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1551A - 사스 코로나바이러스의 활성을 억제하는 플라보노이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도체 및 염, 이를 함유하는 사스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 Google Patents

사스 코로나바이러스의 활성을 억제하는 플라보노이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도체 및 염, 이를 함유하는 사스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1551A
KR20130031551A KR1020110095198A KR20110095198A KR20130031551A KR 20130031551 A KR20130031551 A KR 20130031551A KR 1020110095198 A KR1020110095198 A KR 1020110095198A KR 20110095198 A KR20110095198 A KR 20110095198A KR 20130031551 A KR20130031551 A KR 20130031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rs
flavonoids
activity
pharmaceutically acceptable
health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금영삼
정용주
유미선
진영원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95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1551A/ko
Publication of KR20130031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5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스 코로나바이러스의 활성을 억제하는 플라보노이드, 그들의 유도체 및 그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상기 플라보노이드는 Myricetin, Scutellarein 및 baicalein으로서 천연 플라보노이드이며 그들은 ATP 가수분해 활성에 영향을 주어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활성을 강하게 억제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Myricetin, Scutellarein 및 baicalein으로부터 선택되는 플라보노이드, 그들의 유도체, 및 그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바이러스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스 코로나바이러스의 활성을 억제하는 플라보노이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도체 및 염, 이를 함유하는 사스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Flavonoids Inhibiting SARS-Corona Virus Activity, Pharmaceutically Acceptable Derivatives and Salts Thereof, Composition and Health Functional Food for Treating or Preventing SARS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스(SARS) 코로나바이러스의 활성을 억제하는 플라보노이드,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도체, 그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사스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케이즈(helicase)에 대한 활성을 억제하는 플라보노이드,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도체, 그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사스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사스(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는 사람간의 접촉에 의해 잠재적으로 전파되는 전염성의 질병으로 사스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된다(Berger, A., Drosten, C., Doerr, H.W., Sturmer, M. and Preiser, W. (2004)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paradigm of an emerging viral infection. J Clin Virol, 29, 13-22). 사스는 변종된 폐렴으로 호흡기관의 물질이나 사람과의 접촉에 의해 일차적으로 감염된다. 사스는 전 세계적 유행성 질병 (pandemic)으로서 2002~2003년 사이에 발병하였으며 700명 이상의 사망자를 발생시켰다. SARS는 중국 광둥성에서 처음으로 출현한 이후로 29개국에 퍼졌다. SARS 환자 중 약 20%의 환자들은 기계호흡이 요구되는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의 증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이 중 약 50% 환자들은 결국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별히 알려진 약물이 없는 관계로 사스 발병 당시에는 광범위 항 바이러스 물질, 스테로이드, type-I 인터페론 같은 물질들을 환자들 치료를 위해 사용하였다. 하지만 이후 역학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들 중 어느 것도 사스 환자 치료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Stockman, L.J., Bellamy, R. and Garner, P. (2006) SARS: systematic review of treatment effects. PLoS Med, 3, e343).
따라서, 이는 사스 환자들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결정적인 의약품이 아직까지도 존재하지 않으며 따라서 만일 사스 출현 시에 마땅한 치료제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스는 코로나바이러스로 29,751 염기의 유전자를 갖는 단일 가닥의 RNA 바이러스이다(Marra, M.A., Jones, S.J., Astell, C.R., Holt, R.A., Brooks-Wilson, A., Butterfield, Y.S., Khattra, J., Asano, J.K., Barber, S.A., Chan, S.Y. et al . (2003) The Genome sequence of the SARS-associated coronavirus. Science, 300, 1399-1404.). 코로나바이러스는 외피보유 바이러스 집단에 소속되어 있으며 동물 숙주세포의 세포질 안에서 복제한다. 목표 세포에 감염되면 사스 코로나바이러스의 유전자는 두 개의 큰 복제관련 중합단백질을 만든다. 이후 중합 단백질은 프로테아제에 의해 여러 개의 non-structural proteins (nsPs)으로 분리되고 이 중에는 RNA-의존-RNA 중합효소와 헬리케이즈가 있다(Jang, K.J., Lee, N.R., Yeo, W.S., Jeong, Y.J. and Kim, D.E. (2008) Isolation of inhibitory RNA aptamers against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coronavirus NTPase/Helicase. Biochem Biophys Res Commun, 366, 738-744). 바이러스 헬리케이즈는 바이러스 유전자 복제에 필수적인 단백질이며 현재 항바이러스 약물 개발에 잠재적인 타겟으로 생각된다(Lee, N.R., Kwon, H.M., Park, K., Oh, S., Jeong, Y.J. and Kim, D.E. (2010) Cooperative translocation enhances the unwinding of duplex DNA by SARS coronavirus helicase nsP13. Nucleic Acids Res, 38, 7626-7636).
본 발명은 사스 코로나바이러스의 새로운 화학 억제물질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NTPase/헬리케이즈 활성에 작용하는 화학적 억제 물질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스 코로나바이러스의 활성을 억제하는 천연 플라보노이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자들은 총 64개의 정제된 천연물 중에서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케이즈의 활성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천연물을 찾고자 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상기 천연물 중 myricetin, scutellarein 그리고 추가 실험에서 baicalein 이 바이러스 헬리케이즈의 DNA 풀림(unwinding) 활성 억제에는 효과적이지 않지만,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케이즈 nsP13의 ATP 가수분해 활성은 억제하는 사스 코로나 바이러스 헬리케이즈의 강력한 화학 억제물질이라는 것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자들은 사용한 정제된 천연물들 중 myricetin과 scutellarein은 회사(Chromadex, Irvine, CA USA)에서 구입하였다. Baicalein은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분리 정제하였다. 즉, 메탄올 추출물을 EtOAc 용매로 분획(fractionation)한 후 감압 농축하여 클로로포름:메탄올 (1:1)에 용해하였으며 이후 상온에서 하루 방치 후 생긴 침전물을 여과하여 baicalein을 확보하였다.
본 발명은 사스 코로나바이러스의 활성을 억제하는 상기 플라보노이드 뿐만 아니라, 그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도체 및 염을 모두 포함한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또는 아인산과 같은 무기산류와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와 같은 무독성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β-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또는 만델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플라보노이드의 유도체를 과량의 산 수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동량의 화학식 1 내지 8의 화합물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코올을 가열하고, 이어서 이 혼합물을 증발시켜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입 여과시켜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 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음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Myricetin, Scutellarein 및 baicalein으로부터 선택되는 플라보노이드,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도체 및 염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스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러스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플라보노이드 유효 성분을 0.1 내지 99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케이즈 nsP13 ATP 가수분해 활성을 억제하여 사스 코로나 바이러스의 증식을 저해함으로써 사스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고열 등의 증상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약학 조성물"은 생리학적으로 적합한 담체 및 부형제와 같은 다른 화학 성분과 본원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유효성분의 제제를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유효성분"은 생물학적 효과가 있는 제제를 의미한다.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유기체에 심각한 자극을 유발하지 않으며 투여된 화합물의 성질 및 생물활성을 파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의미한다. 활탁제, 붕해제, 가용화제, 분산제, 안정화제, 현탁화제, 색소, 향료등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에는 완충제,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등장제, 안정화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지속 방출형 시스템을 사용하여 적절히 투여될 수 있다. 지속 방출형 조성물의 적절한 예로는 필름, 또는 마이크로캡슐 등의 형상품 형태의 반침투성 폴리머 매트릭스를 들 수 있다. 지속방출형 매트릭스는 폴리락티드(U.S. Pat. No. 3,773,919), L-글루탐산과 감마-에틸-L-글루타메이트의 공중합체(Sidman et al.,Biopolymers, 22: 547-556(1983)),폴리(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Langer et al., J. Biomed. Mater.Res, 15: 267-277(1981),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Langer et al., supra) 또는 폴리-D-(-)-히드록시부티르산(EP 133 988)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지속 방출형 제형화제는 본 발명에 따른 리포솜이 엔트랩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리포솜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예: DE 3,218,121, U.S. Pat. Nos.4,485,045 및 4,545,545)에 의해 제조된다.
비투여 경구를 위해,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즉 사용된 투약량 및 농도에서 수혈자에 대하여 비독성이고 제형화제의 다른 성분과 상용성을 지닌 것과 함께, 단위 투약량으로 주사가능한 형태(용액, 현탁액 또는 에멀젼)로 혼합함으로써 제형화될 수 있다. 제형화제는 산화제 및 폴리펩티드에 유독한 것으로 알려진 다른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제형화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액체 담체 또는 미세하게 분할된 고체 담체 또는 이들 두 성분과 균일하게 밀접하게 접촉시킴으로써 제조된다. 그 다음에, 필요에 따라, 제품을 원하는 형태로 형상화한다. 바람직하게는 담체는 비경구용 담체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혈자의 혈액과 등장성인 용액이다. 그 예로는 물, 염수, 링거액, 덱스트로스 용액 등을 들 수 있다. 리포솜은 물론, 고정유 및 에틸 올레이트 등의 비수성 비히클도 유용하다.
담체는 적절하게는 등장성 및 화학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물질 등의 소량의 첨가제를 함유한다. 이러한 물질은 사용된 투약량 및 농도에서 수혈자에게 비독성이며, 포스페이트, 시트레이트, 숙시네이트, 아세트산, 및 다른 유기산 또는 이들의 염 등의 완충제; 아스코르브산 등의 산화방지제; 저분자량(약 10개의 잔기 보다 낮음) 폴리펩티드(예: 폴리아르기닌 또는 트리펩티드); 혈청 알부민, 젤라틴 또는 면역글로불린 등의 단백질;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친수성 폴리머; 글리신,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등의 아미노산; 단당류, 이당류 및 셀룰로스 또는 이의 유도체, 글루코스, 만노스 또는 덱스트린을 포함하는 탄수화물; EDTA 등의 킬레이트제; 만니톨 또는 소르비톨 등의 당 알콜; 나트륨 등의 반대 이온; 및/또는 폴리 소르베이트, 폴록스머(poloxmer) 또는 PEG 등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임상적으로 관련된/허용가능한 프로토콜에 따라 이러한 비히클에서 제형화된다. 상술한 부형제, 담체 또는 안정화제의 사용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염을 생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 제형화제, 바람직하게는 세포를 함유하지 않는 제형화제를 제조하도록 허용가능한 담체 비히클에서 적절히 제형화된다.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형화제에 사용되는 완충제는 혼합시에 즉시 사용되거나 차후 사용을 위해 보관될 것이다. 즉시 사용한다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만니톨, 글리신 및 포스페이트로 적절한 pH에서 제형화될 수 있다. 이 혼합물을 보관하는 경우에는, 적절한 pH에서 완충제 중에서, 임의로 이 pH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계면활성제의 존재하에 제형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종 제제는 안정한 액체 또는 냉동건조된 고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투여용으로 적합한 어느 방법으로도 제형화될 수 있으며, 현재 바람직한 제형화제는 약 pH 5~6, 바람직하게는 pH 약 5~5.5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 약 2~20㎎/㎖, 오스몰리트(osmolyte) 약 2~50㎎/㎖, 안정화제 약 1~15㎎/㎖ 및 완충액을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오스몰리트는 약 2~10 ㎎/㎖의 농도에서의 무기염이고, 당 알콜은 약 40~50 ㎎/㎖이며, 안정화제는 벤질알콜 또는 페놀, 또는 이들 두 성분이며, 완충액은 아세트산염 완충액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 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 적용할 수 있다.
즉,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투여용 제형, 예를 들면 정제, 트로키제(troches), 로렌지(lozenge), 수용성 또는 유성현탁액, 조제분말 또는 과립, 에멀젼, 하드 또는 소프트 캡슐, 시럽 또는 엘릭실제(elixirs)로 제제화된다. 정제 및 캡슐 등의 제형으로 제제하기 위해 락토오스, 사카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아밀로펙틴, 셀룰로오스 또는 젤라틴과 같은 결합제; 디칼슘 포스페이트와 같은 부형제; 옥수수 전분 또는 고구마 전분과 같은 붕괴제;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스테아린산 칼슘, 스테아릴푸마르산 나트륨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왁스와 같은 윤활유가 함유된다. 캡슐제형의 경우는 상기에서 언급한 물질 이외에도 지방유와 같은 액체 담체를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 내 주사 또는 흉부 내 주사 주입방식에 의하여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상기 플라보노이드를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서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또는 바이알의 단위 투여형으로 제제한다.
전형적으로, 유효성분은 예를 들면, 약학적 제형화제의 0.1~99중량%, 바람직하게는 약제학적 제형화제의 0.5~5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것이다.
본 발명의 플라보노이드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 일 0.0001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 ㎎/㎏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Myricetin, Scutellarein 및 baicalein으로부터 선택되는 플라보노이드,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도체,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천연 플라보노이드는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약품의 장기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이러스로 인한 질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유효성분을 0.01 내지 99%,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중량백분율로 포함한다. 또한,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인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조 및 가공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그대로 또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또는 다른 첨가제를 넣어 고르게 섞은 것을 적당한 방법으로 과립상으로 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여 조제하거나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을 그대로 또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또는 다른 적당한 첨가제를 넣어 고르게 섞은 것을 직접 압축성형하여 만들거나 또는 미리 만든 과립에 건강기능식품을 그대로 혹은 적당한 첨가제를 넣어 고르게 섞은 다음 압축성형하여 조제하거나 건강기능식품에 부형제, 결합제 또는 다른 적당한 첨가제를 넣어 고르게 섞은 분말을 용매로 습윤시키고, 습윤된 분말을 저압으로 틀에 넣어서 성형한 후, 적당한 방법으로 건조하여 조제한다. 상기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캅셀제는 보통 캅셀에 건강기능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적당한 부형제 등을 고르게 섞은 것 또는 적당한 방법으로 입상으로 한 것 또는 입상으로 한 것에 적당한 제피제로 제피한 것을 그대로 또는 가볍게 성형하여 충전하여 조제하며, 연질캅셀제는 보통 캅셀에 건강기능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적당한 부형제 등을 넣은 것을 젤라틴 등 적당한 캅셀기제에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을 넣어 소성을 높인 캅셀기제로 피포하여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하여 조제하며, 필요에 따라 상기 캅셀기제에 착색료 보존료 등을 첨가할 수 있다.
환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보통 건강기능식품에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고르게 섞은 다음 적당한 방법으로 구상으로 성형하여 조제하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적당한 제피제로 제피를, 또는 전분, 탈크 또는 적당한 물질로 환의를 입힐 수도 있다. 과립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보통 건강기능식품을 그대로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넣어 고르게 섞은 다음 적당한 방법으로 입상으로 만들고 될 수 있는 대로 입자를 고르게 한 것이며, 필요에 따라 착향료 등을 넣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백질 및 핵산을 정제하고, dsDNA 풀림 및 ATP 가수분해 분석을 통해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케이즈의 활성을 40% 이상 억제하는 천연물들을 선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1.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케이즈의 정제
사스 코로나 바이러스 헬리케이즈는 대장균 로제타(단백질 발현용 cell)에서 발현되었으며 다음과 같이 정제하였다.
카나마이신(Kanamycin)과 클로람페니콜(chloramphenical)이 포함된 액체 배지에 전 배양한 셀을 접종하여 OD값이 0.6이 될 때까지 37℃, 220rpm에서 배양한다. 다 자라면 이소프로필 β-D-1-티오갈락토피라노시드(IPTG)를 최종농도 1mM이 되도록 첨가하고 18℃, 150rpm에서 밤새도록 단백질을 과발현 시킨다. 다음날 4℃, 5000rpm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를 하여 셀을 모은다. 페닐메탄술포닐플루오라이드(Phenylmethanesulfonylfluoride; PMSF)와 프로테아제 억제제 칵테일(protease inhibitor cocktail)이 첨가된 완충액에 셀을 풀어주고 초음파를 이용하여 셀을 깨뜨린다. 4℃, 12000rpm에서 30분 동안 원심분리를 한 후 상등액만을 따서 0.5ml/min의 속도로 니켈 컬럼에 걸어준다. 50배의 컬럼 부피만큼 완충액으로 씻어준다. 50mM 이미다졸(저농도)에서 250mM 이미다졸(고농도)로 농도를 점점 높이며 용리한다. 10% SDS-PAGE로 확인하고,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케이즈 크기(약70kDa)에 맞는 깨끗한 샘플들을 모아 다음 컬럼을 준비한다.
한외 여과기를 이용하여 8mL 이하로 농축한 후 Gel filtration 컬럼(Sigma, Sephadex G-100)에 0.3mL/min의 속도로 걸어준다. 완충액을 흘려주며 크기 차이에 의해 분리한다. 10% SDS-PAGE로 확인하고,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케이즈 크기(70kDa)에 맞는 깨끗한 샘플들을 모아 보관용 완충액과 섞은 후 -80℃ 냉동실에 보관한다.
2. HCV 헬리케이즈 부분인 NS3h 의 정제
그리고 HCV의 헬리케이즈 부분인 NS3h는 대장균 BL21(DE3)에서 발현시켰으며 다음과 같이 정제하였다.
암피실린이 포함 된 액체 배지에 전 배양한 셀을 접종하여 OD값이 0.6이 될 때까지 37℃, 200rpm에서 배양한다. 다 자라면 이소프로필 β-D-1-
티오갈락토피라노시드(IPTG)를 최종 농도 0.5mM이 되도록 첨가하고 2시간 동안 단백질을 과발현 시킨다. 4℃, 5000rpm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를 하여 셀을 모은다. 페닐메탄술포닐플루오라이드(PMSF)와 프로테아제 억제제 칵테일이 첨가된 완충액에 셀을 풀어주고 라이소자임과 초음파를 이용하여 셀을 깨뜨린다. 4℃, 12000rpm에서 30분 동안 원심분리를 한 후 상등액 만을 따서 0.5ml/min의 속도로 니켈 컬럼에 걸어준다. 완충액으로 충분히 씻어 주고, 5mM 이미다졸 (저농도)에서 300mM 이미다졸(고농도)로 농도를 점점 높이며 400mL 용리한다. 이 중에서 보통 두 번째 피크가 NS3h 단백질이다. 10% SDS-PAGE로 확인하고, NS3h 단백질 크기(약54kDa)에 맞는 깨끗한 샘플들을 모아 황산암모늄분획을 통하여 단백질을 침전시킨다. 원심 분리 후 단백질을 10mL의 큐 로딩 완충액에 용해시키고 투석막에 투입한다. 1L의 큐 로딩 완충액을 이용하여 탈염한다. 원심 분리 후 큐 세파로즈 컬럼에 0.5ml/min의 속도로 걸어준다. 그 후 20mL의 큐 로딩 완충액으로 씻어준다. 0M NaCl에서 0.5M NaCl로 농도를 점점 높이며 400mL 용리한다. 10% SDS-PAGE로 확인하고, NS3h 단백질 크기(약54kDa)에 맞는 깨끗한 샘플들을 모아 황산암모늄분획을 통하여 단백질을 침전시킨다. 3mL의 샘플 버퍼(50mM MOPS-Na, 10mM NaCl, 10mM DTT, 1mM EDTA, pH7.0)에 용해시키고 같은 버퍼에 15% 글리세롤을 첨가하여 밤새도록 투석한다. 원심 분리하여 얻은 깨끗한 NS3h 단백질을 100μL씩 튜브에 나눠 담고 -80℃ 냉동실에 보관한다.
3. DNAs
TAMRA와 플루오레세인(Fluorescein)이 수식 합성된 DNAs는 DNA 테크놀로지에서 구입하였고, 농도는 260nm에서의 흡광도와 그것들의 흡광계수를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었다.
TAMRA가 수식 합성된 DNA와 BHQ가 수식 합성된 DNA, 그리고 플루오레세인이 수식 합성된 DNA의 염기서열은 각각 5'-20T25Tam(5'-T20GAGCGGATTACTATACTACATTAGA(TAMRA)-3′)과 5'-20T25BHQ (5'-T20GAGCGGATTACTATACTACATTAGA(BHQ)-3') 그리고 3'-0T25Flu(5′-(플루오레세인)TCTAATGTAGTATAGTAATCCGCTC-3') 및 3'-15T25Flu(5′-(플루오레세인)TCTAATGTAGTATAGTAATCCGCTCT15-3')이다.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케이즈의 기질은 15 μM의 5′-20T25Tam과 10μM의 3′-0T25Flu를 20mM의 HEPES(pH7.4) 완충액 상에서 95℃, 5분 반응 후 서서히 온도를 낮추며 두 가닥을 결합시킨 dsDNA를 사용하였고, HCV NS3h의 기질은 15μM의 5′-20T25BHQ와 10μM의 3′-15T25Flu를 50mM의 MOPS-Na(pH7.0) 완충액 상에서 95℃, 5분 반응 후 서서히 온도를 낮추며 두 가닥을 결합시킨 dsDNA를 사용하였다. 5′-20T25Tam, 5′-20T25BHQ 그리고 3′-15T25Flu는 각각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케이즈와 HCV NS3h가 load할 수 있도록 20개의 염기 dT가 5'로부터 overhang 되도록 그리고 15개의 염기 dT가 3'로부터 overhang되도록 디자인 되었다.
4. DNA 풀림 및 ATP 가수분해 분석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케이즈의 dsDNA 풀림 활성 실험은 96개의 웰(well) 판에 64개의 천연물들을 최종 10μM 이 되도록 각각 첨가한 후 웰당 200nM의 헬리케이즈를 완충액에 희석하여 첨가한다. 상온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키며 흔들어 준다. 최종 9mM ATP, 5mM DTT, 20nM dsDNA, 1mM MgCl2 가 되도록 반응 용액을 제조하여 첨가한 후 37℃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다. 최종 50mM EDTA, 200nM Trap DNA가 되도록 반응 종결 용액을 제조하여 첨가하고 485nm의 빛을 내보내고 535nm의 빛을 감지할 수 있는 필터를 사용하여 FAM의 발광 정도를 측정하고 수치화한다.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케이즈의 활성을 40% 이상 억제하는 천연물들을 선별한다.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케이즈의 ATP 가수분해 활성 실험은 96개 웰 판에 64개의 천연물들을 최종 10μM이 되도록 각각 첨가한 후 웰당 400nM의 헬리케이즈를 완충액에 희석하여 첨가한다. 상온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키며 흔들어 준다. 최종 50mM NaCl, 2mM ATP, 2nM M13(ssDNA), 5mM MgCl2가 되도록 반응 용액을 제조하여 첨가한다. 37℃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다. 말라카이트 그린과 암모늄 몰리브데이트로 만든 발색시약을 첨가하여 반응 종결시키고 발생된 Pi에 의한 발색 정도를 6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수치화한다.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케이즈의 활성을 40% 이상 억제하는 천연물들을 선별하여 각각을 농도 별(0.01μM, 0.1μM, 0.3μM, 0.5μM, 0.7μM, 1μM, 3μM, 5μM, 7μM, 10μM, 20μM)로 실험해 본다.
헬리케이즈의 활성을 50% 억제할 때의 천연물 각각의 농도(IC50 값)를 SigmaPlo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한다. HCV NS3h의 dsDNA 풀림 활성 실험은 64개의 천연물들을 최종 10μM이 되도록 각각 첨가한 후 웰당 200nM의 헬리케이즈를 완충액에 희석하여 첨가한다. 상온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키며 흔들어준다. 최종 10mM ATP, 5mM DTT, 20nM dsDNA, 5mM MgCl2가 되도록 반응 용액을 제조하여 첨가한다. 37℃에서 20분 동안 반응시킨다. 최종 50mM EDTA, 200nM Trap DNA가 되도록 반응 종결 용액을 제조하여 첨가하고 485nm의 빛을 내보내고 535nm의 빛을 감지할 수 있는 필터를 사용하여 FAM의 발광 정도를 측정하고 수치화한다. HCV NS3h의 활성을 40% 이상 억제하는 천연물들을 선별한다. HCV NS3h의 ATP 가수분해 활성 실험은 96 웰 판에 64개의 천연물들을 최종 10μM이 되도록 각각 첨가한 후 웰당 400nM의 헬리케이즈를 완충액에 희석하여 첨가한다. 상온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키며 흔들어 준다. 최종 50mM NaCl, 2mM ATP, 10nM PolyU, 5mM MgCl2 가 되도록 반응 용액을 제조하여 첨가한다. 37℃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다. 말라카이트 그린과 암모늄 몰리브데이트로 만든 발색시약을 첨가하여 반응 종결시키고 발생된 Pi에 의한 발색 정도를 6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수치화한다.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케이즈의 활성을 40% 이상 억제하는 천연물들을 선별한다.
항 바이러스 물질에 대한 발견은 살아있는 바이러스를 직접 다루어야 하는 위험성 때문에 지연되어온 반면, 본 발명은 간단하고 살아있는 바이러스를 다루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 손쉬운 cell-free 시스템이며, 본 발명의 스크리닝 시스템은 차후에도 바이러스 헬리케이즈를 타겟으로 하는 화합물의 발견에 기여할 수 있다.
Baicalein, scutellarein와 myricetin 모두 약용 식물에 존재하는 천연의 플라보노이드 계열 화합물이며 그들은 ATP 가수분해 활성에 영향을 주어 사스코로나 바이러스 활성을 강하게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사스코로나바이러스 헬리케이즈에 대한 64개의 천연물들(10μM 농도)의 dsDNA 풀림활성 억제에 관하여 535nm 파장에서 방출하는 형광의 양을 측정한 그래프,
도 2는 64개의 천연물들의 nsP13의 ATP가수분해에 대한 억제에 대하여 535nm 파장에서 방출하는 형광의 양을 측정한 그래프,
도 3은 64개의 천연물들(10μM 농도)의 HCV바이러스 헬리케이즈의 dsDNA 풀림 활성을 억제 관하여 535nm 파장에서 방출하는 형광의 양을 측정한 그래프,
도 4는 64개의 천연물들(10μM 농도)의 HCV바이러스 ATP 가수분해에 대한 억제에 대하여 535nm 파장에서 방출하는 형광의 양을 측정한 그래프,
도 5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케이즈의 ATP 가수분해 활성 억제에 대한 myricetin의 IC50 값을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케이즈의 ATP 가수분해 활성 억제에 대한 scutellarein의 IC50 값을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케이즈의 ATP 가수분해 활성 억제에 대한 baicalein의 IC50 값을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케이즈에 의한 ds DNA 풀림 테스트를 보여주는 그림,
도 9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케이즈에 의한 ATP 가수분해 테스트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천연물은 바이러스 질병들에 대한 가능성 있는 의약품들의 큰 원천으로 생각된다. 특히, 그것들은 강력한 신경보호작용, 심장질환보호작용, 암 예방 활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중요한 과학적 흥미를 갖게 한다. 더불어 몇 개의 천연물들은 중요한 항 바이러스 효과를 보인다고 보고되어 있다. 예를 들면, 밀크시슬 속에 많이 있는 실리마린의 투여는 HBV형질전환 쥐안의 B형 간염 바이러스와 관련된 간암을 중요하게 억제한다. 퀘르세틴 또한 HCV 셀 시스템 상에서 C형 간염 바이러스 물질을 억제한다. 녹차의 주요 활성요소인 EGCG(Epigallocatechin-3-gallate)는 바이러스 감염을 위해 요구되는 정액으로부터 유래된 유도체(SEVI)의 분해에 의해 HIV 복제를 억제한다. 감초 뿌리의 활성 성분인 글리시리진은 비록 사스 바이러스 환자들에 대한 임상적인 효능에 대해 좀 더 많은 확증이 요구되지만, 벨로 셀(신장상피세포) 상에서의 사스와 연관된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억제 효과를 보인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을 인비트로 상에서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활성에 대하여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물들을 찾아내기 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 화합물 라이브러리 준비
발명자들은 화합물 라이브러리(표 1)를 준비하였고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케이즈 nsP13의 활성에 대한 그들의 효과를 실험하였다. nsP13은 ATP가수분해에 의해 DNA 두 가닥을 풀어주는 활동을 하며 핵산을 따라 잘 이동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Figure pat00001
실시예 2 ; 천연물 라이브러리의 몇몇 물질들에 대한 스크리닝
첫 번째로 nsP13의 DNA를 풀어주는 활성을 억제할지도 모르는 천연물 라이브러리의 몇몇 물질들에 대해 스크리닝을 진행하였다. nsP13의 DNA 두 가닥을 풀어주는 활성은 TAMRA에 대한 형광으로부터 FRET 현상에 기반을 둔, 형광을 이용하여 수치화하는 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FRET은 두 개의 dye 분자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에너지 전달 과정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에너지는 도너 분자(에너지를 주는 쪽)에서 억셉터 분자(에너지를 받는 쪽)로 전달되며 인접한 두 분자 사이의 역학적인 상호작용을 결정짓는데 매우 유용하다. 좀 더 특별하게 실험 계획은 플루오레세인으로부터 TAMRA에게 발생되는 FRET방법과 같이 고안 되었는데, 그로 인해 DNA 두 가닥이 염기 쌍을 이루고 있을 때는 플루오레세인의 형광이 없지만, nsP13 헬리케이즈에 의한 두 가닥 풀림이 일어나면 플루오레세인에서 TAMRA로의 FRET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강한 형광이 발생된다 (도 8).
실시예 3 : dsDNA -풀림 반응
상기 이론을 바탕으로 본 발명자들은 각각의 천연물들을 10μM 농도로 dsDNA-풀림 반응에 첨가하였고 535nm 파장에서 방출하는 형광의 양을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2
상기 표 2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케이즈에 대한 64개 천연물들의 dsDNA풀림 활성 억제 수치를 나타내며, 결과적으로 본 발명자는 nsP13 헬리케이즈의 dsDNA 풀림 활성을 억제하는 어떤 천연물도 찾을 수 없었다 (도 1).
동일한 실험 계획을 사용하여, HCV 바이러스의 헬리케이즈의 화학적 억제 물질을 찾는 시도를 해보았으나 in vitro 상에서 HCV바이러스 헬리케이즈의 DNA 풀림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브러리 안에 있는 천연물 중에서는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3).
Figure pat00003
실시예 4: ATP 가수분해 활성 억제 실험
다음으로, nsP13의 ATP 가수분해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천연물이 존재하는지 평가를 하였다. ATP 가수분해 실험은 M13-단일가닥DNA의 존재 하에 nsP13으로 수행되었다. M13-단일가닥 DNA는 7,250개의 염기로 구성된 긴 원형 DNA로 끝이 없고, 그로 인해 헬리케이즈는 DNA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면 끊임없이 ssDNA를 타고 옮겨 다닌다. ATP 가수분해의 발생은 몰리브데이트 복합체를 형성하는 분해된 Pi의 측정에 의한 색 변화를 이용하여 수치화하는 분석법으로 평가하였다(도 9).
이 실험 계획을 이용하여, nsP13의 ATP가수분해에 대한 억제효과가 존재하는 어떠한 천연물이 있는지 없는지를 실험하였다.
Figure pat00004
66개의 천연물 중에서 myricetin (No 6)과 scutellarein (No 9)이 10μM 농도에서 90% 이상 nsP13의 ATP가수분해 활성을 강력하게 억제했으며, 반면 myricitrin (No. 7), amentoflavone (No. 18), diosmetin-7-O-Glc-Xyl (No. 35) 및 taraxerol (No. 58)와 같은 몇 개의 물질들은 20% 정도의 약간의 억제 효과를 보였다 (도 2).
한편, HCV 바이러스 헬리케이즈의 ATP 가수분해 활성에 관한 억제 측정결과, 도 4 및 표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연물 중에서는 HCV 바이러스 헬리케이즈의 ATP 가수분해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찾을 수 없었다.
Figure pat00005
상기 표 5는 HSV NS 3h에 대한 64개의 천연물들의 ATP가수분해 활성 억제 수치를 나타낸다.
실시예 5: scutellarein myricetin 인비트로 상에서의 nsP13 ATP 가수분해 활성에 대한 억제효과 측정
순차적으로 희석된 scutellarein과 myricetin을 in vitro 상에서 nsP13의 ATP 가수분해 활성에 대한 그들의 억제효과를 측정하여 각각의 IC50 값을 얻을 수 있었다. 그 결과 myricetin과 scutellarein의 IC50 값이 각각 2.71μM과 0.86μM 임을 알 수 있었다 (도 5 및 6).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여기서 흥미롭게 주목할 점은 myricetin과 scutellarein 둘 다 천연 플라보노이드라는 것이다. myricetin과 scutellarein이 사스코로나바이러스 헬리케이즈의 ATP 가수 분해에 영향을 주는 물질이라는 사실에 기반하여 이들과 유사한 구조의 플라보노이드 성분들의 사스 헬리케이즈에 대한 영향을 시험한 결과 scutellarein 그리고 myricetin보다 baicalein이 더욱 강력한 SARS 헬리케이즈 ATP 가수분해 저해제 (IC50= 0.47μM)라는 사실도 발견하였다 (도 7).
아래에 사스 코로나바이러스의 활성을 억제하는 플라보노이드, 그들의 유도체 및 그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Myricetin, Scutellarein 또는 baicalein..................200 ㎎
유당 100 ㎎
탈크 10 ㎎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Myricetin, Scutellarein 또는 baicalein ..................200 ㎎
유당........................................100 ㎎
전분........................................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캡슐제의 제조
Myricetin, Scutellarein 또는 baicalein .........100 ㎎
결정성 셀룰로오스 ...............................3 ㎎
락토오스 ........................................14.8 ㎎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Myricetin, Scutellarein 또는 baicalein ........100 ㎎
만니톨 ........................................180 ㎎
주사용 멸균 증류수 ............................2794 ㎎
Na2HPO412H2O ................................... 26 ㎎
통상의 주사제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 (2 ㎖)당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Myricetin, Scutellarein 또는 baicalein ...........100 ㎎
이성화당...........................................20 g
만니톨..............................................5 g
통상의 액제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당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100 ㎖로 조절하고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6. 건강식품의 제조
Myricetin, Scutellarein 또는 baicalein ...................1000 ㎎
비타민 혼합물...............................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70 ㎍
비타민 E............................1.0 ㎎
비타민 B1...........................0.13 ㎎
비타민 B2...........................0.15 ㎎
비타민 B6...........................0.5 ㎎
비타민 B12..........................0.2 ㎍
비타민 C............................10 ㎎
비오틴..............................10 ㎍
니코틴산아미드......................1.7 ㎎
엽산................................50 ㎍
판토텐산 칼슘.......................0.5 ㎎
무기질 혼합물.......................적량
황산제1철...........................1.75 ㎎
산화아연............................0.82 ㎎
탄산마그네슘........................25.3 ㎎
제1인산칼륨.........................15 ㎎
제2인산칼슘.........................55 ㎎
구연산칼륨..........................90 ㎎
탄산칼슘............................100 ㎎
염화마그네슘........................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Myricetin, Scutellarein 또는 baicalein .....1000 ㎎
구연산......................................1000 ㎎
올리고당....................................100 g
매실농축액..................................2 g
타우린......................................1 g
물 .........................................적당량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15)

  1. 사스(SARS)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케이즈의 활성을 억제하는 플라보노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보노이드는 Myricetin, Scutellarein 및 baicalein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보노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보이드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케이즈 nsP13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보노이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보이드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케이즈 nsP13의 ATP가수분해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보노이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플라보노이드의 유도체.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플라보노이드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7. 제5항의 유도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8. Myricetin, Scutellarein 및 baicalein으로부터 선택되는 플라보노이드, 그들의 유도체, 및 그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스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보노이드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케이즈 nsP13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보노이드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케이즈 nsP13의 ATP 가수분해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유효성분을 0.01 내지 99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2. Myricetin, Scutellarein 및 baicalein으로부터 선택되는 플라보노이드, 이들의 유도체,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사스의 예방 또는 치료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유효성분을 0.01 내지 99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형태는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또는 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20110095198A 2011-09-21 2011-09-21 사스 코로나바이러스의 활성을 억제하는 플라보노이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도체 및 염, 이를 함유하는 사스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201300315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198A KR20130031551A (ko) 2011-09-21 2011-09-21 사스 코로나바이러스의 활성을 억제하는 플라보노이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도체 및 염, 이를 함유하는 사스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198A KR20130031551A (ko) 2011-09-21 2011-09-21 사스 코로나바이러스의 활성을 억제하는 플라보노이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도체 및 염, 이를 함유하는 사스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551A true KR20130031551A (ko) 2013-03-29

Family

ID=48180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198A KR20130031551A (ko) 2011-09-21 2011-09-21 사스 코로나바이러스의 활성을 억제하는 플라보노이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도체 및 염, 이를 함유하는 사스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155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6655A (ko) 2017-06-15 2018-12-26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2240693B1 (ko) * 2020-05-18 2021-04-15 주식회사 케마스 육산화사비소를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WO2021243756A1 (zh) * 2020-06-03 2021-12-09 上海爱启医药技术有限公司 杨梅素抑制新型冠状病毒的药物应用
KR20220120520A (ko) 2021-02-23 2022-08-30 (주) 칼리시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연구된 헬리케이즈 (Helicase, NSP13) 억제 활성을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5645393A (zh) * 2020-02-26 2023-01-31 上海科技大学 二氢杨梅素在抗冠状病毒中的应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6655A (ko) 2017-06-15 2018-12-26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CN115645393A (zh) * 2020-02-26 2023-01-31 上海科技大学 二氢杨梅素在抗冠状病毒中的应用
KR102240693B1 (ko) * 2020-05-18 2021-04-15 주식회사 케마스 육산화사비소를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WO2021235695A1 (ko) * 2020-05-18 2021-11-25 주식회사 케마스 육산화사비소를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CN115803090A (zh) * 2020-05-18 2023-03-14 凯马斯株式会社 包含六氧化四砷的用于预防或治疗冠状病毒感染症的药物组合物
WO2021243756A1 (zh) * 2020-06-03 2021-12-09 上海爱启医药技术有限公司 杨梅素抑制新型冠状病毒的药物应用
KR20220120520A (ko) 2021-02-23 2022-08-30 (주) 칼리시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연구된 헬리케이즈 (Helicase, NSP13) 억제 활성을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4745B1 (ko)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케이즈 nsP13의 활성을 억제하는 화합물 및 이의 용도
US5585365A (en) Antiviral polysaccharide
KR102204299B1 (ko) 담팔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
KR20110093975A (ko)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KR20130031551A (ko) 사스 코로나바이러스의 활성을 억제하는 플라보노이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도체 및 염, 이를 함유하는 사스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CN111214463A (zh) 一种白藜芦醇在制备抗SARS-CoV-2病毒药物的应用
KR101117861B1 (ko) 포르시토사이드 주사제와 그 제조 방법
US20140194500A1 (en) Methods For Treating of SARS
KR20170003975A (ko) 커큐민-펩타이드 컨쥬게이트 및 이의 제형
KR20130071032A (ko) 단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8605931B (zh) 四种化合物在制备杀线虫药物中的应用
CN107011419B (zh) 具有抗病毒活性的板蓝根活性糖肽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1087759B1 (ko)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976528B1 (ko) 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2106978A (ja) 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の赤血球凝集素(Hemagglutinin)を抑制する医薬組成物およびその調製方法
JP2019099521A (ja) 8−プレニルナリンゲニンの製造方法、抗ウイルス用食品組成物及び抗ウイルス剤
KR101189823B1 (ko) 폴리페놀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US9629385B2 (en) Dietary composition containing cistanche deserticola polysaccharide with inhibitory effects on colon cancer
KR100414187B1 (ko)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 및 이의 용도
JP2023026528A (ja) シアノバクテリア抽出物、その調製方法と利用方法
KR101160743B1 (ko) 녹차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류 인플루엔자에 대한 항바이러스제
JP2009137920A (ja) グリコーゲンホスホリラーゼ阻害剤
KR102279105B1 (ko) 대추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145487A (ko) 사스 및 COVID-19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케이즈 nsP13의 활성을 억제하는 화합물 및 그의 약학적 용도
EP3171883A1 (en) Seaweed extract and composition useful against cancer ce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