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2210A -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2210A
KR20130022210A KR20110085056A KR20110085056A KR20130022210A KR 20130022210 A KR20130022210 A KR 20130022210A KR 20110085056 A KR20110085056 A KR 20110085056A KR 20110085056 A KR20110085056 A KR 20110085056A KR 20130022210 A KR20130022210 A KR 20130022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content
mobile terminal
dlna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85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7334B1 (ko
Inventor
강영애
박종만
박민서
김민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5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334B1/ko
Priority to EP12180597.2A priority patent/EP2562966B1/en
Priority to US13/594,318 priority patent/US9124440B2/en
Publication of KR20130022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2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a format for calling an appliance service function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04L12/2869Operational details of access network equipments
    • H04L12/287Remote access server, e.g. B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23Media gateways
    • H04L65/1026Media gateways at the ed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2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un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3Terminal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22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 H04N21/2225Local VOD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Abstrac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은, 네트워크 연결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의 종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기기의 종류에 따라 컨텐츠 제공 서버로 동작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상기 이동 단말이 DLNA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는 동안에 DLNA 기기를 감지하고 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사용자가 DLNA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에 미리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동작을 짧은 시간 내에 수행할 수 있으며, 동시에 네트워크 트래픽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ENTS IN HOME NETWORK ENVIRONMEN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네트워크에서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해 단말이 자동으로 DLNA 기기를 감지하고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네트워크는 무선랜을 통해 다수의 디지털 기기들을 서로 연결하여,각 디지털 기기들이 보유한 음악,사진, 영화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상기 DLNA 네트워크는 UPnP(Universal Plug and Play)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여 통신하며, 컨텐츠를 다른 기기로 제공하는 디지털 미디어 서버(DMS:Digital Media Server), 상기 디지털 미디어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아 재생하는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DMP: Digital Media Player)와 디지털 미디어 렌더러(DMR: Digital Media Renderer) 및 상기 디지털 미디어 렌더러(DMR)를 제어하는 디지털 미디어 컨트롤러(DMR: Digital Media Controller)를 포함한다.
상기 DLNA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이동 단말은 사용자의 DLNA 서비스 요청에 따라 무선랜을 연결하여 자신이 접속한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모든 DLNA 기기들을 감지하고, 각 DLNA 기기들의 컨텐츠를 검색하여 화면에 해당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때 상기 DLNA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이동 단말은 디지털 미디어 서버(DMS)로 동작하여 다른 DLNA 기기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DMP)로 동작하여 다른 DLAN 기기들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고, 디지털 미디어 컨트롤러(DMR)로 동작하여 상기 디지털 미디털 미디어 렌더러(DMR)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DLNA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이동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DLNA 서비스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에만 주변 DLNA 기기를 검색하고, 컨텐츠를 검색함으로써, DLAN 서비스가 실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네트워크에 연결된 DLNA 기기를 감지할 수 없어 공유 가능한 컨텐츠를 인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 이동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DLNA 서비스가 요청될 때마다 해당 네트워크에 접속된 DLNA 기기들을 감지하고, 감지된 기기들로부터 컨텐츠 정보 및 썸네일(Thumbnail)을 수신해야함으로써, DLNA 서비스 실행시까지 지연 시간 및 네트워크 트래픽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명은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네트워크에서 이동 단말이 자동으로 DLNA 기기를 감지하고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DLNA 네트워크에서 이동 단말이 네트워크 접속을 감지하여 사용자 제어 없이 자동으로 DLNA 기기를 감지하여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DLNA 네트워크에서 이동 단말이 네트워크에 접속되지 않은 동안에 DLNA 관련 동작을 중지시키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DLNA 네트워크에서 이동 단말이 네트워크에 접속된 동안에 DLNA 기기의 변경을 자동으로 감지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DLNA 네트워크에서 이동 단말이 네트워크에 접속된 동안에 DLNA 기기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컨텐츠를 공유하는 이동 단말의 방법은, 네트워크 연결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의 종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기기의 종류에 따라 컨텐츠 제공 서버로 동작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컨텐츠를 공유하는 이동 단말의 장치는, 네트워크 연결을 감지하고,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를 검색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의 종류를 확인한 후, 상기 기기의 종류에 따라 컨텐츠 제공 서버로 동작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네트워크에서 이동 단말이 자동으로 DLNA 기기를 감지하고 관리함으로써, 직관적이고 편리한 DLNA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미디어 중심적인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가 다른 DLNA 기기들의 컨텐츠를 빠르게 검색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하며, DLNA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동안 DLNA 관련 동작을 중지하여 CPU의 부하를 감소시키고 기기의 전력 소모를 최적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이 DLNA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는 동안에 DLNA 기기를 감지하고 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사용자가 DLNA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미리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동작을 짧은 시간 내에 수행할 수 있으며, 동시에 네트워크 트래픽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DLNA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LNA 네트워크에서 이동 단말의 블럭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LNA 네트워크에서 이동 단말이 DLNA 기기를 감지하고 컨텐츠를 관리하는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LNA 네트워크에서 이동 단말이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절차를 도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LNA 네트워크에서 이동 단말이 DLNA 기기를 관리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LNA 네트워크에서 이동 단말이 DLNA 서비스 실행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네트워크에서 이동 단말이 자동으로 DLNA 기기를 감지하고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해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DLNA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DLNA 네트워크 시스템은 UPnP(Universal Plug and Play)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며, DLNA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UPnP 프로토콜에 기초한 포맷으로 유선 혹은 무선으로 통신하는 기기(이하, DLNA 기기라 함)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DLNA 네트워크 시스템은 유선으로 AP(Access Point)(130)에 접속하여 컨텐츠(혹은 미디어)를 제공하는 디지털 미디어 서버(DMS:Digital Media Server)(110)와 유선으로 AP(130)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수신 및 재생하는 디지털 미디어 렌더러(DMR: Digital Media Renderer)(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혹은 무선으로 AP(130)에 접속하는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수신 및 재생하는 이동 단말(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100)은 본 발명에 따라 무선랜에 접속 중인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무선랜에 접속 중일 경우, 자동으로 DLNA 기기들을 검색하여 기기 정보 및 컨텐츠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반면, 상기 이동 단말(100)은 상기 무선랜에 접속 중이 아닐 경우, DLNA 관련 동작을 중지한다. 즉, 상기 이동 단말(100)은 상기 AP(130)에 접속 중일 경우, 주기적으로 상기 AP(130)에 접속된 DLNA 기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AP(130)에 접속된 DLNA 기기가 존재할 시, DLNA 기기의 종류에 따라 해당 기기와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DLNA 기기 감지 결과, 상기 DMS(110)가 감지될 경우, 상기 DMS(110)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DMS(110)의 상태를 접근 가능한 활성 상태로 설정한다. 반면,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DLNA 기기 감지 결과, 상기 DMS가 감지되지 않고 DMR(120)만이 감지될 경우, 상기 DMR(120)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DMR(120)의 상태를 접근 가능한 활성 상태로 설정하고, DMS로 동작을 결정하여 상기 DMR(120)로 컨텐츠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100)은 상기 AP(130)에 접속 중인 DLNA 기기의 접속 해제를 감지하고, 해당 DLNA 기기의 상태를 비활성 상태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단말(100)은 상기 AP(130)에 접속 중인 동안에 상기 AP(130)에 접속 중인 다른 DLNA 기기들의 접속 상태를 계속적으로 감지하여, 전원 오프, 이동 혹은 사용자 제어 등의 이유로 상기 AP(130)에 대한 접속이 해제된 DLNA 기기가 발생할 경우, 해당 DLNA 기기의 접속 해제 상태를 인지하고, 해당 DLNA 기기의 상태를 비활성 상태로 설정하여 해당 DLNA 기기에 대한 접근이 불가능한 상태로 만든다. 한편, 상기 이동 단말(100)은 상기 AP(130)에 접속된 DLNA 기기가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이동 단말(100)에 저장된 DLNA 관련 정보의 유효성을 검사하여 해당 정보를 유지 혹은 삭제한다.
그러면, 상술한 바와 같은 이동 단말(100)의 동작 및 구성에 대해 하기에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LNA 네트워크에서 이동 단말의 블럭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은 제어부(200), 통신부(210), 저장부(220), 표시부(230) 및 입력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제어부(200)는 네트워크 연결 감지부(202), 서비스 관리부(204), DB 관리부(206) 및 다운로드 관리부(208)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저장부(220)는 DLNA DB(2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이동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처리하며,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연결 감지부(202), 서비스 관리부(204), DB 관리부(206) 및 다운로드 관리부(208)를 포함하여 DLNA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여기서, 상기 DLNA 서비스는 DLNA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된 DLNA 기기들 간에 컨텐츠를 공유하여 재생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즉, 상기 네트워크 연결 감지부(202)는 주기적으로 상기 이동 단말의 무선랜 접속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 결과를 상기 서비스 관리부(204)로 제공한다.
상기 서비스 관리부(204)는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무선랜에 접속 중일 경우, DLNA 서비스를 활성화시켜 상기 무선랜에 접속 중인 DLNA 기기들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해당 기기의 정보 및 컨텐츠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하는 반면,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무선랜에 접속 중이 아닌 경우, 상기 무선랜에 접속되기 전까지 DLNA 서비스를 비활성화시켜 DLNA 관련 동작을 중지한다.
자세히 말해, 상기 서비스 관리부(204)는 상기 단말이 특정 AP에 접속 중인 경우, 상기 AP에 접속 중인 DLNA 기기를 검색한다. 이때, 상기 AP에 접속한 DLNA 기기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서비스 관리부(204)는 상기 DB 관리부(206)에 데이터 유효성 검사를 수행할 것을 요청한다. 반면, 상기 AP에 접속한 DLNA 기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서비스 관리부(204)는 상기 DB 관리부(206)를 통해 특정 AP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저장부(220)에 저장한 후, 상기 AP에 접속 중인 DLNA 기기들 중에서 DMS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서비스 관리부(204)는 상기 DMS가 존재할 경우, 상기 DB 관리부(206)를 통해 상기 DMS의 정보를 상기 DLNA DB(222)에 저장하고 상기 DMS의 상태를 접근 가능한 활성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반면, 상기 서비스 관리부(204)는 상기 DMS가 감지되지 않고 DMR만이 감지될 경우, 상기 DB 관리부(206)를 통해 상기 DMR의 정보를 상기 DLNA DB(222)에 저장하고 상기 DMR의 상태를 접근 가능한 활성 상태로 설정하며, 상기 이동 단말이 DMS로 동작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관리부(204)는 상기 특정 AP에 접속 중인 DLNA 기기의 접속 해제를 감지하고, 접속이 해제된 DLNA 기기의 상태를 비활성 상태로 설정하여 해당 DLNA 기기에 대한 접근이 불가능한 상태로 만든다.
또한, 상기 서비스 관리부(204)는 사용자로부터 DLNA 서비스 실행이 요청될 경우, 상기 저장부(220)에서 DLNA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AP를 검색하여, 상기 AP로 접속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여기서 상기 DLNA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AP는 DLNA 기기가 접속된 AP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서비스 관리부(204)는 DLNA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AP들 중에서 가장 최근에 접속한 AP로 자동 접속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DLNA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AP 목록을 상기 표시부(230)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AP 선택을 요청한 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AP로 접속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DB 관리부(206)는 상기 서비스 관리부(204)의 제어에 따라 상기 통신부(210)로부터 검색된 DLNA 기기 및 DLNA 기기의 컨텐츠를 제공받아 상기 DLNA DB(222)에 저장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이때, 상기 DB 관리부(206)는 상기 DLNA 기기 정보 및 컨텐츠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이 접속 중인 특정 AP와 매핑하여 저장한다. 또한, 상기 DB 관리부(206)는 상기 서비스 관리부(204)로부터 데이터 유효성 검사가 요청될 시 상기 저장부(220)의 DLNA DB(222)에 저장된 DLNA 관련 정보의 유효성을 검사하여 해당 정보를 유지 혹은 삭제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DB 관리부(206)는 상기 DLNA DB(222)에 저장된 각 DLNA 기기 관련 정보들을 대상으로, 데이터 크기, 접속 횟수(혹은 접속 빈도) 및 마지막 접속 시간을 이용하여 해당 DLNA 기기 관련 정보를 상태를 설정하거나 삭제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크기는 해당 DLNA 기기에 관련된 썸네일 데이터의 크기를 의미할 수도 있으며, 상기 해당 DLNA 기기에 관련된 모든 정보 즉, 해당 DLNA 기기 정보, 컨텐츠 정보 및 썸네일 데이터를 모두 합한 데이터 크기를 의미할 수도 있다. 상기 DB 관리부(206)는 특정 DLNA 기기에 대한 데이터 크기가 임계 크기보다 크고, 상기 특정 DLNA 기기에 대한 접속 횟수가 임계 횟수보다 작고, 상기 특정 DLNA 기기에 대한 마지막 접속 시점부터 현재시점까지의 시간 간격(TTL: Time to Live)이 임계 TTL보다 큰 경우, 상기 특정 DLNA 기기에 관련된 모든 정보를 삭제한다. 반면, 상기 DB 관리부(206)는 상기 데이터 크기, 접속 횟수 및 TTL에 대한 조건 중 하나 혹은 둘에 대한 조건만을 만족할 경우, 해당 DLNA 기기의 상태 정보를 비활성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모든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해당 DLNA 기기의 상태 정보를 활성 상태로 설정한다.
상기 다운로드 관리부(208)는 상기 서비스 관리부(204)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이 접속한 AP에 접속해 있는 DMS로부터 컨텐츠의 썸네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하고, 상기 썸네일을 상기 저장부(220)에 저장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이때, 상기 썸네일은 상기 DMS의 컨텐츠 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된다.
상기 통신부(210)는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며, 특히 AP(210)에 접속하여 DLNA 기기들과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저장부(220)는 상기 이동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며, 본 발명에 따라 DLNA DB(222)를 포함함으로써, AP별로 해당 AP에 접속된 DLNA 기기의 정보 및 DLNA 기기의 컨텐츠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DLNA DB(222)는 상기 각 DLNA 기기의 상태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DLNA 상태 정보는 해당 DLNA 기기에 대한 접근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활성 상태와 접근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비활성 상태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DLNA 기기의 정보는 해당 DLNA 기기의 종류, 고유 기기명(UDN: Unique Device Name) 및 해당 DLNA 기기에 대한 설명 등과 같은 메타데이터를 의미하며, 상기 컨텐츠의 정보는 컨텐츠 ID, 컨텐츠의 저장 위치 등과 같은 메타 데이터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220)는 상기 DLNA DB(222)에 저장된 각 컨텐츠에 대한 썸네일을 저장한다.
상기 표시부(230)는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각종 상태 정보, 숫자, 문자 및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표시부(230)는 상기 서비스 관리부(204)의 제어에 따라 DLNA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AP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240)는 적어도 하나의 키를 포함하는 키 입력 수단과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입력부(240)는 사용자가 누르는 키 혹은 사용자가 터치한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를 상기 제어부(200)로 제공한다. 즉, 상기 입력부(240)는 사용자의 키 누름 혹은 터치에 따라 접속할 AP를 선택받아 상기 제어부(2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LNA 네트워크에서 이동 단말이 DLNA 기기를 감지하고 컨텐츠를 관리하는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은 301단계에서 DLNA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검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이동 단말 자신이 무선랜에 접속된 상태인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일, 상기 DLNA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에 연결이 되지 않은 상태일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은 321단계로 진행하여 DLNA 서비스를 비활성화시킨 후, 상기 301단계로 되돌아간다. 즉,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DLNA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에 접속되기 전까지 DLNA 관련 동작을 중지시킨다.
반면, 상기 DLNA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은 DLNA 서비스를 활성화시켜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DLNA 기기들을 검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단말은 접속 중인 AP에 유선 혹은 무선을 통해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DLNA 기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일,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DLNA 기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은 33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DB에 저장된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DB에 저장된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사하는 것은 저장 공간을 많이 차지하면서 최근에 접속한 기록이 없는 DLNA 기기, 특히 DMS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기 위함이다. 상기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사하는 과정은 하기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반면,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DLNA 기기가 존재할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은 307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접속한 AP의 정보를 저장하고, 309단계로 진행하여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기기 중에 DMS로 동작하는 기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 단말은 DMS로 동작하는 기기의 존재 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이 DMS로 동작할 것인지, DMP 혹은 DMC로 동작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일, 상기 DMS가 존재할 시, 상기 이동 단말은 DMP 혹은 DMC로 동작함을 결정하고, 3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DB에 상기 현재 접속한 AP에 대하여 상기 DMS의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DMS의 정보는 상기 DMS의 고유 기기명(UDN), 해당 기기가 DMS로 동작함을 나타내는 정보 및 해당 DMS에 대한 설명 등을 포함한다. 만일, 상기 DMS의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은 3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DMS의 상태 정보를 활성 상태로 설정하고, 315단계로 진행한다. 이후, 상기 이동 단말은 315단계에서 기 설정된 주기만큼 대기한 후, 상기 301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반면, 상기 DMS의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은 3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DMS 정보를 상기 현재 접속한 AP의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DMS의 상태 정보를 활성 상태로 설정한다. 이후, 상기 이동 단말은 31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DMS의 컨텐츠를 검색하여 컨텐츠 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컨텐츠에 대한 썸네일을 다운로드하고, 상기 315단계로 진행하여 기 설정된 주기만큼 대기한 후, 상기 301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반면, 상기 309단계의 검사 결과 DMS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즉, DMR로 동작하는 기기만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은 341단계로 진행하여 DMS로 동작할 것을 결정하고, DMS로 동작을 시작한다. 이후, 상기 이동 단말은 34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DB에 상기 현재 접속한 AP에 대하여 상기 DMR의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DMR의 정보는 상기 DMR의 고유 기기명(UDN), 해당 기기가 DMR로 동작함을 나타내는 정보 및 해당 DMR에 대한 설명 등을 포함한다. 만일, 상기 DMR의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은 34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DMR 기기의 상태 정보를 활성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315단계로 진행하여 기 설정된 주기만큼 대기한 후, 상기 301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반면, 상기 DMR의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은 34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DMR의 정보를 상기 현재 접속한 AP의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DMR의 상태 정보를 활성 상태로 설정한다. 이후,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315단계로 진행하여 기 설정된 주기만큼 대기한 후, 상기 301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LNA 네트워크에서 이동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상기 이동 단말의 DB에 저장된 각 DLNA 기기별로, 해당 DLNA 기기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은 401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의 DB에 저장된 DLNA기기들 중에서 유효성을 검사할 하나의 DLNA기기를 선택한다.
이후, 상기 이동 단말은 403단계에서 선택한 DLNA 기기에 관련된 데이터들의 전체 크기가 임계 크기보다 큰지 여부를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DLNA 기기에 관련된 데이터들의 전체 크기는 상기 DLNA 기기의 컨텐츠들에 대한 썸네일들의 크기일 수도 있으며, 상기 DLNA 기기에 관련된 모든 데이터의 크기, 예를 들어, DLNA 기기 정보, DLNA 컨텐츠 정보 및 썸네일의 크기일 수도 있다. 만일, 상기 선택한 DLNA 기기에 관련된 데이터들의 전체 크기가 임계 크기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은 하기 411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선택한 DLNA 기기에 관련된 데이터들의 전체 크기가 임계 클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은 4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DLNA 기기의 데이터에 대한 접속 횟수가 임계 횟수보다 작은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일, 상기 접속 횟수가 임계 횟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은 하기 411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접속 횟수가 임계 횟수보다 작을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은 407단계에서 상기 DLNA 기기의 데이터에 대한 마지막 접속 시점부터 현재 시점까지의 시간 간격(TTL)이 임계 TTL보다 큰지 여부를 검사한다. 즉,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DLNA 기기의 데이터에 대한 접속 시점이 임계 시점 이전인지 여부를 검사한다. 여기서는, 상기 DLNA 기기들이 플러그 앤 플레이(Plug and Play)로 동작하기 때문에 네트워크에 추가 혹은 삭제되는 DLNA 기기들이 생길 때마다, 상기 이동 단말이 DB에 데이터를 추가 혹은 삭제하고, 썸네일을 수신하게 되면 상기 이동 단말의 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상기 TTL을 유효성 검증 요소로 이용한다. 만일, 상기 DLNA 기기의 데이터에 대한 TTL이 상기 임계 TTL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은 하기 411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DLNA 기기의 데이터에 대한 TTL이 상기 임계 TTL보다 클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은 409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DLNA 기기와 관련된 모든 데이터 예를 들어, 기기 정보, 컨텐츠 정보 및 썸네일을 삭제한다.
이후, 상기 이동 단말은 411단계에서 DB에 저장된 모든 DLNA 기기에 대하여 유효성 검사를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상기 모든 DLNA 기기에 대하여 유효성 검사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은 4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DB에 저장된 다른 DLNA 기기를 선택한 후, 상기 403단계로 되돌아간다. 반면, 상기 모든 DLNA 기기에 대하여 유효성 검사가 완료된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도 3의 321단계로 진행한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이동 단말이 DLNA 기기의 데이터에 대한 접속 횟수를 임계 횟수와 비교하였으나, 상기 접속 횟수 대신 상기 DLNA 기기의 데이터에 대해 소정 기간 동안 얼마나 자주 접속했는지 나타내는 접속 빈도를 임계 빈도와 비교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데이터 크기, 접속 횟수, TTL에 대한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해당 DLNA에 관련된 모든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세 가지 조건 중에서 하나 혹은 두 개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해당 DLNA의 상태 정보를 비활성 상태로 설정하여, 상기 세 가지 조건을 만족하기 전까지 상기 DLNA 기기에 접근할 수 없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LNA 네트워크에서 DLNA 기기를 관리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상기 이동 단말이 연결이 끊어진 DLNA 기기를 감지하여 관리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은 501단계에서 DLNA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검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이동 단말 자신이 무선랜에 접속된 상태인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일, 상기 DLNA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에 연결이 되지 않은 상태일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501단계로 되돌아간다.
반면, 상기 DLNA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일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은 5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DLNA 기기들을 검색하고, 505단계로 진행하여 DLNA 기기의 접속 해제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503단계에서 자신이 접속한 AP에 접속 중인 것으로 감지된 DLNA 기기가 전원 오프, 이동 혹은 사용자 제어 등의 이유로 해당 AP에 대한 접속이 해제되는 상황이 발생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일, 상기 DLNA 기기의 접속 해제가 감지될 시, 상기 이동 단말은 507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DLNA 기기의 상태 정보를 비활성 상태로 설정한다. 즉,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DLNA 기기가 상기 AP에 접속된 것이 다시 감지되기 전까지 상기 DLNA 기기의 상태 정보를 비활성 상태로 설정하여 해당 기기로의 접근이 불가능한 상태임을 나타낸다.
반면, 상기 DLNA 기기의 접속 해제가 감지되지 않을 시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501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LNA 네트워크에서 DLNA 서비스 실행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은 601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DLNA 서비스가 요청될 시, 603단계로 진행하여 DLNA 서비스가 가능한 AP의 정보를 검색한다. 즉, 상기 이동 단말은 DLNA 기기와 매핑되어 저장된 AP들을 검색한다.
이후, 상기 이동 단말은 605단계에서 검색된 AP들 중에서 하나의 AP를 선택하여 접속을 시도한다. 이때,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검색된 AP들 중에서 가장 최근에 접속한 AP를 선택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 제어에 따라 AP를 선택할 수도 있다.
상기 이동 단말은 607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AP에 대한 접속이 성공적인지 여부를 검사하고, 접속이 성공적일 경우 609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AP에 대응하는 DLNA 기기들 중에서 활성 상태로 설정된 DLNA 기기들을 검색한다. 즉, 상기 이동 단말은 DB에 저장된 DLNA 기기들 중에서 상기 AP와 매핑되어 저장되어 있으면서, 상태 정보가 활성 상태로 설정된 DLNA 기기들을 검색한다. 이후, 상기 이동 단말은 611단계에서 활성 상태의 DLNA 기기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상기 활성 상태의 DLNA 기기에 대한 정보는 상기 DLNA 기기의 컨텐츠 정보일 수 있다. 이후, 상기 이동 단말은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607단계의 검사 결과 상기 AP에 대한 접속이 성공적이지 않을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은 613단계에서 상기 검색된 모든 AP에 대하여 접속을 시도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일, 상기 검색된 모든 AP에 대하여 접속을 시도하지 않았을 시, 상기 이동 단말은 605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반면, 상기 검색된 모든 AP에 대하여 접속을 시도한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은 615단계로 진행하여 종래 방식에 따라 AP를 검색하고 접속하여 DLNA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이동 단말은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이동 단말
110: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DMP: Digital Media Player)
120: 디지털 미디어 렌더러(DMR: Digital Media Renderer)
130: AP(Access Point)

Claims (20)

  1. 네트워크 연결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의 종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기기의 종류에 따라 컨텐츠 제공 서버로 동작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컨텐츠를 공유하는 이동 단말의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의 종류에 따라 컨텐츠 제공 서버로 동작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 중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이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로 동작함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컨텐츠를 공유하는 이동 단말의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의 종류에 따라 컨텐츠 제공 서버로 동작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 중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이 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기 혹은 컨텐츠 재생을 제어하는 제어기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함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컨텐츠를 공유하는 이동 단말의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의 정보를 해당 AP(Access Point)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된 기기의 상태 정보를 활성 상태로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컨텐츠를 공유하는 이동 단말의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의 정보를 해당 AP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 중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컨텐츠에 대한 썸네일을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컨텐츠를 공유하는 이동 단말의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기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유효성을 검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컨텐츠를 공유하는 이동 단말의 방법.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유효성은, 데이터 크기, 접속 횟수, 접속 빈도, 마지막 접속 시점부터 현재 시점까지의 시간 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컨텐츠를 공유하는 이동 단말의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이 해제됨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이 해제된 기기의 활성 상태 정보를 비활성 상태로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컨텐츠를 공유하는 이동 단말의 방법.
  9. 제 3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홈 네트워크 서비스 실행을 요청받는 과정과,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AP를 검색하는 과정과,
    검색된 AP들 중 어느 하나의 AP로 접속을 시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AP는,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의 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된 A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컨텐츠를 공유하는 이동 단말의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연결을 감지한 결과,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 홈 네트워크 서비스 관련 동작을 중지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컨텐츠를 공유하는 이동 단말의 방법.
  11. 네트워크 연결을 감지하고,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를 검색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의 종류를 확인한 후, 상기 기기의 종류에 따라 컨텐츠 제공 서버로 동작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컨텐츠를 공유하는 이동 단말의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 중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이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로 동작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컨텐츠를 공유하는 이동 단말의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 중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이 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기 혹은 컨텐츠 재생을 제어하는 제어기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컨텐츠를 공유하는 이동 단말의 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의 정보를 해당 AP(Access Point)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기기의 상태 정보를 활성 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컨텐츠를 공유하는 이동 단말의 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의 정보를 해당 AP(Access Point)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 중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에 대한 썸네일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컨텐츠를 공유하는 이동 단말의 장치.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기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유효성을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컨텐츠를 공유하는 이동 단말의 장치.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 크기, 접속 횟수, 접속 빈도, 마지막 접속 시점부터 현재 시점까지의 시간 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기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유효성을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컨텐츠를 공유하는 이동 단말의 장치.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이 해제됨을 감지하고, 상기 연결이 해제된 기기의 활성 상태 정보를 비활성 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컨텐츠를 공유하는 이동 단말의 장치.
  19.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홈 네트워크 서비스 실행을 요청받고,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AP를 검색하여 검색된 AP들 중 어느 하나의 AP로 접속을 시도하며,
    상기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AP는,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의 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된 A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컨텐츠를 공유하는 이동 단말의 장치.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 연결을 감지한 결과,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 홈 네트워크 서비스 관련 동작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컨텐츠를 공유하는 이동 단말의 장치.
KR1020110085056A 2011-08-25 2011-08-25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67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056A KR101867334B1 (ko) 2011-08-25 2011-08-25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EP12180597.2A EP2562966B1 (en) 2011-08-25 2012-08-16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ent in home network environment
US13/594,318 US9124440B2 (en) 2011-08-25 2012-08-24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ent in home network environ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056A KR101867334B1 (ko) 2011-08-25 2011-08-25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210A true KR20130022210A (ko) 2013-03-06
KR101867334B1 KR101867334B1 (ko) 2018-06-18

Family

ID=46940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5056A KR101867334B1 (ko) 2011-08-25 2011-08-25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124440B2 (ko)
EP (1) EP2562966B1 (ko)
KR (1) KR1018673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56488B2 (en) 2010-06-18 2014-06-17 Sweetlab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ion of an application runtime environment into a user computing environment
WO2012177664A1 (en) * 2011-06-20 2012-12-27 Sweetlab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treamlined content download
KR101462057B1 (ko) * 2012-08-22 2014-11-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에서의 미디어 콘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8775925B2 (en) 2012-08-28 2014-07-08 Sweetlab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osted applications
KR101462055B1 (ko) * 2012-09-04 2014-11-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다중 홈 미디어 컨텐츠 공유를 수행하는 dlna 디바이스 및 그 방법
US20150088957A1 (en) * 2013-09-25 2015-03-26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s for managing applications in multiple devices
CN107454127A (zh) * 2016-06-01 2017-12-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在dlna网络中共享文件的方法、装置及dlna系统
US20230188540A1 (en) * 2021-12-10 2023-06-15 Palo Alto Networks, Inc. Iot adaptive threat preven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9276A (ja) * 2007-10-02 2009-04-23 Sharp Corp コンテンツ配信装置、コンテンツ配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9169732A (ja) * 2008-01-17 2009-07-30 Panasonic Corp 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機器接続制御方法
US20100185987A1 (en) * 2009-01-21 2010-07-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ing thumbnail in dlna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89510B2 (en) * 2000-09-07 2010-03-30 Sonic Solutions Methods and system for use in network management of content
US8347341B2 (en) * 2006-03-16 2013-01-01 Time Warner Cab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entralized content and data delivery
KR100754431B1 (ko) * 2006-04-10 2007-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Dlna 시스템에서 dmr의 처리용량에 따른 컨텐츠변환방법
JP2009258916A (ja) 2008-04-15 2009-11-05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携帯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US20090287794A1 (en) * 2008-05-16 2009-11-19 Nokia Corporation And Recordation Assisting media servers in determining media profiles
EP2202939A1 (en) * 2008-12-23 2010-06-30 Accenture Global Services GmbH Enhanced content sharing framework
US8799496B2 (en) * 2009-07-21 2014-08-05 Eloy Technology, Llc System and method for video display transfer between video playback devices
KR20110039672A (ko) * 2009-10-12 2011-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디엘엔에이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US10264029B2 (en) * 2009-10-30 2019-04-16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packetized content delivery over a content delivery network
WO2011078879A1 (en) * 2009-12-02 2011-06-30 Packet Video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media content from a mobile device to a home network
US20120151006A1 (en) * 2010-12-13 2012-06-14 Motorola Mobility, Inc. Content sharing between a universal plug and play device and a wide area network device
US9451319B2 (en) * 2010-12-17 2016-09-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treaming digital content with flexible remote playback
CN103299615A (zh) * 2011-01-05 2013-09-11 汤姆逊许可公司 因特网协议网络上的视频分发系统和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9276A (ja) * 2007-10-02 2009-04-23 Sharp Corp コンテンツ配信装置、コンテンツ配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9169732A (ja) * 2008-01-17 2009-07-30 Panasonic Corp 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機器接続制御方法
US20100185987A1 (en) * 2009-01-21 2010-07-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ing thumbnail in dlna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7334B1 (ko) 2018-06-18
US9124440B2 (en) 2015-09-01
EP2562966B1 (en) 2019-10-02
EP2562966A1 (en) 2013-02-27
US20130054795A1 (en) 201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7334B1 (ko)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JP6751094B2 (ja) 無線通信をサポートする方法、機器およびシステム
KR101246971B1 (ko) 통신망 디바이스들의 간단한 동적 설정
US20180324182A1 (en) Network access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1047668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rogram,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5101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group profile in a Wi-Fi direct communication system
JP5619100B2 (ja) データ転送を簡略化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60309220A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ent sharing method thereof
US20160134942A1 (en) Multimedia playing system, multimedia file sharing method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858322A1 (en) Method and terminal for sharing media stream
KR20120079208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주변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3256229A (ja) 移動通信端末、情報処理装置、中継サーバ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101531532B1 (ko) 원격 접속에 기초해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462057B1 (ko) 홈 네트워크에서의 미디어 콘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887426B1 (ko) 컨텐츠 공유 시스템에서 프라이버시를 보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722784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이동 단말기
US8082326B2 (en) Server and server program
US20120117627A1 (en) Authority Control Systems and Methods
KR101831686B1 (ko) 홈 네트워크에서 객체의 변경을 판단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976740B1 (ko) 로컬 무선네트워크 환경에서 스마트 폰과의 개인용 컴퓨터의 데이터 공유 제어방법과 데이터 공유 시스템
KR10215680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주변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4906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주변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5727919B2 (ja) 設定方法、設定プログラム及び電化製品
US20150067751A1 (en) Discovering and controlling multiple media rendering devices utilizing different networking protocols
WO2012160828A1 (ja) ネットワーク接続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