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3913A - 진공 흡착기 - Google Patents

진공 흡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3913A
KR20130033913A KR1020110101725A KR20110101725A KR20130033913A KR 20130033913 A KR20130033913 A KR 20130033913A KR 1020110101725 A KR1020110101725 A KR 1020110101725A KR 20110101725 A KR20110101725 A KR 20110101725A KR 20130033913 A KR20130033913 A KR 20130033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plate
attachment surface
cover
vacuum adsor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6862B1 (ko
Inventor
우철석
Original Assignee
엠에스인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에스인텍(주) filed Critical 엠에스인텍(주)
Priority to KR1020110101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6862B1/ko
Publication of KR20130033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F16B47/003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using adhesives for attach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2201/00Details of connections of bathroom accessories, e.g. fixing soap or towel holder to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흡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진공 흡착기를 진공 흡착방식과 더불어 점착물질에 의한 점착 방식으로 매끄러운 표면은 물론 요철이 형성된 표면의 부착면에도 용이하게 부착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삽입공과 회전돌부 및 걸림돌부와 복수 개의 고정편을 갖는 덮개; 상기 덮개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는 저판과, 스토퍼와 경사면 및 고정홈부를 갖는 측판 및, 절곡면과 결합면과 굴곡면을 갖는 복수 개의 탄성걸림편이 구비된 높이조절부재; 부착면에 진공 흡착되는 흡착판;이 구비된 진공 흡착기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의 저면 중앙부에는 부착면에 접촉되는 형성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흡착판의 저면에는 상기 흡착판의 저면과 점착됨은 물론 부착면에 점착되는 점착부재가 부착되며, 상기 점착부재의 중앙부에는 형성돌부가 삽입됨은 물론 상기 흡착판과 부착면 사이를 진공상태로 형성하기 위한 통공이 형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진공 흡착기{VACUUM ABSORBER}
본 발명은 진공 흡착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진공 흡착방식과 더불어 점착물질에 의한 점착 방식으로 유리나 타일 등과 같이 매끄러운 표면은 물론 요철이 형성된 표면에도 진공 흡착기를 용이하게 부착하도록 하는 진공 흡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흡착기는 수건이나 타월 및 휴지 등 다양한 형태의 물건들을 매달거나 걸어놓기 위하여 유리나 타일 등의 표면에 진공 흡착방식으로 부착하는 부재이다.
상기 진공 흡착기는 걸이부재와 흡착판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걸이부재는 수건이나 타월 및 휴지 등을 매달거나 걸어놓을 수 있으며, 상기 흡착판은 유리나 타일 등의 표면(부착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진공 흡착기를 부착면으로 밀어 상기 부착면과 흡착판 사이의 공간에 있는 공기를 흡착판의 외부로 빼내어 상기 부착면과 흡착판 사이를 진공상태로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부착면에 흡착판을 진공 흡착함에 따라 진공 흡착기를 고정 설치한다.
그러나, 상기의 진공 흡착기는 상기 흡착판을 부착면 측으로 밀어 상기 흡착판과 부착면 사이를 진공상태로 형성하여 상기 부착면에 흡착판을 진공 흡착하는 것만으로는 상기 흡착판과 부착면 사이를 밀폐 즉, 진공상태로 형성하기가 어려워 흡착력이 미비하고, 이로 인해 부착면에 부착된 흡착판이 쉽게 떨어짐에 따라 상기 진공 흡착기를 반복적으로 부착면에 부착하여야 하는 매우 불편한 점이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35205호 '진공 흡착기'를 출원하였는 바, 부착면에 진공 흡착기의 흡착판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진공 흡착기의 덮개를 회전시켜 높이조절부재를 흡착판 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흡착판의 외주면이 부착면과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흡착판의 중앙부가 들어 올려지면서 상기 부착면과 흡착판 사이의 공간을 진공으로 형성하여 상기 흡착판을 부착면에 부착함에 따라 상기의 부착면에 진공 흡착기를 고정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진공 흡착기는 상기 진공 흡착기의 흡착판이 진공 흡착되는 부착면이 매끄러운 면인 경우에는 상기의 부착면에 진공 흡착기를 부착할 수 있으나, 상기 부착면의 표면이 거칠거나 울퉁불퉁한 요철이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부착면과 상기 흡착판 사이의 공간을 진공상태로 형성하지 못함에 따라 상기의 진공 흡착기를 부착면에 부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35205호(2011.04.06.)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유리나 타일 등과 같은 부착면에 진공 흡착방식으로 부착되는 진공 흡착기의 흡착판 저면에 점착부재를 부착하도록 상기 흡착판에 의한 진공 흡착방식과 더불어 점착부재에 의한 점착방식을 동시에 행함에 따라 상기 진공 흡착기를 매끄러운 표면은 물론 요철이 형성된 표면을 갖는 부착면에도 용이하게 부착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삽입공과 회전돌부 및 걸림돌부와 복수 개의 고정편을 갖는 덮개; 상기 덮개가 일정 범위 내에서만 회전되도록 상기 덮개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는 저판과, 스토퍼와 경사면 및 고정홈부를 갖는 측판 및, 절곡면과 결합면과 굴곡면을 갖는 복수 개의 탄성걸림편이 구비된 높이조절부재; 상기 높이조절부재와 덮개에 결합되어 유리나 타일 등의 표면(부착면)에 진공 흡착되는 흡착판;이 구비된 진공 흡착기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의 저면 중앙부에는 부착면에 접촉되는 형성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흡착판의 저면에는 상기 흡착판의 저면과 점착됨은 물론 부착면에 점착되는 점착부재가 부착되며, 상기 점착부재의 중앙부에는 형성돌부가 삽입됨은 물론 상기 흡착판과 부착면 사이를 진공상태로 형성하기 위한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흡착판의 저면에 부착된 점착부재를 부착면에 점착함과 동시에 상기 덮개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높이조절부재에 의해 상기 흡착판의 중앙부와 부착면 사이의 공간을 진공상태로 형성하여 흡착판을 부착면에 진공 흡착함으로 상기 진공 흡착기를 요철이 형성된 부착면에 부착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기가 제공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유리나 타일 등과 같은 부착면에 진공 흡착방식으로 부착되는 진공 흡착기의 흡착판 저면에 점착부재를 부착함으로써, 상기 진공 흡착기의 흡착판에 의한 진공 흡착방식과 더불어 상기 점착부재에 의한 점착방식을 동시에 행함에 따라 상기 진공 흡착기를 매끄러운 표면은 물론 요철이 형성된 표면을 갖는 부착면에도 용이하게 부착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진공 흡착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진공 흡착기의 각 구성이 분리된 상태로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진공 흡착기의 내부 구성을 평면에서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진공 흡착기를 부착면에 부착하기 전 상태를 단면상태로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진공 흡착기를 부착면에 부착한 상태를 단면상태로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진공 흡착기의 흡착판과 점착부재를 저면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진공 흡착기의 흡착판과 점착부재를 저면에서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 진공 흡착기의 점착부재를 나타낸 다양한 형상 중 일부만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진공 흡착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수건이나 타월, 휴지 등의 다양한 물건을 매달거나 걸어놓을 수 있도록 유리나 타일 등과 같은 매끄러운 표면은 물론 면이 거칠거나 울퉁불퉁한 요철이 형성된 표면 등의 부착면(a)에 진공 흡착방식과 더불어 점착방식으로 부착되는 진공 흡착기(10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진공 흡착기(10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진공 흡착기(100)의 상부 측에 위치하는 덮개(1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덮개(10)의 하부 내측에는 상기 회전하는 덮개(10)에 의해 왕복이동하는 높이조절부재(2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10)의 하부 및 상기 높이조절부재(20)의 하부에는 왕복이동하는 높이조절부재(20)에 의해 부착면(a)으로 이동하여 상기 부착면(a)에 진공 흡착되는 흡착판(30)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의 덮개(10)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덮개(10)의 중앙부에 걸이부재(미도시)의 일측이 삽입되는 삽입공(11)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공(11)의 외측 위치인 덮개(10)의 내면에는 덮개(10)와 흡착판(30)을 서로 연결 결합하는 복수 개의 회전돌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10)의 내주면에는 후술할 높이조절부재(20)의 측판(22) 상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덮개(10)의 왕복이동 및 상기 높이조절부재(20)를 흡착판(30)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복수 개의 걸림돌부(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10)의 내측 상면에는 회전하는 덮개(10)에 의해 후술할 높이조절부재(20)의 탄성걸림편(23)을 따라 슬라이딩됨은 물론 상기 탄성걸림편(23)의 단부에 걸려 덮개(10)의 원위치로 복귀 즉, 역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덮개(10)의 하방 측으로 돌출되는 형태인 복수 개의 고정편(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높이조절부재(20)에는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부재(20)의 저부 측에 위치하는 저판(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판(21)의 외측 상면에는 측판(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판(22)에는 회전하는 덮개(10)의 각 고정편(14)에 의해 눌려졌다가 상기 각 고정편(14)이 단부에 위치하게 되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상기 덮개(10)의 회전을 방지 및 고정하도록 일정 탄성력을 갖는 복수 개의 탄성걸림편(23)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측판(22)의 상면에는 덮개(10)가 일정 범위 내에서만 회전되도록 상기 덮개(10)의 각 걸림돌부(13)와 접촉되는 복수 개의 스토퍼(221)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스토퍼(221) 사이에는 각 걸림돌부(13)가 슬라이딩되면서 높이조절부재(20)를 흡착판(30) 측으로 밀도록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일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면(2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경사면(222)의 일단에는 각 스토퍼(221)의 일면에 접촉되는 각 걸림돌부(13)의 저면이 삽입 고정된 고정홈부(2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걸림편(23)은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탄성걸림편(23)의 일면에는 덮개(10)의 고정편(14)이 걸려 고정되는 절곡면(2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걸림편(23)의 타면에는 높이조절부재(20)의 저판(21)과 측판(22)에 결합되는 결합면(2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곡면(231)과 결합면(232) 사이에는 회전하는 덮개(10)의 고정편(14)에 의해 탄성걸림편(23)이 눌려졌다가 고정편(14)이 절곡면(231)에 위치하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고정편(14)이 슬라이딩가능하게 접촉되는 굴곡면(2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착판(30)의 중앙부 상면에는 걸이부재(미도시)의 일측이 삽입 결합됨은 물론 덮개(10)와 흡착판(30)을 연결 결합하도록 외주면에 걸림홈부를 갖는 중심축(3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2 및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진공 흡착기(100)에는 상기의 진공 흡착기(100)를 요철이 형성된 부착면(a)에 부착하기 위한 구조가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흡착판(30)의 저면 중앙부에는 상기 흡착판(30)과 부착면(a) 사이를 진공상태로 형성하기 위한 형성돌부(30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착판(30)의 저면에는 상기 흡착판(30)의 저면과 점착됨은 물론 요철이 형성된 부착면(a)에 점착되도록 양면에 점착성 물질이 도포된 점착부재(40)가 부착되어 있고, 기 점착부재(40)의 중앙부에는 형성돌부(301)가 삽입됨은 물론 상기 흡착판(30)과 상기 부착면(a) 사이를 진공상태로 형성하도록 상기 형성돌부(301)가 삽입되는 통공(40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점착부재(40)는 일정 쿠션을 갖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질의 점착부재(40) 직경은 상기 흡착판(3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흡착판(30)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진공 흡착기(100)의 사용목적이나 효과 및 제작여건, 구매자의 요구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하기 위함이다.
상기 흡착판(30)의 형성돌부(301)는 도 4에서와 같이 통공(401) 내로 삽입됨은 물론 상기 형성돌부(301)의 저면부는 부착면(a)에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점착부재(40)의 양면에는 점착성 물질을 도포하거나 또는, 상기 점착부재(40)는 자체적으로 점착성 물질이 생성되는 재질 즉, 폴리우레탄과 같은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성돌부(301)와 통공(401)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흡착판(30) 및 점착부재(40)의 중앙부에 하나만 형성하거나 또는 도 7에서와 같이 복수 개로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형성돌부(301)와 통공(401)은 원형이나 타원형 및 사각, 오각, 육각 등 다각형상은 물론 꽃 모양이나 물방울 형상과 같은 불규칙한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의 형성돌부(301)와 통공(401)은 도 8에서와 같이 개수나 배열 형태 및 크기, 형상 등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흡착판(30)의 형성돌부(301) 및 상기 점착부재(40)의 통공(41)을 통해 상기 부착면(a)과 흡착판(30) 사이의 공간을 진공 상태로 형성하여 상기 부착면(a)과 흡착판(30) 사이의 흡착률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구조 및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수건이나 타월 및 휴지 등을 매달거나 걸어놓도록 걸이부재(미도시)가 구비된 진공 흡착기(100)를 진공 흡착방식과 더불어 점착 방식으로 거울이나 타일과 같은 매끄러운 면 또는, 면이 거친 벽면이나 울퉁불퉁한 요철을 갖는 타일과 같은 부재(총칭하여 "부착면"이라 함.) 등에 부착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상기 진공 흡착기(100)의 흡착판(30) 저면에 점착부재(40)를 부착한 다음 상기 점착부재(40)가 부착된 진공 흡착기(100)를 도 4에서와 같이 부착면(a)에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부착면(a)에 점착부재(40)가 부착되도록 상기 진공 흡착기(100)를 부착면(a) 측으로 누르게 되면, 상기 점착부재(40)의 양면에 도포된 점착물질에 의해 상기 진공 흡착기(100)는 부착면(a)에 점착 방식으로 부착된다.
그리고 나서, 진공 흡착기(100)의 흡착판(30)의 중심축(31)을 중심으로 덮개(10)를 회전시키면 상기 덮개(10)의 각 걸림돌부(13)는 높이조절부재(20)의 측판(22) 상면에 형성된 경사면(222)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되고, 상기 이동되는 각 걸림돌부(13)는 상기 측판(22)의 스토퍼(221)와 접촉됨과 동시에 고정홈부(223) 내로 삽입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덮개(10)의 각 고정편(14)은 상기 높이조절부재(20)의 각 탄성걸림편(23)의 절곡면(233)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되고, 상기 이동되는 각 고정편(14)이 상기 각 탄성걸림편(23)의 절곡면(231)에 위치하여 걸리게 된다.
그러면, 상기 덮개(10)의 회전은 정지됨은 물론 상기 높이조절부재(20)는 흡착판(30) 측으로 밀리게 됨에 따라 상기 흡착판(30)의 외주면은 부착면(a) 측으로 강하게 누르게 됨과 동시에 상기 흡착판(30)과 점착부재(40)의 중앙부는 도 5에서와 같이 부착면(a)으로부터 이격된다.
즉, 상기 높이조절부재(20)에 의하여 상기 흡착판(30)의 외주면은 부착면(a) 측을 강하게 눌러주고, 이와 동시에 상기 흡착판(30)의 중앙부와 상기 점착부재(40)의 중앙부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덮개(10) 측으로 들어 올려지면서 상기 흡착판(30)과 점착부재(40)의 중앙부는 부착면(a)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됨에 따라 상기 흡착판(30)과 점착부재(40)의 중앙부와 상기 부착면(a) 사이의 공간은 진공 상태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의 진공 흡착기(100)는 상기 점착부재(40)에 의한 점착 방식과 함께 상기 높이조절부재(20)에 의한 상기 흡착판(30)의 중앙부와 상기 부착면(a) 사이의 공간을 진공 상태로 형성되는 진공 흡착방식으로 인하여 부착면(a)에 부착되므로 상기 진공 흡착기(100)는 매끄러운 부착면(a)은 물론 요철이 형성된 부착면(a)이던 상관없이 보다 견고하게 부착된다.
한편, 상기 진공 흡착기(100)를 부착면(a)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덮개(10)를 상기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각 걸림돌부(13)를 고정홈부(223)로부터 탈거시킴과 동시에 상기 각 고정편(14)을 절곡면(231)으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상기 각 탄성걸림편(23)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각 고정편(14)은 최초 조립상태인 위치까지 자동 이동됨은 물론 상기 덮개(10)도 최초지점인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흡착판(30)과 점착부재(40)의 중앙부가 상기 부착면(a)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흡착판(30)과 부착면(a) 사이에 형성되었던 진공 상태가 해제되므로 상기의 진공 흡착기(100)는 도 4와 같은 상태로 위치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부착면(a)에 부착된 점착부재(40)를 떼어내어 상기 진공 흡착기(100)를 분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진공 흡착기(100)의 흡착판(30) 저면에 부착되는 점착부재(4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진공 흡착기(100)의 흡착판(30)과 부착면(a) 간의 진공 흡착 방식과 함께 상기 점착부재(40)에 의한 점착 방식이 동시에 행해짐에 따라 상기의 진공 흡착기(100)는 편평하면서 매끄러운 부착면(a)은 물론 울퉁불퉁한 요철을 갖는 면을 갖는 부착면(a)에도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부착가능하도록 한 효과가 있는 등 실생활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진공 흡착기는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되는 것이다.
10: 덮개 11: 삽입공
12: 회전돌부 13: 걸림돌부
14: 고정편 20: 높이조절부재
21: 저판 22: 측판
23: 탄성걸림편 30: 흡착판
31: 중심축 40: 점착부재
221: 스토퍼 222: 경사면
223: 고정홈부 231: 절곡면
232: 결합면 233: 굴곡면
301: 형성돌부 401: 통공

Claims (4)

  1. 상부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삽입공과 회전돌부 및 걸림돌부와 복수 개의 고정편을 갖는 덮개; 상기 덮개가 일정 범위 내에서만 회전되도록 상기 덮개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는 저판과, 스토퍼와 경사면 및 고정홈부를 갖는 측판 및, 절곡면과 결합면과 굴곡면을 갖는 복수 개의 탄성걸림편이 구비된 높이조절부재; 상기 높이조절부재와 덮개에 결합되어 유리나 타일 등의 표면(부착면)에 진공 흡착되는 흡착판;이 구비된 진공 흡착기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의 저면 중앙부에는 부착면에 접촉되는 형성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흡착판의 저면에는 상기 흡착판의 저면과 점착됨은 물론 부착면에 점착되는 점착부재가 부착되며, 상기 점착부재의 중앙부에는 형성돌부가 삽입됨은 물론 상기 흡착판과 부착면 사이를 진공상태로 형성하기 위한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흡착판의 저면에 부착된 점착부재를 부착면에 점착함과 동시에 상기 덮개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높이조절부재에 의해 상기 흡착판의 중앙부와 부착면 사이의 공간을 진공상태로 형성하여 흡착판을 부착면에 진공 흡착함으로 상기 진공 흡착기를 요철이 형성된 부착면에 부착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점착부재는 일정한 쿠션을 갖는 연질로 형성되고, 상기 점착부재의 양면에는 점착물질이 각각 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점착부재는 자체에서 점착물질이 생성되는 일정한 쿠션을 갖는 연질의 폴리우레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흡착판의 형성돌부와 점착부재의 통공은 하나 또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형성돌부와 통공은 동일한 개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기.
KR1020110101725A 2011-10-06 2011-10-06 진공 흡착기 KR101266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725A KR101266862B1 (ko) 2011-10-06 2011-10-06 진공 흡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725A KR101266862B1 (ko) 2011-10-06 2011-10-06 진공 흡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8643 Division 2011-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913A true KR20130033913A (ko) 2013-04-04
KR101266862B1 KR101266862B1 (ko) 2013-05-24

Family

ID=48436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725A KR101266862B1 (ko) 2011-10-06 2011-10-06 진공 흡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68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3776A1 (de) * 2020-05-19 2021-11-25 Krömker Holding GmbH Behälteraufnahmevorrichtung und halterung hierzu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3240B1 (ko) * 2014-02-17 2015-08-11 (주)굿센스 레일형 진공흡착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964Y1 (ko) 2006-04-24 2006-07-07 우철석 다용도 진공 흡착 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3776A1 (de) * 2020-05-19 2021-11-25 Krömker Holding GmbH Behälteraufnahmevorrichtung und halterung hierzu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6862B1 (ko) 2013-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863B1 (ko) 진공 흡착기
JP5849097B2 (ja) 真空吸着器
AU2007241655B2 (en) Multi-purpose vacuum suction apparatus
CA2943183C (en) Vacuum absorber
JP6867753B2 (ja) 堅固性と付着力が向上された真空吸着ユニット
JP2016527922A5 (ko)
KR100967516B1 (ko) 진공흡착기
KR101266862B1 (ko) 진공 흡착기
WO2017041443A1 (zh) 固定结构和具有该固定结构的显示装置
JP3141625U (ja) 吸着盤装置
TWM494224U (zh) 真空吸盤
KR200392839Y1 (ko) 진공흡착판
KR20080002917U (ko) 진공흡착기구의 진공흡착판
KR20160102614A (ko) 진공흡착구
KR102497651B1 (ko) 진공 흡착구
KR101314849B1 (ko) 내구성과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휴대기기 거치대
KR20120004791U (ko) 흡착용 거치대
RU2806399C1 (ru) Вакуумная присоска
KR20130132099A (ko) 진공 흡착기구용 점착부재
KR101996823B1 (ko) 부착 신뢰성이 향상된 흡착구
KR101543240B1 (ko) 레일형 진공흡착구
KR200379371Y1 (ko) 받침장치
KR200299569Y1 (ko) 벨크로테이프 한짝이 접착된 면을 구비한 흡착구
JP2006207310A (ja) タイルユニット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使用するタイルの移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