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6597A - 임피던스 정합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임피던스 정합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6597A
KR20130016597A KR20110078626A KR20110078626A KR20130016597A KR 20130016597 A KR20130016597 A KR 20130016597A KR 20110078626 A KR20110078626 A KR 20110078626A KR 20110078626 A KR20110078626 A KR 20110078626A KR 20130016597 A KR20130016597 A KR 20130016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dance matching
switch
signal
matching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78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5597B1 (ko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10078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5597B1/ko
Priority to PCT/KR2012/006202 priority patent/WO2013022237A1/en
Priority to CN201280049530.4A priority patent/CN103858341B/zh
Priority to EP12821779.1A priority patent/EP2742593B1/en
Priority to US14/238,065 priority patent/US9124241B2/en
Publication of KR20130016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6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38Impedance-ma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38Impedance-matching networks
    • H03H7/40Automatic matching of load impedance to source impe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58Arrangements for matching and coupling between power amplifier and antenna or between amplifying st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18Input circuits, e.g. for coupling to an antenna or a transmission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임피던스 정합장치는 다중 대역의 RF 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RF 전치부와, 상기 RF 신호에 대해 출력 전력 및 반사 전력을 측정하는 RF 전력 검출부와, 상기 반사 전력이 최소가 되도록 가변 소자를 변화시키는 매칭부와, 상기 RF 전치부에 배치되어 RF 신호를 바이패스 경로 상으로 선택적으로 제1 스위치부와, 상기 바이패스 경로 상에는 RF 신호를 매칭부와 선택적으로 스위칭시키는 제2 스위치부와, 사용중인 주파수 대역을 확인하고 사용 주파수 대역이 특정 주파수이면 RF 신호가 바이패스 경로 상에 스위칭되도록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연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발명은 특정 주파수 구간에서는 임피던스 정합을 비수행함으로써, 매칭부의 삽입 손실에 의해 임피던스 정합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임피던스 정합장치 및 방법{IMPEDANCE MATCH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임피던스 정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임피던스 정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서로 다른 방식의 광대역 신호를 포함하도록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자동으로 주파수 튜닝을 수행하도록 가변형임피던스 정합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종래 가변형 임피던스 정합장치는 안테나 공진점을 사용하고자 하는 주파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나, 액티브형 가변 소자로 이루어지는 가변형 임피던스 정합장치의 특성상 일정 dB의 삽입 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주파수의 특정 영역에서는 오히려 가변형 임피던스 정합장치는 삽입 손실이 고정형 임피던스 정합장치의 삽입 손실보다 커지게 되어 무선 성능을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임피던스 정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임피던스 정합장치는 다중 대역의 RF 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RF 전치부와, 상기 RF 신호에 대해 출력 전력 및 반사 전력을 측정하는 RF 전력 검출부와, 상기 반사 전력이 최소가 되도록 가변 소자를 변화시키는 매칭부와, 상기 RF 전치부에 배치되어 RF 신호를 바이패스 경로 상으로 선택적으로 스위칭시키는 제1 스위치부와, 상기 바이패스 경로 상에는 RF 신호를 매칭부와 선택적으로 스위칭시키는 제2 스위치부와, 사용중인 주파수 대역을 확인하고 사용 주파수 대역이 특정 주파수이면 RF 신호가 바이패스 경로 상에 스위칭되도록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연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임피던스 정합방법은 주파수 대역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반사 계수가 최소가 되도록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주파수 대역이 특정 주파수이면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지 않고 RF 신호를 바이패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특정 주파수 구간에서는 임피던스 정합을 비수행함으로써, 매칭부의 삽입 손실에 의해 임피던스 정합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치를 구비함으로써, RF 신호를 바이패스 경로로 용이하게 우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치로서 RF MEMS 스위치를 사용함으로써, 스위치 자체의 전기적 삽입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치로서 RF 전치부에 배치된 단일점 타입을 쌍극점 타입의 스위치로 교체함으로써, 스위치의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부가 구비된 임피던스 정합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피던스 정합장치의 부정합 손실을 나타낸 그래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부의 동작을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피던스 정합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부가 구비된 임피던스 정합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피던스 정합장치의 부정합 손실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부의 동작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임피던스 정합장치는 다중 대역의 RF 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RF 전치부(200)와, 상기 RF 신호에 대해 출력 전력 및 반사 전력을 측정하는 RF 전력 검출부(300)와, 상기 반사 전력이 최소가 되도록 가변 소자를 변화시키는 매칭부(700)와, 상기 RF 전치부에 배치되어 RF 신호를 바이패스 경로 상으로 스위칭시키는 제1 스위치부(800)와, 상기 바이패스 경로 상에는 RF 신호를 매칭부와 선택적으로 스위칭시키는 제2 스위치부(900)와, 사용중인 주파수 대역을 확인하고 사용 주파수 대역이 특정 주파수이면 RF 신호가 바이패스 경로 상에 스위칭되도록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연산 제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RF 전치부(Front-End, 200)은 다중 대역의 RF 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며, 예컨대, 펜타 밴드(5-대역) 이상의 송수신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W-CDMA(Wid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방식을 통해 통화가 가능할 수 있다.
RF 전치부(200)에는 다중 대역의 주파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다수의 단자(2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다수의 단자(220)는 WCSMA 850TRx, WCDMA 1900TRx, WCDMA 2100TRx, GSM 850/900Tx, GSM 1800/1900Tx, GSM 850Rx, GSM 900Rx, GSM 1800Rx, GSM 1900Rx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이 제공되는 다중 대역의 RF 입력 신호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단자(220)에는 저역통과 필터(Low Pass Filter, 220) 및 대역통과 필터(Band Pass Filter)가 구비될 수 있다.
RF 입력 신호는 RF 전치부(200)로부터 안테나(100)에 제공되며, 안테나(100)는 제공받은 RF 입력 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RF 전력 검출부(300)는 안테나(100)에 연결되어 안테나로부터 RF 입력 신호에 따른 반사파 파워 예컨대, 반사 전력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함께, RF 전력 검출부(200)는 반사 전력과 함께, RF 입력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RF 전력 검출부(300)로는 방향성 커플러(Directional Coupler)와 디텍터(Detector)가 사용될 수 있다.
RF 전력 검출부 (300)에는 AD 컨버터(400)가 더 연결될 수 있다. AD 컨버터(400)는 RF 전력 검출부 (300)로부터 측정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함께, AD 컨버터(400)는 RF 입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다.
매칭부(700)는 반사 전력이 최소가 되도록 가변 소자 예컨대, 가변 캐패시터들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매칭부(700)는 반사 전력이 최소값을 가지도록 제어하여 RF 입력 신호와 RF 출력 신호와의 임피던스 매칭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매칭부(700)은 다수의 가변 캐패시터들(720)과, 고정 인덕터들(740)을 포함할 수 있다. 가변 캐패시터(720)는 제1 가변 캐패시터(722)와 제2 가변 캐패시터(72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가변 캐패시터(722)와 RF 출력단에 대해 병렬로 연결되며, 제2 가변 캐패시터(724)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고정 인덕터(740)는 제1 인덕터(742), 제2 인덕터(744) 및 제3 인덕터(74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인덕터(742)는 RF 출력단에 대해 직렬로 연결되며, 제2 인덕터(744)와 제3 인덕터(746)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다수의 가변 캐패시터(720)와 고정 인덕터(740)의 결선 및 소자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변경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매칭부(700)는 연산 제어부(5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산 제어부(500)는 가변 캐패시터(720)들의 커패시턴스 값을 변화시키면서 최적의 튜닝된 값을 찾도록 가변 캐패시터들에게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임피던스 부정합에 의한 부정합 손실(Mismatch Loss, ML)이 매칭부(700) 자체의 삽입 손실보다 작아지는 특정 주파수에서는 매칭부(700)로부터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는 것이 오히려 무선 성능을 열화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다중 대역 안테나의 저대역(Low Band)주파수의 특성의 예를 살펴보면, 이동통신 GSM 850 및 GSM 900 방식의 전체 주파수 구간 예컨대, 824MHz~960MHz에서 경계 부근의 주파수에서는 안테나의 성능이 열화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824MHz에서 약 3.5dB의 부정합 손실을 발생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임피던스 부정합에 의해 약 3.5dB의 무선 방사 출력(Total Radiated Power, TRP) 내지는 무선 수신 감도(Total Isotropic Sensitivity, TIS)가 열화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부정합 손실은 수학식 1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전압 정재파비(VSWR)은 안테나(100)의 반사 전력을 측정함으로써 구해질 수 있으며, 전압 정재파비는 수학식 2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이로 인해 매칭부(700)의 자체 삽입 손실을 1dB라고 가정하면, 특정 주파수 구간 예컨대, 870MHz~920MHz 사이의 주파수 구간에서는 부정합 손실이 1dB 이상이므로, 오히려 매칭부(700)의 자체 삽입 손실이 부정합 손실보다 더 커지게 된다.
따라서, 870MHz~920MHz 사이의 주파수 구간에서는 가변 임피던스 정합장치를 사용함으로 인해 무선 성능이 더 열화될 수 있다.
특정 주파수 구간은 부정합 손실이 매칭부(700)의 자체 삽입 손실보다 작아지는 구간으로서, 특정 주파수 구간은 단말기의 안테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RF 신호를 바이패스 경로 상으로 스위칭시키는 스위치부(800, 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로 돌아가서, 스위치부는 제1 스위치(800)와 제2 스위치(9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위치(800)는 RF 전치부(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쌍극점(Double Pole) 타입의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RF 신호가 특정 주파수 구간인 경우, RF 입력 신호를 바이패스 경로(P)로 스위칭시킬 수 있으며, RF 신호가 특정 주파수 구간이 아니면 RF 입력 신호를 바이패스 경로(P)가 아닌 RF 경로로 스위칭시킬 수 있다.
이는 종래 RF 전치부(200)에 사용되는 단일점(Single Pole) 타입의 스위치를 쌍극점 타입의 스위치로 교체만 하면 되기 때문에 쌍극점 스위치의 설치가 상당히 간단해질 수 있다.
쌍극점 스위치로는 RF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내부 삽입 손실이 상당히 작은 특성을 가지는 RF MEMS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RF MEMS 스위치는 스위치 자체에서 발생되는 전기적 삽입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2 스위치(900)는 바이패스 경로(P)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테나(100)와 매칭부(700) 사이에 배치되어 바이패스 경로(P)와 RF 경로 사이를 선택적으로 스위칭시킬 수 있다.
제2 스위치(900)는 제1 스위치(800)와 마찬가지로 RF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RF MEMS 스위치가 사용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대역 주파수 구간에서 현재 사용중인 주파수 대역 정보가 특정 주파수가 아닌 경우, 상기 연산 제어부(500)는 제1 스위치(800) 및 제2 스위치(900)를 동작시켜 RF 신호가 매칭부(700)로 전송되도록 스위칭시킬 수 있다.
즉, 연산 제어부(500)는 사용 주파수 대역이 특정 주파수인지 확인하여 그에 맞게 제어 신호를 제1 스위치(800) 및 제2 스위치(900)에 제공할 수 있다.
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대역 주파수 구간에서 현재 사용중인 주파수 대역 정보가 특정 주파수인 경우, 상기 연산 제어부(500)는 RF 신호가 바이패스 경로(P)를 지나도록 제1 스위치(800) 및 제2 스위치(9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로부터 RF 신호는 임피던스 정합이 수행되지 않고, 저손실의 바이패싱 경로로 통과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임피던스 정합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임피던스 정합방법은 주파수 대역을 확인하는 단계(S100)와, 상기 반사 전력이 최소가 되도록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는 단계(S200)와, 상기 주파수 대역이 특정 주파수이면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지 않고 RF 신호를 바이패싱시키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먼저, 주파수 대역을 확인하는 단계(S100)를 수행할 수 있다. 주파수 대역을 확인하는 단계는 현재 사용중인 저대역 주파수 대역을 확인할 수 있으며, 연산 제어부(400)는 이미 현재 사용중인 주파수 대역 정보를 알고 있기 때문에 연산 제어부(400)로부터 현재 사용중인 주파수 대역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저주파 주파수 예컨대, RF 신호가 특정 주파수 범위인지 판단하는 단계(S200)를 수행할 수 있다.
특정 주파수는 부정합 손실이 매칭부(700)의 자체의 삽입 손실보다 작아지는 구간으로써, 부정합 손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부정합 손실은 앞서 설명한 수학식 1 및 수학식 2의 수식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부정합 손실은 전압 정재파비와 안테나(100)의 반사 전력으로부터 측정될 수 있다.
이어서, RF 신호가 특정 주파수 범위라고 아니라고 판단되면, 임피던스 매칭경로로 온시키는 단계(S400)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할 수 있다.(S500)
임피던스 정합은 매칭부(700)의 가변 캐패시터(720)들을 변화시켜 수행할 수 있으며, 가변 캐패시터(720)들을 변화시키는 순서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수행될 수 있다.
반면, RF 신호가 특정 주파수라고 판단되면 바이패싱 경로로 온시키는 단계 (S300)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산 제어부(400)는 RF 신호가 바이패스 경로(P)로 스위칭되도록 제1 스위치(800) 및 제2 스위치(900)를 스위칭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스위치(800) 및 제2 스위치(900)로는 RF MEMS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 주파수 구간에서는 임피던스 정합을 비수행함으로써, 매칭부의 삽입 손실에 의해 임피던스 정합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무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안테나 200: RF 전치부
300:RF 전력 검출부 400: AD 컨버터
500: 연산 제어부 700: 매칭부
800: 제1 스위치 900: 제2 스위치

Claims (11)

  1. 다중 대역의 RF 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RF 전치부;
    상기 RF 신호에 대해 출력 전력 및 반사 전력을 측정하는RF 전력 검출부;
    상기 반사 전력이 최소가 되도록 가변 소자를 변화시키는 매칭부;
    상기 RF 전치부에 배치되어 RF 신호를 바이패스 경로 상으로 선택적으로 스위칭시키는 제1 스위치부;
    상기 바이패스 경로 상에는 RF 신호를 매칭부와 스위칭시키는 제2 스위치부; 및
    사용중인 주파수 대역을 확인하고 사용 주파수 대역이 특정 주파수이면 RF 신호가 바이패스 경로 상에 스위칭되도록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연산 제어부;
    를 포함하는 임피던스 정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부는 쌍극점 타입의 고주파 스위치인 임피던스 정합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부는 RF MEMS 스위치인 임피던스 정합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특정 주파수는 부정합 손실이 매칭부의 자체의 삽입 손실보다 작아지는 구간인 임피던스 정합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부정합 손실(Mismatch Loss, ML)은
    Figure pat00003
    , (VSWR = 전압 정재파비)
    의 수식에 의해 결정되는 임피던스 정합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정재파비(VSWR)는
    Figure pat00004

    의 수식에 의해 결정되는 임피던스 정합장치.
  7. 주파수 대역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반사 전력이 최소가 되도록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주파수 대역이 특정 주파수이면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지 않고 RF 신호를 바이패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임피던스 정합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특정 주파수는 부정합 손실이 매칭부의 자체의 삽입 손실보다 작아지는 구간인 임피던스 정합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부정합 손실(Mismatch Loss, ML)은
    Figure pat00005
    , (VSWR = 전압 정재파비)
    의 수식에 의해 결정되는 임피던스 정합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정재파비(VSWR)는
    Figure pat00006

    의 수식에 의해 결정되는 임피던스 정합방법.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싱은 RF MEMS 스위치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임피던스 정합방법.
KR20110078626A 2011-08-08 2011-08-08 임피던스 정합장치 및 방법 KR101305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78626A KR101305597B1 (ko) 2011-08-08 2011-08-08 임피던스 정합장치 및 방법
PCT/KR2012/006202 WO2013022237A1 (en) 2011-08-08 2012-08-03 Impedance matching apparatus
CN201280049530.4A CN103858341B (zh) 2011-08-08 2012-08-03 阻抗匹配装置
EP12821779.1A EP2742593B1 (en) 2011-08-08 2012-08-03 Impedance matching apparatus
US14/238,065 US9124241B2 (en) 2011-08-08 2012-08-03 Impedance match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78626A KR101305597B1 (ko) 2011-08-08 2011-08-08 임피던스 정합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597A true KR20130016597A (ko) 2013-02-18
KR101305597B1 KR101305597B1 (ko) 2013-09-09

Family

ID=47668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78626A KR101305597B1 (ko) 2011-08-08 2011-08-08 임피던스 정합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24241B2 (ko)
EP (1) EP2742593B1 (ko)
KR (1) KR101305597B1 (ko)
CN (1) CN103858341B (ko)
WO (1) WO201302223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2117A (ko) * 2013-08-15 2016-04-18 휴마복스 엘티디. 무선 충전 디바이스
US9722548B2 (en) 2015-07-02 2017-08-01 Murata Manufacturing Co., Ltd. Amplification circuit
US10447323B2 (en) 2014-04-30 2019-10-15 Skyworks Solutions, Inc. Bypass path loss reduction
WO2021210890A1 (ko) * 2020-04-13 2021-10-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스위치 및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38069B2 (en) * 2013-10-30 2017-12-05 Netgear, Inc. Radio frequency front end module with high band selectivity
CN103728502B (zh) * 2013-12-31 2017-12-22 华为终端(东莞)有限公司 一种天线测试的方法和系统、以及无线终端
GB2527638B (en) * 2014-04-30 2019-03-27 Skyworks Solutions Inc Bypass path loss reduction
CN104320154A (zh) * 2014-10-29 2015-01-28 络达科技股份有限公司 多模多频前端装置
CN107636894B (zh) * 2015-05-18 2021-04-23 卡文迪什动力有限公司 维持恒定天线谐振频率和阻抗匹配的方法和装置
CN105049077A (zh) * 2015-05-28 2015-11-11 络达科技股份有限公司 宽带前端装置及其过滤射频信号的方法
CN106330121A (zh) * 2015-07-02 2017-01-11 株式会社村田制作所 放大电路
US9712197B2 (en) 2015-08-28 2017-07-18 Skyworks Solutions, Inc. Tunable notch filter and contour tuning circuit
WO2017040221A1 (en) 2015-08-28 2017-03-09 Skyworks Solutions, Inc Tunable notch filter
CN106797222B (zh) 2015-09-02 2018-10-23 天工方案公司 轮廓调谐电路
CN105391416B (zh) * 2015-12-11 2018-08-21 长安大学 一种负载阻抗匹配装置及匹配方法
US20170264010A1 (en) * 2016-03-09 2017-09-14 Futurewe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mpedance Measurement and Adaptive Antenna Tuning
TWI584586B (zh) * 2016-05-10 2017-05-21 絡達科技股份有限公司 阻抗偵測及調整電路
CN109196782A (zh) * 2016-05-20 2019-01-11 株式会社村田制作所 阻抗匹配电路、高频前端电路以及通信装置
EP3280224A1 (en) 2016-08-05 2018-02-07 NXP USA,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detecting defrosting operation completion
EP3280225B1 (en) 2016-08-05 2020-10-07 NXP USA, Inc. Defrosting apparatus with lumped inductive matching network and methods of operation thereof
CN106599746A (zh) * 2016-11-25 2017-04-26 长兴芯科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天线自动调谐方法
CN106599946A (zh) * 2016-11-25 2017-04-26 长兴芯科物联科技有限公司 射频收发机天线自动调谐电路
CN106953659B (zh) * 2017-02-10 2019-08-2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抑制干扰的方法及装置
US10917948B2 (en) * 2017-11-07 2021-02-09 Nxp Usa,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defrosting operations in an RF heating system
CN108199742B (zh) * 2017-11-13 2020-12-01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自调谐方法、自调谐系统及移动终端
US10771036B2 (en) 2017-11-17 2020-09-08 Nxp Usa, Inc. RF heating system with phase detection for impedance network tuning
US10785834B2 (en) 2017-12-15 2020-09-22 Nxp Usa, Inc. Radio frequency heating and defrosting apparatus with in-cavity shunt capacitor
EP3503679B1 (en) 2017-12-20 2022-07-20 NXP USA, Inc. Defrosting apparatus and methods of operation thereof
EP3547801B1 (en) 2018-03-29 2022-06-08 NXP USA, Inc. Defrosting apparatus and methods of operation thereof
US10952289B2 (en) 2018-09-10 2021-03-16 Nxp Usa, Inc. Defrosting apparatus with mass estimation and methods of operation thereof
US11800608B2 (en) 2018-09-14 2023-10-24 Nxp Usa, Inc. Defrosting apparatus with arc detection and methods of operation thereof
US10979089B2 (en) 2018-11-27 2021-04-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antenna reflection coefficient
US11166352B2 (en) 2018-12-19 2021-11-02 Nxp Usa, Inc. Method for performing a defrosting operation using a defrosting apparatus
US11039511B2 (en) 2018-12-21 2021-06-15 Nxp Usa, Inc. Defrosting apparatus with two-factor mass estimation and methods of operation thereof
CN110011943B (zh) * 2019-03-20 2022-03-04 珠海市杰理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产品调试设备的调试方法和装置
CN114829954A (zh) * 2020-11-20 2022-07-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反射系数测量方法及装置
US11538663B2 (en) * 2021-02-23 2022-12-27 Applied Material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substrate
US11749505B2 (en) 2021-02-23 2023-09-05 Applied Material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substrate
CN115882806B (zh) * 2023-02-22 2023-05-30 季华实验室 一种射频电源自动阻抗匹配装置、系统以及方法
CN117559937B (zh) * 2024-01-09 2024-03-15 深圳市鸿富胜科技有限公司 一种阻抗匹配网络调节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24965A (en) * 1974-10-15 1978-09-13 Cincinnati Electronics Corp Technique for automatic matching of high q-loads
JPH04368022A (ja) * 1991-06-14 1992-12-21 Kokusai Electric Co Ltd 空中線整合回路およびこれを用いた空中線整合方法
FI990687A (fi) 1999-03-29 2000-09-30 Nokia Mobile Phones Ltd Langattoman viestimen antennin sovitusjärjestelmä
DE60221613T2 (de) * 2001-09-27 2007-12-06 Kabushiki Kaisha Toshiba Tragbares Funkgerät
KR20040070618A (ko) * 2003-02-04 2004-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의 다중 매칭 장치 및 방법
KR20060112722A (ko) * 2005-04-27 2006-11-02 주식회사 팬택 다중 대역 단말기의 안테나 정합 회로
KR20070023850A (ko) * 2005-08-25 2007-03-02 주식회사 팬택 멀티 밴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일 포트를 지원하는무선신호 송수신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2117A (ko) * 2013-08-15 2016-04-18 휴마복스 엘티디. 무선 충전 디바이스
US10447323B2 (en) 2014-04-30 2019-10-15 Skyworks Solutions, Inc. Bypass path loss reduction
US9722548B2 (en) 2015-07-02 2017-08-01 Murata Manufacturing Co., Ltd. Amplification circuit
WO2021210890A1 (ko) * 2020-04-13 2021-10-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스위치 및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22237A1 (en) 2013-02-14
EP2742593A4 (en) 2015-03-18
KR101305597B1 (ko) 2013-09-09
CN103858341B (zh) 2016-11-02
US20140167878A1 (en) 2014-06-19
EP2742593B1 (en) 2017-03-22
CN103858341A (zh) 2014-06-11
EP2742593A1 (en) 2014-06-18
US9124241B2 (en) 2015-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5597B1 (ko) 임피던스 정합장치 및 방법
US8971874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esting electronic devices under specified radio-frequency voltage and current stress
US9755670B2 (en) Adaptive load for coupler in broadband multimode multiband front end module
US76716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tunable impedance matching network
US7710217B2 (en) Matching circuit and dual-band power amplifier
JP2013131803A (ja) Rf電力増幅器およびその動作方法
US20130234741A1 (en) Methods for Characterizing Tunable Radio-Frequency Elements
JP2010161466A (ja) 方向性結合器
KR101019716B1 (ko) 통합 대역 저잡음 증폭기
TW201601471A (zh) 用於寬頻帶多模式多頻帶前端模組中之耦合器之可調適負載
WO2008084273A2 (en) An antenna device
JP2011234155A (ja) 送信器
WO2013181602A2 (en) Determining a delivered power estimate and a load impedance estimate using a directional coupler
JP5435309B2 (ja) 方向性結合器および無線通信装置
US9130522B2 (en) Matching device, transmitting amplifi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1479797B1 (ko) 전력 증폭기에서의 전력 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100905340B1 (ko) 안테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KR101294434B1 (ko) 임피던스 정합장치 및 임피던스 정합방법
KR101305709B1 (ko) 임피던스 정합장치 및 방법
KR100285950B1 (ko) 인체의영향을최소화시키는휴대용전화기의안테나회로를구현하는방법
TWI326526B (en) Dual band transmitter having filtering coupler
KR101611381B1 (ko) 통합된 다중모드 다중밴드 전력 증폭기의 장치 및 방법
CN105281800A (zh) 通信装置
CN112042130B (zh) 无线通信模块
WO2014132338A1 (ja) インピーダンスチューナ及び電力増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