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1203A - 전자기기의 인식장치 및 전자기기의 인식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의 인식장치 및 전자기기의 인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1203A
KR20130021203A KR1020110083586A KR20110083586A KR20130021203A KR 20130021203 A KR20130021203 A KR 20130021203A KR 1020110083586 A KR1020110083586 A KR 1020110083586A KR 20110083586 A KR20110083586 A KR 20110083586A KR 20130021203 A KR20130021203 A KR 20130021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recognizing
registrat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3147B1 (ko
Inventor
손주형
송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3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147B1/ko
Publication of KR20130021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 G06K19/0776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the adhering arrangement being a layer of adhesive, so that the record carrier can function as a stick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인식장치는 전자기기의 등록정보를 인식하는 제품정보 인식부, 및 근거리 통신망에 전자기기의 등록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관리장치로 등록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의 인식장치 및 전자기기의 인식방법{APP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인식장치 및 전자기기의 인식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된 시스템에서의 전자기기의 인식장치 및 전자기기의 인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전력시스템은 실제로 사용하는 전기보다 10% 정도 많이 생산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는 전력의 최대소비량에 맞춰진 양으로 혹시라도 더 많이 사용할 경우에 대비해 전기를 미리 확보해 놓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현재의 전력시스템에서 연료는 물론 각종 발전설비도 추가로 필요하다. 또한 버려지는 전기 또한 많아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며, 석탄, 석유, 가스 등을 태우는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도 늘어난다.
꼭 필요한 만큼 전기를 생산하거나 생산량에 맞춰 전기를 사용할 수 있다면 전기를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 지구온난화도 막을 수 있다.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는 전력망에 정보통신기술을 융합하여 전기사용량과 공급량, 전력선의 상태까지 알 수 있는 기술로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스마트 그리드를 이용하면 전력망에 지그비(Zigbee), 전력선 통신 등의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하여 소비자와 전력회사가 실시간으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는 전기요금이 쌀 때 전기를 쓰고, 전자제품이 자동으로 전기요금이 싼 시간대에 작동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력생산자 입장에서는 전력 사용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때문에 전력공급량을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전력 사용이 적은 시간대에는 최대전력량을 유지하지 않거나, 남는 전력을 양수발전에 사용하여 버리는 전기를 줄일 수 있고, 전기를 저장했다가 전력 사용이 많은 시간대에 공급하는 탄력적인 운영도 가능하다. 또한 과부하로 인한 전력망의 고장도 예방할 수 있다.
결국 스마트 그리드는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TV, 냉장고와 같은 전자제품뿐 아니라 공장에서 돌아가는 산업용 장비들까지 전기가 흐르는 모든 것을 묶어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집, 사무실, 공장 어느 곳에서나 사용한 전기요금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전기요금이 비싼 낮 시간대를 피해 전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스마트 그리드를 통해 전자제품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자제품을 스마트 그리드가 연결되는 수용가 내의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현재 전자제품을 네트워크에 등록하기 위해서는 설치자가 가전제품에 부착된 제품정보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이를 네트워크 관리장치에 직접 입력하는 등의 방식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전자제품의 네트워크에의 등록절차를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기기의 인식장치 및 인식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인식장치는 전자기기의 등록정보를 인식하는 제품정보 인식부, 및 근거리 통신망에 전자기기의 등록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관리장치로 등록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이때, 제품정보 인식부는 전자기기의 제품정보가 기록되어 전자기기에 부착되는 QR코드(quick response code) 또는 바코드(barcode)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품정보 인식부는 전자기기의 제품정보를 저장하고, 전자기기에 내장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을 인식할 수 있다.
통신부는 네트워크 관리장치로부터 전자기기의 등록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의 인식장치는 등록결과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인식방법은 전자기기의 등록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및 근거리 통신망에서 전자기기의 등록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관리장치로 등록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등록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는, 전자기기의 제품정보가 기록되어 전자기기에 부착되는 QR코드(quick response code) 또는 바코드(barcode)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등록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는, 전자기기의 제품정보를 저장하여 전자기기에 내장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인식방법은 네트워크 관리장치로부터 전자기기의 등록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등록결과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인식장치 및 전자기기의 인식방법은 설치자가 직접 전자기기의 등록정보를 입력할 필요 없이 용이하게 전자기기를 네트워크 상에 접속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제어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제어시스템의 전력 수용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인식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인식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인식장치를 이용하여 제품정보를 인식하는 방법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인식장치가 전력 수용가에서 사용되는 전자기기들의 전력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는 본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써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하의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제어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력제어시스템의 전력 정보망(100)에는 전력 수용가(3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처(200)와 전력 공급처(200)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소비하는 전력 수용가(300)가 접속된다. 또한, 전력 정보망(100)에는 전력 공급처(200)와 전력 수용가(300)의 활동을 조정하거나 통제하는 전력통제 서버(400)가 접속되어 상호간 실시간으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전력 공급처(200), 전력 수용가(300) 및 전력통제 서버(400)는 각각 서로 분리된 독립적 기관일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하나의 기관에서 중복적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력 정보망(100)내에는 복수의 전력 공급처(200), 복수의 전력 수용가(300) 및 복수의 전력통제 서버(400)가 존재할 수도 있다.
전력 정보망(100)에 접속된 전력 공급처(200)는 전력 전송/배전 기관(210, Transmission/Distribution), 재생전력 생산자(220) 및 전력 서비스 제공자(230, Energy Service Provider)를 포함한다.
전력 서비스 제공자(230)는 전력 정보망(100)을 통해 전력 수용가(200) 및 전력통제 서버(400)에 전력정보를 제공한다. 전력 서비스 제공자(230)에서 제공되는 전력 정보는 정전정보와 전력수요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전력 전송/배전 기관(210) 및 재생 전력 생산자(220)는 전력 정보망(100)을 통해 전력을 제공하는 전력공급원(energy source)의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전력 전송/배전 기관(210)은 1차 전력 공급을 담당하는 전력발전소(212, Bulk Generators)를 포함한다. 또한, 재생전력 생산자(220)는 2차 전력 생산을 위한 저장장치 및 분산전원을 포함하는 전력재활용 수단(222)을 포함한다.
전력 정보망(100)에 접속된 전력 수용가(300)는 스마트 그리드가 적용되는 주거용 건물, 사무용 건물, 공장 등 전력을 필요로 하는 모든 시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종의 전자기기들이 사용되는 주거용 건물을 전력 수용가(300)의 예로써 설명한다.
도 2는 스마트 그리드를 이용한 전력 제어가 가능하도록 설정된 전력 수용가(300)의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력 수용가(300)의 내부에는 텔레비전(10), 냉장고(20), 에어컨(30), 세탁기(40) 및 조명기구(50)와 같은 각종 전자기기들이 구비될 수 있다.
전력 수용가(300)는 게이트웨이(gateway),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3G (3Generation) 및 4G (4Generation)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전력 정보망(10)에 접속될 수 있다. 전력 수용가(300)는 예를 들어 지그비(Zigbee)와 같은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한 자체 홈 네트워크(home network)를 통해 다양한 전자기기들이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전력 수용가(300)는 그 내부에 구비되는 스마트 서버(smart server, 80)를 통해 전력 정보망(100)으로부터 다양한 전력정보를 수신하여 소비자(user)에게 제공한다.
또한, 전력 수용가(300)에는 전자기기의 인식장치(70)로부터 전자기기의 등록정보를 수신하여 홈 네트워크에 대한 등록절차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관리장치(60)가 구비된다. 네트워크 관리장치(60)는 일례로, 전력 수용가의 시간대별 사용량을 측정하여 그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어, 시간대별 요금을 알 수 있도록 하는 전자식 전력량계인 스마트 미터(smart meter)일 수 있다. 네트워크 관리장치(60)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 체크할 수 있게 하고, 전력공급자와 사용자 간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다만, 이와 같은 네트워크 관리장치(60)의 기능은 스마트 텔레비전(smart television)과 같이 다양한 전자기기에 추가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네트워크 관리장치(60)는 후술하는 스마트 서버(80)에 의해 그 기능이 수행될 수도 있다.
스마트 서버(80)는 전력 수용가(300)내의 다른 전자기기들의 전력 사용 현황을 전자기기의 인식장치(70)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기기의 인식장치(70)를 이용하여 각각의 전자기기들의 전력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인식장치(7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의 인식장치(70)는 제품정보 인식부(702), 통신부(706), 표시부(708), 제어부(710), 저장부(712) 및 입력부(714)를 포함한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전자기기의 인식장치(70)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기기의 인식장치(70)의 각 구성요소들은 각각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구성요소가 서로 통합되어 구성되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기능적으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시된 전자기기의 인식장치(70)의 각 구성요소들을 그 기능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품정보 인식부(702)는 전자기기(90)의 등록정보를 인식한다. 예를 들어, 제품정보 인식부(702)는 전자기기(90)에 부착되거나 내장되는 QR코드, 바코드(barcode) 또는 NFC 모듈을 인식하여 전자기기(90)의 등록정보를 인식한다. 즉, 제품정보 인식부(702)는 전자기기(90)의 제품정보가 기록되어 전자기기(90)에 부착되는 QR코드(quick response code) 또는 바코드(barcode)를 인식하는 광학인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품정보 인식부는 전자기기의 제품정보를 저장하고, 전자기기(90)에 내장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을 인식하는 NFC 인식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전자기기(90)의 등록정보는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 및 설치코드(installa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706)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관리장치(80)에서 인식된 전자기기(90)의 등록정보를 네트워크 관리장치(60)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706)는 지그비(Zigbee) 표준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부(706)는 그 밖에 다양한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706)는 네트워크 관리장치(60)로부터 전자기기의 등록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제어부(710)로 출력한다.
한편, 통신부(706)는 전자기기(90)의 등록정보를 전력통제서버(400)를 통해 네트워크 제어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통신부(706)는 전력 정보망(100)이 아닌 다른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자기기(90)의 등록정보를 전력통제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706)은 암호화된 채널을 이용하여 전력통제서버(400)에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전력통제서버(400)는 전력 정보망(100)을 통해 전자기기(90)의 등록정보를 네트워크 관리장치(6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력통제서버(400)는 MAC 주소와 함께, 설치 코드에 해시 함수를 적용하여 산출한 PCLK(preconfigured link key)의 형태로 전자기기(90)의 등록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710)는 전자기기(90)의 등록장치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한다. 제어부(71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수신된 전자기기(90)의 제품정보의 인식명령을 제품정보 인식부(702)로 출력하여 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10)는 입력부(714)에서 출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서 QR코드, 바코드 또는 NFC 모듈에 의해 전자기기(90)의 제품정보를 이식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제품정보 인식부(702)로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710)는 통신부(706)로부터 전자기기(90)의 등록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표시부(708)로 출력한다
표시부(708)는 네트워크 관리장치에서 진행된 등록결과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710)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한다. 표시부(708)는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유기발광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될 수 있으며, 터치 패널(touch panel)로 이루어져 입력부(714)의 기능까지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입력부(714)는 사용자가 전자기기(90)의 등록을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입력부(714)에 입력된 제어명령은 제어부(710)로 출력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입력부(714)를 통해 전자기기(90)의 제품정보를 인식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기기(90)의 등록정보가 기록된 형태에 따라서 QR코드, 바코드 및 NFC 모듈 중 어느 방식으로 등록정보를 인식할 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부(714)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714)는 표시부(708) 상에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712)는 통신부(706)에서 수신한 등록결과에 대한 정보 및 제품정보 인식부(702)에서 출력되는 전자기기의 등록정보를 저장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전자기기(90)의 등록장치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와 같은 기기에 상기와 같은 기능을 구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인식장치(7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인식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전자기기의 인식장치의 제품정보 인식부는 전자기기의 등록정보를 인식(S100)한다.
예를 들어, 제품정보 인식부(702)는 전자기기에 부착되거나 내장되는 QR코드, 바코드(barcode) 또는 NFC 모듈을 인식하여 전자기기의 등록정보를 인식한다. 즉, 제품정보 인식부(702)는 전자기기의 제품정보가 기록되어 전자기기에 부착되는 QR코드(quick response code) 또는 바코드(barcode)를 인식하는 광학인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품정보 인식부는 전자기기의 제품정보를 저장하고, 전자기기에 내장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을 인식하는 NFC 인식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자기기의 등록정보는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 및 설치코드(installa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전자기기의 인식장치가 QR코드를 통해 전자기기의 등록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의 인식장치는 제품정보 인식부(702)에 구비되는 광학장치(미도시)를 통해 전자기기에 부착된 QR코드(72)를 읽어내고, 이를 인식하여 등록정보(74)를 표시부(708)에 표시한다.
도 6은 전자기기의 인식장치가 바코드를 통해 전자기기의 등록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의 인식장치는 제품정보 인식부(702)에 구비되는 광학장치(미도시)를 통해 전자기기에 부착된 바코드(76)를 읽어내고, 이를 인식하여 등록정보(74)를 표시부(708)에 표시한다.
도 7은 전자기기의 인식장치가 NFC 모듈을 통해 전자기기의 등록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의 인식장치는 제품정보 인식부(702)에 구비되는 NFC 인식모듈(미도시)을 통해 전자기기에 내장되는 NFC 모듈에 저장된 등록정보(74)를 인식하여 표시부(708)에 표시한다. NFC 모듈을 이용하는 경우, 전자기기의 외관에 영향을 주지 않고 추후 전자기기의 재등록 시에도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전자기기의 인식장치의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망에서 전자기기의 등록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관리장치로 등록정보를 전송(S110)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706)는 지그비(Zigbee) 표준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부(706)는 그 밖에 다양한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706)는 네트워크 관리장치(60)로부터 전자기기의 등록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부(708)로 출력한다.
한편, 통신부(706)는 전자기기의 등록정보를 전력통제서버(400)를 통해 네트워크 제어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통신부(706)는 전력 정보망(100)이 아닌 다른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자기기의 등록정보를 전력통제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706)은 암호화된 채널을 이용하여 전력통제서버(400)에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전력통제서버(400)는 전력 정보망(100)을 통해 전자기기의 등록정보를 네트워크 관리장치(6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력통제서버(400)는 MAC 주소와 함께, 설치 코드에 해시 함수를 적용하여 산출한 PCLK(preconfigured link key)의 형태로 전자기기의 등록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네트워크 관리장치(60)는 전자기기의 인식장치로부터 직접 또는 전력통제서버를 통하여 가전기기의 등록정보를 수신(S120)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력 수용가 내에 설치되는 근거리 통신망에 전자기기를 등록(S130)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관리장치(60)는 전자기기의 MAC 주소와 설치코드를 수신하고, 이때, 설치코드는 해시함수를 통해 PCLK로 변환될 수 있다. 이때, 전자기기의 MAC 주소와 PCLK는 네트워크 관리장치(60)의 링크키 테이블(link key table)에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관리장치(60)에 접속허용 명령이 내려지고, 전자기기로부터 접속요청이 수신되면, 전자기기의 접속요청에 포함된 MAC 주소가 링크키 테이블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존재하는 경우, 네트워크 키를 PCLK로 암호화하여 전자기기로 전달한다. 이때, 전자기기는 PCLK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키를 복호화하여 등록절차를 완료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전자기기의 등록절차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는 다른 방법으로 전자기기의 등록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네트워크 관리장치는 전자기기의 등록결과에 대한 정보를 전자기기의 인식장치로 전송(S140)하고, 전자기기의 인식장치의 통신부는 등록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S150)하며, 이를 표시부를 통해 표시(S160)한다.
도 8은 가전기기가 등록된 결과를 표시하는 것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의 인식장치의 표시부에는 등록된 가전기기에 대한 이미지(78)와 함께 그에 대한 전력사용정보(80)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이를 통해 전자기기의 실시간 전력사용 정보를 확인하고, 표시부에 표시되는 제어버튼(92)을 통해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10)

  1. 전자기기의 등록정보를 인식하는 제품정보 인식부, 및
    근거리 통신망에 상기 전자기기의 등록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관리장치로 상기 등록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인식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정보 인식부는 상기 전자기기의 제품정보가 기록되어 상기 전자기기에 부착되는 QR코드(quick response code) 또는 바코드(barcode)를 인식하는 전자기기의 인식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정보 인식부는 상기 전자기기의 제품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전자기기에 내장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을 인식하는 전자기기의 인식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네트워크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전자기기의 등록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전자기기의 인식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결과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인식장치.
  6. 전자기기의 등록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및
    근거리 통신망에서 상기 전자기기의 등록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관리장치로 상기 등록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인식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기기의 제품정보가 기록되어 상기 전자기기에 부착되는 QR코드(quick response code) 또는 바코드(barcode)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인식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기기의 제품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전자기기에 내장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인식방법.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전자기기의 등록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인식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결과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인식방법.
KR1020110083586A 2011-08-22 2011-08-22 전자기기의 인식장치 및 전자기기의 인식방법 KR101893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586A KR101893147B1 (ko) 2011-08-22 2011-08-22 전자기기의 인식장치 및 전자기기의 인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586A KR101893147B1 (ko) 2011-08-22 2011-08-22 전자기기의 인식장치 및 전자기기의 인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203A true KR20130021203A (ko) 2013-03-05
KR101893147B1 KR101893147B1 (ko) 2018-08-30

Family

ID=48174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586A KR101893147B1 (ko) 2011-08-22 2011-08-22 전자기기의 인식장치 및 전자기기의 인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31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78152B2 (en) 2013-06-12 2019-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wireless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5051A (ja) * 2001-05-21 2002-11-29 Toshiba Corp 家電製品用通信装置、家庭内通信方法、ホーム端末、ホーム端末の遠隔操作受付処理方法、ネットワーク中継器、ネットワーク中継器の遠隔操作受付処理方法、ユーザ登録カード、顧客管理サーバ、顧客データ登録方法及びクライアント装置
KR200371261Y1 (ko) * 2004-10-13 2004-12-30 주식회사 한국아이디어연구소 만능리모콘장치 및 그 업그레이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5051A (ja) * 2001-05-21 2002-11-29 Toshiba Corp 家電製品用通信装置、家庭内通信方法、ホーム端末、ホーム端末の遠隔操作受付処理方法、ネットワーク中継器、ネットワーク中継器の遠隔操作受付処理方法、ユーザ登録カード、顧客管理サーバ、顧客データ登録方法及びクライアント装置
KR200371261Y1 (ko) * 2004-10-13 2004-12-30 주식회사 한국아이디어연구소 만능리모콘장치 및 그 업그레이드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78152B2 (en) 2013-06-12 2019-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wireless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510167B2 (en) 2013-06-12 2022-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wireless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546872B2 (en) 2013-06-12 2023-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wireless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889453B2 (en) 2013-06-12 2024-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wireless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3147B1 (ko) 2018-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9288B2 (en) Control system of an entity
WO2012066651A1 (ja) 電力管理システム及び電力管理方法
US20160111920A1 (en) Energy management device and its associated method
US20140052306A1 (en) Power connec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KR20110061871A (ko) 에너지 관리 장치 및 시스템
CN105074715B (zh) 消费者设施设备、控制装置和控制方法
KR20120000011A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에너지소비부
US9250618B2 (en) PWM based energy management with local distributed transformer constraints
US9146604B2 (en) Power control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KR101486386B1 (ko) 전기기기 및 전력제어방법
CN205427589U (zh) 基于微信平台的智能家居控制系统
KR20130021203A (ko) 전자기기의 인식장치 및 전자기기의 인식방법
KR101927744B1 (ko) 네트워크 시스템
US20180173264A1 (en) NGPR-1 Nano Grid Power Router
KR20140031445A (ko) 코제네레이션용 유지관리 시스템
CN103676824A (zh) 电器及其控制方法
KR101824992B1 (ko) 통신 관리방법 및 통신 관리장치
US20120206273A1 (en) Network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70111368A (ko) 전력 네트워크 시스템
CN104698241A (zh) 一种智能电表
KR20130025557A (ko) 전력정보 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전력정보 처리방법
KR20110044005A (ko) 가전 제품 통합 제어 시스템
KR20110138812A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에너지 소비부
WO2012060485A1 (ko) 원격전력제어장치 및 원격전력제어방법
Menaga et al. Smart Grid Meter Using ZigBee WS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