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9371Y1 - 받침장치 - Google Patents

받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371Y1
KR200379371Y1 KR20-2004-0035123U KR20040035123U KR200379371Y1 KR 200379371 Y1 KR200379371 Y1 KR 200379371Y1 KR 20040035123 U KR20040035123 U KR 20040035123U KR 200379371 Y1 KR200379371 Y1 KR 2003793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plate
wall
spring
concav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51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근
Original Assignee
삼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51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3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3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3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컴퓨터 본체 등 무게가 나가는 제품을 회전시키기 위한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가이드부(15)와, 상기 가이드부(15) 상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며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슬라이딩부(20)와, 상기 외측벽(17)에서 서로 일정 간격으로 내측벽(16)을 향하여 돌출된 돌부(12)와, 홀딩부(80)가 고정되도록 구비된 다수개의 체결부(35)와, 스프링(50)이 안착할 수 있는 스프링 홈(30)으로 구성된 받침대(10), 및 상부 측에 다수개의 고무 패드(68)가 고정되어 컴퓨터 본체 등과 미끄럼을 방지하고, 배면에는 오목한 마찰부(62)가 형성되며, 외경에는 일정 간격으로 돌부(65)가 구비되며, 내경에는 외경 방향으로 오목한 2개의 오목부(69)가 형성되며, 내경측에는 두께가 얇아진 박부(72)로 이루어진 회전판(60)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받침장치는 사용자가 회전판의 시작점을 스프링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파악하게 하고, 회전판의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Description

받침장치 {Support Apparatus}
본 고안은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컴퓨터 본체 등 무게가 나가는 제품을 회전시키기 위한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컴퓨터 본체의 받침장치는 회전 범위를 일정 제한 하지만, 회전이 원활하지 않고, 컴퓨터 본체와 받침 장치 간에 최초 세팅이 잘 되지 못하였다. 즉 회전 범위를 일정 제한 할려면 최초로 받침장치 상에서 컴퓨터 위치를 정하여야 하는데 이 작업이 힘들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회전 범위를 일정 제한 하지만, 회전이 원활하고, 최초로 받침장치 상에 안착되는 물체의 위치 선정이 용이하게 하는 받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받침장치의 일예로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양측으로 내측벽과 외측벽이 구비된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 상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며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슬라이딩부와, 상기 외측벽에서 서로 일정 간격으로 내측벽을 향하여 돌출된 돌부와, 홀딩부가 고정되도록 구비된 다수개의 체결부와, 내측벽의 내측에서 내측벽을 통과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이 안착할 수 있는 스프링 홈으로 구성된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의 가이드부에 수용되는 것으로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부 측에 다수개의 고무 패드가 고정되어 컴퓨터 본체 등과 미끄럼을 방지하고, 배면에는 오목한 마찰부가 형성되며, 외경에는 일정 간격으로 돌부가 구비되며, 내경에는 외경 방향으로 오목한 2개의 오목부가 형성되며, 내경측에는 두께가 얇아진 박부로 이루어진 회전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홀딩부는 그 단부가 회전판의 박부 위에 위치하여 회전판의 상부 방향 이동을 저지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받침대(10)와, 상기 받침대의 가이드부(15)에 수용되어 회전하는 회전판(60)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받침대(1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양측으로 내측벽(16)과 외측벽(17)이 구비된 가이드부(15)와, 상기 가이드부(15) 상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며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슬라이딩부(20)와, 상기 외측벽(17)에서 서로 180° 간격으로 내측벽(16)을 향하여 돌출된 돌부(12)와, 홀딩부(80; 도 5)가 고정되도록 구비된 다수개의 체결부(35)와, 내측벽(16)의 내측에서 내측벽(16)을 통과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50)이 안착할 수 있는 스프링 홈(30)으로 구성된다.
도 3,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회전판(60)은 상기 받침대(10)의 가이드부(15)에 수용되는 것으로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부 측에 다수개의 고무 패드(68)가 고정되어 컴퓨터 본체 등과 미끄럼을 방지하고, 배면에는 오목한 마찰부(62)가 형성되며, 외경에는 2개의 180°간격의 돌부(65)가 구비되며, 내경에는 외경 방향으로 오목한 2개의 오목부(69)가 형성되며, 내경측에는 두께가 얇아진 박부(72)로 이루어진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홀딩부(80)는 그 단부가 회전판(60)의 박부(72) 위에 위치하여 회전판(60)의 상부 방향 이동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받침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컴퓨터 본체와 같은 경우는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각 90° 이내의 범위에서만 회전하면 된다. 사용자가 컴퓨터 본체의 배면에 커넥터를 연결하기 위하여 컴퓨터 본체를 돌리는 경우가 일반적이므로 너무 많은 회전은 불필요한 것이다. 컴퓨터 본체는 회전판(60)의 고무 패드(68) 상에 안착된다.
그러므로 무거운 컴퓨터 본체를 제위치에 놓았을 때 좌우 동일한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 중심 잡기를 위하여 회전판(60)을 받침대(10)의 가이드부(15)에 수용시킨 후, 회전판(60)을 돌려서 회전판(60)의 오목부(69)가 스프링(50) 앞으로 위치하면 스프링(50)이 오목부(69) 내에 수용되어 회전판(60)은 록킹되고, 이를 사용자가 인지하게 된다.
회전판(60)이 가이드부(15) 상에서 원활하게 회전하는 것은 회전판의 마찰부(62)가 받침대의 가이드부(15)상에 고정된 슬라이딩부(20) 상에서 잘 슬라이딩되기 때문이다.
회전판(60)의 회전 범위는 회전판의 돌부(65)와 받침대(10)의 돌부(12)에 의해서 제한된다.
회전판(60)이 회전하면서 상부로 이동하지 못하는 것은 회전판의 박부(72) 상부에 홀딩부(80)의 단부가 위치하기 때문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받침장치는 사용자가 회전판의 시작점을 스프링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파악하게 하고, 회전판의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받침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받침장치의 받침대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받침장치의 받침대의 저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받침장치의 회전판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받침장치의 회전판의 저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받침장치의 홀딩부의 평면도
도 6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체결 단면도
도 7은 도 1의 B-B 선에 따른 체결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받침대 12 : 돌부
15 : 가이드부 16 : 내측벽
17 : 외측벽 20 : 슬라이딩부
30 : 스프링 홈 35 : 체결부
50 : 스프링 60 : 회전판
62 : 마찰부 65 : 돌부
68 : 고무 패드 69 : 오목부
72 : 박부 80 : 홀딩부

Claims (1)

  1.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양측으로 내측벽(16)과 외측벽(17)이 구비된 가이드부(15)와, 상기 가이드부(15) 상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며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슬라이딩부(20)와, 상기 외측벽(17)에서 서로 일정 간격으로 내측벽(16)을 향하여 돌출된 돌부(12)와, 홀딩부(80)가 고정되도록 구비된 다수개의 체결부(35)와, 내측벽(16)의 내측에서 내측벽(16)을 통과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50)이 안착할 수 있는 스프링 홈(30)으로 구성된 받침대(10), 및
    상기 받침대(10)의 가이드부(15)에 수용되는 것으로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부 측에 다수개의 고무 패드(68)가 고정되어 컴퓨터 본체 등과 미끄럼을 방지하고, 배면에는 오목한 마찰부(62)가 형성되며, 외경에는 일정 간격으로 돌부(65)가 구비되며, 내경에는 외경 방향으로 오목한 2개의 오목부(69)가 형성되며, 내경측에는 두께가 얇아진 박부(72)로 이루어진 회전판(60)으로 구성되며,
    상기 홀딩부(80)는 그 단부가 회전판(60)의 박부(72) 위에 위치하여 회전판(60)의 상부 방향 이동을 저지하고, 상기 회전판(60)을 돌려서 회전판(60)의 오목부(69)가 스프링(50) 앞으로 위치하면 스프링(50)이 오목부(69) 내에 수용되어 회전판(60)은 록킹되고, 이를 사용자가 인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장치.
KR20-2004-0035123U 2004-12-10 2004-12-10 받침장치 KR2003793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123U KR200379371Y1 (ko) 2004-12-10 2004-12-10 받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123U KR200379371Y1 (ko) 2004-12-10 2004-12-10 받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371Y1 true KR200379371Y1 (ko) 2005-03-17

Family

ID=43681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123U KR200379371Y1 (ko) 2004-12-10 2004-12-10 받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37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229Y1 (ko) 휴대용 장치 홀더 및 그 홀더 수용 지지체
US9267518B2 (en) Holder mechanism
US10578242B2 (en) Securing base for holding up a display suspending apparatus thereon
US20200235770A1 (en) Mobile device mounting apparatus
US9032590B2 (en) Rotat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with same
US9601860B2 (en) Rotatable power center for a work surface
US7950637B2 (en) Adjustable holding apparatus
WO2006132781A3 (en) Self-balancing adjustable mounting system with friction adjustment
CA2558221A1 (en) Disk containing body and information providing body
US2968995A (en) Portable mirror
KR20030010899A (ko) 무선랜 어댑터
WO2020181843A1 (zh) 指环支架
KR200379371Y1 (ko) 받침장치
TWM627265U (zh) 多功能之平板式電子裝置之立架
JP3226348U (ja) リングホルダー
RU2806399C1 (ru) Вакуумная присоска
CN215569121U (zh) 支架
CN217322172U (zh) 旋转柱体结构
CN213676555U (zh) 车载手机架支撑座
CN218992939U (zh) 一种支架旋转底座
CN214008943U (zh) 一种灯具光照角度调节结构
CN216280179U (zh) 一种转动底座以及一体机设备
CN213785897U (zh) 转轴结构及化妆镜
CN215383064U (zh) 一种挂钩
KR20130033913A (ko) 진공 흡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