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3584A - 식생용 매트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식생용 매트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3584A
KR20130033584A KR1020110097319A KR20110097319A KR20130033584A KR 20130033584 A KR20130033584 A KR 20130033584A KR 1020110097319 A KR1020110097319 A KR 1020110097319A KR 20110097319 A KR20110097319 A KR 20110097319A KR 20130033584 A KR20130033584 A KR 20130033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vegetation
vegetation mat
soil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4723B1 (ko
Inventor
김철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Priority to KR1020110097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4723B1/ko
Publication of KR20130033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3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synthetic organic compoun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대응하는 면적을 가지는 패드로서, 테두리가 접합되어 내부에 토양을 수용하는 공간부가 형성된 매트 본체; 상기 매트 본체의 일면에 마련되어, 식물이 식재되고 상기 공간부에 토양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방부; 및 상기 개방부의 선택적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여 토양의 공급과, 식물의 식재공간을 형성시키기 위한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는, 자웅의 이물림을 이용한 지퍼(zipper)인 것이며, 상기 지퍼의 부분적 개방이 용이하도록 복수의 고리가 쌍을 이루어 서로 마주에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매트와, 경사면 또는 수평면 구조물에 상기 식생용 매트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상에 고정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고정구에 식생용 매트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생용 매트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식생용 매트 및 시공방법{Mat for vegetation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서로 대응하는 면적을 가지는 패드로서, 테두리가 접합되어 내부에 토양을 수용하는 공간부가 형성된 매트 본체; 상기 매트 본체의 일면에 마련되어, 식물이 식재되고 상기 공간부에 토양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방부; 및 상기 개방부의 선택적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여 토양의 공급과, 식물의 식재공간을 형성시키기 위한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는, 자웅의 이물림을 이용한 지퍼(zipper)인 것이며, 상기 지퍼의 부분적 개방이 용이하도록 복수의 고리가 쌍을 이루어 서로 마주에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매트와, 경사면 또는 수평면 구조물에 상기 식생용 매트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상에 고정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고정구에 식생용 매트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생용 매트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도시녹화는 도심속 녹지를 조성하여 오염된 공기의 정화작용은 물론, 태양열을 차단하는 등 단열효과를 지니고 있어 냉방부하를 감소시키는 효과와, 나아가 도시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연 친화적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요소이다.
그러나 종래의 도시녹화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토양에 식물(모종 내지는 묘목)을 식재하고, 안정적 생육환경이 조성되도록 제초는 물론, 자연환경으로부터 토양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지속적 관리를 요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즉, 토양에 홀씨가 안착 될 수 있는 자연환경에 노출되어 식재된 식물에 대한 생장환경을 위협하게 되는 문제와 함께, 비 내지는 바람 등에 의해 식재영역이 유실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는 조성된 녹지에 대한 이동 및 변경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는데, 이는 식재된 식물에 대한 이동은 물론, 토양에 대한 이동이 용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만약, 토양과 함께, 식재된 식물을 무리하여 이동할 경우, 토양의 이전이 용이하지 못할 뿐더러, 더욱이 토양에 뿌리를 내린 식물을 뽑아 이송한다는 것은 뿌리의 손상을 초래하여 식물이 폐사할 수도 있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식물이 식재되는 환경이 법면 내지는 사면일 경우, 기후의 영향으로 식물이 쉽게 손상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특히, 장마철 폭우 등에 의해 토양과 식물이 함께 유실되어, 식물의 폐사는 물론, 유실된 토양이 도심을 오염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법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양이 채워진 매트에 식물을 식재함으로써, 평면은 물론, 법면 내지는 사면에서의 녹지조성이 용이한 식생용 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구부 이외의 영역이 폐쇄되어 타 식물의 유입을 방지하여 식물의 안정적 생육환경을 조성시킬 수 있는 식생용 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토양이 매트에 채워진 상태로 시공됨으로, 자연환경으로부터 토양이 유실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식생용 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토양이 채워진 상태로의 매트 이동이 가능하여, 조성된 녹지의 이전 및 변경이 용이한 식생용 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생부의 위치 변경이 용이하여 식물의 식재위치 선정의 폭이 넓으며, 식물 줄기의 성장과 함께 식생부의 면적이 확장 되도록 하여 식물의 안정적 생육환경은 조성시킬 수 있는 식생용 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목적은 매트에 토양을 채우기 위한 공급부가 포켓형태로 이루어져 토양의 채움과 비움은 물론, 보충이 용이하고, 격자망 구조의 격벽으로 인해 이동 및 설치시 토양의 쏠림현상을 최소화한 식생용 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매트가 투습성의 부직포로 이루어져, 유체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하고, 또한 자외선과 마주하는 일면에는 자외선 코팅부가 형성되어 자외선에 의한 매트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식생용 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매트에 부유재가 구비되어, 육상을 물론, 수중에서도 식물의 안정적 생육환경을 조성시킬 수 있는 식생용 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식생용 매트를 수평면, 경사면 어디든 설치할 수 있고, 따라서 녹화장소의 선택의 폭을 넓히도록 하는 식생용 매트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생용 매트의 설치시 급수성 또는 통기성을 더 확보함으로써, 식생용 매트를 설치하는 장소에 구애됨 없이 식생을 양호하게 보존할 수 있는 식생용 매트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함체형상의 방틀을 이용함으로써 식생용 매트를 경사부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대응하는 면적을 가지는 패드로서, 테두리가 접합되어 내부에 토양을 수용하는 공간부가 형성된 매트 본체; 상기 매트 본체의 일면에 마련되어, 식물이 식재되고 상기 공간부에 토양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방부; 및 상기 개방부의 선택적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여 토양의 공급과, 식물의 식재공간을 형성시키기 위한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는, 자웅의 이물림을 이용한 지퍼(zipper)인 것이며, 상기 지퍼의 부분적 개방이 용이하도록 복수의 고리가 쌍을 이루어 서로 마주에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매트를 개시한다.
상기 매트 본체는, 서로 대응하는 면적으로 가지는 적어도 2개의 부직포로서, 자외선에 노출되는 적어도 일면이 자외선 차단용 도료가 도포되거나, 코팅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트 본체는, 폴리프로필렌(PP)을 재질로 이루어지며, 표면에 광안정제와 친수성물질이 코팅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트 본체는, 테두리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 배치되어, 각각의 매트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복수의 연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는, 링(ring)형태의 천공과, 서로 마주하는 천공을 서로 연결하는 바인더이거나, 자웅의 고리, 똑딱단추 및 벨크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트 본체가 수중에 시공될 경우, 상기 매트 본체를 부양시키기 위한 부유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유재는, 상기 매트 본체의 외부 어느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거나, 상기 공간부에 내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유재는, 토양과 함께 배합되어 기설정된 비율로 상기 공간부를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트 본체의 내부에는, 식생용 매트가 변형되거나 식생용 매트가 경사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수용된 토양의 쏠림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매트 본체 내측의 상부와 하부에 연결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격벽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트 본체는 그 외측에, 상기 매트 본체가 안착되는 구조물에 형성되는 고정부재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매트 본체가 상기 구조물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용 연결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경사면 또는 수평면 구조물에 식생용 매트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상에 고정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고정구에 식생용 매트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생용 매트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식생용 매트를 망형 구조물로 커버하되, 식생은 상기 망형 구조물에 관통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조물상에 고정구를 설치하는 단계; 이후에, 다수의 천공홀이 구비되고, 요홈부를 갖는 배수판을 상기 고정구에 고정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조물상에 설치된 고정구 이외에 상기 배수판에 별도의 고정구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경사면 또는 수평면 구조물에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항에 의한 식생용 매트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상에 고정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고정구에 함체형상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방틀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방틀에 식생용 매트를 안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생용 매트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식생용 매트를 상기 고정구에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면 구조물 상에 식생용 매트를 시공하기 전에, 상기 경사면 구조물상에 상기 식생용 매트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격자형 격막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생용 매트의 시공 후에 상기 식생용 매트의 주변 구조물상에 다공질 투수성 재료를 도포하여 상기 식생용 매트의 그 주변부를 평탄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다공질 투수성 재료상에 식물 또는 구조물을 이용하여 장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면이 벽면인 경우, 상기 벽면에 고정용 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용 프레임에 의해 상기 식생용 매트가 지지되도록 하며, 상기 식생용 매트의 이격된 하부에는 저수홈통이 설치되거나, 상기 식생용 매트의 이격된 상부에 급수라인이 설치되고, 상기 방틀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상기 식생용 매트에 급수하기 위한 급수파이프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경사면 또는 수평면 구조물에 식생용 매트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상에, 망상 지지체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망상 지지체에 상기 식생용 매트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식생용 매트의 외주부에는 하부 및 상부, 바닥부에서 이루어지는 급수를 일정하게 토양층으로 유도하도록 수분흡수재의 역할을 하는 수분흡수층을 설치하는 식생용 매트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수분흡수재는 폐담배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생용 매트는 도로의 중앙분리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조물은 요철형 경사면 구조물이며, 상기 식생용 매트를, 토양이 채워진 형상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요철형 경사면 구조물의 요홈에 안착되도록 관체형상이 되도록 형상화하여 구조물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조물은 요철형 경사면 구조물이며, 상기 구조물상에 고정구를 설치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요철형 경사면 구조물의 요홈에, 표면에 통공이 형성된 관체, 투수성 재료 또는 고분자 발포체를 채우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조물은 요철형 경사면 구조물이며, 상기 구조물상에 고정구를 설치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요철형 경사면 구조물상에 내수패널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구에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토양이 채워진 매트에 식물을 식재함으로써, 평면은 물론, 법면 내지는 사면에서의 녹지조성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개구부 이외의 영역이 폐쇄되어 타 식물의 유입을 방지하여 식물의 안정적 생육환경을 조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토양이 매트에 채워진 상태로 시공됨으로, 자연환경으로부터 토양이 유실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토양이 채워진 상태로의 매트 이동이 가능하여, 조성된 녹지의 이전 및 변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식생부의 위치 변경이 용이하여 식물의 식재위치 선정의 폭이 넓으며, 식물 줄기의 성장과 함께 식생부의 면적이 확장 되도록 하여 식물의 안정적 생육환경은 조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매트에 토양을 채우기 위한 공급부가 포켓형태로 이루어져 토양의 채움과 비움은 물론, 보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매트가 투습성의 부직포로 이루어져, 유체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하고, 또한 자외선과 마주하는 일면에는 자외선 코팅부가 형성되어 자외선에 의한 매트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매트에 부유재가 구비되어, 육상을 물론, 수중에서도 식물의 안정적 생육환경을 조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평면, 경사면 어디든 식생용 매트의 설치가 가능하며, 따라서, 녹화장소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식생용 매트의 설치시 급수성 또는 통기성을 더 확보함으로써, 식생용 매트를 설치하는 장소에 구애됨 없이 식생을 양호하게 보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매트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매트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에 의한 매트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식생용 매트의 내부에 격벽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식생용 매트의 내부에 마름모형 단위 셀을 갖는 격벽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식생용 매트에 망형 구조물을 더 구비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수판에 식생용 매트를 고정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틀에 식생용 매트를 고정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상기 경사면 구조물 상에 식생용 매트를 시공하기 전에, 상기 경사면 구조물상에 상기 식생용 매트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한 격자형 격막의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식생용 매트의 시공 전 또는 시공 후에 수평면 또는 경사면 구조물상에 다공질 투수성 재료를 도포하여 상기 수평면 또는 경사면 구조물 상부를 평탄하게 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생용 매트가 안착된 저수홈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생용 매트의 하부에 수분흡수층이 더 마련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요철면이 형성된 구조물, 예를 들어 요철지붕의 요부에 그 크기에 맞게 가공된 식생용 매트를 수용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요철면이 형성된 구조물의 요부에 고분자 발포체를 채워서 평탄면을 유지한 후 그 위에 식생용 매트를 시공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요철면이 형성된 구조물의 요부에 상부에 통공이 마련된 파이프를 두어 대체로 평탄면을 유지하도록 한 이후에 그 위에 식생용 매트를 시공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요철면이 형성된 구조물의 상부에 내수패널을 고정하고, 여기에 식생용 매트를 시공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벽면에 식생용 매트를 고정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식생용 매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해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매트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용 매트(100)는 도심 속 녹지 조성은 물론, 모종 내지는 묘목 등과 같은 식물의 안정적 생육환경을 조성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매트(100)는 비 내지는 바람 등의 자연환경으로부터 토양이 유실되는 것과, 식물의 폐사율을 최소화함은 물론, 홀씨 등의 유입을 차단하는 방초 기능을 함께 수행하도록 하여 식물의 안정적 생육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매트(100) 내부에 토양이 수용된 상태로의 이동이 용이하여, 매트(100)를 통한 녹지 조성과, 조성된 녹지의 이전 및 변경할 경우, 작업에 대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녹지를 법면 내지는 사면에 조성할 경우, 자연환경 즉, 비 내지는 바람 등에 의해 토양이 유실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식물의 안정적 생육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매트는 임의의 적어도 어느 한 부분 이상에 고정구(121)을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구(121)에는 고정쇠(미도시)를 더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구(121)와 고정쇠를 통칭하여 고정구(121)로 명명될 수도 있다.
이러한 매트(100)는 투습성 소재로서, 내부에 토양이 채워지는 매트 본체(110)와, 식물이 식재되는 매트 본체(110)의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개폐부재(130)로 크게 구성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매트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100)는 투습성 소재의 매트 본체(110)와 개폐부재(130)로 크게 구성된다.
매트 본체(110)는 투습성 소재의 부직포로서, 서로 대응하는 면적의 제1시트(111)와 제2시트(115)로 구성된다.
제1시트(111)는 외부에 노출된 면으로서, 식물이 식재되고, 공간부(117)에 토양을 채우거나, 비우기 위한 개방부(119)가 구비된다.
개방부(119)는 제1시트(111)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절개된 형태로서, 적어도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이 매우 바람직하며, 이는 매트(100)의 면적대비 식재량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개방부(119)는 개폐부재(130)를 통해 선택적 개방 내지는 폐쇄가 가능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제1시트(111)는 자외선에 노출되는 면으로서, 자외선에 의한 훼손이 방지되도록 자외선 차단용 코팅재(113)가 도포되거나, 또는 그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매트 본체(110)는, 폴리프로필렌(PP)을 재질로 이루어지며, 매트 본체 표면에 광안정제(예를 들어 자외선차단제)를 도포하여 매트의 수명을 향상하고, 자외선에 의하여 친수성물질(UH, ultra hidrophilic)을 코팅하여 우수 등 외부 수원의 유입 및 유출을 보다 원활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시트(115)는 제1시트(111)와 대응하는 면적의 투습성 부직포로서, 제1시트(111)와 테두리 영역이 서로 접합되어, 매트 본체(110)에 공간부(117)를 형성시키고, 토양이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1시트(111)와 제2시트(115)의 테두리를 서로 접합함으로써, 내부에 토양을 채울 수 있도록 폐쇄적 공간부(117)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토양이 공간부(117)를 통해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공간부(117)가 외부와 단절됨으로 토양으로 홀씨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초효과와, 투습성 소재이므로 수분 공급은 물론, 통풍상태가 양호하여 식물에 대한 안정적 생육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개폐부재(130)는 개방부(119)의 선택적 개방 및 폐쇄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개방부(119)의 전체 내지는 부분적인 영역을 개폐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개폐부재(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퍼(131)(zipper)인 것으로, 지퍼(131)의 부분적 개방이 용이하도록 복수의 고리(133)가 서로 쌍을 이루어 형성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되, 생략된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130)는 토양을 채우거나, 식물을 식재할 경우, 마주하는 한 쌍의 고리(133)를 서로 대응방향으로 벌리거나 마주하는 방향으로 좁혀줌으로써, 개방부(119)를 개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부(117)에 토양을 채울 경우, 지퍼(131)의 고리(133)를 서로 대응방향으로 이동시켜 개구부(135)를 형성시킨 후, 개구부(135)를 통해 공간부(117)에 토양이 채워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개구부(135)는 공간에(117)부 토양을 채우는 것은 물론, 공간부(117)로부터 토양을 비울 경에도 사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공간부(117)에 토양을 채운 후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35)를 통해 식물을 식재하고, 고리(133)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개구부(135)를 폐쇄하여 식물이 매트(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은 물론, 토양이 개구부(135)를 통해 유실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때, 개구부(135)의 폐쇄는 식물 줄기의 손상이 방지되는 정도로 밀착하여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리(133)의 이동을 통해 개구부(135)의 위치선정이 용이하여, 식물의 배치 및 그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개구부(135)는 식물의 성장과 함께 개방 영역이 점증될 수 있는데, 이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35)가 식물의 성정과 함께 점증됨을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최초 매트(100)에 식물이 식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이후, 도 4b 식물의 줄기가 부피성장에 대응하여 점증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는, 개폐부재(130)의 구조적 특징 즉, 지퍼(131)의 특징을 이용하여, 줄기와 맞닿는 양측 고리(133)가 줄기의 부피 성장과 함께 서로 대응하는 방향 즉, 줄기에 맞닿아 있는 양측 고리(133)가 줄기의 부피 성장 방향으로 밀려 줄기의 부피와 동일한 이격 거리가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매트(100)는 육상에서의 녹지 조성은 물론, 호안의 콘크리트 구조물 및 돌망태, 육성층이 부족한 공간등에도 고정부재로 고정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특히 수상에서도 녹지 조성이 가능한데, 이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A-A 단면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것이나, 이에 부유재(140)가 더 구비된 상태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며, 부유부(140)를 제외한 타 구성은 도 1 내지 4와 동일한 구성인 것이며, 이는 도면의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부유부(140)는 수상에서 녹지를 조성할 경우, 매트(100)가 수중에서 부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매트(100)를 수중에 침지시키되, 수면과 바닥 사이 영역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인공 내지는 자연의 하천, 연못 및 저수지 등과 같이 수중에 녹지를 조성할 경우, 식물의 광합성 작용은 물론, 산소 공급이 용이하도록 매트(100)의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기 대문이다.
예를 들어, 매트(100)가 시공되는 영역의 수심이 깊을 경우, 매트(100)를 바닥으로부터 띄워, 적어도 식물이 소정 노출되도록 하여 식물의 광합성 작용과 산소 공급이 가능하도록 해야 하는데, 부유재(140)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수심에 따라 녹지를 조성할 수 있는 영역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수중에 녹지를 조성할 경우, 수심에 제한되지 않도록 하는 부유재(140)가 반드시 필요하며, 이를 통해 수심이 깊은 경우에도 부유재(140)를 이용하여 매트(100)가 수중의 바닥과 수면 사이에 위치하여, 식물의 광합성과, 산소 공급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부유재(140)는 통해 매트(100)가 수면으로 소정 침지되도록 하여 육상 식물의 홀씨 등이 매트(100)에서 발화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초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해 식물의 안정적 생육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부유재(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100)의 내부 내지는 외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재(140)가 매트(10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되, 토양과 기설정된 비율로 배합되어 채워질 수 있다. 즉, 토양과 부유재(140) 혼합하여 공간부(117)를 채우는 것이다. 이때, 부유재(140)는 발포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 스티로폼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부유재(140)는 도 5b와 같이 토양과의 섞임을 방지하여 인출 및 인입이 용이하도록 별도의 보호부재(145)를 통해 공간부(117)에 수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보호부재(145)는 관체의 형태로서, 토양과의 영역을 분리시키고, 외압으로부터 부유재(14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인 것이다.
예를 들어, 부유재(140)가 내부에 공기가 채워진 튜브일 경우, 토양과의 마찰 내지는 외압에 의해 훼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는, 수중에서의 녹지 조성이 용이하지 못함은 물론, 식물의 생육 자체에 곤란할 수 있기 때문에 부유재(140)를 보호할 수 있는 별도의 수용체가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보호부재(145)는 부유재(140)의 특성과 그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부유재(140)가 튜브일 경우, 반드시 적용되어야 함이 매우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5c는 매트(100)의 외측에 부유재(140)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것이며, 부유재(140)는 관체의 보호부재(145) 내부에 수용되고, 그 보호부재(145)는 매트(100) 외측에 마련된 고정부재(141)에 의해 고정되며, 이때, 보호부재(145)는 미관상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제2시트(115)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부재(145) 공간부(117)에 구비될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부재(145)에 통해 그 내부가 소정 구획되어 토양을 채움에 있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즉, 각각의 개폐부재(130)에 토양을 각각 채워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공간부(117)의 토양을 비우거나 채울 경우,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별도의 공급부(150)가 더 구비되며, 이러한 공급부(1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130)와 직교하는 구비된 지퍼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공간부(117)을 통해 토양을 채우는 것을, 영역별로 분리하여 채우거나, 어느 일 영역에만 보충 내지는 비움이 용이한 것이다. 이는, 구획된 영역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채우거나 비울 수 있는 포켓 형태이기 때문이다.
또한, 공급부(150)는 개폐부재(130)와 동일 형태의 지퍼인 것이되, 고리는 적어도 한 쌍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공간부(117)에 보호부재(14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서 별도의 고정부재(141)를 통해 고정되거나, 또는 격벽(143)에 의해 그 위치를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부재(145)가 고정부재(141)를 통해 고정하거나, 또는, 도 7b와 같이 격벽(143)의 설치하여 보호부재(145)가 공간부(117) 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수중에서 매트(100)의 안정적인 부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 내지 도 7을 통해 설명한 복수의 매트(100)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식물의 안정적 생육환경을 조성함은 물론, 녹지 조성이 보다 미려하도록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21)가 더 구비되며, 이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다른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21)는 테두리 영역에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 배치되어, 서로 접하는 매트(100)가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연결부(1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링(ring) 형태의 천공(H)과, 서로 마주하는 천공(H)을 연결하는 바인더(B)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연결부의 일례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이 매우 바람직하며, 다른 일례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서로 마주하는 매트(100)를 연결 내지는 결합시킬 수 있는 자웅의 체결수단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체결수단이 자웅의 고리, 똑딱단추 및 벨크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서로 마주하는 각각의 면에 암 또는 수의 체결수단이 서로 대응하게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복수의 매트(100)를 육상은 물론, 수상에 시공할 경우, 식물의 간격이 통일되도록 하여 녹지를 더욱 미려하게 조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비 내지는 바람 등의 자연환경에도 복수의 매트(100)가 서로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강한 바람이 발생할 경우, 매트(100)의 훼손은 물론, 녹지에 대한 훼손율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식생용 매트(100)의 내부에 격벽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81)은 식생용 매트(10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며, 구획된 격벽(181)에 수용된 토양이 한쪽으로 쏠림으로써 식생용 매트(10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격벽(181)은 식생용 매트(100)와 동일한 재질 또는 유사 재질로 제작되어 식생용 매트(100)의 내부에 예를 들어 박음질하여 고정할 수 있으나, 상기 격벽(181)의 재질과 고정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서는 격벽의 일 예를 나타내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형으로 구성하되, 각 격벽(181-1)의 테두리가 마름모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격자가 사각형 또는 그 이외의 다각형의 형상이거나 곡면의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격자모양의 격벽(181-1)은 각각 단일의 폐쇄된 셀을 이루며, 상기 셀에 수용된 토양은 각 셀에 의해 쏠림이 제한되므로, 토양의 전체적 쏠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격벽(181-1)은 지퍼가 형성된 제1시트(111)와는 결합되지 않고, 제2시트(115)와만 결합되며, 따라서, 지퍼를 개방하였을 때, 각 셀단위 공간에 토양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2시트(115)와 결합을 이루는 것만으로도 그 셀 내부에 수용된 토양은 그 쏠림현상이 충분히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식생용 매트(100)의 시공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식생용 매트(100)의 시공방법은 식생용 매트(100)가 설치될 구조물에 고정부재를 설치하고(미도시), 상기 고정부재에 식생용 매트(100)를 고정함으로써 시공한다. 이 때, 상기 식생용 매트에도 고정부재에 대응되는 연결 고정부재를 더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식생용 매트에 망형 구조물(123)을 더 구비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망형 구조물(123)은 식생용 매트(100)가 설치된 구조물에 상기 식생 매트(110)가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식생용 매트(100)가 폭우나 폭풍 등에 의해 그 자리에서 이탈될 수도 있으므로, 이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망형 구조물(123)은 식생용 매트(100)가 안착된 구조물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식생용 매트(100)에 식재된 식생을 망형 구조물(123)의 망사이에서 자라도록 망형 구조물(123)의 위치를 잘 설정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는 식생용 매트(100)를 시공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는 바, 상기 식생용 매트(100)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상에, 다수의 천공홀(129)이 구비되어 상기 천공홀(129)을 통하여 수분이 배수되는 배수판(125)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생용 매트(100)의 시공방법을 마련하였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판(125)은 우수 등에 의해 식생용 매트(100)가 잠기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하부에 배수판(125)을 설치한다. 상기 배수판(125)의 하부 즉 구조물은 배수판(125)의 천공홀(129)을 관통하는 우수 등 수분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재질적 또는 구조적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이러한 재질적 구성은 예를 들어 화산석 등 다공질 재료를 하부에 도포하거나, 또는 투수성 부직포 등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들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구조적으로는 하부에 요철면을 연속적으로 구성하고, 요철면을 통해 배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배수판(125)은 요홈부(128)가 다수 설치되어 있어 소량의 물을 저수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식생용 매트(100)로부터 유출되는 물이 요홈부(128)에 저수되며, 저수되지 않는 물은 천공홀(129)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배수판(125)은 저수와 배수의 두가지 기능을 구비한다.
도 12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수판에 식생용 매트를 고정한 도면을 나타내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판(125)의 일측에 고정용 돌기(127)를 마련하고, 상기 식생용 매트(100)의 고정구(121)을 상기 고정용 돌기(127)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틀에 식생용 매트를 고정한 도면을 나타내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방틀(142)을 식생용 매트(100)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에 고정하는 단계: 식생용 매트(100)를 방틀(142)에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방틀(142)에 상기 식생용 매트(100)를 안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생용 매트(100)의 시공방법이 마련되는데, 상기 방틀(142)은 식생용 매트(100)가 경사형 구조물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그 위치를 유지하고, 식생용 매트(100)에 채워진 토양의 쏠림현상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틀(142)의 내부에는 상기 배수판(125)에서와 마찬가지로 고정용 돌기(127)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용 돌기(127)에 식생용 매트(100)의 고정구(110)을 결합함으로써 식생용 매트(100)와 방틀(142)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방틀(142)은 식생용 매트(100)를 안착시키기 위한 구조물로서, 식생용 매트(100)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물에 고정되나, 식생용 매트(100)와의 사이에 배수판(125)을 고정하고, 그 위에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배수판(125), 방틀(142), 식생용 매트(100)의 상호간 결합구조는 예시한 고정구(121) 이외에도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피스, 앵커, 철사 등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서 특별한 한정은 없다.
도 14에서는 본 발명의 상기 경사면 구조물 상에 식생용 매트(100)를 시공하기 전에, 상기 경사면 구조물상에 상기 식생용 매트(10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한 격자형 격막(143)을 도시하였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식생용 매트(100)가 경사면에 설치되는 경우에 중력 또는 자연환경 변화에 의한 식생용 매트(100)의 위치 이탈을 예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식생용 매트(100)가 그 하부에서 배수판(125)과 결합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5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식생용 매트(100)의 시공 전 또는 시공 후에 수평면 또는 경사면 구조물상에 다공질 투수성 재료(146)를 도포한 도면을 나타내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면 또는 경사면 구조물 상부를 다공질 투수성 재료(146)을 도포하여 이를 평탄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공질 투수성 재료(146)는 예를 들어 화산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미분말의 상태인 것은 투수성이 떨어져 곤란하며, 수분과의 결합 및 건조과정중에서 굳을 수 있기 때문에, 1 ~ 11mm 크기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11mm를 초과하여 큰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 입자의 형상, 크기의 편차가 커져서 평탄면을 이루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11mm 이하의 것을 사용한다. 다공질 투수성 재료(146)에는
도 16에서는 식생용 매트(100)가 안착된 저수홈통을 나타내었다.
상기 저수홈통(147)은 우수와 같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을 저수하는 기능을 하거나, 식생용 매트(100)로부터 유출되는 수분을 집수 또는 저수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저수홈통(147)에는 급수라인(149)이 연결되어 필요시 저수홈통(147)에 저수할 수도 있다.
도 17에서는 식생용 매트(100)의 하부에 수분흡수층(161)이 더 마련된 것을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식생용 매트(100)를 저수홈통(147)에 수용하고 급수한 것을 나타내었는데, 상기 수분흡수층(161)은 저수홈통으로부터 물을 식생용 매트(100)의 토양에 보다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수분흡수층(161)은 예를 들어 폐담배필터를 가공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상기 식생용 매트(100)에 수용된 토양과 함께 식생용 매트(100)내에 수용함으로써 수분흡수를 촉진할 수도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요철면이 형성된 구조물, 예를 들어 요철지붕의 요부에 그 크기에 맞게 가공된 식생용 매트를 수용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상기 요철지붕(163)의 단부에는 상기 식생용 매트(100)가 중력 등에 의해 미끄러지지 않도록 벽체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요철면이 형성된 구조물의 요부에 고분자 발포체(165)를 채워서 평탄면을 유지한 후 그 위에 식생용 매트(100)를 시공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식생용 매트(100)를 먼저 요철지붕(163)에 고정하고, 상기 요부에 고분자 발포체(165)를 채우거나, 고분자 발포체(165)를 먼저 채우고 이후에 식생용 매트(100)를 요철지붕에 고정한다. 상기 고분자 발포체(165) 대신에 도 20에서와 같이 상부에 통공(183)이 형성된 파이프(167)를 요철지붕(163)의 요부의 깊이를 고려하여 설치함으로써 요철지붕(163)이 대체로 평탄면을 이루도록 한 후, 그 위에 식생용 매트(100)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고분자 발포체(165) 대신 다공질 투수성 재료(146)를 채우는 것도 가능하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요철면이 형성된 구조물의 상부에 내수패널(169)을 고정하고, 여기에 식생용 매트를 시공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내수패널(169)은 요철지붕(163)의 상부면을 평탄하게 하면서 내수성을 갖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며, 예를 들어 배수판(125)이 될 수도 있다.
이로써 요철면이 형성된 곳에도 식생용 패널(110)의 설치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경사면은 벽면과 같은 수직면도 포함한다. 즉, 상기 경사면이 벽면인 경우, 상기 벽면에 식생용 매트(100)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고정용 프레임(185)이 필요하며, 이를 도 22에 나타내었다. 고정용 프레임(185)은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으나, 그 형태는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식생용 매트(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평면, 경사면 구조물에 사용할 수 있으나, 이러한 수평면 또는 경사면 구조물이 도로의 중앙분리대가 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도로의 중앙분리대에 적용되는 경우, 시공의 간이성 측면에서 볼 때, 매우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매트 110 : 매트 본체
111 : 제1시트 113 : 코팅재
115 : 제2시트 117 : 공간부
119 : 개방부 121 : 연결부
123 : 망형 구조물 125 : 배수판
127 : 고정용 돌기 129 : 천공홀
130 : 개폐부재 131 : 지퍼
133 : 고리 135 : 개구부
140 : 부유재 141 : 고정부재
142 : 방틀 143, 143-1 : 격벽
145 : 보호부재 146 : 다공질 투수성 재료
147 : 저수홈통 149 : 급수라인
150 : 공급부 161 : 수분흡수층
163 : 요철지붕 165 : 발포체
167 : 파이프 169 : 내수패널
181, 181-1 : 격벽 183 : 통공
185 : 고정용 프레임

Claims (25)

  1. 서로 대응하는 면적을 가지는 패드로서, 테두리가 접합되어 내부에 토양을 수용하는 공간부가 형성된 매트 본체;
    상기 매트 본체의 일면에 마련되어, 식물이 식재되고 상기 공간부에 토양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방부; 및
    상기 개방부의 선택적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여 토양의 공급과, 식물의 식재공간을 형성시키기 위한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는,
    자웅의 이물림을 이용한 지퍼(zipper)인 것이며, 상기 지퍼의 부분적 개방이 용이하도록 복수의 고리가 쌍을 이루어 서로 마주에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 본체는,
    서로 대응하는 면적으로 가지는 적어도 2개의 부직포로서, 자외선에 노출되는 적어도 일면이 자외선 차단용 도료가 도포되거나,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 본체는,
    폴리프로필렌(PP)을 재질로 이루어지며, 표면에 광안정제와 친수성물질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 본체는,
    테두리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 배치되어, 각각의 매트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복수의 연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링(ring)형태의 천공과, 서로 마주하는 천공을 서로 연결하는 바인더이거나, 자웅의 고리, 똑딱단추 및 벨크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매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 본체가 수중에 시공될 경우, 상기 매트 본체를 부양시키기 위한 부유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매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재는,
    상기 매트 본체의 외부 어느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거나, 상기 공간부에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매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재는,
    토양과 함께 배합되어 기설정된 비율로 상기 공간부를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매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 본체의 내부에는,
    식생용 매트가 변형되거나 식생용 매트가 경사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수용된 토양의 쏠림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매트 본체 내측의 상부와 하부에 연결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격벽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매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 본체는 그 외측에, 상기 매트 본체가 안착되는 구조물에 형성되는 고정부재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매트 본체가 상기 구조물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매트.
  11. 경사면 또는 수평면 구조물에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항에 의한 식생용 매트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상에 고정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고정부재에 식생용 매트를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매트의 시공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용 매트를 망형 구조물로 커버하되, 식생은 상기 망형 구조물에 관통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매트의 시공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상에 고정구를 설치하는 단계; 이후에,
    다수의 천공홀이 구비되고, 요홈부를 갖는 배수판을 상기 고정구에 고정하는 단계;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매트의 시공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상에 설치된 고정구 이외에 상기 배수판에 별도의 고정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매트의 시공방법.
  15. 경사면 또는 수평면 구조물에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항에 의한 식생용 매트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상에 고정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고정구에 함체형상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방틀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방틀에 식생용 매트를 안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매트의 시공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용 매트를 상기 고정구에 고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매트의 시공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 구조물 상에 식생용 매트를 시공하기 전에, 상기 경사면 구조물상에 상기 식생용 매트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격자형 격막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매트의 시공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용 매트의 시공 후에 상기 식생용 매트의 주변 구조물상에 다공질 투수성 재료를 도포하여 상기 식생용 매트의 그 주변부를 평탄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다공질 투수성 재료상에 식물 또는 구조물을 이용하여 장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매트의 시공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이 벽면인 경우,
    상기 벽면에 고정용 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용 프레임에 의해 상기 식생용 매트가 지지되도록 하며, 상기 식생용 매트의 이격된 하부에는 저수홈통이 설치되거나, 상기 식생용 매트의 이격된 상부에 급수라인이 설치되고, 상기 방틀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상기 식생용 매트에 급수하기 위한 급수파이프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매트의 시공방법.
  20. 경사면 또는 수평면 구조물에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항에 의한 식생용 매트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상에, 망상 지지체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망상 지지체에 상기 식생용 매트를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식생용 매트의 외주부에는 하부 및 상부, 바닥부에서 이루어지는 급수를 일정하게 토양층으로 유도하도록 수분흡수재의 역할을 하는 수분흡수층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매트의 시공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흡수재는 폐담배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매트의 시공방법.
  22. 제11항, 제15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용 매트는 도로의 중앙분리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매트의 시공방법.
  2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요철형 경사면 구조물이며,
    상기 식생용 매트를, 토양이 채워진 형상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요철형 경사면 구조물의 요홈에 안착되도록 관체형상이 되도록 형상화하여 구조물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매트의 시공방법.
  2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요철형 경사면 구조물이며,
    상기 구조물상에 고정구를 설치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요철형 경사면 구조물의 요홈에, 표면에 통공이 형성된 관체, 투수성 재료 또는 고분자 발포체를 채우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매트의 시공방법.
  2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요철형 경사면 구조물이며,
    상기 구조물상에 고정구를 설치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요철형 경사면 구조물상에 내수패널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구에 고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매트의 시공방법.
KR1020110097319A 2011-09-27 2011-09-27 식생용 매트 및 시공방법 KR101364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319A KR101364723B1 (ko) 2011-09-27 2011-09-27 식생용 매트 및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319A KR101364723B1 (ko) 2011-09-27 2011-09-27 식생용 매트 및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584A true KR20130033584A (ko) 2013-04-04
KR101364723B1 KR101364723B1 (ko) 2014-02-20

Family

ID=48435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319A KR101364723B1 (ko) 2011-09-27 2011-09-27 식생용 매트 및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47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63581B1 (en) * 2021-03-22 2023-09-13 Sam Groofing Tech B.V. Modular unit for a green ro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935B1 (ko) * 2020-02-12 2023-04-20 지창육 식물재배용 팩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0077A (ja) 1999-09-20 2001-04-03 Ibiden Greentec Co Ltd 植栽用土のう及びこれを使用した植栽工法
KR200435989Y1 (ko) 2007-01-04 2007-04-02 장기웅 그루백
KR100977138B1 (ko) * 2008-05-13 2010-08-24 대한민국 인공섬유니트
JP4911418B2 (ja) * 2009-07-17 2012-04-04 藤田 豊博 苗床および苗床を用いた緑化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63581B1 (en) * 2021-03-22 2023-09-13 Sam Groofing Tech B.V. Modular unit for a green ro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4723B1 (ko) 201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50026A1 (zh) 错位叠垒式花盆及其叠垒组合形成的立体绿化墙面
WO2007063815A1 (ja) 植物栽培ユニット及び植物栽培容器
KR101234615B1 (ko) 벽면 조경용 플랜터
JP4976785B2 (ja) 屋根の緑化システム
JP2004298140A (ja) 屋上緑化システムと屋上緑化プランター
JP2011122403A (ja) 法面保護兼緑化用擁壁
KR101364723B1 (ko) 식생용 매트 및 시공방법
JP4593459B2 (ja) 屋上緑化施工用パネル、及びその屋上緑化施工用パネルを用いた屋上緑化の施工システム
KR20130048670A (ko) 경량 식재 모듈 구성으로 식물의 생육, 빗물 여과, 홍수조절 시스템
JP5970675B2 (ja) 地下灌漑システム
TW200939946A (en) Container unit for planting trees and method of planting trees by using the container
KR102038769B1 (ko) 급수화분을 갖는 식물재배화분
JP5108225B2 (ja) 緑化容器
JP4226708B2 (ja) 壁面等の緑化用コンテナ
TW201302050A (zh) 貯水排水基盤板及使用該基盤材的綠化構造體
JP2003116356A (ja) 植栽トレー
JP2008067607A (ja) 屋根緑化用樹脂トレイおよび屋根緑化構造
KR101046650B1 (ko) 초목 식재를 위한 축조형 화분과, 이 화분이 설치된 옹벽과, 옹벽의 시공방법
KR101187407B1 (ko) 벽면 녹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면 녹화방법
JP4657683B2 (ja) 壁面緑化設備
JP4343048B2 (ja) 屋上の緑化方法および装置
KR100966800B1 (ko) 식생옹벽 시스템
JP2008017850A (ja) 屋上緑化施工用パネル、及びその屋上緑化施工用パネルを用いた屋上緑化の施工システム
KR20100000298A (ko) 옥상녹화용 방근 식생블럭
KR101779008B1 (ko) 빗물 저장형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