하는 전자침기이므로 약 수백개의 경혈부위의 위치선정이 용이하지 못하면 발생된 미세한 전류가 경혈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일반적인 이동통신기기의 안테나를 전자침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신체의 경혈부위에 대한 정보를 이동통신기기 상에서 표시할 수 있는 전자침이 구비된 이동통신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소정의 전류를 발생하여 인체의 경혈점에 침을 놓을 수 있는 전자침에 있어서, 소정 주파수의 전파를 송ㆍ수신하기에 적절한 길이를 갖는 이동통신기기의 안테나(20)와; 상기 안테나(20)의 밑부분에 미세전류를 경혈에 전도하는 침봉(60)과; 상기 안테나(20)를 이동통신기기에 고정하기 위한 안테나 고정부재(70)와; 상기 안테나 고정부재(70)의 내측에 삽입되어 소정의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류발생기(30)와; 상기 전류발생기(30)를 구동하기 위한 타진버튼(40)과; 상기 전류발생기(30)에서 발생된 전류를 침봉(60)에 전도하도록 안테나(20)에 유도하는 유도선(50)과; 상기 안테나(20)의 첨두(尖斗)부에 위치한 누름부재(10) 및; 상기 이동통신기기의 서비스 프로그램에 인체의 경혈점에 대한 정보를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누름부재(10)는, 하부의 일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타진버튼(40)을 타진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누름부재(10)의 하부면이 편평하게 구성되어 상기 타진버튼(40)의 타진동작을 제어하도록 상기 안테나 고정부재(7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된 안전봉(85)과, 상기 안테나를 전자침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누름부재(10)가 타진버튼(40)을 타진할 수 있도록 상기 안전봉(85)을 누름부재(10)의 반대방향으로 전진시키는 스프링(86)으로 형성된 안전장치(8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자침이 구비된 이동통신기기의 전자침의 단면도,
도2는 도1의 평면도,
도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침이 구비된 이동통신기기의 전자침의 단면도,
도4는 종래의 일반적인 이동통신기기,
도5는 종래의 일반적인 전자침.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누름부재 20: 안테나
21: 피복 30: 전류발생기
40: 타진버튼 50: 유도선
60: 침봉 70: 안테나 고정부재
80: 안전장치 85: 안전봉
86: 스프링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전자침이 구비된 이동통신기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자침이 구비된 이동통신기기의 전자침의 단면도이고, 도2는 도1의 평면도이고, 도4는 종래의 일반적인 이동통신기기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종래의 소정 주파수의 전파를 송ㆍ수신하기에 적절한 길이를 갖는 이동통신기기의 안테나(20)와, 상기 안테나(20)의 밑부분에 미세전류를 경혈에 전도하는 침봉(60)과, 상기 안테나(20)를 이동통신기기에 고정하기 위한 안테나 고정부재(70)와, 상기 안테나 고정부재(70)의 내측에 삽입되어 형성된 전류발생기(30)와, 상기 전류발생기(30)를 구동하기 위한 타진버튼(40)과, 상기 전류발생기(30)에서 발생된 전류를 안테나(20)를 통해 침봉(60)에 전도하는 유도선(50)과, 상기 안테나(20)의 첨두(尖斗)부에 위치한 누름부재(10)로 도4의 'A'부분의 확대도인 도1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전류발생기(30)는 압전소자로 이루어진 것으로 통상 라이터 등에 쓰이는 이그나이터이다.
상기 압전소자의 압전현상은 유전체에 대한 전계 E, 유전속 밀도 D, 기계적인 운동량인 응력 T, 비틀림 S가 결합된 방정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들의 정수에 대한 단위를 나타낸 것으로 탄성계수, 압전정수, 등온적 정수는 생각하나 열적 물리량은 생각하지 않는게 보통이다.
상기와 같은 압전소자의 전류치의 수학적 해석은 등가인 전기회로로 변환하여 해석하는게 보통인데 등가회로에는 전기적 단자 및 기계적 단자를 갖는 4단자로 표현한다.
4단자의 변수는 전압 V, 전류 I, 힘 F, 속도 U로 나타낸다.
I=YV+AU
F=-AV+ZU (4-1)
여기서 Y는 어드미턴스, Z는 기계적인 임피던스, A는 역계수로 진동자에 전압을 가하면 기계쪽에 크기 V의 힘이 발생하고 진동자 단자에 U의 속도를 주면 전기쪽에 크기 AU인 전류가 발생하는데 관계된 정수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적절한 전류를 발생하여 경혈에 전류를 전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류발생기(30)에서 발생된 전류가 침봉(60)에 원활하게 전도되기 위해서 상기 안테나(20)를 보호하는 피복(21)이 유도선(50)이 접촉하는 부위에서는 벗겨지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침으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2에 도시된 빈 구멍(80)에 상기 누름부재(10)를 꽂아 일반적인 안테나로 사용하고, 사용자가 침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안테나 고정부재(70)를 이동통신기기에서 분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테나의 첨두에 있는 누름부재(10)로 안테나 고정부재(70) 내부에 설치된 전류발생기(30)의 타진버튼(40)을 타진하게 된다.
상기 타진버튼(40)에 의해 타진되면 전류발생기(30)의 내부의 압전소자에 의해 소정의 전류가 발생하고, 발생된 전류는 유도선(50)을 통해 안테나(20)에 공급된다.
공급된 소정의 전류는 안테나(20)을 통해 침봉(60)에 전달되어 경혈에 전달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기기에 인체에 있는 약 700여 개의 경혈점에 대한 정보를 내장시켜, 인체내에 질병이 발생하면 피부 상의 어느 부위와 관련된 경락상의 경혈점에 과민 압통점이 있는지를 항상 이동통신기기을 통해 볼 수 있게 하여, 한방 치료법에서와 같이 경혈점을 찾아내어 침으로 피부에 자극을 가하여 오장육부, 혈관 및 자율 신경등 이상 항진에 대하여 제지, 진정작용과 신체 내부의 조절 작용이 발생되어 인체의 자연 치유능력을 증강시켜 인체의 질병을 퇴치 및 예방할 수 있게 하였다.
도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침이 구비된 이동통신기기의 전자침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소정 주파수의 전파를 송ㆍ수신하기에 적절한 길이를 갖는 이동통신기기의 안테나(20)와, 상기 안테나(20)의 밑부분에 미세전류를 경혈에 전도하는 침봉(60)과, 상기 안테나(20)를 이동통신기기에 고정하기 위한 안테나 고정부재(70)와, 상기 안테나 고정부재(70)의 내측에 삽입되어 형성된 전류발생기(30)와, 상기 전류발생기(30)를 구동하기 위한 타진버튼(40)과, 상기 전류발생기(30)에서 발생된 전류를 안테나(20)를 통해 침봉(60)에 전도하는 유도선(50)과, 상기 안테나(20)의 첨두(尖斗)부에 위치한 누름부재(10)와, 상기 누름부재(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안전장치(80)로 구성된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발생기(30)의 타진버튼(40)을 누르는 누름부재(10)의 하부 일부분이 돌출되어 있지 않고 일반적인 안테나(20)와 같이 형성되어 타진버튼(40)을 누르게 된다.
이 때 상기 안전장치(80)는 안전봉(85)과 스프링(86)으로 구성되어, 전자침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안테나 고정부재(70) 내부의 일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안테나 고정부재(70)를 이동통신기기 본체에 나사결합시킬 때에는 안정봉(85)이 타진버튼(40)의 높이까지 돌출되어 안테나의 누름부재(10)가 상기 타진버튼(40)을 동작시키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전자침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안테나 고정부재(70)을 이동통신기기에서 분리하여 사용하는데, 이 때 상기 안전봉(85)이 스프링(86)의 작용으로 하부로 이동함에 따라 누름부재(10)로 타진버튼(40)을 타진하여 전류를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이동통신기기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전자침으로 사용할 수 있어, 급작스런 인체의 질병에 대해 이동통신기기에 입력되어 있는 경혈점을 찾아내어 침으로 피부에 자극을 가하여 인체의 자연 치유능력을 증강시키는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소정의 전류를 발생하여 인체의 경혈점에 침을 놓을 수 있는 전자침에 있어서,
    소정 주파수의 전파를 송ㆍ수신하기에 적절한 길이를 갖는 이동통신기기의 안테나(20)와;
    상기 안테나(20)의 밑부분에 미세전류를 경혈에 전도하는 침봉(60)과;
    상기 안테나(20)를 이동통신기기에 고정하기 위한 안테나 고정부재(70)와;
    상기 안테나 고정부재(70)의 내측에 삽입되어 소정의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류발생기(30)와;
    상기 전류발생기(30)를 구동하기 위한 타진버튼(40)과;
    상기 전류발생기(30)에서 발생된 전류를 침봉(60)에 전도하도록 안테나(20)에 유도하는 유도선(50)과;
    상기 안테나(20)의 첨두(尖斗)부에 위치한 누름부재(10) 및;
    상기 이동통신기기의 서비스 프로그램에 인체의 경혈점에 대한 정보를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침이 구비된 이동통신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10)는,
    하부의 일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타진버튼(40)을 타진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침이 구비된 이동통신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10)의 하부면이 편평하게 구성되어 상기 타진버튼(40)의 타진동작을 제어하도록 상기 안테나 고정부재(7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된 안전봉(85)과, 상기 안테나를 전자침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누름부재(10)가 타진버튼(40)을 타진할 수 있도록 상기 안전봉(85)을 누름부재(10)의 반대방향으로 전진시키는 스프링(86)으로 형성된 안전장치(8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침이 구비된 이동통신기기.
KR2020010003073U 2001-02-08 2001-02-08 전자침이 구비된 이동통신기기 KR2002283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073U KR200228350Y1 (ko) 2001-02-08 2001-02-08 전자침이 구비된 이동통신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073U KR200228350Y1 (ko) 2001-02-08 2001-02-08 전자침이 구비된 이동통신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8350Y1 true KR200228350Y1 (ko) 2001-06-15

Family

ID=73095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3073U KR200228350Y1 (ko) 2001-02-08 2001-02-08 전자침이 구비된 이동통신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35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672B1 (ko) 2009-02-25 2011-09-27 한국과학기술원 전기침 및 전기침 치료장치
KR101201296B1 (ko) 2009-12-11 2012-11-14 한국과학기술원 전기 침 치료 시스템
KR101302074B1 (ko) * 2011-09-28 2013-09-05 이경도 휴대 단말기용 전자침
KR101335692B1 (ko) 2011-10-24 2013-12-04 이영순 미세전류 자극용 휴대 단말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672B1 (ko) 2009-02-25 2011-09-27 한국과학기술원 전기침 및 전기침 치료장치
KR101201296B1 (ko) 2009-12-11 2012-11-14 한국과학기술원 전기 침 치료 시스템
KR101302074B1 (ko) * 2011-09-28 2013-09-05 이경도 휴대 단말기용 전자침
KR101335692B1 (ko) 2011-10-24 2013-12-04 이영순 미세전류 자극용 휴대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5287B2 (en) Device for percutaneous nerve stimulation
US5012816A (en) Electronic acupuncture device
US20140214134A1 (en) Closed Loop Chronic Electroacupuncture System Using Changes in Body Temperature or Impedance
US5279284A (en) Skin stimulation device
KR100716837B1 (ko) 동통제거용 맛사지진동기
JPH11347097A (ja) 足裏マッサージ器
KR200228350Y1 (ko) 전자침이 구비된 이동통신기기
KR101717894B1 (ko) 건 타입 전극부를 구비한 중주파 치료기
US5788657A (en) Pain relieving pressure device
KR20070105441A (ko) 인체의 특정부위 치료를 위한 저주파 마사지기
KR20190115877A (ko) 휴대용 저주파 전기자극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17018B1 (ko) 저주파 치료기
KR20070002808A (ko) 초음저주파 미용 치료장치
CN108498949A (zh) 一种智能颈椎按摩仪
US6836686B2 (en) Electro-acupuncture device
JP2002136568A (ja) 叩打器
KR200328971Y1 (ko) 손바닥을 저주파 펄스로 자극하기 위한 지압봉
KR200332712Y1 (ko) 전기자극기
KR970003242B1 (ko) 피부자극장치
KR910002387Y1 (ko) 전자침 기기
KR100573205B1 (ko) 초음파침 장치
KR102188672B1 (ko) 전자기 치료장치
KR200314243Y1 (ko) 잇몸의 혈행 촉진장치
KR0113148Y1 (ko) 가정용 전자침
JP2606807Y2 (ja) 低周波治療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