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3690A - 독서대 겸용 필통 - Google Patents

독서대 겸용 필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3690A
KR20130033690A KR1020110097520A KR20110097520A KR20130033690A KR 20130033690 A KR20130033690 A KR 20130033690A KR 1020110097520 A KR1020110097520 A KR 1020110097520A KR 20110097520 A KR20110097520 A KR 20110097520A KR 20130033690 A KR20130033690 A KR 20130033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encil case
book
reading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윤철
신민철
Original Assignee
신윤철
신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윤철, 신민철 filed Critical 신윤철
Priority to KR1020110097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3690A/ko
Publication of KR20130033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6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4Pencil boxes; Pencil etui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 B65D85/2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for pencils or pe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서대 겸용 필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필통으로 사용하다가 필요시 독서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독서대 겸용 필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에 필기구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그 타단이 펼쳐지면서 책상에 밀착되는 지지대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어 펼쳐짐에 따라 책의 하단을 받치는 하부 받침대와; 상기 몸체의 측면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그 타단이 펼쳐지면서 책을 받쳐주는 측면 받침대; 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독서대 겸용 필통은 독서대로 이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항상 가지고 다니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든지 독서대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바르고 편안한 자세로 책을 읽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렌즈의 교환이 가능한 이동몸통을 이용하여 망원경이나 현미경으로 사용할 수 있어 학습능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각도 및 높이 측정기를 이용하여 대상물의 기울기를 측정하거나 높은 건물과 같은 대상물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독서대 겸용 필통{A PENCIL CASE}
본 발명은 독서대 겸용 필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필통으로 사용하다가 필요시 독서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독서대 겸용 필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통은 학업에 필요한 필기구 및 학습도구를 보관하는데 사용되고, 독서대는 책을 받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른 자세로 책을 읽을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대부분의 학생은 필기구를 항상 사용해야 하므로 필통이 항상 필요하고 독서대는 많이 이용되지 않아 필요시에만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독서대는 부피가 커서 가방에 가지고 다니기가 불편하고, 보관시 공간도 많이 차지한다는 이유로 이용하는 사용자가 매우 적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평상시 필통으로 사용하다가 필요시 독서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항상 가지고 다니다가 언제든지 바른 자세로 책을 읽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통을 망원경이나 현미경으로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능력이 최대화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 겸용 필통은,
내부에 필기구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그 타단이 펼쳐지면서 책상에 밀착되는 지지대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어 펼쳐짐에 따라 책의 하단을 받치는 하부 받침대와;
상기 몸체의 측면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그 타단이 펼쳐지면서 책을 받쳐주는 측면 받침대;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하부 받침대, 지지대, 측면 받침대가 수납될 수 있는 수납 홈이 형성되어 미사용시에는 각 수납 홈에 삽입되었다가 필요시 펼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홀을 관통 형성하고, 양단에 렌즈를 교체할 수 있는 이동몸통을 슬라이딩 홀에 삽입하여 망원경이나 현미경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일면에는 반원형의 각도 눈금과 그 중심에 공회전하게 설치되어 하중에 의해 항상 지면를 향하는 바늘로 구성된 각도 및 높이측정기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 겸용 필통은 독서대로 이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항상 가지고 다니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든지 독서대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바르고 편안한 자세로 책을 읽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렌즈의 교환이 가능한 이동몸통을 이용하여 망원경이나 현미경으로 사용할 수 있어 학습능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도 및 높이 측정기를 이용하여 대상물의 기울기를 측정하거나 높은 건물과 같은 대상물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 겸용 필통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 겸용 필통의 구성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 겸용 필통이 독서대로 이용되는 작동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 겸용 필통이 독서대로 이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 겸용 필통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 겸용 필통의 이동몸통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 겸용 필통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 겸용 필통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 겸용 필통의 구성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 겸용 필통이 독서대로 이용되는 작동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 겸용 필통이 독서대로 이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 겸용 필통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 겸용 필통의 이동몸통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 겸용 필통은 내부에 필기구를 담을 수 있는 공간(11)이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일단이 축 결합되어 축을 중심으로 그 타단이 펼쳐지면서 책상에 밀착되는 지지대(20)와;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어 펼쳐짐에 따라 책의 하단을 받치는 하부 받침대(30)와; 상기 몸체(10)의 측면에 일단이 축 결합되어 축을 중심으로 그 타단이 펼쳐지면서 책을 받쳐주는 측면 받침대(40); 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는 내부에 필기구를 담을 수 있는 공간(11)이 형성된 사각의 통으로 이루어지며 상부가 개방되고 개방부에 뚜껑(15)이 힌지 결합되어 개폐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뚜껑(15)은 또다시 제 1 뚜껑(15a)과 제 2 뚜껑(15b)으로 나누어지되 서로 중첩되어 이중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힌지 결합 됨으로써 뚜껑(15) 개방시 두 번 펼쳐지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제 1 뚜껑(15a)과 제 2 뚜껑(15b)의 힌지는 몸체(10)와 연결된 타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이 중 뚜껑(15)은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방부를 갖는 공간(16)이 각각 형성되어 비교적 얇은 학습도구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뚜껑(15a)에는 'ㄷ'자 모양의 수납 홈(H)을 형성하고 동일한 모양의 지지대(20)가 수납 홈(H)에 구비된다. 여기서 수납 홈(H)의 양 말단에는 측 방향으로 축공이 형성되고, 지지대(20)의 양 말단은 축공으로 삽입되는 축부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대(20)는 수납 홈(H)에 내장된 상태로 보관하다가 필요시 꺼내어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축부를 중심으로 그 타측이 회전하여 펼쳐지면서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노출되어 책상에 접하는 부분에는 고무 등의 미끄럼 방지부재(21)를 코팅하여 책상 표면으로부터 지지대(2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상기 지지대(20)는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형성할 수 있는데, 합성수지로 형성될 경우 견고성을 위해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양측 일측에 축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금속으로 형성할 경우 기다란 금속 봉의 양단을 다단 절곡시켜 'ㄷ'자로 형성하고 그 양단을 외측으로 절곡하여 축부를 형성하면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견고하면서도 쉽게 제조할 수 있어 금속 봉으로 제조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저면 일측에는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회동함에 따라 펼쳐지는 하부 받침대(30)가 설치된다. 하부 받침대(30)는 두 겹으로 이루어진 판이 중첩되어 힌지 결합된 구조를 갖고 힌지 부위에 비틀림 스프링(S)을 설치하여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항상 접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하부 받침대(30)는 'ㄴ'자 모양으로 펼쳐져 책의 하단을 감싸며 받쳐준다. 이러한 하부 받침대(30)가 설치되는 몸체(10)에는 하부 받침대(30)와 대응되는 면적의 수납 홈(H)을 형성하여 미사용시에는 수납 홈(H)에 삽입된 상태로 보관되다가 필요시 펼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몸체(10)의 양 측면에는 지지대(20)와 동일한 구조의 측면 받침대(40) 및 수납 홈(H)을 구비하되, 전후에 각각 구비하여 총 네 개의 측면 받침대(40)를 구비한다. 이러한 측면 받침대(40)는 축부와 축공을 서로 먼 쪽에 형성하여 측면 받침대(40)가 전후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한다. 이러한 측면 받침대(40)는 펼쳐진 책이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사용된다. 아울러 상기 측면 받침대(40)는 펼쳐지는 각도가 단계별로 조절되도록 수납 홈(H)의 상하면에 반구형 돌부를 형성하여 측면 받침대(40)가 돌부와 돌부 사이에 위치되어 걸림으로써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측면 받침대(4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장소 및 책의 크기나 두께와 상관없이 견고하게 받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평상시에는 필통으로 사용하다가 책을 받치기 위해 독서대로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양측면에 구비된 측면 받침대(40)를 수평으로 펼친다. 이때, 측면 받침대(40)의 말단부를 손으로 잡고 측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측면 받침대(40)의 축부를 기준으로 회동하여 수평으로 펼쳐진다. 다음으로 제 1 뚜껑(15a)에 구비된 지지대(20)를 펼치기 위해 지지대(20)의 말단부를 손으로 잡고 당기면 축부를 중심으로 지지대(20)가 펼쳐진다. 이때 몸체(10)의 일측 모서리와 지지대(20)의 말단이 책상 표면에 접함으로써 지지대(20)의 펼쳐지는 각도에 따라 몸체(10)가 수직상태에서 기울어진다. 마지막으로 하부 받침대(30)의 일단을 당겨 'ㄴ'모양으로 펼친 다음 책을 펼쳐 책의 하단을 하부 받침대(30)에 올려놓는다. 그러면 하부 받침대(30)가 비틀림 스프링(S)에 의해 책을 하단을 감싸면서 받쳐주게 되고 펼쳐진 책의 양단을 측면 받침대가 받쳐줌으로써 바른 자세로 책을 읽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독서대로 사용하다가 필통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펼쳐진 지지대(20)와 하부 받침대(30) 및 측면 받침대(40)를 각각의 수납 홈(H)에 삽입하면 다시 필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0)는 뚜껑(15)이 개방되지 않는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홀(17)이 관통 형성되며 이 슬라이딩 홀(17)에는 관 형상의 이동몸통(50)이 끼워져 슬라이딩 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이동몸통(50)은 그 양단에 렌즈(L)를 교체할 수 있는 커버(51)가 나선 결합 되는데, 커버(51)는 원통 형상을 갖으며 이동몸통(50)과 결합되는 타단 내주연으로 단턱(52)이 형성되어 이 단턱(52)과 이동몸통(50) 사이에 렌즈(L)가 개재되어 고정된다. 한편 상기 뚜껑(15) 중 어느 하나의 공간(16)에 다수의 렌즈(L)를 보관할 수 있는 렌즈 수납함(53)을 구비하여 이동몸통(50)에 사용될 대물렌즈, 접안렌즈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원하는 렌즈(L)를 선택하여 이동몸통(50)에 사용함으로써 망원경이나 현미경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슬라이딩 홀(17)의 일단 측면에는 렌즈(L)를 삽입할 수 있는 렌즈 홈(18)이 형성되고 삽입된 렌즈(L)의 이탈을 방지하며 마감하는 커버(19)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일면에는 각도 및 높이 측정기(60)가 설치된다. 각도 및 높이 측정기(60)는 눈금이 그려진 반원형의 눈금 판(61)이 부착되고 그 중앙에 바늘(62)이 공회전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바늘(62)의 끝을 크게 형성하여 자중에 의해 바늘(62) 끝이 항상 아래를 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각도 및 높이 측정기(60)가 설치된 필통을 이용하여 대상물의 경사 각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대상물의 경사면과 필통의 측면을 동일하게 위치시킨다. 이때 바늘(62)은 자중에 의해 지면과 수직 방향을 유지하는데, 바늘(62) 끝이 가리키는 눈금이 대상물의 각도가 된다.
그리고 건물이나 나무와 같이 큰 대상물의 높이를 측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대상물의 상단을 바라보고 그 시선에 필통의 측면을 일치시켜 바늘이 가리키는 각도를 측정한 후 대상물과 측정하는 위치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이와 같이 거리와 각도를 알기 때문에 삼각함수에 의해 대상물의 높이를 계산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대상물과 측정자의 거리 A를 30M라 하고 대상물을 향한 각도 B를 30이라 하면, 30 tan30 = 17.32M가 된다. 여기에 지면으로부터의 눈 높이가 1.7M라면 눈높이를 더해 19.02M가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필통 하나만으로 언제 어디서든지 독서대, 망원경, 현미경, 각도 및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10 : 몸체 11, 16 : 공간 17 : 슬라이딩 홀
18 : 렌즈 홈 19, 51 : 커버 20 : 지지대
21 : 미끄럼 방지부재 30 : 하부 받침대 40 : 측면 받침대
50 : 이동몸통 60 : 각도 및 높이 측정기 61 : 눈금 판
62 : 바늘 H : 수납 홈 L : 렌즈

Claims (4)

  1. 내부에 필기구를 담을 수 있는 공간(11)이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일단이 축 결합되어 축을 중심으로 그 타단이 펼쳐지면서 책상에 밀착되는 지지대(20)와;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어 펼쳐짐에 따라 책의 하단을 받치는 하부 받침대(30)와;
    상기 몸체(10)의 측면에 일단이 축 결합되어 축을 중심으로 그 타단이 펼쳐지면서 책을 받쳐주는 측면 받침대(40);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겸용 필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하부 받침대(30), 지지대(20), 측면 받침대가(40) 수납될 수 있는 수납 홈(H)이 각각 형성되어 미사용시에는 각각의 수납 홈(H)에 삽입되었다가 필요시 펼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겸용 필통.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홀(17)을 관통 형성하고, 양단에 렌즈(L)를 교체할 수 있는 이동몸통(50)을 슬라이딩 홀(17)에 삽입하여 망원경이나 현미경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겸용 필통.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일면에 각도 및 높이 측정기를 설치하되, 상기 각도 및 높이 측정기(60)는 눈금이 그려진 반원형의 각도 판(61)과; 각도 판(61)의 중앙에 공회전하게 설치되어 하중에 의해 항상 지면을 향하는 바늘(6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겸용 필통.
KR1020110097520A 2011-09-27 2011-09-27 독서대 겸용 필통 KR201300336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520A KR20130033690A (ko) 2011-09-27 2011-09-27 독서대 겸용 필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520A KR20130033690A (ko) 2011-09-27 2011-09-27 독서대 겸용 필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690A true KR20130033690A (ko) 2013-04-04

Family

ID=48436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520A KR20130033690A (ko) 2011-09-27 2011-09-27 독서대 겸용 필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369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205Y1 (ko) * 2013-07-09 2013-12-06 김경환 크기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CN104972786A (zh) * 2014-04-11 2015-10-14 德胜(苏州)洋楼有限公司 一种装饰收纳书盒
KR102236327B1 (ko) * 2019-12-23 2021-04-05 (주) 서현피엠에스 케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205Y1 (ko) * 2013-07-09 2013-12-06 김경환 크기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CN104972786A (zh) * 2014-04-11 2015-10-14 德胜(苏州)洋楼有限公司 一种装饰收纳书盒
KR102236327B1 (ko) * 2019-12-23 2021-04-05 (주) 서현피엠에스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4465B2 (en) Slant board
JPWO2018216488A1 (ja) 自立型収納具
KR20130033690A (ko) 독서대 겸용 필통
US20180160219A1 (en) Transportable loudspeaker system having a large sound and resonance volume on the basis of a sound panel with reflection and resonance effect
KR20150059372A (ko) 보조 독서판이 구비된 독서대
US20100243854A1 (en) Presentation pad easel
JP3165771U (ja) 折畳式携帯書見台
KR100627010B1 (ko) 독서대 및 필기구 보관함이 구비된 책상
WO2022112569A1 (en) Compact stand
KR20220068463A (ko) 독서대
KR100844517B1 (ko) 독서대 겸용 필통
KR200409317Y1 (ko) 독서대 및 필기구 보관함이 구비된 책상
CN208941223U (zh) 多功能便携式支架
CN221059812U (zh) 一种可以充当阅读支撑架的文具盒
KR20170059850A (ko) 다용도 연필꽂이
US11844427B2 (en) Self-sustained portable music stand extender
RU2771149C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трансформируемая папка-подставка для носителей изображений
KR102250577B1 (ko) 보면대를 구비한 악기케이스
KR20100007848U (ko) 서랍을 형성한 독서대
KR200465309Y1 (ko) 필통이 구비된 책 지지대
CN215076314U (zh) 语文教学读书架
KR102582340B1 (ko) 책넘김 방지기구
KR101253287B1 (ko) 변형 필통
CN209063745U (zh) 一种田间调查板
CN211882620U (zh) 一种立式文具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