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3736A - 프로젝터 및 그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젝터 및 그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3736A
KR20130033736A KR1020110097599A KR20110097599A KR20130033736A KR 20130033736 A KR20130033736 A KR 20130033736A KR 1020110097599 A KR1020110097599 A KR 1020110097599A KR 20110097599 A KR20110097599 A KR 20110097599A KR 20130033736 A KR20130033736 A KR 20130033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ojector
disposed
led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근
박준석
허진
우성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7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3736A/ko
Priority to US13/613,957 priority patent/US9016870B2/en
Priority to PCT/KR2012/007729 priority patent/WO2013048094A1/en
Publication of KR20130033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7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6Cooling; Preventing overhea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는, 영상을 형성하여 확대 투사하는 광학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학시스템; 상기 광원의 발생열을 방사시키기 위한 광원방열유닛; 상기 프로젝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다수의 회로보드들;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를 가진 흡입유닛; 흡입 공기의 배출되는 배기구를 가진 배기유닛; 및 상기 흡입구와 상기 배기구 사이에 형성되는 냉각유로를 상부 냉각유로와 하부 냉각유로로 분리시키는 유로분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방열유닛은 상기 상부 냉각유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회로보드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부 냉각유로 상에 배치된다.

Description

프로젝터 및 그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PROJECTOR AND DISPLAY APPARATUS HAVINH THE SAME}
본 발명은 프로젝터 및 그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초점 프로젝터 및 그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로젝터와 스크린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프로젝터를 통해 스크린 상에 영상을 확대 투사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일 예로 이러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젼에 적용될 수 있다.
프로젝터의 출사창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중앙에 배치되는 한편 프로젝터의 좌우 사이즈 즉 길이가 최소화되는 것이 미관상 바람직하다. 하지만, 출사창이 프로젝터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되거나, 프로젝터 내에 구비된 투사렌즈유닛의 적어도 일부분이 프로젝터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프로젝터의 길이가 최소화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프로젝터의 출사창을 중앙 배치하면서도 그 길이를 최소화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프로젝터는 광 발생을 위한 광원(예로써, LED들) 및 다수의 회로보드들을 포함한다. 또한, 광원으로서 복수의 LED들이 구비된 경우 프로젝터는 그 LED들의 방열을 위한 복수의 방열유닛(예로써, 히트파이프와 방열핀의 조합)을 구비한다. 그런데, 통상적인 프로젝터들에서는, 방열유닛들 중 적어도 두 개가 동일 냉각유로 상에서 직렬적으로 배치되거나, 방열유닛들 중 적어도 하나와 회로보드들 중 적어도 하나가 동일 냉각유로 상에 직렬적으로 배치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냉각유로 상에서 하류에 배치된 방열유닛 또는 회로보드의 방열 효율은 최적화되기 어려우며, 따라서 프로젝터는 열적으로 안정화될 수 없다. 그러므로, 프로젝터를 열적으로 보다 안정화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로젝터의 출사창을 중앙 배치하면서도 그 길이를 최소화하는 것, 그리고 프로젝터의 열적 안정성을 개선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크린을 통해 영상을 표시하는 프로젝터에 있어서, 영상을 형성하여 확대 투사하는 광학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학시스템; 상기 광원의 발생열을 방사시키기 위한 광원방열유닛; 상기 프로젝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다수의 회로보드들;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를 가진 흡입유닛; 흡입 공기의 배출되는 배기구를 가진 배기유닛; 및 상기 흡입구와 상기 배기구 사이에 형성되는 냉각유로를 상부 냉각유로와 하부 냉각유로로 분리시키는 유로분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방열유닛은 상기 상부 냉각유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회로보드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부 냉각유로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를 제공한다.
상기 광학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한 조명유닛; 상기 조명유닛이 생성한 광으로부터 영상을 형성하는 영상형성유닛; 상기 영상형성유닛에서 형성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투사렌즈유닛; 및 확대 투사된 영상을 상기 스크린을 향해 반사시키는 비구면미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구면미러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상부 냉각유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투사렌즈유닛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상부 냉각유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프레임; 및 상기 흡입구에 배치된 흡입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유닛은, 상기 배기구가 형성된 배기프레임; 및 상기 배기구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배기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프레임은, 상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상부 배기구; 및 하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하부 배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분리유닛은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흡입프레임의 하부로부터 상기 하부 배기구를 향해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다수의 회로보드들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된 덕트 부재일 수 있다.
상기 덕트 부재는, 파워보드가 내측에 배치된 제1 덕트부; 및 상기 제2 덕트부와 평행하며, 내측에 LED 드라이버가 배치된 제2 덕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구면미러 및 상기 투사렌즈유닛은 상기 덕트 부재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유닛은 레드-LED, 블루-LED 및 그린-LED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방열유닛은 레드-LED, 블루-LED 및 그린-LED의 냉각을 위한 제1 LED 방열유닛, 제2 LED 방열유닛 및 제3 LED 방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LED 방열유닛, 제2 LED 방열유닛 및 제3 LED 방열유닛은 세 개의 상부 배기구에 인접되게 상호 병렬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배기구 각각에는 상기 배기팬이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LED 방열유닛 각각은, 대응하는 LED에 연결된 히트파이프 및 상기 히트파이프를 둘러싸는 복수의 방열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프레임은 흡입 공기의 일부분을 분기시키는 분기덕트를 구비하며, 상기 분기덕트와 상기 배기구 사이에는 분기 냉각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기 냉각유로 상에 상기 영상형성유닛, 서브-파워보드(SUB-SMPS) 및 DMD 구동보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투사렌즈유닛은, 상기 영상형성유닛을 마주하도록 배치된 입사부; 및 상기 비구면미러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입사부에 경사를 가지고 연결된 투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사부는 상기 프로젝터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투사부는 상기 프로젝터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프로젝터의 길이 방향으로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입사부와 상기 투사부 간의 경사각은 90°일 수 있다.
상기 영상형성유닛은 DMD 패널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술한 프로젝터; 및 상기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된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또한 제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80 인치 이상의 텔레비젼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프로젝터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커버 케이스 및 측면 케이스를 생략하여 도시한 도 1의 프로젝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평면도에 대응하는 사시도로서 설명의 편의상 일부 부품들이 생략된 도면이다.
도 5는 프로젝터의 흡입유닛을 보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프로젝터의 배기유닛 및 광원방열유닛을 보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광원방열유닛의 설명을 위해 도 6을 Ⅶ-Ⅶ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프로젝터의 유로분리유닛을 보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비구면미러 및 투사렌즈유닛의 냉각을 보이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 및 그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프로젝터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프로젝터(10)는 대략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프로젝터(10)는 내부 부품들을 수용하는 외부 케이스를 구비하며, 외부 케이스는 커버 케이스(101), 측면 케이스(102), 및 바닥 케이스(103)를 포함한다.
커버 케이스(101)에는 출사창(104)이 구비되며, 프로젝터(10)는 출사창(104)을 통해 스크린(20, 도 10 참조) 상에 영상을 표시한다. 출사창(104)은 프로젝터(10)의 길이 방향(즉, X 방향)을 따라 중간 위치에 배치된다.
측면 케이스(102)의 우측면(105)에는 다수의 공기유입공들(106)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 케이스(102)의 좌측면(107)에는 다수의 공기배출공들(108)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유입공들(106)을 통해 외부 공기가 프로젝터(10) 안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유입된 공기는 공개배출공들(108)을 통해 프로젝터(10)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바닥 케이스(103)는 커버 케이스(101)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그 위에 설치되는 다수의 내부 부품들을 지지한다.
도 3은 커버 케이스 및 측면 케이스를 생략하여 도시한 도 1의 프로젝터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평면도에 대응하는 사시도로서 설명의 편의상 일부 부품들이 생략된 도면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프로젝터(10)는 영상을 형성하여 확대 투사하기 위한 광학시스템을 포함한다. 이러한 광학시스템은, 조명유닛(210), 영상형성유닛(220), 투사렌즈유닛(230), 및 비구면미러(240)를 포함한다.
조명유닛(210)은 영상 형상에 사용될 광을 생성한다. 이에 조명유닛(210)은 적색광, 청색광 및 녹색광을 각각 생성하는 레드(R)-LED(211), 블루(B)-LED(212) 및 그린(G)-LED(213)를 광원으로서 구비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경우 조명유닛(210)은 광원으로서 3개의 LED들(211, 212, 213)을 구비하지만, 대안적인 다른 실시예들의 경우 조명유닛(210)은 백색광을 발생시키는 램프(예로써, 아크 램프, 할로겐 램프 등)와 같은 다른 유형의 광원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R-LED(211)와 B-LED(212)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G-LED(213)는 R-LED(211) 및 B-LED(212)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도면에서 보이지 않으나, 조명유닛(210)은 R-LED(211)와 B-LED(212) 사이에 이색필터(dichroic filter)를 구비한다. 이색필터는 적색광 및 청색광은 대략 90°반사시키되 녹색광은 그대로 투과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그리하여 R-LED(211) 및 B-LED(212)에 의해 생성된 적색광 및 청색광은 이색필터에 의해 90°반사되어 영상형성유닛(220) 쪽으로 향하며, G-LED(213)에 의해 생성된 녹색광은 이색필터를 투과하여 영상형성유닛(220) 쪽으로 향한다. 따라서, LED들(211, 212, 213)의 적색광, 청색광 및 녹색광이 구성하는 백색광이 영상형성유닛(220)에 제공될 수 있다.
영상형성유닛(220)은 바닥 케이스(103)에 평행하게 즉 X-Y 평면 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영상형성유닛(220)은 DMD 패널로 구비된다. DMD 패널은 수 많은 마이크로미러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마이크로미러는 각각의 영상 화소(image pixel)에 대응한다. 영상신호들에 따라 마이크로미러들의 온-오프 동작함으로써 조명유닛(210)이 생성한 광으로부터 영상이 형성된다. 프로젝터(10)는 조명유닛(210)이 생성한 백색광을 영상형성유닛을 향해 반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미러(미도시)를 포함한다.
투사렌즈유닛(230)은 영상형성유닛(220)이 형성한 영상을 비구면미러(240)를 향해 확대 투사한다. 이러한 투사렌즈유닛(230)은 영상형성유닛(220)과 마주하는 입사부(231) 및 비구면미러(240)를 마주하는 투사부(232)로 구성된다. 이러한 투사부(232) 내에는 영상을 확대하기 위한 다수의 투사렌즈들(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다. 입사부(231)와 투사부(232)는 'ㄱ' 자 형상으로 연결되며 그 연결부에는 폴딩미러(folding mirror, 미도시)가 구비된다. 그리하여 영상형성유닛(220)에 의해 형성된 영상은 투사렌즈유닛(230)의 입사부(231)로 들어가 폴딩미러에 의해 반사된 후 투사부(232) 내의 투사렌즈들에 의해 확대되어 비구면미러(240) 상에 투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투사렌즈유닛(230)은 'ㄱ' 자 형상을 가지되, 투사렌즈유닛(230)의 입사부(231)는 프로젝터(10)의 높이 방향(즉, Z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이처럼 투사렌즈유닛(230)의 입사부(231)가 프로젝터(10)의 높이 방향을 따라(즉, 상하로) 연장됨으로써, 투사렌즈유닛(230)의 투사부(232)는 프로젝터(10)의 길이 방향(즉, X 방향)을 따라 프로젝터(1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투사부(232)가 프로젝터(10)의 중앙에 배치됨으로써 커버 케이스(101, 도 1 참조)에 구비된 출사창(104)도 프로젝터(1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출사창(104)의 중앙 배치는 미적 설계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만약 투사렌즈유닛(230)의 입사부(231)가 높이 방향이 아니라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면, 투사렌즈유닛(230)의 투사부(232)는 프로젝터(10)의 중앙에 배치되지 못하고 프로젝터(10)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된다. 투사부(232)가 치우쳐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예를 들어, 좌측으로 치우친 경우 우측으로) 프로젝터(10)의 케이스들(101, 102, 103)을 확장함으로써 투사부(232)의 치우침을 상쇄하는 방안이 가능하지만, 이러한 방안에 의할 경우 프로젝터(10)의 길이 증가로 인해 최소화 설계에 불리함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투사렌즈유닛(230)의 입사부(231)가 상하로 연장되기 때문에 케이스들(101, 102, 103)의 확장을 수반함 없이 투사렌즈유닛(230)의 투사부(232)가 프로젝터(1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투사부(232)의 중앙 배치를 통한 출사창(104)의 중앙 배치를 달성하면서도 프로젝터(10)의 최소화 설계 요구에 부합될 수 있다.
비구면미러(240)는 투사렌즈유닛(230)의 투사부(232)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그리하여 비구면미러(240)는 투사렌즈유닛(230)에 의해 확대 투사된 영상을 커버 케이스(101)에 구비된 출사창(104)을 통해 스크린 상에 표시한다. 본 실시예의 프로젝터(10)는 비구면미러(240)를 통해 영상을 표시하므로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스크린과의 거리가 훨씬 가까워질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프로젝터(10)는 통상의 프로젝터에 비해 상당히 작은 스루 레이쇼(throw ratio)를 갖는 단초점 프로젝터이며, 여기서 스루 레이쇼는 "투사 거리/스크린의 폭"으로 정의될 수 있다.
프로젝터(10)는 다수의 회로보드들을 또한 포함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터(10)는 파워보드(SMPS)(120), LED 드라이버(130), 서브-파워보드(SUB-SMPS)(140) 및 DMD 드라이버(150) 등의 회로보드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파워보드(120)는 프로젝터(10)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회로보드이고, LED 드라이버(130)는 전술한 LED들(211, 212, 213)을 구동하는 회로보드이고, 서브-파워보드(140)는 LED 드라이버(130)의 구동을 위한 보조 파워보드이며, DMD 드라이버(150)는 DMD 패널(영상형성유닛)(220)을 구동하는 회로보드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보드(120)와 LED 드라이버(130)는 바닥 케이스(130)와 평행하게 X 방향으로 따라 배치되는 반면, 서브-파워보드(140)와 DMD 드라이버(150)는 바닥 케이스(130)에 수직하게 Z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프로젝터(10)는 내부 부품들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한다. 프로젝터(10)의 냉각 시스템에 대해 도 5 내지 9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5는 흡입유닛을 보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배기유닛 및 광원방열유닛을 보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7은 광원방열유닛의 설명을 위해 도 6을 Ⅶ-Ⅶ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8은 유로분리유닛을 보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9를 참조하면, 프로젝터(10)의 냉각 시스템은, 흡입유닛(310), 배기유닛(320), 광원방열유닛(330) 및 유로분리유닛(340)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유닛(310)은 흡입프레임(311) 및 흡입팬(312)을 포함한다. 흡입프레임(311)은 측면 케이스(102)의 우측면(105, 도 1 참조)을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흡입프레임(311)에는 외부 공기의 흡입을 위한 흡입구(311a)가 형성되어 있고, 흡입구(311a)에 흡입팬(312)이 장착되어 흡입구(311a)를 통해 외부 공기가 흡입된다. 한편, 흡입프레임(311)은 그것의 하부 일측에 분기덕트(313, 도 3 및 8 참조)를 구비한다. 흡입구(311a)를 통해 흡입된 공기 중 일부분은 분기덕트(313)에 의해 전술한 영상형성유닛(DMD 패널)(220)을 향해 안내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유닛(320)은 배기프레임(321) 및 배기팬들(322)을 포함한다. 배기프레임(321)은 측면 케이스(102)의 좌측면(107, 도 1 참조)을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배기프레임(321)은 흡입된 공기의 배출을 위한 배기구를 가지며, 배기구는 배기프레임(321)의 상부에 배치된 3개의 상부 배기구들(321a) 및 배기프레임(321)의 하부에 배치된 6개의 하부 배기구들(321b)로 구성된다. 배기프레임(321)의 3개의 상부 배기구(321a) 각각에는 배기팬(322)이 하나씩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방열유닛(330)은 제1 LED 방열유닛(331), 제2 LED 방열유닛(332) 및 제3 LED 방열유닛(333)을 포함한다. 각각의 냉각유닛(331, 332, 333)은 하나의 배기팬(322)을 마주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부 배기구(321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된다. 제1 LED 방열유닛(331), 제2 LED 방열유닛(332) 및 제3 LED 방열유닛(333)은 조명유닛(210, 도 3 참조)의 R-LED(211), B-LED(212) 및 G-LED(213)에 각각 연결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LED 방열유닛(332)은 B-LED(212)에 연결되는 히트파이프(332a), 히트파이프(332a)를 둘러싸는 다수의 방열핀(332b), 및 방열핀들(332b)을 둘러싼 하우징(332c)을 포함한다. 따라서 B-LED(212)에서 발생된 열은 히트파이프(332a)와 방열핀(332b)을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제2 LED 방열유닛(332)과 마찬가지로, 제1 및 제3 냉각유닛(331, 333)도 히트파이프, 방열핀 및 하우징을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분리유닛(340)은 흡입프레임(311)의 하부로부터 프로젝터(10)의 길이 방향(즉, X 방향)을 따라 연장된 덕트 부재이다. 유로분리유닛(340)은 흡입프레임(311)에 형성된 흡입구(311a, 도 5 참조)와 연통된다. 유로분리유닛(340)은 제1 덕트부(341)와 그보다 외측에 배치된 제2 덕트부(342)를 포함한다. 제1 덕트부(341)의 높이가 제2 덕트부(342)의 높이보다 약간 더 높으며, 따라서 제1 덕트부(341)와 제2 덕트부(342)는 단차를 가지고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덕트부(341) 내에는 파워보드(120)가 배치되며 제2 덕트부(342) 내에는 LED 드라이버(130)가 배치된다.
이러한 유로분리유닛(340)에 의해 흡입구(311a)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그 일부분이 유로분리유닛(340)을 통해 프로젝터(10)의 하부를 따라 배기프레임(321, 도 6 참조) 측으로 안내되고 흡입 공기의 다른 일부분은 유로분리유닛(340)의 외부를 통해 프로젝터(10)의 상부를 따라 배기프레임(321) 측으로 안내된다. 즉, 흡입구(311a)와 배기구(321a, 321b) 사이에 형성되는 냉각유로는 유로분리유닛(340)에 의해 상부 냉각유로와 하부 냉각유로로 분리된다.
그리하여 상부 냉각유로를 따라 흐르는 흡입 공기는 배기프레임(321)의 상부 배기구(321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하부 냉각유로를 따라 흐르는 흡입 공기는 배기프레임(321)의 하부 배기구(321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8에서 "AFU"은 상부 냉각유로를 따르는 흡입 공기의 흐름 또는 그 상부 냉각유로 자체를 나타내고 "AFL"은 하부 냉각유로를 따르는 흡입 공기의 흐름 또는 그 하부 냉각유로 자체를 나타낸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흡입프레임(311)은 그 일측에 분기덕트(313)를 구비하며 이러한 분기덕트(313)를 통해 흡입 공기의 일부분은 영상형성유닛(220) 쪽으로 안내된다. 도 8을 보면, 흡입프레임(311)의 분기덕트(313)는 흡입프레임(311)의 하부에 구비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분기덕트(313)를 통해 흐르는 흡입 공기는 배기프레임(321)의 하부 배기구(321b)를 향하도록 안내되며, 따라서 그 하부 배기구(321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8에서 "AFD"는 흡입프레임(311)의 분기덕트(313)에 의해 형성되는 분기 냉각유로를 따르는 흡입 공기의 흐름 또는 분기 냉각유로 자체를 나타낸다.
이상 살펴본 도 5 내지 8과 함께 도 9를 추가로 참조하여 프로젝터(10)의 냉각 과정 및 효과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비구면미러 및 투사렌즈유닛의 냉각을 보이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공기는 흡입팬(312)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프레임(311)의 흡입구(311a)를 통해 프로젝터(10) 안으로 흡입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공기는 상부 냉각유로(AFU), 하부 냉각유로(AFL) 및 분기 냉각유로(AFD)를 따르는 흐름들을 갖는다.
먼저, 상부 냉각유로(AFU, 도 8 참조)에 의한 냉각 과정을 살펴본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분리유닛(340)의 제1 덕트부(341)의 상측에는 투사렌즈유닛(230)이 배치되고 유로분리유닛(340)의 제2 덕트부(342)의 상측에는 비구면미러(240)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부 냉각유로(AFU)를 따르는 흡입 공기는 투사렌즈유닛(230)과 비구면미러(240)를 냉각시킨다.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냉각유로(AFU)를 따르는 흡입 공기는 광원방열유닛(330)을 냉각시키고 나서 상부 배기구(321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처럼, 상부 냉각유로(AFU)를 따르는 흡입 공기에 의해 비구면미러(240)가 냉각되므로, 온도 상승으로 인한 비구면미러(24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비구면미러(240)의 변형은 영상 품질을 크게 열화시킬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프로젝터(10)는 상부 냉각유로(AFU)를 통해 비구면미러(240)를 냉각시키므로 그러한 영상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흡입 공기는 광원방열유닛(330)에 도달하기 전에 투사렌즈유닛(230) 및 비구면미러(240)를 지나면서 그 온도가 약간 상승하지만, 투사렌즈유닛(230)과 비구면미러(240)는 LED들(211, 212, 213)에 비해 상당히 낮은 온도를 가지므로, 그 온도 상승은 광원방열유닛(330)의 냉각 효율에 거의 영향을 주지 못한다.
그리고, 상부 배기구(321a) 각각에 배기팬(322)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광원방열유닛(330)을 통과하는 흡입 공기의 유속은 하부 배기구(321b)를 통하는 흡입 공기의 유속에 비해 더 높다. 따라서 고온의 LED들(211, 212, 213)의 냉각이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LED 방열유닛들(331, 332, 333)은 서로 병렬로 배치되므로 상호 간에 냉각 효율의 저하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만약 상기 LED 방열유닛들(331, 332, 333) 중 적어도 두 개가 직렬로 배치된 경우, 하류에 배치된 냉각유닛의 냉각 효율은 상류에 배치된 냉각유닛에 의해 저하될 수 있다.
다음으로, 하부 냉각유로(AFL, 도 8 참조)에 의한 냉각 과정을 살펴본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냉각유로(AFL)를 따르는 흡입 공기는 유로 분리유닛(340) 내에 배치된 파워보드(120) 및 LED 드라이버(130)를 냉각시킨다.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냉각유로(AFL)를 따르는 흡입 공기는 배기프레임(321)의 하부 배기구(321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처럼 하부 냉각유로(AFL)를 따르는 흡입 공기는 단지 파워보드(120) 및 LED 드라이버(130) 만을 냉각시키므로, 파워보드(120)와 LED 드라이버(130)의 냉각이 효율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즉, 하부 냉각유로(AFL)를 따르는 흡입 공기는 파워보드(120) 및 LED 드라이버(130)에 도달하기 전에 다른 냉각 대상을 만나지 않으므로 파워보드(120) 및 LED 드라이버(130)의 냉각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특히, 파워보드(120) 및 LED 드라이버(130)의 냉각은 광원방열유닛(330의 냉각과 독립적으로 수행되므로 파워보드(120) 및 LED 드라이버(130)의 높은 냉각 효율을 보장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분기 냉각유로(AFD, 도 8 참조)에 의한 냉각 과정을 살펴본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 냉각유로(AFD)를 따르는 흡입 공기는 영상형성유닛(DMD 패널)(220)을 냉각시킨다. 그리고, 도 3을 다시 참조보면, 분기 냉각유로(AFD)를 형성하는 분기덕트(313)의 배출공(313a)은 서브-파워보드(140) 및 DMD 구동보드(150)를 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분기 냉각유로(AFD) 상에는 영상형성유닛(220) 뿐만 아니라 서브-파워보드(140) 및 DMD 구동보드(150)도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분기 냉각유로(AFD)를 따르는 흡입 공기는 서브-파워보드(140)와 DMD 구동보드(150)를 냉각시킨 후 영상형성유닛(220)을 냉각시킨다. 영상형성유닛(220)을 냉각시킨 후, 분기 냉각유로(AFD)를 따르는 흡입 공기는 배기프레임(321)의 하부 배기구(321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프로젝터(10)는 분기덕트(313)에 의해 분기 냉각유로(AFD)를 형성하고 그 분기 냉각유로(AFD)를 통해 서브-파워보드(140), DMD 구동보드(150), 및 영상형성유닛(DMD 패널)(220)을 냉각시킨다. 특히, 서브-파워보드(140), DMD 구동보드(150), 및 영상형성유닛(220)의 냉각은 광원방열유닛(330)의 냉각과 독립적으로 수행되므로 파워보드(120) 및 LED 드라이버(130)의 높은 냉각 효율을 보장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프로젝터(10)는 상부 냉각유로(AFU)에 의해 투사렌즈유닛(230), 비구면미러(240), 및 광원방열유닛(330)을 냉각하고, 하부 냉각유로(AFL)에 의해 파워보드(120) 및 LED 드라이버(130)를 냉각하며, 분기 냉각유로(AFD)에 의해 서브-파워보드(140), DMD 구동보드(150) 및 영상형성유닛(220)을 냉각한다.
이들 상부 냉각유로(AFU), 하부 냉각유로(AFL) 및 분기 냉각유로(AFD)는 상호 독립적이므로 프로젝터(10)는 열적으로 상당히 안정화될 수 있다. 특히, 하부 냉각유로(AFL) 및 분기 냉각유로(AFD)에 배치된 각종 회로보드들(120, 130, 140, 150) 및 영상형성유닛(220)의 냉각은 상부 냉각유로(AFU)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그 효율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프로젝터(10)에서는 상부 냉각유로(AFU)를 통해 비구면미러(240)를 냉각하므로 비구면미러(240)의 열적 변형으로 인해 영상의 품질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프로젝터(10)에서는 LED 방열유닛들(331, 332, 333)이 서로 병렬로 배치되므로 LED 방열유닛들(331, 332, 333)의 냉각 효율이 보다 개선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프로젝션 방식의 텔레비젼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앞서 살펴본 도 1의 프로젝터(10) 및 스크린(20)을 포함한다.
프로젝터(10)에서 형성된 영상은 출사창(104)을 통해 출사됨으로써 스크린(20) 상에 표시된다. 스크린(20)은 80 인치 이상의 대형 스크린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도 1의 프로젝터(10)는 작은 스루 레이쇼를 갖는 단초점 프로젝터이므로 프로젝터(10)와 스크린(20) 간의 거리는 비교적 가깝게(예로써, 0.2 내지 0.5 m) 설정될 수 있다.
도 10의 디스플레이 장치(1)는 텔레비젼인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그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에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10 : 프로젝터 104 : 출사창
210 : 조명유닛 211, 212, 213 : LED
220 : 영상형성유닛 230 : 투사렌즈유닛
240 : 비구면미러 310 : 흡입유닛
311 : 흡입프레임 311a : 흡입구
313 : 분기 덕트 320 : 배기유닛
321a : 상부 배기구 321b : 하부 배기구
330 : 광원방열유닛 340 : 유로분리유닛

Claims (22)

  1. 스크린을 통해 영상을 표시하는 프로젝터에 있어서,
    영상을 형성하여 확대 투사하는 광학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학시스템;
    상기 광원의 발생열을 방사시키기 위한 광원방열유닛;
    상기 프로젝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다수의 회로보드들;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를 가진 흡입유닛;
    흡입 공기의 배출되는 배기구를 가진 배기유닛; 및
    상기 흡입구와 상기 배기구 사이에 형성되는 냉각유로를 상부 냉각유로와 하부 냉각유로로 분리시키는 유로분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방열유닛은 상기 상부 냉각유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회로보드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부 냉각유로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한 조명유닛;
    상기 조명유닛이 생성한 광으로부터 영상을 형성하는 영상형성유닛;
    상기 영상형성유닛에서 형성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투사렌즈유닛; 및
    확대 투사된 영상을 상기 스크린을 향해 반사시키는 비구면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구면미러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상부 냉각유로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렌즈유닛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상부 냉각유로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프레임; 및
    상기 흡입구에 배치된 흡입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유닛은,
    상기 배기구가 형성된 배기프레임; 및
    상기 배기구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배기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프레임은,
    상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상부 배기구; 및
    하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하부 배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분리유닛은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흡입프레임의 하부로부터 상기 하부 배기구를 향해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다수의 회로보드들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된 덕트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부재는,
    파워보드가 내측에 배치된 제1 덕트부; 및
    상기 제1 덕트부와 평행하며, 내측에 LED 드라이버가 배치된 제2 덕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구면미러 및 상기 투사렌즈유닛은 상기 덕트 부재의 상측에 배치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유닛은 레드-LED, 블루-LED 및 그린-LED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방열유닛은 레드-LED, 블루-LED 및 그린-LED의 냉각을 위한 제1 LED 방열유닛, 제2 LED 방열유닛 및 제3 LED 방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LED 방열유닛, 제2 LED 방열유닛 및 제3 LED 방열유닛은 세 개의 상부 배기구에 인접되게 상호 병렬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배기구 각각에는 상기 배기팬이 하나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LED 방열유닛 각각은, 대응하는 LED에 연결된 히트파이프 및 상기 히트파이프를 둘러싸는 복수의 방열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프레임은 흡입 공기의 일부분을 분기시키는 분기덕트를 구비하며, 상기 분기덕트와 상기 배기구 사이에는 분기 냉각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냉각유로 상에 상기 영상형성유닛, 서브-파워보드(SUB-SMPS) 및 DMD 구동보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렌즈유닛은,
    상기 영상형성유닛을 마주하도록 배치된 입사부; 및
    상기 비구면미러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입사부에 경사를 가지고 연결된 투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사부는 상기 프로젝터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부는 상기 프로젝터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프로젝터의 길이 방향으로 중앙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부와 상기 투사부 간의 경사각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2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형성유닛은 DMD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프로젝터; 및
    상기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된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80 인치 이상의 텔레비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10097599A 2011-09-27 2011-09-27 프로젝터 및 그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3373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599A KR20130033736A (ko) 2011-09-27 2011-09-27 프로젝터 및 그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US13/613,957 US9016870B2 (en) 2011-09-27 2012-09-13 Projector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PCT/KR2012/007729 WO2013048094A1 (en) 2011-09-27 2012-09-26 Projector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599A KR20130033736A (ko) 2011-09-27 2011-09-27 프로젝터 및 그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736A true KR20130033736A (ko) 2013-04-04

Family

ID=47910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599A KR20130033736A (ko) 2011-09-27 2011-09-27 프로젝터 및 그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16870B2 (ko)
KR (1) KR20130033736A (ko)
WO (1) WO20130480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708B1 (ko) 2020-02-26 2020-09-16 (주) 일렉트로스미스 프로젝터 하우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77253B2 (ja) * 2015-03-31 2018-08-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及びその画像劣化防止方法
JP2017003794A (ja) * 2015-06-11 2017-01-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ー
JP6598059B2 (ja) * 2015-09-09 2019-10-3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投写装置
WO2020003870A1 (ja) * 2018-06-25 2020-01-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投影装置及びその排気方法
WO2020003871A1 (ja) * 2018-06-25 2020-01-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投影装置及びその排気方法
TWI731598B (zh) * 2020-02-26 2021-06-21 宏碁股份有限公司 投影裝置
CN113311650B (zh) * 2020-02-26 2023-04-07 宏碁股份有限公司 投影装置
JP7413884B2 (ja) 2020-03-27 2024-01-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986U (ko) 1997-08-14 1999-03-05 구자홍 엘시디 프로젝터용 램프 케이스 구조
EP1193982A1 (en) * 2000-09-20 2002-04-03 Barco N.V. Projector with system for cooling the light modulators
JP3664065B2 (ja) 2000-09-29 2005-06-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源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WO2002097529A1 (ja) 2001-05-28 2004-09-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
JP3966288B2 (ja) * 2004-01-28 2007-08-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変調素子保持体、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4196913B2 (ja) 2004-09-14 2008-12-17 ソニー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装置
JP4480638B2 (ja) * 2005-07-04 2010-06-16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貫流型強制空冷ヒートシンク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
KR100628726B1 (ko) * 2005-07-26 2006-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투사장치
US7866852B2 (en) * 2007-08-29 2011-01-1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Heat sinks for cooling LEDs in projectors
US20100033689A1 (en) * 2008-08-11 2010-02-1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ooling solution for a solid state light illuminated display
CN101666964B (zh) * 2008-09-01 2011-11-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投影机
CN101673031B (zh) * 2008-09-09 2013-01-2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投影式显示装置
US20110188008A1 (en) * 2010-01-29 2011-08-04 Sanyo Electric Co., Ltd.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708B1 (ko) 2020-02-26 2020-09-16 (주) 일렉트로스미스 프로젝터 하우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48094A1 (en) 2013-04-04
US9016870B2 (en) 2015-04-28
US20130077054A1 (en) 201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3736A (ko) 프로젝터 및 그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US7481540B2 (en) Projection display device and cooling structure
KR100323568B1 (ko) 디스플레이 광학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6645667B2 (ja) 投写型表示装置
KR20010078407A (ko) 광학 장치
US8702242B2 (en) Projector
JP4046119B2 (ja) 照明装置、プロジェクタ
KR101053848B1 (ko) 영상투사장치
US11330234B2 (en) Electronic device and projectors
TWI405027B (zh) 投影機
JP5383030B2 (ja) プロジェクター
CN101644881B (zh) 投影机
US20120133907A1 (en) Cooling unit, cooling apparatus, and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US20100118280A1 (en) Light-source module and projector having same
US9645478B2 (en) Cooling device, image projection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WO2022042313A1 (zh) 投影设备
CN105324013A (zh) 冷却装置、图像投影装置和电子设备
JP2013145259A (ja) プロジェクター
US9857669B2 (en)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device with symmetrically arranged light source and power supply
US6808296B2 (en) Cooling apparatus for optical engine assembly
JP4166217B2 (ja) 照明装置及び投写型映像表示装置
CN213750639U (zh) 一种散热结构及投影装置
US11953815B2 (en) Projector
US8610870B2 (en) Air-cooling apparatus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2008176010A (ja) プロジェ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