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7117B1 - 2,3,5-치환된 싸이오펜 화합물의 유방암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 - Google Patents

2,3,5-치환된 싸이오펜 화합물의 유방암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7117B1
KR102227117B1 KR1020190063241A KR20190063241A KR102227117B1 KR 102227117 B1 KR102227117 B1 KR 102227117B1 KR 1020190063241 A KR1020190063241 A KR 1020190063241A KR 20190063241 A KR20190063241 A KR 20190063241A KR 102227117 B1 KR102227117 B1 KR 102227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st cancer
phi
negative breast
treatment
triple neg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6976A (ko
Inventor
윤정혁
남기엽
Original Assignee
(주)파로스아이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로스아이바이오 filed Critical (주)파로스아이바이오
Publication of KR20190136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61K31/4523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53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heterocyclic ring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e.g. pizotife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8Compounds containing heavy metals
    • A61K31/282Platin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61K31/41841,3-Diazol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benzimid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Pyridazines; Hydrogenated pyridazines
    • A61K31/502Pyridazines; Hydrogenated pyridazine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 systems, e.g. cinnoline, phthalaz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Pyridazines; Hydrogenated pyridazines
    • A61K31/5025Pyridazines; Hydrogenated pyridazine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243Platin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2,3,5-치환된 싸이오펜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방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유방암, 특히 유방암 중에서도 아직까지 효과적인 치료법이 없어 치사율이 높은 삼중음성유방암 및 허셉틴 내성 유방암에 대한 증식 억제 활성이 우수하여 유방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2,3,5-치환된 싸이오펜 화합물의 유방암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Use of 2,3,5-Substituted Thiophene Compound for Prevention, Improvement or Treatment of Breast Cancer}
본 발명은 2,3,5-치환된 싸이오펜 화합물의 유방암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삼중음성유방암 또는 허셉틴 내성 유방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학의 발달로 많은 질병이 치료 및 예방되고 있으나, 암은 여전히 치료하기 힘든 질병 중 하나이다. 암은 현재 사망 원인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암의 치료방법으로는 화학요법, 수술요법 및/또는 방사선치료요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중에서, 화학요법은 항암제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써, 암의 치료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오늘날에는 약 60여종의 다양한 항암제가 임상에 사용되고 있으며, 암 발생 및 암세포의 특성에 대한 지식이 많이 알려짐에 따라 새로운 항암제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항암제의 대부분은 오심, 구토, 구강 및 소장의 궤양, 설사, 탈모 및/또는 혈액 유효성분의 생산 저하를 야기하는 골수억제 등과 같은 부작용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마이토마이신 C(mitomycin-C)는 신부전증, 아드리아마이신(adriamycin)은 골수억제 등의 부작용이 알려져 있다. 특히, 지금까지 개발된 항암제 중 가장 유용한 약제인 시스플라틴(cisplatin)은 고환암, 난소암, 폐암, 두경부암, 방광암, 위암 및 자궁경부암 등의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빈혈 등의 조혈독성, 구토, 메스꺼움 등의 소화기 독성, 콩팥 세뇨관 손상 등의 신장독성, 난청, 체내 전해질 이상, 쇼크 및 말초신경 이상 등과 같은 부작용을 나타내므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최근 개발되고 있는 안전성이 우수한 새로운 고가의 표적항암제는 많은 암환자들의 치료에 효능을 보여주고 있으나, 동반진단에 의한 소규모의 환자군에서만 효능을 보여주고 있어, 다양한 암종에서의 맞춤치료가 가능한 정밀의학(Precision Medicine)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삼중음성유방암(triple negative breast cancer: TNBC)은 에스트로겐(estrogen) 및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수용체와 HER2 수용체의 발현이 없는 유방암으로 정의되며, 총 유방암의 약 15%를 차지한다. EGFR저해제인 세톡시맙(cetuximab)과 엘로티닙(erlotinib)의 경우 삼중음성유방암에서 임상 실패하였고, PARP1 저해제인 올라파립(olaparib)의 경우도 BRCA 돌연변이로 확정된 삼중음성유방암 환자의 임상시험에서도 큰 효능을 보여주고 있지 않다. 이처럼, 현재까지 삼중음성유방암에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없어, 비-삼중음성유방암에 비해 사망률이 훨씬 높다.
허셉틴(herceptin, Trastuzumab)은 HER2 단백질의 과발현을 갖는 암세포의 성장을 중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HER2 시그널링(signaling)을 표적화하는 항암제이다. 허셉틴은 HER2 과발현이 있는 진행된 유방암으로 진단된 환자에게서 생존을 연장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HER2 단백질 과발현 또는 HER2 유전자 증폭을 갖는 초기 단계 유방암을 갖는 환자에게서 재발 및 사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HER2 양성 암, 특히 유방암으로 진단될 경우, 통상적으로 허셉틴을 처방하게 되는데, 처방 후 유방암이 완치된 환자가 일정기간 경과 후 암이 재발하거나 암 전이까지 발생하는 경우가 속출하였고, 이러한 원인으로 허셉틴 내성의 획득기전이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허셉틴 내성 유방암의 경우,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없어 사망율이 일반 유방암에 비해 훨씬 높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유방암의 치료에 효과적인 치료제를 발굴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7-0096599호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유방암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55249436-pat00001
.
본 발명의 일 양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유방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19055249436-pat00002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S)-5-((3-플루오로페닐)에티닐)-N-(피페리딘-3-일)-3-유레이도 싸이오펜-2-카복스아마이드((S)-5-((3-fluorophenyl)ethynyl)-N-(piperidin-3-yl)-3-ureido thiophene-2-carboxamide)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유방암은 삼중음성유방암(triple negative breast cancer)일 수 있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유방암, 특히 유방암 중에서도 특이적으로 분류되며 아직까지 효과적인 치료법이 없어 치사율이 높은 삼중음성유방암 및 허셉틴 내성 유방암의 억제 능력이 우수하다. 따라서, 이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시스플라틴 또는 PARP 억제제 등 기존의 항암제와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병용 사용될 경우, 기존 항암제의 유방암 치료 효과를 현저히 증진시킬 수 있다.
현재 삼중음성유방암 및 허셉틴 내성 유방암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없어 문제가 되고 있으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삼중음성유방암 및 허셉틴 내성 유방암의 증식 억제 능력이 우수하므로, 삼중음성유방암 및 허셉틴 내성 유방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항암제와 함께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시스플라틴(cisplatin)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시스플라틴은 고환암, 난소암, 폐암, 두경부암, 방광암, 위암 및 자궁경부암 등의 치료에 널리 사용되는 항암제이나, 빈혈 등의 조혈독성, 구토, 메스꺼움 등의 소화기 독성, 콩팥 세뇨관 손상 등의 신장독성, 난청, 체내 전해질 이상, 쇼크 및 말초신경 이상 등과 같은 부작용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시스플라틴과 병용하여 사용될 경우, 각각 사용될 때보다 유방암의 억제 효과가 현저히 상승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비-삼중음성유방암 대비 삼중음성유방암에서 훨씬 낮은 IC50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시스플라틴을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낮은 농도로 투여할 수 있어, 위와 같은 시스플라틴에 의한 부작용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유방암, 특히, 삼중음성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시스플라틴과 병용되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PARP 억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PARP 억제제"는 폴리 ADP 리보오스 폴리머라아제(poly ADP ribose polymerase, PARP)를 약학적으로 억제하는 그룹을 말하며, 여러 종류의 암은 정상 세포 대비 PARP에 더욱 의존적이므로, PARP를 억제함으로써, 암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 다만, PARP1 저해제인 올라파립은 유방암에 사용되는 항암제이나, BRCA 돌연변이로 확정된 삼중음성유방암 환자의 임상시험에서 큰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PARP 억제제인 올라파립, 루카파립, 탈라조파립 또는 벨라파립을 병용하여 사용할 경우, 각각 사용될 때보다 삼중음성유방암의 억제 효과가 현저히 상승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PARP 억제제 단독 투여 대비 우수한 항암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PARP 억제제와 병용됨으로써, PARP 억제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삼중음성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PARP 억제제는 올라파립(olaparib), 루카파립(rucaparib), 탈라조파립(talazoparib) 및 벨라파립(veliparib)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항암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유방암은 허셉틴(herceptin) 내성 유방암일 수 있다.
허셉틴(herceptin, Trastuzumab)은 HER2 단백질의 과발현을 갖는 암세포의 성장을 중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HER2 시그널링(signaling)을 표적화하는 항암제이나, 허셉틴의 반복적인 사용에 의하여 암세포에 내성이 발생할 수 있다. 허셉틴 내성 유방암의 경우, 효과적인 치료제가 없으므로 고가의 라파티닙(lapatinib)과 같은 약제를 복합 처방할 수 밖에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러한 복합처방은 환자별 맞춤진료가 아닌 여러 경우의 수를 모두 포함시킨 처방이어서 과다 진료에 해당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허셉틴 내성 유방암에 대해,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억제 효과가 현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허셉틴 내성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삼중음성유방암 또는 허셉틴 내성 유방암의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호르몬 치료, 약물 치료, 방사선 치료 및/또는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약제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써, 락토오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오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22th ed., 2013)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 기제 및/또는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효과를 떨어트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비이온 계면활성제, 실리콘 폴리머, 체질안료, 향료, 방부제, 살균제, 산화 안정화제, 유기 용매,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증점제, 유연화제, 산화방지제, 자유 라디칼 파괴제, 불투명화제, 안정화제, 에몰리언트(emollient), 실리콘, α-히드록시산, 소포제, 보습제, 비타민, 곤충 기피제, 향료, 보존제, 계면활성제, 소염제, 물질 P 길항제, 충전제, 중합체, 추진제, 염기성화 또는 산성화제, 또는 착색제 등 공지의 화합물을 더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0㎎/kg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시 다양한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정제, 환제, 경/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엘릭시르제, 트로키제 등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경구투여 제형으로 제형화할 경우, 이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예를 들어, 락토오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기네이트, 젤라틴, 인산칼슘, 규산칼슘,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또는 광물유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제화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여 조제될 수 있으며, 상기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탈크 같은 윤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 내 주사 또는 흉부 내 주사 등의 방법을 통하여 투여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의 제제화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또는 바이알 단위 투여형으로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멸균되고,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 완충제 등의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염산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유방암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방암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유방암 중 특히 삼중음성유방암 또는 허셉틴 내성 유방암에 우수한 항암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 하기 전,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효과를 보이는 환자군을 선별하는 동반진단(Companion Diagnosis)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계에 공지된 삼중음성유방암 진단 방법 또는 허셉틴 내성 유방암 진단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동반진단"은 환자의 특정 약물 치료에 대한 반응성을 미리 예측하기 위한 진단을 말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유방암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55249436-pat00003
.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유효성분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통상의 식품 조성물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와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일 수 있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또는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하거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식품 조성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정제, 캡슐제, 분말, 과립, 액상, 환,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또는 점적제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비타민 A 아세테이트, 비타민 E,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비타민 B12, 비타민 C, 비오틴, 니코틴산 아마이드, 엽산, 판토텐산 칼슘으로 이루어진 비타민 혼합물, 및 황산 제1철, 산화아연, 탄산마그네슘, 제1 인산칼륨, 제2 인산칼륨, 구연산칼륨, 탄산칼슘 및 염화마그네슘 등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무기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붕해제는 녹말, 메틸 셀룰로오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는 다양한 제형의 제조방법을 적용하여 다양한 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음료나 환, 분말 등과 같은 통상의 건강기능식품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유방암은 삼중음성유방암 또는 허셉틴 내성 유방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삼중음성유방암 및 허셉틴 내성 유방암 세포주의 증식 억제 능력이 특히 우수하므로, 삼중음성유방암 및 허셉틴 내성 유방암의 예방 또는 개선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2,3,5-치환된 싸이오펜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방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유방암, 특히 유방암 중에서도 아직까지 효과적인 치료법이 없어 치사율이 높은 삼중음성유방암 세포주 및 허셉틴 내성 유방암에 대한 증식 억제 활성이 우수하여 유방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PHI-101)의 농도에 따른 비-삼중음성유방암 세포주인 (A) BT474, (B) JIMT1, (C) MCF7 및 (D) SK-BR-3의 세포 생존력(cell viability)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PHI-101의 농도에 따른 비-삼중음성유방암 세포주인 (A) T47D, (B) ZR-75-1 및 삼중음성유방암 세포주인 (C) MDA-MB-231, (D) MDA-MB-435의 세포 생존력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PHI-101의 농도에 따른 삼중음성유방암 세포주인 (A) MDA-MB-468, (B) BT549, (C) HCC1937 및 (D) HS578T의 세포 생존력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PHI-101 단독 또는 PHI-101과 시스플라틴 병용(PHI-101 + C) 사용에서, 농도에 따른 비-삼중음성유방암 세포주인 (A) BT474 및 (B) MCF73의 세포 생존력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PHI-101 단독 또는 PHI-101과 시스플라틴 병용 사용에서, 농도에 따른 비-삼중음성유방암 세포주인 (A) T47D 및 (B) ZR-75-1의 세포 생존력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PHI-101 단독 또는 PHI-101과 시스플라틴 병용 사용에서, 농도에 따른 삼중음성유방암 세포주인 BT549의 세포 생존력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올라파립(olaparib) 단독 또는 PHI-101과 올라파립 병용 사용에서, 농도에 따른 비-삼중음성유방암 세포주인 (A) BT474, (B) JIMT1의 세포 생존력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올라파립 단독 또는 PHI-101과 올라파립 병용 사용에서, 농도에 따른 비-삼중음성유방암 세포주인 (A) MCF7 및 (B) SK-BR-3의 세포 생존력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올라파립 단독 또는 PHI-101과 올라파립 병용 사용에서, 농도에 따른 비-삼중음성유방암 세포주인 (A) T47D, (B) ZR-75-1의 세포 생존력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올라파립 단독 또는 PHI-101과 올라파립 병용 사용에서, 농도에 따른 삼중음성유방암 세포주인 (A) MDA-MB-468 및 (B) HS578T의 세포 생존력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루카파립(rucaparib) 단독, PHI-101 단독, 또는 PHI-101과 루카파립 병용 사용에서, 삼중음성유방암 세포주인 MDA-MB-468의 세포 생존력에 대한 루카파립 병용 제제(CI)의 상승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탈라조파립(talazoparib) 단독 또는 PHI-101과 탈라조파립 병용 사용에서, 삼중음성유방암 세포주인 (A) MDA-MB-468 및 (B) HS578T의 세포 생존력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벨라파립(veliparib) 단독 또는 PHI-101과 벨라파립 병용 사용에서, 삼중음성유방암 세포주인 (A) MDA-MB-468 및 (B) HS578T의 세포 생존력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는 삼중음성유방암 세포주인 MDA-MB-468에 의해 종양이 유발된 마우스에 있어서, 올라파립 단독, PHI-101 단독, 또는 PHI-101과 올라파립 병용 사용에 따른 마우스의 (A) 체중(Body Weight) 및 (B) 체중 변화율(Body Weight Change)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는 삼중음성유방암 세포주인 MDA-MB-468에 의해 종양이 유발된 마우스에 있어서, 올라파립 단독, PHI-101 단독, 또는 PHI-101과 올라파립 병용 사용에 따른 마우스의 (A) 종양 부피(Tumor Volume) 및 (B) 종양 성장율(Tumor Growth)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6은 허셉틴 내성 세포주인 JIMT-1에 의해 종양이 유발된 마우스에 있어서, 허셉틴 또는 PHI-101 사용에 따른 마우스의 (A) 종양 부피, (B) 종양 T/C율 및 (C) 종양 억제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유방암 세포주에 대한 억제 활성 확인
하기 표 1의 유방암 세포주를 DMEM(Dulbeco's Modified Eagle Medium) 또는 RPMI1640를 사용하여, 5% CO2의 37℃ 조건에서 100mm 배양접시(culture dish)(SPL)에 각각 배양한 다음, 각 유방암 세포를 PBS(Phosphate-buffered saline)(Biosesang)를 사용하여 3000 cells/90㎕로 희석하였다.
세포주 구입처 Cat # 구분
BT474 ATCC HTB-20 비-삼중음성유방암
JIMT1 DSMZ ACC589
MCF7 ATCC HTB-22
SK-BR-3 ATCC HTB-30
T47D ATCC HTB-133
ZR-75-1 ATCC CRL-1500
MDA-MB-231 ATCC HTB-26 삼중음성유방암
MDA-MB-435 ATCC HTB-129
MDA-MB-468 ATCC HTB-132
BT549 ATCC HTB-122
HCC1937 ATCC CRL-2336
HS578T ATCC HTB-126
그 후, 희석한 각 유방암 세포주 90㎕에, 1/2씩 연속 희석(serial dilution)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하, 'PHI-101'이라 함)을 염산염 형태로 각각 10㎕씩 처리하여 최종 농도가 최고 100μM이 되도록 처리하고, 5% CO2의 37℃ 조건에서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Celltiter glo assay 키트(Promega)를 사용하여 세포수를 측정하고, 이를 PHI-101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대한 비율로 나타내어 세포 생존력을 측정하였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55249436-pat00004
PRIZM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S자 곡선(sigmoidal curve)으로 IC50을 계산한 결과, 각 유방암 세포주에 대한 IC50은 하기 표 2와 같음을 확인하여, 유방암 세포주에 대한 PHI-101의 우수한 억제능력을 확인하였으며, 삼중음성유방암 세포주에 대한 억제능력 역시 우수함을 확인하였다(도 1 내지 도 3).
세포주 IC50(μM)
BT474 14.7
JIMT1 0.2703
MCF7 3.705
SK-BR-3 4.109
T47D 17.77
ZR-75-1 11.44
MDA-MB-231 4.972
MDA-MB-435 1.51
MDA-MB-468 3.74
BT549 1.63
HCC1937 4.034
HS578T 1.804
실시예 2. 삼중음성유방암 세포주에 대한 시스플라틴 병용 제제의 억제 활성 확인
하기 표 3의 유방암 세포주를 RPMI1640를 사용하여, 100mm 배양접시에 각각 배양한 다음, 각 유방암 세포를 PBS를 사용하여 3000 cells/90㎕로 희석하였다.
세포주 구입처 Cat # 구분
BT474 ATCC HTB-20 비-삼중음성유방암
MCF7 ATCC HTB-22
T47D ATCC HTB-133
ZR-75-1 ATCC CRL-1500
BT549 ATCC HTB-122 삼중음성유방암
그 후, 희석한 각 유방암 세포주 90㎕에, 1/2씩 연속 희석한 PHI-101을 염산염 형태로 각각 10㎕씩 처리하여 최종 농도가 최고 100μM이 되도록 처리하고 5% CO2의 37℃ 조건에서 1시간 배양한 후, 시스플라틴(cisplatin)을 각 세포주에 대한 IC50 농도로 처리하였다. PHI-101 단독 처리군은 시스플라틴 대신 10㎕의 배지를 추가로 처리하였다. 그 후, 5% CO2의 37℃ 조건에서 72시간 동안 배양하고, Celltiter glo assay 키트를 사용하여 세포수를 측정한 다음, 이를 PHI-101 및 시스플라틴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대한 비율로 나타내어 세포 생존력을 측정하였다.
PRIZM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S자 곡선으로 IC50을 계산한 결과, 각 유방암 세포주에 대한 IC50은 하기 표 4와 같음을 확인하였다. 유방암에 대한 PHI-101의 우수한 시스플라틴 병용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비-삼중음성유방암 세포주 대비 삼중음성유방암 세포주인 BT549에서 특히 낮은 IC50을 확인하였다(도 4 내지 도 6).
세포주 PHI-101 단독
IC50(μM)
PHI-101 + 시스플라틴 병용
IC50(μM)
BT474 14.26 1.78
MCF7 3.232 1.179
T47D 19.24 2.04
ZR-75-1 11.78 6.19
BT549 1.705 0.284
실시예 3. 삼중음성유방암 세포주에 대한 올라파립 병용 제제의 억제 활성 확인
하기 표 5의 유방암 세포주를 DMEM(Dulbeco's Modified Eagle Medium) 또는 RPMI1640를 사용하여, 100mm 배양접시(culture dish)(SPL)에 각각 배양한 다음, 각 유방암 세포를 PBS(Phosphate-buffered saline)(Biosesang)를 사용하여 3000 cells/90㎕로 희석하였다.
세포주 구입처 Cat # 구분
BT474 ATCC HTB-20 비-삼중음성유방암
JIMT1 DSMZ ACC589
MCF7 ATCC HTB-22
SK-BR-3 ATCC HTB-30
T47D ATCC HTB-133
ZR-75-1 ATCC CRL-1500
MDA-MB-468 ATCC HTB-132 삼중음성유방암
HS578T ATCC HTB-126
그 후, 희석한 각 유방암 세포주 90㎕에, 1/2씩 연속 희석한 올라파립(olaparib)을 각각 10㎕씩 처리하여 최종 농도가 최고 100μM이 되도록 처리하고, 5% CO2의 37℃ 조건에서 1시간 배양한 후, PHI-101 염산염이 최종 1μM의 농도가 되도록 처리하였다. 올라파립 단독 처리군은 PHI-101 대신 10㎕의 배지를 추가로 처리하였다. 그 후, 5% CO2의 37℃ 조건에서 72시간 동안 배양하고, Celltiter glo assay 키트를 사용하여 세포수를 측정한 다음, 이를 PHI-101 및 올라파립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대한 비율로 나타내어 세포 생존력을 측정하였다.
PRIZM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S자 곡선으로 IC50을 계산한 결과, 각 유방암 세포주에 대한 IC50은 하기 표 6과 같음을 확인하여, 삼중음성유방암 세포주인 MDA-MB-468 및 HS578T에 대한 PHI-101의 우수한 올라파립 병용 효과를 확인하였다(도 7 내지 도 10).
세포주 올라파립 단독
IC50(μM)
올라파립 + PHI-101 병용
IC50(μM)
BT474 74.61 69.8
JIMT1 520 -
MCF7 98.02 171.2
SK-BR-3 127.4 71.26
T47D 77.01 69.65
ZR-75-1 352.4 253.4
MDA-MB-468 47.1 5.197
HS578T 186.2 9.107
이를 통하여, PHI-101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항암제(시스플라틴 또는 올라파립)와 병용 사용되어 삼중음성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삼중음성유방암 세포주에 대한 PARP 억제제 병용 제제의 억제 활성 확인
4-1. 삼중음성유방암 세포주에 대한 루카파립 병용 제제의 상승 효과 확인
MDA-MB-468 유방암 세포주를 DMEM(Dulbeco's Modified Eagle Medium)을 사용하여, 100mm 배양접시(culture dish)(SPL)에 각각 배양한 다음, 각 유방암 세포를 PBS(Phosphate-buffered saline)(Biosesang)를 사용하여 2000 cells/80㎕로 희석하였다.
그 후, 희석한 각 유방암 세포주 80㎕에, 1/2씩 연속 희석한 PARP 억제제인 루카파립(rucaparib)을 각각 10㎕씩 처리하여 최종 농도가 최고 84μM이 되도록 처리하고, 5% CO2의 37℃ 조건에서 1시간 배양한 후, 1/2씩 연속 희석한 PHI-101 염산염을 각각 10㎕씩 처리하여 최종 농도가 최고 12μM이 되도록 처리하였다. 그 후, 5% CO2의 37℃ 조건에서 72시간 동안 배양하고, Celltiter glo assay 키트를 사용하여 세포수를 측정한 다음, 이를 PHI-101 및 루카파립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대한 비율로 나타내어 세포 생존력을 측정하였다.
PRIZM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S자 곡선으로 IC50을 계산한 결과, MDA-MB-468 유방암 세포주의 억제에 있어서, PHI-101 및 루카파립의 병용에 의한 상승 효과를 확인하였다(도 11).
4-2. 삼중음성유방암 세포주에 대한 탈라조파립 또는 벨라파립 병용 제제의 억제 활성 확인
MDA-MB-468 또는 HS578T 유방암 세포주를 DMEM(Dulbeco's Modified Eagle Medium)을 사용하여, 100mm 배양접시(culture dish)(SPL)에 각각 배양한 다음, 각 유방암 세포를 PBS(Phosphate-buffered saline)(Biosesang)를 사용하여 2000 cells/90㎕로 희석하였다.
그 후, 희석한 각 유방암 세포주 90㎕에, 1/10씩 연속 희석한 PARP 억제제인 탈라조파립(talazoparib) 또는 벨라파립(veliparib)을 각각 10㎕씩 처리하여 최종 농도가 최고 100μM이 되도록 처리하고, 5% CO2의 37℃ 조건에서 1시간 배양한 후, PHI-101 염산염을 IC50 농도인 3μM이 되도록 처리하였다. PARP 억제제 단독 처리군은 PHI-101 대신 10㎕의 배지를 추가로 처리하였다. 그 후, 5% CO2의 37℃ 조건에서 72시간 동안 배양하고, Celltiter glo assay 키트를 사용하여 세포수를 측정한 다음, 이를 PHI-101 및 PARP 억제제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대한 비율로 나타내어 세포 생존력을 측정하였다.
PRIZM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S자 곡선으로 IC50을 계산한 결과, MDA-MB-468 및 HS578T 유방암 세포주의 억제에 있어서, PHI-101의 우수한 탈라조파립(도 12) 또는 벨라파립(도 13) 병용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PHI-101은 PARP 억제제와 병용 사용되어 삼중음성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마우스의 삼중음성유방암에 대한 올라파립 병용 제제의 억제 활성 확인
5-1. 올라파립 병용 제제의 종양 억제 활성 확인 방법
5-1-1. 세포배양
MDA-MB-468 유방암 세포주를 5% CO2 및 37℃ 조건에서 10% 열 불활성화 소태아혈청(heat inactivated fetal bovine serum)으로 보충된 L-15 배지에서 단층 배양(monolayer culture)하였다. 종양 세포를 트립신-EDTA 처리에 의한 컨플루언스 전에 4 내지 5 계대를 초과하지 않도록 계대배양(subculture)하였다. 지수 성장 단계로 성장하는 종양세포를 수확하고 종양 접종을 위해 계수하였다.
5-1-2. 마우스 준비
마우스는 6 내지 8주령의 NOD SCID 암컷 마우스(18 내지 22g)(GemPharmatech Co.,Ltd)로 준비하였다. 마우스를 실험에 사용하기 전 7일 동안 격리하였으며, 건강에 이상이 있는 마우스는 실험에서 제외하였다. 40% 내지 70%의 상대 습도로 유지되는 22±3℃의 사육장(300×180×150mm)에서 12시간의 명암 주기로 마우스를 사육하였다. 프로토콜로 명시된 기간을 제외한 전체 실험 기간 동안 멸균된 건조 과립 식품(Beijing Keaoxieli Feed Co., Ltd., Beijing, China) 및 물을 마우스가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5-1-3. 종양접종
종양을 유발하기 위하여, 0.1㎖ L-15 및 Matrigel(BD, cat. No. 356234)의 혼합물(1:1) 중 MDA-MB-468 유방암 세포(1×107)를 각 마우스의 오른쪽 옆구리에 피하 주사하였다. 평균 종양 크기가 179mm3에 도달했을 때, 하기 표 7과 같이 PHI-101 염산염 및/또는 올라파립을 각 그룹별로 28일 동안 처리하였다. 그 후, 각 그룹 및 처리 시점에서 평균 종양 부피가 동일하게 되도록 마우스를 각 그룹별로 5마리씩 할당하였다.
그룹
#
유효성분 투여량
(dose)
(㎎/kg/day)
투여 용량
(dose volume)
(㎕/g)
투여 횟수
(regimen)
(회/일)
G1 비히클 대조군 - 10 1
G2 올라파립 50 10 2
G3 PHI-101 60 10 1
G4 올라파립 50 10 2
PHI-101 60 1
5-1-4. 측정 파라미터
모든 마우스에 대하여, 종양 성장뿐만 아니라 이동성과 같은 행동, 음식 및 물 소비(케이지 측면 검사), 체중(BW), 눈/머리 매팅(matting) 및 기타 비정상적인 효과를 모니터링하였으며, 사망률 및/또는 비정상적인 임상 증상을 기록하였다.
5-1-5. 체중
매주 2회 마우스의 체중을 측정하였으며, 체중(BW) 변화율(%)은 하기의 식을 사용하여 계산되었다.
BW 변화율(%) = (BWPG-DX/BWPG-D1)×100
BWPG-DX = 측정 체중
BWPG-D1 = 최초 체중
5-1-6. 종양 부피 및 종양 성장 억제율
종양 크기의 측정은 캘리퍼스로 매주 2회 측정하여 수행하였다. 종양부피(tumor volume, TV)(mm3)는 하기의 식을 사용하여 계산되었다.
TV = a×b2/2
a = 종양의 긴 지름
b = 종양의 짧은 지름
종양부피를 이용하여 종양 성장 억제율(the tumor growth inhibition, TGI)을 하기의 식으로 계산하였다.
TGI(%) = (1-T/C)×100
T = 실험군 최종 종양부피/실험군 최초 종양부피
C = 대조군 최종 종양부피/대조군 최초 종양부피
5-1-7. 실험 종료 기준
지속적으로 상태가 악화되거나 종양의 크기가 3,000mm3(개별 종양 또는 집단 평균 > 3,000mm3)를 초과하는 것으로 관찰된 마우스는 사망 전 또는 혼수 상태에 이르기 전 안락사시켰다. 심각한 괴로움 및/또는 통증의 명백한 징후를 보이는 마우스는 이산화탄소를 흡입시켜 희생한 후, 경추를 탈골하였다. 또한, 체중이 상당량 감소한 경우(20% 초과의 체중 감량) 또는 충분한 먹이 또는 물을 섭취하지 않는 경우, 마우스를 안락사시켰다.
5-1-8. 통계 분석
5% 또는 P < 0.05의 유의수준으로 통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모든 파라이터에 대하여 그룹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계산하였다. 평균에 대한 Two-way RM ANOVA 수행 후, Tukeys post hoc comparisons을 수행하였다.
5-2. 올라파립 병용 제제의 종양 억제 활성 확인
5-2-1. 마우스의 체중 유지 확인
PHI-101 및/또는 올라파립이 마우스의 체중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5-1-5에 따라 마우스의 체중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험기간 동안 마우스 체중의 유의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아(도 14), PHI-101 및/또는 올라파립은 마우스의 체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5-2-2. 올라파립 병용 제제의 종양 성장 억제 활성 확인
PHI-101 및/또는 올라파립이 마우스의 종양 억제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5-1-6에 따라 마우스에 이식된 MDA-MB-468 유방암 세포주에 의해 발생한 종양의 부피 및 종양 성장 억제율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PHI-101 단독 및 올라파립 단독 처리군 대비 PHI-101 및 올라파립 병용 처리군에서 종양 성장 억제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8 및 도 15).
그룹
#
종양부피(52 day)
(mm3)
T/C
(%)
TGI
(%)
P Value
G1 531±6 - - -
G2 402±25 76 24 P < 0.001
G3 443±18 84 16 P < 0.05
G4 303±16 58 42 P < 0.0001
따라서, PHI-101 및 올라파립의 병용에 의하여 삼중음성유방암의 효과적인 억제가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6. 허셉틴 내성 유방암 세포주에 대한 억제 활성 확인
6-1. 종양 억제 활성 확인 방법
6-1-1. 세포배양
허셉틴(herceptin) 내성 유방암 세포주인 JIMT-1을 5% CO2 및 37℃ 조건에서 10% 열 불활성화 소태아혈청(heat inactivated fetal bovine serum)으로 보충된 L-15 배지에서 단층 배양하였다. 종양 세포를 트립신-EDTA 처리에 의한 컨플루언스 전에 4 내지 5 계대를 초과하지 않도록 계대배양하였다. 지수 성장 단계로 성장하는 종양세포를 수확하고 종양 접종을 위해 계수하였다.
6-1-2. 마우스 준비
마우스는 7 내지 8주령의 NOD SCID 암컷 마우스(20 내지 22g)(GemPharmatech Co.,Ltd)로 준비하였다. 마우스를 실험에 사용하기 전 7일 동안 격리하였으며, 건강에 이상이 있는 마우스는 실험에서 제외하였다. 40% 내지 70%의 상대 습도로 유지되는 22±3℃의 사육장(300×180×150mm)에서 12시간의 명암 주기로 마우스를 사육하였다. 프로토콜로 명시된 기간을 제외한 전체 실험 기간 동안 멸균된 건조 과립 식품(Beijing Keaoxieli Feed Co., Ltd., Beijing, China) 및 물을 마우스가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6-1-3. 종양접종
종양을 유발하기 위하여, 0.1㎖ PBS 중 JIMT-1 유방암 세포(1×106)를 각 마우스의 왼쪽 옆구리에 피하 주사하였다. 평균 종양 크기가 75mm3에 도달했을 때, 하기 표 9와 같이 허셉틴 또는 PHI-101 염산염을 각 그룹별로 3주일 동안 처리하였다. 그 후, 각 그룹 및 처리 시점에서 평균 종양 부피가 동일하게 되도록 마우스를 각 그룹별로 5마리씩 할당하였다.
그룹
#
유효성분 투여량
(dose)
(㎎/kg/day)
투여 용량
(dose volume)
(㎕/g)
투여 횟수
(regimen)
(회/일)
G1 비히클 대조군 - 10 1
G2 허셉틴 5 10 5
G3 PHI-101 60 10 1
6-1-4. 측정 파라미터
모든 마우스에 대하여, 종양 성장뿐만 아니라 이동성과 같은 행동, 음식 및 물 소비(케이지 측면 검사), 체중(BW), 눈/머리 매팅(matting) 및 기타 비정상적인 효과를 모니터링하였으며, 사망률 및/또는 비정상적인 임상 증상을 기록하였다.
6-1-5. 종양 부피 및 종양 성장 억제율
종양 크기의 측정은 캘리퍼스로 매주 2회 측정하여 수행하였다. 종양부피(tumor volume, TV)(mm3)는 하기의 식을 사용하여 계산되었다.
TV = a×b2/2
a = 종양의 긴 지름
b = 종양의 짧은 지름
종양부피를 이용하여 종양 성장 억제율(the tumor growth inhibition, TGI)을 하기의 식으로 계산하였다.
TGI(%) = (1-T/C)×100
T = 실험군 최종 종양부피/실험군 최초 종양부피
C = 대조군 최종 종양부피/대조군 최초 종양부피
6-1-6. 실험 종료 기준
지속적으로 상태가 악화되거나 종양의 크기가 3,000mm3(개별 종양 또는 집단 평균 > 3,000mm3)를 초과하는 것으로 관찰된 마우스는 사망 전 또는 혼수 상태에 이르기 전 안락사시켰다. 심각한 괴로움 및/또는 통증의 명백한 징후를 보이는 마우스는 이산화탄소를 흡입시켜 희생한 후, 경추를 탈골하였다. 또한, 체중이 상당량 감소한 경우(20% 초과의 체중 감량) 또는 충분한 먹이 또는 물을 섭취하지 않는 경우, 마우스를 안락사시켰다.
6-1-7. 통계 분석
5% 또는 P < 0.05의 유의수준으로 통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모든 파라이터에 대하여 그룹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계산하였다. 평균에 대한 Two-way RM ANOVA 수행 후, Tukeys post hoc comparisons을 수행하였다.
6-2. PHI-101의 허셉틴 내성 종양 억제 활성 확인
PHI-101이 마우스의 종양 억제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6-1-5를 수행하여 마우스에 이식된 JIMT-1 유방암 세포주에 의해 발생한 종양의 부피 및 종양 성장 억제율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허셉틴 처리군 대비 60㎎/kg/day 용량으로 PHI-101를 처리군에서 허셉틴 내성 종양의 성장 억제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16). 따라서, PHI-101의 처리에 의하여 허셉틴 내성 유방암의 효과적인 억제가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삭제
  2.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삼중음성유방암(triple negative breast cancer)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1003105152-pat00023
    .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시스플라틴(cisplatin)을 더 포함하는 것인 삼중음성유방암(triple negative breast cancer)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PARP(poly ADP ribose polymerase) 억제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삼중음성유방암(triple negative breast cancer)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PARP 억제제는 올라파립(olaparib), 루카파립(rucaparib), 탈라조파립(talazoparib) 및 벨라파립(veliparib)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항암제인 것인 삼중음성유방암(triple negative breast cancer)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허셉틴(herceptin) 내성 유방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1003105152-pat00024
    .
  7. 제 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염산염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8.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삼중음성유방암 또는 허셉틴 내성 유방암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1003105152-pat00006
    .

  9. 삭제
KR1020190063241A 2018-05-30 2019-05-29 2,3,5-치환된 싸이오펜 화합물의 유방암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 KR1022271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61786 2018-05-30
KR1020180061786 2018-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976A KR20190136976A (ko) 2019-12-10
KR102227117B1 true KR102227117B1 (ko) 2021-03-15

Family

ID=68698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241A KR102227117B1 (ko) 2018-05-30 2019-05-29 2,3,5-치환된 싸이오펜 화합물의 유방암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938123B2 (ko)
EP (1) EP3804718A4 (ko)
JP (1) JP7041322B2 (ko)
KR (1) KR102227117B1 (ko)
WO (1) WO20192312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8970B1 (ko) * 2020-03-04 2023-09-15 (주)파로스아이바이오 2,3,5-치환된 싸이오펜 화합물의 난소암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
WO2021177728A1 (ko) * 2020-03-04 2021-09-10 (주)파로스아이바이오 2,3,5-치환된 싸이오펜 화합물의 난소암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
WO2023059148A1 (ko) * 2021-10-08 2023-04-13 기초과학연구원 항암 치료 개선을 위한 2-클로로-n,n-디에틸에틸아민 염산염의 용도
WO2023063784A1 (ko) * 2021-10-14 2023-04-20 (주)파로스아이바이오 2,3,5-치환된 싸이오펜 화합물을 포함하는 병용 투여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66163A2 (en) * 2004-01-05 2005-07-21 Astrazeneca Ab Thiophene derivatives as chk 1 inihibitors
AU2011278700A1 (en) * 2010-07-16 2013-02-28 Merck Patent Gmbh Peptide for use in the treatment of breast cancer and/or bone metastases
ES2611486T3 (es) * 2014-05-30 2017-05-09 Entrechem, S.L. Actividad antitumoral de inhibidores de múltiples quinasas en el cáncer de mama triple negativo
AU2017211331A1 (en) 2016-01-29 2018-06-07 Epizyme, Inc. Combination therapy for treating cancer
KR20170096599A (ko) * 2016-02-16 2017-08-2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단백질 키나아제 저해제인 신규 2,3,5-치환된 싸이오펜 화합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05290A1 (en) 2021-07-08
JP7041322B2 (ja) 2022-03-23
KR20190136976A (ko) 2019-12-10
EP3804718A1 (en) 2021-04-14
JP2021525284A (ja) 2021-09-24
US11938123B2 (en) 2024-03-26
EP3804718A4 (en) 2022-06-08
WO2019231220A1 (ko) 2019-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7117B1 (ko) 2,3,5-치환된 싸이오펜 화합물의 유방암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
US20170266219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gold-containing ag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liver fibrosis or liver cirrhosis
KR101377037B1 (ko) 항암용 조성물
JP2021510728A (ja) 脳卒中の予防又は治療用組成物
CN105579036B (zh) 用于改善膀胱尿道协同失调的药剂
KR102578970B1 (ko) 2,3,5-치환된 싸이오펜 화합물의 난소암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
KR20200091925A (ko) 칠엽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US10286025B2 (en) Composition comprising combined extracts of Schisandra fructus, Eucommiae cortex and Lycii fructus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tabolic bone diseases
US20220313652A1 (en) Use of compound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dimer or trimer thereof in manufacture of medicament for treating cancer
US20220125745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co-administration of acidosis-inducing drug
CN106943408B (zh) 四甲基尿酸预防和治疗糖尿病的应用
KR20200105786A (ko)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7407298B2 (ja) 2,3,5-置換されたチオフェン化合物の卵巣癌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途
CN108785300B (zh) α-倒捻子素在制备预防和治疗痛风和高尿酸血症的药物中的应用
KR20190124951A (ko) Pfi-3를 포함하는 신장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56187B1 (ko) 배초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EP4190331A1 (en) Preventive, relief or therapeutic use of 2,3,5-substituted thiophene compound against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KR20200031582A (ko) 아그마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취약 x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2088689B1 (ko) 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473903B1 (ko) 방사선 조사에 의한 알로에 에모딘의 항암 활성 증진 방법 및 방사선이 조사된 알로에 에모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9532960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kit for applying metformin and sodium butyrate in Kras mutation cancer treatment
EP3064201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central nervous system diseases containing fluoxetine and vitamin c as active ingredients
TWI351965B (en) Composition for prophylaxis or treatment of urinar
KR20230164451A (ko) 1,3-디벤질-5-플루오로우라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51393B1 (ko) 리놀레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손실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