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5596A - 지그비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지그비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5596A
KR20130025596A KR1020110088997A KR20110088997A KR20130025596A KR 20130025596 A KR20130025596 A KR 20130025596A KR 1020110088997 A KR1020110088997 A KR 1020110088997A KR 20110088997 A KR20110088997 A KR 20110088997A KR 20130025596 A KR20130025596 A KR 20130025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zigbee module
supply unit
main pow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찬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8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5596A/ko
Priority to US13/333,305 priority patent/US20130059597A1/en
Publication of KR20130025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55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9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switching to a backup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지그비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외부 전자 기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리모콘 기능을 제공하는 지그비 모듈, 및 상기 전원부와 상기 지그배 모듈 사이의 연결을 제어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메인 전원부, 및 상기 메인 전원부의 잔여 전력이 소정의 기준값 이하로 떨어진 경우에 상기 지그비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전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전자 기기와 연결되어 리모콘 기능을 제공하는 지그비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메인 전원부 이외에 보조 전원부를 포함함으로써, 휴대용 기기의 전원이 부족한 상태에서도 지그비 모듈을 활용한 리모콘 기능 및 위치 추적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그비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 및 그 동작 방법{MOBILE DEVICE INCLUDING ZIGBEE MODULE AND ITS OPERATION METHOD}
본 발명은 지그비 모듈을 포함하여 메인 전원이 OFF된 경우에도 다른 전자 기기에 대한 리모콘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위치 추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하나의 기기에 구현한 모바일 기기가 널리 보급되면서, 하나의 모바일 기기로 전화, 문자 메세시 송수신 등과 같은 휴대폰 기능은 물론, DMB(Digital Media Broadcasting)를 통한 방송 시청, 인터넷 서비스에의 접속, 쇼핑, 네비게이션 등의 다양한 기능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WIFI,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IR(적외선) 통신과 같은 방식에 따라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로 다른 가전 기기 - 예를 들어 스마트 TV, 블루레이(또는 DVD) 플레이어, 홈 씨어터 등 - 에 대한 리모콘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가 보급되고 있다.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에 리모콘 기능을 구현하는 경우, 기존에 널리 사용되는 IR 리모콘을 별도로 마련해야 할 필요가 없으며, 기존의 IR 리모콘과 달리 그 기능에 제약이 적은 스마트폰의 특성상 좀 더 다양하고 효율적인 리모콘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WIFI와 블루투스 같은 통신 방식으로 리모콘 기능을 구현하면, IR 방식과 달리 리모콘의 방향성에 대한 제약이 줄어들어 좀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WIFI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통신 방식에 따라 리모콘 기능을 구현하는 경우, WIFI 또는 블루투스 등의 통신 방식은 상대적으로 높은 전력 소모량을 가지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최대 약점 중 하나로 지적되는 배터리의 빠른 소모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잔여 전력이 많지 않은 경우에는 리모콘으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은 소모 전력으로 가전 기기에 대한 리모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위치 추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지그비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외부 전자 기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리모콘 기능을 제공하는 지그비 모듈, 및 상기 전원부와 상기 지그비 모듈 사이의 연결을 제어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메인 전원부, 및 상기 메인 전원부의 잔여 전력이 소정의 기준값 이하로 떨어진 경우에 상기 지그비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전원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보조 전원부는, 상기 지그비 모듈 내에 구비되는 휴대용 기기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지그비 모듈 내에 구비되는 휴대용 기기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메인 전원부의 잔여 전력이 5% 이하인 경우, 상기 지그비 모듈이 상기 보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상기 보조 전원부와 상기 지그비 모듈을 연결하는 휴대용 기기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메인 전원부의 잔여 전력이 5% 이상인 경우, 상기 지그비 모듈이 상기 메인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상기 메인 전원부와 상기 지그비 모듈을 연결하는 휴대용 기기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지그비 모듈은, 상기 외부 전자 기기로부터 위치 추적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위치 추적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상기 외부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휴대용 기기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지그비 모듈이 제공하는 리모콘 기능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기계식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를 제안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지그비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메인 전원부의 잔여 전력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메인 전원부의 잔여 전력에 따라 상기 메인 전원부 및 보조 전원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지그비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및 외부 전자 기기와 상기 지그비 모듈이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외부 전자 기기에 대한 리모콘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의 동작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 단계는, 상기 메인 전원부의 잔여 전력이 소정의 기준값 이하이면 보조 전원부로부터 상기 지그비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메인 전원부의 잔여 전력이 상기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메인 전원부로부터 상기 지그비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휴대용 기기의 동작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기준값은 상기 메인 전원부의 최대 전력의 5% 값인 휴대용 기기의 동작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외부 전자 기기로부터 위치 추적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위치 추적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상기 외부 전자 기기로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의 동작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그비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원을 메인 전원부와 보조 전원부 가운데 스위치부에서 선택, 제어함으로써, 메인 전원부의 잔여 전력이 거의 없는 경우에도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기기에 대한 리모콘 기능 및 위치 추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외관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내부 구조 일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데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동작 방법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외관을 나타낸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00)는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 등일 수 있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다른 모바일 기기(100)는 기계식으로 동작하는 입력부(110, 120)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모바일 기기(100)의 메인 전원부의 잔여 전력이 소정의 기준 수치 이하로 떨어졌을 때에도 모바일 기기(100)에 포함된 지그비 모듈에 대한 명령 입력 경로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모바일 기기(100)는 기계식으로 동작하는 입력부(110, 120) 외에 디스플레이부, 및 디스플레이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전자식 입력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지그비 모듈을 이용한 리모콘 기능을 다양화하기 위해서 단순히 온/오프만을 입력할 수 있는 기계식 돔(dome) 키와 같은 입력부(120) 이외에, 온/오프 뿐 아니라 방향까지 입력 가능한 트랙볼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내부 구조 일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200)는 지그비 모듈(210), 메인 전원부(220), 보조 전원부(230), 스위치부(240), 및 전력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지그비 모듈(210)은 지그비(Zigbee) 표준에 따르는 SoC(System-on-Chip)으로 구현된 칩셋일 수 있으며, 통신을 위한 무선 송/수신부, 주파수 합성기, 복조/변조부, 발진기, 레귤레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전원부(220)는 모바일 기기(200)의 일반적인 구동 및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며, 모바일 기기(200)에 장착되는 배터리일 수 있다. 메인 전원부(220)는 모바일 기기(200)가 사용자에 의해 실제로 사용되고 있을 때는 물론, 사용자가 실제로 사용하고 있지 않은 동안에도 대기 전력을 공급하며, 이러한 메인 전원부(220)의 전원 관리는 전력 제어부(Power Management Unit, PMU, 250)에서 담당할 수 있다.
보조 전원부(230)는 메인 전원부(220)와 별도로 마련되는 전원부로서, 메인 전원부(220)보다 훨씬 작은 용량을 갖는 소형 배터리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보조 전원부(230)는 코인형 배터리로 구현 가능하며, 메인 전원부(220)의 잔여 전력이 소정의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 지그비 모듈(210)의 동작에 필요한 매우 적은 전력(활성화된 상태에서 동작에 약 20~30mW, 대기 상태에서는 전류 기준으로 1~2 ㎂)만 공급하면 되므로, 모바일 기기(200)의 폼팩터에 크게 부담을 주지 않는 매우 작은 배터리로도 구현 가능하다.
스위치부(240)는 메인 전원부(220)와 보조 전원부(230), 및 지그비 모듈(210) 사이에 연결되어 지그비 모듈(2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메인 전원부(220)의 잔여 전력이 충분한 경우에는, 전력 제어부(250)에 의해 보조 전원부(230)에서 스위치부(240)를 통한 지그비 모듈(210)로의 전원 공급 경로가 차단되고, 전력 제어부(250)가 관리하는 메인 전원부(220)로부터 지그비 모듈(210)로 전원이 공급된다.
반면, 메인 전원부(220)의 잔여 전력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전력 제어부(250)에 의해 메인 전원부(220)로부터 지그비 모듈(210)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며, 보조 전원부(230)로부터 스위치부(240)를 통한 지그비 모듈(210)로의 전원 공급이 활성화된다. 따라서, 메인 전원부(220)의 잔여 전력이 충분치 않아 모바일 기기(200)의 전원이 켜질 수 없고, 지그비 모듈(210)이 동작할 수 없는 상태라 할지라도, 지그비 모듈(210)은 보조 전원부(230)로부터 그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아 외부 전자 기기에 대한 리모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기기(200)의 전원이 켜질 수 없을 정도로 메인 전원부(220)의 잔여 전력이 적지만 지그비 모듈(210)은 동작시킬 수 있을 정도의 전력은 남아있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그비 모듈(210)의 동작에는 극히 적은 양의 전력만이 필요하므로, 모바일 기기(200)의 전원을 켜는데 필요한 전력이 메인 전원부(220)에 남아있지 않다 하더라도, 지그비 모듈(210)은 메인 전원부(2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력 제어부(250)는, 메인 전원부(220)의 잔여 전력량이 소정의 기준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스위치부(240)를 제어함으로써 지그비 모듈(210)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로를 선택,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는 보조 전원부(230)와 스위치부(240)가 각각 지그비 모듈(210)의 외부에 마련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와 같은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보조 전원부(230)와 스위치부(240)가 모두 지그비 모듈(210) 내에 마련되거나, 또는 보조 전원부(230)와 스위치부(240) 중 어느 하나를 지그비 모듈(210) 내에 구현함으로써 전체적인 모바일 기기(200)의 폼팩터 제한으로부터 보다 자유롭게 하드웨어를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데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200)의 동작 방법은, 지그비 모듈(210)이 외부 전자 기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으로 시작된다(S300). 외부 전자 기기는 예를 들어, TV, 스마트 TV, DVD(블루레이) 플레이어, 홈 씨어터 등과 같은 가전 기기일 수 있으며, 지그비 모듈(210)은 외부 전자 기기와의 통신을 통해 리모콘 기능을 포함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지그비 모듈(210)이 외부 전자 기기와 연결되면, 모바일 기기(2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외부 전자 기기에 대한 리모콘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전력 제어부(250)는 지그비 모듈(210)에 공급되는 전원을 관리한다. 지그비 모듈(210)이 동작하는 동안, 또는 지그비 모듈(210)이 대기 상태에 진입한 이후 동작 명령이 전달되어 활성화되어야 하는 경우, 전력 제어부(250)는 메인 전원부(220)의 잔여 전력을 판단하여, 메인 전원부(220)와 보조 전원부(23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지그비 모듈(21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를 위해, 전원 제어부(250)는 메인 전원부(220)의 잔여 전력량이 소정의 기준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10).
S310 단계의 판단 결과, 메인 전원부(220)의 잔여 전력량이 소정의 기준값보다 큰 것으로 판단하면, 전력 제어부(250)는 스위치부(240)를 제어하여 보조 전원부(230)로부터 지그비 모듈(210)로 공급되는 전원 경로를 차단하고, 메인 전원부(220)로부터 직접 지그비 모듈(210)에 전원을 공급한다(S32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그비 모듈(210)은 그 동작 시에 수십 밀리와트 정도의 전력만을 소모하고, 대기 상태에서는 1~2 ㎂ 정도의 전류만을 필요로 하므로, 메인 전원부(220)의 잔여 전력이 충분하여 모바일 기기(200)가 정상 동작을 할 수 있을 때는 물론, 모바일 기기(200)의 전원이 켜질 수 없지만 지그비 모듈(210)을 동작시킬 수 있는 정도의 전력이 메인 전원부(220)에 남아있는 경우에도 메인 전원부(220)로부터 공급받는 전원으로 지그비 모듈(210)을 동작시킬 수 있다.
한편 S310 단계의 판단 결과, 메인 전원부(220)의 잔여 전력량이 소정의 기준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면, 전력 제어부(250)는 스위치부(240)를 제어하여 보조 전원부(230)로부터 지그비 모듈(210)로 공급되는 전원 경로를 활성화한다(S330). 이미 메인 전원부(220)의 잔여 전력량이 부족하여 지그비 모듈(21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조차 공급할 수 없는 상황이므로, 전력 제어부(250)는 메인 전원부(220)에서 지그비 모듈(210)로 전달되는 전원 경로에 대해 별도의 제어를 가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 전원부(220)의 잔여 전력량이 부족하여 모바일 기기(2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없는 경우에도, 모바일 기기(200)의 전원 온/오프와 무관하게 지그비 모듈(210)을 동작시켜 리모콘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S340). 이때, 모바일 기기(2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없는 경우에 지그비 모듈(210)에 대한 입력 방법을 확보하기 위해, 기계식 입력 방식에 따라 동작하는 입력부 - 도 1의 입력부 110, 120 - 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동작 방법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200)의 지그비 모듈(210)과 연결된 외부 전자 기기가 TV와 같은 영상 기기인 것을 가정하고, 모바일 기기(200)의 위치 추적 기능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가 의도치 않게 모바일 기기(200)를 잃어버리게 된 경우, 모바일 기기(200)의 메인 전원부(220)의 잔여 전력량이 충분하다면 다른 모바일 기기로 잃어버린 모바일 기기(200)에 연락을 함으로써 모바일 기기(2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잃어버린 모바일 기기(200)의 메인 전원부(220)의 잔여 전력량이 부족하여 전원이 꺼진 상태라면, 이와 같은 방법으로 잃어버린 모바일 기기(200)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지그비 모듈(210) 및 메인 전원부(220)의 잔여 전력량이 부족한 경우 지그비 모듈(210)의 동작에 활용할 수 있는 보조 전원부(230)가 구비된 경우, 잃어버린 모바일 기기(200) 등에 대한 위치 추적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지그비 모듈(210)을 이용한 위치 추적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지그비 모듈(210)을 이용한 위치 추적 기능을 설명하는데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지그비 모듈(210)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전자 기기에서 사용자가 위치 추적 기능을 선택한다(S50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비 모듈(210)과 연결된 전자 기기(400)가 TV 인 경우, 사용자는 TV에서 위치 추적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위치 추적 기능이 선택되면, 모바일 기기(200)의 지그비 모듈(210)과 연결된 전자 기기(400)는, 송신단(Tx)에서 지그비 모듈(210)로 위치 추적을 위한 신호 - 예를 들어 BCH 신호 - 를 전송한다(S510). 전자 기기(400)의 송신단에서 전송된 신호에 따라, 지그비 모듈(210)은 BCH 신호를 인식하여 그에 대한 응답으로 ACK 신호를 전자 기기(400)에 송신하고(S520), 보조 전원부(2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원이 켜진다(S530).
지그비 모듈(210)의 전원 켜지고, 전자 기기(400) 측으로 송신하는 ACK 신호에 의해 전자 기기(400)는 지그비 모듈(210), 즉 모바일 기기(200)의 대략적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200)의 위치가 파악되면, ACK 신호를 수신한 전자 기기(400)를 기준으로 한 모바일 기기(200)의 상대적인 거리와 위치를 대략적으로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 도 4의 화면에 표시된 위치 A - 사용자에게 모바일 기기(200)의 위치를 알려줄 수 있다(S540).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200 : 영상 처리 장치
210, 410-1, 410-2, 510-1, 510-2 : 광원
220, 420, 520 : 제1 카메라
230 : 연산부
240 : 메모리부

Claims (11)

  1.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외부 전자 기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리모콘 기능을 제공하는 지그비 모듈; 및
    상기 전원부와 상기 지그비 모듈 사이의 연결을 제어하는 스위치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메인 전원부, 및 상기 메인 전원부의 잔여 전력이 소정의 기준값 이하로 떨어진 경우에 상기 지그비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전원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원부는,
    상기 지그비 모듈 내에 구비되는 휴대용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지그비 모듈 내에 구비되는 휴대용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메인 전원부의 잔여 전력이 5% 이하인 경우, 상기 지그비 모듈이 상기 보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상기 보조 전원부와 상기 지그비 모듈을 연결하는 휴대용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메인 전원부의 잔여 전력이 5% 이상인 경우, 상기 지그비 모듈이 상기 메인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상기 메인 전원부와 상기 지그비 모듈을 연결하는 휴대용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비 모듈은,
    상기 외부 전자 기기로부터 위치 추적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위치 추적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상기 외부 전자 기기로 송신하는 휴대용 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비 모듈이 제공하는 리모콘 기능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기계식 입력부; 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
  8. 지그비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메인 전원부의 잔여 전력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메인 전원부의 잔여 전력에 따라 상기 메인 전원부 및 보조 전원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지그비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및
    외부 전자 기기와 상기 지그비 모듈이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외부 전자 기기에 대한 리모콘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의 동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단계는,
    상기 메인 전원부의 잔여 전력이 소정의 기준값 이하이면 보조 전원부로부터 상기 지그비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메인 전원부의 잔여 전력이 상기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메인 전원부로부터 상기 지그비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휴대용 기기의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은 상기 메인 전원부의 최대 전력의 5% 값인 휴대용 기기의 동작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기기로부터 위치 추적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위치 추적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상기 외부 전자 기기로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의 동작 방법.
KR1020110088997A 2011-09-02 2011-09-02 지그비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3002559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997A KR20130025596A (ko) 2011-09-02 2011-09-02 지그비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US13/333,305 US20130059597A1 (en) 2011-09-02 2011-12-21 Mobile device including zigbee modul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997A KR20130025596A (ko) 2011-09-02 2011-09-02 지그비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596A true KR20130025596A (ko) 2013-03-12

Family

ID=47753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997A KR20130025596A (ko) 2011-09-02 2011-09-02 지그비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059597A1 (ko)
KR (1) KR2013002559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54706B (zh) * 2013-12-27 2018-09-21 中国移动通信集团甘肃有限公司 一种多网融合供电方法和网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840B1 (ko) * 2005-06-29 2007-01-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그비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핸즈프리 기능 제공장치 및 방법
JP2007165960A (ja) * 2005-12-09 2007-06-28 Freescale Semiconductor Inc 携帯電話装置
US7808206B2 (en) * 2006-10-31 2010-10-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ic power charge and discharge system
US20100124896A1 (en) * 2008-11-20 2010-05-20 Kumar Dinesh J Dual battery mobile phone
US20100130263A1 (en) * 2008-11-21 2010-05-27 Edward Zhang System and method for dual power source management
US7640003B1 (en) * 2008-12-28 2009-12-29 Yang Pan Determining location and survivability of a captive person under a disaster situation by use of a mobi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59597A1 (en) 201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6842B2 (en) Commercial television-interfacing dongle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20180242034A1 (en) Commercial Television-Interfacing Dongle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KR102279600B1 (ko) 휴대 기기에서의 동작 방법, 컨텐츠 재생 장치에서의 동작 방법, 휴대 기기 및 컨텐츠 재생 장치
US9014826B2 (en) Mobile terminal
EP4075817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4135683B (zh) 一种智能设备的遥控方法及相关设备、系统
KR101763888B1 (ko) 제어 디바이스 및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
JP2017529814A (ja) インテリジェントデバイスを制御する方法及び装置
KR10248753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채널 설정방법
CN105139626A (zh) 一种多功能万能遥控器
CN202443574U (zh) 移动终端控制家电的系统及外接设备
CN101995867A (zh) 基于网络的智能监控系统和智能控制器
US20130091369A1 (en) Power-saving input device and power-saving method for such input device
KR101897828B1 (ko)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3295389A (zh) 移动终端控制家电的方法、系统及外接设备
KR20100122029A (ko) 에어콘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10627894B2 (en) Electric device control apparatus, and electric device control method using same
KR20160072006A (ko) 스마트 콘센트 시스템
KR20130025596A (ko) 지그비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TWI568273B (zh) Infrared remote control integrated system and method of home appliance
KR20170089829A (ko) 제어 디바이스 및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
CN203340225U (zh) 一种机顶盒遥控器及机顶盒
CN203225002U (zh) 遥控信号收发装置
KR20150136645A (ko) 전자기기 및 이의 전력제어 방법
KR20120071491A (ko) 리모컨에서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에 대한 페어링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