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0509A - 안경테 - Google Patents

안경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0509A
KR20130020509A KR1020110099573A KR20110099573A KR20130020509A KR 20130020509 A KR20130020509 A KR 20130020509A KR 1020110099573 A KR1020110099573 A KR 1020110099573A KR 20110099573 A KR20110099573 A KR 20110099573A KR 20130020509 A KR20130020509 A KR 20130020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eight
nose support
eyeglass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9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백
Original Assignee
이성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백 filed Critical 이성백
Priority to PCT/KR2012/00633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3048003A1/ko
Publication of KR20130020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5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2/00Producing frames
    • B29D12/02Spectacle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6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closed rigid rims for th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경테는 한 쌍의 렌즈 고정림 및 상기 렌즈 고정림을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되 평판 합성수지 판재를 가공하여 구비되는 프레임, 일면이 상기 프레임에 접합되어 있는 한쌍의 안경 코받침, 및 상기 프레임의 마주보는 양단에 구비되어 힌지가 고정되는 힌지 고정홈이 형성된 힌지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전 두께에서 점착필름의 두께를 뺀 두께를 가지고,
상기 안경 코받침의 하단이 접착된 프레임 부분은 상기 합성수지판재의 두께에서 상기 합성수지판재에 초기 형성된 홈의 깊이만큼 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경테는 안경 코받침의 높이를 미리 제작한 후, 안경테의 외경 및 내경을 가공하므로 안경 코받침을 가공하기 위한 추가적인 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이러한 공정의 생략으로 안경테 제조를 위한 기계화 및 자동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안경테{OPTICAL FRAME}
본 발명은 안경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 코받침의 높이를 미리 제작하여 홈을 형성한 시트에 부착함으로써, 안경테를 2차원적으로 가공하여 상기 안경테의 힌지고정홈의 오차범위를 획기적으로 줄여줄 수 있는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
안경은 시력을 교정하는 용도 이외에 사용자의 개성을 표현해주는 주요 패션 소품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그 재질에 따라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재 안경의 경우 먼저 생각할 수 있는 것은 안경테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이는 사출성형으로 통해 손쉽게 안경테을 제작함으로써 값싸게 다양한 안경테를 공급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합성수지 안경테의 경우에도 고급품의 경우에는 "다양한 형태의 합성수지 판재"(이하 본 발명에서는 "합성수지 판재" 혹은 "시트"라 함)를 안경테 형태로 절삭가공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소비자의 기호도가 고급화됨에 따라 절삭가공한 안경제품의 수요가 꾸준히 지속 증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합성수지 판재를 절삭 가공하여 제작하는 안경테(이하 본 발명에서는 "합성수지판재 안경테"라 한다)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상기 합성수지판재를 안경테 형태로 절삭가공하는 방법은 여러 공정으로 나누어 각 공정마다 합성수지판재를 작업자가 일일이 렌즈커브의 곡률 및 안경 코받침을 가공하는 수동 방식으로 제작하였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도면 15 및 도면 16에 기재되어 있다. 이를 요약하면 상기 합성수지 판재를 안경테 형태로 절삭가공하는 방식의 경우 안경테의 안경 코받침 부분 형상을 만들기 위해 일정한 두께를 가진 합성수지판재에서 안경테 모양을 절삭가공하여 얻은 후 직육면체의 코받침부분을 안경 코 부분에 부착한 후 원하는 모양으로 가공하는 단계를 거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부분이 거의 수작업으로 제작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중국등 후발국으로 낮은 인건비를 찾아서 산업 자체가 이전되었다.
상기 수작업으로 진행되던 방식은 안경 코받침 모양으로 가공하기 전 단계의 합성수지판재를 안경 코 부분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접착제가 도포될 때 기포가 포집되어 완성된 안경테에서 기포가 그대로 보여졌고 이로 인해 불량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도 10 참조)
상기 수작업으로 진행되는 방식은 높은 인건비로 인해 제품의 단가가 높게 나타면서도 불량률도 높게 나타나 인건비가 상대적으로 낮은 중국등 후발국으로 산업 자체가 이전되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자동화를 통한 인건비 보전을 통해 국내에서도 안경산업이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가지게 하려는 노력이 있어왔다.
이러한 자동화 노력으로 탄생한 가공방법이 있었으나 그 방법은 합성수지판재에서 안경테 모양을 절삭가공하여 얻은 후 직육면체의 코받침부분을 안경 코 부분에 부착한 후 안경 코받침의 굴곡을 형성하기 위해 가로, 세로, 높이 즉, 3차원적인 가공을 반드시 거쳐야 하는 것으로 고가의 3차원 기계를 사용해야 할 뿐 아니라 특히 가공시간이 1개당 3시간 이상 소요되는 단점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자동화 공정으로 전환하기는 어려웠다.
종래 수작업으로 안경테를 제조하는 방식은 힌지 고정홈의 오차범위가 1mm내외이며, 상기 오차범위로 인해 안경다리가 정확한 지점에서 결합되지 않아 안경테의 균형이 제대로 잡히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경 코받침을 미리 제작하여 다양한 형태의 안경 코받침이 결합가능한 안경테를 제공한다.
상기 안경테는 2차원적 자동화 공정에 의해 제작되므로 힌지 고정홈의 오차범위가 줄어들어 제품의 불량률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모든 변화되는 높이와 관련한 요소들을 자동화 공정에 투입하기 전 먼저 작업하여 자동화공정에서는 높이의 변화를 가공하는 공정을 없앰으로써 3차원적 가공공정을 2차원적 가공공정으로 변화시키도록 한다.
상기 안경 코받침이 접착되는 시트에 안착홈을 형성하여 상기 안경 코받침과 상기 시트의 결합력을 높여 안정적인 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접착홈의 측면에 기포 배출공간을 추가로 형성하여 불량률을 줄일 수 있도록 돕는다.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적용가능하고 가격 경쟁력도 있으며 사용자의 기호를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합성수지판재 안경테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한 결과 과거 추진된 자동화공정의 문제점은 3차원 가공을 필수적으로 해야 했으므로 장시간이 소요되고 제작기계가 3차원적 가공이 가능한 기계로서 고가여서 경제성이 없는 것이었으므로 이를 개선하는데 연구의 노력을 집중하였는 바, 마침내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첫번째 개선점은 안경테 제조를 위해 높이와 관련한 모든 변화되는 요소들을 자동 가공 공정에 투입하기 전 먼저 작업하여 자동 가공공정에서는 높이의 변화를 가공하는 공정을 없앰으로써 3차원적 가공공정을 2차원적 가공공정으로 변화시킨다는 것이었다.
상기 높이와 관련한 부분은 먼저 합성수지 판재의 높이를 처음부터 조정하여 투입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합성수지 판재는 일부 얇게 가공되는 부분이 있으나 상당부분은 두께를 절삭하는 가공공정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최초부터 필요높이로 조정된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높이와 관련한 부분은 코받침과 관련한 부분이다. 이는 안경 코받침의 형상을 미리 제작하여 자동가공 공정에 투입하기 전에 먼저 합성수지 판재상에 최종적으로 코받침이 위치해야할 곳에 먼저 접착한다는 것으로 이렇게 할 경우 자동공정에서 코받침과 관련하여 높이를 모양에 따라 가공해야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이는 종래 수작업에 의존하던 경우 안경테 모양을 먼저 잘라낸 후에 코받침부분에 대체로 직육면체 형태의 가공되기 전 플라스틱 조각을 붙여 이후 가공을 하던 방식과는 전혀 다른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첫 번째 개선점으로 인해 안경 코받침의 형태를 다양하게 미리 제작할 수 있고, 이는 사용자의 코높이나 기호에 따라 다양한 안경 코받침의 형태를 제작할 수 있어 제품의 다양화를 도울 수 있다.
두 번째 개선점은 안경테용 합성수지 판재의 한쪽 면에 "유연성이 높고 한쪽 표면이 매끄럽고 다른 한쪽에는 점착제가 도포된 합성수지필름(이하 본 발명에서는 "점착필름"이라함)을 가공 후 쉽게 떼어낼 수 있게 부착해 놓은 합성수지 판재를 사용한다는 점이다.
점착필름은 하나의 합성수지 판재로부터 다수의 안경테를 절삭가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점착필름의 매끄러운 면은 합성수지 판재를 가공 중 공기의 흡입 등을 통해 고정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점착필름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있어서 자동공정 중 합성수지 판재가 안경테 모양으로 절단되는 공정을 거치더라도 점착필름의 일부만이 절단됨으로써 가공 중 안경테가 일탈되지 않게 하여 자동공정이 순차적으로 원활하게 진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점착필름은 자동공정이 완료된 후 떼어 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세 번째 개선점은 안경테 형상으로 가공되는 시트에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이 안착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서 상기 시트와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경 코받침 부분에 불필요한 기포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홈은 안경테 제조용 시트 상에 안경테가 완성되었을 경우 최종적으로 코받침이 위치할 곳에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을 안정적으로 안착시키고 추후 안경테 가공 과정에서 2차원 가공으로 안경테가 안정적으로 가공될 수 있도록 하기위해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을 위치시키는 홈을 원칙적으로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의 하단의 형상에 맞추어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홈의 형상은 상기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다.
상기 홈에 접착제를 투입한 후 상기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을 상기 홈에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이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이 안착될 수 있는 홈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포배출공간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기포배출공간을 통해 접착시 생길 수 있는 기포가 홈의 바깥으로 나올 수 있다.
상기 기포배출공간은 상기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의 바닥면이 접착제가 충진된 상기 홈에 끼워져 결합할 때 상기 바닥면과 상기 홈 사이에 공기가 존재할 수 있고 이를 그대로 접착할 경우 불가피하게 기포가 코받침과 안경테 사에에 형성되어 불량품의 원인이 됨을 많은 반복실험을 통해 인식하고 이들 기포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발명하는 과정에서 착안된 것이다.
상기 기포는 안경이 소비자에게는 시력을 교정하기 위한 측면이외에도 요즈음은 중요한 외관을 좌우하는 장식품의 역할을 하는 것이 사실이므로 아주 작은 양에도 치명적인 결함이 되어 완제품을 폐기해야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을 하는 과정에서 이들 기포를 제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시도 되었는데 결국은 상기 홈의 크기를 원칙적으로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의 하단의 형상에 맞추어 형성하되 상기 기포배출공간을 상기 홈의 외연에 더 형성하여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을 접착제가 채워진 상기 기포배출공간이 더 형성된 홈에 끼워 접합시킬 때 접착면에 생길 수 있는 기포들을 옆으로 기포배출공간을 밀어내어 접착면에는 기포가 생성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을 창안하게 되었고 실제로 상기 홈을 형성하여 발생하던 기포를 거의 제거하게 되었다.
바람직하게는 기포배출공간은 홈의 바닥면보다 같거나 좀 더 깊이 파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포배출공간의 모양은 다양할 수 있으나 크기는 클수록 좋다. 하지만 너무 크면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을 정교하게 위치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통상은 홈의 외연에 연결된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네 번째 개선점은 안경테의 힌지 고정홈의 오차범위를 획기적으로 줄여주어 안경다리가 결합될 때 좌우 균형이 제대로 잡힐 수 있도록 하고, 제품의 불량률이 줄어든다는 점이다.
상기 힌지 고정홈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경테를 제작하기 위한 시트의 가장 두꺼운 부분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힌지 고정홈의 반경 2mm내외는 안경다리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시트를 가공하지 않은 채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힌지 고정홈은 상기 안경테를 자동화 공정으로 제작하면서 위치에 대한 오차범위가 줄어들게 되고, 정확한 위치에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하여 안경테의 좌우 균형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시 정리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경테는 한 쌍의 렌즈 고정림 및 상기 렌즈 고정림을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되 평판 합성수지 판재를 가공하여 구비되는 프레임, 일면이 상기 프레임에 접합되어 있는 한쌍의 안경 코받침, 및 상기 프레임의 마주보는 양단에 구비되어 힌지가 고정되는 힌지 고정홈이 형성된 힌지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전 두께에서 점착필름의 두께를 뺀 두께를 가지고, 상기 안경 코받침의 하단이 접착된 프레임 부분은 상기 합성수지판재의 두께에서 상기 합성수지판재에 초기 형성된 홈의 깊이만큼 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힌지 고정부가 위치하는 프레임의 두께는 상기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 전 두께와 동일하며, 상기 힌지 고정부가 형성된 프레임의 두께는 상기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이 접착된 프레임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상기 렌즈고정림은 렌즈가 고정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고정홈은 0.05㎜ 이내의 오차범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첫 번째 효과는 합성수지판재안경테를 실질적으로 자동공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안경테의 제조과정에서 높이와 관련한 모든 변화되는 요소들을 자동화 공정에 투입하기전 먼저 작업하여 자동화공정에서는 높이의 변화를 가공하는 공정을 없앰으로써 3차원적 가공공정을 2차원적 가공공정으로 변화시킴으로서 이루어 질 수 있었는데 실제 3차원적 가공공정을 사용할 경우 1개의 안경테를 합성수지 3차원 가공기계를 가동하는데 3시간 이상이 소요되었는데 2차원적으로 가공할 경우 10분 이내에 가공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효과는 이런 과정을 실제로 발명하면서 안경 코받침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안경 코받침의 형태를 별도로 제작하지 않고 합성수지판재 조각을 시트에 부착시켜 안경테의 내경 및 외경을 가공하는 경우 안경 코받침의 형태를 가공하는데 한계가 있으나, 안경 코받침을 미리 제작하여 시트와 부착하는 경우 원하는 형태를 손쉽게 가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기호에 알맞은 안경 코받침을 만들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효과는 자동기계에 의해 안경테가 보다 정교하게 가동됨으로써 수동작업에 의존할 경우 추가되는 후가공의 공정을 줄일 수 있었다는 점이다.
넷째 본 발명의 효과는 정교하고 항상 일정한 작업에 의해 수동작업에 의존할 경우와 비교하여 안경테의 불량률이 감소하여 품질이 향상되었고, 기계화 및 자동화로 인해 인건비 절감효과를 거둘 수 있었으며, 생산원가 측면에서도 현저히 낮아졌다는 점이다.
다섯째 본 발명은 상기 안경 코받침을 시트에 부착할 때 시트에 접착홈을 형성하여 상기 안경 코받침과 상기 시트와의 결합력을 높여 안정적으로 상기 안경 코받침이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시트의 안착홈에 상기 안경 코받침이 접착될 때 발생할 수 있는 기포를 제거하기 위하여 기포 배출공간을 추가로 형성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종래 수동공정과 본 발명에 의한 자동공정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 수동공정은 합성수지 재료를 절단한 후, 안경 코받침의 재료를 안경테에 부착하고 안경테의 내경 및 외경을 가공하면서 안경 코받침의 내측면 및 외측면을 가공하는 단계를 거치게 되고, 이는 안경 코받침의 높이 가공을 추가적으로 하게 되므로 가공시간이 상대적으로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공정은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을 시트에 부착한 후, 상기 시트를 안경테 형상으로 절단하고, 내경 및 외경을 가공하게 된다.
상기 자동공정은 안경 코받침의 높이를 미리 결정하기 위해 별도의 제작과정을 거치고, 안경테 가공과정에서 안경 코받침의 높이를 다시 가공하지 않으므로 제작시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될 수 있으며, 특히 종래 안경테를 수동공정으로 제작할 때 3시간이 소요되던 것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공정은 제작시간이 6~7분이 소요된다.
상기 기계화 및 자동화로 인해 상기 안경테의 힌지 고정홈의 위치에 대한 오차범위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어 상기 안경테의 균형감이 우수하여 불량률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의 실물 사진이다.
도 5는 시트(100)와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이 결합된 실제 사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시트(100)에 형성된 안착홈(101) 및 기포 배출공간(102)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도 10은 안착홈(101) 및 기포 배출공간(102)을 포함하지 않는 시트로 만들어진 안경테의 안경 코받침 모습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경테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안착홈이 형성된 시트와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이 접착되어 만들어진 안경테이다.
도 13은 안착홈이 형성되지 않은 시트와 안경 코받침이 접착되어 만들어진 안경테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시트를 안경테 형상으로 절삭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 및 절삭된 시트 와 합성수지 필름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종래 안경 코받침의 가공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종래 방식에 따라 안경 코받침을 가공하기 위한 실물 사진이다.
도 17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을 가공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을 가공하기 위한 칼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경테는 한 쌍의 렌즈 고정림(201) 및 렌즈 고정림(201)을 연결하는 브릿지(203)를 포함하는 프레임, 렌즈 고정림(201)의 각각에 결합된 안경 코받침, 및 상기 프레임의 마주보는 양단에 구비된 힌지 고정홈(202)이 형성된 힌지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경 코받침은 높이가 최종적으로 결정된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안경 코받침은 안경을 착용할 때 안경테(200)가 안면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 안경테(200)의 중심부에 돌출된 한 쌍의 부속품을 의미한다. 상기 안경 코받침의 높이는 안경테를 기준으로 상기 안경 코받침의 가장 돌출된 부분까지를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안경 코받침의 높이가 높을수록 안경테와 안면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고, 상기 안경 코받침의 높이가 낮을수록 안경테와 안면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경테 제조방법은 안경테(200)의 렌즈 고정림(201) 부분과 상기 안경 코받침의 모양을 다듬을 때, 상기 안경 코받침의 높이는 가공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은 상기 시트(100)에 부착되기전에 미리 높이가 정해진 안경 코받침으로서,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은 안경테의 내경 및 외경을 가공하기 전에 안경 코받침의 높이를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단계까지 가공된 안경 코받침을 뜻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안경 코받침의 높이를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안경 코받침을 시트에 부착하기 전에 상기 안경 코받침의 y축 방향으로 이미 가공이 완료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 "최종적인 단계까지 가공된"이라는 의미는 후가공상의 연마나 광택을 내는 등의 가공까지 포함되지 않는 것이 원칙적이나 필요시 포함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높이와 관련된 모든 부위가 최종적인 단계까지 가공"이라는 의미에는 측면의 가공 유무는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높이와 관련된 부분이 아닌 부위는 가공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의 높이는 미리 결정되어 제작된 후 상기 안경테의 재료가 되는 시트(100)에 부착될 수 있다.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은 시트(100)에 부착되기 전에 사용자의 코높이 및 안경테의 형상에 따라 높이가 정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3㎝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은 시트(100)와 부착되는 면과 마주보는 면이 곡선형태를 가질 수 있다.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렌즈고정림(201)의 내경 및 외경을 가공하면서 안경 코받침의 높이를 추가적으로 가공하지 않아 높이가 최종적으로 결정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은 시트(100)에 접착되는 면과 마주보는 면이 다양한 형태를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의 실물 사진이다.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은 사출성형 하거나 절삭가공을 하여 원하는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은 안경테(200)를 제작하기 위한 시트(100)에 부착될 수 있으며, 시트(100)는 바람직하게는 아세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100)는 안경테(200)의 재료가 되는 것으로 안경 제조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경테는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와 시트가 결합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시트(100)와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이 결합된 실제 사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은 시트(100)에 다양한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시트(100)에 홈을 형성한 후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을 접착하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시트(100)에 형성된 안착홈(101) 및 기포 배출공간(102)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시트(100)는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이 접착될 수 있는 한쌍의 안착홈(101)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홈(101)은 안경테(200)를 형성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고,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이 시트(100)와 결합할 수 있는 면적과 동일한 넓이를 가질 수 있다.
안착홈(101)은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과 시트(100)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과 시트(100) 사이에 도포된 접착제가 밀려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의 배열상태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접착제를 안착홈(101)에 일정량만큼 투입한 후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를 안착홈(101)에 위치시켜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을 시트(1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안착홈(101)은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 하단 받침부가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4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안착홈(101)의 측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포 배출공간(102)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안착홈(101)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하나씩의 기포 배출공간(102)을 가질 수 있다.
기포 배출공간(102)은 안착홈(101)과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이 접착제에 의해 접착될 때 발생할 수 있는 기포의 생성을 방지하고, 상기 기포가 생긴 경우 배출을 원활히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0은 안착홈(101) 및 기포 배출공간(102)을 포함하지 않는 시트로 만들어진 안경테의 안경 코받침 모습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시트와 안경 코받침 사이에 기포가 제대로 배출되지 않아 완성된 안경테에 상기 기포가 그대로 드러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안착홈(101)의 깊이는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깊이를 가질 수 있으며, 0.1 내지 3.0㎜의 깊이를 가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의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안착홈(101)의 측면에 위치하는 기포 배출공간(102)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개가 형성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식 이외에 시트(100)에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이 부착될 수 있는 지점을 표시하여 정확히 그 지점에 부착하는 방식,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에 돌기를 형성하여 시트(100)에 끼우는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식들은 예시에 불과하며,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과 시트(100)가 결합할 수 있는 방식이라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경테의 측면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2는 안착홈(101)이 형성된 시트(100)와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이 접착되어 만들어진 안경테이고, 도 13은 안착홈이 형성되지 않은 시트와 안경 코받침이 접착되어 만들어진 안경테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경테는 힌지 고정홈(2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힌지 고정홈(202)은 안경테(200)에 안경다리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한 힌지가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경테는 오차 범위가 월등히 줄어든 힌지 고정홈(202)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 고정홈(202)의 오차 범위는 안경테의 균형을 제대로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안경 다리가 위치해야하는 지점과 실제 힌지 고정홈(202)이 형성된 위치의 차이를 의미한다.
종래 힌지 고정홈(202)의 오차범위는 1 ~ 2mm 내외였으나, 안경테(200)의 힌지 고정홈(202)의 위치가 자동화 공정에 의해 정해지기 때문에 현저히 줄어든 0.05mm 이내의 오차범위를 가질 수 있으며 통상은 0.02mm 이내로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오차범위의 축소는 바로 안경테의 불량률 감소와 연결되는데, 안경테(200)를 자동화 공정에 의해 제작하기 때문에 힌지 고정홈(202)의 오차 범위가 작아지며, 안경다리의 규격화가 가능하고 동일한 안경테를 이용한 다양한 안경다리의 교체가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수작업에 의존한 안경테(200)의 최대 문제점이고 안경사의 보조를 반드시 수반하는 큰 오차율을 축소하는 것은 비록 작아보이는 효과처럼 인식될 수 있으나 이전에는 시도할 수 없는 안경구입자가 직접 보수할 수 있는 영역을 넓혀 안경제품의 규격화를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변화라고 할 수 있다.
안경테(200)는 안경 착용시 안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힌지 고정홈(202)을 기준으로 반경 2mm내의 범위를 제외한 안경테(200)의 렌즈고정림(201) 및 브릿지(203)를 깎아 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시트(100)에 형성된 안착홈(101)으로 인해 도11의 a의 길이가 b의 길이보다 더 짧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시트(100)에 형성된 안착홈(101)은 시트(100)를 일정한 깊이만큼 파내어 형성된 것이므로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이 부착된 부분은 시트(100)의 두께가 힌지고정홈(202) 주변보다 얇을 수 있다.
즉, 힌지 고정홈의 반경 2㎜내는 가공전 시트(100)의 두께이므로 가공전 시트(100)의 두께는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이 부착된 시트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경테는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이 부착된 시트(100)를 안경테(200) 모양으로 절삭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트(100)를 안경테(200) 모양으로 절삭 가공하는 단계를 거친 후, 커브 성형기로 렌즈 고정림(201)의 외경 및 내경을 가공할 수 있다.
시트(100)는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이 접착되는 면과 마주보는 면에 점착필름(110)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점착필름(110)은 유연성이 높고 한쪽 표면이 매끄럽고 다른 한쪽에는 점착제가 도포된 합성수지필름을 의미한다. 점착필름(110)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5㎜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점착필름(110)은 합성수지판재(100)를 흡착기로 흡착시켜, 시트(100)를 절삭하는 과정에서 시트(100)의 고정력을 높여주고,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하도록 돕기 위해 시트(100)를 흡착기로 흡착시킬 때 흡착력을 높여줄 수 있다.
즉, 점착필름(110)은 시트(100)를 안경테(200)의 형상으로 절삭하는 과정에서 시트(100)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떨림이나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어 정밀한 가공이 가능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
점착필름(110)은 가공과정에서 시트(100)에 생길 수 있는 흠집을 방지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계는 합성수지판재를 2차원적으로 가공할 수 있는 기계라면 대부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3차원 가공을 할 수 있는 기계의 경우 2차원 가공을 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 제조가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하는 과정에서 도8과 같은 종래방식의 코받침이 붙어 있는 상태에서 자동기계를 통한 자동화를 시도하였다. 이때 사용된 기계는 (주)현대위아의 VX460 이라는 3차원가공작업이 가능한 기계였다. 이 기계는 가공축이 1개인 모델이다. 이 과정에서 필수적인 3차원 모델링을 먼저 하고 안경테를 제작하였다.
3개 모델을 대상으로 작업하였고 이 경우 안경테를 제작하는 작업시간은 다음과 같았다.
작업시간이 상당히 차이가 나는 것은 투입되는 모델별로 안경테의 모양이 일정하지 않아 3차원 모델링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모델 1 모델 2 모델 3
189분 176분 195분
본 출원에서 발명된 내용을 적용하기 위해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CNC-가공기를 사용하였다.(M사의 슈퍼씨리즈) 가공축은 5개가 부착된 것이었고 1개의 시트로 7개의 안경테를 가공할 수 있는 합성수지 판재를 사용하였다.
물론 2차원의 가공이 가능하도록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이 부착된 합성수지 판재를 사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2차원 모델링을 먼저 하였는데 3차원적 모델링보다는 훨씬 간단하고 비용도 적게 들었다. 많은 다양한 실험을 하였는데 그 중 대표적인 3차례 실험 결과를 표기하면 아래 표와 같이 각 35개의 안경체를 만드는데 약 40분 정도 소요되었다.
모델 1' 모델 2' 모델 3'
43분/35개 46분/35개 42분/35개
본 발명에서 "2차원 자동화 안경테 제조방법"이라 함은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 판재 안경테를 제조함에 있어서 높이와 관련한 모든 변화되는 요소들을 자동화 공정에 투입하기 전 먼저 작업하여 자동화과정에서는 높이의 변화를 가공하는 공정을 없앰으로써 종래 3차원적 가공공정이 필요했던 것을 2차원적 가공공정으로 변화시킨 합성수지 판재 안경테 제조 방법을 의미한다.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은 상기 안경 코받침의 높이가 결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2차원적 가공은 높이에 대한 가공은 이미 이루어진 상태에서 안경 코받침의 외측면(210a) 및 내측면(210b)의 가공만이 추가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2차원적 가공은 3차원적 가공과 비교할 때 장비의 가격이 저렴하고, 손쉬운 가공이 가능하므로 3차원적 가공과 비교할 때 생산단가가 낮아질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시트(100)를 안경테(200) 형상으로 절삭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 및 절삭된 시트(100) 및 점착필름(110)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시트(100)에 부착된 점착필름(110)은 절삭과정에서 시트(100)와 함께 절단되지 않고, 0.2 내지 0.3mm의 깊이의 홈을 형성한 채로 시트(100)에 부착되어 있는다.
렌즈 고정림(201)의 외경 및 내경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의 가공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5는 종래 안경 코받침의 가공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은 종래 방식에 따라 안경 코받침을 가공하기 위한 실물 사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종래 안경테를 가공하는 단계에서, 내경을 다듬으면서, 내경의 굴곡에 맞게 안경 코받침을 가공하는데, 이때 안경 코받침의 높이 부분이 미리 가공되지 않아 작업자가 손으로 안경 코받침의 높이 부분을 가공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경의 내경 및 외경을 가공하는 단계는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을 부착한 안경테(200)의 안경 코받침의 높이를 가공하는 단계가 생략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을 가공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경테는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의 외측면(210a) 및 내측면(210b)만을 안경테의 내경 및 외경에 맞추어 가공하므로 2차원적 가공이 가능하고, 안경테(200) 제조공정의 기계화 및 자동화가 가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안경 코받침의 외측면(210a)은 상기 안경 코받침이 상기 안경테(200)의 렌즈방향으로 향하는 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될 수 있고, 안경 코받침의 내측면(210b)은 상기 안경 코받침이 안면의 코와 맞닿는 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안경테(200)의 외경을 가공하여 안경테(200)의 전체적인 형상을 만들고 안경테(200)의 내경을 가공하여 렌즈가 끼워질 수 있는 공간을 만들 수 있다.
상기 내경의 곡률에 맞추어 안경 코받침의 외측면(210a)을 가공할 수 있다.
안경 코받침의 외측면(210a) 및 내측면(210b)은 안경이 콧등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안경테(200)의 렌즈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을 가공하기 위한 칼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a 및 도 18b를 참조하면,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의 외측면(210a)과 내측면(210b)을 가공하기 위해 곡선형태의 날을 이용할 수 있다. 안경 코받침의 외측면(210a)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날의 아랫부분이 바깥쪽으로 볼록한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안경 코받침의 내측면(210b)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날의 아랫부분이 안쪽으로 오목한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곡선형태의 날이 고속회전하면서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을 가공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000rpm의 회전속도를 가질 수 있다.
종래에는 안경 코받침의 둥근 곡선 형태를 만들기 위해 3차원적인 가공과정을 거쳐야하므로 수작업을 필요로 하여 가공시간이 장시간 소요되거나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여야 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경테는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을 가공하기 위해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날을 이동 및 회전시켜 가공하므로 2차원적인 가공과정을 거칠 수 있고, 기계화 작업을 통해 가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은 상기 안경 코받침의 높이가 결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2차원적 가공은 높이에 대한 가공은 이미 이루어진 상태에서 안경 코받침의 외측면(210a) 및 내측면(210b)의 가공만이 추가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 쓰이는 자동화의 의미는 수작업으로 안경테를 가공하지 않고 기계로 안경테의 형상을 가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2차원적 가공은 3차원적 가공과 비교할 때 장비의 가격이 저렴하고, 손쉬운 가공이 가능하므로 3차원적 가공과 비교할 때 생산단가가 낮아질 수 있다.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210)을 가공한 후, 렌즈고정림(201)의 내측에 렌즈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고정림(201)은 렌즈가 고정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렌즈가 고정되는 홀은 렌즈가 상기 렌즈고정림(20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경테 제조 방법은 안경테를 연마하는 단계 및 광택형성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경테를 연마하는 단계는 통상의 안경제조공정으로 상기 절삭가공된 안경테(200)의 표면을 부드럽게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시트 101: 안착홈
110: 점착필름 200: 안경테
201: 렌즈고정림 202: 힌지 고정홈
203: 브릿지 210: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
210a: 안경 코받침 외측면 210b: 안경 코받침 내측면

Claims (4)

  1. 한 쌍의 렌즈 고정림 및 상기 렌즈 고정림을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되 평판 합성수지 판재를 가공하여 구비되는 프레임;
    일면이 상기 프레임에 접합되어 있는 한쌍의 안경 코받침; 및
    상기 프레임의 마주보는 양단에 구비되어 힌지가 고정되는 힌지 고정홈이 형성된 힌지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전 두께에서 점착필름의 두께를 뺀 두께를 가지고,
    상기 안경 코받침의 하단이 접착된 프레임 부분은 상기 합성수지판재의 두께에서 상기 합성수지판재에 초기 형성된 홈의 깊이만큼 뺀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고정부가 위치하는 프레임의 두께는 상기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 전 두께와 동일하며,
    상기 힌지 고정부가 형성된 프레임의 두께는 상기 높이 결정형 안경 코받침이 접착된 프레임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고정림은 렌즈가 고정되는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고정홈은 0.05㎜ 이내의 오차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KR1020110099573A 2011-08-19 2011-09-30 안경테 KR201300205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2/006339 WO2013048003A1 (ko) 2011-09-30 2012-08-09 안경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932 2011-08-19
KR20110082932 2011-08-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509A true KR20130020509A (ko) 2013-02-27

Family

ID=4561444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9571A KR101106911B1 (ko) 2011-08-19 2011-09-30 자동 안경테 제조방법
KR1020110099573A KR20130020509A (ko) 2011-08-19 2011-09-30 안경테
KR1020110099572A KR101165713B1 (ko) 2011-08-19 2011-09-30 2차원적 자동화 안경테 제조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안경테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9571A KR101106911B1 (ko) 2011-08-19 2011-09-30 자동 안경테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9572A KR101165713B1 (ko) 2011-08-19 2011-09-30 2차원적 자동화 안경테 제조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안경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11069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854B1 (ko) 2015-05-29 2017-03-14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안경테 접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합 방법
FR3044430B1 (fr) * 2015-11-26 2018-03-23 Ak Optique Procede de fabrication d'une monture de lunettes munie d'appuis nasaux a mepla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15829A1 (de) 1991-05-15 1992-11-19 Optik Partner Ag & Co Brillenfassung aus kunststoff, durchspanabhebende formgebung erstellt
JP2001255496A (ja) 2000-03-13 2001-09-21 Taniguchi Gankyo:Kk 成形鼻当てパットの接着方法及び成形鼻当てパットを接着したメガネフレーム
JP2008083296A (ja) 2006-09-27 2008-04-10 Glass Scramble:Kk 鼻盛り交換機能付きメガネ・サングラス
JP2010044284A (ja) * 2008-08-15 2010-02-25 Seki Gankyo Seisakusho:Kk メガネフレームのノーズパッドの取付け部の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6911B1 (ko) 2012-01-25
KR101165713B1 (ko) 201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0741B2 (ja) 所与の眼鏡フレームに応じて光学系を計算する方法
KR101119942B1 (ko) 원형 블랭크를 사용한 안경렌즈 제조방법
US8308294B2 (en) Method of calculating an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 given spectacle frame
JP2017126089A (ja) 着色された偏光光学素子、およびこのような偏光光学素子の製造方法
JP5759484B2 (ja) 光学ディスプレイを提供するレンズの製造方法
WO2009065965A1 (en) Method of selecting a semi-finished ophthalmic lens according to a given spectacle frame
EP3220189A1 (en) Myopic sunglasses
US10712587B2 (en) Eyeglasses equipment including a joi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n eyeglasses equipment
US20090201463A1 (en) Insertable cut blade-style eyeglass lenses
KR20110035543A (ko) 합성수지 안경테의 제조방법
US11072135B2 (en) Semi-finished lens to be machined for forming an ophthalmic lens to be mounted in a spectacle frame, set and a method involving the same
KR101165713B1 (ko) 2차원적 자동화 안경테 제조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안경테 제조방법
CA2710636A1 (en) Method of determining parameters for fitting an ophthalmic lens to a frame
JP6755248B2 (ja) 眼鏡用レンズを製造する方法、その方法で作製されたレンズ、およびそのレンズを備えた眼鏡
JP4925441B2 (ja) 玉型レンズ用前駆体レンズの製造方法
US20200368982A1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curved frames "3d acetate" for spectacles
JP5124735B2 (ja) 玉型レンズ用前駆体レンズの製造方法
CN212330814U (zh) 一种新型眼镜制造精准治具
US4170092A (en) Single-point blocking method of surfacing and edging spectacle lenses
CN204360050U (zh) 用卡爪连接的液晶镜片与光学镜片复合眼镜
WO2013048003A1 (ko) 안경테
KR20090057957A (ko) 고정핀이 일체형으로 구성된 안경용부자재의 제조방법 및 그 안경용부자재
KR100964014B1 (ko) 토릭렌즈용 발라스트 몰드 및 이를 이용한 토릭렌즈 제조방법
CN103097079B (zh) 用于控制光学元件的抛光处理的方法
WO2013048090A2 (ko) 2차원 자동화 안경테 제조방법 및 안경테 제조용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