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3682A - 산업설비에 구비된 분체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산업설비에 구비된 분체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3682A
KR20130033682A KR1020110097502A KR20110097502A KR20130033682A KR 20130033682 A KR20130033682 A KR 20130033682A KR 1020110097502 A KR1020110097502 A KR 1020110097502A KR 20110097502 A KR20110097502 A KR 20110097502A KR 20130033682 A KR20130033682 A KR 20130033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coal
hopper
vertical
powder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3543B1 (ko
Inventor
소병수
Original Assignee
소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병수 filed Critical 소병수
Priority to KR1020110097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3543B1/ko
Publication of KR20130033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3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3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4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reciprocating conveyors, e.g. jigging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26Hoppers, i.e. containers having funnel-shaped discharge sections
    • B65D88/28Construction or shape of discharge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0Feeding or distributing of lump or pulverulent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16Over-feed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2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 B65G2814/0241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spreading out the material over the whole surface to be loaded
    • B65G2814/0276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spreading out the material over the whole surface to be loaded using scraping means other than belts or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력 발전소, 산업용 보일러 등에 구비된 분체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석탄 화력의 연소설비 계통에 있어서,
분체 호퍼 내면에 수직으로 다수 설치되어 상하 작동에 의해 막힌 석탄을 해소할 수 있도록 된 분체 루저 장치와; 상기 분체 루저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호퍼 하단 수직배관에 설치되어 석탄의 하강흐름 진동을 감지하는 하강흐름 감지센서와; 상기 분체 호퍼에서 공급된 석탄을 계량공급하는 분체 공급장치의 상부에설치되어 수평으로 이동하는 석탄의 양을 감지하여 호퍼 초기 막힘 신호를 사전에 보내는 수직센서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은 분체 호퍼 또는 수직배관에 설치된 분체 루저 장치를 석탄이 막히기 전에 미리 분체 호퍼 내벽에 달라붙은 석탄을 사전에 제거 함으로서 석탄의 막힘으로 인하여 화력발전소의 운전을 방해하는 요소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동시에, 호퍼 또는 수직배관이 막혔다 하더라도 신속하게 뚫어 운전에 방해를 받지 않도록 하는 산업설비에 구비된 분체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산업설비에 구비된 분체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Plugging prevention system for pulverulent Hopper in industrial facilities}
본 발명은 산업설비에 구비된 분체(粉體)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석탄을 열원으로 하는 산업용 석탄보일러 또는 시멘트, 밀가루등의 분체 또는 고체를 사용하는 플랜트에 구비된 호퍼의 벽면 내벽 또는 수직배관 내부에 분체 루저(Pulverulent Looser) 장치를 설치하여 분체 또는 고체의의 막힘을 사전에 방지하거나 막혔을 경우 뚫기 위한 산업설비에 구비된 분체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석탄 보일러 등과 같이 석탄을 열원으로 사용하는 석탄 화력의 연소설비 시스템에서 석탄은 석탄 호퍼에서 수직배관을 통하여 분체 공급장치(Coal Feeder)로 공급되며, 분체 공급장치에서 계량된 석탄은 별도의 수직배관을 통하여 분쇄기에서 분쇄된 후 연소실로 공급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석탄화력의 연소설비 계통에 있어서, 석탄 공급과정에서 막힘(Plugging) 현상의 발생은 비가 자주내리는 하절기와 날씨가 추워 동결되는 동절기에 발생빈도가 높으며, 석탄에 수분이 많이 함유되거나 석탄의 품질이 낮아질 경우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석탄이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을 경우, 석탄 호퍼 또는 수직배관에 막힘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진동장치를 이용하여 호퍼 또는 수직배관 벽면에 진동을 주어 막힘을 해소하거나, 해머 등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충격을 주어 석탄의 막힘을 해소하고 있으나, 수분이 많아 막힌 석탄은 내벽에 견고하게 달라붙어 있는 관계로 진동이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해소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석탄의 막힘이 해소되지 않으면 사람이 호퍼 상부에 올라가 막힌 석탄을 퍼내는 방법으로 뚫고 있으나 이 경우 막힌 석탄이 갑자기 뚫리면서 사람이 쓸려 내려가 생명에 위험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석탄 호퍼나 수직배관의 막힘을 해소하기 위해 진동이나 외부충격을 가하는 방법으로는 시간지연과 기기손상 등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설비 개선방법으로 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해 호퍼를 변형시키거나 배관을 확관시킬 경우 분체 공급장치의 기능이 저하되어 측정오차가 커지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부하감발 등 정상운전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석탄화력의 연소 설비 계통에 있어서 석탄 호퍼 또는 수직배관 내부에 기계적인 구동이 가능한 분체 루저(Pulverulent Looser) 장치를 설치하여 호퍼 하단에 설치된 흐름 감지 센서 또는 분체 공급장치에 설치된 수직센서에 의해 실시간으로 분석되는 석탄의 흐름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분체 루저(Pulverulent Looser) 장치를 작동시킴으로서 석탄의 막힘 초기 또는 막힘과 동시에 이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여 정상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산업용 석탄보일러 또는 시멘트, 밀가루 등의 분체 또는 고체를 사용하는 플랜트에 구비된 분체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력발전소 또는 산업용 석탄보일러, 시멘트 생산시스템, 레미콘회사, 제분회사 등의 호퍼에 석탄 또는 레미콘, 밀가루(이하 "석탄"으로 통칭함) 등을 공급하기 위한 석탄이 분체 호퍼(100)를 통하여 분체 공급장치(Coal Feeder)(110)로 공급되며, 분체공급장치(110)에서 계량된 석탄은 수직배관(120)을 통하여 분쇄기(130)로 공급되어 연소실(140)로 공급되는 분체 이송 시스템에 있어서,
분체 호퍼 내면에 수직으로 다수 설치되어 상하 작동에 의해 막힌 석탄을 뚫을 수 있도록 된 분체 루저 장치와;
상기 분체 루저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분체 호퍼 하단 수직배관에 설치되어 석탄의 하강 흐름시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는 하강 흐름 감지센서와;
상기 분체 호퍼에서 공급된 석탄을 계량공급하는 분체 공급장치의 상부에 설치되어 수평으로 이동하는 석탄의 양을 감지하여 분체 호퍼 초기의 막힘 신호를 중앙제어실로 보내는 수직센서로 이루어진 산업설비에 구비된 분체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체 호퍼 내측면에 설치되는 분체 루저 장치는 상부에 유압실린더가 설치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와 스프린트를 조인트 리버로 연결하며, 상기 스프린트 하단에 소정의 길이로 수직봉이 설치되고 상기 수직봉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분체 털개 날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체 털개 날은 평면상 직선형 또는 호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체 털개 날은 하단 면에 톱니 형상의 요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봉에 설치된 분체 털개 날은 고정 또는 가변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분체중에서도 석탄을 열원으로 이용하는 화력발전소 또는 산업용 석탄 보일러의 호퍼 및 수직 배관에 분체 루저 장치를 설치하여 젖은 분체에 의해 호퍼가 막히거나 또는 막힘 징조를 사전에 감지하여 분체 루저(Coal Looser)장치가 작동 되도록 함으로서 운전을 정상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갖는다.
도1은 본 발명의 분체 호퍼와 수직배관에 설치되는 분체 루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분체인 석탄을 열원으로 한 석탄 화력의 연소설비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 루저 장치가 설치된 호퍼 구성 발췌도.
도4는 본 발명의 분체 털개 날의 형상을 나타낸 예시도.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분체 루저 장치의 분제 털개 날이 작동시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된 상태의 예시도.
도6은 본 발명의 분체 공급장치에 설치된 수직 센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실시 예의 설명에서는 석탄 이송 및 공급장치, 시멘트 이송 및 공급장치, 밀가루 이송 및 공급장치, 레미콘 믹싱 공급장치 중에서 석탄 이송 및 공급장치를 실시 예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분체 호퍼와 수직배관에 설치되는 분체 루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분체 루저(Coal Looser)장치(20)는 분체 호퍼(100) 내 벽면의 직각 또는 기울기에 따라 설치된다.
상기 분체 호퍼(100)에 설치되는 분체 루저 장치(20)는 분체 호퍼(100)의 크기에 따라서 설치되는 갯수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즉, 분체 호퍼(100)의 용적 면적에 따라서 한개 이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분체 호퍼(100) 내측면에 설치되는 분체 루저(Coal Looser)장치(20)는 상부에 메인 컨트롤부(150)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 실린더(21)가 설치되고 상기 유압 실린더(21)와 스프린트(23)를 조인트 리버(22)로 연결하며, 상기 스프린트(23) 하단에 소정의 길이로 수직봉(24)이 설치되고, 상기 수직봉(24)에는 일정한 간격 또는 불균일하게 다수의 분체 털개 날(25)이 설치된다.
상기 분체 호퍼(100)에 설치되는 분체 루저 장치(20)는 분체 호퍼(100)의 하단에 설치된 하강 흐름 감지센서(10)의 감지 신호가 메인 컨트롤부(150)에 보내지면 메인 컨트롤부(150)는 하강흐름 감지센서(10)의 입력된 신호를 계산하여 정상운전시 가감되는 흐름에 따른 진동의 주파수에 비하여 현저히 떨어지거나 진동 발생이 없을 경우 신호를 분체 루저 장치(20)에 보내 유압 실린더(21)가 작동되도록 하면 수직봉(24)이 수직선상에서 약 20㎝의 간격으로 왕복 운동을 실시한다.
상기 수직봉(24)은 분체 호퍼(100) 내 벽면에 근접되도록 설치되어 분체 털개 날(25)이 분체 호퍼의 내벽면과 근접 대응된 상태이므로 유압 실린더(21)에 의해 상하 왕복운동을 하는 수직봉(24)을 따라서 상하 이동하면서 호퍼 내측 벽면에 달라 붙은 석탄(200)을 제거하여 석탄이 분체 호퍼에서 이탈되어 하강하도록 한다.
도1에 도시된 분체 루저 장치의 수직봉(24)에 설치된 다수의 분체 털개 날(25)은 수직봉(24)에 고정된 상태이며, 분체 털개 날(25)의 하단부는 달라붙은 석탄이 용이하게 떨어질 수 있도록 톱니형 칼날 형태로 이루어졌다.
또한, 상기 분체 호퍼(100) 및 수직 배관(120)에 설치되는 분체 루저 장치(20)의 유압 실린더(21)는 호퍼 또는 수직 배관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스프린트(23)와 수직봉(24) 분체 털개 날(25)은 내부에 설치되어 석탄(200)이 달라붙어 막히는 것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유압실린더(21)와 스프린트(23) 사이를 연결하는 조인트 리버(22)는 유압실린더(21)의 유압을 전달하는 전달봉 역할을 하며, 조인트 리버(22)의 말단부와 수직봉 사이에 연결된 스프린터(23)는 부목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조인트 리버에 전달된 유압력이 수직봉에 전달되고 좌우로 흔들림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부목역할을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석탄을 열원으로 한 석탄 화력의 연소설비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2는 화력발전소를 예시한 것이나 산업용 보일러 역시 동일 계통으로 이루어지므로 편의상 석탄을 열원으로 사용하는 화력발전소의 연소 설비장치를 실시 예로 설명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탄을 열원으로 사용하는 화력 발전소는 석탄을 공급하기 위해 석탄이 투입되는 분체 호퍼(100)가 설치되며, 석탄(200)은 분체 호퍼(100)를 통하여 하부에 위치한 분체 공급장치(110)로 투입되며, 상기 분체 공급장치(Coal Feeder)(110)로 투입된 석탄은 내부에 설치된 컨베이어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된 후 하부에 수직선상으로 설치된 수직배관(120)으로 낙하된 다음 분쇄기(130)에 의해 분쇄된 후 각각의 이송배관을 통하여 연소실로 투입되어 열원으로 사용되도록 연소설비 시스템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연소설비 시스템의 설비장치 중 호퍼와 수직 배관은 하절기와 동절기의 계절에 따라서 또는 주변의 습도에 의해 석탄이 젖어 있을 경우 잘 막힘으로서 화력발전소를 운전함에 있어서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는 요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분체 호퍼(100)의 하단부에 한개 이상의 하강흐름 감지센서(10)를 설치하여 호퍼 내의 석탄이 하부로 낙하되면서 발생하는 진동 주파수를 감지하여 일측에 설치된 메인 컨트롤부(150)에 신호를 보냄으로서 분체 호퍼의 막힘 여부를 조기에 판단하여 분체 루저 장치를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메인 컨트롤부(150)의 CPU에는 분체 호퍼(100)에서 석탄이 정상적으로 공급시 발생되는 진동에 따른 주파수 값을 설정하며, 더불어 호퍼가 막히기 시작한 초기의 진동 주파수와 완전히 막혀 진동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 대한 진동에 대한 주파수 값을 설정한다.
따라서, 분체 호퍼(100)의 내면에 젖은 석탄이 달라붙어 석탄이 배출되는 양이 점점 줄어 진동이 작아지면 하강흐름 감지센서(10)가 이를 감지하여 메인 컨트롤부(150)에 신호를 보내면 메인 컨트롤부(150)는 이의 신호를 명령신호로 변환하여 분체 루저 장치(20)가 작동되도록 함으로 분체 호퍼가 막히기 시작하는 초기에 작동하여 화력 발전소의 운전을 정상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강흐름 감지센서(10)는 분체 호퍼가 완전히 막히는 동시에 감지된 신호를 메인 컨트롤부(150)에 신호를 보내고, 상기 메인 컨트롤부는 이를 다시 분체 루저 장치로 보내 분체 루저 장치가 작동되도록 함으로서 호퍼가 막힘과 동시에 신속하게 뚫을 수 있도록 함으로 화력발전소의 운전을 방해하지 않고 정상적인 운전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분체 호퍼(100), 분체 공급장치(110), 수직 배관(120), 분쇄기(130), 연소실(140), 메인 컨트롤부(150), 모니터(160)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은 통상의 화력발전소와 산업용 보일러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시스템으로서 설비에 관련된 시스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본원발명의 주목적인 분체 호퍼 및 수직배관이 석탄에 의해 막혀 운전에 장애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분체 루저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하강흐름 감지센서 (10) 및 수직센서(11)의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 루저 장치가 설치된 분체 호퍼 구성 발췌도로서, 사각형 또는 원형 호퍼 형태로 이루어진 분체 호퍼(100) 내측 변에 근접되도록 분체 루저 장치(20)가 설치된다. 상기 분체 호퍼 내측에 설치되는 분체 루저 장치(20)의 유압실린더(21)는 분체 호퍼(100)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하단의 수직봉(24)과 분체 털개 날(25) 부분은 분체 호퍼 내벽에 설치된다.
상기 유압실린더가 위치하는 분체 호퍼(100)의 일면은 유압 실린더(21)가 수납될 수 있도록 외면이 개방된 홈부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분체 호퍼(100)에 설치되는 분체 루저 장치는 수직봉(24) 부분이 드릴로 형성되어 유압실린더로 드릴 형태의 수직봉을 회전시켜 분체 호퍼(100) 또는 수직 배관의 내벽에 달라붙은 석탄을 분리시켜 막힘을 뚫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분체 루저 장치의 수직봉이 드릴 형태로 이루어진 것보다 수직봉에 다수의 분체 털개 날(25)을 설치하여 석탄이 막히거나 막힌 석탄을 뚫는 것이 더 효율적이며 바람직하다.
도4는 본 발명의 분체 털개 날의 형상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4의 (a)부분은 수직봉에 설치되는 분체 털개 날이 평면상 수평으로 이루어진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 분체 호퍼의 벽체 내면이 평평한 판 형상에 효과적으로 석탄을 제거할 수 있도록한 것이며, (b)부분의 분체 털개 날은 평면에서 볼 때 호(弧)형으로 이루어져 분체 호퍼의 벽체 내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경우 효과적으로 달라붙은 석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분체 루저 장치의 분체 털개 날이 작동시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된 상태의 예시도로서, 도5에 도시된 분체 털개 날(25)은 수직봉(24)의 가변부(27)에서 상하 작동시 유동되도록 설치함으로서 분체 호퍼 내벽에 달라붙은 석탄이 잘 떨어지도록 한다.
즉, 분체 호퍼 내벽에 달라붙은 석탄은 젖은 상태로 달라 붙거나, 또는 동절기의 경우 얼은 상태로 달라붙은 경우에는 수직봉이 상하 이동하면서 분체 털개 날이 상하 이동되면서 벽면에 달라붙은 석탄을 분리하게 되는데 이때 석탄 털개 날이 수직봉을 중심축으로 전후 좌우로 움직이므로 호퍼 내벽면에 달라붙은 석탄을 효과적으로 분리시켜 호퍼 또는 수직배관이 막힌 것을 뚫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분체공급장치에 설치된 수직 센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로서, 상기 수직센서는 수조에 설치된 부구와 같은 구조로서 공급 장치의 컨베이어(28)에 의해 이동되는 석탄이 많이 쌓였을 경우에는 석탄(200)이 이동되면서 설치된 수직센서(11)를 일측으로 밀어 비스듬한 형태를 취함으로서 이 경우에는 분체 호퍼를 통하여 공급되는 석탄이 원활하게 공급되는 경우이며, 컨베이어에 의해 이동되는 석탄(200)이 적을 경우에는 컨베이어 상면에 설치된 수직센서(11)가 기울어 지지 않고 수직상태를 유지함으로 이 경우에는 분체 호퍼를 통과하는 석탄의 양이 적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분체 호퍼가 막히고 있다는 사전 정보이므로 감지된 신호를 메인 컨트롤부(150)에 보내고 감지된 신호는 메인 컨트롤부에서 분체 루저 장치로 명령신호를 보내 작동하도록 함으로서 분체 호퍼가 막히기 전에 내벽에 달라붙은 석탄을 제거하여 석탄의 공급이 원활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분체 호퍼 또는 수직배관에 설치된 분체 루저 장치를 석탄이 막히기 전에 미리 분체 호퍼 내벽에 달라붙은 석탄을 사전에 제거 함으로서 석탄의 막힘으로 인하여 화력발전소의 운전을 방해하는 요소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동시에, 호퍼 또는 수직배관이 막혔다 하더라도 신속하게 뚫어 운전에 방해를 받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의 분체 호퍼에 설치되는 분체 루저 장치는 상기에서 설명한 석탄 뿐만 아니라 밀가루 공급창치의 호퍼, 설탕제조시 공금장치의 호퍼, 시멘트 제조사의 시멘트 공급장치 호퍼, 레미콘회사의 레미콘 공급 호퍼등 분체를 공급하기 위한 호퍼에는 모두 적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100:분체 호퍼 110:분체 공급장치
120:수직 배관 130:분쇄기
140:연소실 150:메인 컨트롤부
160:모니터 200:석탄
10:하강흐름 감지센서 11:수직센서
20:분체 루저장치 21:유압 실린더
22:조인트 리버 23:스프린트
24:수직봉 25:분체 털개 날
26:요철 27:가변부
28:컨베이어

Claims (5)

  1. 화력발전소 또는 산업용 석탄보일러에 석탄을 공급하기 위해 석탄이 분체 호퍼(100)를 통하여 분체 공급장치(Coal Feeder)(110)로 공급되며, 상기 분체 공급장치(110)에서 계량된 석탄은 수직배관(120)을 통하여 분쇄기(130)로 공급되어 연소실(140)로 공급되는 석탄 화력의 연소설비 시스템에 있어서,
    분체 호퍼(100) 내면에 수직으로 다수 설치되어 상하 작동에 의해 막힌 석탄을 뚫을 수 있도록 된 분체 루저 장치(20)와;
    상기 분체 루저 장치(2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분체 호퍼 하단 수직배관에 설치되어 석탄이 하강되는 흐름의 진동을 감지하는 하강흐름 감지센서(10)와;
    상기 분체 호퍼(100)에서 공급된 석탄을 계량공급하는 분체 공급장치(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수평으로 이동하는 석탄의 양을 감지하여 분체 호퍼 초기 막힘 신호를 중안제어실에 보내는 수직센서(1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설비에 구비된 분체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 호퍼 내측면에 설치되는 분체 루저 장치는 상부에 유압실린더(21)가 설치되고 상기 유압실린더(21)와 스프린트(23)를 조인트 리버(22)로 연결하며, 상기 스프린트(23) 하단에 소정의 길이로 수직봉(24)이 설치되고, 상기 수직봉에는 일정한 간격 또는 불균일하게 다수의 분체 털개 날(25)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설비에 구비된 분체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 털개 날은 직선형 또는 호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설비에 구비된 분체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 털개 날은 하단 면에 톱니 형상의 요철(2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 발전소에 구비된 분체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수직봉은 분체 털개 날이 설치되지 않고 수직봉이 드릴로 이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설비에 구비된 분체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
KR1020110097502A 2011-09-27 2011-09-27 산업설비에 구비된 분체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 KR101273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502A KR101273543B1 (ko) 2011-09-27 2011-09-27 산업설비에 구비된 분체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502A KR101273543B1 (ko) 2011-09-27 2011-09-27 산업설비에 구비된 분체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682A true KR20130033682A (ko) 2013-04-04
KR101273543B1 KR101273543B1 (ko) 2013-06-18

Family

ID=48436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502A KR101273543B1 (ko) 2011-09-27 2011-09-27 산업설비에 구비된 분체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35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607B1 (ko) * 2013-02-26 2014-11-03 (주)에스테크 잉곳 원료 연속공급장치 및 그 연속공급방법
CN107435935A (zh) * 2016-05-27 2017-12-05 深圳市汇清科技股份有限公司 焚烧炉
CN109018918A (zh) * 2018-08-15 2018-12-18 乐清市圣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加料装置
KR20240018317A (ko) 2022-08-02 2024-02-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활물질 슬러리의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414B1 (ko) * 2017-09-15 2019-09-16 라이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호퍼 내면 스크래핑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3545B2 (ja) * 1996-12-17 2002-02-04 日本鋼管株式会社 コークス炉石炭装入車の石炭詰まり解消方法および装置
KR200215130Y1 (ko) * 2000-06-28 2001-03-02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코크스 오븐에서 생성된 카본 파쇄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607B1 (ko) * 2013-02-26 2014-11-03 (주)에스테크 잉곳 원료 연속공급장치 및 그 연속공급방법
CN107435935A (zh) * 2016-05-27 2017-12-05 深圳市汇清科技股份有限公司 焚烧炉
CN109018918A (zh) * 2018-08-15 2018-12-18 乐清市圣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加料装置
KR20240018317A (ko) 2022-08-02 2024-02-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활물질 슬러리의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3543B1 (ko) 201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3543B1 (ko) 산업설비에 구비된 분체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
CN204250511U (zh) 一种自动拆包装置
WO2011090422A8 (en) Shredding device and a method using such a shredding device
CN205550419U (zh) 一种矿山开采用矿石破碎输送装置
CN103600938B (zh) 用于火力发电厂原煤输送系统中的自动疏煤装置
CN103612845A (zh) 一种改造给煤机蓬煤的装置
CN111115037A (zh) 一种矿井煤仓智能清理装置及方法
CN107367399A (zh) 煤炭自动取样装置
CN210332918U (zh) 一种煤炭资源绿色开发用碎煤装置
CN203081461U (zh) 混凝土自动搅拌输送上料机
CN211469478U (zh) 一种原煤仓落煤斗的清堵装置
CN208022143U (zh) 一种落煤管防堵控制系统
CN204038254U (zh) 火力发电厂中煤仓防堵疏通装置
CN211310209U (zh) 烧结工艺混合料皮带运输平料装置
CN204737368U (zh) 一种矿料输送带清理装置
CN103183205A (zh) 一种喂料机
CN204568728U (zh) 一种转底炉皮带传输的自动清洁除尘装置
CN204507818U (zh) 一种智能旋转清堵机
CN209399386U (zh) 一种锅炉干式底渣处理系统
KR20130042278A (ko) 보일러용 석탄 사일로의 잔탄 제거장치
CN206447135U (zh) 一种用于锅炉的煤渣输送机
CN204453760U (zh) 下料溜斗防堵制动装置
CN205652779U (zh) 一种原煤斗下煤管防堵装置
CN203727963U (zh) 一种料仓破拱机构
CN205418634U (zh) 带有百叶片防尘结构的空气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