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7341A - Offshor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tructuring method - Google Patents

Offshor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tructur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7341A
KR20130027341A KR1020110090869A KR20110090869A KR20130027341A KR 20130027341 A KR20130027341 A KR 20130027341A KR 1020110090869 A KR1020110090869 A KR 1020110090869A KR 20110090869 A KR20110090869 A KR 20110090869A KR 20130027341 A KR20130027341 A KR 20130027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cross
conical
offshor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08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15377B1 (en
Inventor
김주옥
Original Assignee
(주)엑스휘나스기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엑스휘나스기술연구소 filed Critical (주)엑스휘나스기술연구소
Priority to KR1020110090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377B1/en
Publication of KR20130027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73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3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56Platforms with supporting legs
    • E02B2017/0073Details of sea bottom engaging footing
    • E02B2017/0082Spudcans, skirts or extended fe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PURPOSE: A tube type marine structure, capable of reducing demand quantity of concrete is provided to improve a supporting force by enhancing rigidity and to reduce time and effort for transporting and installing 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marine structure. CONSTITUTION: A tube type marine structure, capable of reducing demand quantity of concrete comprises a concrete tube(100), a conical structure(200), and a pile mounting part(300). The concrete tube has fixed height and is pipe avoirdupois structure which a hollow(110) is formed in center. The conical structure comprises an interior space(210), a concrete wall body(220) which forms boundary surface, and a plurality of cross hair H-beams(230). The construction of the marine structure comprises: a step of forming a frame by installing a tendon or the H-beam between the cross hair H-beams of the conical structure, a step of installing pile mounting part in the end of the cross hair H-beam, a step of pouring concrete and curing after constructing a mold in a border of the frame, and a step of combining the concrete tube in the upper side of the conical structure.

Description

해양구조물 과 그 제작방법 및 그 시공방법{OFFSHOR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TRUCTURING METHOD}Offshore Structure, Manufacturing Method and Construction Method of It {OFFSHOR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TRU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해양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constru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marine structures.

일반적으로 해양구조물은 해상에 다양한 물체를 설치하기 위하여 해양의 지반에 설치되는 구조체이다. In general, offshore structures are structures installed on the ground of the ocean to install various objects on the sea.

이러한 해양구조물에는 항상 파도, 조류 및 바람 등에 의한 외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이러한 해양구조물은 외력에 가장 잘 견디며 부식에도 강한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These marine structures are always caused by external forces due to waves, tides and wind, such that these offshore structures are most often formed of concrete material resistant to external forces and resistant to corrosion.

도 1은 종래의 해양구조물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offshore structure.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상의 강한 풍력, 파도, 지진 등에 의해 본체(1)가 전도되지 않도록 본체(1)의 하부에는 원추 형상의 전도방지부(2)가 형성되며, 구조물의 전체적인 슬라이딩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석 등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 방지부(3)가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 a cone-shaped fall prevention part 2 is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 so that the main body 1 is not conducted by strong wind, waves, earthquakes, etc. at sea, and the overall sliding of the structure is formed. In order to prevent the sliding prevention portion 3 is formed of a stone or the like is formed.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해양구조물에 있어서는, 해양구조물 전체가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되므로 해양구조물을 제작하는데 많은 양의 콘크리트가 소요될 뿐만 아니라, 많은 양의 콘크리트가 소요된 것에 비하여 만족할 만한 강도나 지지력을 얻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offshore structure, since the entire offshore structure is formed of a concrete material, not only a large amount of concrete is required to manufacture the offshore structure, but also a satisfactory strength or bearing capacity is not obtained as compared with a large amount of concrete. Has a problem.

또한, 해양구조물 전체가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되므로 과다한 무게로 인하여 해양에 이러한 해양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하여 운반하는데 많은 비용과 노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해양구조물을 해양에 설치하기도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entire offshore structure is formed of a concrete material,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install the offshore structure in the sea as well as it takes a lot of cost and effort to transport it to install such offshore structure on the sea due to the excessive weigh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해양구조물을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콘크리트의 양을 절감하고 자체 강성을 증대시켜 지지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해양구조물의 중량을 줄임으로 이를 운반하여 해양에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해양구조물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r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reducing the amount of concrete required to manufacture the offshore structure and increase its own rigidity to improve the bearing capacity and at the same time reduce the weight of the offshore structure to transport it The aim is to present marine structures that can save time and effort in installation.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중앙 영역에 중공이 형성되며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관상의 콘크리트 튜브와;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상면에 상기 콘크리트 튜브가 안착되어 결합되며 상기 콘크리트 튜브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경사진 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보강부를 구비한 원추형 구조체와; 상기 원추형 구조체의 둘레면에 구비되며 그 중심에 파일 장착공이 형성된 복수의 파일장착부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을 제시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tubular concrete tube formed to have a constant height and a hollow is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A conical structure having a reinforcing portion formed in a conical shape and having a reinforcing portion formed along an inclined side so as to increase the holding force for supporting the concrete tube, the concrete tube being seated and coupled to an upper surface thereof; A plurality of pile mounting portions provid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ical structure and having pile mounting holes formed in a center thereof; Offer offshore structures to include.

여기서, 상기 원추형 구조체는 일정한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어 둘레면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벽체와, 상호 교체되도록 형성되어 각각 상기 콘크리트 벽체의 하단과 상단의 내면과 각각 접촉되는 복수의 십자형 에이치빔으로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conical structure is a concrete wall having a constant internal space and is formed in a conical shape to form a circumferential surface, a plurality of cross-shaped H-beams are formed so as to be interchanged with each other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om and top of the concrete wall, respectively It may be configured as.

그리고, 상기 십자형 에이치빔은 상호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십자형 에이치빔이 각각 상기 콘크리트 벽체의 하단 및 상단과 접촉되는 하단접촉부와 상단접촉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cross-shaped H-beams may be disposed to overlap each other, and the reinforcement portion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ower contact portion and the upper contact portion where the cross-shaped H-beams contact the lower and upper ends of the concrete wall, respectively.

또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콘크리트 벽체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길이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콘크리트 기둥과,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내부에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높이 방향을 따라 내재되는 복수의 긴장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inforcing part may be made of a concrete pillar formed to have a diameter of a length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ncrete wall, and a plurality of tension members inherent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ncrete pillar inside the concrete pillar.

아울러, 상기 보강부는 상기 콘크리트 벽체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길이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콘크리트 기둥과,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내부에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높이 방향을 따라 내재되는 에이치빔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inforcement may be made of a concrete pillar formed to have a diameter of a length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ncrete wall, and the H-beam embedd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ncrete pillar inside the concrete pillar.

그리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하단접촉부와 상기 상단접촉부 사이의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내재되는 에이치빔으로 구성할 수 있다. The reinforcement part may be configured as an H beam embedded in the concrete wall between the lower contact part and the upper contact part.

또한, 상기 보강부는 상기 하단접촉부와 상기 상단접촉부 사이의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내재되는 에이치빔과, 상기 콘크리트 벽체를 감싸도록 상기 콘크리트 벽체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각각 구비되는 내부강재와 외부강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inforcing part may be made of an H-beam embedded in the concrete wall between the lower contact portion and the upper contact portion, the inner steel and the outer steel provided on the inner and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concrete wall to surround the concrete wall, respectively. .

본 발명에 따른 해양구조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십자형 에이치빔과 십자형 에이치빔 사이에 긴장재나 혹은 에이치빔을 설치하여 원추형 구조체의 골조를 형성하는 제1단계와; 하측에 배치된 상기 십자형 에이치빔의 단부에 각각 파일장착부를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골조의 주연부에 원추 형상의 거푸집을 축조하고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는 제3단계와; 상기 원추형 구조체의 상면에 콘크리트 튜브를 안착시켜서 상기 원추형 구조체와 상기 콘크리트 튜브를 결합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ffshor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first step of forming a frame of a conical structure by installing a tension member or an H beam between a cross H beam and a cross H beam; A second step of installing pile mounting portions at ends of the cross-shaped H-beams disposed on the lower side; A third step of constructing a cone-shaped formwork at the periphery of the frame and pouring and curing concrete in the formwork; Mounting a concrete tube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ical structure to combine the conical structure and the concrete tube; .

여기서, 상기 제3단계에서는 상기 긴장재나 혹은 에이치빔의 주연부에 일정한 직경을 갖는 콘크리트 기둥을 형성할 수 있도록 거푸집을 축조할 수 있다. Here, in the third step, the formwork may be constructed to form a concrete pillar having a constant diameter at the periphery of the tension member or the H beam.

본 발명에 따른 해양구조물을 제조하는 다른 방법으로서, 십자형 에이치빔과 십자형 에이치빔 사이에 긴장재나 혹은 에이치빔을 설치하여 원추형 구조체의 골조를 형성하는 제1단계와; 하측에 배치된 상기 십자형 에이치빔의 단부에 각각 파일장착부를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골조의 주연부에 원추 형상의 내부강재와 외부강재를 축조하고 상기 내부강재와 외부강재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는 제3단계와; 상기 원추형 구조체의 상면에 콘크리트 튜브를 안착시켜서 상기 원추형 구조체와 상기 콘크리트 튜브를 결합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arine structure, comprising: a first step of forming a frame of a conical structure by installing a tension member or an H beam between a cross H beam and a cross H beam; A second step of installing pile mounting portions at ends of the cross-shaped H-beams disposed on the lower side; A third step of constructing a conical inner steel and an outer steel at a periphery of the frame and casting and curing concrete between the inner steel and the outer steel; Mounting a concrete tube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ical structure to combine the conical structure and the concrete tube; .

본 발명은 해양구조물을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콘크리트의 양을 절감하고 자체 강성을 증대시켜 지지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해양구조물의 중량을 줄임으로 이를 운반하여 해양에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amount of concrete required to manufacture the offshore structure and increase its own rigidity to improve the bearing capacity and at the same time reduce the weight of the offshore structure to reduce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to install it in the ocean It has an effect.

도 1은 종래의 해양구조물이 해저면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추형 구조체의 횡단면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원추형 구조체의 횡단면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원추형 구조체의 횡단면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원추형 구조체의 횡단면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구조물을 제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conventional marine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sea bottom;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marin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conic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onic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onic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conic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E are perspective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n offshor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의 해양구조물이 해저면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추형 구조체의 횡단면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원추형 구조체의 횡단면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원추형 구조체의 횡단면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원추형 구조체의 횡단면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구조물을 제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conventional offshore structure installed on a sea bottom,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n offshor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onical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conic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ic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conic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a to 7e is a sequential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marin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n.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해양구조물은, 중앙 영역에 중공(110)이 형성되며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관상의 콘크리트 튜브(100)와,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상면에 콘크리트 튜브(100)가 안착되어 결합되며 콘크리트 튜브(100)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경사진 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보강부(210)를 구비한 원추형 구조체(200)와, 원추형 구조체(200)의 둘레면에 구비되며 그 중심에 파일장착공(310)이 형성된 복수의 파일장착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marin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low tube 110 is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and the tubular concrete tube 100 formed to have a constant height, and formed in a conical shape, the concrete tube on the upper surface Conical structure 200 and the conical structure 200 having a reinforcing portion 210 is formed along the inclined side to increase the holding force for supporting the concrete tube 100 is seated and coupled (100) It is provided on the surface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pile mounting portion 300, the pile mounting hole 310 i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콘크리트 튜브(100)는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그 중심에는 별도의 구조체가 안착되도록 강관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중공(110)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Concrete tube 100 is a cylindrical member has a hollow 110 through which a steel pipe is inserted and fixed so that a separate structure is seated at the center thereof.

콘크리트 튜브(100)의 내부에는 그 높이 방향을 따라 프리텐션 방식에 의해 긴장재(120)가 긴장된 상태로 매설되거나 혹은 포스트텐션에 의해 긴장재(120)가 매설될 수 있다. In the interior of the concrete tube 100, the tension member 120 may be buried in a tensioned state by a pretension method along the height direction thereof, or the tension member 120 may be embedded by post tension.

원추형 구조체(200)는 일정한 내부공간(210)이 구비되며, 그 상면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콘크리트 튜브(100)가 전도되지 않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원추 형상의 부재이다. The conical structure 200 is provided with a constant internal space 210, is a member of the conical shape that increases in diameter toward the lower side so that the concrete tube 10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is not coupled.

원추형 구조체(200)는 원추 형상의 둘레면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벽체(220)와, 상호 교체되도록 형성되어 각각 콘크리트 벽체(220)의 하단과 중간 및 상단의 내면과 각각 접촉되는 복수의 십자형 에이치빔(2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onical structure 200 is a concrete wall 220 forming a conical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plurality of cross-shaped H-beams are formed so as to be interchanged with each other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om, middle and top of the concrete wall 220 ( 230).

콘크리트 벽체(220)는 콘크리크 재질로 형성되어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 양생함으로써 형성되며,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원추형 구조체(200)를 제외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원추형 구조체(200)는 콘크리트의 타설을 위해서 별도의 거푸집을 형성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후에는 거푸집은 제거된다. The concrete wall 220 is formed by concrete and is formed by curing after pouring concrete, and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except for the conical structure 2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200 forms a separate formwork for placing concrete, and after the concrete is laid and the curing of the concrete is completed, the formwork is removed.

십자형 에이치빔(230)은 에이치빔과 에이치빔이 상교 직교되게 교차시켜 방사상으로 배치된 구조물로서 상호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보강부(240)는 십자형 에이치빔(230)이 각각 콘크리트 벽체(220)의 하단 및 상단과 접촉되는 하단접촉부와 상단접촉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cross-shaped H-beam 230 is disposed so that the H-beam and the H-beam cross each other in an orthogonal orthogonal manner to overlap each other, and the reinforcement 240 has the cross-shaped H-beam 230 of the concrete wall 220. I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ottom contact and the top contact in contact with the bottom and top.

물론 콘크리트 벽체(220)의 하단 및 상단 사이에도 추가로 십자형 에이치빔(230)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에도 하단 및 상단에 배치된 십자형 에이치빔(230)과 중첩되는 위치로 배치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Of course, the cross-shaped H-beam 23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between the bottom and the top of the concrete wall 220, and in this case, the cross-shaped H-beam 230 is disposed at the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cross-shaped H-beam 230 disposed at the bottom and the top. to be.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추형 구조체의 보강부(240)는 콘크리트 벽체(220)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길이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콘크리트 기둥(241)과, 콘크리트 기둥(241)의 내부에 콘크리트 기둥(241)의 높이 방향을 따라 내재되는 복수의 긴장재(2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3, the reinforcing portion 240 of the conic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crete column 241 formed to have a diameter of a length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ncrete wall 220, and concrete The interior of the pillar 241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tension members 242 inherent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ncrete pillar 241.

콘크리트 기둥(241)은 거푸집을 기둥 형상으로 축조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하중에 견디는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직경은 콘크리트 벽체(220)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길이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Concrete pillars 241 may be formed by forming a form in a column shape, it is effective to form a diameter having a length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ncrete wall 220 to improve the bearing capacity to withstand the load .

이러한 보강부(240)의 내부에는 휨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긴장재(242)가 내재되는데, 긴장재(242)는 그 높이 방향을 따라 포스트텐션 방식에 의하여 매립되는 것이 콘크리트 기둥(241)의 강도 향상시키는데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A plurality of tension members 242 are embedded in the reinforcement part 240 so as to improve the bending strength, and the tension members 242 are embedded in a post-tension manner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trength of the concrete column 241. It will be more effective to improve.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원추형 구조체의 보강부(240)는 콘크리트 벽체(220)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길이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콘크리트 기둥(241)과, 콘크리트 기둥(241)의 내부에 콘크리트 기둥(241)의 높이 방향을 따라 내재되는 에이치빔(243)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ure 4, the reinforcing portion 240 of the conic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crete column 241 formed to have a diameter of a length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ncrete wall 220, and concrete The inside of the pillar 241 may be made of an H-beam 243 embedd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ncrete pillar 241.

콘크리트 기둥(241)은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거푸집을 기둥 형상으로 축조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하중에 견디는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직경은 콘크리트 벽체(220)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길이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Concrete pillar 241 can be formed by forming the formwork in the column shape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diameter of the length i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ncrete wall 220 to improve the bearing capacity to withstand the load It is effective to form to have.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원추형 구조체의 보강부(240)의 경우에는 별도의 콘크리트 기둥(241)을 구비하지 않고, 에이치빔(244)이 상기 하단접촉부와 상기 상단접촉부 사이의 콘크리트 벽체(220)에 직접 내재되도록 한 구성이다. As shown in FIG. 5, in the case of the reinforcement part 240 of the conic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 beam 244 is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concrete pillar 241 and the lower contact part. It is configured to be embedded directly in the concrete wall 220 between the upper contact portion.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는 원추형 구조체의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에 소요되는 콘크리트의 양도 줄여서 재료비용을 절감시키고 원추형 구조체의 무게를 줄여서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In this configuration, not only can the time required for manufacturing the conical structure be shortened, but also the amount of concrete required for manufacturing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material costs and reducing the weight of the conical structure, thereby facilitating transportation. .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부(240)는 상기 하단접촉부와 상기 상단접촉부 사이의 콘크리트 벽체(220)에 내재되는 에이치빔(244)과, 콘크리트 벽체(220)를 감싸도록 콘크리트 벽체(220)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각각 구비되는 내부강재(245)와 외부강재(246)로 이루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6, the reinforcement portion 240 is a concrete wall to surround the H-beam 244 and the concrete wall 220, which is embedded in the concrete wall 220 between the lower contact portion and the upper contact porti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220 may be formed of the inner steel 245 and the outer steel 246, respectively.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는 콘크리트 벽체(220)를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거푸집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벽체(220) 자체를 내부강재(245)와 외부강재(246)로 보호할 수 있고 원추형 구조체(200) 자체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In such a configura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form a separate formwork for forming the concrete wall 220, not only can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manufacturing, but also the concrete wall 220 itself to the internal steel 245 and the external steel 246 can be protected and the stiffness of the conical structure 200 itself can be reinforced.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을 제작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Method for producing a marine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as follows.

우선,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십자형 에이치빔(230)과 십자형 에이치빔(230) 사이에 긴장재(242)나 혹은 에이치빔(243)을 설치하여 원추형 구조체(200)의 골조를 형성한다. First, as shown in FIG. 7A, a tension member 242 or an H beam 243 is provided between the cross H beam 230 and the cross H beam 230 to form a frame of the conical structure 200.

그리고,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에 배치된 상기 십자형 에이치빔(230)의 단부에 각각 파일장착공(310)이 형성된 파일장착부(300)를 접합시킨 후에 상기 골조의 주연부에 원추 형상의 거푸집을 축조하고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킴으로써 도 7c와 같은 형태가 되도록 한다. And, as shown in Figure 7b, after joining the pile mounting portion 300, the pile mounting hole 310 is formed to each end of the cross-shaped H-beam 230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nical portion of the frame By building the formwork and pouring concrete to form the form to cure the form as shown in Figure 7c.

이때, 십자형 에이치빔(230)과 접촉되는 영역의 거푸집은 콘크리트 기둥(241)을 형성할 수 있도록 원기둥 형상의 둘레면을 갖도록 형성하여 긴장재(242)나 혹은 에이치빔(243)이 콘크리트 기둥(241)의 내부에 내재되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formwork in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cross-shaped H-beam 230 is formed to have a cylindrical circumferential surface to form the concrete pillar 241 so that the tension member 242 or the H-beam 243 is a concrete pillar 241 Inside of).

그 후, 도 7d와 도 7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추형 구조체(200)의 상면에 콘크리트 튜브(100)를 안착시켜서 원추형 구조체(200)와 콘크리트 튜브(100)를 결합시키고, 해저면에 항타할 파일(320)을 파일장착공(310)에 삽입시킴으로써 해양구조물의 제조가 완성된다. Thereafter, as shown in FIGS. 7D and 7E, the concrete tube 10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ical structure 200 to couple the conical structure 200 and the concrete tube 100 to be driven to the sea bottom. The pile 320 is inserted into the pile mounting hole 310 to complete the manufacture of the offshore structure.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 6 및 도 7a 내지 도 7e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ffshore structur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A to 7E.

우선, 십자형 에이치빔(230)과 십자형 에이치빔(230) 사이에 긴장재(242)나 혹은 에이치빔(243)을 설치하여 원추형 구조체(200)의 골조를 형성한다. First, a tension member 242 or an H beam 243 is disposed between the cross H beam 230 and the cross H beam 230 to form a frame of the conical structure 200.

그리고, 하측에 배치된 십자형 에이치빔(230)의 단부에 각각 파일장착공(310)이 형성된 파일장착부(200)를 설치한 후에 상기 골조의 주연부에 원추 형상의 내부강재(245)와 외부강재(246)를 축조한다. Then, after installing the pile mounting portion 200, the pile mounting hole 310 is formed at each end of the cross-shaped H-beam 230 disposed on the lower side, the inner steel 245 and the outer steel ( Build 246).

그 후, 내부강재(245)와 외부강재(246)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고, 원추형 구조체(200)의 상면에 콘크리트 튜브(100)를 안착시켜서 원추형 구조체(200)와 콘크리트 튜브(100)를 결합시킴으로써 해양구조물의 제조가 완료된다. Thereafter, concrete is poured between the inner steel 245 and the outer steel 246 to cure, and the concrete tube 10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ical structure 200 to conical structure 200 and concrete tube 100. By combining the manufacturing of offshore structures is complet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해양구조물을 해저면에 시공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marin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sea bottom is as follows.

우선, 지상에서 상술한 과정에 의하여 해양구조물을 제조한 후에, 해상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양구조물을 해중에 설치한다. First, after the offshore structure is manufactured by the above-described process on the ground, the offshore structure is installed in the sea by using an offshore crane.

그 후, 복수의 파일장착부(300)의 파일장착공(310)에 파일(320)을 삽입하여, 파일의 하단이 해저지반에 매설되도록 항타하여 해양구조물이 해저면 일측에 고정 되도록 한다. Thereafter, the pile 320 is inserted into the pile mounting hole 310 of the plurality of pile mounting parts 300, and the lower end of the pile is driven to be embedded in the seabed so that the marine structure is fixed to one side of the sea bottom.

즉, 해상에서 해양구조물의 제조 및 시공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해양구조물의 제조를 지상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를 시공위치로 인양하여 파일장착부(300)의 파일장착공(310)에 파일(320)을 항타 등에 의해 설치하는 방식에 의해 시공하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production and construction of offshore structures are not made at sea, but the manufacture of offshore structures is to be made on the ground, and lifted them to the construction position to pile the pile 320 in the pile mounting holes 310 of the pile mounting unit 300. It is to be installed by the installation method by driving.

그리고, 파일장착부(300)는 구조물의 규모 및 현장상황을 고려하여 적절한 수를 형성하면 되는데, 이들은 어느 경우에나 방사대칭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ile mounting portion 300 may be formed in an appropriate number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and the site situation of the structure.

또한, 파일(320)을 항타하여 해저면에 삽입시에 파일(320) 상단부의 일정 길이가 파일장착부(30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항타한 후에, 파일장착부(300)의 상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파일(320) 상단부의 주연부와, 파일장착부(300)의 상면을 접합시킴으로써 해양구조물의 시공이 완료된다. In addition, after driving the file 320 so that a predetermined length of the upper end of the file 320 protrudes to the upper side of the file mounting portion 300 when inserted into the sea bottom, and then protrudes a certain length above the file mounting portion 300. Construction of the offshore structure is completed by joining the upper periphery of the upper end of the pile 320 and the pile mounting portion 300.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콘크리트 튜브 110 : 중공
200 : 원추형 구조체 210 : 내부공간
220 : 콘크리트 벽체 230 : 십자형 에이치빔
240 : 보강부 241 : 콘크리트 기둥
242 : 긴장재 243 : 에이치빔
244 : 에이치빔 245 : 내부강재
246 : 외부강재 300 : 파일장착부
310 : 파일장착공 320 : 파일
100: concrete tube 110: hollow
200: conical structure 210: internal space
220: concrete wall 230: cross-shaped H-beam
240: reinforcement 241: concrete pillar
242: tension material 243: H beam
244: H beam 245: internal steel
246: external steel 300: pile mounting
310: File installation work 320: File

Claims (11)

중앙 영역에 중공이 형성되며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관상의 콘크리트 튜브와;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상면에 상기 콘크리트 튜브가 안착되어 결합되며 상기 콘크리트 튜브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경사진 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보강부를 구비한 원추형 구조체와;
상기 원추형 구조체의 둘레면에 구비되며 그 중심에 파일장착공이 형성된 복수의 파일장착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
A tubular concrete tube having a hollow in a central region and formed to have a constant height;
A conical structure having a reinforcing portion formed in a conical shape and having a reinforcing portion formed along an inclined side so as to increase the holding force for supporting the concrete tube, the concrete tube being seated and coupled to an upper surface thereof;
A plurality of pile mounting parts provid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ical structure and having pile mounting holes formed in a center thereof;
Offshore structure comprising th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구조체는 일정한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어 둘레면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벽체와, 상호 교체되도록 형성되어 각각 상기 콘크리트 벽체의 하단과 상단의 내면과 각각 접촉되는 복수의 십자형 에이치빔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ical structure is composed of a concrete wall having a constant internal space and is formed in a conical shape to form a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plurality of cross-shaped H-beams each formed to be interchanged with each other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om and top of the concrete wall, respectively. Offshor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십자형 에이치빔은 상호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십자형 에이치빔이 각각 상기 콘크리트 벽체의 하단 및 상단과 접촉되는 하단접촉부와 상단접촉부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2,
The cross-shaped H-beams are disposed so as to overlap each other, the reinforcement is a marin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haped H-beams are disposed between the bottom contact portion and the top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ottom and top of the concrete wall, respectivel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콘크리트 벽체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길이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콘크리트 기둥과,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내부에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높이 방향을 따라 내재되는 복수의 긴장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3,
The reinforcement portion is a marin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concrete pillar formed to have a diameter of a length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ncrete wall, and a plurality of tension members embedd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ncrete pillar inside the concrete pilla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콘크리트 벽체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길이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콘크리트 기둥과,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내부에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높이 방향을 따라 내재되는 에이치빔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3,
The reinforcement portion is a marin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concrete pillar formed to have a diameter of a length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ncrete wall, and the H-beam embedd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ncrete pillar inside the concrete pilla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하단접촉부와 상기 상단접촉부 사이의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내재되는 에이치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reinforcement part is an H beam embedded in the concrete wall between the lower contact part and the upper contact par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하단접촉부와 상기 상단접촉부 사이의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내재되는 에이치빔과, 상기 콘크리트 벽체를 감싸도록 상기 콘크리트 벽체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각각 구비되는 내부강재와 외부강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3,
The reinforcing part is made of an H-beam embedded in the concrete wall between the lower contact portion and the upper contact portion, and the inner steel and the outer steel provided on the inner and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concrete wall to surround the concrete wall, respectively Offshore structures.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해양구조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십자형 에이치빔과 십자형 에이치빔 사이에 긴장재나 혹은 에이치빔을 설치하여 원추형 구조체의 골조를 형성하는 제1단계와;
하측에 배치된 상기 십자형 에이치빔의 단부에 각각 파일장착부를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골조의 주연부에 원추 형상의 거푸집을 축조하고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는 제3단계와;
상기 원추형 구조체의 상면에 콘크리트 튜브를 안착시켜서 상기 원추형 구조체와 상기 콘크리트 튜브를 결합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의 제조방법.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ffshore struct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 first step of forming a frame of the conical structure by installing a tension member or an H beam between the cross H beam and the cross H beam;
A second step of installing pile mounting portions at ends of the cross-shaped H-beams disposed on the lower side;
A third step of constructing a cone-shaped formwork at the periphery of the frame and pouring and curing concrete in the formwork;
Mounting a concrete tube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ical structure to combine the conical structure and the concrete tube;
Method of manufacturing a marin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는 상기 긴장재나 혹은 에이치빔의 주연부에 일정한 직경을 갖는 콘크리트 기둥을 형성할 수 있도록 거푸집을 축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의 제조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third step, the form of the marin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for forming the form to form a concrete column having a constant diameter on the periphery of the tension material or H-beams.
제7항에 따른 해양구조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십자형 에이치빔과 십자형 에이치빔 사이에 긴장재나 혹은 에이치빔을 설치하여 원추형 구조체의 골조를 형성하는 제1단계와;
하측에 배치된 상기 십자형 에이치빔의 단부에 각각 파일장착부를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골조의 주연부에 원추 형상의 내부강재와 외부강재를 축조하고 상기 내부강재와 외부강재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는 제3단계와;
상기 원추형 구조체의 상면에 콘크리트 튜브를 안착시켜서 상기 원추형 구조체와 상기 콘크리트 튜브를 결합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의 제조방법.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ffshore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7,
A first step of forming a frame of the conical structure by installing a tension member or an H beam between the cross H beam and the cross H beam;
A second step of installing pile mounting portions at ends of the cross-shaped H-beams disposed on the lower side;
A third step of constructing a conical inner steel and an outer steel at a periphery of the frame and casting and curing concrete between the inner steel and the outer steel;
Mounting a concrete tube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ical structure to combine the conical structure and the concrete tube;
Method of manufacturing a marin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해양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지상에서 해양구조물의 골조를 축조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함으로써 상기 해양구조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해양구조물의 파일장착부가 해저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해양구조물을 해중에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파일장착부의 파일장착공에 파일을 장착하여, 상기 파일의 하단이 해저지반에 매설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의 시공방법.
A method of constructing an offshore struct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Manufacturing the offshore structure by constructing a framework of the offshore structure on the ground and curing it after pouring concrete;
Installing the offshore structure in the sea such that the pile mounting portion of the offshore structure contacts the sea bottom;
Mounting a pile in a pile mounting hole of the pile mounting unit, so that a lower end of the pile is embedded in a seabed;
Construction method of the offshore structure comprising a.
KR1020110090869A 2011-09-07 2011-09-07 Offshor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tructuring method KR1013153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869A KR101315377B1 (en) 2011-09-07 2011-09-07 Offshor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tructur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869A KR101315377B1 (en) 2011-09-07 2011-09-07 Offshor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tructur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341A true KR20130027341A (en) 2013-03-15
KR101315377B1 KR101315377B1 (en) 2013-10-07

Family

ID=48178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0869A KR101315377B1 (en) 2011-09-07 2011-09-07 Offshor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tructur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37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533A (en) * 2014-09-01 2016-03-0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Offshore multi-piled concrete foundation using transition piece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2399823B1 (en) * 2022-03-15 2022-05-19 유한회사 씨파워 Support structure on seabed for coexisting the marine production industry within the offshore wind farm complex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5648B1 (en) * 1995-12-04 1998-11-16 박준민 A steel shell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211299Y1 (en) * 1998-05-18 2001-02-01 전안수 Fence holding formwork
KR200398988Y1 (en) * 2005-07-26 2005-10-18 강종묵 The artificial reef for sea grove with good efficiency
KR101130148B1 (en) * 2011-05-23 2012-03-2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Offshor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533A (en) * 2014-09-01 2016-03-0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Offshore multi-piled concrete foundation using transition piece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2399823B1 (en) * 2022-03-15 2022-05-19 유한회사 씨파워 Support structure on seabed for coexisting the marine production industry within the offshore wind farm comple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5377B1 (en) 2013-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9020B1 (en) Composite phc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570484B1 (en) Half-PC Column using lightweight Encased Inner For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CN202416650U (en) Self-supporting ribbed reinforced steel bar truss concrete composite slab
KR101278509B1 (en) Fiber Reinforced Plastic Suction Found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US9175493B2 (en) Core component and tower assembly for a tower structure
KR101130148B1 (en) Offshor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777760B1 (en) PHC Pile comprising Sprial Hoop
KR20090037419A (en) Method for constructing precast coping by using multi-step tensioning
KR20160109629A (en) Connection structure for internally confined hollow rc column-foundation connection reinforced with external tube and the method for the same
KR101065098B1 (en) Rebar cage structure
KR20230090300A (en) A twin wall structure using a PC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it
JP2014151926A (en) Aboveground tank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KR101184719B1 (en) Method making rigid block with pile and slab/precast girder and method constructing the rahmen bridge thereof
KR101315377B1 (en) Offshor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tructuring method
JP2014227754A (en) Bridge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bridge girder
CN101117801A (en) Superposition pile for engineering reconstruction and pile forming method
KR101358878B1 (en) Reinforcement member and girder using the same
KR20140110491A (en) Half precast concrete column manufacturing method using saddle-type ties and dual hoops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CN203821381U (en) Rectangular pre-stressed filling pile
JP2014181545A (en) Underground structure of building
KR100837263B1 (en) Composite pile making method
KR101176937B1 (en) Underground reclamation type water storage tank having a assembling structure and its constructing method
KR101707942B1 (en) Precast concrete hollow core slab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JP5538151B2 (en) Joint structure of pile and steel column
JP5534861B2 (en) PC well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