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8021A - 컴퓨터 지원 설계의 시스템에서 오브젝트들의 어셈블리를 설계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컴퓨터 지원 설계의 시스템에서 오브젝트들의 어셈블리를 설계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8021A
KR20130028021A KR1020120099589A KR20120099589A KR20130028021A KR 20130028021 A KR20130028021 A KR 20130028021A KR 1020120099589 A KR1020120099589 A KR 1020120099589A KR 20120099589 A KR20120099589 A KR 20120099589A KR 20130028021 A KR20130028021 A KR 20130028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er
objects
assembly
designing
repres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8663B1 (ko
Inventor
로랑 상티끄
베르뜨랑 파우르
Original Assignee
다솔 시스템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솔 시스템므 filed Critical 다솔 시스템므
Publication of KR20130028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2Geometric CAD characterised by design ent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AD, e.g.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7Mechanical parametric or variational desig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20Software desig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10Constructive solid geometry [CSG] using solid primitives, e.g. cylinders, cub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04Constraint-based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004Annotating, lab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컴퓨터 지원 설계의 시스템에서 오브젝트들의 어셈블리를 설계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으로서,
- 적어도 하나의 3 차원 기하학적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3 차원 기하학적 모델링된 오브젝트를 제공하는 단계 (90);
- 적어도 하나의 로직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로직 모델링된 오브젝트를 제공하는 단계 (91);
- 적어도 하나의 3 차원 기하학적 엘리먼트의 세트들을 적어도 하나의 로직 컴포넌트의 각각의 세트들과 연관시키는 단계 (92) 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3 차원 장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3 차원 기하학적 엘리먼트의 대응하는 연관된 세트 상에 부분적으로 중첩된 적어도 하나의 로직 컴포넌트의 세트의 표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9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컴퓨터 지원 설계의 시스템에서 오브젝트들의 어셈블리를 설계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DESIGNING AN ASSEMBLY OF OBJECTS IN A SYSTEM OF COMPUTER-AIDED DESIGN}
본 발명은 컴퓨터 프로그램 및 시스템 분야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컴퓨터 지원 설계 애플리케이션에서 오브젝트 (object) 의 어셈블리 (assembly) 를 설계하는 분야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지원 기술들은 컴퓨터 지원 설계 즉 CAD를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컴퓨터 지원 설계 (Computer-Aided Design) 즉 CAD는 제품 설계를 작성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솔루션들에 관한 것이다. 유사하게, CAE는 컴퓨터 지원 엔지니어링 (Computer-Aided Engineering) 에 대한 약자이며, 예를 들어, 그것은 장래 제품의 물리적 거동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솔루션들에 관한 것이다. CAM은 컴퓨터 지원 제조 (Computer-Aided Manufacturing) 를 나타내며, 통상적으로 제조 프로세스들 및 동작 (operation) 들을 정의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솔루션들을 포함한다.
상표 CATIA 하에 Dassault Systemes에 의해 제공되는 것과 같이, 다수의 시스템들 및 프로그램들이 오브젝트들 (또는 부품들) 또는 오브젝트들의 어셈블리들을 설계하고 제품을 형성하기 위해 시장에 제시되어 있다. 이들 CAD 시스템들은 사용자가 오브젝트들 또는 오브젝트들의 어셈블리들의 복잡한 3 차원 즉 3D 모델들을 구성하고 조작할 수도 있게 한다. CAD 시스템들은, 따라서 면들을 갖는 일정 경우에 에지들 또는 선들을 이용하여 모델링된 오브젝트들의 표현 (representation) 을 제공한다. 선들 또는 에지들은 여러 방식으로 예를 들어 NURBS (non-uniform rational B-splines) 로 표현될 수도 있다. 이들 CAD 시스템들은 대개 지오메트리 (geometry) 의 세부사항 (specification) 들인 모델링된 오브젝트들로서 부품 (part) 들 또는 부품들의 어셈블리들을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CAD 파일들은, 지오메트리가 발생되고 이어서 표현이 발생되게 하는 세부사항들을 포함한다. 지오메트리 및 표현은 단일 CAD 파일 또는 다수의 CAD 파일들에 저장될 수도 있다. CAD 시스템들은 설계자들에게 모델링된 오브젝트들을 표현하기 위한 그래픽 툴을 포함한다; 이들 툴들은 복잡한 오브젝트들의 디스플레이에 전용이다; CAD 시스템에서 오브젝트을 표현하는 파일의 통상적인 사이즈는 부품당 메가바이트의 범위이고, 어셈블리는 수천 개의 부품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CAD 시스템은 전자 파일들에 저장된 오브젝트들의 모델들을 관리한다.
컴퓨터 지원 기술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GUI) 는 기술의 효율성에 관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모델링된 오브젝트들을 조작 및/또는 내비게이팅 (navigating) 하기 위해 요구되는 대부분의 동작들은 GUI 상에서 사용자 (예를 들어, 설계자들)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특히, 사용자는 제품을 형성하는 모델링된 오브젝트들을 생성, 변경, 및 삭제할 수도 있으며, 또한 모델링된 오브젝트들이 예를 들어 제품 구조를 통해 상호관련되는 방법을 이해하도록 제품을 탐색 (explore) 할 수도 있다. 종래에는, 이들 동작들이 GUI의 측면들 상에 위치되는 전용 메뉴들 및 아이콘들을 통해 수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CATIA와 같은 CAD 시스템들은 제품의 표현 근처에서 이들 동작들을 호출 (call) 하는 것을 허용한다. 설계자는 더 이상 메뉴들 및 아이콘들을 향해 마우스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동작들은 마우스가 용이하게 근접할 수 있는 거리 내에서 이용가능하다. 또한, 동작들은 의미론적으로 (semantically) 으로 거동한다: 설계자에 의해 선택된 소정의 동작에 대해, CAD 시스템은, 설계자가 선택할 것 같은 이전의 선택된 동작에 따라 새로운 동작들의 세트를, 역시 마우스 근처에서, 설계자에게 제안할 수도 있다.
최근 수년까지, 예를 들어 자동차 및 항공 우주 산업에서 사용되는 일부 컴퓨터 소프트웨어는, 기계 엔지니어들을 위해, 공간에서 또는 3 차원 디스플레이에서 그들의 작업을 볼 수 있도록, 지오메트리에 기반한다.
이 영역에서, CATIA, SolidWorks, NX, 및 ProEngineer 같은 컴퓨터 소프트웨어는 도 1, 도 2, 도 3 및 도 4 상에서 각각 나타낸 바와 같이 3 차원 공간에서 설계 지오메트리를 허용한다. 이들 도면들 상에서, 예시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즉 GUI는, 표준 메뉴 바들을 갖는 통상의 CAD-유사 인터페이스들이다. 그러한 메뉴 및 툴바들은 사용자 선택가능 아이콘들의 세트를 포함하며, 각각의 아이콘은 하나 이상의 동작들 또는 기능들과 연관된다. 이들 아이콘들의 일부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즉 GUI에 디스플레이되는 것과 같은 3D 기하학적 모델링된 제품 또는 제품의 부품들에 관해 편집 및/또는 작업하도록 구성된 소프트웨어 툴들과 연관된다. 다음의 설명에서, 용어들 "제품", "부품", 및 "어셈블리" 등은 단순함을 위해 "부품"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부품"의 개념은 또한 "오브젝트"의 개념으로 일반화될 수 있다. 오브젝트는 최종 디지털 모형 (mock-up) 의 어느 구성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어셈블리를 고려할 때, 이 어셈블리의 오브젝트는, 서브-어셈블리, 부품, 키네마틱 조인트 (kinematic joint), 재료, 전자 제어 유닛 (ECU) 상에 실행되는 임베드된 소프트웨어, 또는 비행기의 비행 성능을 연구하길 원하는 경우의 대기의 모델링과 같이 어셈블리와 전체 환경을 설명하는데 필요한 임의의 오브젝트일 수 있다.
Matlab Simulink, Dymola, 및 Simulation X와 같은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며, 이들은 도 5, 도 6, 및 도 7 상에 각각 나타낸 바와 같이 로직 컴포넌트들로부터 로직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 충분한 2 차원 디스플레이 환경을 제공한다. 이들 도면들 상에서, 예시적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즉 GUI는 표준 메뉴 바들을 갖는다. 그러한 메뉴 및 툴바들은 사용자 선택가능한 아이콘들의 세트를 포함하며, 각각의 아이콘은 하나 이상의 동작들 또는 기능들과 연관된다. 이들 아이콘들의 일부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GUI에 디스플레이되는 것과 같은 로직 모델링된 제품 또는 제품의 부품들을 편집 및/또는 작업하기 위해 구성된 소프트웨어 툴들과 연관되어 있다.
CATIA 시스템에서, 툴들의 세트는, 동일한 편집기 (80) 에서, 즉 동일한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서, 3 차원 기하학적 표현 (81) 및 별개의 로직 표현 (82) 을 보이고 설계하는 것을 허용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별개의 3 차원 기하학적 및 로직 표현들의 그러한 디스플레이는 도 8 상에 나타나 있다.
이들 종류의 시스템들로, 제품 또는 오브젝트들의 어셈블리에 작업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것은, 특히 제품들이 점점 복잡해지는 경우, 매우 어려우며, 왜냐하면 기계 부품들이 시스템 컴포넌트들과 상호작용하는 방법 및 어느 정보가 기하학적 표현과 로직 표현 사이에 교환되는 것을 사용자가 알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되는 기하학적 표현과 로직 표현 사이의 링크가 없다.
따라서, 위에서 간략히 논의된 기존의 솔루션들의 제약에 따라서, 설계자의 생산성이 증가되고 설계 에러들이 최소화되도록 더욱 용이하고 신속한 방법으로, 반복되는 오브젝트들의 어셈블리를 향상시킬 필요성이 있다.
즉, 사용자가 더욱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게 하는, 판독용이성 (readability) 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컴퓨터 지원 설계의 시스템에서 오브젝트들의 어셈블리를 설계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이 제안되며, 그 방법은;
- 적어도 하나의 3 차원 기하학적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3 차원 기하학적 모델링된 오브젝트를 제공하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로직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로직 모델링된 오브젝트를 제공하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3 차원 기하학적 엘리먼트의 세트들을 적어도 하나의 로직 컴포넌트의 각각의 세트들과 연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그 방법은, 3 차원 장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3 차원 기하학적 엘리먼트의 대응하는 연관된 세트 상에 부분적으로 중첩된 적어도 하나의 로직 컴포넌트의 세트의 표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링크하는 것은, 사용되는 기하학적 표현과 로직 표현 사이의 기술적 및 시각적 방식 양자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더욱 효율적으로 작업하는 것을 허용하며 로직 표현 및 기하학적 표현을 나타내는 기술적 데이터 사이에서의 기술적 상호작용을 향상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그러한 방법은 사용자가 단일 3 차원 환경에서 완전한 시스템을 보고 설계하여 동일한 편집기에서 3 차원 지오메트리 표현 및 로직 표현을 혼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그 방법은, 3 차원들에 직접 적정한 정보를 위치시킴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거동을 사용자가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어, 기계 장치의 어느 부품이 시스템 로직 정의와 상호작용하며 그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해하며 설계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로직 컴포넌트의 세트의 표현은, 장면에서, 앵커 포인트를 갖는 상기 표현을 적어도 하나의 3 차원 기하학적 엘리먼트의 대응하는 연관된 세트에, 직접 링크시킴으로써 설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3 차원 기하학적 표현의 시야 각도를 변화시키는 경우, 로직 표현의 컴포넌트들은 대응하는 3 차원 기하학적 엘리먼트와 고정된 (anchored)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로직 컴포넌트의 세트의 표현은 적어도 하나의 포트 또는 달리 말하면 일 인터페이스 엘리먼트 또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장면에서, 로직 컴포넌트를 대응하는 3 차원 기하학적 엘리먼트에, 직접 링크시킴으로써 설계된다.
그러한 포트는 3 차원 기하학적 엘리먼트의 서브-시스템과 로직 컴포넌트의 엘리먼트를 링크시키는 것을 허용하고, 그러면 제품들의 설계를 향상시키고 용이하게 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로직 컴포넌트의 세트의 표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요청에 따라 활성가능하고, 활성해제가능하고, 확대가능하며, 줌 가능 (zoomable) 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그의 관심 영역에 집중하기 위해 엘리먼트들을 일시적으로 숨기도록 선택할 수 있다.
일 구현형태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로직 컴포넌트의 세트의 표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3 차원 기하학적 엘리먼트의 대응하는 연관된 세트의 장면에서의 상대적 깊이 포지션을 고려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3 차원 기하학적 표현의 시야 각도를 변화시키는 경우, 대응하는 로직 표현의 컴포넌트들의 디스플레이가 시야 각도의 상기 변화에 관하여 자동으로 변화된다.
또한, 링크는 연장가능 리드 선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3 차원 기하학적 표현의 시야 각도의 변경 동안에 복잡한 제품을 사용자가 이해하는 것이 더 용이하다.
적어도 하나의 로직 컴포넌트의 세트의 표현의 디스플레이는 라벨에서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인식 및 이해가 향상된다.
본 발명은 컴퓨터 지원 설계의 시스템에서 오브젝트들의 어셈블리를 설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추가로 제안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지원 설계의 시스템이 본 발명의 방법의 단계들을 행하게 하기 위한 코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 지원 설계의 시스템에서 오브젝트들의 어셈블리를 설계하기 위한 장치에 관련되며, 그 장치는 본 발명의 방법의 단계들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비-제한적인 예들로서 설명되고 다음의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도시되는 일부 실시형태들의 연구로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3 차원 공간에서 설계 지오메트리를 허용하는 다음의 컴퓨터 소프트웨어 CATIA, SolidWorks, NX, 및 ProEngineer 각각을 도시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다음의 컴퓨터 소프트웨어 Matlab Simulink, Dymola, 및 Simulation X를 각각 도시하며, 이들은 로직 컴포넌트들로부터 로직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 충분한 2 차원 디스플레이 환경을 제공한다.
도 8은 컴퓨터 소프트웨어 CATIA를 도시하며, 이는, 동일한 편집기에서 즉 동일한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서, 3 차원 기하학적 표현 및 별개의 로직 표현을 보이고 설계하도록 허용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방법을 도시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방법의 이용 예를 도시한다.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방법의 이용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방법의 이용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구성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환경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묘사하는 흐름도이며, 여기에는 4 개의 블록들이 보이며, 이 블록들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3 차원 기하학적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3 차원 기하학적 모델링된 오브젝트를 제공하는 단계 (90), 적어도 하나의 로직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로직 모델링된 오브젝트를 제공하는 단계 (91), 적어도 하나의 3 차원 기하학적 엘리먼트의 세트들을 적어도 하나의 로직 컴포넌트의 각각의 세트들과 연관시키는 단계 (92), 및 3 차원 장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3 차원 기하학적 엘리먼트의 대응하는 연관된 세트 상에 부분적으로 중첩된 적어도 하나의 로직 컴포넌트의 세트의 표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93) 에 관련된다.
위에서 설명된 방법의 단계들은, 입력 데이터로 동작하여 출력을 발생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링되거나 해석된 언어들을 포함한 임의의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들로 작성될 수 있으며, 그 컴퓨터 프로그램은 독립형 (stand-alone) 프로그램으로서 또는 서브루틴으로서, 컴퓨팅 환경에 사용하기 적합한 엘리먼트 또는 다른 유닛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로 활용 (deploy) 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컴퓨터상에서, 또는 일 장소에서의 또는 다수의 장소들에 걸쳐 분산되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연결된 다수의 컴퓨터상에서 실행되도록 활용될 수 있다.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능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2에서는 방법의 이용의 제 1 예가 표현된다. 사용자 또는 설계자는 기하학적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3 차원 장면으로부터 시작한다. 엘리먼트는 기계 어셈블리의 부품 또는 그들 부품들 사이의 관계이다. 도 10에서는 자동차의 부품 (100), 및 특히 부품들을 함께 링크시키며 그 부품들의 모션을 구동하는 몇몇 부품들 사이의 키네마틱 조인트 (101) 가 표현된다.
설계자는, 로직 시스템에 의해 주어진 값들에 따라 기계적 구조에 작용하고 그 포지션을 변경하는 액츄에이터들을 정의함으로써, 및/또는 예를 들어 제어 루프에 대해 스피드 또는 힘 같은 물리 데이터를 측정하는 센서들을 정의함으로써, 이 장면으로부터 직접 로직 시스템 정의를 설계하는 것을 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게 하기 위해, 사용자 또는 설계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 차원 기하학적 엔티티 (entity) 예를 들어 3 차원 기계 조인트 (101) 를 선택하고, 플레이스홀더 (placeholder; 110) 예를 들어 라벨을 삽입하는 커맨드를 시작하여, 이 기하학적 엘리먼트와 관련되고 그것과 상호작용하는 로직 엘리먼트들의 세트를 수신한다. 디폴트로, 그 삽입된 플레이스홀더는 대부분 비어 있을 수 있고, 로직 컴포넌트들을 기학학적 엘리먼트에 더욱 정밀하게 연계시키기 (hook) 위해 단지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것은 예를 들어 기계 시스템으로부터 오거나 그 기계 시스템으로 가는 특정 신호에 연계하는 것을 허용한다).
적어도 하나의 로직 컴포넌트의 세트의 표현은, 장면에서, 앵커 포인트 (anchor point; 111) 를 갖는 상기 표현을 적어도 하나의 3 차원 기하학적 엘리먼트의 대응하는 연관된 세트에, 직접 링크시킴으로써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오브젝트들의 어셈블리의 시점이 설계자에 의해 변하는 경우, 로직의 라벨은 그 변화 동안 적어도 하나의 3 차원 엘리먼트의 세트와 링크되는 것을 유지한다.
그 후, 설계자가, 예를 들어 라이브러리로부터의 컴포넌트들을 생성된 빈 공간 (110) 내부에 넣어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스홀더에서 로직 다이어그램으로 그 컴포넌트들을 커넥터에 연결함으로써, 기구 (mechanics) 와 상호작용하는 로직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면, 본 발명으로 인해, 특히 기계 시스템의 3 차원 기하학적 엘리먼트들과 로직 컴포넌트들 사이의 상호작용 덕분에 기계 시스템을 보고 설계하는 것이 실제로 더욱 용이하다.
도 13 및 도 14에서는 방법의 이용의 제 2의 예가 표현되어 있다. 사용자 또는 설계자는 예를 들어 유압 밸브에 대해 본 발명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예에서와 같이 장면에서 로직 컴포넌트를 대응하는 3 차원 기하학적 엘리먼트에 직접 링크시키기 위한 포트들 (130) 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포트들 (130) 은 유압 회로에 링크되어 있다.
이 예에서, 로직의 설명은 오일의 어느 흐름이 드로워 (drawer) 의 돌출된 (extracted) 및 후퇴된 (retracted) 포지션에 대응하는 것을 나타낸다
링크는 연장가능 리드 선 (leading line) 에 의해 표현된다
따라서, 로직 다이어그램 표현은 애니메이션화 (animate) 될 수 있으며, 3 차원 표현 애니메이션과 동기화될 수 있다.
사실, 도 13은 링크된 3 차원 기하학적 표현 및 로직 표현으로 후퇴된 드로워를 표현하며, 도 14는 링크된 3 차원 기하학적 표현 및 로직 표현으로 돌출된 드로워를 표현한다.
도 15는, 풍력 터빈 또는 풍력원이며, 상이한 기하학적 엘리먼트들에 부착된 몇몇 로직 다이어그램들로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제 3 예가 표현되어 있다. 그 경우에, 로직 다이어그램들은 연관된 3 차원 기하학적 엘리먼트 또는 기하학적 엘리먼트들의 세트의 장면에서의 깊이 포지션에 따라 디스플레이된다. 그 장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3 차원 기하학적 엘리먼트의 최근접 세트에 대응하는 로직의 라벨이 다른 것들 위에 디스플레이되며, 깊이가 증가하는 경우 계속 그러하다.
도 16은 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 예를 들어 오브젝트들의 어셈블리를 설계하는 사용자의 워크스테이션을 나타낸다. 클라이언트 컴퓨터는, 내부 통신 버스 (161) 에 연결되는 중앙 프로세싱 유닛 즉 CPU (160), 버스 (161) 에 또한 연결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즉 RAM (162) 을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에게는 통신 버스 (161) 에 연결된 비디오 랜덤 액세스 메모리 (164) 와 연관되는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 즉 GPU (163) 가 추가로 제공된다. 비디오 RAM (164) 은 또한 본 기술분야에서 프레임 버퍼 (frame buffer) 로서 알려져 있다. 대용량 저장 디바이스 제어기 (165) 는 하드 드라이브 (166) 와 같은 대용량 메모리 디바이스에 대한 액세스들을 관리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 및 데이터를 유형적으로 포함하는데 적합한 대용량 메모리 디바이스는, 예로서 PROM, EEPROM, 및 플래쉬 메모리 디바이스들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들; 내부 하드 디스크들 및 착탈가능 디스크들과 같은 자기 디스크들; 광자기 디스크들; 및 CD-ROM 디스크들 (167) 포함하는 모든 형태들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전술한 중의 어느 것은 특정 설계 ASIC들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s) 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 ASIC들에 병합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어댑터 (168) 는 네트워크 (169) 에 대한 액세스들을 관리한다. 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은 또한 커서 제어 디바이스 같은 햅틱 디바이스 (170), 또는 키보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커서 제어 디바이스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사용되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171) 상의 임의의 원하는 위치에 커서를 선택적으로 포지셔닝할 (position) 수 있게 한다. 또한 커서 제어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여러 커맨드들 및 입력 제어 신호들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커서 제어 디바이스는 시스템에 대한 입력 제어 신호들을 위한 다수의 신호 발생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커서 제어 디바이스는 마우스일 수도 있으며, 마우스의 버튼은 그 신호들을 발생시키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설명되었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남 없이 여러 변형들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다른 구현형태들이 다음의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다. 예를 들어, 기준의 순위는 어셈블리의 기술적 컨텍스트 (context) 에 의존할 수도 있다.

Claims (9)

  1. 컴퓨터 지원 설계의 시스템에서 오브젝트들의 어셈블리를 설계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으로서,
    - 적어도 하나의 3 차원 기하학적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3 차원 기하학적 모델링된 오브젝트를 제공하는 단계 (90);
    - 적어도 하나의 로직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로직 모델링된 오브젝트를 제공하는 단계 (91);
    - 적어도 하나의 3 차원 기하학적 엘리먼트의 세트들을 적어도 하나의 로직 컴포넌트의 각각의 세트들과 연관시키는 단계 (92) 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3 차원 장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3 차원 기하학적 엘리먼트의 대응하는 연관된 세트 상에 부분적으로 중첩된 적어도 하나의 로직 컴포넌트의 세트의 표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9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지원 설계의 시스템에서 오브젝트들의 어셈블리를 설계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직 컴포넌트의 세트의 표현은, 상기 장면에서, 앵커 포인트 (anchor point; 111) 를 갖는 상기 표현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3 차원 기하학적 엘리먼트의 대응하는 연관된 세트에, 직접 링크시킴으로써 설계되는, 컴퓨터 지원 설계의 시스템에서 오브젝트들의 어셈블리를 설계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직 컴포넌트의 세트의 표현은, 적어도 하나의 포트 (130) 를 포함하고, 상기 장면에서, 로직 컴포넌트를 대응하는 3 차원 기하학적 엘리먼트에, 직접 링크시킴으로써 설계되는, 컴퓨터 지원 설계의 시스템에서 오브젝트들의 어셈블리를 설계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직 컴포넌트의 세트의 표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요청에 따라 활성가능하고, 활성해제가능하고, 확대가능하며, 줌 가능한 (zoomable), 컴퓨터 지원 설계의 시스템에서 오브젝트들의 어셈블리를 설계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직 컴포넌트의 세트의 표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3 차원 기하학적 엘리먼트의 대응하는 연관된 세트의 상기 장면에서의 상대적 깊이 포지션을 고려하는, 컴퓨터 지원 설계의 시스템에서 오브젝트들의 어셈블리를 설계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링크는 연장가능 리드 선 (leading line) 에 의해 표현되는, 컴퓨터 지원 설계의 시스템에서 오브젝트들의 어셈블리를 설계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직 컴포넌트의 세트의 표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라벨 (110, 120) 에서 포함되는, 컴퓨터 지원 설계의 시스템에서 오브젝트들의 어셈블리를 설계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8. 컴퓨터 지원 설계의 시스템에서 오브젝트들의 어셈블리를 설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 지원 설계의 시스템이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단계들을 행하게 하기 위한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9. 컴퓨터 지원 설계의 시스템에서 오브젝트들의 어셈블리를 설계하기 위한 장치로서,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의 단계들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지원 설계의 시스템에서 오브젝트들의 어셈블리를 설계하기 위한 장치.
KR1020120099589A 2011-09-08 2012-09-07 컴퓨터 지원 설계의 시스템에서 오브젝트들의 어셈블리를 설계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9886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306115A EP2568400A1 (en) 2011-09-08 2011-09-08 Method and system for designing an assembly of objects in a system of computer-aided design
EP11306115.4 2011-09-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021A true KR20130028021A (ko) 2013-03-18
KR101988663B1 KR101988663B1 (ko) 2019-06-12

Family

ID=44772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589A KR101988663B1 (ko) 2011-09-08 2012-09-07 컴퓨터 지원 설계의 시스템에서 오브젝트들의 어셈블리를 설계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10304B2 (ko)
EP (1) EP2568400A1 (ko)
JP (1) JP6157819B2 (ko)
KR (1) KR101988663B1 (ko)
CN (1) CN102999657B (ko)
CA (1) CA278839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61045B1 (en) 2013-03-15 2017-09-12 Bentley Systems, Incorporated Dynamic and selective model clipping for enhanced augmented hypermodel visualization
US9460561B1 (en) 2013-03-15 2016-10-04 Bentley Systems, Incorporated Hypermodel-based panorama augmentation
RU2678356C2 (ru) * 2014-10-02 2019-01-29 Сименс Акциенгезелльшафт Программирование автоматизации в 3d графическом редакторе с тесно связанной логикой и физическим моделированием
US10127331B2 (en) * 2014-12-15 2018-11-13 The Boeing Company 3D models utilizing 3D markers to indicate engineering requirements
FR3035983A1 (fr) * 2015-05-04 2016-11-11 Airbus Helicopters Procede et dispositif de selection et d'affichage des fiches de maintenance pour un aeronef
US10416836B2 (en) * 2016-07-11 2019-09-17 The Boeing Company Viewpoint navigation control for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using two-dimensional layouts
CN110325327B (zh) * 2016-08-17 2022-08-16 西门子股份公司 用于分析物体的几何属性的系统
EP3644198B1 (en) * 2018-10-26 2024-04-17 Dassault Systèmes 3d design of b-rep ski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5258A (ja) * 1998-06-02 1999-12-14 Mitsubishi Electric Corp 3次元レイアウト設計支援装置
US20030023947A1 (en) * 2001-06-13 2003-01-30 Sumitomo Wiring Systems, Ltd. Method, computer program and system for designing a wiring harness assembling table
JP2006178990A (ja) * 2004-12-20 2006-07-06 Dassault Systemes ユーザインタラクティブグラフィカルツールを伴う製品のエディションおよびシミュレーションのデータベースシステム
US20090213116A1 (en) * 2008-02-21 2009-08-27 Max Konev Pmi data visualiza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1388A (ja) * 1994-12-05 1996-06-21 Nec Corp 3次元cadシステム
US6016147A (en) * 1995-05-08 2000-01-18 Autodesk, Inc. Method and system for interactively determining and displaying geometric relationships between three dimensional objects based on predetermined geometric constraints and position of an input device
US6665569B1 (en) * 2000-01-12 2003-12-16 Parametric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updating geometric models
CN100483343C (zh) * 2007-11-30 2009-04-29 清华大学 一种基于产品结构树的仿真流程信息建模及维护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5258A (ja) * 1998-06-02 1999-12-14 Mitsubishi Electric Corp 3次元レイアウト設計支援装置
US20030023947A1 (en) * 2001-06-13 2003-01-30 Sumitomo Wiring Systems, Ltd. Method, computer program and system for designing a wiring harness assembling table
JP2006178990A (ja) * 2004-12-20 2006-07-06 Dassault Systemes ユーザインタラクティブグラフィカルツールを伴う製品のエディションおよびシミュレーションのデータベースシステム
US20090213116A1 (en) * 2008-02-21 2009-08-27 Max Konev Pmi data visualiz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88392C (en) 2019-10-01
CA2788392A1 (en) 2013-03-08
KR101988663B1 (ko) 2019-06-12
JP6157819B2 (ja) 2017-07-05
CN102999657B (zh) 2018-01-23
US20130226529A1 (en) 2013-08-29
CN102999657A (zh) 2013-03-27
EP2568400A1 (en) 2013-03-13
US10210304B2 (en) 2019-02-19
JP2013058201A (ja) 201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8663B1 (ko) 컴퓨터 지원 설계의 시스템에서 오브젝트들의 어셈블리를 설계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8749588B2 (en) Positioning labels in an engineering drawing
US10002465B2 (en) Creation of bounding boxes on a 3D modeled assembly
US9183674B2 (en) Designing a three-dimensional modeled assembly of objects in a three-dimensional scene
KR102027594B1 (ko) 컴퓨터 지원 설계 시스템의 3차원 장면에서 오브젝트들의 어셈블리를 동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1087051B2 (en) Designing a multi-physics system
CA2901829A1 (en) Execution of sequential update
EP2490142A1 (en) Designing a navigation scene
KR102023782B1 (ko) 컴퓨터 지원 설계 시스템의 3차원 장면에서 오브젝트들의 어셈블리의 동적 시뮬레이션을 위한 초기 조건들을 정의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CA2901826A1 (en) Criterion for sequential update
EP2523131A1 (en) Designing a staggered pattern of objects in a computer-aided design system
KR20140063475A (ko) 오브젝트들의 원형 스태거드 패턴의 설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