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0020A - 매립 밸브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매립 밸브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0020A
KR20130030020A KR1020110093508A KR20110093508A KR20130030020A KR 20130030020 A KR20130030020 A KR 20130030020A KR 1020110093508 A KR1020110093508 A KR 1020110093508A KR 20110093508 A KR20110093508 A KR 20110093508A KR 20130030020 A KR20130030020 A KR 20130030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valve
stem
closing device
ratch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3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5453B1 (ko
Inventor
김재현
Original Assignee
전북에너지서비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에너지서비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북에너지서비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3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5453B1/ko
Publication of KR20130030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0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 B25B13/481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in areas having limited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6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 B25B13/461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with concentric driving and driven member
    • B25B13/468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with concentric driving and driven member with possibility of locking the ratchet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04Handle constructions telescopic; extensible; sectio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휴대가 용이하며, 밸브를 보다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고, 밸브 상태에 따라 보다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밸브를 조작할 수 있으며, 밸브의 설치 깊이나 밸브의 스템 종류에 관계없이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도록, 지하에 매립된 밸브에 연결되고 상부로 연장되어 밸브를 조작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 상단에 중앙부가 연결되고 로드부에 직각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로드부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핸들부, 상기 로드부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의 스템과 로드부를 연결하는 스템부를 포함하는 매립 밸브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매립 밸브 개폐장치{DEVICE FOR HANDLING VALVE IN UNDERGROUND}
본 발명은 지중에 매립되어있는 밸브를 개폐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밸브 개폐작업을 지상에서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된 매립 밸브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화석유가스(LPG) 또는 액화천연가스(LNG) 등의 연소용 가스는 염가의 청정연료로서 다양한 곳에서 사용되고 있다. 상기 가스는 주로 지중에 매설된 배관을 통해 필요한 곳으로 수송하게 된다. 상기 지중에 매설된 배관 일측에는 가스의 이송을 차단하기 위한 밸브가 설치된다.
상기 밸브 조작을 위해 밸브 설치 위치에는 지면과 연결되는 맨홀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맨홀의 상단에는 맨홀 뚜껑이 설치되어 있어서 맨홀 내부를 보호하게 된다. 이에 작업자는 필요시 상기 맨홀 뚜껑을 개방하고 맨홀 내부에 위치한 배관의 밸브를 조작함으로써, 배관을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밸브는 맨홀 깊숙이 위치하므로, 밸브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지면에서 밸브 위치까지 조작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길게 연장된 별도의 밸브 개폐 기구를 사용하여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밸브 개폐 기구는 고정된 형태로 휴대가 불편하고, 밸브가 노화되어 조작이 부드럽지 못하고 뻑뻑해 있거나 강하게 잠겨져 있는 경우 두 명 이상의 작업자가 협력해서 기구를 돌려야 하나, 이러한 협력 작업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밸브의 매립 위치가 지면으로부터 깊은 경우, 작업이 불편하고 기구의 길이를 조정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밸브의 종류에 따라 밸브의 스템 형태가 다양하므로 다양한 스템에 맞는 복수개의 기구를 항상 같이 준비해야 하므로 불편하고, 밸브 스템 종류에 따라 기구를 교환하는 작업이 필요하여 긴급상황시 신속한 대처가 어렵다.
이에, 휴대가 용이하며, 밸브를 보다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된 매립 밸브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밸브 상태에 따라 보다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밸브를 조작할 수 있도록 된 매립 밸브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밸브의 설치 깊이에 관계없이 밸브의 조작이 가능한 매립 밸브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밸브의 스템 종류에 관계없이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도록 된 매립 밸브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장치는 지하에 매립된 밸브에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상부로 연장되어 밸브를 조작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 상단에 중앙부가 연결되고 로드부에 직각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로드부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핸들부, 상기 로드부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의 스템과 로드부를 연결하는 스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장치는 상기 로드부 하단에 설치되어 밸브가 매립된 맨홀의 뚜껑을 개방할 수 있도록 된 맨홀 뚜껑 개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방부는 로드부 하단에 일측 선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로드부에 접혀지고 로드부와 예각을 이루며 외측으로 회동되며 맨홀뚜껑에 형성된 체결홀에 끼워지는 걸림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드부는 복수개의 로드가 서로 슬라이딩가능하게 끼워져 길이가 가변되는 다단계의 텔레스코픽 파이프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로드부는 복수개의 로드의 가변된 길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로드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홀과,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로드에 설치되고 상기 결합홀쪽으로 개방구를 갖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 내에 설치되어 개방구를 통해 돌출되어 상기 결합홀에 걸리도록 된 고정볼, 상기 브라켓 내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볼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는 상기 로드부가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 양측에 설치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핸들, 상기 핸들의 양 선단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핸들을 포함하여 길이가 가변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핸들은 일측이 절단되고 절단부가 서로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어 로드부의 길이방향으로 각도를 두고 회동되어 접혀지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핸들부는 상기 결합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로드부가 고정되며 로드부의 회전방향을 일방향으로 제어하는 래칫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래칫결합부는 상기 결합부재에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칫기어, 상기 몸체 내에 일측 선단이 축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 선단은 상기 래칫기어에 맞물려 래칫기어의 일방향 회전을 제어하는 한 쌍의 래칫블럭, 래칫블럭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 상기 한 쌍의 래칫블럭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일측 래칫블럭을 선택적으로 래칫기어에 맞물리기 위한 전환레버, 상기 래칫기어에 설치되고 몸체 외측으로 노출되며 전면에는 상기 로드부 상단에 형성된 다각형 단면구조의 끼움부가 끼워지도록 끼움부와 대응되는 형태의 홈이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템부는 상단은 상기 로드부에 끼워지는 끼움부를 이루고 하단은 두 개의 부재가 갈라져 이격 배치되어 포크부를 이루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포크부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며 선단에는 밸브 스템과 결합되는 스템 결합홈이 형성된 마운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템부는 지지체에 대해 회전체를 고정하기 위해, 회전체에 형성되는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과 접하는 지지체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홈에 걸리는 고정볼과, 고정볼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스템부는 회전체에 형성되는 고정홈과, 상기 지지체에 나사체결되어 선단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나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템부는 상기 마운트부재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회전체 외주면에 다각형 단면구조의 끼움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마운트부재에는 상기 끼움부가 삽입되도록 끼움부와 대응되는 형태의 삽입홀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장치에 의하면, 장비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휴대가 간편하다.
또한, 밸브 위치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작업이 간편하고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길게 연장된 핸들을 이용하여 보다 적은 힘으로 밸브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나의 장비로 다양한 밸브 스템에 적용가능하므로, 여러 종류의 장비를 준비할 필요가 없고, 밸브 스템에 따른 장비 전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짐으로써 긴급 상황에 보다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맨홀 뚜껑을 개방하기 위한 별도의 기구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보다 간편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라 맨홀 내의 매립 밸브를 조작하는 개폐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매립 밸브 개폐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매립 밸브 개폐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매립 밸브 개폐장치의 래칫결합부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매립 밸브 개폐장치의 스템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매립 밸브 개폐장치의 맨홀 뚜껑 개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이하 본 장치는 가스 배관에 설치되어 배관을 개폐하는 밸브에 대한 개폐장치를 예로써 설명한다. 그러나 본 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레버를 회전시켜 밸브를 개폐하는 모든 이송 배관의 밸브에 대해 적용가능하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라 맨홀 내의 매립 밸브를 조작하는 개폐장치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2와 도 3은 상기 매립 밸브 개폐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에 매설된 배관(100) 일측에는 가스의 이송을 차단하기 위한 밸브(110)가 설치되고, 상기 밸브는 밸브의 축을 이루는 스템(112)이 상부로 돌출 설치된다. 상기 밸브 조작을 위해 밸브 설치 위치에는 지면과 연결되는 맨홀(120)이 설치되며, 상기 맨홀의 상단에는 맨홀 뚜껑(130)이 설치되어 있어서 맨홀 내부를 보호하게 된다.
이에 작업자는 필요시 상기 맨홀 뚜껑(130)을 개방하고 맨홀(120) 내부에 위치한 배관 밸브의 스템(112)에 본 장치(10)를 연결하여 지상에서 지중에 매립된 밸브(110)를 조작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밸브 개폐장치(10)는 맨홀(120) 저부에 위치한 밸브(110)에 연결되고 상부로 연장되어 밸브를 조작하는 로드부(20)와, 상기 로드부(20) 상단에 중앙부가 연결되고 로드부(20)에 직각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로드부(20)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핸들부(30), 상기 로드부(20)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110)의 스템(112)과 로드부(20)를 연결하는 스템부(40)를 포함한다.
상기 로드부(20)는 다단계로 신축되어 그 길이가 가변되는 텔레스코픽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로드부(20)는 내부가 빈 파이프 형태의 구조물로, 자체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사각이나 오각 등 다각형 단면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형태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드부(20)는 가장 외측의 제1로드(21)와, 제1로드(21)의 내측에 끼워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2로드(22), 상기 제2로드(22) 내측에 끼워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3로드(23)를 포함하여 3단으로 신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제1로드(21)와 제2로드(22) 및 제3로드(23)는 서로 대응되는 단면 형태로 이루어지며 단지 직경만이 서로 상이하다. 상기 제1로드(21)는 가장 직경이 큰 구조로 로드부(20)의 외형을 이루며 상단에는 핸들부(30)와 결합을 위한 끼움부(24)가 설치된다. 상기 제3로드(23)는 로드부(20)의 하단을 이루며 끝에는 스템부(4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25)가 설치된다.
이에 상기 제1로드(21)에 제2로드(22)를 삽입하고 제2로드(22)에 제3로드(23)를 삽입하게 되면 로드부(20) 전체의 길이가 줄게 되고, 제1로드(21)와 제2로드(22)에서 각각 제2로드(22)와 제3로드(23)를 인출하게 되면 로드부(20)의 길이가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로드부(20)의 길이를 줄여 용이하게 휴대 및 이동할 수 있으며, 각 로드를 인출하여 로드부(20)의 길이를 신장시킴으로써, 지중 깊은 곳에 매설된 밸브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로드부(20)는 각 로드를 슬라이딩하여 길이를 가변시킨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각 로드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50)를 더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50)는 로드부(20)의 내측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50)는 제2로드(22) 내측과 제3로드(23) 내측에 설치된다. 두 개의 고정부 구조는 동일하므로 이하 제2로드(22)의 내측에 설치되는 고정부를 예로 그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고정부(50)는 로드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홀(51)과, 제1로드(21) 내측에 위치하는 제2로드(22)에 설치되고 상기 결합홀(51) 쪽으로 개방구를 갖는 브라켓(52), 상기 브라켓(52) 내에 설치되어 개방구를 통해 돌출되어 상기 결합홀(51)에 걸리도록 된 고정볼(53), 상기 브라켓(52) 내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볼(53)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54)을 포함한다.
이에 상기 제2로드(22)의 브라켓(52) 내에 구비된 고정볼(53)은 스프링(54)의 탄성력에 의해 개방구쪽으로 밀려나가 제1로드(21)의 내면에 가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로드(21)에 대해 제2로드(22)를 슬라이딩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볼(53)이 제1로드(21)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다 제1로드(21)에 형성된 결합홀(51)에 도달하였을 때 스프링(54)의 탄성력에 의해 밀려나가 결합홀(51)에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제2로드(22)는 스프링(54)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나가는 고정볼(53)이 제1로드(21)의 결합홀(51)에 걸려있는 상태가 되어 제1로드(21)에 대해 제2로드(22)의 움직임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로드(22)에 고정볼(53)을 누르는 스프링(54)의 힘보다 보다 큰 힘을 가해 제2로드(22)를 이동시키게 되면 브라켓(52)이 결합홀(51) 위치에서 벗어나게 되고, 고정볼(53)은 스프링(54)을 압축하면서 결합홀(51)에서 밀려들어가게 된다. 이에 결합홀(51)에 대한 고정볼(53)의 고정이 해제되어 제2로드(22)는 제1로드(21)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된다.
상기 핸들부(30)는 상기 로드부(20)가 결합되는 결합부재(31)와, 상기 결합부재(31) 양측에 설치되어 외측으로 길게 연장된 파이프 구조의 핸들(32)과, 상기 핸들(31)의 양 선단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핸들(33)을 포함하여 길이가 가변되는 다단계의 텔레스코픽 파이프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핸들(32)은 일측이 절단되어 두 개의 부재로 분리되고 두 부재의 절단부가 서로 회동축(34)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어 핸들(32)의 길이방향에 대해 각도를 두고 회동되어 접혀지는 구조일 수 있다. 이에 핸들부(30)의 보관 및 이동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조핸들(33)은 핸들(32)의 양측 선단에 각각 구비되며 핸들(32)의 내측으로 끼워져 핸들(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보조핸들(33)(31)은 핸들(32)과 서로 대응되는 단면 형태로 이루어지며 단지 직경만이 서로 상이한다. 이에 상기 핸들(32)에 보조핸들(33)을 삽입하게 되면 핸들부(30)의 전체적인 길이가 줄게 되고, 핸들(32)에서 보조핸들(33)을 인출하게 되면 핸들부(30)의 길이가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핸들부(30)의 길이를 줄여 용이하게 휴대 및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밸브가 강하게 잠겨 있는 경우에는 핸들(32)에서 보조핸들(33)을 인출하여 핸들부(30)의 길이를 신장시킴으로써, 로드부(20)에 가하는 회전력을 크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보다 적은 힘으로 밸브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핸들부(30)와 로드부(20)는 가볍고 강한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두랄루민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재질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핸들부(30)는 상기 결합부재(31)에 설치되어 상기 로드부(20)가 고정되며 로드부(20)의 회전방향을 일방향으로 제어하는 래칫결합부(60)를 포함한다. 이에 상기 로드부(20)를 래칫결합부(60)에 장착하게 되면 핸들(32)과 로드부(20)가 T 자 형태로 결합되어 한 몸을 이룬다.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칫결합부(60)는 핸들(32)의 결합부재(31)에 설치되는 몸체(61)와, 상기 몸체(61)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칫기어(62), 상기 몸체(61) 내에 일측 선단이 축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 선단은 상기 래칫기어(62)에 맞물려 래칫기어(62)의 일방향 회전을 제어하는 한 쌍의 래칫블럭(63), 래칫블럭(63)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64), 상기 한 쌍의 래칫블럭(63)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일측 래칫블럭(63)을 선택적으로 래칫기어(62)에 맞물리기 위한 전환레버(65), 상기 래칫기어(62)에 설치되고 몸체(61) 외측으로 노출되며 전면에는 상기 로드부(20) 상단에 형성된 다각형 단면구조의 끼움부(24)가 끼워지도록 끼움부와 대응되는 형태의 홈(66)이 형성된 체결부(67)를 포함한다.
로드부(20)의 끼움부(24)는 상기 체결부(67)의 홈(66) 억지끼움식으로 끼워져 설치된다.
상기한 구조로 되어 전환레버(65)를 작동하게 되면 전환레버가 몸체(61) 내부에서 한쪽으로 이동되면서 두 개의 래칫블럭(63) 중 일측 래칫블럭(63)을 밀어 래칫기어(62)에서 이격시키게 된다. 이에 상기 전환레버(65)의 이동방향에 대해 반대쪽에 위치한 다른 쪽 래칫블럭(63)이 스프링(64)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되어 래칫기어(62)에 맞물려 래칫기어(62)의 회전방향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회전이 제한된 고정상태로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래칫기어(62)에 설치된 체결부(67)는 래칫기어(62)와 같이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된다.
즉, 일측 래칫블럭(63)이 래칫기어(62)에 맞물리게 되면 핸들부(30)를 회전시킬 때 래칫기어(62)가 래칫블럭(63)에 걸려진 상태에서만 핸들부(30)와 같이 래칫기어(62)가 회전되어 래칫기어(62)에 설치된 체결부(66)가 회전된다. 핸들부(3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에는 래칫블럭(63)이 래칫기어(62)에 걸리지 않아 래칫기어(62)에 관계없이 핸들부(30)만 공회전된다.
따라서 핸들부(30)를 일정 각도 범위에서 왕복 회동시키게 되면 래칫기어(62)에 맞물린 래칫블럭(63)에 의해 래칫기어(62)가 일방향으로만 회전된다. 이에 래칫기어(62)에 설치된 체결부(67) 역시 일방향으로만 회전되어, 체결부(67)에 결합된 로드부(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밸브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스템부(4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템부(40)는 상단이 상기 로드부(20)의 제3로드(23) 끝에 설치된 결합부(25)에 끼워지는 끼움부(41)를 이루고 하단은 두 개의 부재가 갈라져 이격 배치되어 포크부(42)를 이루는 지지체(43)와, 상기 지지체의 포크부 사이에 설치되는 회동축(44)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회전체(45), 상기 회전체(45)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며 선단에는 밸브 스템(112)과 결합되는 스템 결합홈(46)이 형성된 마운트부재(47)를 포함한다.
상기 스템부(40)의 끼움부(41)는 다각형 단면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로드(23)의 결합부(25)는 상기 끼움부(41)가 끼워지도록 상기 끼움부(41)와 대응되는 형태의 홈(26)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부(41)는 상기 결합부(25)에 형성된 홈(26)에 억지끼움식으로 끼워져 설치된다.
상기한 구조 외에 상기 끼움부(41)는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제3로드(23)의 결합부(25)는 내주면에 끼움부의 수나사와 대응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서로 나사 결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체(45)는 외주면을 따라 90도 각도로 2개의 마운트부재(47)가 방사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회전체(45)에 구비되는 마운트부재(47)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상기 스템부(40)는 상기 마운트부재(47)를 회전체(45)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체(45) 외주면에 다각형 단면구조의 끼움부(48)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마운트부재(47)에는 상기 끼움부(48)가 삽입되도록 끼움부(48)와 대응되는 형태의 삽입홀(49)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회전체(45)에 대한 마운트부재(47)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부(48)와 삽입홀(49)의 접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스프링(70)에 의해 탄력적으로 눌려지는 고정볼(71)과, 고정볼이 안착되는 안착홈(8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삽입홀 내주면에 설치된 고정볼이 끼움부 외측에 형성된 안착홈에 끼워지면서 마운트부재의 고정력을 높이게 된다.
상기 마운트부재(47)는 각각 서로 크기가 상이한 스템 결합홈(46)이 형성되어 각각 크기가 상이한 형태의 밸브 스템(112)에 적용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마운트부재(47)에 형성되는 스템 결합홈(46)은 각각 크기가 다른 구조 외에 그 단면형태가 서로 상이한 구조일 수 있다. 이에 서로 다른 크기나 형태의 스템 결합홈(46)을 갖는 마운트부재(47)를 크기별 또는 형태별로 여러 개를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템부(40)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필요한 마운트부재(47)를 회전체에 장착하고 회전체(45)를 돌려주게 되면 각 마운트부재(47)에 형성되어 있는 서로 다른 종류의 스템 결합홈(46)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밸브 스템에 맞는 종류의 스템 결합홈(46)이 외측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간단히 밸브 스템(112)에 적합하도록 본 장치를 셋팅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템부(40)는 회전체(45)가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체(42)에 대해 회전체(45)를 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스템부(40)는 회전체(45)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안착홈(73)과, 상기 안착홈(73)과 접하는 지지체(42)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홈에 걸리는 고정볼(74)과, 상기 고정볼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75)을 포함한다. 이에 상기 회전체(45)는 자유롭게 회전되지 않고 회전시 안착홈(73)이 고정볼(74) 위치에 도달하면 고정볼이 안착홈에 들어가면서 회전체의 회전을 규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템부는 회전체(45)를 보다 확실히 고정하기 위해, 상기 회전체(45)에 고정홈(76)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체(42)에는 상기 고정홈(76)에 대응되는 위치에 암나사홀(77)을 관통형성하며, 상기 암나사홀에 고정나사(78)를 내부로 관통하도록 나사체결하여, 고정나사(78)의 선단이 상기 고정홈(76)에 끼워져 회전체(45)를 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본 장치(10)는 상기 로드부(20) 하단에 설치되어 밸브가 매립된 맨홀(120)의 맨홀 뚜껑(130)을 개방할 수 있도록 된 맨홀 뚜껑 개방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개방부는 제3로드(23) 하단에 일측 선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로드부(20)에 접혀지고 로드부(20)와 예각을 이루며 외측으로 회동되며 맨홀뚜껑(130)에 형성된 체결홀(132)에 끼워지는 걸림쇠(80)를 포함한다.
도 6은 상기 걸림쇠를 이용하여 본 장치로 맨홀 뚜껑을 개방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 뚜껑(130)에는 맨홀 뚜껑(130)을 개방하기 위한 지랫대 등이 끼워지는 체결홀(132)이 형성된다. 이에 작업자는 상기 체결홀(132)에 걸림쇠(80)를 걸어 지랫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맨홀 뚜껑(130)의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작업자는 본 장치의 로드부(20)를 길게 신장시키고 제3로드(23)에 설치된 걸림쇠(80)를 외측으로 펼친다. 그리고 로드부(20)를 수평방향으로 기울여 걸림쇠(80)를 맨홀 뚜껑(130)의 체결홀(132)에 끼우고 로드부(20)를 들어올리게 되면 걸림쇠(80)에 걸려있는 맨홀 뚜껑(130)이 위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장치는 맨홀 뚜껑(130)을 개방하기 위한 별도의 기구를 구비하지 않고 본 장치에 구비된 걸림쇠(80)를 이용하여 손쉽게 맨홀 뚜껑(130)을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장치는 핸들부(30)와 로드부(20) 및 스템부(40)가 분리되며 각각 최소한의 크기로 이루어져 보관 및 이동이 간편하고 용이하다. 밸브 조작을 위해 작업자는 로드부(20) 선단에 스템부(40)를 결합하고 핸들부(30)에 로드부(20)를 결합한다. 그리고 로드부(20)에 결합되는 스템부(40)는 조작하고자 하는 밸브 스템(112)에 맞는 스템 결합홈(46)이 형성된 마운트부재(47)를 회전체(45)에 장착하고 스템 결합홈이 선단을 향하도록 회전체(45)를 회전시킨다. 회전체는 고정나사(48)를 이용하여 완전히 고정한다.
본 장치의 셋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로드부(20)의 길이를 밸브가 설치된 위치에 맞춰 길게 신장시키고, 회전체(45)의 스템 결합홈(46)을 밸브 스템(112)에 끼운 후 핸들부(30)를 돌려 밸브를 조작한다.
이때 밸브(120)의 잠김 상태가 강하거나 밸브의 조작이 빡빡한 경우에는 핸들(32) 선단에서 보조핸들(33)을 인출하여 핸들부(30)의 전체 길이를 늘려줌으로써, 밸브에 가해지는 회전력을 높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 : 밸브 개폐장치 20 : 로드부
21 : 제1로드 22 : 제2로드
23 : 제3로드 24,41,48 : 끼움부
25 : 결합부 26,66 : 홈
30 : 핸들부 31 : 결합부재
32 : 핸들 33 : 보조핸들
34,44 : 회동축 40 : 스템부
42 : 포크부 43 : 지지체
45 : 회전체 46 : 스템 결합홈
47 : 마운트부재 49 : 삽입홀
50 : 고정부 51 : 결합홀
52 : 브라켓 53,71,74 : 고정볼
54,64,70,75 : 스프링 60 : 래칫결합부
61 : 몸체 62 : 래칫기어
63 : 래칫블럭 65 : 전환레버
67 : 체결부 76 : 고정홈
77 : 암나사홀 78 : 고정나사
80 : 걸림쇠

Claims (12)

  1. 지하에 매립된 밸브에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상부로 연장되어 밸브를 조작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 상단에 중앙부가 연결되고 로드부에 직각방향으로 연장되어 로드부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핸들부, 상기 로드부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의 스템과 로드부를 연결하는 스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는 상기 로드부가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 양측에 설치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핸들, 상기 핸들의 양 선단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핸들을 포함하는 매립 밸브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일측이 절단되고 절단부가 서로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어 로드부의 길이방향으로 회동되어 접혀지는 구조의 매립 밸브 개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 하단에 설치되어 밸브가 매립된 맨홀의 뚜껑을 개방할 수 있도록 된 맨홀 뚜껑 개방부를 더 포함하는 매립 밸브 개폐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 뚜껑 개방부는 로드부 하단에 일측 선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로드부에 접혀지고 로드부와 예각을 이루도록 외측으로 회동되며 맨홀뚜껑에 형성된 체결홀에 끼워지는 걸림쇠를 포함하는 매립 밸브 개폐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결합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로드부가 고정되며 로드부의 회전방향을 일방향으로 제어하는 래칫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매립 밸브 개폐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결합부는 상기 결합부재에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칫기어, 상기 몸체 내에 일측 선단이 축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 선단은 상기 래칫기어에 맞물려 래칫기어의 일방향 회전을 제어하는 한 쌍의 래칫블럭, 래칫블럭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 상기 한 쌍의 래칫블럭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일측 래칫블럭을 선택적으로 래칫기어에 맞물리기 위한 전환레버, 상기 래칫기어에 설치되고 몸체 외측으로 노출되며 전면에는 상기 로드부 상단에 형성된 다각형 단면구조의 끼움부가 끼워지도록 끼움부와 대응되는 형태의 홈이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매립 밸브 개폐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는 복수개의 로드가 서로 슬라이딩가능하게 끼워져 길이가 가변되는 다단계의 텔레스코픽 파이프 구조인 매립 밸브 개폐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는 복수개의 로드의 가변된 길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로드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홀과,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로드에 설치되고 상기 결합홀쪽으로 개방구를 갖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 내에 설치되어 개방구를 통해 돌출되어 상기 결합홀에 걸리도록 된 고정볼, 상기 브라켓 내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볼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매립 밸브 개폐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부는 상단은 상기 로드부에 끼워지는 끼움부를 이루고 하단은 두 개의 부재가 갈라져 이격 배치되어 포크부를 이루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포크부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며 선단에는 밸브 스템과 결합되는 스템 결합홈이 형성된 마운트부재를 포함하는 매립 밸브 개폐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부는 상기 마운트부재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회전체 외주면에 다각형 단면구조의 끼움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마운트부재에는 상기 끼움부가 삽입되도록 끼움부와 대응되는 형태의 삽입홀이 형성된 구조의 매립 밸브 개폐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부는 상기 회전체에 형성되는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과 접하는 지지체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홈에 걸리는 고정볼, 상기 고정볼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체에 대해 회전체를 고정하도록 된 매립 밸브 개폐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부는 회전체에 형성되는 고정홈과, 상기 지지체에 나사체결되어 선단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나사를 더 포함하는 매립 밸브 개폐장치.
KR1020110093508A 2011-09-16 2011-09-16 매립 밸브 개폐장치 KR101335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508A KR101335453B1 (ko) 2011-09-16 2011-09-16 매립 밸브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508A KR101335453B1 (ko) 2011-09-16 2011-09-16 매립 밸브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020A true KR20130030020A (ko) 2013-03-26
KR101335453B1 KR101335453B1 (ko) 2013-12-02

Family

ID=48179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3508A KR101335453B1 (ko) 2011-09-16 2011-09-16 매립 밸브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5453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282B1 (ko) 2015-06-23 2016-01-07 김용관 맨홀 가스관 밸브 개폐장치
KR20160003773U (ko) * 2015-04-22 2016-11-01 이형훈 금형의 냉각파이프 마개 체결장치
CN108443568A (zh) * 2018-04-19 2018-08-24 北京市燃气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阀门开启器手柄快速转接装置
CN110039477A (zh) * 2019-06-05 2019-07-23 自然资源部第二海洋研究所 一种小空间专用套筒扳手
KR200492300Y1 (ko) * 2020-01-09 2020-09-14 조흥진 맨홀 뚜껑 개폐기
KR20210069369A (ko) * 2019-12-03 2021-06-11 서울특별시 전자동 소화전 개폐장치
CN113324090A (zh) * 2021-05-27 2021-08-31 国网山东省电力公司莱芜供电公司 一种长臂型阀门开关工具
KR20220090619A (ko) * 2020-12-22 2022-06-30 주식회사 원재산업 제수변 개폐기의 핸들절첩구조
KR102563507B1 (ko) * 2022-12-29 2023-08-0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중수로 발전기 압력관용 클로저 플러그 설치 및 해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4879A (ko) 2019-05-24 2020-12-02 김영민 지중 밸브 개폐 장치
CN110355708B (zh) * 2019-07-15 2021-03-26 吉林重通成飞新材料股份公司 一种风电叶片人孔板安装定位工装
KR102527182B1 (ko) * 2021-09-28 2023-05-02 주식회사 삼천리 기밀시험 장비 및 이를 이용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2915U (ko) * 1997-12-31 1999-07-26 정근석 제수변 개폐기
JP2000271875A (ja) * 1999-03-23 2000-10-03 Energy Support Corp 多回路開閉器の操作ハンドル
KR100986662B1 (ko) * 2009-06-17 2010-10-11 한국수자원공사 멀티형 밸브의 개폐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773U (ko) * 2015-04-22 2016-11-01 이형훈 금형의 냉각파이프 마개 체결장치
KR101583282B1 (ko) 2015-06-23 2016-01-07 김용관 맨홀 가스관 밸브 개폐장치
CN108443568A (zh) * 2018-04-19 2018-08-24 北京市燃气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阀门开启器手柄快速转接装置
CN108443568B (zh) * 2018-04-19 2023-12-22 北京市燃气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阀门开启器手柄快速转接装置
CN110039477A (zh) * 2019-06-05 2019-07-23 自然资源部第二海洋研究所 一种小空间专用套筒扳手
CN110039477B (zh) * 2019-06-05 2023-12-15 自然资源部第二海洋研究所 一种小空间专用套筒扳手
KR20210069369A (ko) * 2019-12-03 2021-06-11 서울특별시 전자동 소화전 개폐장치
KR200492300Y1 (ko) * 2020-01-09 2020-09-14 조흥진 맨홀 뚜껑 개폐기
KR20220090619A (ko) * 2020-12-22 2022-06-30 주식회사 원재산업 제수변 개폐기의 핸들절첩구조
CN113324090A (zh) * 2021-05-27 2021-08-31 国网山东省电力公司莱芜供电公司 一种长臂型阀门开关工具
KR102563507B1 (ko) * 2022-12-29 2023-08-0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중수로 발전기 압력관용 클로저 플러그 설치 및 해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5453B1 (ko) 2013-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5453B1 (ko) 매립 밸브 개폐장치
US20180049379A1 (en) System for tapping and collecting rubber
CN104937486B (zh) 用于摄像-摄影设备的支承头
CN203872585U (zh) 割草机及其控制电路
US20130019720A1 (en) Ring pliers
US8205658B1 (en) Operating device for rotating a winding roller of a window blind
US9914260B2 (en) PEX expanding tool
BR112014027312B1 (pt) Ferramenta de extração para um inserto de bobina espiral sem haste
CN104274122A (zh) 吸尘器-抽吸管
US8505418B1 (en) Tool extension
US20130075123A1 (en) Forward/reverse rotation control device of pneumatic tool
RU2012158002A (ru) Переставной ручной инструмент
KR20200100096A (ko) 조절식 후퇴 가능 로드 장치
KR890007752Y1 (ko) 버튼식 자동조절 소켓렌치
US9803776B2 (en) Lock device and valve device
JP5946808B2 (ja) 手動式開閉弁用のハンドル
KR20130016633A (ko) 밸브 개폐장치
US6473940B1 (en) Knob for a post valve
US2654567A (en) Pipe puller
WO2009051523A1 (en) Operating system and telescopic tube
US20120011906A1 (en) Auger cam lock
KR200477129Y1 (ko) 제수밸브 핸들
TWI410307B (zh) 握套與包含該握套之工具桿以及其等之組裝方法
US3952394A (en) Valve core extraction tool
TWI610618B (zh) 園藝工具伸縮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