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9295A - 콘센트 - Google Patents
콘센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29295A KR20130029295A KR1020110092657A KR20110092657A KR20130029295A KR 20130029295 A KR20130029295 A KR 20130029295A KR 1020110092657 A KR1020110092657 A KR 1020110092657A KR 20110092657 A KR20110092657 A KR 20110092657A KR 20130029295 A KR20130029295 A KR 201300292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ug
- push button
- pair
- lower case
-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그 주요 구성은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전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한 쌍의 단자핀을 가지는 플러그를 삽입하기 위한 접속구와, 상기 접속구와 이격져서 형성되는 누름버튼공이 구비된 상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후면에 부착되어 상기 하부케이스를 벽체 내에 고정설치하기 위한 브라켓;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벽체 내에 설치되는 전원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플러그의 단자핀 한 쌍이 각각 끼워질 수 있는 한 쌍의 단자클립; 상기 상부케이스의 누름버튼공에 끼워져서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누름버튼; 상기 플러그가 상기 접속구에 끼워졌을 때, 상기 누름버튼을 누르게 되면, 상기 누름버튼의 가압력을 전달받아 상기 1쌍의 단자핀을 동시에 전면으로 밀어서 상기 플러그를 상기 접속구로부터 탈거시키도록 하는 이젝터; 및 상기 상부케이스의 전면 테두리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덮개;로 이루어지며,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이젝터가 케이스의 내부에서 플러그의 단자핀 한 쌍을 동시에 가압하여 플러그를 탈거하므로, 탈거에 필요한 가압력이 플러그의 양측에 안정적으로 전달되어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매립형 콘센트의 접속구에 끼워진 플러그의 단자핀을 접속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립형 콘센트는 벽체 내에 매립되어 옥외로부터 공급되는 전기공급원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전원을 각 플러그를 통하여 실내의 각 목적지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최근에는 플러그의 삽입 및 인출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하기 위한 매립형 콘센트가 제안되고 있다.
이 중에서 등록번호 20-0214737호에 개시된 매립형 콘센트는 삽입된 플러그를 푸쉬버튼의 누름과 함께 레버가 작동하여 상하 이동테이블본체를 상부로 밀어 올리면서 플러그가 인출하도록 함으로써 플러그의 인출을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위의 콘센트는 레버가 콘센트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토션스프링안착돌기에 회동가능하게 끼워 설치되어 있어 작동상태가 불안정함은 물론, 상하이동테이블본체의 일 측면에 형성된 간섭돌기를 밀어올리도록 하고 있으므로 상하이동테이블본체에 미치는 힘이 일측으로 집중되어 상하이동테이블본체가 원활하게 상승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매립형 콘센트는 구조적으로 매우 복잡하여 그 크기를 규정된 크기로 제조하기가 매우 난해하고 어려우며, 제작 후에도 각 구성품의 불안전한 작동 및 훼손이 쉽게 발생하여 소비자의 불만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편, 위의 콘센트와는 별개로 등록특허 제10-633363호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택용 콘센트 원터치 분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분리장치(5)는 콘센트의 일측에 설치되는 버튼(6)과, 콘센트의 내측에 설치되어 버튼(6)에 의해 회동하는 레버부재(7)와, 레버부재(7)에 의해 콘센트에 형성되는 관통공(8)으로 돌출되어 플러그(PG)의 몸체를 밀어주는 밀대(9)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분리장치(5)는 플러그(PG)를 분리시킬 때에 밀대(9)가 플러그(PG)의 몸체의 정중앙을, 즉, 밀대(9)가 한 곳만을 밀도록 되어 있으므로 버튼(6)의 가압력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서 플러그(PG)가 콘센트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고, 무리한 힘을 가하게 되면 버튼(6)이나 레버부재(7)와 같은 구성품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더욱이, 위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콘센트는 멀티탭형 콘센트로서, 위의 콘센트는 벽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매립형 콘센트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콘센트에 돌출되어 가압력에 의해 전후 이동하는 누름버튼에 의해 플러그의 몸체 일부만을 가압하지 않고, 누름버튼을 통해 콘센트의 내부에서 한 쌍으로 이루어진 플러그의 단자핀을 동시에 가압함으로써 플러그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매립형 콘센트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러그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매립형 콘센트의 구조를 단순하게 함으로써 종래의 콘센트에 비해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콘센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센트는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 공간부를 갖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전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한 쌍의 단자핀을 가지는 플러그를 삽입하기 위한 접속구와, 상기 접속구와 이격져서 형성되는 누름버튼공이 구비된 상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후면에 부착되어 상기 하부케이스를 벽체 내에 고정설치하기 위한 브라켓;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벽체 내에 설치되는 전원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플러그의 단자핀 한 쌍이 각각 끼워질 수 있는 한 쌍의 단자클립; 상기 상부케이스의 누름버튼공에 끼워져서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누름버튼; 상기 플러그가 상기 접속구에 끼워졌을 때, 상기 누름버튼을 누르게 되면, 상기 누름버튼의 가압력을 전달받아 상기 1쌍의 단자핀을 동시에 전면으로 밀어서 상기 플러그를 상기 접속구로부터 탈거시키도록 하는 이젝터; 및 상기 상부케이스의 전면 테두리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덮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콘센트는, 이젝터가 케이스의 내부에서 플러그의 단자핀(P) 한 쌍을 동시에 가압하여 플러그를 탈거하므로, 탈거에 필요한 가압력이 플러그의 단자핀 한쌍에 안정적으로 전달되어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콘센트는 그 구조가 단순하게 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콘센트에 비해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콘센트는 플러그가 접속구에 삽입될 때에만 누름버튼이 돌출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작동에 의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콘센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하부케이스를 나타낸 외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조립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에서 플러그가 삽입되었을 때의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콘센트에서 플러그가 삽입될 때의 주요부의 작동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에서 플러그가 분리될 때의 작동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콘센트에서 플러그가 분리될 때의 주요부의 작동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하부케이스를 나타낸 외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조립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에서 플러그가 삽입되었을 때의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콘센트에서 플러그가 삽입될 때의 주요부의 작동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에서 플러그가 분리될 때의 작동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콘센트에서 플러그가 분리될 때의 주요부의 작동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는 벽체에 부착되어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10)와, 상부케이스(20)와, 브라켓(30)과, 한 쌍의 단자클립(40)과, 누름버튼(50)과, 이젝터(E)와, 덮개(8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케이스(1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 공간부(11)를 갖는 함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 공간부(11)에는 후술하는 한 쌍의 단자클립(40)을 설치하기 위한 한 쌍의 돌출벽(12)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후술하는 이젝터(E)와 누름버튼(50)이 수용된다. 미설명부호 13은 후술하는 회동지지편(31)을 끼우기 위한 끼움공이고, 14는 회동축공이고, 15, 16, 17은 후술하는브라켓(3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나사공이고, 18은 전선고정구이다.
상기 상부케이스(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전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플러그(PG)의 몸체가 인입되는 플러그홀(21)이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홀(21)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PG)의 단자핀(P) 한 쌍이 끼워질 수 있는 한 쌍의 접속구(22)가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홀(21)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누름버튼(50)이 끼워질 수 있는 누름버튼공(23)이 형성된다. 미설명부호 24는 덮개(80)를 끼우기 위한 끼움공이고, 25는 접지편, 26은 접지편커버, 25a, 26a는 고정나사공(15)과 일직선으로 형성되는 고정나사공, 26b는 접속구 구멍이고, 27은 고정나사공(16)과 일직선으로 형성되는 고정나사공이다.
상기 브라켓(30)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10)의 후면에 부착되어 상기 하부케이스(10)와 상기 상부케이스(20)를 일체로 결합하면서고,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한 고정나사공(35, 36)을 통하여 상기 하부케이스(10)와 상기 상부케이스(20)를 벽체 내에 고정설치토록 하는 부재로서, 상기 브라켓(30)에는 후술하는 전달부재(60)의 중심축(61)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회동지지편(31)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지지편(31)은 상기 하부케이스(10)의 끼움공(13)에 끼워지게 된다. 미설명부호 32 내지 34는 상기 하부케이스(10)와 상기 상부케이스(20)에 각각 형성한 대응되는 고정나사공들에 일직선으로 형성되는 고정나사공으로서, 도면부호 33은 하부케이스(10)의 고정나사공(16)과 상부케이스(20)의 고정나사공(27)에 나사가 끼워져서 고정된다.
상기 한 쌍의 단자클립(40)은 상기 접속구(22)에 끼워진 플러그(PG)의 단자핀(P) 한 쌍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10)의 내부에 돌출형성한 돌출벽(12)에 끼워져서 상기 단자핀(P)이 삽입되는 끼움편(41)과, 상기 끼움편(41)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벽체 내에 설치된 전원케이블과 전원을 연결접속하기 위한 전원연결편(4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원연결편(42)은 전선연결핀(43)과 전선고정핀(44)을 이용하여 상기 벽체 내에 설치되는 전원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며, 상기 전선연결핀(43)과 전선고정핀(44)은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전선고정구(18)에 끼워지며 종래에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누름버튼(50)은 접속구(22)에 끼워진 플러그(PG)를 상기 접속구(22)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20)의 누름버튼공(23)에 끼워져서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측에 형성한 한 쌍의 돌출벽(12)은 상기 누름버튼(50)이 상기 상부케이스(20)의 전면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상기 이젝터(E)는 상기 플러그(PG)가 상기 접속구(22)에 끼워졌을 때, 상기 누름버튼(50)을 누르게 되면, 상기 누름버튼(50)의 가압력을 전달받아 상기 1쌍의 단자핀(P)을 동시에 전면으로 밀어서 상기 플러그(PG)를 상기 접속구(22)로부터 탈거시키도록 하는 부재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부재(60)와 탈거부재(7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달부재(60)는 누름버튼(50)의 가압력을 후술하는 탈거부재(70)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누름버튼(50)을 누를 때, 상기 누름버튼(50)의 가압력을 상기 탈거부재(70)에 전달하도록 하며, 중심축(61)과, 레버(62)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심축(61)은 상기 하부케이스(10)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중심축(61)을 상기 하부케이스(10)에 회동가능하게 형성하는 구성은 다양한 형태의 구성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일예로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30)에 일체로 회동지지편(31)을 형성하고, 상기 회동지지편(31)을 도 4에 도시된 하부케이스(10)의 끼움공(13)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중심축(61)을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지지편(31)에 끼우게 되면, 상기 중심축(61)이 상기 회동지지편(31)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레버(62)는 상기 중심축(61)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일단부(62a)는 상기 누름버튼(50)의 하단과 접촉되고, 타단부(62b)는 상기 탈거부재(70)에 접촉되며, 상기 누름버튼(50)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때, 상기 누름버튼(50)과 연동하여 상기 중심축(61)을 중심으로 시이소오 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레버(62)가 누름버튼(50)의 하단에 연결되는 세부적인 구성은 다양한 형태의 구성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어떠한 구성이던지 레버(62)가 누름버튼(50)의 하단에 끼워져서 레버(62)가 요동을 하게 될 때, 함께 연동하는 구성이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탈거부재(70)는 상기 하부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누름버튼(50)을 누를 때, 상기 누름버튼(50)의 가압력을 상기 전달부재(60)에 의해서 전달받아 상기 플러그(PG)의 단자핀(P) 한 쌍을 동시에 상측으로 밀어올려서 상기 플러그(PG)를 상기 접속구(22)로부터 탈거시키도록 하는 부재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축(71)과, 회동판(72)과, 한쌍의 포크(73)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동축(7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측벽에 형성한 회동축공(14)에 끼워져서 회동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회동판(72)은 상기 회동축(71)의 외주 일지점에서 상기 단자클립(40)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Y자 형상의 판재로서, 상기 판재는 상기 레버(62)가 시이소오 운동할 때, 상기 레버(62)와 연동하여 상기 회동축(71)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한쌍의 포크(73)는 상기 회동판(72)의 일단부에 한 쌍으로 서로 이격지게 형성되어 각각 대응되는 단자클립(40)에 끼워지며, 상기 회동판(72)이 전면으로 회동하게 될 때, 상기 단자핀(P)이 상기 단자클립(40)에서 탈거되도록 한다.
상기 덮개(8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20)의 전면 테두리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으로서, 플러그(PG)를 끼우기 위한 플러그공(81)과 누름버튼(50)을 끼우기 위한 누름버튼공(82)이 형성되어 있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작동을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플러그(PG)가 접속구(22)에 삽입된 상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설명의 편의상 도 6은 콘센트를 부분적으로 절개한 상태에서 플러그(PG)는 점선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도 7은 주요 동작부만을 발췌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PG)를 접속구(22)에 삽입하게 되면, 플러그(PG)의 단자핀(P)들은 각각 상응하는 단자클립(40)에 삽입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한 쌍의 포크(73)가 상기 단자핀(P)에 의해서 도 6의 도면에서 화살표 A방향으로 아래쪽으로 가압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포크(73)가 상기 단자핀(P)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가압되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포크(73)와 일체로 형성된 회동판(72)도 회동축(71)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회동하게 되며, 상기 회동판(72)이 아래쪽으로 회동하게 되면, 상기 회동판(72)의 아래쪽에서 접촉되어 있던 레버(62)가 중심축(61)을 중심으로 하여 아래쪽으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 레버(62)가 회동하게 되면, 상기 레버(62)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부분 즉, 누름버튼(50)의 하부에 위치하는 레버(62)의 단부(62a)가 상대적으로 위쪽으로 회동되게 되며, 상기 누름버튼(50)의 하부에 위치하는 레버(62)의 단부(62a)가 위쪽으로 회동되게 되면, 그에 따라 누름버튼(50)도 도 6 및 도 7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B 방향으로 위쪽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위와 같이 플러그(PG)가 접속구(22)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누름버튼(50)이 도 7의 도면에서 화살표 B 방향으로 위로 돌출되어 있게 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플러그(PG)를 접속구(22)로부터 탈거하기 위한 도면이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8 및 도 9는 플러그(PG)가 접속구(22)에서 탈거된 상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설명의 편의상 도 8은 콘센트를 부분적으로 절개한 상태에서 플러그(PG)는 점선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도 9는 주요 동작부만을 발췌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버튼(50)을 화살표 C와 같이 아래쪽으로 누르게 되면, 누름버튼(50)의 하단에 결합된 레버(62)의 단부(62a)도 아래쪽으로 하강하게 되고, 따라서 레버(62)의 타단부(62b)는 중심축(61)을 중심으로 하여 위쪽으로 회동하게 되며, 상기 레버(62)의 타단부(62b)가 위쪽으로 회동하게 되면 상기 레버(62)의 타단부(62b)에 접촉된 회동판(72)이 위쪽으로 들어 올려지면서 이와 동시에 회동판(72)도 회동축(71)을 중심으로 하여 위쪽으로 회동하게 된다.
위와 같이 회동판(72)이 위쪽으로 회동하게 되면, 상기 회동판(72)의 일단부에 형성한 한 쌍의 포크(73)도 위로 들어 올려지게 되므로 플러그(PG)의 단자핀(P)을 위쪽으로 밀어올리게 되며, 따라서, 플러그(PG)의 단자핀(P)이 화살표 D로 표시된 바와 같이 단자클립(40)내에서 벗어남과 동시에 플러그(PG)는 접속구(22)로부터 탈거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100)는 플러그(PG)를 파지하지 않고도 누름버튼(50)의 가압력에 의해 플러그(PG)의 단자핀(P) 한 쌍을 동시에 가압함으로써, 플러그(PG)를 콘센트에서 간편하고도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P : 단자핀 PG : 플러그
E : 이젝터 10 : 하부케이스
20 : 상부케이스 22 : 접속구
23 : 누름버튼공 30 : 브라켓
40 : 단자클립 50 : 누름버튼
60 : 전달부재 61 : 중심축
62 : 레버 70 : 탈거부재
71: 회동축 72 : 회동판
73 : 포크 80 : 덮개
E : 이젝터 10 : 하부케이스
20 : 상부케이스 22 : 접속구
23 : 누름버튼공 30 : 브라켓
40 : 단자클립 50 : 누름버튼
60 : 전달부재 61 : 중심축
62 : 레버 70 : 탈거부재
71: 회동축 72 : 회동판
73 : 포크 80 : 덮개
Claims (4)
-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 공간부를 갖는 하부케이스(10);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전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한 쌍의 단자핀(P)을 가지는 플러그(PG)를 삽입하기 위한 접속구(22)와, 상기 접속구(22)와 이격져서 형성되는 누름버튼공(23)이 구비된 상부케이스(20);
상기 하부케이스(10)의 후면에 부착되어 상기 하부케이스(10)를 벽체 내에 고정설치하기 위한 브라켓(30);
상기 하부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벽체 내에 설치되는 전원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플러그(PG)의 단자핀(P) 한 쌍이 각각 끼워질 수 있는 한 쌍의 단자클립(40);
상기 상부케이스(20)의 누름버튼공(23)에 끼워져서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누름버튼(50);
상기 플러그(PG)가 상기 접속구(22)에 끼워졌을 때, 상기 누름버튼(50)을 누르게 되면, 상기 누름버튼(50)의 가압력을 전달받아 상기 1쌍의 단자핀(P)을 동시에 전면으로 밀어서 상기 플러그(PG)를 상기 접속구(22)로부터 탈거시키도록 하는 이젝터(E); 및
상기 상부케이스(20)의 전면 테두리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덮개(80);로 이루어지는 콘센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E)는,
상기 상부케이스(20)와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누름버튼(50)의 가압력을 전달받아 상기 플러그(PG)의 단자핀(P) 한 쌍을 동시에 전면으로 밀어서 상기 플러그(PG)를 상기 접속구(22)로부터 탈거시키도록 하는 탈거부재(70); 및
상기 누름버튼(50)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누름버튼(50)을 누를 때, 상기 누름버튼(50)의 가압력을 상기 탈거부재(70)에 전달하도록 하는 전달부재(60);로 이루어지는 콘센트.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60)는,
상기 하부케이스(10)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중심축(61);
상기 중심축(61)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일단은 상기 누름버튼(5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탈거부재(70)에 연결되며, 상기 누름버튼(50)이 이동할 때, 상기 누름버튼(50)과 연동하여 상기 중심축(61)을 중심으로 시이소오 운동하는 레버(62);로 이루어지는 콘센트.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탈거부재(70)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회동축(71);
상기 회동축(71)에서 상기 단자클립(40)쪽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레버(62)가 시이소오 운동할 때, 상기 레버(62)와 연동하여 상기 회동축(71)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판(72);
상기 회동판(72)의 일단부에 한 쌍으로 서로 이격지게 형성되어 각각 대응되는 단자클립(40)속에 끼워지며, 상기 회동판(72)가 전면으로 회동하게 될 때, 상기 단자핀(P)이 상기 단자클립(40)에서 탈거되도록 하는 한쌍의 포크(73);로 이루어지는 콘센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92657A KR20130029295A (ko) | 2011-09-14 | 2011-09-14 | 콘센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92657A KR20130029295A (ko) | 2011-09-14 | 2011-09-14 | 콘센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29295A true KR20130029295A (ko) | 2013-03-22 |
Family
ID=48179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92657A KR20130029295A (ko) | 2011-09-14 | 2011-09-14 | 콘센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29295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26478B1 (ko) * | 2014-11-26 | 2016-06-01 | 주식회사 픽스텍 | 멀티 콘센트 |
-
2011
- 2011-09-14 KR KR1020110092657A patent/KR2013002929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26478B1 (ko) * | 2014-11-26 | 2016-06-01 | 주식회사 픽스텍 | 멀티 콘센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547219B2 (en) | Electrical safety adaptor with replaceable head unit | |
EP2797174A1 (en) | Safe electrical outlet | |
JP6175133B2 (ja) | プラグの脱離が容易なコンセントユニット及びこれを利用したマルチタップコンセント装置 | |
KR200462307Y1 (ko) | 플러그와 콘센트 체결구조 | |
CN105552662B (zh) | 一种多功能插线板 | |
KR20120030426A (ko) | 연결가능한 전기 장치들 사이의 인터페이스 | |
CN2906991Y (zh) | 单头套入式插头、插座开关 | |
US8011940B1 (en) | Power socket device having switches | |
US7972152B1 (en) | Power socket device having rotation-operated switch function | |
CN204088791U (zh) | 一种旋转开关插座 | |
KR20130029295A (ko) | 콘센트 | |
KR20070092568A (ko) | 전원플러그 | |
TWI458202B (zh) | 轉盤式複合插座結構 | |
KR20160133663A (ko) | 플러그 자동 인출형 콘센트 | |
KR101366844B1 (ko) | 일체형 접지 부재가 구비된 플러그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 |
KR20150078943A (ko) | 전기 플러그 | |
CN211238682U (zh) | 万用转接器结构 | |
CN205565199U (zh) | 一种多功能插线板 | |
EP1071169B1 (en) | Electrical plug device | |
KR20130017268A (ko) | 콘센트 | |
KR20050106723A (ko) | 콘센트 | |
KR20050106726A (ko) | 콘센트 | |
KR101039101B1 (ko) | 플러그 인출이 용이한 콘센트 | |
KR101565737B1 (ko) | 원터치 멀티탭 | |
CN205429338U (zh) | 一种支持无线充电的多功能插线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