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0863A -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0863A
KR20130030863A KR1020110094415A KR20110094415A KR20130030863A KR 20130030863 A KR20130030863 A KR 20130030863A KR 1020110094415 A KR1020110094415 A KR 1020110094415A KR 20110094415 A KR20110094415 A KR 20110094415A KR 20130030863 A KR20130030863 A KR 20130030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chase
user
user terminal
information
purchase confi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4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5600B1 (ko
Inventor
양병석
김준영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110094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600B1/ko
Publication of KR20130030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0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involving input on products or services in exchange for incentives or rew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구매 확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비스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각 단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구매한 구매 내역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조회 결과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구매 내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 내역 정보에 포함된 특정 물품에 대한 구매 확인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시, 상기 특정 물품에 대한 구매 확인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의 접속 주소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스캔 및 분석한 코드 이미지로부터 추출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방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ONFIRMING A PURCHASE USING A USER TERMINAL}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매자가 온라인으로 구매한 물품에 대한 구매 확인 절차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출시되는 스마트폰들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일반 휴대폰에서 스마트폰으로 사용자들이 많이 옮겨가고 있는 추세이다. 스마트폰(smart phone)이란 휴대폰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휴대폰으로서, 휴대폰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기능, 인터넷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등이 추가되며, 다양한 입력 방식과 터치스크린 등이 구비되어 사용에 보다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팩스, 뱅킹, 게임 등 사용자 단말로서의 기능도 수행한다.
스마트폰은 이러한 다양한 기능의 수용을 위하여 표준화된 운영 체제(OS) 또는 전용 운영 체제를 갖추기도 한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을 통해 다양한 기능의 구현이 가능해짐에 따라, 스마트폰 내에서 구동되는 다양한 전용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통상적으로 '앱(App)'이라고도 한다)들과 콘텐츠(content)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인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구매에서 온라인을 통해 결제된 판매 대금은 거래의 보호를 위해 우선 제3자에 예치되고, 해당 물품이 배송된 후 구매자가 구매 확인을 하면, 즉 배송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후에야 비로소 판매 대금이 판매자에게로 결제 처리되는 에스크로 서비스(escrow service)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구매자가 구매 확인을 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등을 통해 해당 쇼핑몰 사이트에 다시 접속하고, 몇 번의 클릭을 통해 자신의 쇼핑 내역 메뉴로 찾아가서 구매 확인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대부분의 구매자는 이러한 불편함으로 인해 구매 확인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이 경우 판매자는 물건을 배송한 후에도 판매 대금을 결제받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현재 에스크로 서비스에서는 설정된 일정 기간이 지나도 구매 확인을 하지 않게 되면 자동으로 구매 확인 처리가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판매자는 판매 후 바로 구매 확인 처리가 되지 않음으로 인해 판매 대금을 조기에 지급받지 못하게 되며, 구매자가 구매 확인을 하지 않음으로써 언제 반품할지 모르는 불안정한 상황에 놓이게 된다는 문제점은 해결되지 않고 있다.
한편,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4-0081890 "코드 패턴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제공장치 및 그 방법(케이티프리텔)"(문헌 1)에는 인쇄물에 게재된 제품과 관련되어 부착된 코드 패턴 이미지를 촬상한 후, 상기 코드 패턴 이미지에서 추출된 웹페이지 주소 정보를 통해 특정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 1은 물품 구매를 위한 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단지 웹페이지 주소 정보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해당 물품 구매 후 구매 확인을 위해서는 구매자가 다시 별도로 사이트에 접속한 후, 구매 확인 페이지를 몇 번의 클릭을 통해 찾아가야 하는 불편함이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물품 구매자가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여러 번 클릭해서 찾아가야 하는 절차 없이도 편리하게 구매 확인을 할 수 있으며, 구매자가 조기에 구매 확인을 하도록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문헌 1]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4-0081890 코드 패턴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제공장치 및 그 방법(케이티프리텔) 2004.9.23
본 발명의 목적은 온라인을 통해 구매하여 배송된 물품에 부착된 코드를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스캔함으로써 해당 물품에 대한 구매 확인 절차로 바로 진행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방법,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온라인을 통해 구매하여 배송된 물품에 부착된 코드를 스캔함으로써 별도의 사용자 정보 입력 과정 없이 해당 물품에 대한 구매 확인 절차로 바로 진행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방법,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온라인을 통해 구매하여 배송된 물품에 부착된 코드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스캔함으로써 해당 물품에 대한 구매 확인 절차를 진행하고, 이를 기초로 구매평 작성 메뉴 또는 관련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방법,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유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스마트폰을 이용한 구매 확인 방법은, 서비스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각 단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구매한 구매 내역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조회 결과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구매 내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 내역 정보에 포함된 특정 물품에 대한 구매 확인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시, 상기 특정 물품에 대한 구매 확인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의 접속 주소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스캔 및 분석한 코드 이미지로부터 추출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스마트폰을 이용한 구매 확인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구매한 구매 내역 정보를 조회하는 구매 내역 확인부, 상기 조회 결과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구매 내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구매 내역 전송부 및 상기 구매 내역 정보에 포함된 특정 물품에 대한 구매 확인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시, 상기 특정 물품에 대한 구매 확인 처리를 수행하는 구매 확인 처리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의 접속 주소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스캔 및 분석한 코드 이미지로부터 추출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시스템을 포함 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방법을 제공받기 위한 정보는 서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그 예로는, 롬(Read Only Memory), 램(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이러한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온라인을 통한 물품 구매자가 물품을 수령한 후 별도의 복잡한 사이트 접속 절차 없이 간편하게 구매 확인 페이지로의 연결을 제공함으로써 구매자의 구매 확인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매자로 하여금 조속한 구매 확인을 유도함으로써 판매자에게는 조기에 판매 대금을 결제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구매자는 구매 확인에 따라 포인트 등을 별도로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매자에 대한 구매 확인 절차 진행 후, 이를 기초로 관련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 연결되도록 링크를 제공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소셜 활동을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별도의 사용자 정보 입력 없이도 구매한 물품에 부착된 코드를 스캔함으로써 바로 물품 구매 확인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과 서비스 서버 간의 구매 확인 절차를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구현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은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물품을 구매한 사용자가 물품을 배송받은 후, 배송된 물품에 부착된 코드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스캔함으로써 구매 확인 절차로 바로 연결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때,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사용자 단말에는 코드 이미지를 스캔하여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 및 사용자 단말 내에 내장된 소정의 사용자 정보를 통해 해당 쇼핑몰의 소정 사용자에 해당하는 구매 확인 페이지로 직접 연결되도록 처리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전용 얘플리케이션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코드 이미지를 스캔하고, 스캔된 코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웹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한 범용의 코드 이미지 판독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설치된 전용 또는 범용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시 로그인을 위해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예컨대, 아이디(ID) 정보 및 비밀번호, 또는 사용자 단말의 고유 번호 등)를 상기 분석된 코드 이미지 정보(예컨대, 해당 쇼핑몰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에 따른 해당 서비스 서버로 함께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를 인식하기 위한 별도의 사용자 정보 입력 절차 없이 구매자의 구매 확인 페이지로 바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해당 서비스 서버에서는 상기 전송된 사용자 정보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구매 내역을 확인하고, 현재 구매하여 배송된 상품이 있을 경우 해당 물품에 대한 구매 내역 정보 또는 구매 내역 정보가 포함된 구매 확인 페이지를 상기 해당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자동적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용어 '사용자 단말'은 전술한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단말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항법 장치 등 이동 단말기뿐만 아니라 컴퓨터, TV 등 고정 단말기를 포함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모든 단말기가 사용자 단말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배송된 물품에 부착되어 사용자 단말을 통해 식별하는 코드 이미지로서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QR(Quick Response) 코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코드 이미지'가 QR 코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코드, QR코드, 컬러짚 코드, 스마트 태그, 데이터 매트릭스(Data Matrix) 등을 포함하여 유사 또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어떠한 코드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해설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용어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앱(App)'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특히 코드 이미지를 스캔하여 해석하는 기능 및 해석된 코드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하고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기능들이 수행된다. 한편,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종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전용으로 제작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다른 특정 또는 범용 애플리케이션에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을 포함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쇼핑몰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될 수도 있으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사용자 정보(예컨대, 아이디(ID))와 인증 정보(예컨대, 패스워드)를 입력함으로써 로그인한 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단말 내에 내장된 고유 번호(예를 들어 MAC 어드레스 또는 스마트폰의 시리얼 넘버나 전화번호 등)을 별도의 입력없이 이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절차의 개념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온라인 쇼핑몰에 접속하여 특정 물품을 구매하고, 해당 물품을 배송받는다. 이때,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물품의 상자(100) 또는 물품에 부착되거나, 내부에 별도로 구비된 인쇄물(110)에 QR 코드와 같은 코드 이미지(111)가 미리 인쇄되어 배송되거나, 쇼핑몰의 명함에 상기 코드가 인쇄되고,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120)(예컨대,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인쇄된 코드 이미지를 스캔하게 된다.
상기 스캔된 코드 이미지는 해당 물품을 구매한 쇼핑몰의 서비스 서버로 연결하기 위한 정보(예컨대, URL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코드 이미지의 스캔과 동시에 사용자 단말에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예컨대, 사용자 아이디(ID)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에 자동으로 접속 요청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는 상기 전송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사용자의 구매한 물품의 내역 및 배송된 물품을 조회한다.
이때, 상기 조회 결과, 상기 사용자가 구매하여 배송된 물품이 존재할 경우, 해당 구매 물품에 대한 구매 내역 정보 또는 구매 확인 페이지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구매 확인의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반면, 현재 사용자가 구매하여 배송된 물품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또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함께 전송되지 않은 경우에는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하는 해당 쇼핑몰 페이지로 리다이렉션(re-direction) 처리를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20)에 쇼핑몰 페이지가 제공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매 확인 프로세스 진행을 위해, 이를 실행 및 처리할 수 있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예컨대, 쇼핑몰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없이 사용자 단말(120)에서 코드를 스캔하여 식별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사용자 정보를 상기 식별된 정보에 따른 서비스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코드 이미지 스캔시 함께 전송되는 해당 사용자 정보는 상기 설치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로그인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설치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에 자동 로그인을 설정할 경우,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코드 이미지를 스캔함과 동시에 별도의 사용자 정보 입력 절차 없이도 구매 확인 페이지로의 빠른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자동 로그인을 설정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정보의 적어도 일부(예컨대, 로그인 아이디 정보, 비밀번호 등)를 로그인시 입력해야 하고, 이 때 설치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정보만을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거나, 이에 추가하여 사용자 단말에 이미 저장된 추가적인 사용자 정보(예컨대, 사용자 단말의 고유 번호 등)를 더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쇼핑몰의 운영 주체 및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운영 주체가 상이한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쇼핑몰과 제휴하여 광고, 구매, 결제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포털 사이트(portal site)가 존재(예컨데, NHN의 '네이버 체크아웃'서비스 등)하고, 해당 포털 사이트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하는 경우, 스캔된 코드 이미지는 해당 사용자가 물품을 구매한 특정 쇼핑몰의 주소로 연결하지 않고서도 제휴된 쇼핑몰 중에서 해당 사용자가 구매하고 배송중인 물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포털 사이트의 정보(예컨대, URL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그 세부 구성들을 설명하며, 이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절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전체 시스템 구성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20), 서비스 서버(200), 통신 네트워크(210)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서비스 서버(200)는 쇼핑몰 서버(201), 인증 서버(202), 결제 서버(203), SNS 서버(204)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20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 네트워크(210)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공중파 이동통신망(3G, 4G 등),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를 비롯하여, 단거리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네트워크(210)는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으며, 적외선(Infrared Data Assosiation; IrDA)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이 단거리 통신에 이용되는 무선전송기술을 부분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쇼핑몰 서버(201)는 구매 확인 처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구매 확인 처리 모듈에서는 사용자 단말(120)의 접속 요청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구매 내역을 확인하고, 확인된 구매 내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120)로 제공하는 등 본 발명의 주요 기능들을 제공한다. 상기 쇼핑몰 서버(200)의 세부 기능은 도 4의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인증 서버(202)는 사용자 단말(120)의 접속시 해당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12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결제 서버(203)는 상기 쇼핑몰 서버(201)를 통해 구매한 물품에 대한 결제 처리를 담당한다. SNS 서버(20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매 확인 절차 진행에 따라 해당 구매 물품 또는 쇼핑몰과 연계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SNS)(예컨대, '미투데이(me2day)'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쇼핑몰 서버(201)와 동일한 사업자가 운영하는 SNS 서버(204)와 연동할 수도 있고, 서비스 서버(200) 외부의 타사업자가 제공하는 SNS 서버들과 연동하여 SNS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 서버(20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매 확인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데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쇼핑몰 서버(201), 인증 서버(202), 결제 서버(203) 및 SNS 서버(204) 등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정보를 독출하여 제공한다. 요청받은 정보에는 각 사용자의 아이디에 매핑되는 구매 내역 정보 또는 배송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서버(20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서비스 서버(200)가 복수의 세부적인 서버들(201, 202, 203, 204, 205)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복수의 서버들은 기능적으로 서로 통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고 일부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는 생략될 수도 있으며 추가적인 기능을 갖는 서버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므로, 이에 따라 서비스 서버(200)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인 서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서비스 서버(200) 내의 세부적인 서버들(201, 202, 203, 204, 205)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일부 또는 전체 기능이 타사업자들에 의해 제공 또는 운영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구매 확인 절차를 진행하기 위하여 통신 네트워크(210)를 통하여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하기 위한 입출력 기능을 포함하며,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뿐만 아니라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팜톱(palmtop)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120)로서 채택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120)은 입력부(310), 출력부(320), 카메라부(330), 제어부(340), 송수신부(350), 저장부(360)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입력부(310)는 키패드 또는 터치패드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 및 선택 수단을 포함하며, 출력부(320)를 통해 표시된 구매 내역 정보를 확인하고 구매 확인을 선택할 수 있다. 카메라부(330)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배송된 물품 또는 쇼핑몰 명함 등에 표시된 코드 이미지(예컨데, QR 코드)를 스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340)는 사용자 단말(120)의 각 기능부들을 제어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330)를 제어하여 코드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부(360)의 응용 프로그램 모듈(370)로 제공한다. 송수신부(35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생성된 각종 정보들을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처리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정보를 수신 처리한다. 저장부(360)에는 사용자 단말(120) 내에서 실행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들이 저장 및 설치되고,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구매 확인 처리를 제공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모듈(370)이 저장부(360)에 저장 및 설치된다.
한편, 상기 응용 프로그램 모듈(37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 확인 프로세스를 처리하기 위해 이미지 스캔부(371), 이미지 분석부(372), 전송 처리부(373), 로그인 처리부(374), ID/PW 저장부(375) 및 구매 확인부(37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응용 프로그램(즉, 애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 또는 복사되어 저장부(360)에 저장되고, 설치(install)된 후, 사용자가 해당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하면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이때, 로그인 처리부(374)를 통해 사용자 정보(예컨대, 아이디(ID) 및 패스워드(password), 또는 사용자 단말의 고유 번호 등)를 입력받거나 추출하고 이를 인증함으로써,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로그인 처리되고 상기 입력된 사용자 정보는 ID/PW 저장부(375)를 통해 저장부(360) 내에 저장된다. 한편,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상기 로그인 시에 자동 로그인을 설정하게 되면, 이후 프로그램 실행시에 별도의 로그인 절차 없이도 자동으로 로그인 처리된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을 통한 각종 서비스 절차는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공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 따라 로그인하여 서비스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미지 스캔부(371)는 제어부(340)를 통해 카메라부(330)의 카메라 모듈을 구동시켜 서비스 서버에 대한 정보(예컨대, URL 정보)가 포함된 코드 이미지(예컨대, QR 코드)를 스캔하게 된다. 상기 스캔된 코드 이미지는 이미지 분석부(372)를 통해 디코딩(decoding)되어, 상기 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코드에 포함된 정보는 해당 물품을 판매한 서비스 서버(예컨대, 쇼핑몰 사이트 서버) 또는 해당 물품의 판매를 알선한 서비스 서버(예컨데, 포털 사이트에 의해 운영되는 서비스 서버)의 주소(예컨대, URL 주소)일 수 있다. 전송 처리부(373)에서는 이와 같이 이미지 분석부(372)에서 분석된 정보(즉, URL 주소)에 따라, 해당 서비스 서버(200)로 접속 및 정보 요청을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로그인 시 저장된 사용자 정보(예컨대, 아이디(ID) 정보 등)를 함께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 정보가 송수신부(350) 를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200)의 주소로 전송됨으로써, 해당 물품에 대한 구매 내역 정보를 서비스 서버(200)로 요청한다. 서비스 서버(200)에서는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사용자의 구매 내역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120)로 제공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구매 내역 정보는 송수신부(350)를 통해 수신되고, 출력부(32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구매 내역 정보를 확인하고, 입력부(310)를 통해 구매 확인을 선택하면 구매 확인부(376)에서는 상기 구매 확인된 내용을 서비스 서버(200)로 다시 전송함으로써, 서비스 서버(200)에서는 구매 확인 처리가 된다.
서비스 서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서버(200)의 쇼핑몰 서버(201)는 상품 관리 모듈(410), 판매 처리 모듈(420), 배송 처리 모듈(430), 모바일 연동 모듈(440) 및 구매 확인 처리 모듈(4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매 확인 처리 모듈(450)은 구매 내역 확인부(451), 구매 내역 전송부(452) 및 구매 확인 처리부(4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연동하여 각종 데이터를 저장 및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205)는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460), 구매 정보 데이터베이스(470), 배송 정보 데이터베이스(480) 및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4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쇼핑몰과 제휴하여 광고, 구매, 결제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포털 사이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쇼핑몰은 상품 관리 모듈(410) 및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490)만을 포함하고, 포털 사이트는 상기 쇼핑몰 서버(201)의 구매, 결재, 구매 확인 서비스 등을 제공하기 위한 나머지 모듈 및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거나, 또는 쇼핑몰과 상기 쇼핑몰 서버(201)에 도시된 모든 모듈 및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쇼핑몰 서버(201)는 판매자들로부터 등록된 각종 물품에 대한 판매 정보를 온라인상에서 웹페이지를 통해 게시하고, 각 물품에 대한 판매, 결제 및 배송과 관련된 각종 처리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쇼핑몰 서버(201)는 상기 도 3의 사용자 단말(120)에 설치되는 응용 프로그램과 상호 연동되어 처리될 수도 있으며, 각각 다른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어 독립적으로 처리될 수도 있다.
먼저, 상품 관리 모듈(410)은 판매자에 의해 등록된 상품(또는 물품)들을 관리하고, 각 등록된 상품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며 이를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490)에 저장한다. 판매 처리 모듈(420)은 등록된 상품에 대해 사용자가 구매를 하면, 해당 상품에 대해 판매 처리하며, 배송 처리 모듈(430)은 상기 판매된 상품에 대해 배송 업체와 연계하여 배송 처리하게 된다. 상기 판매된 물품에 대한 정보는 구매 정보 데이터베이스(470)에 저장되며, 해당 물품의 배송 처리 상태를 포함하여 배송과 관련된 정보는 배송 정보 데이터베이스(480)에 저장된다.
모바일 연동 모듈(440)은 사용자가 컴퓨터 단말을 통해 쇼핑몰 서버(201)의 웹페이지에 접속할 뿐만 아니라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접속할 경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모바일 웹페이지를 제공하며 모바일 기기와의 각종 연동과 관련된 처리를 수행한다.
구매 확인 처리 모듈(45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매된 물품에 대한 구매 확인 처리를 수행한다. 즉,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사용자 정보와 함께 구매 내역 요청을 수신하면, 구매 내역 확인부(451)에서는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매핑되는, 즉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특정 쇼핑몰에서 구매한 구매 내역이 존재하는지를 구매 정보 데이터베이스(470)를 통해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사용자 정보에 해당하는 구매 내역이 존재할 경우, 구매 내역 전송부(452)에서는 상기 구매 내역을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 처리한다. 한편, 상기 전송할 구매 내역은 구매 후 이미 구매 확인 처리된 내역이 아닌 아직 구매 확인 처리되지 않고 현재 배송 중인 물품에 대한 내역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매 내역 전송부(452)를 통한 구매 내역 전송 후,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구매 확인 정보를 수신하면, 구매 확인 처리부(453)에서는 상기 수신된 구매 확인 정보에 따라 해당 판매된 물품을 구매 확인 처리하게 된다. 즉, 해당 물품이 배송까지 완료되어 정상적으로 판매 완료된 것으로 처리하고, 에스크로 서비스를 통해 구매자가 결제한 대금을 판매자의 계좌로 결제 처리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205)는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460), 구매 정보 데이터베이스(470), 배송 정보 데이터베이스(480) 및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49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구매 확인 처리 제공을 위해 필요한 다른 데이터베이스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460)는 상기 쇼핑몰 서버(201)에 직접적으로 또는 포털 사이트를 통해 간접적으로 회원으로 가입된 사용자의 각종 개인 정보들을 저장하며,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구매 내역 정보 요청시, 함께 전송된 사용자 정보가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460)에 저장된 회원의 정보인지를 확인할 수도 있다.
구매 정보 데이터베이스(470)는 각 회원이 등록된 물품에 대한 온라인 구매를 할 경우, 해당 물품에 대한 구매 정보와 함께 구매 확인 처리 여부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배송 정보 데이터베이스(480)는 상기 구매된 물품이 해당 사용자에게로 배송되는 과정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490)는 판매자가 등록한 물품에 대한 각종 관련 정보들을 저장한다.
상기 도 4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가 구매 확인 처리를 한 후 이와 연결된 각종 행위(예컨대, 구매평 작성, 포토 업로드, 단골 맺기, SNS를 통한 구매평 작성 등)를 할 경우 해당 설정된 포인트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포인트 제공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공된 포인트는 포인트 정보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되거나,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460)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제공된 포인트는 그 자체로, 또는 일정 점수에 이를 경우 사용자가 향후 다른 제품에 대한 구매시에 현금처럼 이용할 수 있거나 특정 이벤트에 참여할 수 있는 조건에 사용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의 인센티브(incentive)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매 확인 절차를 상세히 설명한다.
구매 확인 처리 절차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과 서비스 서버 간의 구매 확인 절차를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20) 을 통해 서비스 서버(200)(즉, 쇼핑몰 서버(201))에 접속하고, 이를 통해 물품을 구매(S501)하면, 해당 구매한 물품이 입력된 배송지로 배송(S502) 처리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120)에서 전용 애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로그인(S503)하면, 해당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S504)이 처리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실행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배송된 물품 등에 인쇄된 코드 이미지(예컨대, QR 코드)를 스캔(S505)하면, 본 발명에 따라 별도의 추가적인 조작 없이도 해당 구매한 물품에 대한 구매 확인 페이지가 사용자 단말(120)에 디스플레이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사용자 단말(120)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여 QR 코드를 스캔하고, 상기 스캔된 QR코드를 디코딩(decoding)함으로써 상기 QR 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분석(S506)한다. 한편, 상기 QR 코드에 포함된 정보는 상기 서비스 서버(200)(즉, 쇼핑몰 서버(201))에 접속하기 위한 주소 정보(예컨대, URL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 포털 사이트에 의해 운영되는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주소 정보일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상기 QR 코드에 포함된 정보는 사용자가 물품을 구매한 특정 쇼핑몰을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QR 코드에 포함된 주소 정보를 통해 별도의 조작 없이 바로 서비스 서버(200)로 접속하여 구매 내역을 요청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주소 정보를 통한 연결 시 상기에서 로그인 시 입력한 사용자 정보(예컨대, 사용자 ID 등)를 함께 전송(S507) 처리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에 대한 구매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서버(200)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를 통해 해당 사용자가 구매한 물품 내역이 있는지를 데이터베이스에 조회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대한 구매 내역이 확인(S508)되면, 상기 확인된 구매 내역을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S509)한다.만일 사용자에 대한 구매 내역이 없으면 서비스 서버(200)의 메인 페이지 또는 미리 정해진 특정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전송된 구매 내역은 사용자 단말(120)에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된 구매 내역에서 해당 배송된 물품에 대한 구매 확인 버튼을 선택(S510)하면, 해당 물품에 대한 구매 확인 정보가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S511)된다. 상기 구매 확인 정보를 수신한 서비스 서버(200)에서는 상기 해당 구매 확인된 물품에 대한 구매 확인 처리(S512)(예컨대, 에스크로 서비스를 통한 판매자 대금 결제 처리 요청 등)를 하게 된다.
한편, 상기 S505 단계의 QR 코드 인식부터 S509 단계의 구매 내역 전송 및 디스플레이까지는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 없이도 실시간으로 한 번에 처리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구매한 물품을 배송받아 첨부된 코드를 단지 스캔함으로써 바로 구매 확인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구동(S601)시키면, 먼저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자동 로그인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S602), 별도의 로그인 입력 절차 없이 코드 이미지 촬영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반면, 자동 로그인이 설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로그인(S603, S604)하거나, 로그인하지 않고 다음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코드 이미지 촬영 모드에서 배송된 물품에 첨부 또는 부착된 QR 코드를 촬영하여 스캔(S605)하면, 실행되고 있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스캔된 QR 코드가 분석되어, 판매된 쇼핑몰 서버(또는 서비스 서버)에 대한 URL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자동 로그인 처리 되었거나, 로그인을 수행하여 현재 로그인 상태일 경우, 해당 URL 주소로 상기 로그인 시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함께 전송(S608)한다. 상기 쇼핑몰 서버에서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구매 내역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하고, 해당 구매 내역 정보 또는 구매 내역 확인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
상기 구매 내역 정보를 수신(S609)한 사용자 단말에서는 수신된 구매 내역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사용자는 구매 내역 정보를 확인하고 구매 확인 버튼을 선택(S610)함으로써 구매 확인 결정을 하게 된다. 상기 구매 확인 결정된 정보는 다시 쇼핑몰 서버로 전송되어 구매 확인 처리된다.
그런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구매 확인 후, 관련된 SNS 서버로 연결하여 후기를 남기거나, 해당 쇼핑몰 사이트에서 구매평(후기)을 남기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는, 해당 판매자 또는 판매 쇼핑몰을 단골로 맺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절차를 진행할 경우, 쇼핑몰 서버에서는 해당 사용자에게 추가로 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연계하여 구매평 등을 남기거나 사진을 업로드할 경우에는 설정된 만큼의 포인트를 더 제공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물품을 구매한 사용자로 하여금 빠른 구매 확인을 유도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복잡한 접속 절차 없이도 물품을 수령한 즉시 편리하게 구매확인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구매 확인에 따른 추가 포인트를 획득할 수가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구매 확인 유도가 가능해진다.
사용자 단말에서의 구매 확인 프로세스 구현 예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구현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배송된 물품에 첨부 또는 부착된 인쇄물에서 사용자 단말을 통해 QR 코드 등의 코드 이미지를 스캔하면, 별도의 입력 또는 조작 절차 없이 실시간으로 해당 사용자에 대한 구매 내역이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된다. 이때, 사용자는 배송된 물품을 확인하고, 상기 구매 내역 페이지에서 반품 버튼을 선택하거나, 구매 확인 버튼(701)을 선택한다.
상기 도 7의 페이지에서 구매 확인 버튼(701)을 선택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매 확인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페이지로 전환되어 표시된다. 이와 같은 구매 확인 완료 페이지에는 추가로 해당 배송된 물품에 대한 평가를 별 모양의 개수 등으로 표시(801)하거나, 해당 물품에 대한 사진 또는 덧글을 업로드(802)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매한 물품 또는 해당 쇼핑몰과 연계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예컨대, '미투데이(me2day)' 서비스)로 연결(803)하여 후기를 남기거나, 해당 쇼핑몰 또는 판매자와 단골 맺기(804)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구매평 작성(805)을 선택하면, 해당 구매한 물품에 대한 구매평을 작성하는 페이지로 전환된다.
즉, 상기 도 8의 화면에서 '미투에도 남기기'라는 SNS 연계 서비스를 선택할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련 SNS 페이지로 전환된다. 또한, '구매평 작성'을 선택할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매평 작성을 위한 페이지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물품을 배송받고 QR 코드 등의 코드 이미지를 식별하여 구매 확인 절차를 진행할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적립금 또는 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후기 작성 또는 포토 업로드에 따라서 추가 포인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e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상품 포장 상자 110 : 상품
111 : QR 코드 120 : 사용자 단말
200 : 서비스 서버 201 : 쇼핑몰 서버
202 : 인증 서버 203 : 결제 서버
204 : SNS 서버 205 : 데이터베이스 서버
210 : 통신 네트워크 310 : 입력부
320 : 출력부 330 : 카메라부
340 : 제어부 350 : 송수신부
360 : 저장부 370 : 응용 프로그램 모듈
371 : 이미지 스캔부 372 : 이미지 분석부
373 : 전송 처리부 374 : 로그인 처리부
375 : ID/PW 저장부 376 : 구매 확인부
410 : 상품 관리 모듈 420 : 판매 처리 모듈
430 : 배송 처리 모듈 440 : 모바일 연동 모듈
450 : 구매 확인 처리 모듈 451 : 구매 내역 확인부
452 : 구매 내역 전송부 453 : 구매 확인 처리부
460 :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 470 : 구매 정보 데이터베이스
480 : 배송 정보 데이터베이스 490 :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

Claims (29)

  1. 서비스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각 단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구매한 구매 내역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조회 결과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구매 내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 내역 정보에 포함된 특정 물품에 대한 구매 확인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시, 상기 특정 물품에 대한 구매 확인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의 접속 주소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스캔 및 분석한 코드 이미지로부터 추출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는 상기 코드 이미지의 스캔, 분석 및 구매 확인을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설치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로그인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로그인은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자동으로 수행되는 자동 로그인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기저장된 로그인 아이디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고유 번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로그인은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의 입력을 필요로 하는 수동 로그인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로그인 시 필요로 하는 입력된 사용자 정보는 로그인 아이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달된 사용자 정보는 상기 로그인 아이디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고유 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는 상기 코드 이미지를 스캔하고, 상기 스캔된 코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웹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은 로그인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드 이미지는,
    바코드, QR코드, 컬러짚 코드, 스마트 태그, 데이터 매트릭스(Data Matrix)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매 확인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물품의 정상적인 판매 완료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미리 결제한 물품 대금을 판매자의 계좌로 결제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방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매 내역 정보 조회 결과, 상기 사용자 정보에 해당하는 구매 내역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을 미리 정해진 소정 페이지로 리다이렉션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방법.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매 확인 처리를 수행한 이후,
    상기 구매된 물품에 대한 구매평을 작성하는 페이지로 전환시키는 링크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평 작성 페이지를 통해 입력 완료된 상기 구매평 수신시, 상기 사용자에게 미리 설정된 포인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방법.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매 확인 처리를 수행한 이후,
    상기 구매된 물품의 구매평을 입력하기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페이지로 전환시키는 링크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페이지를 통해 입력 완료된 상기 구매평 수신시, 상기 사용자에게 미리 설정된 포인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방법.
  15.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구매한 구매 내역 정보를 조회하는 구매 내역 확인부;
    상기 조회 결과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구매 내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구매 내역 전송부; 및
    상기 구매 내역 정보에 포함된 특정 물품에 대한 구매 확인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시, 상기 특정 물품에 대한 구매 확인 처리를 수행하는 구매 확인 처리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의 접속 주소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스캔 및 분석한 코드 이미지로부터 추출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시스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는 상기 코드 이미지의 스캔, 분석 및 구매 확인을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시스템.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설치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로그인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시스템.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로그인은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자동으로 수행되는 자동 로그인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시스템.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기저장된 로그인 아이디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고유 번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시스템.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로그인은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의 입력을 필요로 하는 수동 로그인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시스템.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로그인시 필요로 하는 입력된 사용자 정보는 로그인 아이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달된 사용자 정보는 상기 로그인 아이디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고유 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시스템.
  22.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는 상기 코드 이미지를 스캔하고, 상기 스캔된 코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웹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시스템.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은 로그인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시스템.
  24.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코드 이미지는,
    바코드, QR코드, 컬러짚 코드, 스마트 태그, 데이터 매트릭스(Data Matrix)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시스템.
  25.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구매 확인 처리부에 의해 수행되는 구매 확인 처리는, 상기 특정 물품의 정상적인 판매 완료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미리 결제한 물품 대금을 판매자의 계좌로 결제 처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시스템.
  2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구매 확인 확인부는, 상기 구매 내역 정보 조회 결과, 상기 사용자 정보에 해당하는 구매 내역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을 미리 정해진 소정 페이지로 리다이렉션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시스템.
  2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구매 확인 처리를 수행한 이후,
    상기 구매된 물품에 대한 구매평을 작성하는 페이지로 전환시키는 링크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며, 상기 구매평 작성 페이지를 통해 입력 완료된 상기 구매평 수신시, 상기 사용자에게 미리 설정된 포인트를 제공하는 포인트 제공 모듈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시스템.
  2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구매 확인 처리를 수행한 이후,
    상기 구매된 물품의 구매평을 입력하기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페이지로 전환시키는 링크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며,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페이지를 통해 입력 완료된 상기 구매평 수신시, 상기 사용자에게 미리 설정된 포인트를 제공하는 포인트 제공 모듈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시스템.
  2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10094415A 2011-09-20 2011-09-20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745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415A KR101745600B1 (ko) 2011-09-20 2011-09-20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415A KR101745600B1 (ko) 2011-09-20 2011-09-20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863A true KR20130030863A (ko) 2013-03-28
KR101745600B1 KR101745600B1 (ko) 2017-06-09

Family

ID=48180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4415A KR101745600B1 (ko) 2011-09-20 2011-09-20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60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824B1 (ko) * 2015-05-28 2016-07-19 주식회사 이디엠에스 스마트-폰을 이용한 개인인증 시스템
KR20170035574A (ko) * 2015-09-23 2017-03-31 주식회사 엔터플 사용자 계정 동기화를 이용한 디지털 상품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7180328A (zh) * 2017-06-27 2017-09-19 南京邮电大学 一种基于qr二维码的物流方法
WO2019051693A1 (zh) * 2017-09-13 2019-03-21 深圳传音通讯有限公司 扫描二维码的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919731A (zh) * 2019-03-15 2019-06-21 南京亿猫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线下购物过程的产品推荐模块
KR102015552B1 (ko) * 2018-12-05 2019-08-28 이트너스 주식회사 Qr 코드를 활용한 박스내부 상품리스트 확인 방법 및 시스템
KR102258291B1 (ko) * 2020-01-03 2021-05-28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접이식 자동 판매 장치 및 그의 제어 시스템
CN113139164A (zh) * 2020-01-20 2021-07-20 启碁科技股份有限公司 自动输入密码的方法、系统及密码管理装置
CN113780586A (zh) * 2020-10-30 2021-12-10 北京沃东天骏信息技术有限公司 车辆安全维护方法和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4190A (ko) * 2022-02-18 2023-08-25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심 택배 서비스 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824B1 (ko) * 2015-05-28 2016-07-19 주식회사 이디엠에스 스마트-폰을 이용한 개인인증 시스템
KR20170035574A (ko) * 2015-09-23 2017-03-31 주식회사 엔터플 사용자 계정 동기화를 이용한 디지털 상품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521250B2 (en) 2015-09-23 2022-12-06 n-tuple.co.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gital product using user account synchronization
CN107180328A (zh) * 2017-06-27 2017-09-19 南京邮电大学 一种基于qr二维码的物流方法
CN107180328B (zh) * 2017-06-27 2020-08-18 南京邮电大学 一种基于qr二维码的物流方法
WO2019051693A1 (zh) * 2017-09-13 2019-03-21 深圳传音通讯有限公司 扫描二维码的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015552B1 (ko) * 2018-12-05 2019-08-28 이트너스 주식회사 Qr 코드를 활용한 박스내부 상품리스트 확인 방법 및 시스템
CN109919731A (zh) * 2019-03-15 2019-06-21 南京亿猫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线下购物过程的产品推荐模块
KR102258291B1 (ko) * 2020-01-03 2021-05-28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접이식 자동 판매 장치 및 그의 제어 시스템
CN113139164A (zh) * 2020-01-20 2021-07-20 启碁科技股份有限公司 自动输入密码的方法、系统及密码管理装置
CN113780586A (zh) * 2020-10-30 2021-12-10 北京沃东天骏信息技术有限公司 车辆安全维护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5600B1 (ko) 2017-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19926B2 (ja) 携帯装置による自己精算の方法
KR101745600B1 (ko)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9953314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payment of online purchases via a portable computing device
US11250402B1 (en) Generating an online storefront
CN109074572A (zh) 识别特定于用户计算设备的位置
US20160203680A1 (en) Method for processing a purchase transaction using a plurality of transaction systems
US2012015848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In-Store Purchases Using Mobile Devices
US20120089471A1 (en) System and method of capturing point-of-sale data and providing real-time advertising content
CN102934132A (zh) 移动电话支付处理方法和系统
US10891669B2 (en) Virtual sales assistant kiosk
US20110307389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ed Point of Sale Transactions
TW201531969A (zh) 多模銷售點裝置
KR101799755B1 (ko) 신뢰도 평가기반의 차량 직거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서버
JP2015018437A (ja) 特典使用のための端末装置、icタグ、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180118398A (ko) 혜택 기반 상품 추천을 지원하는 쇼핑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2019174943A (ja) 決済支援システム、決済支援装置、決済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80204210A1 (en) Saving Merchant Artifacts To A Virtual Wallet
CN109074543A (zh) 促进购物的系统和方法
JP2019501442A (ja) 携帯用通信端末機のファースト画面を利用したコンテンツの提供方法
US9922325B2 (en) Receipt retrieval based on location
US20110307387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ed Point of Sale Transactions
JP7053034B2 (ja) 電子レシートの管理をするための方法、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サーバ装置
JP6228416B2 (ja) ショッピングシステム
JP6963702B1 (ja) 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431302B1 (ko) 오프라인 대리 결제 처리 시스템, 대리결제 상황 추천 기반의 오프라인 대리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