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670Y1 - 완구용 블록 - Google Patents

완구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670Y1
KR200257670Y1 KR2020010027297U KR20010027297U KR200257670Y1 KR 200257670 Y1 KR200257670 Y1 KR 200257670Y1 KR 2020010027297 U KR2020010027297 U KR 2020010027297U KR 20010027297 U KR20010027297 U KR 20010027297U KR 200257670 Y1 KR200257670 Y1 KR 2002576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nnection
toy
grooves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72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식
이수영
Original Assignee
이규식
이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식, 이수영 filed Critical 이규식
Priority to KR20200100272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6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6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670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완구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완구용 블록(100)에 있어서, 정사각형체로 상면과 하면에 제1연결홈(11)이 다수개 형성되어 상,하로 조합되기 위한 제1블록(10); 상기 제1블록(10)과 동일하게 정사각형체로 상, 하면에 상,하 연결을 위한 또 하나의 제1연결홈(21) 및 측면연결을 위한 제2연결홈(22)이 형성된 제2블록(20); 상기 각 제1연결홈(11,21) 및 제2연결홈(22)에 삽입 안내되어 고정 설치되며 일면으로부터 결합홈(31)이 형성된 연결부재(30); 상기 각각의 결합홈(31)에 양측이 끼움 설치되어 제1블록(10) 및 제2블록(20)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핀(4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기존의 단순한 블록간의 조합 및 조합에 따라 금방 해체될 수 있는 단점을 고려하여 상하, 좌우측에서 모두 조합이 가능하고, 이러한 블록의 조합으로 인한 보조물을 형성시켜 줌으로써 특히 일어서려고 하는 유아들이 보조물을 이용하여 단계적으로 블록의 각 부분을 짚고 일어설 수 있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향후 어린아이로 성장하는 과장에서는 창의력을 위한 블록놀이를 접할 수 있는데 효과적이다.

Description

완구용 블록{Block for toy}
본 고안은 완구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유아 및 아이들의창작성 및 지능개발을 위해 완구용으로 제작되어 사용되는 블록을 개선하여 안전하게 가지고 놀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단순한 블록간의 조합을 탈피하여 상하, 좌우측에서 모두 조합이 가능하고, 특히 일어서려고 하는 유아의 보조물로서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록완구는 기본적으로 사각형체가 기준이 되고, 그 외에 원형, 삼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제작되며, 일반적인 블록 쌓기부터 블록을 조합하여 여러 가지 물건을 흉내낼 수 있도록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도록 하여 성장기의 어린아이들에게 창작성을 기르게 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블록의 재질은 유아들을 고려하여 무독성 플라스틱 또는 목재로 제작되며, 크기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조립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성장하는 나이에 따라 조립에 난이도를 갖도록 하는 블록들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대표적인 블록을 보면, 첨부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1)은 일면에 끼움돌기(1a)가 돌출 형성되고, 그 타측면에는 또 하나의 동 블록의 끼움돌기(1a) 부분이 안내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1b)이 형성되어 있다.
통상 완구 블록을 가지고 여러 가지 놀이를 함에 있어 블록의 조립의 상기 끼움돌기를 또 하나의 블록 저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그대로 끼워 일방향으로만 조립하거나 담장벽돌과 같이 블록 길이방향을 엇갈리게 결합하여 적층시키는 블록놀이가 대부분으로 보통의 완구용 블록은 놀이도중 분실하는 경우가 많고, 블록의 조합에 있어서 블록간의 결합력이 작아 자칫 블록들이 서로 분리되어 버리는 단점이 있어 다양한 형태를 조합한 상태에서 가지고 놀기에는 부적합 면이 없지 않았다.
상기와 같은 블록은 플라스틱재질로서 깨짐을 방지하기 위해 보통 취성이 강한 소재로 사출 처리되어 더욱이 유아가 집어 던지거나 바닥으로부터 넘어져 블록에 부딪혔을 때 예기치 못한 손상을 입히는 문제점이 우려되고 있어, 특히 8개월 내지 12개월 정도의 유아들이 가지고 놀기에는 부적합하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블록의 단점을 개선하여 안전하게 가지고 놀 수 있는 재질을 채용함과 더불어 기존의 단순한 블록간의 조합 및 조합에 따라 금방 해체될 수 있는 단점을 고려하여 상하, 좌우측에서 모두 조합이 가능하고, 이러한 블록의 조합 등으로 인하여 특히 일어서려고 하는 유아의 보조물로서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완구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완구용 블록은 정사각형체로 상면과 하면에 제1연결홈이 다수개 형성되어 상,하로 조합되기 위한 제1블록; 상기 제1블록과 동일하게 정사각형체로 상, 하면에 상,하 연결을 위한 또 하나의 제1연결홈 및 측면연결을 위한 제2연결홈이 형성된 제2블록; 상기 각 제1연결홈 및 제2연결홈에 삽입 안내되어 고정 설치되며 일면으로부터 결합홈이 형성된 연결부재; 상기 각각의 결합홈에 양측이 끼움 설치되어 제1블록 및 제2블록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핀을 포함하여서 된 완구용 블록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완구용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완구용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1블록의 상하측 결합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2블록의 상하 및 측면결합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1블록 및 제2블럭을 이용하여 결합한 상태를 일 예로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의 블록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제1블럭 11,21: 제1연결홈
20: 제2블럭 22: 제2연결홈
30: 연결부재 31: 결합홈
40: 연결핀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인 완구용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1블록의 상하측 결합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2블록의 상하 및 측면결합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1블록 및 제2블럭을 이용하여 결합한 상태를 일예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완구용 블록(100)에 있어서, 상기 완구용 블록(100)은 정사각형체를 갖는 제1블록(10)과 제2블록(20)으로 나뉘어 진다.
상기 각 제1블록(10) 및 제2블록(20)은 상면과 하면에 상,하로 조합되기 위한 제1연결홈(11,21)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2블록(20)은 상하면을 제외한 전후좌우 각 측면연결을 위한 제2연결홈(22)이 중앙에 소정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각 제1연결홈(11,21) 및 제2연결홈(22)에는 일면으로부터 결합홈(31)이 형성된 연결부재(30)가 삽입 안내되어 고정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블록의 연결부재(30)의 결합홈(31)에는 제1블록(10) 및 제2블록(20)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핀(40)으로 끼움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결합홈(31) 및 연결핀(40)의 단면적은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본 고안의 도면에서는 육각형으로 도시되고, 그 이외에 삼각이나 사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블록(10), 제1블록(10), 연결부재(30) 및 연결핀(40)은 EVA재질로 제작되며, 실리콘고무 스펀지 재질로서 연질의 무독성 고무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 범주 내에서 제작이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첨부된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블록(10), 제2블록(20)은 플라스틱 계열의 합성수지로 되고, 외표면에 소정의 두께를 갖고 쿠션을 갖는 소재의 천(50)이 부착되어 감싸는 형태로도 블록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완구용 블록을 이용하여 조합상태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완구블록(100)의 조합에 있어, 제 1블록(10)은 첨부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면측 제1연결홈(11)에 삽입 설치된 연결부재(30)의 육각형의 결합홈(31)에는 연결핀(40)을 꽂아 블록을 상측으로 세울 수 있으며, 도 4에서와 같이 제1블록(10)과 제2블록(20)을 상기와 같이 상하측 연결부재(30)의 결합홈(31)을 통해 연결핀(40)으로 조합하되, 그 전후좌우측면으로는 상기와 동일한 연결부재(30)의 설치로 여기에 연결핀(40)을 꽂아 상하측은 물론, 좌우 각 측면을 각각 연결하여 블록을 조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핀(40)과 이 연결핀(40)을 결합하는 결합홈(31)부분은 상호 일치하는 다각형으로 되어 있어 블록간의 연결조합에 있어 어느 일 방향으로 블록이 쉽게 돌아가는 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핀(40)은 각 제 1블록(10) 및 제2블록(20)의 상하 및 전후좌우측 모두에 연결됨으로서 조합된 상태의 블록이 쉽게 이탈될 수 있는 기존 완구블록을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연결핀(40)의 길이가 결합홈(31)에 꽂을때 그 길이의 절반 길이만이 하나의 블록측 연결부재(30)의 결합홈(31)에 꽂아지므로서 나머지 길이는 자연적으로 또 하나의 블록 상측 또는 좌우측에 마련된 연결부재(30)의 결합홈(31)에 동일한 깊이로 결합되기 때문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제1블록(10) 및 제2블록(20)을 포함하는 연결부재(30), 연결핀(40)은 EVA재질이나 실리콘고무 스펀지재질로 소프트한 질감을 갖고 있어 유아들이 안전하게 가지고 놀기에 적합하며, 상기 첨부된 도 3 및 4에서와 같이, 각 블록의 조합으로 피라미드 형태로 조합된 상태에서 특히 8개월 내지 12개월 된 유아들이 기어다니다가 블록을 잡고 일어설 수 있는 보조물 이용으로서 가치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 첨부된 도 6에서와 같이, 블록은 합성수지, 목재로 제작되고, 그 외표면을 쿠션이 있는 천(50)소재를 감싸 부착함으로써, 아이들이 가지고 놀기에 딱딱한 질감을 피할 수 있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 각 블록의 크기는 가로 15㎝ ×세로 15㎝ 정도로 유아들이 엎드린 상태에서 팔을 뻗어 블록에 자연적으로 손이 얹혀질 수 있는 높이를 고려한 것으로 상기와 같이 단차지게 조합한 보조물은 점차적으로 유아가 성장해 가면서 단계적으로 손을 뻗어 짚고 일어설 수 있는 보조물로 이용할 수 있고, 향후 어린아이로 성장하면서 블록을 이용한 여러 가지 만들기 등의 창작성 및 지능개발을 키우는데 한몫을 할 수 있는 데에도 이용성의 가치가 있다.
상기한 각 블록에 형성된 제1블록(10)과 제2블록(20)의 차이점은 제2블록(20)의 상하면을 제외한 4면의 측면에 형성된 연결홈으로 설치된연결부재(30)의 있고 없는 차이로서, 상하측 조합 및 전후좌우 측의 측면조합을 구분하여 조합할 수 있는 인식을 갖추어 줄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어린아이들이 다양한 형태로 조합할 수 있도록 재질에 따른 안전성과 각 블록이 가지는 결합에 의해 창의력을 키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블록의 조합은 도면에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별도로 블록을 보관할 수 있는 교구상자 등이 없어도 블록의 결합력이 양호하여 하나의 큰 정사각형체로 조합할 수 있고, 이러한 블록조합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블록의 연결부재(30)의 결합홈(31)과 연결핀(40)으로서 상호 상하좌우 측면의 조합이 가능하여 보관이 쉽고 운반이 용이한 이점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기존 블록간의 조합 및 조합에 따라 금방 해체될 수 있는 단점을 고려하여 상하, 좌우측에서 모두 조합이 가능하고, 이러한 블록의 조합으로 인한 보조물을 형성시켜 줌으로써 특히 일어서려고 하는 유아들이 보조물을 이용하여 단계적으로 각 블록부분을 짚고 일어 설 수 있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향후 어린아이로 성장하는 과장에서는 창의력을 위한 블록놀이를 접할 수 있는데 효과적이다.

Claims (5)

  1. 완구용 블록(100)에 있어서,
    정사각형체로 상면과 하면에 제1연결홈(11)이 다수개 형성되어 상,하로 조합되기 위한 제1블록(10);
    상기 제1블록(10)과 동일하게 정사각형체로 상, 하면에 상,하 연결을 위한 또 하나의 제1연결홈(21) 및 측면연결을 위한 제2연결홈(22)이 형성된 제2블록(20);
    상기 각 제1연결홈(11,21) 및 제2연결홈(22)에 삽입 안내되어 고정 설치되며 일면으로부터 결합홈(31)이 형성된 연결부재(30);
    상기 각각의 결합홈(31)에 양측이 끼움 설치되어 제1블록(10) 및 제2블록(20)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핀(4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31) 및 연결핀(40)의 단면적은 다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10), 제2블록(20), 연결부재(30) 및 연결핀(40)은 EVA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블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10), 제2블록(20), 연결부재(30) 및 연결핀(40)은 실리콘고무 스펀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블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10), 제2블록(20)은 플라스틱 계열의 합성수지로 되고, 외표면에 소정의 두께를 갖고 쿠션을 갖는 소재의 천(50)이 부착되어 감싸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블록.
KR2020010027297U 2001-09-06 2001-09-06 완구용 블록 KR2002576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297U KR200257670Y1 (ko) 2001-09-06 2001-09-06 완구용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297U KR200257670Y1 (ko) 2001-09-06 2001-09-06 완구용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670Y1 true KR200257670Y1 (ko) 2001-12-24

Family

ID=73108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7297U KR200257670Y1 (ko) 2001-09-06 2001-09-06 완구용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670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241B1 (ko) * 2001-09-29 2004-03-11 박호걸 학습용 모형블록 구조
KR200452559Y1 (ko) * 2008-09-01 2011-03-07 이광원 조립식 완구 블록세트
KR200458252Y1 (ko) 2010-03-22 2012-01-31 김윤환 결속블록
WO2013055039A1 (ko) * 2011-10-11 2013-04-18 Kim Eungman 완구용 블록
KR101324389B1 (ko) * 2010-03-02 2013-11-01 김주안 조립식 블록 완구
KR101324698B1 (ko) * 2011-10-31 2013-11-04 박경화 레고블록들간의 결합 각을 변화시킬 수 있는 레고블록용 연결장치, 및 이를 채용한 레고블록과 레고블록 세트
KR101349658B1 (ko) * 2011-09-14 2014-01-09 라이프앤사이언스주식회사 결합과 분리가 용이한 3차원 입체블록
KR101374843B1 (ko) 2012-02-06 2014-03-17 가부시키가이샤 아테크 연결가능한 블록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241B1 (ko) * 2001-09-29 2004-03-11 박호걸 학습용 모형블록 구조
KR200452559Y1 (ko) * 2008-09-01 2011-03-07 이광원 조립식 완구 블록세트
KR101324389B1 (ko) * 2010-03-02 2013-11-01 김주안 조립식 블록 완구
KR200458252Y1 (ko) 2010-03-22 2012-01-31 김윤환 결속블록
KR101349658B1 (ko) * 2011-09-14 2014-01-09 라이프앤사이언스주식회사 결합과 분리가 용이한 3차원 입체블록
WO2013055039A1 (ko) * 2011-10-11 2013-04-18 Kim Eungman 완구용 블록
KR101324698B1 (ko) * 2011-10-31 2013-11-04 박경화 레고블록들간의 결합 각을 변화시킬 수 있는 레고블록용 연결장치, 및 이를 채용한 레고블록과 레고블록 세트
KR101374843B1 (ko) 2012-02-06 2014-03-17 가부시키가이샤 아테크 연결가능한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22499A (en) Toy building block suitable for a pad, raft or the like
WO2007021090A1 (en) Wooden block set
CA2589472A1 (en) Polyhedral toy
JPH0439349B2 (ko)
KR200257670Y1 (ko) 완구용 블록
KR200449456Y1 (ko) 유아용 소프트 놀이블록
ES2258992T3 (es) Dado que puede ser abierto, metodo de fabricacion del mismo y molde.
US6146232A (en) Toy logs having novel shape
GB2176125A (en) Toys
US20010048034A1 (en) Driving circuit for toy cars
EP1922126A1 (en) Toy building set
JP3210074U (ja) 軟質積木玩具
CN2216423Y (zh) 组合式凹凸玩具砖
KR200250896Y1 (ko) 구형 조립식 완구
KR100853574B1 (ko) 조립식 집짓기 완구
CN218392239U (zh) 积木单元以及积木组合
EP2340882A1 (en) Toy blocks
JPH0453555B2 (ko)
KR102493300B1 (ko) 멀티 탄성 블럭
JP3284199B2 (ja) 遊技用ブロックセット
JPH0233837Y2 (ko)
KR0116072Y1 (ko) 탑쌓기 완구용 블럭
JPH0833539A (ja) 幼児用椅子
CN2451198Y (zh) 三维立体巧方
KR0116073Y1 (ko) 유아용 놀이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