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9177A - 결합과 분리가 용이한 3차원 입체블록 - Google Patents
결합과 분리가 용이한 3차원 입체블록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29177A KR20130029177A KR1020110092405A KR20110092405A KR20130029177A KR 20130029177 A KR20130029177 A KR 20130029177A KR 1020110092405 A KR1020110092405 A KR 1020110092405A KR 20110092405 A KR20110092405 A KR 20110092405A KR 20130029177 A KR20130029177 A KR 201300291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convex
- concave
- groove
- octago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hol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2—Perforated strips or the like assembled by rods, bolts, or the like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합과 분리가 용이한 3차원 입체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결합부인 볼록부와 오목부가 형성된 다수개의 블록을 이용하여 상기 블록끼리 볼록부와 오목부를 서로 결합하거나 분리함으로써 입체구조물의 형성 및 해체를 자유롭게 실행할 수 있는 입체블록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중 볼록부는 끝단으로부터 상기 볼록부 길이의 한쪽 일부는 원통부이고 나머지 다른 쪽 일부는 다각 기둥부로 구성하되, 상기 원통부의 둘레는 다각 기둥부의 내접원 둘레에 해당하고, 상기 결합부 중 오목부는 오목한 홈의 입구에서부터 상기 오목부 깊이의 한쪽 일부는 다각홈이고 나머지 다른 쪽 일부는 원형홈으로 구성하되, 상기 원형홈의 둘레는 다각홈의 내접원 둘레에 해당하여, 상기 블록과 블록을 결합할 때 볼록부를 오목부에 일부 삽입하여 상기 오목부의 다각홈 안쪽의 내접원 상에서 상기 볼록부의 블록을 자유롭게 회전시켜 각도를 정한 후, 상기 오목부의 원형홈에 볼록부의 원통부를 삽입하고 다각홈에 다각 기둥부를 완전히 삽입하여 블록을 서로 결합하는 입체블록이며, 상기 블록의 볼록부를 8각 기둥부와 원통부로 구성함과 동시에 오목부를 8각홈과 원형홈으로 구성한 것에 의해, 블록의 각도를 자유롭게 변형시키면서 어린이의 힘으로도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결합과 분리가 용이한 3차원 입체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블록에 형성된 결합부인 볼록부와 오목부를 각각 원형과 8각형이 함께 형성된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볼록부를 오목부에 삽입하여 블록끼리를 결합할 때 자유롭게 블록을 회전시키면서 결합하고, 결합의 완성 후에는 상기 결합부의 8각형 부분에 의해 다양한 각도로 블록이 결합하면서 각도의 변화가 없도록 하고, 상기 결합부의 원형 부분에 의해 어린이들도 쉽게 블록의 결합과 분리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한 3차원 입체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원발명의 배경기술로 일반적인 블록은 입체적인 모양의 입체구조물을 구성함에 있어, 결합부로써 철부(凸部)로 형성되는 볼록부와 요부(凹部)로 형성되는 오목부의 결합에 의하여 2개 이상의 블록이 결합하여 입체구조물을 만들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에 블록과 블록을 일정한 각도로 결합하기 위해서는 상기 결합부의 볼록부와 오목부가 원형으로 되어 있는 경우, 결합하기 전에 블록을 회전시키면서 일정한 각도를 주어 결합하거나, 상기 결합부의 볼록부와 오목부가 6각 또는 8각으로 되어 있는 경우, 6각이나 8각에 맞추어 일정한 각도를 주고 결합함으로써 입체구조물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부의 볼록부와 오목부가 원기둥과 원형홈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작은 외력이나 자체의 하중에 의하여 블록으로 구성한 입체구조물의 형태가 각도가 변하면서 쉽게 변형될 수 있는 단점이 있으며, 결합부의 볼록부와 오목부가 6각 또는 8각의 다각기둥과 다감홈의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결합부위의 마찰력이 상기한 원형에 비하여 크기 때문에, 블록을 서로 결합하거나 분리하는데 큰 힘을 필요로 하여 어린이들이 사용하기에는 블록의 결합과 분리에 과도한 힘이 들어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8각 기둥부와 8각홈으로 이루어진 결합부를 가진 블록의 경우, 블록끼리를 결합할 때에 8각의 원하는 각도에 맞추어서 끼워야 처음부터 결합되는 단점이 있어, 블록의 양쪽 결합부(오목부와 볼록부)를 보고 결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결합부의 볼록부와 오목부가 서로 결합하는 결합면 전체가 8각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형성되어 있어, 8각의 볼록부와 오목부가 한번 결합되면 8면의 마찰력에 의해 분리가 잘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블록의 결합부인 볼록부와 오목부의 형상에 있어, 상기 볼록부의 한쪽 일부인 하단부는 8각 기둥부로 형성함과 동시에 나머지 다른 쪽 일부인 상단부는 상기 8각 기둥부의 내접원 둘레에 해당하는 둘레를 갖는 원통부로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의 한쪽 일부인 위쪽은 8각홈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나머지 다른 쪽 일부인 아래쪽은 상기 8각홈의 내접원 둘레에 해당하는 둘레를 갖는 원통홈으로 형성한 결합과 분리가 용이한 3차원 입체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결합부의 볼록부와 오목부의 구성으로 인해 상기 볼록부와 오목부가 결합할 때, 각도를 정한 후에 한쪽 블록의 볼록부의 8각 기둥부가 다른 쪽 블록의 오목부의 8각홈에 삽입되도록 하면, 한쪽 블록의 8각 기둥부와 다른 쪽 블록의 8각홈에 의해 블록의 각도변화가 없으면서, 한쪽 블록의 원통부와 다른 쪽 블록의 원형홈의 결합에 의해 어린이의 힘으로도 블록과 블록의 결합과 분리를 쉽게 실시할 수 있는 3차원 입체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다른 목적은 결합부인 상기 볼록부와 오목부를 블록에 다수개 형성한 3차원 입체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결합부인 볼록부와 오목부가 형성된 블록을 종단면이 4각형인 블록, 횡단면이 삼각형인 블록, 횡단면이 이등변 삼각형인 블록 등으로 블록의 형태를 입체적으로 다양하게 구성한 3차원 입체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결합부인 볼록부와 오목부를 하나의 볼록에 각각 형성하거나 함께 형성한 3차원 입체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결합과 분리가 용이한 3차원 입체블록은, 결합부인 볼록부와 오목부가 형성된 다수개의 블록을 이용하여 상기 블록끼리 볼록부와 오목부를 서로 결합하거나 분리함으로써 입체구조물의 형성 및 해체를 자유롭게 실행할 수 있는 입체블록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중 볼록부는 끝단으로부터 상기 볼록부 길이의 한쪽 일부는 원통부이고 나머지 다른 쪽 일부는 다각 기둥부로 구성하되, 상기 원통부의 둘레는 다각 기둥부의 내접원 둘레에 해당하고, 상기 결합부 중 오목부는 오목한 홈의 입구에서부터 상기 오목부 깊이의 한쪽 일부는 다각홈이고 나머지 다른 쪽 일부는 원형홈으로 구성하되, 상기 원형홈의 둘레는 다각홈의 내접원 둘레에 해당하여, 상기 블록과 블록을 결합할 때 볼록부를 오목부에 일부 삽입하여 상기 오목부의 다각홈 안쪽의 내접원 상에서 상기 볼록부의 블록을 자유롭게 회전시켜 각도를 정한 후, 상기 오목부의 원형홈에 볼록부의 원통부를 삽입하고 다각홈에 다각 기둥부를 완전히 삽입하여 블록을 서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블록의 볼록부와 오목부는 볼록에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블록의 블록부의 다각 기둥부는 6각 기둥부 또는 8각 기둥부이고 상기 블록의 오목부의 다각홈은 6각홈 또는 8각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블록은 폭방향 종단면이 정사각형인 블록과 횡단면이 정삼각형인 블록 및 횡단면이 이등변 삼각형인 블록 중의 어느 하나의 블록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블록은 볼록부 또는 오목부만 형성하거나 볼록부와 오목부를 함께 형성한 블록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결합과 분리가 용이한 3차원 입체블록에 의하면, 블록의 결합부인 볼록부와 오목부의 일부가 8각 기둥부 및 8각홈의 형태로 형성함에 의해 8각의 장점인 45도의 결합각을 가지면서 블록을 결합할 수 있고, 결합 후에는 각도의 변화가 없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블록의 결합부인 볼록부와 오목부의 또 다른 일부가 원통부 및 원형홈으로 형성되어 있어, 결합부인 볼록부의 8각 기둥부와 오목부의 8각홈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된 블록의 각도의 변화가 없다는 장점과 더불어, 블록의 결합과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원형의 결합부의 장점을 모두 살릴 수 있으므로, 어른들의 도움이 없이도 어린이들이 손쉽게 블록을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재미있는 완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폭방향 종단면이 사각형으로 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블록의 사시도
도 2의 (a),(b),(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블록의 평면도
도 3의 (a),(b),(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블록의 평면도
도 4의 (a),(b),(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블록의 평면도
도 5의 (a),(b),(c)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블록의 평면도
도 6의 (a),(b)는 횡단면이 삼각형으로 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블록의 사시도
도 7의 (a),(b)는 횡단면이 이등변 삼각형으로 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블록의 사시도
도 2의 (a),(b),(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블록의 평면도
도 3의 (a),(b),(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블록의 평면도
도 4의 (a),(b),(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블록의 평면도
도 5의 (a),(b),(c)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블록의 평면도
도 6의 (a),(b)는 횡단면이 삼각형으로 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블록의 사시도
도 7의 (a),(b)는 횡단면이 이등변 삼각형으로 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블록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결합과 분리가 용이한 3차원 입체블록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폭방향 종단면이 사각형으로 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블록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가 긴 직사각 박스형상으로 된 블록(1)의 전면에는 블록부(2a)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블록(1)의 한쪽 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또 다른 블록부(2b)가 형성되며, 블록(1)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오목부(3a)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블록(1)의 한쪽 측면에 형성된 블록부(2b)의 사이에는 또 다른 오목부(3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록부(2a)(2b)와 오목부(3a)(3b)는 블록과 블록을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결합부로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종래 블록과 같이 상기 블록(1)의 한쪽 측면에 형성된 볼록부(2a)(2b)와 오목부(3a)(3b)의 주위에는 비어있는 공간(S)을 형성함으로써 블록(1)의 무게를 최대한 줄이도록 한다.
블록(1)의 결합부인 상기 볼록부(2a)(2b)는 끝단에서부터 볼록부(2a)(2b) 전체 길이의 2/3에 해당하는 상단부는 원통부(4)로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2a)(2b)의 나머지 1/3에 해당하는 하단부는 8각 기둥부(5)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원통부(4)의 둘레는 8각 기둥부(5)의 내접원 둘레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블록(1)끼리의 용이한 결합과 분리의 면에서 유리하다.
여기서, 상기 볼록부(2a)(2b)는 원통부(4)와 8각 기둥부(5)의 길이가 각각 1/2씩 형성할 수도 있고, 도면과는 반대로 원통부(4)는 1/3로 8각 기둥부(5)는 2/3의 길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블록(1)의 결합부인 상기 오목부(3a)(3b)는 오목한 홈의 입구에서부터 오목부(3a)(3b) 전체 깊이의 1/3에 해당하는 상단부는 8각홈(6)으로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3a)(3b)의 나머지 2/3에 해당하는 하단부는 원형홈(7)으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원형홈(7)의 둘레는 8각홈(6)의 내접원 둘레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블록(1)끼리의 용이한 결합과 분리의 면에서 유리하다.
여기서, 상기 오목부(3a)(3b)는 8각홈(6)과 원형홈(7)의 깊이가 각각 1/2씩 형성할 수도 있고, 도면과는 반대로 8각홈(6)은 2/3로 원형홈(7)은 1/3의 깊이로 형성할 수도 있다.
8각 형태의 볼록부(2a)(2b)와 오목부(3a)(3b)가 서로 결합할 때는 360도의 결합을 8각으로 나눈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하나의 결합부를 회전할 때마다 45도의 회전각을 가지기 때문에 손쉽게 다양한 형태의 3차원적인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고, 각도가 8각 이상의 경우에는 더욱 다양한 형태를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10각 이상의 볼록부와 오목부는 각도가 복잡하게 형성되어 한쪽에서 만들어진 형태를 다른 쪽에 연결하는 과정에서 특정 각도가 형성이 되지 못함으로써 원하는 구조물의 형성에 어려움이 있으며, 결합부의 결합강도가 약해지는 단점이 있어 8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4각 또는 6각으로도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블록(1)의 결합부인 볼록부(2a)(2b)와 오목부(3a)(3b)의 절반은 원형부이고 나머지 절반은 8각부로 형성됨으로써 8각만으로 된 결합부의 장점과 원형만으로 된 결합부의 장점을 동시에 구비한 블록(1)의 결합부, 즉 결합부의 원형부로는 결합과 분리가 용이한 면이 있는 장점이 있고, 8각부로는 각도가 변하지 않으면서 구조물의 형태가 잘 유지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도 2의 (a),(b),(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블록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a),(b),(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블록은 폭방향 종단면이 정사각형인 정사각 블록(1a)과 서로 길이가 다른 2개의 직사각 블록(1b)(1c)으로 이루어져, 상기 각 블록(1a)(1b)(1c)의 길이방향 전면 및 후면에는 결합부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볼록부(2a)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폭방향의 양측면에는 결합부로써 다른 볼록부(2b)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도 결합부로써 오목부(3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록부(2a)(2b)들과 오목부(3c)는 정사각 블록(1a)의 경우 상면을 제외한 각 면에 하나의 볼록부(2a)(2b))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 하나의 오목부(3c)가 형성되어 있지만, 직사각 블록(1b)(1c)의 경우에는 양측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2개 또는 3개의 볼록부(2a)(2b)가 각각 나란히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2개 또는 3개의 오목부(3c)가 각각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볼록부(2a)(2b)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체 길이의 2/3가 원통부이고 나머지 1/3은 8각 기둥부이며, 상기 오목부(3c)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체 깊이의 2/3가 원형홈이고 나머지 1/3은 8각홈이여, 원통부와 8각 기둥부 또는 원형홈과 8각홈은 서로 같거나 다른 길이 또는 깊이를 가질 수도 있다.
도 3의 (a),(b),(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블록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a),(b),(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블록은 폭방향 종단면이 정사각형인 정사각 블록(1a)과 서로 길이가 다른 2개의 직사각 블록(1b)(1c)으로 이루어져, 상기 각 블록(1a)(1b)(1c)의 길이방향 전면 및 후면에는 결합부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볼록부(2a)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폭방향의 양측면에는 결합부로써 다른 볼록부(2b)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도 결합부로써 또 다른 볼록부(2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록부(2a)(2b)(2c)들은 정사각의 블록(1a)의 경우 각 면에 하나의 볼록부(2a)(2b)(2c)가 각각 형성되어 있지만, 직사각의 블록(1b)(1c)의 경우에는 양측면 및 상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2개 또는 3개의 볼록부(2b)(2c)가 각각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볼록부(2a)(2b)(2c)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체길이의 2/3가 원통부이고 나머지 1/3은 8각 기둥부이며, 서로 같거나 다른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도 4의 (a),(b),(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블록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a),(b),(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블록은 정사각 블록(1a)과 서로 길이가 다른 2개의 직사각 블록(1b)(1c)으로 이루어져, 상기 각 블록(1a)(1b)(1c)의 길이방향 전면 및 후면에는 결합부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각각 오목부(3a)가 형성되어 있고, 폭방향의 양측면에는 결합부로써 다른 오목부(3b)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도 결합부로써 또 다른 오목부(3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3a)(3b)(3c)들은 정사각의 블록(1a)의 경우 각 면에 하나의 오목부(3a)(3b)(3c)가 각각 형성되어 있지만, 직사각의 블록(1b)(1c)의 경우에는 양측면 및 상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2개 또는 3개의 오목부(3b)(3c)가 각각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오목부(3a)(3b)(3c)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체 길이의 2/3가 원형홈이고 나머지 1/3은 8각홈이며, 서로 같거나 다른 깊이를 가질 수도 있다.
도 5의 (a),(b),(c)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블록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a),(b),(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블록은 정사각 블록(1a)과 서로 길이가 다른 2개의 직사각 블록(1b)(1c)으로 이루어져, 상기 각 블록(1a)(1b)(1c)의 길이방향 전면 및 후면에는 결합부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각각 블록부(2a)가 형성되어 있고, 폭방향의 양측면에는 결합부로써 오목부(3b)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도 결합부로써 다른 오목부(3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록부(2a)와 오목부(3b)(3c)들은 정사각의 블록(1a)의 경우 전면 및 후면에 하나의 볼록부(2a)가 형성되어 있고, 양측면 및 상면에 각각 하나의 오목부(3b)(3c)가 각각 형성되어 있지만, 직사각의 블록(1b)(1c)의 경우에는 양측면 및 상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2개 또는 3개의 오목부(3b)(3c)가 각각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볼록부(2a)와 오목부(3b)(3c)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체 길이 또는 전체 깊이의 2/3가 원통부 또는 원형홈이고 나머지 1/3은 8각 기둥부 또는 8각홈이며, 상기 원통부와 8각 기둥부 또는 원형홈과 8각홈은 서로 같거나 다른 길이 또는 깊이를 가질 수도 있다.
도 6의 (a),(b)는 횡단면이 삼각형으로 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블록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형태들의 사각 블록(1a)과 직사각 블록(1b)(1c)들과 함께 여러 가지 형태의 입체구조물을 만들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블록이 필요하므로, 도 6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단면이 정삼각형인 정삼각 블록(1d1)(1d2)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 정삼각 블록(1d1)은 블록의 측면 3곳에 결합부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볼록부(2a)(2b)(2c)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각 볼록부(2a)(2b)(2c)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체 길이의 2/3가 원통부이고 나머지 1/3은 8각 기둥부이며, 서로 같거나 다른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또, 다른 형태의 정삼각 블록(1d2)은 블록의 측면 중 2곳은 결합부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볼록부(2a)(2b)가 각각 형성됨과 동시에 측면 중 1곳은 결합부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오목부(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록부(2a)(2b)는 전체 길이의 2/3가 원통부이고 나머지 1/3은 8각 기둥부이고, 상기 오목부(3a)의 전체 깊이의 2/3가 원형홈이고 나머지 1/3은 8각 홈이며, 상기 원통부와 8각 기둥부 또는 원형홈과 8각홈은 서로 같거나 다른 길이 또는 깊이를 가질 수도 있다.
도 7의 (a),(b)는 횡단면이 이등변 삼각형으로 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블록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사각 블록(1a)과 직사각 블록(1b)(1c) 및 정삼각 블록(1d)과 더불어 여러 가지 형태의 입체구조물을 만들기 위해 더 구비하는 블록으로써, 도 7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단면이 이등변 삼각형인 이등변삼각 블록(1e1)(1e2)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 이등변삼각 블록(1e1)은 블록의 측면 2곳에 결합부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오목부(3a)(3b)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각 오목부(3a)(3b)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체 깊이의 2/3가 원형홈이고 나머지 1/3은 8각홈이며, 서로 같거나 다른 깊이를 가질 수도 있다.
또, 다른 형태의 이등변삼각 블록(1e2)은 블록의 측면 중 2곳은 결합부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볼록부(2a)(2b)가 각각 형성됨과 동시에 측면 중 1곳은 결합부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오목부(3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록부(2a)(2b)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체 길이의 2/3가 원통부이고 나머지 1/3은 8각 기둥부이고, 상기 오목부(3a)는 전체 깊이의 2/3가 원형홈이고 나머지 1/3은 8각홈이며, 상기 원통부와 8각 기둥부 또는 원형홈과 8각홈은 서로 같거나 다른 길이 또는 깊이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의 정사각 블록(1a)과 직사각 블록(1b)(1c)을 다수개 구비하고,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의 정사각 블록(1a)보다는 많지 않지만 다수개의 정삼각 블록(1d1)(1d2)과 이등변삼각 블록(1e1)(1e2)을 구비하여 블록세트를 구성하게 되고, 상기 블록세트의 각 블록들을 이용하여 어린이들은 다양한 형태의 입체구조물을 구성하는 놀이를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입체구조물을 구성하기 위한 놀이를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은 블록들을 결합할 때, 볼록부의 원통부가 오목부의 절반까지 삽입되어 상기 오목부 8각홈 내부의 내접원 상에서 상기 볼록부의 원통부가 자유롭게 움직이며 각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각도로 볼록부를 오목부에 완전히 삽입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볼록부의 원통부와 오목부의 원형홈, 볼록부의 8각 기둥부와 오목부의 8각홈이 서로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결합부인 볼록부와 오목부를 이용한 블록끼리의 결합에 의해 안쪽의 원통부와 원형홈의 결합은 블록의 결합 및 분리를 수월하게 해주고, 바깥쪽의 8각 기둥부와 8각 홈의 결합은 정해진 각도로 각도의 변형이 없으면서 결합상태를 잘 유지해주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결합과 분리가 용이한 3차원 입체블록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블록 1a : 정사각 블록
1b,1c : 직사각 블록 1d1,1d2 : 정삼각 블록
1e1,1e2 : 이등변삼각 블록 2a,2b,2c : 볼록부
3a,3b,3c : 오목부 4 : 원통부
5 : 8각 기둥부 6 : 8각홈
7 : 원형홈
1b,1c : 직사각 블록 1d1,1d2 : 정삼각 블록
1e1,1e2 : 이등변삼각 블록 2a,2b,2c : 볼록부
3a,3b,3c : 오목부 4 : 원통부
5 : 8각 기둥부 6 : 8각홈
7 : 원형홈
Claims (6)
- 결합부인 볼록부와 오목부가 형성된 다수개의 블록을 이용하여 상기 블록끼리 볼록부와 오목부를 서로 결합하거나 분리함으로써 입체구조물의 형성 및 해체를 자유롭게 실행할 수 있는 입체블록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중 볼록부는 끝단으로부터 상기 볼록부 길이의 한쪽 일부는 원통부이고 나머지 다른 쪽 일부는 다각 기둥부로 구성하되, 상기 원통부의 둘레는 다각 기둥부의 내접원 둘레에 해당하고,
상기 결합부 중 오목부는 오목한 홈의 입구에서부터 상기 오목부 깊이의 한쪽 일부는 다각홈이고 나머지 다른 쪽 일부는 원형홈으로 구성하되, 상기 원형홈의 둘레는 다각홈의 내접원 둘레에 해당하여,
상기 블록과 블록을 결합할 때 볼록부를 오목부에 일부 삽입하여 상기 오목부의 다각홈 안쪽의 내접원 상에서 상기 볼록부의 블록을 자유롭게 회전시켜 각도를 정한 후, 상기 오목부의 원형홈에 볼록부의 원통부를 삽입하고 다각홈에 다각 기둥부를 완전히 삽입하여 블록을 서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3차원 입체블록.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볼록부와 오목부는 볼록에 다수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3차원 입체블록.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볼록부의 다각 기둥부는 6각 기둥부 또는 8각 기둥부이고 상기 블록의 오목부의 다각홈은 6각홈 또는 8각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3차원 입체블록.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폭방향 종단면이 정사각형인 블록과 횡단면이 정삼각형인 블록 및 횡단면이 이등변 삼각형인 블록 중의 어느 하나의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3차원 입체블록.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볼록부만 형성하거나 오목부만 형성한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3차원 입체블록.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볼록부와 오목부를 함께 형성한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3차원 입체블록.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92405A KR101349658B1 (ko) | 2011-09-14 | 2011-09-14 | 결합과 분리가 용이한 3차원 입체블록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92405A KR101349658B1 (ko) | 2011-09-14 | 2011-09-14 | 결합과 분리가 용이한 3차원 입체블록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29177A true KR20130029177A (ko) | 2013-03-22 |
KR101349658B1 KR101349658B1 (ko) | 2014-01-09 |
Family
ID=48179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92405A KR101349658B1 (ko) | 2011-09-14 | 2011-09-14 | 결합과 분리가 용이한 3차원 입체블록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49658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76530A (ko) * | 2016-12-28 | 2018-07-06 | 이동훈 | 가구용 조립 부품 및 이에 의한 조립식 가구 |
WO2018222542A1 (en) * | 2017-05-27 | 2018-12-06 | Lange Fredric A | Cube based building block system |
KR20190131780A (ko) * | 2018-05-17 | 2019-11-27 | 이상진 | 유아 학습용 블럭 |
WO2022017259A1 (zh) * | 2020-07-23 | 2022-01-27 | 上海安璞信息技术有限公司 | 一种立体积木拼图及拼接方法 |
RU210408U1 (ru) * | 2022-01-17 | 2022-04-14 | Георгий Васильевич Белоусов | Строительный блок для модуль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7670Y1 (ko) * | 2001-09-06 | 2001-12-24 | 이규식 | 완구용 블록 |
KR200452559Y1 (ko) * | 2008-09-01 | 2011-03-07 | 이광원 | 조립식 완구 블록세트 |
-
2011
- 2011-09-14 KR KR1020110092405A patent/KR101349658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76530A (ko) * | 2016-12-28 | 2018-07-06 | 이동훈 | 가구용 조립 부품 및 이에 의한 조립식 가구 |
WO2018222542A1 (en) * | 2017-05-27 | 2018-12-06 | Lange Fredric A | Cube based building block system |
CN110997092A (zh) * | 2017-05-27 | 2020-04-10 | 弗雷德里克·A·朗格 | 方块型组件块系统 |
KR20190131780A (ko) * | 2018-05-17 | 2019-11-27 | 이상진 | 유아 학습용 블럭 |
WO2022017259A1 (zh) * | 2020-07-23 | 2022-01-27 | 上海安璞信息技术有限公司 | 一种立体积木拼图及拼接方法 |
RU210408U1 (ru) * | 2022-01-17 | 2022-04-14 | Георгий Васильевич Белоусов | Строительный блок для модуль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49658B1 (ko) | 2014-01-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49658B1 (ko) | 결합과 분리가 용이한 3차원 입체블록 | |
TWI702078B (zh) | 鳩形積木 | |
AU2008327315B2 (en) | Toy blocks | |
KR101551226B1 (ko) | 연결가능한 블록 | |
US20180161690A1 (en) | Play toy in the form of interchangeable blocks and method for locking interchangeable blocks | |
GB2370239A (en) | Toy building blocks. | |
TWM511362U (zh) | 鳩形積木 | |
GB2502546A (en) | A modular construction set | |
CA2654366A1 (en) | Improvement in interlocking toy bricks | |
KR101430313B1 (ko) | 다면체 만들기용 조립구조체 | |
JP6288964B2 (ja) | 立体形成具 | |
US20200222822A1 (en) | Connector with multiple structural interfaces | |
US11684867B2 (en) | 3D tile | |
CN206463511U (zh) | 一种积木及积木连接结构 | |
JP2010240310A (ja) | 紙製組立部材および組立玩具 | |
KR20070000067U (ko) | 조립 블럭 | |
TW201540345A (zh) | 積木結構 | |
CN203264289U (zh) | 拼接玩具 | |
JP6630382B2 (ja) | 立体形成具 | |
CN204522259U (zh) | 自拼插单元 | |
JP2009000477A (ja) | 卍ブロック積み木 | |
KR20130055070A (ko) | 조립식 입체모형 | |
TWI753807B (zh) | 基板式積木單元 | |
CN211245524U (zh) | 一种凹字型旋转积木 | |
KR20120019811A (ko) | 유아 학습용 자석블록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