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9086A - 광­섬유 케이블의 보호 튜브들의 연결 장치, 그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광 전송 회로 부분 및 그러한 장치에 대한 밀봉 부재 - Google Patents

광­섬유 케이블의 보호 튜브들의 연결 장치, 그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광 전송 회로 부분 및 그러한 장치에 대한 밀봉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9086A
KR20130029086A KR1020127032251A KR20127032251A KR20130029086A KR 20130029086 A KR20130029086 A KR 20130029086A KR 1020127032251 A KR1020127032251 A KR 1020127032251A KR 20127032251 A KR20127032251 A KR 20127032251A KR 20130029086 A KR20130029086 A KR 20130029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mber
tube
state
housing
ann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2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5338B1 (ko
Inventor
퀘르 필리페 르
Original Assignee
파커 하니핀 매뉴팩쳐링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커 하니핀 매뉴팩쳐링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filed Critical 파커 하니핀 매뉴팩쳐링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30029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 F16L37/091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with a separate member for releasing the coupl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59Ducts; Conduits; Hollow tubes for air blown fib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50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 G02B6/52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using fluid, e.g. ai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Gasket Seal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광 섬유 케이블(103) 보호용 튜브들(101, 102)을 서로 연결하는 장치(1)가 개시된다. 장치는 각각이 튜브들 중 하나를 수용하도록 마련되고 튜브의 밀봉 유지 수단(5)을 제공하는 제1 단부 하우징(4.1) 및 제2 단부 하우징(4.2)을 갖는 채널(3)을 정의하는 튜블라 바디(2), 및 하우징들 내로의 튜브의 관통에 대한 지지부를 형성하기 위해 하우징들 사이로 연장되는 환형 단차부(9), 단차부의 측부(flank) 측면의 제1 하우징 내에 마련된 환형 밀봉 부재(10)를 포함하고, 환형 밀봉 부재(10)는, 튜브에 의해 인가된 축방향 압축의 효과에 의해, 밀봉 부재가 케이블이 자유롭게 통과하는 자유 구역을 정의하는 제1 상태로부터, 밀봉 부재가 케이블의 구역보다 작은 구역을 정의하는 제2 상태가 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그러한 연결 장치를 포함하는 광 전송 회로 세그먼트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광­섬유 케이블의 보호 튜브들의 연결 장치, 그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광 전송 회로 부분 및 그러한 장치에 대한 밀봉 부재{Device for connecting protective tubes of a fiber­optic cable, section of an optical transmission circuit comprising such a device and sealing element for such a device}
본 발명은 광 섬유 케이블 보호용 튜브들의 연결 장치, 및 그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광 전달 회로 세그먼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러한 장치에 특징적으로 적응된 밀봉 부재를 제공한다.
광 전송 회로는 연결 장치들에 의해 서로 연결된 보호 튜브들 내 받아들여진 광 섬유 케이블을 포함한다. 그러한 회로의 설치는 튜브들을 위치시키고 서로 연결시키는 것에 의해 개시되며, 상기 광 섬유 케이블이 기압을 이용하여 상기 튜브들 내로 삽입되고, 그에 따라 상기 케이블은 공기에 의해 상기 튜브들을 따라서 밀어 넣어진다. 따라서, 상기 연결 장치들은 두 상태들을 나타낼 필요가 있다: 상기 광 섬유 케이블이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는 삽입 상태(insertion state), 및 상기 연결 장치들이 상기 광 섬유 케이블 주변을 밀봉하는 누설밀봉(leaktight)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기 튜브들을 분리시키는 활용 상태(utilization state)가 그것이다.
문서 US-A-2007/200344는 광 섬유 케이블 보호 튜브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장치를 개시하며, 상기 장치는, 제1 단부 하우징 및 제2 단부 하우딩을 갖는 채널을 정의하는 튜블라 바디(tubular body)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들 각각은, 상기 튜브들 중 하나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튜브들을 밀봉된 방식으로 보유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상기 바디들은, 상기 튜브들의 상기 하우징 내로의 관통에 대한 맞닿음부(abutment)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들 사이로 연장된 환형 단차부(annular step)를 포함한다. 환형 밀봉 부재가 상기 단차부의 뿔 절단 측부(frustoconical flank) 주변 에서 상기 제1 하우징 내에 마련된다. 상기 밀봉 부재는 대기 상태(rest state)를 가지며, 상기 대기 상태에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자유 구역을 정의한다. 상기 튜브가 상기 제1 하우징 내로 밀어 넣어지는 동안, 상기 튜브는 상기 밀봉 부재를 상기 환형 단차부에 의해 상기 채널 내로 정의된 압축부(constriction) 내로 밀어 넣고, 그에 따라 상기 밀봉 부재가 제2 상태로 변형되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케이블의 구역보다 작은 구역을 정의한다. 상기 밀봉 부재의 상기 채널의 상기 압축부 내로 밀어 넣어진 맞물림은(forced engagement)은 상기 제1 하우징 내로 상기 튜브를 삽입시키는 동안 사용자로 하여금 상당한 힘을 인가할 것을 요구한다. 또한, 상기 밀봉 부재가 상기 압축부 내로 맞물려지는 동안, 상기 밀봉 부재는 무작위로 동작한다. 이는 조작자로 하여금 상기 튜브가 상기 밀봉 부재의 바람직한 변형을 얻기에 충분하도록 밀어 넣어졌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상기 채널 내 압축부 및 상기 밀봉 부재를 측정(dimension)하는 것이 어렵고, 상기 밀봉 부재의 물질을 선택하는 것도 어렵다. 마지막으로, 상기 튜브들이 인출된(withdrawn) 이후에도 그것의 제2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이러한 연결들은 재사용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광 섬유 케이블 보호용 튜브들을 서로 연결하는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각각이 상기 튜브들 중 하나를 수용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튜브를 밀봉된 방식으로 유지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제1 단부 하우징 및 제2 단부 하우징을 갖는 채널을 정의하는 튜블라 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는, 상기 하우징들 내로의 상기 튜브의 관통에 대한 맞닿음부(abutment)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들 사이로 연장되는 환형 단차부(annular step)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단차부의 측부(flank)의 주변 에서 상기 제1 하우징 내에 마련되고, 상기 밀봉 부재가 상기 케이블을 통과시키는 자유 구역을 정의하는 제1 상태로부터 상기 밀봉 부재가 상기 케이블의 구역보다 작은 구역을 정의하는 제2 상태로 변형 가능한, 환형 밀봉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밀봉 부재는 축방향 압축의 효과에 의해 그것의 제2 상태가 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튜브가 상기 환형 밀봉 부재를 상기 단차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압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밀봉 부재는 그 내부를 관통함이 없이 상기 단차부에 대해 변형된다. 따라서, 상기 튜브의 작용(action)에 의해 직접적인 방식으로 변형이 얻어지고, 그에 따라 상기 밀봉 부재를 변형하는데 필요한 힘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의 디자인을 단순화하는 것이 가능하며, 조작자가 상기 튜브가 적절하게 밀어 넣어졌음을 파악하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상기 밀봉 부재의 상기 변형은 원상복귀가능하며, 그에 따라, 필요한 경우, 상기 튜브들을 분리시키고 후속적으로 상기 밀봉 부재에 어떠한 조치를 취함이 없이 그들을 재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는, 상기 단차부로부터 이격된 상기 밀봉 부재의 측면 상의 상기 제1 하우징 내에 마련되고 상기 튜브가 통과할 수 있는 맞닿음부(abutment)를 형성하도록 마련된 릴리프부를 포함하고, 상기 릴리프부를 통과한 상기 튜브가 상기 환형 밀봉 부재를 상기 단차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압축할 수 있는 동안, 상기 릴리프부에 대한 맞닿음부 내 상기 튜브는 상기 밀봉 부재를 그것의 제1 상태로 만든다.
이는 조작자가 튜브가 부정확하게 밀어 넣어진 경우를 더욱 용이하게 파악하게 하고 연결 장치를 더욱 안정적으로 이용 가능케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는 투명 물질로 만들어지고, 릴리프부만큼의 먼 관통 및 상기 튜브의 상기 제1 하우징 내로의 완전한 관통을 나타내는 표시들(indications)을 포함한다.
따라서 조작자는 상기 튜브들의 관통을 시작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
상기 밀봉 부재의 제1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밀봉 부재는 서로 연결된 내주부들(inner circumferences) 및 서로 이격된 외주부들(outer circumferences)를 갖는 2개의 환형 벽들(annular walls)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V-형상 또는 U-형상의 단면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밀봉 부자의 구조가 특히 단순해지고, 상기 밀봉 부재의 그것의 제2 상태로의 변형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작은 양의 축방향 압축만이 인가(exerted)될 것을 필요로 한다.
상기 밀봉 부재의 제2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단차부를 지지하는(bearing against) 고정부(stationary portion), 및 튜블라 웹(tubular web)에 의해 상기 고정부에 연결된 이동부(movable portion)를 포함하며, 상기 튜블라 웹은, 상기 이동부가 상기 고정부를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 안쪽으로(inward) 변형되도록 마련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부는, 상기 고정부 내 챔버(chamber) 내로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 내 상기 챔버의 안쪽 지름보다 작은 바깥 지름을 갖는다.
상기 밀봉 부재의 축방향 압축이 상대적으로 작은 힘을 인가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타입의 연결 장치에 연결된 2개의 튜브들 내로 연장된 광 섬유 케이블을 포함하는 광 전송 회로 세그먼트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형 밀봉 부재도 제공하며, 상기 환형 밀봉 부재는, 상기 밀봉 부재가 큰 통과 구역을 정의하는 제1 상태로 및 상기 밀봉 부재가 작은 통과 구역을 정의하는 제2 상태로부터, 변형 가능하다. 상기 밀봉 부재는, 축방향 압축의 효과에 의해 그것의 제2 상태가 되고 물결 환형 라인(sinuous annular line)을 따라 그것의 제2 상태로 변형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방식의 변형은, 그것의 제2 상태에서의 상기 밀봉 부재가 전술한 고찰된 출원서에서의 광 섬유 케이블에 대해 견고하게 압축(pressed)되는 것을 보증하면서도, 큰 크기의 변형이 얻어지는 것을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이 이하의 본 발명의 특정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의 설명의 해석 상에 나타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밀봉 부재는 그 내부를 관통함이 없이 단차부에 대해 변형된다. 따라서, 튜브의 작용(action)에 의해 직접적인 방식으로 변형이 얻어지고, 그에 따라 상기 밀봉 부재를 변형하는데 필요한 힘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의 디자인을 단순화하는 것이 가능하며, 조작자가 상기 튜브가 적절하게 밀어 넣어졌음을 파악하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밀봉 부재의 상기 변형은 원상복귀가능하며, 그에 따라, 필요한 경우, 상기 튜브들을 분리시키고 후속적으로 상기 밀봉 부재에 어떠한 조치를 취함이 없이 그들을 재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기 바라며, 첨부의 도면들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결 장치의 장축 반단면(longitudinal half-section view)으로서, 튜브들을 연결하기 전의 모습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과 유사한 도면들이며, 튜브들이 연결된 상태에서, 그것의 삽입 상태의 연결 장치와 그것의 활용 상태의 연결 장치를 각각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 장치로서, 도 1과 유사한 도면들이며, 튜브의 연결 이전의 연결 장치와 활용 상태에서의 연결 장치를 각각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연결 장치로서, 도 1과 유사한 도면들이며, 튜브의 연결 이전의 연결 장치와 활용 상태에서의 연결 장치를 각각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 부재의 투시도를 나타내며, 그것의 제1 상태에서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9는 변형 실시예에서의 장치의 부분 영역도로서, 그것의 제2 상태에서 상기 밀봉 부재들로 피팅된(fitted) 모습을 나타낸다.
도 10은 변형 상시예에서의 밀봉 부재의 사시도로서, 그것의 제1 상태에서의 상기 밀봉 부재를 나타낸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전체에 걸쳐 부재번호 1로 나타난 본 발명의 연결 장치는, 광 섬유 케이블(103)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 튜브들(101, 102)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광 섬유 케이블은 연결 장치(1)를 통해 상기 튜브들(101, 102) 내부로 연장된다.
상기 연결 장치(1)는 제1 단부 하우징(4.1) 및 제2 단부 하우징(4.2)를 갖는 채널(3)을 정의하는 튜블라 바디(2)를 포함하고, 하우징들은 튜브들(101, 102)을 수용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들(4.1, 4.2) 각각에는, 전체에 걸쳐 부재번호 5호 나타난, 상기 튜브를 밀봉된 방식으로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이 예에서의 밀봉 유지 수단(5)은, 상기 튜브의 외측 표면에 파고들도록 하는 톱니형의 내부 주변부를 갖는 변형 가능 와셔(deformable washer, 6), 분리 푸셔(disconnection pusher, 7), 및 튜브(101, 102)의 상기 외측 표면을 고정시키는(gripping) 밀봉 부재(8)를 포함한다. 상기 밀봉 유지 수단(5)의 구조 및 배치는 그 자체로 알려져 있으며, 여기서 더 이상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톱니형 변형 가능 와셔의 사용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튜브의 후퇴 없이 상기 튜브를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바디(2)는, 튜브들(101, 102)의 하우징들(4.1, 4.2) 내로의 관통에 대한 맞닿음부(abutment)를 형성하기 위해, 하우징들(4.1, 4.2) 사이의 채널(3) 내로 전사하는 환형 단차부(9)를 포함한다.
환형 밀봉 부재(10)는 상기 단차부(9)의 방사상 측부(radial flank, 11)의 주변에서 제1 하우징(4.1) 내에 위치된다. 밀봉 부재(10)는, 상기 밀봉 부재(10)가 케이블(103)을 통과시키는 자유 구역을 정의하는 제1 상태로부터, 상기 밀봉 부재(10)가 상기 케이블(103)의 구역보다 작은 구역을 정의하는 제2 상태로, 변형 가능하다. 상기 밀봉 부재(10)는, 축 압축력(axial compression force)의 효과에 의해 그것의 제2 상태로 되게 하도록 마련된다.
제1 하우징(4.1)은, 튜브(101)가 단차부(9)에 대해 축방향으로 환형 밀봉 부재(10)를 압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고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디(2)는, 단차부(9)로부터 이격된 밀봉 부재(10)의 측면 상의 제1 하우징(4.1) 내에 마련되고 튜브(101)가 통과할 수 있는 맞닿음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된, 릴리프부(portion in relief, 12)를 포함하고, 그에 따라 상기 릴리프부(12)에 대한 맞닿음부 내 상기 튜브(101)는 밀봉 부재(10)를 그것의 제1 상태로 남겨둔다. 상기 릴리프부(12)는 상기 바디(2)와 일체화된다. 상기 튜브(101)는 그것의 낮은 높이로 인해 그리고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릴리프부(12)를 통과할 수 있다.
밀봉 부재(10)는, 서로 연결된 내주부들(inner circumferences) 및 서로 이격된 외주부들(outer circumferences)를 갖는 2개의 환형벽들(annular walls, 10.1, 10.2)을 포함한다. 상기 벽들(10.1, 10.2)은, 밀봉 부재(10)가 그것의 제1 상태인 경우, V-형상의 단면을 정의하도록 서로 이격되고, 상기 벽들(10.1, 10.2)은, 상기 밀봉 부재(10)가 그것의 제2 상태인 경우, 서로 접촉한다. 이 제2 상태에서, 상기 벽들이 방사형으로 연장되고 동일한 길이를 유지하여, 밀봉 부재(10)에 의해 정의된 통과 구역(through section)이 제1 상태에서 정의된 것보다 훨씬 더 적음이 이해될 것이다.
케이블(103)을 설치하기 위해, 튜브들(101, 102)은 하우징들(4.1, 4.2) 내로 삽입되고, 그에 따라 내부로 케이블(103)이 연장되는 회로가 형성된다. 튜브(101)는 릴리프부(12)만큼 멀리 밀어 넣어지고, 튜브(102)는 단차부(9)만큼 멀리 밀어 넣어진다(도 2 참조). 이후, 밀봉 부재(8)는 연결용 밀봉을 제공하고, 와셔들(6)은 튜브들(101, 102)이 다시 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한다. 후속적으로, 케이블(103)이 상기 회로의 튜브 단부(end tube) 내로 삽입되고, 상기 케이블이 튜브를 따라 연결 장치들을 통과하게끔 밀어 넣어지도록, 상기 튜브 내로 기압도 주입된다.
상기 케이블(103)이 위치되면, 각각의 튜브(101)는 릴리프부(12)를 넘도록 밀어넣어지고, 그에 따라 밀봉 부재(10)가 축방향으로 압축되고, 밀봉 부재(10)가 케이블(103)에 고정되는 그것의 제2 상태로 변환된다(도 3 참조).
벽들(10.1, 10.2)이 외주부를 향하여 확산(flare)되는 표면들로 정의되고, 그에 따라 그것의 제2 상태에서 밀봉 부재(10)에 대한 양호한 안정성이 얻어질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다른 2개의 실시예들의 설명에서, 상기 제1 실시예에 대한 전술한 설명들의 것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재들은 동일한 부재번호로 기재되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서, 그것의 제1 실시예 동안의 밀봉 부재(10)의 통과 구역은 그것의 제2 실시예 동안의 밀봉 부재(10)의 통과 구역보다 훨씬 더 크다.
벽들(10.1, 10.2)은, 서로 매우 넓게 이격되고,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갖는다. 벽들(10.1, 10.2)이 그들 사이로 연장되는 빈 공간을 증가시키는 굴곡부(bend)를 포함함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의 릴리프부(12)는 제1 하우징(4.1)에 피팅된(fitted) 금속부(bushing, 13)에 고정된다.
이 실시예에서, 푸시 링(push ring, 14)은, 피스톤의 역할을 하고 밀봉 부재(10)를 축방향으로 압축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해, 밀봉 부재(10)와 릴리프부(12) (및 그에 따라 부싱(13)) 사이에 개재된다. 이는 특히, 이 실시예에서와 같이, 튜브(101)가 밀봉 부재(10)의 바깥 지름(outer diameter)보다 작은 바깥 지름을 갖는 경우에 유리하다.
바디(2)는, 투명 물질로 만들어지고, 튜브(101)의 릴리프부(12) 만큼의 먼 관통 및 제1 하우징(2.1) 내로의 그것의 완전한 관통을 나타내는 마크들(15)을 포함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10)는, 단차부(9)를 지지하는(bearing against) 고정부(stationary portion, 10.3), 및 튜블라 웹(tubular web, 10.5)에 의해 고정부(10.3)에 연결된 이동부(movable portion, 10.4)를 포함하며, 상기 튜블라 웹(10.5)은 이동부(10.4)가 고정부(10.3)에 근접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안쪽으로(inward) 변형되도록 마련된다. 이동부(10.4)는, 밀봉 부재(10)가 그것의 제2 상태인 경우 고정부(10.3) 내 셋백(setback) 내로 관통할 수 있도록(도 7 참조), 고정부(10.3) 내 셋백의 안쪽 지름(inner diameter)보다 작은 바깥 지름을 가진다.
부싱(13)은 릴리프부(12)를 넘어 연장되는 단부를 가지며, 그에 따라 고정부(10.3)는 부싱(13)과 단차부(9) 사이로 잡혀 고정되고, 이동부(10.4)는 부싱(13)의 상기 단부 내로 미끄러질 수 있게(slidably) 수용된다.
이러한 연결 장치들의 동작은 제1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다.
도 8 및 도 9의 변형된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10)는 단차부(9)의 방사상 측부(11)의 주변에서 제1 하우징(4.1) 상으로 마련된다. 밀봉 부재(10)는 부싱(13) 측면에 일단부(10.11)를 갖고, 단차부(9) 측면에 타단부(10.12)를 갖는다. 밀봉 부재(10)는, 상기 밀봉 부재(10)가 케이블(103)을 통과시키는 자유 구역을 정의하는 제1 상태로부터, 상기 밀봉 부재(10)가 상기 케이블(103)의 구역보다 작은 구역을 정의하는 제2 상태로, 변형 가능하다. 상기 밀봉 부재(10)는, 축 압축력(axial compression force)의 효과에 의해 그것의 제2 상태로 되게 하도록 마련된다.
밀봉 부재(10)는 물결 환형 라인(sinuous annular line, 10.13)을 따라 그것의 제2 상태로 변형되도록 마련된 튜블라 디아볼로(tubular diabolo)의 형상을 갖는다.
밀봉 부재(10)는 다른 굳기(stiffness)의 부분들(10.14, 10.15)을 가지며, 상기 부분들(10.14, 10.15)은 각각이 상기 밀봉 부재의 일 단부에 마련된 2개의 반대축 그룹들 내에 마련된다. 이러한 부분들은, 상기 밀봉 부재의 각 측면 상의 더 큰 굳기의 부분들(10.15)과 교번하는 더 작은 굳기의 부분들(10.14)을 포함한다. 따라서, 그룹들 중 하나의 각각의 더 작은 굳기를 갖는 부분(10.14)은 다른 그룹의 더 큰 굳기를 갖는 부분(10.15)과 마주본다.
도 9에서 볼 수 있듯이, 더 작은 굳기의 부분(10.14)은, 더 큰 굳기의 부분(10.15)의 두께 H보다 작은 두께 h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푸시 링(14)은 단차부(9)로부터 이격된 밀봉 부재(10)의 측면 상의 제1 하우징(4.1) 내에 장착(mounted)된다. 상기 푸시 링(14)은, 피스톤의 역할을 하고 밀봉 부재(10)를 축방향으로 압축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해, 튜브(101)와 밀봉 부재(10) 사이에 놓이도록 하우징(4.1)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는 특히, 이 실시예에서와 같이, 튜브(101)가 밀봉 부재(10)의 바깥 지름(outer diameter)보다 작은 바깥 지름을 갖는 경우에 구체적으로 유리하다.
푸시 링(14)은, 제1 하우징(4.1)을 정의하는 바디(2)의 벽과 밀봉 부재(10)의 단부(10.11) 측면의 바깥 부분(outer portion, 10.16) 사이를 관통하도록 축방향으로 전사하는 바깥 테두리(outer rim, 14.1)를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의 상기 푸시 링(14)은 대칭이며 실제로는 장착 에러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푸시 링(14)의 대향 면들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바깥 테두리들(14.1)을 갖는다.
각각의 바깥 테두리(14.1)는 표면(14.2) 내 뿔 절단 측부를 가지고, 봉재 부재(10)의 바깥 부분(10.16)은 보충적인 뿔 절단 측부 형상(complementary frustoconical shape)을 갖는다.
튜브(101)를 삽입하는 힘에 의해 푸시 링(14)에 밀봉 부재(10)에 대한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푸시 링(14)은 바깥 부분(10.16)의 이동을 촉진시키기 위해 바디(2)의 벽으로부터 바깥 부분(10.16)을 분리시키고, 그에 따라 밀봉 부재(10)의 축방향으로의 압축이 야기되어, 그것의 제2 상태로의 변형이 이루어진다. 압축 동안, 각각의 더 큰 굳기 부분(10.15)은 더 작은 굳기 부분(10.14)와 마주보고, 그에 따라 물결 환형 라인을 따른 변형이 생성된다.
바깥 부분(10.16)을 상기 벽으로부터 분리시키으로써, 밀봉 부재(10)의 그것의 제2 상태로의 변형에 필요한 힘을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변형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1 하우징(4.1)은, 단부들(10.11, 10.12)의 바깥 부분들(10.16)을 각각 미끄러지는 방식으로 자유롭게 수용하는 제1 세그먼트(4.11) 및 제2 세그먼트(4.12)를 갖는다. 상기 제1 세그먼트는 또한 평행 이동하는 푸시 링(14)을 자유롭게 수용하고, 제2 세그먼트(4.12)는, 단차부(9)에 근접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제1 세그먼트(4.11)의 그것보다 더 작은 지름을 갖는다. 단부(10.12)의 바깥 부분(10.16)과 하우징(4.1)의 제2 세그먼트(4.12)의 벽 사이에 콘택에 의해 밀봉이 제공된다. 제1 세그먼트(4.11)는, 단부(10.11)의 바깥 부분(10.16)의 축방향 이동에 대한 맞닿음부(abutment)를 형성하는 쇼울더(shoulder, 4.13)에 의해, 제1 하우징(4.1)의 제2 세그먼트(4.12)에 연결되고, 그에 따라 밀봉 부재(10)의 압력을 제한한다.
이는 또한 바깥 부분(10.16)이 그것의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하고, 그에 따라 튜브(101)가 인출될 때 밀봉 부재(10)가 그것의 제1 상태로 복귀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도 10의 변형에서, 더 큰 굳기 부분(10.15)이 국부 보강물(local reinforcement, 10.17)을 포함하는 일 특정 실시예가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난다. 상기 국부 보강물(10.17)은, 예를 들어, 밀봉 부재(10)의 바디의 물질보다 더욱 단단하고 밀봉 부재(10)의 외측 표면 상으로 피팅된(fitted), 또는 밀봉 부재(10)의 바디의 물질 내로 포함된 물질 부재의 형태로 만들어진다. 상기 국부 보강물은 릴리프부의 형태일 수도 있다. 역으로, 더 작은 굳기 부분들(10.14)이, 밀봉 부재(10)의 물질의 나머지보다 더 작은 굳기를 갖는 물질 층 또는 리세스(recess)와 같은, 개별 국부 취약 부재들(respective local weakness elements)을 포함할 수 있다.
본질적으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임의의 변형들을 포함한다.
특히, 밀봉 부재는 U-형상의 단면도 가질 수 있다.
단차부(9) 및 맞닿음부(12)는 연속적이거나 비연속적(interrupted)일 수 있다.
밀봉 유지 수단은 임의의 다른 구조일 수 있고, 예를 들어 그들은 튜브 상의 릴리프부를 놓아주(releasing)거나 저지(blocking)하기 위한 방사형 이동가능 래치(radially movable latch)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그들은 클램프(clamp)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25)

  1. 광 섬유 케이블(103) 보호용 튜브들(101, 102)을 서로 연결하는 장치(1)로서,
    각각이 상기 튜브들 중 하나를 수용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튜브를 밀봉된 방식으로 유지하는 수단(5)을 제공하는 제1 단부 하우징(4.1) 및 제2 단부 하우징(4.2)을 갖는 채널(3)을 정의하는 튜블라 바디(2)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하우징들 내로의 상기 튜브의 관통에 대한 지지부(abutment)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들 사이로 연장되는 환형 단차부(annular step, 9)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상기 단차부(9)의 측부(flank)의 주변에서 상기 제1 하우징 내에 마련된 환형 밀봉 부재(10)를 포함하고,
    상기 환형 밀봉 부재(10)는, 상기 밀봉 부재가 상기 케이블을 통과시키는 자유 구역을 정의하는 제1 상태로부터, 상기 밀봉 부재가 상기 케이블의 구역보다 작은 구역을 정의하는 제2 상태로, 변형 가능하며,
    상기 밀봉 부재는 축방향 압축의 효과에 의해 그것의 제2 상태가 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튜브가 상기 환형 밀봉 부재를 상기 단차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압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2)는, 상기 단차부(9)로부터 이격된 상기 밀봉 부재(10)의 측면 상의 상기 제1 하우징(4.1) 내에 마련되고 상기 튜브(101)가 통과할 수 있는 지지부(abutment)를 형성하도록 마련된 릴리프부(a portion in relief, 12)를 포함하여,
    상기 릴리프부를 통과한 상기 튜브가 상기 환형 밀봉 부재를 상기 단차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압축할 수 있는 한편, 상기 릴리프부에 대한 지지부 내 상기 튜브는 상기 밀봉 부재를 그것의 제1 상태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부(12)의 부분은 상기 바디(2)와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부(12)는 상기 바디(2)에 피팅된 부싱(13)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13)과 상기 밀봉 부재(10) 사이에 푸시 링(14)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10)는 서로 연결된 내주부들(inner circumferences) 및 서로 이격된 외주부들(outer circumferences)를 갖는 2개의 환형 벽들(annular wall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10)는 V-형상 또는 U-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벽들은 상기 외주부를 향하여 확산(flare)되는 표면들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10)는, 상기 단차부(9)를 지지하는(bearing against) 고정부(stationary portion, 10.3), 및 튜블라 웹(tubular web, 10.5)에 의해 상기 고정부(10.3)에 연결된 이동부(movable portion, 10.4)를 포함하며,
    상기 튜블라 웹(10.5)은 상기 이동부가 상기 고정부를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 안쪽으로(inwards) 변형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10.4)는, 상기 고정부(10.3) 내 챔버(chamber) 내로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10.3) 내 상기 챔버의 안쪽 지름보다 작은 바깥 지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2)는 투명 물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릴리프부 만큼의 먼 관통 및 상기 튜브의 상기 제1 하우징(4.1) 내로의 완전한 관통을 나타내는 표시들(indications, 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10)는 물결 환형 라인(sinuous annular line, 10.13)을 따라 그것의 제2 상태로 변형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10)는 다른 굳기의 반대축 부분들(axially opposite portions)을 포함하고,
    더 작은 굳기의 부분들(10.14)은 상기 밀봉 부재의 각 측면 상의 더 큰 굳기의 부분들(10.15)과 교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더 작은 굳기의 부분들(10.14)은, 상기 더 큰 굳기의 부분들(10.15)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더 큰 굳기의 부분들은 국부 보강물(local reinforcement, 10.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링(14)이, 상기 튜브와 상기 밀봉 부재(10)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바디의 상기 제1 하우징(4.1) 내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링(14)은 상기 바디(2)와 상기 밀봉 부재(10)의 바깥 부분(10.16) 사이에 삽입되도록 축방향으로 전사하는 바깥 테두리(outer rim, 1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 테두리(14.1)는 표면(14.2) 내 뿔 절단 측부(frustoconical)를 가지고,
    상기 봉재 부재(10)의 상기 바깥 부분(10.16)은 뿔 절단 측부 형상(frustoconical shape)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4.1)은,
    상기 단차부(9)에 근접하고 평행하게 이동하는 상기 밀봉 부재(10)의 바깥 부분(10.16)을 자유롭게 수용하는 제1 세그먼트(4.11); 및
    상기 밀봉 부재(10)의 상기 대향 단부(opposite end, 10.12)의 바깥 부분(10.16)을 수용하는 제2 세그먼트(4.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그먼트(4.11)는, 상기 제2 세그먼트(4.12)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고, 상기 자유롭게 수용된 바깥 부분(10.16)의 평행 이동에 대한 지지부를 형성하는 쇼울더(shoulder, 4.13)에 의해 상기 제2 세그먼트(4.1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결 장치(1)에 연결된 2개의 튜브들(101, 102) 내로 연장된 광 섬유 케이블(103)을 포함하는 광 전송 회로 세그먼트.
  22. 환형 밀봉 부재(10)로서,
    상기 밀봉 부재가 큰 통과 구역을 정의하는 제1 상태 및 상기 밀봉 부재가 작은 통과 구역을 정의하는 제2 상태로부터 변형 가능하고,
    상기 밀봉 부재는, 축방향 압축의 효과에 의해 그것의 제2 상태가 되고, 물결 환형 라인(sinuous annular line, 10.13)을 따라 그것의 제2 상태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다른 굳기의 반대축 부분들(axially opposite portions)을 포함하고,
    더 작은 굳기의 부분들(10.14)은 상기 밀봉 부재의 각 측면 상의 더 큰 굳기의 부분들(10.15)과 교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더 작은 굳기의 부분들(10.14)은, 상기 더 큰 굳기의 부분들(10.15)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더 큰 굳기의 부분들은 국부 보강물(local reinforcement, 10.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KR1020127032251A 2010-05-11 2011-05-11 광­섬유 케이블의 보호 튜브들의 연결 장치, 그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광 전송 회로 부분 및 그러한 장치에 대한 밀봉 부재 KR1014753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053687 2010-05-11
FR1053687A FR2946117B1 (fr) 2010-05-11 2010-05-11 Dispositif de raccordement de tubes de protection d'un cable a fibres optiques et troncon d'un circuit de transmission optique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FR1059694 2010-11-24
FR1059694A FR2960039B1 (fr) 2010-05-11 2010-11-24 Dispositif de raccordement de tubes de protection d'un cable a fibres optiques, troncon d'un circuit de transmission optique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et element d'etancheite pour un tel dispositif
PCT/EP2011/057634 WO2011141517A1 (fr) 2010-05-11 2011-05-11 Dispositif de raccordement de tubes de protection d'un cable a fibres optiques, tronçon d'un circuit de transmission optique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et element d'etancheite pour un tel dispositi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086A true KR20130029086A (ko) 2013-03-21
KR101475338B1 KR101475338B1 (ko) 2014-12-22

Family

ID=43088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2251A KR101475338B1 (ko) 2010-05-11 2011-05-11 광­섬유 케이블의 보호 튜브들의 연결 장치, 그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광 전송 회로 부분 및 그러한 장치에 대한 밀봉 부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41803B2 (ko)
EP (1) EP2569665B1 (ko)
KR (1) KR101475338B1 (ko)
CN (1) CN102985863B (ko)
FR (2) FR2946117B1 (ko)
WO (1) WO20111415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23341A (zh) * 2016-07-31 2019-06-21 9352-4585 魁北克股份有限公司 管道配件
AU2017353701A1 (en) * 2016-11-01 2019-06-20 Quick Fitting Holding Company, Llc Push-to-connect fitting assembly and device
IT201700041522A1 (it) * 2017-04-13 2018-10-13 Pres Block Spa Raccordo per un impianto di riscaldamento e/o climatizzazione
DE102019110180A1 (de) * 2019-04-17 2020-10-22 Gabo Systemtechnik Gmbh Einzelrohrabdichtung und Kunststoffrohr
GB2585670B (en) * 2019-07-10 2023-08-02 Reliance Worldwide Corporation Uk Ltd A fibre optic cable connector
US11976759B2 (en) 2019-07-10 2024-05-07 Reliance Worldwide Corporation (UK) Limited Tube coupling
GB2585667B (en) * 2019-07-10 2023-08-02 Reliance Worldwide Corporation Uk Ltd A fibre optic cable connector
FR3117569B1 (fr) 2020-12-16 2022-11-25 Parker Hannifin Emea Sarl Dispositif de raccordement aseptique d’un tub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5174A (en) * 1985-05-16 1987-02-24 American Meter Company Mounting arrangement for a critical flow device
GB8823427D0 (en) * 1988-10-05 1988-11-09 British Telecomm Gas seal
JP2585823B2 (ja) * 1989-02-08 1997-02-2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ユニット
CN2172377Y (zh) * 1993-12-07 1994-07-20 上海核工程研究设计院 一种碟形密封环
GB0602757D0 (en) 2006-02-10 2006-03-22 Guest John Int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ube couplings for connecting a pair of conduits for carrying a c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960039B1 (fr) 2013-05-10
US20130142492A1 (en) 2013-06-06
US9341803B2 (en) 2016-05-17
WO2011141517A1 (fr) 2011-11-17
FR2960039A1 (fr) 2011-11-18
CN102985863A (zh) 2013-03-20
FR2946117A1 (fr) 2010-12-03
WO2011141517A9 (fr) 2012-01-12
CN102985863B (zh) 2016-07-27
FR2946117B1 (fr) 2013-03-08
KR101475338B1 (ko) 2014-12-22
EP2569665B1 (fr) 2018-02-14
EP2569665A1 (fr) 2013-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9086A (ko) 광­섬유 케이블의 보호 튜브들의 연결 장치, 그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광 전송 회로 부분 및 그러한 장치에 대한 밀봉 부재
CN102709744B (zh) 带有锁止机构的连接器
RU2517268C2 (ru) Конструкция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опроводов
US9746114B2 (en) Cartridge type quick coupling device
US9829129B2 (en) Fitting, ferrule, and ferrule manufacturing method
EP1899635A1 (en) Pipe coupling
EP3249276B1 (en) Resin pipe joint structure
KR20190003135U (ko) 감소된 힘으로 수형 노즐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연결부의 암형 노즐
EP3225894B1 (en) Bushing for the connection of two tubular elements
EP1366318B1 (en) Coupling for connection of a tube or hose by pushing-in
US20170138518A1 (en) Fluid connector with pre-positioned crimping collar
KR101391930B1 (ko) 나선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US9169950B2 (en) Connector for flexible hoses
KR101709723B1 (ko) 파이프 연결구
KR20140034831A (ko) 필드 확대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441508B1 (ko) 패킹 삽입형 소켓관
CN109149235B (zh) 一种用于射频连接器的电缆夹结构
KR20120103087A (ko) 호스 커플링
JP6418025B2 (ja) 絶縁筒の拡径方法、電力ケーブル接続用ユニットの製造方法、および絶縁筒の拡径装置
KR101997716B1 (ko) 파형관 연결용 커플러
CN213745349U (zh) 一种插接管道的密封结构
JP4759478B2 (ja) 管継手
JP4989408B2 (ja) 差込式管継手の再使用識別方法
JP5867786B2 (ja) 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の端末処理構造
JP6170789B2 (ja) 金具、金具付きホース及び金具付きホースの組み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