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3875A - 클로로겐산을 포함하는 청신경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클로로겐산을 포함하는 청신경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3875A
KR20130023875A KR1020110086948A KR20110086948A KR20130023875A KR 20130023875 A KR20130023875 A KR 20130023875A KR 1020110086948 A KR1020110086948 A KR 1020110086948A KR 20110086948 A KR20110086948 A KR 20110086948A KR 20130023875 A KR20130023875 A KR 20130023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ogenic acid
auditory
neuropathy
sound
diab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8948B1 (ko
Inventor
강동호
홍빛나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86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8948B1/ko
Publication of KR20130023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3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16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benactizyne, clofibr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를 포함하는 청신경병증(Auditory neuropathy)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청신경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함유되는 상기 클로로겐산은 청신경병증으로 인한 청신경 손상을 효과적으로 억제 또는 회복하며, 따라서, 청신경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다.

Description

클로로겐산을 포함하는 청신경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uditory neuropathy comprising chlorogenic acid}
본 발명은 클로로겐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청신경병증(Auditory neuropathy)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청각 기관인 귀는 크게 외이, 중이, 내이로 구성되어 있다. 말초 청각기관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외이는 귓바퀴와 외이도 이루어져 있으며, 귓바퀴는 주로 소리의 방향성을 구별할 수 있게 하고, 외이도은 단순히 소리를 전달하는 통로의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라 공명기관의 역할을 하여 소리가 더 크게 들릴 수 있도록 한다. 중이는 외이와 내이 사이에 있으며 외이도를 통해 들어온 음파를 고막, 이소골 연쇄를 통하여 내이에 전달하는 역할과 증폭기로써 소리가 더 크게 전달되도록 한다. 내이는 중이의 안쪽에 있으며 청각과 평형감각의 수용기가 있다.
이는 달팽이관, 전정, 반규관의 세부분으로 구분된다. 외부에서 들어온 소리 자극이 외이, 중이를 거쳐 달팽이관에서 감지되고 이 때 소리는 전기에너지로 바뀌게 된다. 전기에너지로 바뀐 소리 자극은 청신경을 거쳐 뇌의 청각중추로 전달되어 소리로써 인식하게 된다. 이때 청신경에 문제가 발생하여 정상적인 소리신호를 전달하지 못하게 되면 청신경병증으로 분류한다.
일반적으로 신경병증이란 신경계의 구조적 혹은 기능적 이상으로 발생되는 질환이다. 신경병증의 원인은 다양하나 주로 대사성 질환(당뇨병, 신부전증, 갑상선 기능저하증), 독성물질중독(납, 유기용매), 영양결핍(비타민 부족, 알코올중독), 결체조직질환(류마티스성 관절염, 전신성 홍반성 낭창 등), 염증성 질환(길랑-바레 증후군), 유전성 신경병 등이 요인이다.
현재까지 신경병증에 사용하는 약물은 주로 증상 개선에 사용하는 대증요법의 약물이며 근본적 치료제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알도스 리덕테이즈 저해제인 에팔레스탓(Epalrestat)이 미국 식품의약품안전국(FDA)으로부터 다발성 신경병증의 하나인 당뇨병성 신경병증에 대하여 유일하게 허가를 받은 바 있으나, 치료효과가 뚜렷하지 않아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Foster DW.,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3, p1979, 1999; Stephen LD, Applied Therapeutics: the clinical use of drugs. 6, p48.1-48.62, 1996).
청신경병증(Auditory neuropathy, 이하, 'AN'라고도 함)은 소리를 전달해주는 외이, 중이 그리고 소리를 감지해주는 달팽이관 내의 유모세포는 정상적인 기능을 하나, 청신경을 통해 뇌로 소리가 전달될 때 정상적으로 전달되지 않아 결국 소리를 정상적으로 이해하지 못하게 된다(Starr et al. Brain 119, p741-753, 1996). 청신경병증은 전체 감각신경성 난청 중 10%정도에 해당한다(Cheng ,Am J Med Genet , 2005). 청신경병증은 주로 양측성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했고, 병리적인 원인들에 대해서도 다양한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Yvonne는 AN의 40%는 유전에 의한 것이고, 약 20%는 독성대사성, 면역성, 감염성을 포함한 병리적인 원인이 20%이고 나머지 40%는 알 수 없는 원인에 의한 것이라고 보고했다(Yvonne S and Arnold S, Auditory neuropathy , p.38-40, 2001). 청신경은 말초신경의 하나로 말초신경병증에 의해 청신경병증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는데, 15세이상의 젊은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청신경병증 환자의 80%가 말초신경병증의 임상적 징후들이 함께 나타난다. 비유전성 청신경병증의 경우에 말초 신경병증을 일으키는 병리적인 원인들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데 면역질환, 다발성 경화증 그리고 당뇨병과 같은 대사성 질환이 그에 해당된다. 선행연구를 통해 저자들은 동물모델을 이용한 청신경병증 모델로써 당뇨로 인한 고혈당을 4주 이상 유지하는 경우 청신경병증 모델과, 비타민 B군에 속하는 피리독신(pyridoxin)의 고용량 장기 투여 시 5주 이후부터 청신경 손상이 나타나 청신경병증 동물모델을 보고하였다 (Hong BN et al., Neuroscience Letters, 431, pp268-272, 2008; Hong BN et al., Biol. Pharm. Bull. 32, p597-603, 2009). 청신경병증은 전기생리학적 측정 시 신경전달속도가 느려지고 또는 파형의 형태가 비정상적으로 관찰되는 것이 특징이다. 임상적으로 당뇨환자에게 청신경 손상으로 인한 장애가 흔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Tay HL et al., Clin . Otolaryngol . Allied Sci ., 20, pp130-134, 1995).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은 커피속에 다량 포함되어 있는 폴리페놀 화합물의 일종이며, 생체 내에서 과산화지질의 생성 억제효과, 콜레스테롤 생합성 억제 효과 및 항산화작용, 항암작용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알츠하이머병, 헌팅턴병, 파킨슨씨병과 같은 신경계 질환의 예방 내지 치료 효과를 나타내며(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8-0108796호, 2008.12.16.공개), 맥락막 혈관신생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8548호, 2010.1.26.공개).
본 발명자들은 안전성이 우수한 천연물을 대상으로 청신경병증를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활성성분을 다양하게 검색한 결과, 놀랍게도, 식물에 함유되어 있는 다양한 성분 중 플라보노이드계 성분인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이 청신경병증을 억제하는 성분임을 처음으로 밝혀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클로로겐산을 포함하는 청신경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클로로겐산을 포함하는 청신경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클로로겐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청신경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클로로겐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청신경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청신경병증(Auditory neuropathy)"라 함은, 청신경의 반응 진폭 또는 전달속도 등에 이상이 생기는 청신경 손상을 의미한다. 소리는 귓바퀴와 외이도를 통해 고막으로 전달되며, 고막으로 전달된 소리는 이소골의 연쇄적인 움직임으로 소리를 감지하는 청감각 세포가 있는 달팽이관을 자극하게 된다. 소리를 감지한 세포는 연결되어 있는 청신경에 소리를 전달하고 청신경은 뇌로 소리를 전달하게 된다. 이때 청신경에 병변이 있어 정상적인 소리신호를 전달하지 못하게 되면 청신경병증으로 분류한다. 청신경병증은 전체 감각신경성 난청 중 10%정도에 해당한다. 청신경병증의 병리적인 원인으로는 40%는 유전에 의한 것이고, 약 20%는 독성대사성, 면역성, 감염성을 포함한 병리적인 원인이 20%이고 나머지 40%는 알 수 없는 원인에 의한 것이라고 보고되어 있다. 청신경병증은 전기생리학적 측정시 청력역치가 증가하고, 청각 신경전달속도가 느려지고 또는 파형의 형태가 비정상적으로 관찰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클로로겐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청신경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클로로겐산은 폴리페놀의 일종인 화합물로서, 화학식명은 (1S,3R,4R,5R)-3-{[(2Z)-3-(3,4-dihydroxyphenyl)prop-2-enoyl]oxy}-1,4,5-trihydroxycyclohexanecarboxylic acid 로,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클로로겐산은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거나 [예를 들어, 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 또는 당 분야에 알려진 방법으로 합성할 수 있다. 클로로겐산의 과산화지질의 생성 억제효과, 콜레스테롤 생합성 억제 효과 및 항산화작용, 항암작용은 종래에 알려져 있었으나, 청신경변증 관련 작용효과는 밝혀진 바 없었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에 함유되는 클로로겐산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클로로겐산을 0.001 내지 50 중량% 이다.
본 발명의 클로로겐산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클로로겐산은 1일 0.0001 내지 1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00 mg/kg의 용량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상기 투여는 하루에 한번 또는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내 유효성분으로 함유되는 클로로겐산은 약제학적으로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등과 함께 제제화할 수 있으며, 제제화에 관한 내용은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등의 문헌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형태로써, 본 발명에 따른 클로로겐산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한다.
경구용 고형 제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경구용 액상 제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을 포함하며, 물, 리퀴드 파라핀 등의 희석제,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용 제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를 포함하며, 비수성 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류 등을 포함한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랫트, 마우스,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예를 들면, 경구로, 또는 복강내, 직장내, 정맥내, 근육내,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로로겐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청신경병증(Auditory neuropathy)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정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들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청신경병증의 예방 및/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클로로겐산을 0.01 내지 95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 중량백분율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청신경병증의 예방 및/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음료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클로로겐산,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의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적당한 제피제로 제피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캅셀제는 통상의 경질캅셀에 상기 클로로겐산 및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의 혼합물 또는 그의 입상물 또는 제피한 입상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캅셀제는 클로로겐산과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의 혼합물을 젤라틴 등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클로로겐산,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의 혼합물을 적당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적당한 제피제로 제피를, 또는 전분, 탈크 또는 적당한 물질로 환의를 입힐 수도 있다.
과립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클로로겐산,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의 혼합물을 적당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과립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12호 (1680 μm), 14호 (1410 μm) 및 45호 (350 μm) 체를 써서 다음 입도시험을 할 때에 12호체를 전량 통과하고 14호체에 남는 것이 전체량의 5.0 %이하이고 또 45호체를 통과하는 것은 전체량의 15.0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교미제, 착향제 등에 대한 용어 정의는 당업계에 공지된 문헌에 기재된 것으로 그 기능 등이 동일 내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 (대한약전 해설편, 문성사, 한국약학대학협의회, 제 5 개정판, p33-48, 1989).
본 발명에 따른 클로로겐산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청신경병증을 효과적으로 예방, 억제 내지 치료하여 청신경병증으로 인한 청신경의 반응 감소와 전달속도의 지연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클로로겐산은 청신경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다. 또한, 상기 클로로겐산은 경구투여가 가능하여 환자의 복약 순응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당뇨병으로 유발한 청신경병증 동물 모델에서 청력역치(클릭 사용) 평가 시 클로로겐산의 영향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Normal: 정상, DM:당뇨마우스-대조군, DM-CA: 클로로겐산 투여군-실험군).
도 2는 당뇨병으로 유발한 청신경병증 동물 모델에서 청력역치(4 kHz tone burst 사용) 평가 시 클로로겐산의 영향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Normal: 정상, DM:당뇨마우스-대조군, DM-CA: 클로로겐산 투여군-실험군).
도 3은 당뇨병으로 유발한 청신경병증 동물 모델에서 청력역치(8 kHz tone burst 사용) 평가 시 클로로겐산의 영향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Normal: 정상, DM:당뇨마우스-대조군, DM-CA: 클로로겐산 투여군-실험군).
도 4는 당뇨병으로 유발한 청신경병증 동물 모델에서 파간 잠복기(클릭 사용) 평가 시 클로로겐산의 영향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Normal: 정상, DM:당뇨마우스-대조군, DM-CA: 클로로겐산 투여군-실험군).
도 5는 당뇨병으로 유발한 청신경병증 동물 모델에서 파간 잠복기(4 kHz tone burst 사용) 평가 시 클로로겐산의 영향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Normal: 정상, DM:당뇨마우스-대조군, DM-CA: 클로로겐산 투여군-실험군).
도 6은 당뇨병으로 유발한 청신경병증 동물 모델에서 파간 잠복기(8 kHz tone burst 사용) 평가 시 클로로겐산의 영향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Normal: 정상, DM:당뇨마우스-대조군, DM-CA: 클로로겐산 투여군-실험군).
도 7은 당뇨병으로 유발한 청신경병증 동물 모델에서 청성 중기 반응의 Pa 진폭 평가 시 클로로겐산의 영향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Normal: 정상, DM:당뇨마우스-대조군, DM-CA: 클로로겐산 투여군-실험군).
도 8은 당뇨병으로 유발한 청신경병증 동물 모델에서 청성 중기 반응의 Pa 잠복기 평가 시 클로로겐산의 영향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Normal: 정상, DM:당뇨마우스-대조군, DM-CA: 클로로겐산 투여군-실험군).
이하, 본 발명을 시험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시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시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시험예 ]
시험예 1. 청신경병증 동물 모델에서 클로로겐산의 효과 확인- 청력역치(클릭 사용)평가
선행연구를 통하여 동물모델을 이용한 실험에서 청신경병증의 모델로써 당뇨로 인한 고혈당을 4주 이상 유지하는 경우 청신경병증이 나타났으며, 비타민 B군에 속하는 피리독신(pyridoxin)의 고용량 장기 투여 시 5주 이후부터 청신경 손상이 나타나 청신경병증 동물모델을 보고하였다(Hong BN et al., Neuroscience Letters, 431, pp268-272, 2008; Hong BN et al., Biol . Pharm . Bull. 32, p597-603, 2009).
본 실험을 위하여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 120 mg/kg로 당뇨를 유발한 ICR 마우스에서 클릭 자극음으로 평가한 청성 뇌간 반응의 청력역치를 측정하여, 청신경병증에 있어서 클로로겐산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청성뇌간반응(auditory brainstem response, ABR) 측정은 소리자극이 청신경에서 전기적인 신호로 전달될 때, 외부 전극을 통해 청신경의 전기적인 에너지를 측정하여 소리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소리가 외이와 중이 그리고 달팽이관을 거쳐 청신경에 도달했을 때의 반응은 외이, 중이, 달팽이관의 상태를 모두 반영하는 것이다. 청력역치라 함은 겨우 들을 수 있는 소리의 최소 감각지점을 말하는 것으로 정상 마우스의 경우 평균적으로 20 dB의 작은 소리에서도 반응이 관찰된다. 일반적으로 청력역치가 25 dB 이상이면 일상적인 대화에 경미한 장애가 있고, 40 dB 이상이면 보청기 같은 보조도구가 필요한 상태로 간주하며, 60 dB 이상이면 일상적인 대화음을 들을 수 없는 상태로 보청기 같은 보조도구 없이는 일상 대화가 불가능한 것으로 간주한다. 90 dB 이상이면 소리에 대한 변별력이 전혀 없는 농(deaf)으로 분류한다.
청신경병증을 유발한 동물모델로써 당뇨를 유발한 수컷 7주령 ICR 마우스에 대조군으로 비히클(증류수; DM), 실험군으로 클로로겐산(DM-CA)을 각각 투여하였다. 그리고 비교를 위하여 당뇨를 유발하지 않은 정상 ICR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당뇨마우스는 공복시 혈당이 200 mg/dl 이상을 1주일간 유지하는 마우스만을 선택하여 1주 후부터 비히클과 클로로겐산(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 10 mg/kg를 하루 한번 경구 투여하였다. 비히클과 클로로겐산 투여 전(0주)과 투여 후 4, 8주에 각각 검사하였다.
청성 뇌간 반응 검사는 케타민(ketamine, 4.57 mg/kg)과 실라진(xylazine, 0.43 mg/kg)을 마우스에게 근육 주사하여 마취시킨 뒤 체온 37±0.5 ℃를 유지시키면서 평가하였다. 청성 뇌간 반응 검사 시 소리 자극음은 광대역 주파수를 포함하는 클릭(click)으로 90 dB부터 점차적으로 5 dB씩 소리를 낮춰가며 평가했으며 반응이 나오는 가장 작은 소리를 역치로 하였다. 그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당뇨마우스(DM)의 4주와 8주 청력 역치는 각각 36 dB와 59 dB로 주령이 증가할수록 역치가 유의적으로 높아진 반면, 클로로겐산 투여군(DM-CA)의 경우 역치가 각각 24 dB와 20 dB로 당뇨 마우스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투여 기간이 증가할수록 더 낮게 나타났다. 이는 클로로겐산 투여에 의하여 청신경병증으로 인한 청력 역치 증가가 효과적으로 억제됨을 확인한 것으로, 클로로겐산 투여가 청신경병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시험예 2. 청신경병증 동물 모델에서 클로로겐산의 효과 확인-청력역치(4 kHz tone burs 사용)평가
본 시험은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 120 mg/kg로 당뇨를 유발한 ICR 마우스에서 4 kHz tone burst 자극음으로 평가한 청성 뇌간 반응의 청력역치를 측정하여 청신경병증에 있어서 클로로겐산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청성 뇌간 반응 검사시 자극음은 4 kHz tone burst로 70 dB부터 점차적으로 5 dB씩 소리를 낮춰가며 평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시험예 1과 동일하게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당뇨마우스(DM)의 4주와 8주 청력 역치는 각각 42 dB와 70 dB로 유의적으로 높아진 반면, 클로로겐산 투여군(DM-CA)의 경우 역치가 각각 26 dB와 25 dB로 클로로겐산 투여 기간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역치가 낮아졌으며 정상(Normal) 마우스 들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클릭 자극음과 마찬가지로 4 kHz TB 자극음의 경우에도 클로로겐산이 청신경병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시험예 3. 청신경병증 동물 모델에서 클로로겐산의 효과 확인-청력역치(8 kHz tone burs 사용)평가
본 시험은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 120 mg/kg로 당뇨를 유발한 ICR 마우스에서 8 kHz tone burst 자극음으로 평가한 청성 뇌간 반응의 청력역치를 측정하여 청신경병증에 있어서 클로로겐산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청성 뇌간 반응 검사시 자극음은 8 kHz tone burst로 70 dB부터 점차적으로 5 dB씩 소리를 낮춰가며 평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시험예 1과 동일하게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당뇨마우스(DM)의 4주와 8주 청력 역치는 각각 31 dB와 41 dB로 유의적으로 높아진 반면, 클로로겐산 투여군(DM-CA)의 경우 역치가 각각 8 dB와 7 dB로 클로로겐산 투여 기간이 증가할수록 역치가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클릭과 4 kHz TB 자극음 사용과 마찬가지로 8 kHz TB 자극음 사용 경우에도 클로로겐산이 청신경병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시험예 4. 청신경병증 동물 모델에서 클로로겐산의 효과 확인-파간 잠복기(클릭 사용)평가
본 시험은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 120 mg/kg로 당뇨를 유발한 ICR 마우스에서 클릭 자극음으로 평가한 청성 뇌간 반응의 wave I과 wave IV 간의 파간 잠복기(interpeak latency)를 측정하여 청신경병증에 있어서 클로로겐산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청성뇌간반응(auditory brainstem response, ABR) 측정은 소리자극이 청신경에서 전기적인 신호로 전달될 때, 외부 전극을 통해 청신경의 전기적인 에너지를 측정하여 소리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ABR 평가시 청신경의 각 위치에 따라 wave I부터 wave IV 까지가 관찰되는데, 이때 파간 잠복기 비교는 wave I부터 wave IV까지 소리가 전달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비교하는 것으로 당뇨병으로 유발한 청신경병증 마우스의 경우 고혈당 4주 후부터 파간 잠복기가 증가하게 된다.
청신경병증을 유발한 동물모델로써 당뇨를 유발한 수컷 7주령 ICR 마우스에 대조군으로 비히클(증류수; DM), 실험군으로 클로로겐산(DM-CA)을 각각 투여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당뇨를 유발하지 않은 정상 ICR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당뇨마우스는 공복시 혈당이 200 mg/dl 이상을 1주일간 유지하는 마우스만을 선택하여 1주 후부터 비히클과 클로로겐산 10 mg/kg를 하루 한번 경구 투여하였다. 비히클과 클로로겐산 투여 전(0주)과 투여 후 4, 8주에 각각 검사하였다.
청성 뇌간 반응 검사는 케타민(ketamine, 4.57 mg/kg)과 실라진(xylazine, 0.43 mg/kg)을 마우스에게 근육 주사하여 마취시킨 뒤 체온 37±0.5 ℃를 유지시키면서 평가하였다. 청성 뇌간 반응 검사 시 소리 자극음은 광대역 주파수를 포함하는 클릭(click)으로 90 dB로 평가했으며 wave I부터 wave IV 까지의 잠복기를 파간 잠복기로 하였다. 그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당뇨마우스(DM)의 4주와 8주 파간 잠복기는 주령이 증가할수록 길어진 반면, 클로로겐산 투여군(DM-CA)의 경우 파간 잠복기가 8주에 증가하기는 했으나 당뇨 마우스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는 클로로겐산 투여에 의하여 청신경병증으로 인한 청신경의 신호 전달속도(latency)의 지연이 효과적으로 억제됨을 확인한 것으로, 클로로겐산 투여가 청신경병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시험예 5. 청신경병증 동물 모델에서 클로로겐산의 효과 확인-파간 잠복기(4 kHz tone burs 사용)평가
본 시험은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 120 mg/kg로 당뇨를 유발한 ICR 마우스에서 4 kHz tone burst 자극음으로 평가한 청성 뇌간 반응의 wave I과 wave IV 간의 파간 잠복기(interpeak latency)를 측정하여 청신경병증에 있어서 클로로겐산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청성유발전위 검사시 자극음은 4 kHz tone burst로 70 dB를 사용하여 평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시험예 4와 동일하게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당뇨마우스(DM)의 4주와 8주 파간 잠복기는 유의적으로 증가한 반면, 클로로겐산 투여군(DM-CA)의 경우 파간 잠복기는 8주에만 길어졌으나 이는 당뇨마우스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정도였다. 클릭 자극음과 마찬가지로 4 kHz TB 자극음의 경우에도 클로로겐산이 청신경병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시험예 6. 청신경병증 동물 모델에서 클로로겐산의 효과 확인-파간 잠복기(8 kHz tone burs 사용)평가
본 시험은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 120 mg/kg로 당뇨를 유발한 ICR 마우스에서 8 kHz tone burst 자극음으로 평가한 청성 뇌간 반응의 wave I과 wave IV 간의 파간 잠복기(interpeak latency)를 측정하여 청신경병증에 있어서 클로로겐산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청성유발전위 검사시 자극음은 8 kHz tone burst로 70 dB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시험예 4와 동일하게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당뇨마우스(DM)의 4주와 8주 파간 잠복기는 길어진 반면, 클로로겐산 투여군(DM-CA)의 경우 파간 잠복기가 길어지기는 했으나 당뇨 마우스보다 짧게 나타났다. 클릭과 4 kHz TB 자극음 사용과 마찬가지로 8 kHz TB 자극음 사용 경우에도 클로로겐산이 청신경병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시험예 7. 청신경병증 동물 모델에서 클로로겐산의 효과 확인-중기반응 진폭 평가
본 시험은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 120 mg/kg로 당뇨를 유발한 ICR 마우스에서 클릭 자극음으로 평가한 청성 중기 반응의 Pa 진폭 (amplitude)를 측정하여 청신경병증에 있어서 클로로겐산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청성중기반응(auditory middle latency response, AMLR) 측정은 소리자극이 청신경을 지나 중뇌에 도달했을 때, 외부 전극을 통해 중뇌의 전기적인 에너지를 측정하여 소리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AMLR 평가시 20-30 ms 사이에 관찰되는 큰 파형을 Pa 반응이라 부르는데 Pa의 진폭은 전기적 에너지의 양과 비례하여 나타나게 된다. 이때, 청신경병증 마우스의 경우 Pa의 진폭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게 된다.
청신경병증을 유발한 동물모델로써 당뇨를 유발한 수컷 7주령 ICR 마우스에 대조군으로 비히클(증류수; DM), 실험군으로 클로로겐산(DM-CA)을 각각 투여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당뇨를 유발하지 않은 정상 ICR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당뇨마우스는 공복시 혈당이 200 mg/dl 이상을 1주일간 유지하는 마우스만을 선택하여 1주 후부터 비히클과 클로로겐산 10 mg/kg를 하루 한번 경구 투여하였다. 비히클과 클로로겐산 투여 전(0주)과 투여 후 4, 8주에 각각 검사하였다.
청성 중기 반응 검사는 케타민(ketamine, 4.57 mg/kg)과 실라진(xylazine, 0.43 mg/kg)을 마우스에게 근육 주사하여 마취시킨 뒤 체온 37±0.5 ℃를 유지시키면서 평가하였다. 청성 중기 반응 검사 시 소리 자극음은 광대역 주파수를 포함하는 클릭(click)으로 90 dB로 평가했으며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당뇨마우스(DM)의 4주와 8주 진폭은 각각 1.6 ㎂와 0.4 ㎂로 주령이 증가할수록 진폭이 낮아진 반면, 클로로겐산 투여군(DM-CA)의 경우 진폭이 각각 1.8 ㎂와 1.5 ㎂로 8주에는 당뇨 마우스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클로로겐산 투여에 의하여 청신경병증으로 인한 청신경의 전기적 반응 진폭(amplitude)의 손상이 효과적으로 억제됨을 확인한 것으로 클로로겐산 투여가 청신경병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시험예 8. 청신경병증 동물 모델에서 클로로겐산의 효과 확인-중기반응 잠복기 평가
본 시험은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 120 mg/kg로 당뇨를 유발한 ICR 마우스에서 클릭 자극음으로 평가한 청성 중기 반응의 Pa 잠복기 (latency)를 측정하여 청신경병증에 있어서 클로로겐산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청성중기반응(auditory middle latency response, AMLR) 측정은 소리자극이 청신경을 지나 중뇌에 도달했을 때, 외부 전극을 통해 중뇌의 전기적인 에너지를 측정하여 소리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AMLR 평가시 20-30 ms 사이에 관찰되는 큰 파형을 Pa 반응이라 부르는데 Pa의 잠복기는 소리 자극 후 소리가 중뇌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나타내게 된다. 이때, 청신경병증 마우스의 경우 Pa의 잠복기는 길어지는 것으로 나타나게 된다.
청신경병증을 유발한 동물모델로써 당뇨를 유발한 수컷 7주령 ICR 마우스에 대조군으로 비히클(증류수; DM), 실험군으로 클로로겐산(DM-CA)을 각각 투여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당뇨를 유발하지 않은 정상 ICR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당뇨마우스는 공복시 혈당이 200 mg/dl 이상을 1주일간 유지하는 마우스만을 선택하여 1주 후부터 비히클과 클로로겐산 10 mg/kg를 하루 한번 경구 투여하였다. 비히클과 클로로겐산 투여 전(0주)과 투여 후 4, 8주에 각각 검사하였다.
청성 중기 반응 검사는 케타민(ketamine, 4.57 mg/kg)과 실라진(xylazine, 0.43 mg/kg)을 마우스에게 근육 주사하여 마취시킨 뒤 체온 37±0.5 ℃를 유지시키면서 평가하였다. 청성 중기 반응 검사 시 소리 자극음은 광대역 주파수를 포함하는 클릭(click)으로 90 dB로 평가했으며 시험 결과는 도 8과 같다.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당뇨마우스(DM)의 4주와 8주 잠복기는 각각 40 ms와 50 ms로 주령이 증가할수록 잠복기가 길어진 반면, 클로로겐산 투여군(DM-CA)의 경우 진폭이 각각 30 ms와 32 ms로 클로로겐산 투여 기간이 증가할수록 당뇨 마우스보다 잠복기가 유의적으로 짧게 나타났다. 이는 클로로겐산 투여에 의하여 청신경병증으로 인한 청신경의 중기반응 전달속도(latency)의 지연이 효과적으로 억제됨을 확인한 것으로, 클로로겐산 투여가 청신경병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 제제예 ]
클로로겐산을 사용하여 아래와 같은 제형으로 제조하였다. 그러나, 하기 제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정제의 제조
클로로겐산....................................200 ㎎
유당...........................................100 ㎎
전분...........................................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적량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액제의 제조
클로로겐산..................................1000 ㎎
CMC-Na.........................................20 g
이성화당.......................................20 g
레몬향.........................................적량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0 ㎖로 맞추었다.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갈색병에 충전하고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캡슐제의 제조
클로로겐산..................................300 ㎎
결정성 셀룰로오스..............................3 ㎎
락토오스....................................14.8 ㎎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0.2 ㎎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클로로겐산.................................300 ㎎
만니톨......................................180 ㎎
주사용 멸균 증류수.........................2974 ㎎
Na2HPO412H2O..................................26 ㎎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 (2 ㎖)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Claims (4)

  1.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청신경병증(Auditory neuropathy)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신경병증은 당뇨병으로 인한 청신경 손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 클로로겐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으로 인한 청신경병증(Auditory neuropathy)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청각 장애가 당뇨병으로 인한 청신경 손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KR1020110086948A 2011-08-30 2011-08-30 클로로겐산을 포함하는 청신경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38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948A KR101338948B1 (ko) 2011-08-30 2011-08-30 클로로겐산을 포함하는 청신경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948A KR101338948B1 (ko) 2011-08-30 2011-08-30 클로로겐산을 포함하는 청신경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875A true KR20130023875A (ko) 2013-03-08
KR101338948B1 KR101338948B1 (ko) 2013-12-09

Family

ID=48176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948A KR101338948B1 (ko) 2011-08-30 2011-08-30 클로로겐산을 포함하는 청신경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89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24594A1 (en) * 2012-05-31 2013-12-05 O'neil W. Guthrie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uditory dysfunct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6874A (ko) 2021-11-22 2023-06-01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로사시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24594A1 (en) * 2012-05-31 2013-12-05 O'neil W. Guthrie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uditory dysfunctions
US9457009B2 (en) * 2012-05-31 2016-10-0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uditory dysfunctions
US9889107B2 (en) 2012-05-31 2018-02-1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uditory dysfunctions
US10987333B2 (en) 2012-05-31 2021-04-27 United States Government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uditory dysfun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8948B1 (ko) 2013-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2990B2 (en) Carbohydrate absorption inhibi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RU2566721C2 (ru)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экстракт травяной комбинации,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или лечения диабетической периферической нейропатии
US20140227318A1 (en) Sleep quality improving agent
KR102227117B1 (ko) 2,3,5-치환된 싸이오펜 화합물의 유방암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
US9694043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hearing loss
KR101338948B1 (ko) 클로로겐산을 포함하는 청신경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02074295A1 (en) A composition for the prophylaxis or treatment of senile dementia
KR101893604B1 (ko) 칸디다 유틸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09061B1 (ko) 노루궁뎅이버섯 유래 물질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971374B1 (ko)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25604A (ko) 아스코르브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502650B1 (ko)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청신경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82958A (ko) 자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140583B1 (ko) 클라도니아 마실렌타 퍼플 균체 또는 이의 배양 추출물, 및/또는 이로부터 유래한 비루로퀴논을 포함하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
KR20090093632A (ko) 커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청각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조성물
KR101146657B1 (ko) 바이칼레인을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51393B1 (ko) 리놀레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손실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10048744A (ko) 고구마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이명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우현준 Protective effects of Dieckol and PFF-A extracted from Ecklonia cava against noise-induced hearing loss in a mouse model
KR20140135676A (ko)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모델 마우스, 상기 모델 마우스를 이용한 집중력 장애 질병 예방 및 완화 효과 검증 방법, 및 비특이적 t―타입 칼슘 억제제를 함유하는 집중력 장애 질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62459B1 (ko) 자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2024017059A (ja) 感冒症状抑制剤
KR20230038955A (ko) PLGA-siSTAT3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22074312A (ja) 騒音性難聴の予防剤
KR20210117079A (ko) 시력 증강 목적을 갖는 자일라진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