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9552A - 내변형성 통나무 널판 - Google Patents

내변형성 통나무 널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9552A
KR20130019552A KR1020110081564A KR20110081564A KR20130019552A KR 20130019552 A KR20130019552 A KR 20130019552A KR 1020110081564 A KR1020110081564 A KR 1020110081564A KR 20110081564 A KR20110081564 A KR 20110081564A KR 20130019552 A KR20130019552 A KR 20130019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hole
log
board
drill
log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1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4639B1 (ko
Inventor
이은철
Original Assignee
이은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철 filed Critical 이은철
Priority to KR1020110081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4639B1/ko
Priority to PCT/KR2012/006409 priority patent/WO2013025021A2/ko
Priority to CN201280039698.7A priority patent/CN103764356A/zh
Publication of KR20130019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9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1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wood, e.g. with reinforcements, with tensioning members
    • E04C3/18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wood, e.g. with reinforcements, with tensioning members with metal or other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1/00Joining wood veneer with any material; Forming articles thereby; Preparatory processing of surfaces to be joined, e.g. scoring
    • B27D1/10Butting blanks of veneer; Joining same along edges; Preparatory processing of edges, e.g.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04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flooring elements, e.g. parqueting blocks
    • B27M3/06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flooring elements, e.g. parqueting blocks of composite floor plates per se by assembling or jointing the parqueting b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1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wood, e.g. with reinforcements, with tensioning members
    • E04C3/18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wood, e.g. with reinforcements, with tensioning members with metal or other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 E04C3/185Synthetic reinfor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통나무 널판 본체(10)의 일단에서 타단에 이르는 드릴 구멍(11)이 형성되고, 상기 드릴 구멍(11)에 이에 대응하는 굵기 및 길이의 심재(20)가 삽입고정된 내변형성 통나무 널판이 제공되며, 본 발명의 통나무 널판은 휨변형이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이를 이용하면 얇은 두께로도 견고하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한 마루널, 원목가구, 창호 등의 목공제품을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 코스트도 종래에 비해 크게 낮출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내변형성 통나무 널판{Wooden plank with high deformation resistance}
본 고안은 통나무 널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조가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저장하거나, 목공제품의 제작에 사용하여도 휨 변형이 방지되는 내변형성 통나무 널판에 관한 것이다.
표면이 넓은 통나무 널판은 수분에 의해 휘어지기 쉬운데, 그 주된 이유는 통나무 내부의 세포에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되어 있다가 건조하면 세포질 내의 수분이 증발하여 세포막이 수축하게 되고 이에 의해 휨 변형의 일어나기 때문이다.
통나무 널판은 마루, 원목가구, 창호 등의 제작에 이용된다. 마루를 예를 들어 형태, 구조, 통나무 널판의 사용에 설명하기로 한다.
마루는 바닥이 지면으로부터 떨어져 있어서 그 밑으로 통풍이 가능하고 외벽의 일부가 개방되어 있거나 개폐가 쉬운 공간이다.
마루는 그 사용과 기능에 따라 대청·마루방·쪽마루·툇마루·누마루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대청은 안방과 건넌방, 사랑방과 건넌방 혹은 누마루 사이에 있는 비교적 큰 공간을 일컫는다. 대청보다 작은 규모의 공간은 그냥 마루라고 한다. 양반주택에서의 상징적·권위적 공간이라기보다는 기능적 생활공간이라 할 수 있다. 마루방은 바닥과 천장을 제외한 모든 부분은 온돌방과 같고 바닥만 마루구조로 된 공간으로 그 기능은 대부분 수장공간(收藏空間)이다. 툇마루는 각 방과 대청 등에서 마당이나 기단으로 연결되는 공간으로 각 방을 연결시키는 기능이 있다. 벽체나 창호가 없고 툇기둥이 있어 바깥쪽의 귀틀을 툇기둥의 기둥선에 맞추어 배열하여 귀틀을 잡아준다. 쪽마루는 툇마루와 같은 기능을 가지나 툇기둥이 없이 동바리가 귀틀을 지탱한다. 보통 마당이나 기단에서 방으로 출입할 때 쉽게 출입할 수 있도록 전면 벽 앞에 간단하게 붙여놓는다. 누마루는 보통 상류주택에서 사랑채의 가장자리 칸에 위치한다.
마루짜임에서 장귀틀과 동귀틀은 폭이 큰 부재를 사용하여 네 모서리를 형성한다. 귀틀 맞춤은 장귀틀에 통장부를 만들어 동귀틀에 내다지로 맞추며 이 부분에 마루 쌍장부 혹은 촉꽂이로 꿰맞춰 귀틀이 꽉 물려있도록 한다. 마루널은 옆으로 밀어넣고 마지막 동귀틀을 맞춰 마감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동귀틀을 눕히지 않고 세로로 길게 세워 쓰며 마루면 보다 튀어나오도록 동귀틀을 장귀틀에 맞춰넣는다. 장귀틀, 동귀틀이 짜이면 그 사이에 두툼한 마루 널을 끼운다. 대개 마루 널은 마주한 두 동귀틀의 파인 홈을 따라 마루 널이 밀려 끼어 들어가는데 언제나 맨 마지막 마루 널은 한 팔이 장귀틀 표면에 걸쳐진 채로 마감된다. 이는 마루 널 교체를 손쉽도록 해준다.
흔히 우물마루라면 위에서 말한 장귀틀과 동귀틀 사이에 작은 마루널이 깔려 형성되는 것이고, 장마루라면 이 사이를 긴 마루널이 장마루 방향으로 놓이는 것을 말한다. 폭이 큰 마루널보다 작은 마루널을 모아서 사용하는 것이 더 오래가고 가해지는 하중에도 잘 버텨낸다. 도 3 내지 7은 우물마루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촬영한 사진들이다.
충분히 건조되지 않은 통나무 널판을 마루 널로 사용하여 마루를 시공하는 경우 마루널 간의 짜맞춤 부위에서 또는 마루 틀 사이의 끼움 부위에서 건조수축에 의한 휨 변형이 발생하여 마루표면이 불균일하게 되는 문제, 충분히 건조된 동나무 널판이라도 사용중에 수분 흡수 및 이에 따른 건조수축이 일어나 상기와 유사한 문제가 자주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원목가구나 창호에서도 자주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로 통나무 널판을 이용하여 양호한 품질의 목공제품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2년 이상 충분히 건조한 목재로 된 통나무 널판을 필요로 하며, 충분히 건조된 통나무널판이라도 사용중에 휨변형이 발생하고 이와 같이 변형된 부분을 다듬어 평평하게 해주어야 하므로 두꺼운 널판을 필요로 한다. 한편, 목공제품의 제조중에 통나무널판의 휨방지를 위해 못을 박는 경우에는 제품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건조가 충분하지 목재를 이용하더라도 휨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통나무 널판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나무 널판을 이용한 제품을 보다 저렴한 코스트 및 보다 향상된 품질로 제공할 수 있는 통나무 널판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에서 본 발명자는 충분히 건조하지 않은 목재라도 통나무판으로 절단한 후에 일단에서 타단에 이르는 드릴 구멍을 내고 이에 대응하는 굵기의 심재를 끼워 넣으면 건조수축에 의한 휨 변형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며 얇은 두께의 널판으로도 고 품질 목공제품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는 매우 흥미있는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통나무 널판 본체의 일단에서 타단에 이르는 1 또는 2 이상의 드릴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드릴 구멍에 이에 대응하는 굵기 및 길이의 심재가 삽입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변형성 통나무 널판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드릴 구멍이 통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변형성 통나무 널판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드릴 구멍이 나이테 횡단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변형성 통나무 널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내변형성 통나무널판을 이용하면 얇은 두께로도 견고하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한 마루널, 원목가구, 창호 등의 목공제품을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 코스트도 종래에 비해 크게 낮출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구현에 따르는 내변형성 통나무 널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구현에 따라 심재를 나이테 횡단방향으로 끼우는 내변형성 통나무 널판의 분해 사시도로서, 도 2a는 하나의 심재를, 도 2b는 두 개의 심재를 끼우는 내변형성 통나무 널판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7은 우물마루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촬영한 사진들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바람직한 실시구현들을 예시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통나무 널판 본체(10)의 일단에서 타단에 이르는 1 또는 2 이상의 드릴 구멍(11)을 내고, 상기 드릴 구멍(11)에 이에 대응하는 굵기 및 길이의 심재(20)를 삽입고정하게 되면, 통나무 널판 본체(10)의 건조수축에 의한 휨 변형력이 심재(20)에 의해 억제되어 통나무 널판 본체(10)의 휨 변형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내변형성 통나무 널판은 특정한 목적으로 가공된 통나무 널판과, 가공되지 않은 통나무 널판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내변형성 통나무 널판의 사용목적이 마루널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마루널의 가공에 사용될 통나무 널판에 드릴 구멍(11)을 내고 심재(20)를 끼워넣거나, 또는 마루널로 가공된 통나무 널판에 드릴 구멍(11)을 내고 심재(20)를 끼워넣어 본 발명의 내변형성 통나무 널판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심재(20)는 통나무 널판 본체(10) 보다 휨변형력이 낮은 것이 필요하며, 심재로 가공한 상태에서 이러한 요건을 만족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소재에 제한이 없다. 바람직한 소재의 예로는 목재, 합성수지재, 금속재, 석재, 세라믹재, 시멘트재가 있으며, 이중 가장 바람직한 것은 목재이다. 실제로, 통나무 널판 본체와 심재를 똑같은 나무로 제작하여도 심재의 휨변형력은 통나무 널판 본체의 휨변형력 보다 훨씬 낮아서 통나무 널판 본체의 건조수축에 의한 휨변형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드릴 구멍(11)은 일단에서 드릴링하여 상기 타단을 관통한 드릴구멍, 일단에서 드릴링하여 타단 부근까지 형성된 드릴구멍 또는 양단에서 각각 드릴링하여 중간에서 연통한 드릴구멍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양단에서 각각 드릴링하여 중간에서 정확히 일치하지 않아 연통하지 않은 경우에는 드릴구멍 각각에 이에 대응하는 심재를 각각 끼워넣으면 목적하는 휨 방지 효과를 볼 수 있다.
드릴 구멍(11)의 구경은 드릴가공에 의해 통나무 널판 본체(10)가 손상되지 않고, 대패 등에 의한 통나무 널판 본체(10)의 가공중에 노출되지 않고, 사용중에 흠집이 나도 노출되지 않을 정도이면 어떠한 구경이어도 무방하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구현에 따르는 내변형성 통나무 널판이 제시된다. 도시되는 예의 내변형성 통나무 널판은 길이방향으로 일단에서 타단에 이르는 1개의 드릴 구멍(11)이 형성된 긴 통나무 널판 본체(10)와; 상기 드릴 구멍(11)에 삽입고정되는 심재(20)로 되어 있다.
도시되는 예에서는 통나무 널판 본체(10)로 긴 직사각형의 널판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통나무 널판 본체(10)의 형태가 짧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삼각형, 다각형 또는 타원형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시되는 예에서는 드릴구멍(11)이 널판의 길이방향으로 1개가 형성되어 있으나, 폭방향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2개 이상 형성할 수도 있다.
도시되는 예와 같이 심재(20)를 1개 삽입하여도 휨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지만 통나무 널판이 넓은 경우나 긴 경우에는 2개 이상 삽입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심재(20)를 1개 삽입고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드릴구멍(11)을 중앙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심재를 2개 이상 삽입고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등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구현에 따르는 내변형성 통나무 널판이 제시된다. 도시되는 예는 드릴 구멍(11)이 나이테 횡단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통나무 널판은 나이테 횡단방향에서 휨 변형이 가장 심하게 발생하므로 드릴 구멍(11)을 통나무 널판 본체(10)의 나이테 횡단방향으로 형성하고 여기에 심재(20)를 삽입고정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휨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나무 널판 본체(10)의 나이테 횡단방향이 폭방향이면 폭방향으로 드릴 구멍(11)을 내고, 길이방향이면 길이방향으로 드릴 구멍(11)을 낸 후에 여기에 심재(20)를 삽입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내변형성 통나무 널판은 다양한 종류의 목공에 이용할 수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는 마루널, 원목가구 및 창호가 있다. 본 발명의 내변형성 통나무 널판을 예를 들어 마루널, 원목가구 또는 창호에 이용하면 얇은 두께로도 견고하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한 제품을 만들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구현들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 통나무 널판 본체
11: 드릴 구멍
12: 심재

Claims (4)

  1. 통나무 널판에 있어서, 통나무 널판 본체의 일단에서 타단에 이르는 1 또는 2 이상의 드릴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드릴 구멍에 이에 대응하는 굵기 및 길이의 심재가 삽입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변형성 통나무 널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 구멍이 상기 일단에서 드릴링하여 상기 타단을 관통한 드릴구멍, 상기 드릴 구멍이 상기 일단에서 드릴링하여 상기 타단부근까지 형성된 드릴구멍,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에서 각각 드릴링하여 중간에서 연통한 드릴구멍, 또는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에서 각각 드릴링하여 중간에서 연통하지 않고 엇갈린 드릴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변형성 통나무 널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 구멍이 나이테 횡단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변형성 통나무 널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가 목재, 합성수지재, 금속재, 석재, 세라믹재 또는 시멘트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변형성 통나무 널판.
KR1020110081564A 2011-08-17 2011-08-17 내변형성 통나무 널판 KR101244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564A KR101244639B1 (ko) 2011-08-17 2011-08-17 내변형성 통나무 널판
PCT/KR2012/006409 WO2013025021A2 (ko) 2011-08-17 2012-08-10 내변형성 통나무 널판
CN201280039698.7A CN103764356A (zh) 2011-08-17 2012-08-10 抗大变形圆木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564A KR101244639B1 (ko) 2011-08-17 2011-08-17 내변형성 통나무 널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552A true KR20130019552A (ko) 2013-02-27
KR101244639B1 KR101244639B1 (ko) 2013-03-18

Family

ID=47715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1564A KR101244639B1 (ko) 2011-08-17 2011-08-17 내변형성 통나무 널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244639B1 (ko)
CN (1) CN103764356A (ko)
WO (1) WO201302502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61542A (zh) * 2021-12-16 2022-03-11 四川兴事发木业有限公司 拼装木门生产用定位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192B1 (ko) 2017-09-20 2018-04-23 유한회사 풍경아트 목재마루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5609A (en) 1991-07-03 1992-05-26 Peter Sing Method of converting logs and resultant product
KR19990035356U (ko) * 1999-06-15 1999-09-06 노규상 가구재
KR20040032712A (ko) * 2002-10-10 2004-04-17 어경해 고강도 특수목 제작 방법
KR100522961B1 (ko) * 2002-10-15 2005-10-20 김소형 내부보강재가 삽입된 수목용 지주 및 그 제조방법
CN1597278A (zh) * 2003-09-16 2005-03-23 邢一 木材板块的防变形方法
CN2654757Y (zh) * 2003-11-24 2004-11-10 于洪波 一种木地板
KR101105149B1 (ko) * 2009-02-27 2012-01-1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목질섬유와 천연섬유를 보강재로 하는 유사목재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61542A (zh) * 2021-12-16 2022-03-11 四川兴事发木业有限公司 拼装木门生产用定位系统
CN114161542B (zh) * 2021-12-16 2022-12-23 四川兴事发木业有限公司 拼装木门生产用定位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25021A3 (ko) 2013-04-11
CN103764356A (zh) 2014-04-30
WO2013025021A2 (ko) 2013-02-21
KR101244639B1 (ko) 2013-03-18
WO2013025021A9 (ko) 201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5464B2 (en) Building panels of solid wood
US7854098B2 (en) Softwood-ceiling / hardwood-floor structure comprised of a single set of bonded boards
US6641885B2 (en) Complex laminated bamboo board
RU2325988C1 (ru) Клееное оцилиндрованное бревно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1244639B1 (ko) 내변형성 통나무 널판
CN103850419B (zh) 用于覆盖基材、尤其是地板基材的结构装置
RU2613705C2 (ru) Строительные панели из массива древесины
KR100911718B1 (ko) 목조주택의 벽체구조
CN205348682U (zh) 具有纵横透气性能的实木地板基材及其实木地板
CA2596576C (en) Softwood-ceiling/hardwood-floor structure comprised of a single set of bonded boards
KR100900574B1 (ko) 소나무 마루판의 제조방법
CN203361559U (zh) 多层木地板基材错位孔式抗变形结构
KR102052824B1 (ko) 통나무를 각재로 가공 시 발생되는 죽데기를 활용한 건축자재 제조방법 및 그것을 활용한 건축자재
JP2007009617A (ja) 木質系板材及びそれを用いたユニット床材
JP2007008107A (ja) 木質系板材及びそれを用いたユニット床材
KR100967051B1 (ko) 조립식 마루판
CN204212360U (zh) 耐磨pvc面结构木地板
KR200224298Y1 (ko) 지붕바닥용 골판 목기와 구조
US20180187422A1 (en) Faux logs and walls fitted with faux logs
JP5586804B1 (ja) 連結用パネルとこれを使用した住宅部材
JP2004019269A (ja) 床板の施工方法
FI13485Y1 (fi) Hirsi ja hirsirakenne
JP3134443U (ja) 枠組壁工法の木造建築物の構造材及び構造材の突き合わせ構造
KR20090003286U (ko) 뒤틀림이 없는 원목마루판재
RU123045U1 (ru) Облицовочная пане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