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9817A - 주유량 측정기 - Google Patents

주유량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9817A
KR20130019817A KR1020110082029A KR20110082029A KR20130019817A KR 20130019817 A KR20130019817 A KR 20130019817A KR 1020110082029 A KR1020110082029 A KR 1020110082029A KR 20110082029 A KR20110082029 A KR 20110082029A KR 20130019817 A KR20130019817 A KR 20130019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oil
coupled
rotating body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2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송이
Original Assignee
김송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송이 filed Critical 김송이
Priority to KR1020110082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9817A/ko
Publication of KR20130019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98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1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axial admission
    • G01F1/12Adjusting, correcting, or compensating means therefor
    • G01F1/125Adjusting, correcting, or compensating means therefor with electric,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1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sensors, the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유량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유량 측정기는 차량의 연료탱크와 주유구 사이에 장착되며, 상부에 주유구와 통하도록 연결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축으로 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주유구를 통해 유입되는 오일의 흐름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축에 결합되어 회전수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기; 상기 변환기의 신호를 전달받아 주유량을 디지털 방식 또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표시하는 카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유건을 통해 주입되는 오일량을 측정하여 운전자가 계기판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주유량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미터기 조작이나 눈속임을 체크하여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주유량 측정기{OIL FLOW MEASURING INSTRUMENT}
본 발명은 주유량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연료탱크의 주입구에 장착되어 주유구를 통해 주입되는 유량을 측정하여 운전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주유량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주유량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유소의 주유 머신에는 저장 탱크의 연료를 차량으로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이 공급장치를 통하여 차량에 주입된 연료의 양을 표시하는 계측기가 구비된다.
상기 계측기는 차량에 주입된 연료의 양을 숫자로 표시하여 소비자에게 주입된 연료의 양을 주지시킨다.
따라서, 소비자는 이 계측기에 나타난 숫자를 보고, 앞으로 주행하게 될 거리를 예측하고 이를 참작하여 연비를 계산하는 등 다음 주유 시기를 예상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계측기는 주유 머신의 운영자, 즉 비양심적인 업주나 종업원에 의하여 조작되어 실제 주입된 연료의 양과 계측기에 표시된 숫자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계측기는 소비자가 예상 주행거리를 오판하게 하여 주행 중 엔진이 정지하는 등 난처한 상황에 처하게 하거나 실제 주입된 연료의 양보다 많은 비용을 지불하게 하는 등 여러 가지 폐단을 불러일으키는 문제점이 있고, 소비자들은 아무 대책없이 고스란히 손해를 볼 수 밖에 없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27563호에는 "주유 계량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주유를 급유하는 주유유량계와; 전압을 인가하는 제어기와; 상기한 제어기에 연결되어 제어기로부터 전압을 인가받아 펄스를 발생시키는 펄스발생기와; 유량이 주유됨에 따라 온(ON)/오프(OFF)되는 스위칭수단과; 상기한 스위칭수단을 통해 펄스가 입력되어 주유량을 계측 계량하여 적산하는 적산카운터로 구성된 것이었다.
그러나 종래 주유 계량기는 오일의 흐름을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하여 오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농가에서 사용하는 저유탱크에 기름을 저장할때도 주유차량의 유량계로만 의존하고 있어, 유량계를 조작하여 주유량을 속이는 문제점에 대한 대비책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연료탱크의 주유측에 장착되어 주유건을 통해 주입되는 오일량을 측정하여 운전자가 계기판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주유량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미터기 조작이나 눈속임에 대항할 수 있도록 한 주유량 측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가정이나 농가에서 사용하는 저유탱크에 주유시 주유구에 장착하여 주유건을 통해 주입되는 오일량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미터기 조작이나 눈속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주유량 측정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연료탱크와 주유구 사이에 장착되며, 상부에 주유구와 통하도록 연결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축으로 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주유구를 통해 유입되는 오일의 흐름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축에 결합되어 회전수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기; 상기 변환기의 신호를 전달받아 주유량을 디지털 방식 또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표시하는 카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량 측정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정이나 농장 등에서 사용되는 보일러용 등유를 저장하는 저유탱크에 사용되는 것으로, 저유탱크의 주유구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이며, 하부에는 상기 주유구에 결합되는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주유건이 삽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축으로 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주유구를 통해 유입되는 오일의 흐름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축에 기어 연결되어 아날로그 방식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된 카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량 측정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투입구에는 상부는 넓고 하부로 갈수록 관경이 작아지는 깔때기형상의 집유기구가 장착되고, 상기 집유기구의 하부가 회전체를 향하도록 하여 유체가 가속되어 회전체를 회전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체는 축의 외주에 다수의 날개가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날개는 평판형 또는 호형으로 형성이며, 상부에서 내려다 봤을때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지털 방식의 카운터는 주유량 표시창과, 주유단가 표시창으로 구성되고, 상기 주유단가를 설정할 수 있는 키패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날로그 방식의 카운터는 상기 회전체의 축과 결합된 메인샤프트; 상기 메인샤프트에 다수로 결합되며 자릿수에 대응되도록 다수로 구비된 눈금 다이얼;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의 축과 결합된 메인샤프트와 직각으로 교차되는 주기어축이 각기 웜기어로 결합되고, 상기 주기어축의 웜휠과 기어 결합되는 기어가 각 눈금다이얼의 측면에 형성된 치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운터의 계산 값을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송신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유건을 통해 주입되는 오일량을 측정하여 운전자가 계기판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주유량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미터기 조작이나 눈속임을 체크하여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유량 측정기의 일 사용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유량 측정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유량 측정기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유량 측정기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유량 측정기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5에 대한 평단면도,
도 7은 상기 도 5에 대한 정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유량 측정기의 일 사용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유량 측정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유량 측정기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유량 측정기의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유량 측정기는, 측정부가 차량의 연료탱크(100)에 장착되며, 유량의 측정된 값을 표시하는 표시부는 계기판이나 또는 운전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차량의 실내에 장착된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유량 측정기는, 차량의 연료탱크(100)와 주유구(3) 사이에 장착되며, 상부에 주유구(3)와 통하도록 연결되는 투입구(10)가 형성된 본체(1); 상기 본체(1) 내에 축으로 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주유구(3)를 통해 유입되는 오일의 흐름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2); 상기 회전체(2)의 축(28)에 결합되어 회전수를 감지하는 센서(S); 상기 센서(S)의 신호를 전달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기(3); 상기 변환기(3)의 신호를 전달받아 주유량을 디지털 방식 또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표시하는 카운터(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는 박스형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에는 주유구(3)와 통하는 투입구(1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연결관(11)이 형성되어 연료탱크(100)와 통하도록 장착된다.
또 본체(1)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수평되게 축(28)이 가로질러 장착되며, 상기 축(28)에 회전체(2)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본체(1) 투입구(10)에는 상부는 넓고 하부로 갈수록 관경이 작아지는 깔때기형상의 집유기구(15)가 장착된다.
상기 집유기구(15)는 비교적 관경이 작아 분사력을 갖는 하부의 통공이 회전체(2)를 향하도록 함으로써 유체가 가속되어 회전체(2)에 집중되어 회전작동의 에러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집유기구(15)가 없을 경우 오일에 불규칙하게 유입되면서 회전체(2)를 경유하지 않고 흐르는 경우가 발생되고, 이로인해 회전체(2)의 회전이 없을 경우 정확한 계측이 이루어지지 않는 폐단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깔때기 형상의 집유기구(15)를 장착함으로써 오일이 집유기구(15)의 하부를 통과하면서 한군데로 모아지게 되어 균일한 흐름을 유도할 수 있고, 이렇게 균일해진 오일의 흐름이 회전체(2)에 감지될 수 있어 정확한 계측이 가능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체(2)는 축(28)의 외주에 등간격으로 배열된 다수의 날개(2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날개(22)는 측면에서 봤을때 평판형 또는 호형의 형상이며, 상부에서 내려다 봤을때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집유기구(15)를 통과한 오일이 회전체(2)의 날개(22)의 끝단에 접촉됨으로써 회전체(2)를 회전시켜줄 수 있고, 이 회전체(2)의 회전수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카운터(4)에 의해 표출될 수 있다.
즉 회전체(2)의 축(28)에 센서(S)가 장착되어 회전체(2)와 동일체인 축의 회전수를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에 송신하게 된다.
상기 변환기(3)는 센서(S)의 신호를 전달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통상 알려진 바와 같이 아날로그 디지털변환기(ADC)가 적용된다.
즉 입력된 회전체(2)의 회전수의 아나로그 값을 제어부에서 받아 변환기(3)를 통해 디지털 값으로 변환시킨다.
변환된 디지털 값은 디지털 방식의 카운터(4)에 즉시 표출된다. 상기 디지털 방식의 카운터는 주유량 표시창과, 주유단가 표시창으로 구성되고, 상기 주유단가를 설정할 수 있는 키패드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주유하기 전에 키패드를 조작하여 주유단가를 입력한 후 주유를 시작하여 주유량 및 주유량에 따른 합계 금액을 계산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변환기의 신호를 전달받아 주유량을 아날로그 방식의 표출할 수 있다.
상기 아날로그 방식의 카운터는, 회전체의 축과 결합된 메인샤프트; 상기 메인샤프트에 다수로 결합되며 자릿수에 대응되도록 다수로 구비된 눈금 다이얼;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의 축과 결합된 메인샤프트와 직각으로 교차되는 주기어축이 각기 웜기어로 결합되고, 상기 주기어축의 웜휠과 기어 결합되는 기어가 각 눈금다이얼의 측면에 형성된 치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회전체(2)의 축(28)과 결합된 메인샤프트와 직각으로 교차되는 주기어축이 각기 웜기어로 결합되고, 상기 주기어축의 웜휠과 기어 결합되는 기어가 각 눈금다이얼의 측면에 형성된 치차부와 연결된다.
따라서 메인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주기어축이 회전되고, 상기 주기어축에 연결된 각 눈금다이얼이 최저단위부터 회전되어 적산됨으로써 유량이 누적 계산될 수 있다.
이렇게 계산된 주유 데이터는 무선송신부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으로 보급된 차계부에 기록되어 본인의 주유기록을 보관할 수 있다.
물론 무선송신부로만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유선 데이터케이블을 연결시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전송포트가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유량 측정기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5에 대한 평단면도, 도 7은 상기 도 5에 대한 정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유량 측정기는 통상 가정이나 농장 등에서 사용되는 보일러용 등유를 저장하는 저유탱크(200)에 적용된다.
즉 저유탱크(200)의 주유구(12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이며, 하부에는 상기 주유구(120)에 결합되는 주입구(13')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주유건이 삽입되는 투입구(10')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 본체(1'); 상기 본체(1') 내에 축(28')으로 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주유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오일의 흐름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2'); 상기 회전체(2')의 축(28')에 기어 연결되어 아날로그 방식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본체(1')에 장착된 카운터(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탈부착이 가능하여 주유시에만 사용하기 위해 휴대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체(2'), 카운터(4')는 상술한 첫번째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특히 상기 카운터(4')는 휴대용인 점을 감안하여 본체(1')의 일측에 형성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 : 본체 2 : 회전체
3 : 변환기 4 : 카운터
15 : 집유기구

Claims (7)

  1. 차량의 연료탱크와 주유구 사이에 장착되며, 상부에 주유구와 통하도록 연결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축으로 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주유구를 통해 유입되는 오일의 흐름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축에 결합되어 회전수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기;
    상기 변환기의 신호를 전달받아 주유량을 디지털 방식 또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표시하는 카운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량 측정기.
  2. 가정이나 농장 등에서 사용되는 보일러용 등유를 저장하는 저유탱크에 사용되는 것으로,
    저유탱크의 주유구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이며, 하부에는 상기 주유구에 결합되는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주유건이 삽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축으로 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주유구를 통해 유입되는 오일의 흐름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축에 기어 연결되어 아날로그 방식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된 카운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량 측정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투입구에는 상부는 넓고 하부로 갈수록 관경이 작아지는 깔때기형상의 집유기구가 장착되고, 상기 집유기구의 하부가 회전체를 향하도록 하여 유체가 가속되어 회전체를 회전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량 측정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축의 외주에 다수의 날개가 등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날개는 평판형 또는 호형으로 형성이며, 상부에서 내려다 봤을때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량 측정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식의 카운터는
    주유량 표시창, 주유단가 표시창, 및 상기 주유단가를 설정할 수 있는 키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량 측정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방식의 카운터는
    상기 회전체의 축과 결합된 메인샤프트; 상기 메인샤프트에 다수로 결합되며 자릿수에 대응되도록 다수로 구비된 눈금 다이얼;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의 축과 결합된 메인샤프트와 직각으로 교차되는 주기어축이 각기 웜기어로 결합되고,
    상기 주기어축의 웜휠과 기어 결합되는 기어가 각 눈금다이얼의 측면에 형성된 치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량 측정기.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의 계산 값을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송신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량 측정기.


KR1020110082029A 2011-08-18 2011-08-18 주유량 측정기 KR201300198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029A KR20130019817A (ko) 2011-08-18 2011-08-18 주유량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029A KR20130019817A (ko) 2011-08-18 2011-08-18 주유량 측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817A true KR20130019817A (ko) 2013-02-27

Family

ID=47897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2029A KR20130019817A (ko) 2011-08-18 2011-08-18 주유량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981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88248B (zh) 流量计数器
US20170105369A1 (en) Wireless utility meter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irrigation
CN107085247B (zh) 雨量滴定测试仪及雨量滴定测试方法
US2111996A (e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CN202614292U (zh) 智能液体流量计
EP3008429B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measuring and processing fuel meter measurements
KR20130019817A (ko) 주유량 측정기
KR101122987B1 (ko) 수도계량기 검사장치
CN105388026A (zh) 汽车油耗在线检测和标定装置
CN102937527A (zh) 一种用于检测发动机台架燃油消耗率测量精度的标定仪
CN205785378U (zh) 汽车油耗实时检测和标定装置
KR100760180B1 (ko) 기계식 수도미터 계량기용 비교유량측정 시스템
KR20010044031A (ko) 적산 열량계
CN205785379U (zh) 汽车油耗在线检测和标定装置
CN201993152U (zh) 飞机耗量表检查仪
CN201034657Y (zh) 流量计算仪
JP6489343B1 (ja) 水道メータ
KR100363835B1 (ko) 수도미터
WO2002001164A1 (en) Flow meter for liquids
CN203364901U (zh) 一种用于机械式水表的流量监测装置
CN202928662U (zh) 一种光电液位计
CN2261022Y (zh) 柴油发动机综合参数测试仪标定仪
CN220542158U (zh) 一种气体涡轮实时流量计
RU54340U1 (ru) Топливный бак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215573131U (zh) 一种抗干涉的双显气体涡轮流量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