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4580A - 이동 단말기 및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4580A
KR20130024580A KR1020110088112A KR20110088112A KR20130024580A KR 20130024580 A KR20130024580 A KR 20130024580A KR 1020110088112 A KR1020110088112 A KR 1020110088112A KR 20110088112 A KR20110088112 A KR 20110088112A KR 20130024580 A KR20130024580 A KR 20130024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ch icon
quick launch
icon group
quick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3519B1 (ko
Inventor
강유진
이정욱
차재욱
정재훈
강신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088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3519B1/ko
Publication of KR20130024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이동 단말기 및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이동 단말기는 터치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디스플레이부가 홈스크린을 출력하고, 자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빠른 실행을 위하여 제1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을 포함하는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 영역을 홈스크린의 하단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 영역은 숨겨진 제2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을 호출하는 히든 그룹 호출 버튼을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히든 그룹 호출 버튼이 입력되면, 제1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을 제2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이동 단말기의 바탕화면을 표시하는 방법과 장치에 관한 특허문헌이 있으며, 규격 바탕화면과 가변 바탕화면이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KR 1039894 B1 2011. 06. 01 도면 3, 4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서 자주 쓰는 어플리케이션의 빠른 실행을 위한 아이콘 표시 영역을 홈스크린 하단에 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터치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홈스크린을 출력하고, 자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빠른 실행을 위하여 제1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을 포함하는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 영역을 상기 홈스크린의 하단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 영역은 숨겨진 제2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을 호출하는 히든 그룹 호출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든 그룹 호출 버튼이 입력되면, 상기 제1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을 상기 제2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홈스크린을 출력하는 단계, 자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빠른 실행을 위하여 제1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 숨겨진 제2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을 호출하는 히든 그룹 호출 버튼을 포함하는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 영역을 상기 홈스크린의 하단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히든 그룹 호출 버튼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1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을 상기 제2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서 자주 쓰는 어플리케이션의 빠른 실행을 위한 아이콘 표시 영역을 배경화면과 오버레이(overlay)되도록 홈스크린 하단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는 이동 단말기가 출력하는 홈스크린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숨겨진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의 표시 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빠른 실행 아이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 영역의 자동 숨김 기능을 예시한 도면.
도 6은 빠른 실행 아이콘의 설정을 예시한 도면.
도 7은 빠른 실행 아이콘의 삭제를 예시한 도면.
도 8을 빠른 실행 아이콘의 추가를 예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 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서, 그 구현 방식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입력부(130)는 복수의 조작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조작 유닛들은 키 패드(key pad), 터치 패드(정압/정전), 휠 키, 조그 스위치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특히, 최근, 이동 단말기(100)는 터치 스크린 방식을 채용한 풀 터치 방식에 의하는 것이 일반적인 바,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후술할 디스플레이부(151)와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화면의 전면(全面)을 통해 소트프 키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홀드가 해제되면, 디스플레이부(151)가 홈스크린를 출력하고, 자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빠른 실행을 위하여 상기 홈스크린의 하단에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을 포함하는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 영역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를 일 예로 들어 전반적 설명을 하였는 바, 이하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이동 단말기가 출력하는 홈스크린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패널(panel)을 제공하며, 복수의 패널 중에서 미리 설정된 대표 패널을 홈스크린으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기본 7개, 최대 9개의 패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 중 2개는 기본으로 제공되는 특화 패널이고, 나머지 패널은 사용자 패널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패널은 대표 패널의 설정을 위하여 최소 1개는 미리 설정되어야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홈스크린은 홈스크린 상단에 표시되는 제어 영역(1), 컨텐츠 영역(2),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 영역(3) 및 시스템 바(4)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영역(1)은 자주 쓰는 기능의 빠른 실행과 타이틀(title) 표시를 위하여 홈스크린의 상단에 타이틀 표시 영역과 하나 이상의 제어 버튼을 포함하는 바(bar) 형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컨텐츠 영역(2)은 위젯(Widget), 숏컷(Shortcut), 배경화면 등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 영역(3)은 자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빠른 실행을 위하여 해당 아이콘들의 그룹이 표시되는 영역으로,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10) 및 히든(Hidden) 그룹 호출 버튼(20)을 포함한다. 시스템 바(4)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소형 제어판(Mini Controller), 표시자(Indicator), 상태(Status) 등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여기서, 제어 영역(1) 및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 영역(3)은 배경화면에 오버레이되어 표시된다.
도 3은 숨겨진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의 표시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 영역(3)은 이동 단말기(100)의 홀드 해제 후에 홈스크린이 출력된 상태에서는 제1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11) 및 히든 그룹 호츨 버튼(20)이 표시된다. 이후, 히든 그룹 호출 버튼(20)이 입력되면,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 영역(3)은 제1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11)이 제2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12)으로 전환되어 표시된다. 이때, 제1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11)과 제2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12)은 상하로 회전하는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11)에서 제2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12)으로의 전환은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효과가 적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제2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12)은 제1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11)의 뒤에 숨겨져 있다가, 히든 그룹 호출 버튼(20)이 입력되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앞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11)은 제2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12)의 회전 방향과 동일하게 회전하여 뒤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11)은 제2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12)의 뒤에 숨겨지게 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 1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11)이 제2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12)으로 전환 표시된 경우, 제2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12)으로서 표시될 수 있는 총 6개의 빠른 실행 아이콘이 별도로 설정(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있지 않은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2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12)으로 이용될 빠른 실행 아이콘들을 선택(설정)하여 둔 경우에는 그 선택된 빠른 실행 아이콘들이 표시될 것임은 자명하다.
도 4는 빠른 실행 아이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 영역(3)의 각 빠른 실행 아이콘은 그림자 효과가 적용되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빠른 실행 아이콘에 대하여 터치 및 상측으로의 드레그(drag)가 입력되면, 빠른 실행 아이콘의 최근 이용 정보(40)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Call" 아이콘에 대하여 터치 및 드레그(30)가 입력된 경우, 최근 통화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 영역의 자동 숨김 기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 영역(3)은 자동 숨김 기능이 미리 설정된 경우, 빈 영역으로 표시하고, 빈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이 발생하면,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10) 및 히든 그룹 호출 버튼(20)이 표시된다.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 영역(3)은 자동 숨김 기능에 따라 다시 빈 영역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빠른 실행 아이콘의 설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10)은 빠른 실행 아이콘이 0개에서 최대 6개까지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설정된 복수의 빠른 실행 아이콘은 중앙을 중심으로 정렬될 수 있다.
도 7은 빠른 실행 아이콘의 삭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a)에서, 특정 빠른 실행 아이콘이 롱 탭(Long Tap)되고, (b)에서와 같이,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 영역(3) 밖(즉, 컨텐츠 영역(2))으로 드레그되면, (c)에서와 같이, 빠른 실행 아이콘은 컨텐츠 영역(2)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10)은 (d) 및 (e)에서와 같이 중앙 정렬된다.
도 8을 빠른 실행 아이콘의 추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a)에서와 같이, 컨텐츠 영역(2)에서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 영역에 해당하는 아이콘이 롱 탭(Long Tap)되고, (b)에서와 같이,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 영역(3)으로 드레그되면, (c)와 같이,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10)은 드레그된 아이콘의 위치를 중심으로 밀려 자동 정렬된다. 그리고, (d)와 같이, 해당 아이콘이 드레그되어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10) 내에서 이동되면, (e) 및 (f)에서와 같이, 해당 아이콘의 드레그된 위치에 따라 나머지 아이콘들이 자동 정렬되어 위치가 변경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터치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홈스크린을 출력하고, 자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빠른 실행을 위하여 제1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을 포함하는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 영역을 상기 홈스크린의 하단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 영역은 숨겨진 제2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을 호출하는 히든 그룹 호출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든 그룹 호출 버튼이 입력되면, 상기 제1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을 상기 제2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환 시, 상기 제1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과 상기 제2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이 상하로 회전하는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빠른 실행 아이콘에 대하여 터치 및 상측으로의 드레그가 입력되면, 상기 빠른 실행 아이콘의 최근 이용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 영역은 자동 숨김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 숨김 기능이 미리 설정된 경우, 상기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 영역은 빈 영역으로 표시하고, 상기 빈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제1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 및 상기 히든 그룹 호출 버튼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이동 단말기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홈스크린을 출력하는 단계;
    자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빠른 실행을 위하여 제1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 숨겨진 제2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을 호출하는 히든 그룹 호출 버튼을 포함하는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 영역을 상기 홈스크린의 하단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히든 그룹 호출 버튼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1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을 상기 제2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을 상기 제2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과 상기 제2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이 상하로 회전하는 형태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빠른 실행 아이콘에 대하여 터치 및 상측으로의 드레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빠른 실행 아이콘의 최근 이용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 영역에 대한 자동 숨김 기능이 설정되는 단계;
    상기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 영역을 빈 영역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빈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받는 단계; 및
    상기 제1 빠른 실행 아이콘 그룹 및 상기 히든 그룹 호출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20110088112A 2011-08-31 2011-08-31 이동 단말기 및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1453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112A KR101453519B1 (ko) 2011-08-31 2011-08-31 이동 단말기 및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112A KR101453519B1 (ko) 2011-08-31 2011-08-31 이동 단말기 및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580A true KR20130024580A (ko) 2013-03-08
KR101453519B1 KR101453519B1 (ko) 2014-10-27

Family

ID=48176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112A KR101453519B1 (ko) 2011-08-31 2011-08-31 이동 단말기 및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35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60117A (zh) * 2015-09-30 2016-01-2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应用程序控制方法及装置
CN106572250A (zh) * 2016-10-31 2017-04-1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清理移动终端后台应用程序的方法及装置
CN106815041A (zh) * 2016-11-24 2017-06-09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任务管理器中应用程序入口信息的加载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176B1 (ko) * 2008-08-12 2015-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정보 전송 방법
KR20110062569A (ko) * 2009-12-03 2011-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393942B1 (ko) * 2010-01-29 2014-06-30 주식회사 팬택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60117A (zh) * 2015-09-30 2016-01-2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应用程序控制方法及装置
CN106572250A (zh) * 2016-10-31 2017-04-1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清理移动终端后台应用程序的方法及装置
CN106815041A (zh) * 2016-11-24 2017-06-09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任务管理器中应用程序入口信息的加载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3519B1 (ko) 2014-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2726B2 (en) Mobile terminal,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519452B2 (en) Mobile terminal and corresponding display device with associated zooming features
EP3033837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20088548A1 (en) Mobile terminal,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001903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20038679A1 (en) Mobile terminal,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8990731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59203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화면 분할 방법
EP2824556A1 (en) Customisable navigation menu in a mobile terminal
EP2827236A1 (en) Mobile terminal
US8583178B2 (en) Mobile terminal,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2018424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930472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20120166975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459708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564108B1 (ko) 듀얼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아이템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40014795A (ko) 단말 장치 및 이의 필기 공유 방법
KR101980704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50883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59099B1 (ko)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453519B1 (ko) 이동 단말기 및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00078413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53518B1 (ko) 이동 단말기 및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4013305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64110B1 (ko) 명령어 입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