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5417A - 차량용 내압용기 가스누출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내압용기 가스누출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5417A
KR20130025417A KR1020130004380A KR20130004380A KR20130025417A KR 20130025417 A KR20130025417 A KR 20130025417A KR 1020130004380 A KR1020130004380 A KR 1020130004380A KR 20130004380 A KR20130004380 A KR 20130004380A KR 20130025417 A KR20130025417 A KR 20130025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ase
pressure
pressure vesse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4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성
Original Assignee
김학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성 filed Critical 김학성
Priority to KR1020130004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5417A/ko
Publication of KR20130025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54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0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3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Abstract

차량용 내압용기 폭발장치가 개시된다. 제1 케이스부재, 상기 제1 케이스부재와 결합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케이스부재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몸체부가 결합되며 외부로 가스를 주입 및 배출할 수 있는 관로가 형성된 내압용기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내압용기에서 누출된 가스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가스압력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압용기 가스누출감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내압용기 가스누출감지장치{PRESURE SENSING APPARATUS FOR GAS CASE }
본 발명은 가스압력감지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내압용기 가스누출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가스누출 및 폭발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미량의 가스가 누출되는 경우에도 조기에 가스의 누출을 감지하는 차량용 내압용기 가스누출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친환경 목적으로 압축천연가스(CNG) 버스(이하 "가스 차량"이라 한다.)의 도입이 증가하고 있다. 가스 차량의 가장 큰 문제점은 안전성이다. 지난 2010년 8월에도 운행중이던 가스 차량의 내압용기가 폭발하여 많은 인명사고를 일으켰다.
이러한 내압용기는 차량의 상, 하부에 부착된다. 차량의 하부는 노면의 이물질과 화학물질 및 빗물에 노출되기 때문에 내압용기가 쉽게 부식된다. 차량의 운행에 따라 정기적으로 내압용기를 검사하나, 내압용기의 부식 여부 및 안전성을 수시로 체크하기는 쉽지 않다.
특히, 여름과 같이 기온이 높을 경우 높은 내압에 의해서 내압용기의 안전성은 약해지게 된다.
내압용기에서 누출되는 가스는 인화성 물질과 접촉시 폭발하게 되어 인명사고를 일으킨다. 또한, 내압용기 내부의 높은 압력에 의해 내압용기가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승객의 안전과 직결되는 가스 차량의 폭발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안전장치가 필요하다.
그리고 현재 개발중인 수소 연료 전지차량은 수소압이 300mba~350mba의 고압이며, 수소의 확산 속도는 천연가스의 6배 헬륨의 2.7배로 내압용기 외부의 감지가 매우 어려우며, 밀폐된 케이스 내부에서 감지할 때, 감지가 용이하다. 특히 수소가스는 공기중에 4% 이상이면 폭발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압축천연가스 및 압축 수소가스를 사용하는 차량에 있어 안전에 가장 문제가 되는 내압용기의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용 내압용기 가스누출감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량의 가스가 유출되더라도 이를 감지하는 차량용 내압용기 가스누출감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압용기 및 케이스의 균열까지 쉽게 감지하는 차량용 내압용기 가스누출감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압용기에 충격이 가지 않도록 하는 차량용 내압용기 가스누출감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케이스부재, 상기 제1 케이스부재와 결합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케이스부재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몸체부가 결합되며 외부로 가스를 주입 및 배출할 수 있는 관로가 형성된 내압용기와;
상기 내압용기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주입되며, 대기압보다 낮도록 충진된 부식방지 가스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부식방지 가스의 압력변화가 발생시 이를 감지하는 가스압력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압용기 가스누출감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내벽과 상기 내압용기의 외벽에 띠의 형태로 개재되어, 상기 제1케이스부재의 내부와 상기 제2 케이스부재의 내부공간을 일부 구간을 제외하고 차단하는 차단부재와;
상기 제1 케이스부재에 형성된 테스트 가스 유입관과;
상기 제2 케이스부재에 형성된 테스트 가스 유출관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내압용기 가스누출감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테스트 가스 유출관에는 안전밸브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압용기 가스누출감지장치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내압용기의 직접충격 및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미량의 가스가 누출되더라도 이를 조기에 감지하는 차량용 내압용기 가스누출감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압용기의 부식을 방지하는 차량용 내압용기 가스누출감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스통 케이스의 훼손을 조기발견 할 수 있다
또한, 가스통 부식을 방지하므로 가스통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차량용 내압용기 가스누출 감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압용기 및 케이스의 균열까지 쉽게 감지하는 차량용 내압용기 가스누출감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압용기에 충격이 가지 않도록 하는 차량용 내압용기 가스누출감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압용기 가스누출감지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압용기 가스누출감지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의 단면도.
도 5는 도 2의 C-C'의 단면도.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써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압용기 가스누출감지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압용기 가스누출감지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B-B'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C-C'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차량용 내압용기 가스누출감지장치(10)는, 제1 케이스부재(111), 상기 제1 케이스부재(111)와 결합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케이스부재(112)를 포함하는 케이스(11)와; 상기 내압용기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주입되며, 대기압보다 낮도록 충진된 부식방지 가스(G)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부식방지 가스의 압력변화가 발생시 이를 감지하는 가스압력감지센서(161)를 포함한다.
케이스(11)는 제1 케이스부재(111)와 제2 케이스부재(112)를 포함한다. 제1 케이스부재(111)와 제2 케이스부재(112)가 맞물려 결합되어 밀폐될 경우, 내부공간이 확보된다. 이 내부공간에는 내압용기(12)의 몸체부가 결합될 수 있다. 내압용기(12)의 관로는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케이스(11)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1 케이스부재(111)와 제2 케이스부재(112)는 본 실시예와 같이 대칭적인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부재(111)는 컵의 형상이며, 제2 케이스부재(112)는 컵의 상부를 덮는 커버의 형태일 수도 있다.
* 제1 케이스부재(111)와 제2 케이스부재(112)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밀폐용으로 씰링부재가 개재될 수도 있다.
제1 케이스부재(111)와 제2 케이스부재(112)가 결합됨으로써 형성된 내부공간에는, 내압용기(12)가 결합될 수 있다. 내압용기(12)는 압축천연가스를 저장할 수 있는 용기이다.
케이스(11)와 내압용기(12) 사이에는 부식방지 가스(G)가 저장되어 있다. 부식방지 가스(G)는 질소와 같이, 반응성이 없는 가스이다. 부식방지 가스(G)는 대기압보다 낮은 상태로 충진되는 것이 좋다.
케이스(11)에는 가스압력감지센서(161)가 결합된다. 가스압력감지센서(161)는 부식방지 가스(G)의 압력을 감지하여, 기준을 벗어나는 압력을 감지할 경우 압력 알람부(171)를 작동시킨다.
만약, 내압용기(12)에 균열이 발생하였을 경우, 고압의 압축 천연가스가 세어나오며, 이 고압의 압축 천연가스는 케이스(11)의 압력을 증가시킨다. 가스압력감지센서(161)는 이를 감지하여 적색의 경고등과 경고음으로 압력 알람부(171)를 작동시킨다.
반면, 케이스(11)에 균열이 발생하면, 대기의 공기가 케이스(11)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고, 케이스(11)의 내부는 대기압과 거의 동일하게 된다. 이때, 가스압력감지센서(161)는 이를 감지하여 녹색의 경고등과 경고음으로 압력 알람부(171)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차량 관리자는 압력 알람부(171)의 경고음과 경고등으로 내압용기(12)에 균열이 생겼는지, 케이스(11)에 균열이 생겼는지 바로 확인할 수 있어, 이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케이스(11)에는 가스누출감지센서(162)가 결합될 수 있다. 가스누출감지센서(162)는 케이스(11)의 내부공간에 압축 천연가스가 누출되었는 지 감지한다. 즉, 내압용기(12)에 크랙이 발생하여 가스가 누출될 경우 밀폐된 케이스(11)의 내부에 압축 천연가스가 머물게 되고, 이 압축천연가스를 가스누출감지센서(162)가 감지한다. 따라서, 미량의 압축 천연가스가 누출되더라도 내부에 축적되므로 가스누출감지센서(162)는 이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종래에는 내압용기(12)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가스가 누출되더라도 주변으로 휘발되기 때문에 가스압력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내압용기(12)에서 누출된 가스가, 케이스(11)의 내부에 있기 때문에 미량의 가스가 노출되더라도 가스누출감지센서(162)는 이를 쉽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가스누출감지센서(162)가 가스를 감지하면, 가스 알람부(172)를 작동시킨다.
내압용기(12)의 외벽과 케이스(11)의 내벽이 접촉하지 않도록, 케이스(11)의 내벽에는 완충돌기(13)가 돌출될 수 있다. 완충돌기(13)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탄성력이 있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케이스(11)의 내벽과 상기 내압용기(12)의 외벽 사이에 일부구간이 단란된 상태로 띠의 형태로 차단부재(14)가 개재된다. 차단부재(14)는 제1 케이스부재(111)의 내부와 상기 제2 케이스부재(112)의 내부공간을 차단하되, 도 3과 같이 일부 구간이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개방된 부분으로는 공기가 흐를 수 있다. 제1 케이스부재(111)에는 테스트 가스 유입관(151)이 형성되며, 제2 케이스부재(112)에는 테스트 가스 유출관(152)이 형성된다. 또한, 테스트 가스 유출관(152)에는 안전밸브가 형성된다.
가스누출감지센서(162)가 올바르게 작동하는지 여부는 주기적으로 테스트되어야 한다. 따라서, 테스트 가스(예를 들어 CNG)를 테스트 가스 유입관을 통하여 케이스(11)의 내부로 주입시킨다. 테스트가 끝난 이후에는 테스트 가스를 모두 외부로 배출하여야 한다. 이때, 케이스 내부가 미로와 같이 구획되지 않으면, 케이스 내부의 일부 영역에 테스트 가스가 남아있게 되고, 이후 이러한 잔여 테스트 가스는 가스누출감지센서(162)를 오작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차량용 내압용기 가스누출감지장치(10)는 케이스(11)로 커버되어 있어서, 차량의 하부에 장착되어도 내압용기(12)가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된다. 또한, 내압용기(12)에서 가스가 조금만 누출되더라도, 내압용기(12)와 케이스(11) 사이에 가스가 존재하기 때문에 가스누출감지센서(162)가 이를 쉽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차단부재(14)로 내압용기와 케이스 내부를 미로와 같이 구획시킴으로써, 테스트 가스를 주입시킨 후, 쉽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2의 B-B'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C-C'의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차량용 내압용기 가스누출감지장치(10)의 케이스(11)의 내벽과 내압용기(12)의 외벽이 차단부재(14)로 인하여 막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반면, 도 3은 도 2의 A-A'의 단면도로서, 도 2를 보면 차단부재(14)가 내압용기(12)와 케이스(11)의 내벽 사이에 개재되지 않아서, 내압용기(12)와 케이스(11) 사이에 기류의 흐름이 원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테스트 가스 유입관(151)으로 들어온 테스트 가스는 도 3의 영역을 거쳐 테스트 가스 유출관(152)으로 이동하여 배출될 수 있다. 테스트 가스 유입관(151)과 테스트 가스 유출관(152)이 케이스(11)의 한쪽에 있어야만, 버스에 설치된 케이스(11)의 내부에 테스트 가스를 주입하고 배출하기 좋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로써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를 바탕으로 균등한 범위까지 당업자가 변형 및 추가하는 범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차량용 내압용기 가스누출감지장치(10) 제1 케이스부재(111)
제2 케이스부재(112) 케이스(11)
내압용기(12) 완충돌기(13)
차단부재(14) 가스누출감지센서(162)
테스트 가스 유입관(151) 테스트 가스 유출관(152)

Claims (1)

  1. 제1 케이스부재, 상기 제1 케이스부재와 결합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케이스부재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몸체부가 결합되며 외부로 가스를 주입 및 배출할 수 있는 관로가 형성된 내압용기와;
    상기 내압용기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주입되며, 대기압보다 낮도록 충진된 부식방지 가스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부식방지 가스의 압력변화가 발생시 이를 감지하는 가스압력감지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케이스부재에 형성된 테스트 가스 유입관과;
    상기 제2 케이스부재에 형성된 테스트 가스 유출관과;
    상기 케이스의 내벽과 상기 내압용기의 외벽 사이에 일부구간이 단락된 상태로 띠의 형태로 개재되는 차단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내벽에 돌출된 완충돌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압용기 가스누출감지장치.
KR1020130004380A 2013-01-15 2013-01-15 차량용 내압용기 가스누출감지장치 KR201300254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380A KR20130025417A (ko) 2013-01-15 2013-01-15 차량용 내압용기 가스누출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380A KR20130025417A (ko) 2013-01-15 2013-01-15 차량용 내압용기 가스누출감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370A Division KR101256742B1 (ko) 2011-01-17 2011-01-17 차량용 내압용기 가스누출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417A true KR20130025417A (ko) 2013-03-11

Family

ID=48177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4380A KR20130025417A (ko) 2013-01-15 2013-01-15 차량용 내압용기 가스누출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541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3906B1 (ko) 배출관 케이스가 결합된 차량용 내압용기 가스감지장치
TWI584842B (zh) 用於火焰抑制劑鑲板之方法及裝置
US11156369B2 (en) Moisture detecting air cap indicator for expansion tank failure
KR101256742B1 (ko) 차량용 내압용기 가스누출감지장치
KR100973150B1 (ko) 이차 봉쇄 캡 장치
AU2009267648B2 (en) Leakage self-help container for stocking hazardous chemical products
KR102287932B1 (ko) 가스유출 감지기능을 갖는 씰, 이를 구비한 고압가스용기 및 고압가스용기의 가스유출 모니터링 시스템
US8800588B2 (en) Glass bulb thermally-activated pressure relief device, safety inspection method, and equipment
KR20130025417A (ko) 차량용 내압용기 가스누출감지장치
KR20130020818A (ko) 차량용 내압용기 가스누출감지장치
KR101315705B1 (ko) 차량용 가스감지장치
KR20140099652A (ko) 배출관 케이스가 결합된 차량용 내압용기 가스누출감지장치
CN202229894U (zh) 检漏装置
CN104890503A (zh) 叉车用cng储气系统
CN211693624U (zh) 一种改进的气体压力报警闭锁装置
CN209080514U (zh) 一种化工原料密封储存装置
CN207848944U (zh) 一种储罐及lng供气系统
CN207088987U (zh) 汽车燃油箱密封装置及汽车
KR20030092281A (ko) 차량의 이중 자동 연료 차단 장치
KR20210044410A (ko) 가스 회수기능이 구비된 안전 방압장치
CN211309650U (zh) 双层防爆装式加油罐体
CN217311703U (zh) 一种容器阀及应用其的灭火装置
JP4609709B2 (ja) 高圧ガス充填装置
KR20230094653A (ko) 고압가스 저장탱크용 화재 방지 시스템
JPH10258893A (ja) 燃料タンクおよび燃料タンクの保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