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2616A - 도어트림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도어트림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2616A
KR20130032616A KR1020110096328A KR20110096328A KR20130032616A KR 20130032616 A KR20130032616 A KR 20130032616A KR 1020110096328 A KR1020110096328 A KR 1020110096328A KR 20110096328 A KR20110096328 A KR 20110096328A KR 20130032616 A KR20130032616 A KR 20130032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m
insertion groove
protrusion
door trim
bol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철규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6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2616A/ko
Publication of KR20130032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6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트림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 어셈블리는 로어트림과 상기 로어트림에 결합되는 어퍼트림을 포함하고, 상기 로어트림의 상부에 형성되며, 삽입홈이 일측방향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어퍼트림의 하부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어트림 어셈블리{A door trim assembly}
본 발명은 도어트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트림은 자동차의 내부 방향을 향하도록 자동차의 도어에 설치된다. 도어트림은 수납공간 및 암레스트(Arm rest) 등이 형성되어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도어트림은 수납공간 및 암레스트가 형성되기 위하여 복수개의 플라스틱 부품들이 결합되어 형성된다. 이때, 복수개의 부품들은 열융착 방법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부품들은 나사 또는 스크류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종래의 도어트림 어셈블리(1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고 하면, 종래의 도어트림 어셈블리(10)는 체결공(12)이 형성되는 제 1 도어트림(11)을 포함한다. 또한, 종래의 도어트림 어셈블리(10)는 보스(14)가 형성되는 제 2 도어트림(13)을 포함한다.
제 2 도어트림(13)의 보스(14)가 제 1 도어트림(11)의 체결공(12)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면, 별도의 스크류 또는 볼트가 보스(14)에 결합되어 보스(14)의 위치가 고정된다. 보스(14)의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제 2 도어트림(13)이 제 1 도어트림(11)에서의 위치가 고정된다.
하지만, 차가 주행되는 동안 외부로부터 충격이 발생되는 경우 보스(14) 또는 체결공(12)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열에 의해 보스(14) 또는 체결공(12)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보스(14) 또는 체결공(12)의 형상이 변형되면, 보스(14)와 체결공(12) 사이에 틈이 발생되어 보스(14)의 위치가 완전히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 1 도어트림(11)과 제 2 도어트림(13)의 결합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스(14)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음으로써 보스(14)가 제 1 도어트림(11)에 부딪히면서 소음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보스가 삽입되는 별도의 결합부를 도어트림의 부품에 형성함으로써 도어트림의 부품을 효과적으로 결합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로어트림과 상기 로어트림에 결합되는 어퍼트림을 포함하는 도어트림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로어트림의 상부에 형성되며, 삽입홈이 일측방향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어퍼트림의 하부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도어트림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형상은 상기 삽입홈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삽입홈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1 볼트홀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제 2 볼트홀이 일측방향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1 볼트홀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으로 제 2 볼트홀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어퍼트림의 일측에 형성된 돌출부를 로어트림의 결합부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하여 어퍼트림과 로어트림을 결합함으로써 어퍼트림과 로어트림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의 도어트림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 어셈블리(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 하면, 도어트림 어셈블리(100)는 로어트림(110)을 포함한다. 로어트림(110)은 결합부(111)를 포함한다. 결합부(111)는 로어트림(1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11)는 별도의 결합수단에 의해 로어트림(1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결합부(111)는 로어트림(11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결합부(111)가 로어트림(11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결합부(111)는 로어트림(11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11)는 로어트림(110)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위치가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결합부(111)는 로어트림(110)의 상부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11)와 로어트림(110)의 사이로 어퍼트림(12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결합부(111)와 로어트림(110)의 사이에 어퍼트림(120)의 일부분이 삽입됨으로써 어퍼트림(120)은 로어트림(110)에 결합되는 동안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을 참고 하면, 결합부(111)는 삽입홈(112)을 포함한다. 삽입홈(112)은 결합부(111)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112)은 일측방향으로 인입되도록 결합부(11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방향은 자동차의 외부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삽입홈(112)은 자동차의 외부방향으로 인입되도록 결합부(111)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112)이 내부에 형성된 결합부(111)는 단면이 'ㄷ'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트림 어셈블리(100)는 어퍼트림(120)을 포함한다. 어퍼트림(120)은 로어트림(110)에 결합될 수 있다. 어퍼트림(120)과 로어트림(110)이 결합됨으로써 도어트림이 형성될 수 있다.
어퍼트림(120)은 결합부(111)의 삽입홈(112)에 삽입되는 돌출부(121)를 포함한다. 돌출부(121)는 어퍼트림(120)의 일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방향은 자동차의 외부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121)는 자동차의 외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어퍼트림(120)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1)는 삽입홈(112)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홈(112)이 원기둥 형상으로 결합부(111)에 형성되면 돌출부(121)는 원기둥 형상으로 어퍼트림(120)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121)는 삽입홈(112)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삽입홈(112)에 접촉되는 돌출부(121)의 외주면은 마찰계수가 작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1)가 삽입홈(112)에 삽입되는 동안 삽입홈(112)과 돌출부(121)의 사이에서 마찰이 적게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홈(112)과 돌출부(121)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에 의해 돌출부(121)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어퍼트림(120)은 복수개의 돌출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로어트림(110)의 결합부(111)는 복수개의 삽입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삽입홈(112)은 어퍼트림(120)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출부(121)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결합부(111)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돌출부(121)가 복수개의 삽입홈(112)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어퍼트림(120)의 위치가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돌출부(121)가 삽입홈(112)에 삽입되면, 돌출부(121)는 별도의 결합수단에 의해 삽입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별도의 결합수단은 볼트(130) 또는 스크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별도의 결합수단은 볼트(130)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결합부(111)는 제 1 볼트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볼트홀(113)은 결합부(111)의 일측에 관통형성될 수 있다. 제 1 볼트홀(113)은 삽입홈(112) 방향으로 관통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21)는 제 2 볼트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볼트홀(122)은 돌출부(121)의 내부 방향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 볼트홀(122)은 제 1 볼트홀(113)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부(121)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2 볼트홀(122)은 제 1 볼트홀(113)과 일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돌출부(121)에 형성될 수 있다.
볼트(130)는 제 1 볼트홀(113)을 통해 제 2 볼트홀(122)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121)는 볼트(130)에 의해 삽입홈(112)에 삽입된 위치가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돌출부(121)가 결합부(111)의 삽입홈(112)에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로어트림(110)과 어퍼트림(120)의 결합력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어퍼트림(120)은 자동차가 주행하면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로어트림(1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돌출부(121)가 결합부(111)의 삽입홈(112)에 삽입됨으로써 돌출부(121)와 결합부(111)의 결합력이 증가될 수 있다. 돌출부(121)와 결합부(111)의 결합력이 증가되면, 돌출부(121)는 자동차가 주행되는 동안 결합부(111)의 삽입홈(112)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121)가 결합부(111)에 부딪히면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11)는 볼트(130)의 일부분이 안착되는 안착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114)은 결합부(111)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114)은 삽입홈(112)이 인입된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인입되도록 결합부(111)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홈(112)은 인입되는 방향이 자동차의 외부방향을 향하도록 결합부(111)에 형성되면, 안착홈(114)은 인입되는 방향이 자동차의 내부방향을 향하도록 결합부(111)에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114)은 인입된 형상에 의해 볼트(130)의 머리부분이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111)는 볼트(130)의 머리부분이 결합부(111)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도어트림 어셈블리
110: 로어트림
111: 결합부
120: 어퍼트림
121: 돌출부

Claims (5)

  1. 로어트림과 상기 로어트림에 결합되는 어퍼트림을 포함하는 도어트림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로어트림의 상부에 형성되며, 삽입홈이 일측방향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어퍼트림의 하부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도어트림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형상은 상기 삽입홈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도어트림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삽입홈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1 볼트홀이 형성되는 도어트림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제 2 볼트홀이 일측방향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되는 도어트림 어셈블리.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1 볼트홀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으로 제 2 볼트홀이 형성되는 도어트림 어셈블리.
KR1020110096328A 2011-09-23 2011-09-23 도어트림 어셈블리 KR201300326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328A KR20130032616A (ko) 2011-09-23 2011-09-23 도어트림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328A KR20130032616A (ko) 2011-09-23 2011-09-23 도어트림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616A true KR20130032616A (ko) 2013-04-02

Family

ID=48435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328A KR20130032616A (ko) 2011-09-23 2011-09-23 도어트림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26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04129A (zh) * 2017-03-17 2017-06-30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上饰板和下饰板固定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04129A (zh) * 2017-03-17 2017-06-30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上饰板和下饰板固定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0850B2 (en) Vehicle door handle device
US8585123B2 (en) Door trim for vehicle
CN104895423B (zh) 改进锁闩的声音性能的装置
JP5907427B2 (ja) ドアトリムの取付構造
CN106183755B (zh) 用于车辆的车门装饰板和车门内挡水条的结构
WO2015053240A1 (ja) ボックス
KR20130032616A (ko) 도어트림 어셈블리
JP6543514B2 (ja) モール
JP6014820B2 (ja) 車両のアンダーカバー組付構造
JP2018062201A (ja) 車両用給電ユニット装置
JP6685430B2 (ja) 冷蔵庫の扉及びこの扉を備えた冷蔵庫
KR20110102527A (ko) 도어 트림 어셈블리
CN110573383A (zh) 车身隔板用隔音元件
JP4873469B2 (ja) フェンダーカバー
KR20170002203U (ko) 와이어링 하네스 프로텍터
JP6187183B2 (ja) 車両用ドアトリム
JP6405805B2 (ja) チャンネルとガイドシールとの締結構造
JP6140832B2 (ja) 車体バンパ構造
JP6102580B2 (ja) 車両ドア用ロアサッシュ
JP2013116683A (ja) カバー部材の固定構造
KR100528598B1 (ko) 연료 도어의 갭 및 단차 개선구조
JP6052602B2 (ja) フロントピラートリム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合わせ構造
JP6018470B2 (ja) デビジョンバー構造
KR20180137561A (ko) 모터 하우징과 플러그 연결부의 조립체 및 전용 모터 케이싱
JP6898153B2 (ja) 貯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