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6317A - 향상된 공중 안전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향상된 공중 안전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6317A
KR20130016317A KR1020127028162A KR20127028162A KR20130016317A KR 20130016317 A KR20130016317 A KR 20130016317A KR 1020127028162 A KR1020127028162 A KR 1020127028162A KR 20127028162 A KR20127028162 A KR 20127028162A KR 20130016317 A KR20130016317 A KR 20130016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blic safety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broadban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8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0204B1 (ko
Inventor
데이비드 이. 클라인
스캇 엠. 알라즈라키
에릭 디. 브룩스
스티븐 이. 영
데보라 제이. 몽크스
알레잔드로 지. 블랑코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솔루션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솔루션즈, 인크.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솔루션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130016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6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0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0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03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converged personal network application service interworking, e.g. OMA converged personal network services [CP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136Administration or customisation of services
    • H04M3/42178Administration or customisation of services by downloading data to substation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1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8Trunked mobile radi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통신 시스템(100)은 상이한 네트워크를 통해 동작하는 협대역 통신 장치(102) 및 광대역 통신 장치(104) 사이의 공동 작업을 제공한다. 통신 장치(102, 104)는 링크되어 장치를 이용하는 공중 안전 직원 사용자로의 공중 안전 정보의 보급을 지원하는 피어-투-피어 통신을 제공한다. 장치(102, 104) 내의 애플리케이션은 중요한 정보의 리던던시, 중요하지 않은 정보의 제거 및 전력 관리를 위해 복수의 장치 중에서 특징을 자동으로 제어한다. 맥락 정보가 또한 장치 사이에서 조사되어 공유될 수 있다.

Description

향상된 공중 안전 통신 시스템{ENHANCED PUBLIC SAFETY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물은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추가의 비 공중 안전 통신 장치와의 링크를 통한 공중 안전 통신 시스템의 향상에 관한 것이다.
경찰관, 소방관, 긴급 의료원 등의 공중 안전 직원은 일반적으로 현장에서 일하는 동안 수많은 통신 장치를 이용한다. 공중 안전 통신 장치는 예를 들어, 원격 마이크로폰, 스피커, 이어폰, 헤드셋 등의 원격 악세서리와 함께 핸드헬드 무선장치 및/또는 차량 무선장치 등의 이동 무선 장치를 포함한다. 이들의 1차 미션 크리티컬(mission critical) 장치 및 자신의 동작을 지원하는 인프라스트럭쳐는 일반적으로 공중 안전 에이전시에 의해 관리되는 개인 네트워크를 통해 동작하는 협대역 시스템의 형태로 실현된다.
공중 안전 직원은 종종 광대역 접속을 통해 동작하는 셀폰, 개인 휴대 단말기, 전자 노트패드 등의 추가적인 넌 미션 크리티컬 장치를 소지한다. 이들의 2차 넌 미션 크리티컬 장치는 높은 스트레스 환경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고 미션 크리티컬 상황시 사용자의 집중을 방해한다. 특히, 높은 스트레스 긴급 상황에서, 수많은 통신 장치를 관리하는 능력은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수많은 통신 장치의 관리와 연관된 상술한 문제점을 완화하는 개선된 통신 시스템이 필요하다.
개요
일 실시예에서, 단일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복수의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기재된다. 상기 복수의 통신 장치 중의 적어도 하나는 공중 안전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협대역 통신 장치이고 상기 복수의 통신 장치 중의 적어도 다른 하나는 광대역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광대역 통신 장치이다. 상기 협대역 통신 장치 및 상기 광대역 통신 장치는 상기 광대역 통신 장치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자를 상기 협대역 통신 장치로 확장하기 위한 파트너 장치로서 동작하는 공중 안전 동작 모드 동안 마스터리스(master-less) 통신 링크를 통해 페어링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공중 안전 통신 장치 및 비 공중 안전 통신 장치로 형성되는 통신 장치의 세트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기재된다. 상기 통신 장치의 세트는 상호 접속된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를 위하여 함께 링크되고, 상기 링크된 통신 장치는 상기 링크된 통신 장치로 및 로부터의 안전 정보의 전달을 제어하는 안전 네트 애플리케이션(safety net application)을 통해 공중 안전 정보 및 상태 공유를 지원하고, 상기 안전 네트 애플리케이션은 가장 적절한 통신 장치 및 상기 통신 장치의 가장 적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자로 정보가 전송되는 것을 보장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공중 안전 통신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광대역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기재된다. 상기 복수의 통신 장치는 각각 로컬 네트워크 서브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로컬 네트워크 서브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통신 장치를 정보 공유 링크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는 피어-투-피어 통신 장치로 변환하는 마스터리스 무선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조립한다. 상기 피어-투-피어 통신 장치는 상기 광대역 통신 장치 또는 상기 협대역 통신 장치 중의 어느 하나에서의 이벤트 트리거의 수신에 응답하여 공유 정보에 기초하여 응답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공중 안전 통신 장치 및 비 공중 안전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핸드헬드 및 신체 착용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기재된다. 공중 안전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공중 안전 통신 장치 및 상기 비 공중 안전 통신 장치의 각각에 프로그래밍되고, 상기 공중 안전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공중 안전 통신 장치 및 상기 비 공중 안전 통신 장치를 상기 비 공중 안전 통신 장치가 상기 공중 안전 통신 장치로의 확장된 공중 안전 통신 특징을 제공하는 공중 안전 동작 모드로 배치한다. 피어-투-피어 링크는 상기 공중 안전 통신 장치와 상기 비 공중 안전 통신 장치 사이에서 인에이블링되어 상기 공중 안전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상기 공중 안전 및 비 공중 안전 통신 장치 중에서 공중 안전 정보의 자동화된 보급(dissemination) 및 조정(coordination)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공중 안전 시스템의 개인 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동작하는 협대역 통신 장치; 광대역 시스템의 공중 또는 개인 네트워크를 통해 동작하는 광대역 통신 장치; 상기 공중 안전 시스템과 상기 광대역 시스템 사이에서 동작하는 보안 네트워크 링크; 및 상기 협대역 통신 장치와 상기 광대역 통신 장치 사이의 정보 공유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공유 링크는 상기 협대역 통신 장치 및 상기 광대역 통신 장치의 각각에 다운로드된 공중 안전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동작하고, 상기 공중 안전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협대역 통신 장치와 상기 광대역 통신 장치 사이의 공동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광대역 통신 장치는 상기 협대역 통신 장치로의 확장된 공중 안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공동 동작은 상기 협대역 통신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자 및 상기 광대역 통신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자에 정보를 중계하는 통신 시스템이 기재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공중 안전 정보를 보급하는 방법으로서, 공유 정보 링크를 통해 공중 안전 통신 장치를 비 공중 안전 통신 장치와 페어링하는 단계; 공중 안전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 안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공중 안전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상기 비 공중 안전 통신 장치와 상기 공중 안전 정보를 자동으로 공유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게 제시하기 위하여 상기 공중 안전 통신 장치와 상기 비 공중 안전 통신 장치 사이에서 상기 공중 안전 정보의 교환을 공동 작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기재된다.
동일한 참조 번호는 개별 도면에서 동일 또는 기능적으로 유사한 요소를 지칭하고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 도면은, 다양한 실시예를 더 설명하고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원리 및 모든 이점을 설명하는 기능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되고 동작하는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통신 시스템의 더 상세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시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 중에서의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 보급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는 2개의 통신 장치 간의 이벤트 처리의 예를 제공하는 플로우챠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장치들의 상호 작용을 위한 정보 공유 및 이벤트 트리거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500).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는 2개의 통신 장치에 대한 트리거 및 응답의 예를 제공하는 테이블.
숙력된 자는 도면 내의 요소가 간략성 및 명료성을 위하여 도시되며 반드시 일정한 비율로 그려지지 않았음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의 요소의 일부의 치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의 향상을 돕기 위해 다른 요소에 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본 실시예는 주로, 영향력이 잘 발휘되는(well-leveraged) 비 공중 안전 통신 장치의 추가를 통해 공중 안전 환경의 향상에 관련된 장치 구성요소 및 방법 단계의 조합에 있다. 정보 공유 링크를 통한 장치들의 최적화된 조정(coordination)을 통해 공중 안전 통신 장치를 비 공중 안전 통신 장치와 링크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통신 시스템은 안전 대책을 향상시키면서 생산력을 촉진한다.
본 설명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많은 특정예가 주어진다. 이들 예는 오로지 설명을 목적으로 포함되며 모든 것을 망라하거나 본 발명을 임의의 방식으로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동등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본 설명에 기재된 장치, 시스템, 어셈블리, 방법, 구성요소를 가지거나 가지지 않고 실행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간략하게,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되고 동작하는 통신 시스템(100)이 도시된다. 통신 시스템(100)은 공중 안전 네트워크(140) 및 광대역 시스템(150)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목적 상, 공중 안전 시스템(140)은 공중 안전 에이전시에 의해 관리되는 개인 협대역 네트워크(110)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공중 안전 시스템(140)은 또한 디스패치(dispatch) 및 정보 관리 센터(124) 및 개인 협대역 네트워크(110)를 통해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중 안전 통신 장치(102)를 포함한다. 광대역 시스템(150)은 개인 또는 공중 네트워크(112)를 통해 동작하는 전통적인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쳐(126)로 형성되고, 광대역 시스템(150)은 또한 일반적으로 비 공중 안전 통신 장치로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대역 통신 장치(104)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공중 안전 통신 장치(102) 및 적어도 하나의 광대역 통신 장치(104)는 사용자의 즉각적인 제어 하에 있도록 바람직하게 사용자의 몸 또는 그 부근에 착용된 핸드헬드 장치 또는 장치들인 복수의 통신 장치를 단일 사용자(106)에 제공한다. 설명 및 일관성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의 통신 장치는 협대역 통신 장치(102) 및 광대역 통신 장치(104)라 한다. 협대역 통신 장치(102)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확성기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자를 갖는 공중 안전 협대역 트랜시버 및 제어기를 포함한다. 협대역 통신 장치(102)의 예는, 제한되지 않지만, 공중 안전 에이전시, 긴급 응답 구조 그룹 등의 하에서 동작하는 핸드헬드 또는 신체 착용 양방향 협대역 무선 장치를 포함한다. 협대역 통신 장치(102)는 개인 통신망(PAN) 접속(예: 블루투스, WLAN, 지그비)을 더 포함한다. 광대역 장치(104)는 광대역 무선 트랜시버, 제어기 및 마이크로폰, 스피커, 디스플레이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자를 포함한다. 광대역 장치(104)의 예는,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셀폰, 개인 휴대 단말기(PDA), 환경적으로 설계된 장치를 포함한다. 광대역 장치(104)는 또한 개인 통신망(PAN) 접속(예: 블루투스, WLAN, 지그비)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로컬 네트워크 서브시스템은 협대역 통신 장치(102) 및 광대역 통신 장치(104) 내에 통합되어 PAN을 이용하여 마스터리스(master-less) 통신 링크(120)를 통해 피어-투-피어 방식으로 동작하는 페어링된 장치들을 제공한다. 로컬 네트워크 서브시스템은 상호접속된 피어-투-피어(대조적으로는 전통 마스터/슬레이브 제어) 네트워크에 대하여 함께 링크된 통신 소자의 세트를 정의한다. 마스터리스 통신 링크(120)는 복수의 페어링된 통신 장치의 관리를 조정하여 광대역 통신 장치(104)가 사용자(106)에게 추가의 공중 안전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도록 한다.
보안 네트워크 링크(122)는 공중 안전 시스템(140)의 디스패치 및 정보 관리 센터(124)를 광대역 시스템(150)의 전통적인 네트워크(126)에 링크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보안 네트워크 링크(122)는 예를 들어, 공중/개인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또는 다른 적절한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되어 공중 안전 시스템(140)과 광대역 시스템(150) 간의 데이터 및 현장내 장치 상태(in-field device status)를 허용할 수 있다. 장치가 페어링되면, 광대역 통신 장치(104)는 어느 하나의 장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정의 공중 안전 트리거에 응답하여 협대역 통신 장치(102)에 대하여 파트너 통신 장치로서 동작한다. 공중 안전 동작 모드에서 동작할 때, 광대역 장치는 파트너 장치(104)라 한다.
공중 안전 동작 모드에서, 협대역 통신 장치(10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자, 정보 관리, 이벤트 관리 애플리케이션, 및 맥락 관련 정보를 공유하는 파트너 장치(104)와의 접속을 동작시킨다. 맥락 관련 정보의 예는, 제한되지 않지만, 무선 상태, 센서 상태, 주변 사운드, 위치 등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광대역 장치(104)는 파트너 장치로서 동작할 때 정보 관리, 이벤트 관리 애플리케이션,및 다른 로컬 장치로의 접속과 함께 확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자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100)은 지능적인 정보 공유를 조정하여 각 장치에서의 주요 기능에 영향을 주는 정보 공유 링크(120)를 장치들 사이에 제공함으로써 협대역 통신 장치(102) 및 광대역 통신 장치(104) 간의 상호 접속을 제공한다. 통신 시스템(100)은 또한 공중 안전 네트워크(140)와 광대역 시스템(150) 사이에 보안 네트워크 링크(122)를 제공함으로써 협대역 통신 장치(102) 및 광대역 통신 장치(104) 사이에 상호 접속을 제공한다. 상호 접속은 공중 안전 사용자 책임 및 작업 역할과 연관된 안전 및 생산 형태를 타겟으로 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어된다.
정보 공유 링크(120)의 상호 접속은 로컬 또는 개인 영역 접속(블루투스, WLAN, 지그비 등), 칼라 디스플레이의 제어, 지능적인 조명, 타임 아웃 타이머, 운영 체제(OS) 레벨 이벤트 구동 트리거, 전력 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벤트 공유 프로토콜 및 공중 안전 광역 음성 또는 통합된 음성 및 데이터 프로토콜(예: APCO 25 프로토콜)을 제어한다. 보안 네트워크 링크(122)의 상호 접속은 디스패치 및 정보 관리 센터(124)를 이용하여 광대역 장치(104)로부터 협대역 시스템 내의 장치(들)로의 적절한 정보 라우팅을 제어한다. 정보 공유 링크(120)는 일반적인 이벤트 공유, 조정된 이벤트 공유, 조정된 양방향 이벤트 공유 및 애플리케이션 및 이벤트 둘 다의 공유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호 접속을 제어한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시스템(100)은 상호 접속된 피어-투-피어(대조적으로는 전통 마스터/슬레이브 제어) 네트워크를 위해 함께 링크된 통신 소자의 세트를 정의한다. 링크된 소자는 공중 안전 정보 및 상태 공유를 지원하여 사용자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하고, 사용자 인식을 증가하고, 협대역 통신 장치(102)와 파트너 장치(104) 간의 상호 작용의 자동을 통해 안전을 향상시킨다. 상태 공유의 예는, 예를 들면, 호(call) 모드, 긴급 모드, 지능적인 조명 모드, 메뉴 모드, 스캔 모드(대조적으로는 유효 모드)를 포함한다. 상태 및 상태 맥락은 후술하는 일반적인 이벤트 공유, 조정된 이벤트 공유, 조정된 양방향 이벤트 공유 및 애플리케이션과 이벤트 둘 다의 공유를 포함하는 적어도 4개의 상태 공유 방법을 통해 공유될 수 있다. 링크된 소자는 협대역 통신 장치(102) 및 파트너 통신 장치(104)로 및 로부터 추가의 안전 정보의 전달을 제어하는 안전 네트 애플리케이션(safety net application) 하에서 동작한다. 안전 네트 애플리케이션은 정보가 가장 적절한 장치(또는 장치 상의 가장 적절한 소자)로 전송되어 수락가능한 포맷으로 공유되는 것을 보장한다. 추가의 정보는 추가된 사용자 안전 및 작업 효율을 초래하는 응답을 용이하게 한다.
전통적인 협대역 공중 안전 네트워크의 자원 제한 또는 대역폭 제한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 파트너 장치 또는 파트너 장치들의 추가는 디스패치 및 정보 관리 센터(124)와 사용자(106), 예를 들어, 현장 담당자 간의 정보를 증가시키는 병렬 동작을 허용한다. 결합된 공유는 2개(이상의) 장치(102, 104)가 공동 방식으로 동작함에 따라 협대역 통신 장치(102)의 전통적인 능력을 확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는 통신 시스템(100)은 이벤트 발생의 독립 장치 대 독립 장치(협대역 통신 장치(102) 및 광대역 통신 장치(104)) 동기화를 보호하여 추가의 로컬 장치 활동을 트리거한다. "링크"(120, 122)는 동일한 공유 레벨을 제공한다. 통신 시스템(100) 내의 소자의 공유 및 링크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확성기 및 키보드 등의 소정의 소자가 다수의 장치 상에 복사될 필요가 없도록 하여 전체 기능의 손실없이 시스템의 전체 비용을 감소시킨다.
실시예에 따라, 장치 상호 접속은 4개의 일반 카테고리, 즉, 일반적인 이벤트 공유, 조정된 이벤트 공유, 조정된 양방향 이벤트 공유 및 애플리케이션과 이벤트 둘 다의 공유 하에서 분류될 수 있다. 각 카테고리는 이하에서 설명한다.
일반적인 이벤트 공유 - 하나의 피어 장치(예: 공중 안전 무선장치)가 소정의 활동을 개시하고 자신의 상태 또는 이벤트 트리거를 다른 피어 장치(예: PDA)로 전송한다. 제1 장치는 제2 장치의 활동에 무관한 이벤트를 처리한다.
조정된 이벤트 공유 - 하나의 피어 장치(예: 공중 안전 무선장치)가 소정의 활동을 개시하고 자신의 상태 또는 이벤트 트리거를 다른 피어 장치(예: PDA)로 전송한다. 제1 장치는 피어 장치의 능력을 이해하고 이벤트를 처리하여 최적화된 응답이 생성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PDA가 이용가능하거나 더 좋은 통신 송신기 또는 더 많은 배터리 전력을 가지면 무선장치는 배터리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조정된 양방향 이벤트 공유 - 하나의 피어 장치(예: 공중 안전 무선장치)가 소정의 활동을 개시하고 자신의 상태 또는 이벤트 트리거를 다른 피어 장치(예: PDA)로 전송한다. 제1 장치는 피어 장치의 능력을 이해하고 이벤트를 처리하여 최적화된 응답이 생성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PDA가 이용가능하거나 더 좋은 통신 송신기 또는 더 많은 배터리 전력을 가지면 무선장치는 배터리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이벤트 후에 장치들 사이에 추가의 상호 작용 또는 트리거 이벤트 정보를 공유한다. 예를 들어, 2개의 장치 사이의 상호 작용은 가청 경보를 야기하여 양 장치 중의 하나를 오프하거나 발신 장치 내의 후속 기능 변화를 트리거하고, 이 예에서, 발신 장치는 무선장치이다.
애플리케이션 및 이벤트 둘 다의 공유 - 하나의 피어 장치(예: 무선장치)가 소정의 활동을 개시하고 애플리케이션 코드 및 상태 또는 이벤트 트리거 정보 둘 다를 다른 피어 장치(예: PDA)로 전송한다. PDA 장치가 수신된 애플리케이션 코드를 실행하는 동안 무선 장치는 이벤트를 처리하고, PDA는 이벤트 트리거를 처리한다. 장치 상호 작용은 이전의 3개의 상호 작용 시나리오를 미러링할 수 있다. 이 어프로치는 제2 피어 장치(예: PDA)가 이벤트를 실제로 처리하는 방법을 개시 장치(예: 무선장치)가 정확하게 알도록 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동작에서, 복수의 통신 장치(102, 104)는 각각 로컬 네트워크 서브시스템을 포함하고, 로컬 네트워크 서브시스템은 정보 공유 링크(120)에 의해 지시된 정보 전송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이용하여 복수의 통신 장치(102, 104) 중의 마스터리스 무선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조립한다.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이 로컬 네트워크 서브시스템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협대역 네트워크의 디스패치 및 정보 관리 센터(124) 내에 저장된다. 디스패치 및 정보 관리 센터(124)는 복수의 통신 장치(102, 104) 사이에서 전송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로컬 네트워크 서브시스템에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저장 및 다운로드한다.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들)은 전송된 정보 내용에 기초하여 송신 및 수신 기능을 제어한다. 이전에 설명한 안전 네트는, 현장의 사람들 및 장치들로부터 가능한한 많은 정보 컨텐츠를 모으고 더 나은 안전 지지 결정 및 그 현장에 대한 증가된 정보 배치를 위해 이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생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는 더 상세한 통신 시스템(200)의 예를 나타낸다. 통신 시스템(200)은 도 1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개인 협대역 네트워크(110)를 통해 동작하는 협대역 통신 장치(102) 및 개인 네트워크(또는 공중 네트워크)(112)를 통해 동작하는 광대역 통신 장치(104)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은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264)를 갖는 디스패치 및 정보 관리 센터(124)로부터 공중 안전 시스템을 통해 협대역 통신 장치(102)와 공유된다. 공중 안전 무선 장치(102)를 통해 수집된 공중 안전 정보는 협대역 네트워크(110)를 통해 디스패치 및 정보 관리 센터(124)와 공유될 수 있다. 정보가 협대역 네트워크(110)를 통해 공유될 수 없으면, 광대역 통신 장치(104)는 RF 모뎀으로서 동작하여 안전 네크워크 링크(122)를 통해 광대역 시스템(150)을 통해 데이터를 라우팅할 수 있다.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옵션 보드(230)에 국부적으로 저장되고 협대역 통신 장치(102)에 다운로드될 수 있다. 광대역 통신 장치(104)는 보안 네트워크 링크(122)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고 정보 공유 링크(120)를 통해 개인 통신망(PAN)을 통해 협대역 장치(102)와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할 수 있다.
협대역 통신 장치(102)로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은 장치들 사이에서 사용될 공동 상호 작용을 제공한다. 사용자 및 장치 주변의 맥락 정보라 불리우는 추가의 정보가 또한 수집된다. 맥락 정보는 예를 들어 휴대용 및 정지 센서(242), 생체 측정 센서(244) 및/또는 무선 신체 착용 센서(246) 등의 센서로 수집될 수 있다. 맥락 정보는 또한 통신 장치(102 및/또는 104) 내에 삽입된 위치 추적 기술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맥락 정보는 협대역 개인 네트워크(110) 또는 개인/공중 광대역 네트워크(112)를 통해 디스패치 및 정보 관리 센터(124)와 공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패치 및 정보 관리 센터(124)는 휴대용 정지 센서(242) 및/또는 생체 측정 센서(244) 등의 센서 능력을 갖는 협대역 장치에 대한 협대역 통신 장치(102)에서의 센서 데이터의 수집을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공중 안전 정보는 무선장치(102) 상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관리되고 리던던시를 위해 광대역 장치(104)를 통해 미러링되고 전달될 수 있다. 광대역 통신 장치(104)는 또한 블루투스 링크(248) 또는 지그비 또는 다른 PAN 링크를 통해 생체 측정 센서(244) 등의 센서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의 관점에서, 차량(250)은 제어 그룹(256)으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차량내 센서(258)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무선 제어(252) 및 차량내 도킹 스테이션(254)을 포함한다. 이 정보는 디스패치 센터(260) 및 협대역 통신 장치(102)로의 통신을 위해 개인 협대역 네트워크(110)를 통해 전달된다.
실시예에 따라, 공중 안전 시스템의 개인 협대역 네트워크 및 광대역 시스템(150)의 개인/공중 네트워크(112)와 통신하는 디스패치 센터(260)가 도시된다. 디스패치 센터(260)가 (디스패치 및 레코드 관리 센터(124)의 일부로서) 공중 안전 시스템(140)의 개인 협대역 네트워크와 정상적으로 인터페이싱하는 동안, 본 실시예에서, 협대역 통신 장치(102)로부터 광대역 통신 장치(104)로의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는 광대역 통신 장치(104)가 일시적으로 디스패치 센터(260)와 통신하도록 한다. 차량 사건 명령 센터(262) 등의 다른 타입의 디스패치 센터 또는 제어 센터는 또한 광대역 시스템(150)의 개인 또는 공중 네트워크(112) 및 공중 안전 시스템(140)의 개인 협대역 네트워크(110)에 제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통신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 중에서의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 보급(dissemination)(300)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운로드가능한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은 미션 크리티걸 애플리케이션(302), 효율 애플리케이션(304) 및 차량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306)에 속하는 맥락 정보를 포함한다. 통합된 차량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306)은 애플리케이션(302 및 304)과 결합하여 동작한다. 협대역 통신 장치(102) 내에 통합되거나 그와 함께 동작하는 모듈은 센서, 블루투스 능력 및 인터넷 및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인터넷-네트워크 능력을 포함한다. 미션 크리티컬 애플리케이션(302)에 속하는 맥락 정보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보안 페어링, GPS 및 위치 애플리케이션, 맨-다운(man-down) 긴급 애플리케이션, 생체 측정 센서 및 화학적 모니터링을 포함한다.
효율 애플리케이션(304)은 예를 들어, 백업 PTT(push-to-talk) 및 긴급 특징, 운영 PSA(public service announcement), RF ID 트래킹 룰, 운전 면허 태그 리더, 얼굴 인식 및 식별을 위한 카메라 능력, 텍스트-투-스피치 프롬프트 및 WLAN 광대역 능력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대역 통신 장치(104)는 협대역 통신 장치(102)로부터 나오는 PTT 오디오에 대한 RF 모뎀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차량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의 예는, 제한되지 않지만, P25 광대역 링크의 이동도 조치, 휴대 장치용 차량내 도킹 스테이션, 변조 무선 차량 콘솔, 이동 정보 HUB, 터치 스크린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비디오 등의 비디오를 포함한다.
통신 시스템(100, 200) 및 애플리케이션 보급(300)은 광대역 통신 장치(104)를 개발 및 배치하는 능력을 제공하여 협대역 통신 장치(102)에 대한 파트너 장치로서 동작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안전 및 생산력을 증가시킨다. 광대역 통신 장치(102)는 안전 네트를 강화시키고 코어 무선 장치를 보완한다. 현장 내 지원은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설정된 소정의 룰에 기초한 특정한 액션에 대한 적절한 장치의 자동 선택에 의해 향상된다.
통신 시스템은 가장 합당한 장치에 기능을 배치하도록 허용하지만, 그 특징은 모든 링크된 장치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안전 향상은 추가의 재료 비용없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주어진 임무에 대하여 가장 간단한/더 빠른 장치를 이용하면, 공중 서비스 작업자는 당면한 작업에 더 잘 집중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더 높은 레벨의 특징에 크로스 링크 능력(cross-linkage capacity)을 추가함으로써, 공동 장치는 사용자 주변의 변화무쌍한 환경을 지원할 수 있다. 동작 특징은 또한 맥락 장치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무선장치 및 무선장치 사용자의 현재 상황에 기초하여 확대된다.
일 예로서, 양방향 무선 장치 등의 협대역 통신 장치(102)가 긴급 모드로 진입하고, 파트너 통신 장치(104)는 자동으로 음성 인식이 가능한 무선 모드로 변경되는 것을 고려해 보자. 사용자(106)로부터의 명령은 파트너 통신 장치(104)에 의해 수신되어 무선장치로 라우팅된다. 그러한 것으로서, 무선 장치는 이 음성 특징에 대하여 배터리 전력 또는 프로세서 전력를 소비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는 2개의 페어링된 장치 간의 이벤트 처리의 예를 제공하는 플로우챠트(400)이다. 이 예에서, 페어링된 장치는 페어링된 장치(1) 및 페어링된 장치(2)라 한다(402, 408). 404에서 페어링된 장치(1)에서 이벤트(예를 들어, 호, 긴급 버튼 누름 등)가 발생한다. 이벤트에 응답하여, 페어링된 장치(1)는 페어링된 장치(2)와 이벤트 세부사항에 속하는 관련 정보를 공유한다(406). 410에서, 페어링된 장치(2)는 이벤트 세부사항 뿐만 아니라 장치(1)에 의해 공급되거나 장치(2)에 의해 수집된 임의의 다른 관련 정보(예를 들어, 도 3의 미션 크리티컬 애플리케이션(302)에 의해 구성되는 위치 또는 센서 데이터)도 처리한다. 이벤트 정보는 또한 412에서 페어링된 장치(1)에 의해 처리된다. 장치(2)에서의 이벤트 세부사항의 처리는 414에서 구성 애플리케이션(232)와 결합하여 공유된다. 만약에 있다면, 추가의 정보(예를 들어, 위치 및 센서 데이터)가 416에서 장치(1)에 의해 처리된다. 양 장치(1 및 2)에서의 정보의 처리는 418 및 420에서 타임 아웃 타이머에 의해 종료된다. 따라서, 추가적인 맥락 데이터와 결합하여 처리 이벤트를 공유함으로써, 최상의 장치가 소정의 기능에 자동으로 사용될 수 있다. 406/410 및 414/416 사이에서 발생하는 공유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이벤트 공유, 조정되는 이벤트 공유, 조정되는 양방향 이벤트 공유 및 양 애플리케이션 및 이벤트 공유의 제어에 기초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의 프로세스는 페어링 협대역 및 광대역 장치 사이에서 공유되는 개선된 데이터 응답 노력을 제공한다. 협대역 통신 장치(102)가 광대역 장치(104)에게 문제를 알릴 수 있는 상황이 존재할 수 있고, 장치(104)가 무선 장치에 소정의 특징 책임을 상정한다는 것을 알리고, 함께, 2개의 장치는 사용자 상호 작용 없이 고장, 에러 또는 환경 문제를 극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통신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장치의 상호 작용을 위한 정보 공유 및 이벤트 트리거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500)이다. 상호 작용은 502에서 장치 페어링에 의해 시작된다. 장치 페어링은 선택된 PAN 기술의 타입과 연관된 수동 및 기지의 제품 페어링을 이용하거나 그에 응답하여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협대역 통신 장치(102) 및 광대역 장치(104) 둘 다는 504 및 506에서 각각의 정보 공유 애플리케이션을 인에이블링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서, 정보 공유 링크가 508에서 인가된다. 정보 공유 링크를 인가하는 기초는 원한다면 제2 레벨 페어링 이벤트의 백엔드 인증을 포함할 수 있다. 인가(508)는 무선 기능 공유, 동작 모드 등의 무선 프로파일 공유 등의 다른 이벤트 활동에 대한 베이스라인을 생성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510에서, 광대역 장치(104)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협대역 통신 장치(102)의 상태로 링크된다.
512에서, 이벤트 트리거(예를 들어, 긴급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결정한다. 이벤트가 트리거되지 않으면, 광대역 장치는 516에서 협대역 통신 장치에 속하는 이벤트 맥락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이것은 처리 전력 및 배터리 전력이 협대역 통신 장치(102)에서 절약되도록 한다. 광대역 장치(104)는 사용자에 대한 확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허용하는 협대역 통신 장치(102)와의 로컬 상호 작용시 소정의 룰을 따른다. 소정의 룰은 또한 공동 방식으로 2개의 장치 사이에서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룰을 포함한다.
512에서 이벤트 트리거가 발생하면, 이벤트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가 514에서 발생하고, 이벤트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는 발생하는 이벤트 타입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긴급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는 긴급 동작 특징을 인에이블링한다. 긴급 애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 상의 폰트 확대, 지능적인 조명 및 긴급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협대역 통신 장치 프로파일의 매칭 등의 항목의 인터페이스 특징을 인에이블링할 수 있다. 트리거된 이벤트가 518에서 처리된다. 이벤트 처리는 사용자 상호 작용, (파트너 장치(104)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호 작용, 무선 애플리케이션 상호 작용 및 송신 상호 작용(예를 들어, 이벤트 확인) 중의 하나 이상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512, 514, 518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트리거 및 응답의 처리는 602, 604로서 도 6에 도시된 장치 트리거 및 응답에 의해 더 예시될 수 있다. 도 6에서, 표(600)는 이러한 장치 활동의 예를 제공한다. 표(600)는 협대역 통신 장치(102)에 의해 수신된 무선 이벤트 트리거(602) 및 파트너 광대역 통신 장치(104)에 의한 응답(604)의 몇가지 예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긴급 경보, 호 경보, 개인 호 또는 그룹 호를 수신하는 무선 이벤트 트리거(606)는 무선장치에 매칭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지능적인 조명 동작; 추가의 세부사항의 요청; 정보 디스플레이; 및 시각, 오디오 또는 햅틱 피드백 제공의 파트너 대역 장치 응답(608)을 발생시킬 수 있다. 맨 다운 센서 등의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개시된 긴급 상황의 무선 이벤트 트리거(610)는 오디오 및/또는 시각 포맷의 광대역 장치 기록; 광대역 접속을 이용한 추가의 정보 전달 및 위치 결정 및 음성 인식 가능, 로그 타임을 갖는 카메라 활동을 강요하는 "사진찍기", 오디오 스트림의 레코드, 백업 요청 메시지의 전송 또는 긴급 그룹 호의 파트너 광대역 장치 응답(612)을 발생시킬 수 있다.
추가의 응답은 무선 이벤트 트리거에 응답하여 양 장치에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차 센서 처리의 무선 이벤트 트리거(614)는 616에서 협대역 장치가 애플리케이션, 모듈 또는 센서 식별을 광대역 장치에 제출하도록 할 수 있고, 협대역 장치는 센서 데이터를 광대역 장치로 스트리밍할 수 있고, 광대역 장치는 스트리밍 데이터를 다른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에 링크할 수 있다.
또 다른 이벤트 트리거 예는 협대역 통신 장치(102)에서 발생하는 범위 표시기(618) 밖에 있을 수 있고, 이는 광대역 장치(104)의 응답(620)이 전통적인 네트워크(126)로 협대역 장치의 오디오 스트림을 에코(echo)하도록 하고, 오디오는 협대역 장치(102)가 시스템 범위 밖에 있을 때 통신을 허용하는 보안 네트워크 링크(122)를 통해 디스패치 센터(124)로 전송된다.
광대역 장치에서의 채널 변경(622)의 이벤트 트리거는 광대역 장치로 채널 정보를 포스팅하여 광대역 장치가 채널 정보를 큰 폰트로 나타내거나 광대역 장치가 토크그룹의 가장 최근 또는 공통 액티브 사용자 등의 임의의 추가의 정보를 열거하는 등의 몇 개의 응답(624)을 발생할 수 있다.
협대역 장치에서의 낮은 배터리 트리거 이벤트 트리거(626)는 협대역 장치가 무선장치의 낮은 배터리 조건을 광대역 장치에게 알리는 것, 광대역 장치가 소정의 동작을 인수하는 것을 협대역 장치에게 알리는 것, 협대역 장치가 전력 절약을 위한 송신이 불가능한 범위 조건 밖으로 변환하는 것 등의 응답(628)을 초래할 수 있다.
독립 사용 케이스는 여전히 파트너 장치가 있거나 없이 발생할 수 있다. 어느 시나리오에서든, 사용자는 (링크가 없다면) 어느 하나의 장치 상에서 수락가능한 기능의 기본 레벨을 달성할 수 있다. 추가의 데이터 처리의 포함은 시스템 구동 맥락 정보를 통해 사용자 지식 및 이해를 증가시킨다.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로컬 사용자 맥락 정보를 디스패처 또는 2차 그룹(예를 들어, 수퍼바이저)에 제공하는 것은 시스템에 대한 안전 정보를 다른 사용자 및 그룹에 전파한다.
무선 장치가 적절히 구성되면, 광대역 통신 장치는 또한 무선장치로 트리거를 전송할 수 있다. 이 상호 작용은 사용자가 예를 들어 채널, 개시 이벤트(상태/메시지), 또는 텍스트 메시지에 대한 향상된 입력 방법을 변경하는 제2 장치의 음성 제어 및 터치 스크린 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무선 장치에 대한 원격 제어 유닛의 타입을 생성할 수 있다. 2-대-n 장치 간의 이러한 제어 방법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XML) 등의 이해되는 언어, 미리 정의된 파라미터 명령, 이전의 기지의 시리얼 명령 또는 다른 데이터 패킷을 통해 무선 명령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관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는 통신 장치들은 증가된 자기 조정(self-coordination), 주변의 맥락 정보에 기초한 장치 응답 조정 및 장치가 사용자 안전을 증가시키는데 할당되는 기능이 갖는 제어를 위해 함께 작동한다. 양 장치로의 정보 전달의 자동화는 무선장치 또는 PDA 등의 단일 통신 장치가 소정의 기능을 자동으로 처리하도록 선택되도록 한다.
다음의 예는 공중 안전 환경 내에서 동작하는 통신 시스템에 대한 파트너 장치 상호 작용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음의 예에서, 제1 장치는 공중 안전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협대역 장치(102)이고 무선 장치라 하며, 제2 장치는 광대역 시스템 내에서 개별 또는 공중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광대역 장치(104)이고 개인 휴대 단말기(PDA)라 한다.
예 #1 - 수신 호
· 무선장치는 피어 장치를 식별하고 피어 장치가 무선장치를 식별한다.
· 장치들은 사유 또는 공통 표준 기반 프로토콜(예: 블루투스)과 연관된다.
· 연관 후에, 장치들은 임의의 이해되는 사유 프로토콜(예: XML) 내의 기능 리스트를 공유한다.
· 무선장치가 특정 사용자로부터 호를 수신한다.
2개의 장치는 장치 상호 작용 시나리오에 따라 상이한 3개의 방식으로 이 이벤트를 관리할 수 있다.
장치 상호 작용 시나리오 #1
· 무선장치는 그 무선장치 ID를 제2 장치(예: PDA)와 공유하고 무선장치가 PDA와 정보를 공유한다는 사실에 무관한 호를 처리한다, 즉, 무선장치는 지능적인 조명 및 임의의 적용가능한 톤을 인에이블한다.
· 제2 장치(예: PDA)는 호출자 ID 및 호 수신 이벤트가 발생하였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추가의 활동을 처리한다.
· PDA는 임의의 호 수신 가청 톤을 처리하고 임의의 미리 설정된 시간(즉, 타임 아웃 타이머)동안 호 수신 지능 조명을 인에이블한다.
· PDA는 CEN(customer enterprise network)가 수신된 호출자 ID와 연관된 사용자에 대한 추가의 정보(위치, 현재 상태, 기술 설정되거나 링크된 작업 기기)를 획득하도록 한다.
장치 상호 작용 시나리오 #2
· 무선장치는 무선장치 ID를 제2 장치(예: PDA)와 공유하고 가청 톤 또는 지능적인 조명없이 호를 처리하여 핸드헬드 미션 크리티컬 장치의 배터리 수명을 절약한다. (추가적으로, PDA가 동일한 이벤트 세부사항을 처리할 것이면 GPS 위치 업데이트 또는 다른 이벤트가 발생할 필요가 없다)
· 제2 장치(예: PDA)는 호출자 ID 및 호 수신 이벤트가 발생하였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추가의 활동을 처리한다.
· PDA는 임의의 호 수신 가청 톤을 처리하고, 임의의 사전 설정 시간 동안의 호 수신 지능 조명 및 이 이벤트에 필요한 임의의 GPS 위치 업데이트 또는 다른 이벤트를 인에이블한다.
· PDA는 CEN(customer enterprise network)가 수신된 호출자 ID와 연관된 사용자에 대한 추가의 정보(위치, 현재 상태, 기술 설정되거나 링크된 작업 기기)를 획득하도록 한다.
장치 상호 작용 시나리오 #3
· 무선장치는 무선장치 ID를 제2 장치(예: PDA)와 공유하고 가청 톤 또는 지능적인 조명없이 호를 처리하여 핸드헬드 미션 크리티컬 장치의 배터리 수명을 절약한다. (추가적으로, PDA가 동일한 이벤트 세부사항을 처리할 것이면 GPS 위치 업데이트 또는 다른 이벤트가 발생할 필요가 없다)
· 제2 장치(예: PDA)는 호출자 ID 및 호 수신 이벤트가 발생하였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추가의 활동을 처리한다.
· PDA는 임의의 호 수신 가청 톤을 처리하고, 임의의 사전 설정 시간 동안의 호 수신 지능 조명 및 이 이벤트에 필요한 임의의 GPS 위치 업데이트 또는 다른 이벤트를 인에이블한다.
· PDA는 CEN(customer enterprise network)가 수신된 호출자 ID와 연관된 사용자에 대한 추가의 정보(위치, 현재 상태, 기술 설정되거나 링크된 작업 기기)를 획득하도록 한다.
· PDA는 필요하면(예: 호가 1/4마일의 미리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면 무선장치 경보가 발생한다) 추가의 가청 또는 시각 경보를 위해 경보 정보를 무선장치로 다시 송신할 수 있거나 무선장치가 호 경보 톤을 종료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 이 예는 또한 무선장치와 PDA 간의 피드백 루프로서 볼 수 있어서, 무선장치가 호 경보를 수신하고 양 장치가 가청 톤을 만들면, 무선장치 상의 톤을 확인응답하는 것은 PDA 상의 톤을 종료하거나 그 반대이다.
장치 상호 작용 시나리오 #4 - 이전 장치 상호 작용 시나리오 설명의 확장
· 이 시나리오는, 무선장치 이벤트(호 경보)의 개시시 무선장치가 트리거 이벤트 및 관련 호출자 ID 정보에 반응하는 방법을 PDA에 지시하는 특정 PDA 애플리케이션 코드를 다운로드 했다는 종래 시나리오 수락 중의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예 #2 - 원격 제어
· 무선장치는 피어 장치를 식별하고 피어 장치가 무선장치를 식별한다.
· 장치들은 사유 또는 공통 표준 기반 프로토콜(예: 블루투스)과 연관된다.
· 연관 후에, 장치들은 임의의 이해되는 사유 프로토콜(예: XML) 내의 기능 리스트를 공유한다.
· 제2 장치(예: PDA)는 무선 장치 상에서 이벤트를 구동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 채널 변경, 볼륨 제어, 호 개시 등
· 상이한 DIS 절차들 채널 변경 또는 채널 호 개시 이벤트를 나타내는 칼라 디스플레이 또는 무선 LED의 조정에 따라 변경된다.
○ PDA로부터 개시된 호는 여전히 타임 아웃 타이머를 통해 무선장치 상에서 제어된다.
○ 무선장치는 PDA로 자신의 내부 상태(즉, 호 타임 아웃 타이머의 결과)를 다시 전달할 수 있다.
예 #3a - 무선 긴급 버튼
· 무선장치는 피어 장치를 식별하고 피어 장치가 무선장치를 식별한다.
· 장치들은 사유 또는 공통 표준 기반 프로토콜(예: 블루투스)과 연관된다.
· 연관 후에, 장치들은 임의의 이해되는 사유 프로토콜(예: XML) 내의 기능 리스트를 공유한다.
· 긴급 상황이 무선장치 상에서 개시되면, 장치는 미션 크리티컬 네트워크 및 디스패처로 긴급 상황을 전송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 제2 장치(예: PDA)는..
○ 디스플레이 상에서 큰 벡터 폰트로 스위치하고,
○ 제2 네트워크(예: 광대역)를 통해 위치 업데이트를 송신하여 무선 장치가 긴급 상황 표시를 송신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고,
○ 음성 인식을 가능하게 하여 오디오 기록이 개시될 수 있다.
예 #3b - 긴급 센서 응답
· 무선장치는 피어 장치를 식별하고 피어 장치가 무선장치를 식별한다.
· 장치들은 사유 또는 공통 표준 기반 프로토콜(예: 블루투스)과 연관된다.
· 연관 후에, 장치들은 임의의 이해되는 사유 프로토콜(예: XML) 내의 기능 리스트를 공유한다.
· 가속계, "맨-다운" 또는 센서를 통해 긴급 상황이 제2 장치(예를 들어, PDA)에 보고되면, PDA는 긴급 모드(알람 또는 호)에 진입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무선장치에 지시한다.
· 2개의 장치가 중복으로 동작하여
○ 양 장치가 상이한 네트워크를 통해 긴급 상황을 송신하고,
○ 양 유닛이 양 네트워크를 통해 센서 데이터를 송신하고,
○ 양 유닛이 양 네트워크를 통해 주변 오디오를 송신한다.
· 기능 리스트는 리던던시에 사용되고, 전력 절약을 위해 선택가능하며 정보량 및 상이한 네트워크들의 능력에 기초하여 지능적일 수 있다.
○ 낮은 전력 셀룰러 또는 WLAN 송신과 비교하여 높은 송신 전력 때문에 공중 안전 장치 상에서 가능한 한 적게 송신하고,
○ 범위 밖이면, 무선 장치는 커버리지를 갖는 경우 일반적인 미션 크리티컬 데이터(긴급 상황, 호 요청 등의) 송신을 제2 피어 장치에 맡길 수 있다.
○ 네트워크간 구성에 따라, 제2 장치(PDA)는 무선 보코더(예: AMBE(advanced multi-band excitation) 표준 내의 스피치 코딩)를 이용하여 PDA 기록 음성을 인코딩하여 간략화된 시스템간 게이트웨이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로 좀 더 용이하게 재삽입될 수 있다.
예 #3b의 마지막 섹션은, 다음의 추가의 이익을 위해 함께 작동하는 장치들의 능력을 대표하므로 임의의 시나리오에 적용가능하다.
· 양 송신기 보다는 하나의 송신기(더 낮은 전력)만을 이용함으로써 전력 절약
· (이용가능한 광대역과 비교하여 제한된 미션 크리티컬이 힘들지 않은) 더 높은 효율을 위한 적절한 네트워크 선택
○ 이용가능한 배터리에 비교되는 송신기 전력 필요성이 또한 인자일 수 있다.
· 사이즈, 형상 또는 배터리 요구사항의 추가된 이득에 대하여 다른 장치 상에서 소자를 이용하는 능력
○ 제한된 전기 소자
■ 카메라
■ MIPS 집중 기능을 위한 추가의 CPU
■ 가속계, GPS 또는 추측 항법 소자
○ 특정 데이터 입력에 더 잘 매칭하는 형태 인자의 사용
■ 더 큰 칼라 디스플레이
■ 임의의 장치로의 데이터 입력을 위한 쿼티(qwerty) 키패드
■ 단일 제어 입력용 터치 스크린 사용자 인터페이스
다양한 실시예의 예는 디스패처로의 긴급 응답 세부사항에 초첨을 맞춤으로써 공중 안전 시나리오에 초점을 맞춘다. 전통적인 어프로치는 음성을 전달하지만, 다양한 실시예의 피어 장치는 키 디스패처의 바람직한 정보가 자원 제한 공중 안전 네트워크 소자에 영향을 주지 않고 송신되는 오디오를 증원(augment)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고 동작하는 통신 시스템은 상호 연관, 특징/기능 공유 및 관리되는 리던던시를 제공하는 공중 안전 환경에서 동작하는 복수의 마스터리스 핸드헬드 장치를 포함한다. 전체 사용자 경험 뿐만 아니라 안전, 전력 관리 및 생산력이 공동 작업하는 장치들의 사용을 통해 향상된다. 향상된 통신 시스템은 공중 안전 환경에서의 더 큰 결정 및 결정의 자동화에 대한 능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공중 안전 환경에서 사용되는 향상된 통신 시스템이 제공되었다. 공중 안전 및 비 공중 안전 장치들 중의 결정 소유의 자동 조정이 제공된다. 사용자의 핸드헬드 및 신체 착용 제품들 중의 자동화된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는 심리스(seamless) 통신 스트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위험한 환경에서 안전 조건을 개선한다. 통신 시스템은 공중 안전 장치 및 비 공중 안전 장치를 통해 공중 안전 정보의 최적화된 중계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 상호 작용없이 개선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허용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는 통신 시스템은 공중 안전 무선장치 등의 협대역 장치와 데이터 장치와 같은 광대역 장치, 그리고 개인 협대역 시스템과 공중 또는 개인 광대역 시스템 사이에서 가치있는 접속을 제공한다. 하나의 장치 내의 모든 것과 반대로, 2개(이상)의 장치의 분리는 2차 장치(파트너 광대역 장치)가 실패할 수 있지만 미션 크리티컬 통신이 1차 협대역 공중 안전 장치를 이용하여 여전히 유지될 수 있다는 점에서 리던던시를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다수의 장치의 사용은 공중 안전 작동 환경에서 사용자를 제압하는 상세한 맥락 정보로부터 미션 크리티컬 정보의 분리를 허용한다. 정보의 공동 처리 및 공유로 인해, 트리거링된 입력은 공유된 장치 기능에 대한 다수의 장치에 걸친 변경이 가능하다.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장치의 상태의 동기화를 제공하여 이벤트 및 주변에 기초하여 협력 또는 독립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장치의 상호 작용은 콘텐츠 관리 뿐만 아니라 동작 특징의 자동 업데이트를 허용하여 사용자 경험을 개선한다.
상술한 명세서에서, 특정 실시예가 기재되었다. 그러나, 당업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명세서 및 도면은 제한적 의미보다는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간주되며, 이러한 모든 변경은 본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이득, 이점, 문제점에 대한 솔루션 및 임의의 이득, 이점 또는 솔루션이 발생하거나 더 표명되게 할 수 있는 임의의 요소(들)는 임의의 또는 모든 청구범위의 중요하거나, 필요하거나 본질적인 특징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의 계류중에 수행되는 임의의 보정서를 포함하는 청구범위 및 발생된 청구범위의 모든 동등물에 의해 정의된다.
또한, 본 문서에서, 첫번째 및 두번째, 상부 및 하부 등의 상대적 용어는 이러한 엔티티 또는 동작 간의 관계 또는 순서 등을 반드시 필요로 하거나 암시하지 않고 오로지 다른 엔티티 또는 동작으로부터 하나의 엔티티 또는 동작을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구비하다", "구비하는", "갖다", "갖는", "포함하다", "포함하는", "함유하다", "함유하는" 또는 임의의 다른 변형은 배타적이지 않은 포함을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되어, 요소의 리스트를 구비하거나, 갖거나, 포함하거나, 함유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는 그 요소만을 갖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명확히 열거되지 않거나 내재되지 않은 다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을 구비하다", "~을 갖는다", "~을 포함하다", "~을 함유하다"에 의해 진행되는 요소는 더 많은 제한없이 요소를 구비하거나, 갖거나, 포함하거나 함유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 내의 추가의 동일한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단수표현("a" 및 "an")의 용어는 다르게 명확히 기재되지 않으면 하나 이상으로서 정의된다. 용어 "실질적으로", "본질적으로", "대략", "약", 또는 그 임의의 다른 버전은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근접한 것으로 정의되며, 하나의 비제한 실시예에서, 그 용어는 10% 이내, 또 다른 실시예에서, 5% 이내, 또 다른 실시예에서 1% 이내, 또 다른 실시예에서 0.5% 내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에 기재된 용어 "결합된"은 반드시 본질적이지 않고 반드시 기계적이지 않지만, 접속된 것으로 정의된다. 소정의 방법으로 "구성"된 장치 또는 구조물은 적어도 그 방법으로 구성되지만, 열거되지 않은 방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개시물의 요약은 독자가 기술적 개시물의 특성을 빨리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는 청구범위의 범위 또는 의미를 해석하거나 제한하는데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개시물을 간소화할 목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특징이 함께 그룹화된 것을 알 수 있다. 본 개시물의 방법은 청구된 실시예가 각 청구항에서 명시적으로 기재된 더 많은 특징을 필요로 하는 의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오히려, 다음의 청구범위를 반영함으로써, 본 발명의 대상은 단일의 개시 실시예의 모든 특징보다 적다. 따라서, 다음의 청구범위는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며, 각각의 청구항은 개별 청구된 대상으로서 독립적이다.
당업자는 여기에 기재된 이점 및 다른 이점은 단지 예시적이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모든 이점의 완벽한 제공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잘 알것이다.

Claims (31)

  1. 통신 시스템(100)으로서,
    단일 사용자(106)에 의해 작동되는 복수의 통신 장치(102, 104)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통신 장치 중의 적어도 하나는 공중 안전 시스템(140)에서 동작하는 협대역 통신 장치(102)이고 상기 복수의 통신 장치 중의 적어도 다른 하나는 광대역 시스템(150)에서 동작하는 광대역 통신 장치(104)이고,
    상기 협대역 통신 장치 및 상기 광대역 통신 장치는, 상기 광대역 통신 장치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자들을 상기 협대역 통신 장치로 확장하기 위한 파트너 장치로서 동작하는 공중 안전 동작 모드 동안 마스터리스(master-less) 통신 링크(120)를 통해 페어링되는 통신 시스템(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리스 링크는 사용자 상호 작용 없이 상기 협대역 통신 장치와 상기 광대역 통신 장치 간의 자동화된 공동작업(collaboration)을 제공하는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자들은 상기 광대역 통신 장치 상의 공중 안전 정보를 중계하는 통신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 안전 동작 모드는 상기 협대역 통신 장치와 상기 광대역 통신 장치 둘 다에 다운로드된 공중 안전 애플리케이션들을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정보 공유 링크를 통해 동작하는 상기 공중 안전 애플리케이션들은 상기 광대역 통신 장치를 상기 협대역 통신 장치와 페어링하여 상기 광대역 통신 장치가 파트너 장치로서 동작하도록 하는 통신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대역 통신 장치 및 상기 광대역 통신 장치는 상기 협대역 통신 장치와 상기 광대역 통신 장치 사이의 공동작업을 제공하는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들을 갖고, 상기 애플리케이션들은 사용자의 책임 및 작업 역할과 연관된 생산력을 타겟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7. 통신 시스템(100)으로서,
    공중 안전 통신 장치(102) 및 비 공중 안전 통신 장치들(104)로 형성되는 통신 장치들(102, 104)의 세트
    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장치들의 세트는 상호 접속된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를 위하여 함께 링크되고, 상기 링크된 통신 장치들은 상기 링크된 통신 장치들로 및 상기 링크된 통신 장치들로부터의 안전 정보의 전달을 제어하는 안전 네트 애플리케이션(safety net application)을 통해 공중 안전 정보 및 상태 공유를 지원하고, 상기 안전 네트 애플리케이션은 가장 적절한 통신 장치 및 상기 통신 장치의 가장 적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자로 정보가 전송되는 것을 보장하는 통신 시스템(100).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네트 애플리케이션은 일반적인 이벤트 공유, 조정된 이벤트 공유, 조정된 양방향 이벤트 공유 및 애플리케이션과 이벤트 둘 다의 공유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상호접속을 제어하는 통신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네트 애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 확성기 및 키보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자들을 제어하는 통신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네트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공중 안전 통신 장치들 및 상기 비 공중 안전 통신 장치들의 송신 및 수신 기능을 제어하는 통신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네트 애플리케이션은 개인 영역 접속 제어, 디스플레이 칼라, 지능적인 조명, 타임 아웃 타이머, 레벨 이벤트 구동 트리거, 전력 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벤트 공유 프로토콜 및 공중 안전 광역 음성, 통합된 음성 및 데이터 프로토콜 중의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통신 시스템.
  12. 통신 시스템(100)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공중 안전 통신 장치(102) 및 적어도 하나의 광대역 통신 장치(104)를 포함하는 복수의 통신 장치(102, 104)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통신 장치는 각각 로컬 네트워크 서브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로컬 네트워크 서브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통신 장치를 정보 공유 링크(120)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는 피어-투-피어 통신 장치들로 변환하는 마스터리스 무선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조립하고,
    상기 피어-투-피어 통신 장치들은 상기 광대역 통신 장치 또는 상기 협대역 통신 장치 중의 어느 하나에서의 이벤트 트리거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공유된 정보에 기초하여 응답을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100).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트리거는 상기 협대역 장치 및 상기 광대역 장치의 송신 및 수신 기능을 제어하는 응답을 생성하는 통신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트리거는 미리 정해진 공동 방식으로 상기 협대역 통신 장치 및 상기 광대역 통신 장치의 미리 정해진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자들에 정보를 중계하는 응답을 생성하는 통신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대역 통신 장치는 공중 안전 시스템(140) 내에서 동작하는 공중 안전 무선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장치는 광대역 시스템(150) 내에서 동작하고 상기 통신 시스템은 상기 공중 안전 시스템과 상기 광대역 시스템 사이에 보안 네트워크 링크(122)를 더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협대역 통신 장치 및 상기 광대역 통신 장치 주변의 맥락 정보를 수집하는 맥락 결정 장치들(242, 244, 246)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맥락 정보는 미리 정해진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공동 방식으로 상기 협대역 장치와 상기 광대역 장치 간의 정보 공유 링크를 통해 공유되고 중계되는 통신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맥락 결정 장치들은 상기 협대역 통신 장치 및 상기 광대역 통신 장치 중의 어느 하나에 미리 정해진 이벤트 트리거들을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
  19. 통신 시스템(100)으로서,
    공중 안전 통신 장치들(102) 및 비 공중 안전 통신 장치들(104)을 포함하는 복수의 핸드헬드 및 신체 착용 통신 장치(102, 104);
    상기 공중 안전 통신 장치들 및 상기 비 공중 안전 통신 장치들 각각에 프로그래밍된 공중 안전 애플리케이션 - 상기 공중 안전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공중 안전 통신 장치들 및 상기 비 공중 안전 통신 장치들을 상기 비 공중 안전 통신 장치들이 상기 공중 안전 통신 장치들로의 확장된 공중 안전 통신 특징들을 제공하는 공중 안전 동작 모드로 배치함 -; 및
    상기 공중 안전 통신 장치들과 상기 비 공중 안전 통신 장치들 사이에서 인에이블링되어 상기 공중 안전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상기 공중 안전 통신 장치들 및 상기 비 공중 안전 통신 장치들 중에서 공중 안전 정보의 자동화된 보급(dissemination) 및 조정(coordination)을 제공하는 피어-투-피어 링크(120)
    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100).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 안전 애플리케이션은 공동 방식으로 상기 공중 안전 통신 장치 및 상기 비 공중 안전 통신 장치의 가르침(teach)에 따라 이벤트 트리거들에 응답하여 송신 기능, 수신 기능 및 공중 안전 정보의 중계를 제어하는 통신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 장치는 맥락 정보 수집 장치들(242, 244, 246)을 더 포함하고, 맥락 정보는 수집되어 상기 공중 안전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상기 공중 안전 통신 장치들 및 상기 비 공중 안전 통신 장치들에 중계되는 통신 시스템.
  22. 공중 안전 정보를 보급하는 방법으로서,
    공유 정보 링크(120)를 통해 공중 안전 통신 장치(102)를 비 공중 안전 통신 장치(104)와 페어링하는 단계;
    공중 안전 네트워크(140)를 통해 공중 안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공중 안전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상기 비 공중 안전 통신 장치와 상기 공중 안전 정보를 자동으로 공유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게 제시하기 위하여 상기 공중 안전 통신 장치와 상기 비 공중 안전 통신 장치 사이에서 상기 공중 안전 정보의 교환을 공동 작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 작업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의 상기 공중 안전 정보의 최적의 중계를 위하여 상기 공중 안전 통신 장치 및 상기 비 공중 안전 통신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자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된 공중 안전 통신 장치 및 비 공중 안전 통신 장치 주변의 공중 안전 환경으로부터 맥락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공중 안전 애플리케이션 및 결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자에 따라 상기 수집된 맥락 정보를 중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25. 통신 시스템(100)으로서,
    공중 안전 시스템(140)의 개인 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동작하는 협대역 통신 장치(102);
    광대역 시스템(150)의 공중 또는 개인 네트워크를 통해 동작하는 광대역 통신 장치(104);
    상기 공중 안전 시스템과 상기 광대역 시스템 사이에서 동작하는 보안 네트워크 링크(122); 및
    상기 협대역 통신 장치와 상기 광대역 통신 장치 사이의 정보 공유 링크(120)
    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공유 링크는 상기 협대역 통신 장치 및 상기 광대역 통신 장치 각각으로 다운로드된 공중 안전 애플리케이션들에 따라 동작하고, 상기 공중 안전 애플리케이션들은 상기 협대역 통신 장치와 상기 광대역 통신 장치 사이의 공동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광대역 통신 장치가 상기 협대역 통신 장치로의 확장된 공중 안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하고, 상기 공동 동작은 상기 협대역 통신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자들 및 상기 광대역 통신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자들에 정보를 중계하는 통신 시스템(100).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 안전 애플리케이션들은 상기 보안 네트워크 링크를 통해 상기 광대역 통신 장치로 다운로드되고, 상기 공중 안전 애플리케이션들은 상기 개인 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협대역 통신 장치로 다운로드되는 통신 시스템.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 안전 애플리케이션들은 상기 협대역 통신 장치 및 상기 광대역 통신 장치 주변의 현재의 맥락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더 제어하고, 상기 공중 안전 애플리케이션들은 상기 협대역 통신 장치 및 상기 광대역 통신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자들에 상기 현재의 맥락 정보를 중계하는 것을 제어하는 통신 시스템.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 안전 애플리케이션들은 중요한 정보의 리던던시 제공, 중요하지 않은 정보의 제거 및 상기 협대역 통신 장치 및 광대역 통신 장치 중의 전력 관리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통신 시스템.
  29. 제25항에 있어서, 차량 맥락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협대역 통신 장치로의 통신을 위해 상기 개인 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차량 맥락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차량내 도킹 스테이션(254) 및 차량 센서(258)를 갖는 차량(250)을 더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 안전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디스패치 및 정보 관리 센터(124)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패치 및 정보 관리 센터는 상기 공중 안전 애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하는 통신 시스템.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네트워크 링크는 상기 디스패치 및 정보 관리 센터를 이용하여 상기 광대역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협대역 통신 장치로의 정보의 라우팅을 제어하는 통신 시스템.
KR1020127028162A 2010-03-29 2010-12-17 향상된 공중 안전 통신 시스템 KR1014402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749,194 2010-03-29
US12/749,194 US8504090B2 (en) 2010-03-29 2010-03-29 Enhanced public safety communication system
PCT/US2010/060922 WO2011123157A1 (en) 2010-03-29 2010-12-17 Enhanced public safety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317A true KR20130016317A (ko) 2013-02-14
KR101440204B1 KR101440204B1 (ko) 2014-09-12

Family

ID=43607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8162A KR101440204B1 (ko) 2010-03-29 2010-12-17 향상된 공중 안전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5) US8504090B2 (ko)
EP (2) EP2797302B1 (ko)
KR (1) KR101440204B1 (ko)
CN (1) CN102859980B (ko)
AU (1) AU2010349742B2 (ko)
CA (4) CA2891567C (ko)
ES (1) ES2514646T3 (ko)
IL (1) IL222101A (ko)
RU (1) RU2518064C1 (ko)
WO (1) WO201112315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4106A (ko) * 2014-04-28 2015-11-05 전자부품연구원 유류 관리 정보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45799B2 (en) 2004-09-30 2019-10-15 Uber Technologies, Inc. Supply-chain side assistance
US10514816B2 (en) 2004-12-01 2019-12-24 Uber Technologies, Inc. Enhanced user assistance
US10687166B2 (en) 2004-09-30 2020-06-16 Uber Technologies, Inc. Obtaining user assistance
US8358976B2 (en) * 2006-03-24 2013-01-22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Wireless device with an aggregate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other devices
US9674635B2 (en) 2010-03-29 2017-06-06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on of applications to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for an expanded operating mode
US8504090B2 (en) * 2010-03-29 2013-08-06 Motorola Solutions, Inc. Enhanced public safety communication system
JP5803112B2 (ja) * 2011-01-14 2015-11-04 ソニー株式会社 無線端末装置、情報処理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端末装置の制御方法
US9268545B2 (en) 2011-03-31 2016-02-23 Intel Corporation Connecting mobile devices, internet-connected hosts, and cloud services
US9032493B2 (en) * 2011-03-31 2015-05-12 Intel Corporation Connecting mobile devices, internet-connected vehicles, and cloud services
US8914290B2 (en) 2011-05-20 2014-12-16 Vocollec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improving user intelligibility of synthesized speech in a work environment
US8995918B2 (en) 2011-11-14 2015-03-31 Motorola Solutions, Inc. Mitigating transmission interference between digital radio and broadband communication devices
US9066363B2 (en) 2011-12-29 2015-06-23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interference between co-located collaborating radios
US10264587B2 (en) * 2012-01-17 2019-04-16 Motorola Solutions, Inc. Collaborative interference mitigation between physically-proximate narrowband and broadband communication devices
US9178893B2 (en) 2012-04-11 2015-11-03 Motorola Solutions, Inc. Secure AD HOC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across heterogeneous systems
US8878889B1 (en) 2012-05-17 2014-11-04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originating and receiving emergency push-to-talk calls
GB2505000B (en) * 2012-08-17 2015-05-13 Airwave Solutions Ltd Communications assembly and apparatus
US8526947B1 (en) 2012-09-27 2013-09-03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efficient battery use on a dual mode communication device
JP6094132B2 (ja) * 2012-10-09 2017-03-15 日本電気株式会社 災害情報管理装置、災害情報システム、災害情報の管理方法、および災害情報を管理するプログラム、ならびに、携帯端末、携帯端末の制御方法、および携帯端末の動作を制御する制御プログラム
US9332431B2 (en) * 2012-12-27 2016-05-03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of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and operating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s over public safety networks
US9137355B2 (en) * 2013-01-01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collaberative interactions among devices on a peer-to-peer network
US20140229568A1 (en) * 2013-02-08 2014-08-14 Giuseppe Raffa Context-rich communication between a device and a vehicle
US9391749B2 (en) * 2013-03-14 2016-07-12 Ashwin Amanna, III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data management in wireless networks
US9992021B1 (en) 2013-03-14 2018-06-05 GoTenna, Inc. System and method for private and point-to-point communication between computing devices
US9294365B2 (en) 2013-05-08 2016-03-22 Vringo, Inc. Cognitive radio system and cognitive radio carrier device
US9743047B2 (en) * 2013-05-27 2017-08-22 Center For Integrated Smart Sensors Foundation Network camera using hierarchical event detection and data determination
US9564042B2 (en) * 2013-06-13 2017-02-07 Motorola Solutions, Inc. Communication system with improved safety feature
US9037145B2 (en) 2013-06-28 2015-05-19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priority and quality of service across multi-user devices
US9042929B2 (en) 2013-08-20 2015-05-26 Motorola Solutions, Inc. Trunked and broadb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EP3036920B1 (en) 2013-08-23 2017-11-15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of and system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s between a personal communications device and a public safety network in an emergency
US11814088B2 (en) 2013-09-03 2023-11-14 Metrom Rail, Llc Vehicle host interface module (vHIM) based braking solutions
WO2015058374A1 (en) * 2013-10-23 2015-04-30 Motorola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pplication controlled network selection between narrowband and broadband wireless networks
FR3013549B1 (fr) * 2013-11-19 2017-03-24 Cassidian Sas Procede, terminal et systeme de radiocommunication a demarrage rapide
US9419733B2 (en) 2013-11-21 2016-08-1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Effective broadcasting of emergency messages
US9231711B2 (en) * 2013-11-22 2016-01-05 Harris Corporation Interference management service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US9654938B2 (en) 2013-11-28 2017-05-16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mobile and portable two-way radio collaboration
NO2707687T3 (ko) * 2014-03-20 2018-08-25
US9959744B2 (en) * 2014-04-25 2018-05-01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lerts for radio communications
US9591124B2 (en) * 2014-04-30 2017-03-07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an audio signal between devices of a single user
US9552559B2 (en) 2014-05-06 2017-01-24 Elwha Llc System and methods for verifying that one or more directives that direct transport of a second end user does not conflict with one or more obligations to transport a first end user
US11100434B2 (en) 2014-05-06 2021-08-24 Uber Technologies, Inc. Real-time carpooling coordinating system and methods
US9483744B2 (en) 2014-05-06 2016-11-01 Elwha Llc Real-time carpooling coordinating systems and methods
US10458801B2 (en) 2014-05-06 2019-10-29 Uber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avel planning that calls for at least one transportation vehicle unit
AU2015215962B2 (en) 2014-08-21 2019-11-21 Tait International Limited Integration of lmr and ip networks
US9467795B2 (en) 2014-09-11 2016-10-11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ication optimization and collaboration of wearable devices
US9392438B2 (en) 2014-09-24 2016-07-12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to manage user/device profiles for public safety applications
US10810530B2 (en) 2014-09-26 2020-10-20 Hand Held Products, Inc. System and method for workflow management
US10909490B2 (en) * 2014-10-15 2021-02-02 Vocollec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worker resource management
US9504058B2 (en) 2014-12-18 2016-11-22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scheduling transmission of uplink communication
US10257882B2 (en) 2015-02-13 2019-04-09 Airwave Solutions Ltd Communications assembly and apparatus
US9426433B1 (en) * 2015-03-09 2016-08-23 Mutualink, Inc. System and method for biosensor-triggered multimedia collaboration
US9505365B1 (en) * 2015-05-15 2016-11-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Wearable data management during an incident
US11492027B2 (en) 2015-03-23 2022-11-08 Metrom Rail, Llc Methods and systems for worker protection system with ultra-wideband (UWB) based anchor network
US9843915B2 (en) 2015-08-25 2017-12-12 Taser International, Inc. Communication between responders
US9642131B2 (en) 2015-09-21 2017-05-02 Taser International, Inc. Event-based responder dispatch
US9615212B1 (en) * 2015-10-14 2017-04-04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llecting and reporting minimally necessary real-time personal context
US10321039B2 (en) 2015-11-12 2019-06-11 Taser International, Inc. Dispatch-based responder camera activation
US10327127B2 (en) 2015-12-22 2019-06-18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evice pairing for improved safety and security of first responders entering an incident scene area
KR102233218B1 (ko) * 2016-01-19 2021-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모바일 기기가 통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모바일 기기
EP3456128B1 (en) * 2016-05-12 2022-01-26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pausing uplink transmission during a transmission time interval
US10714121B2 (en) 2016-07-27 2020-07-14 Vocollect, Inc. Distinguishing user speech from background speech in speech-dense environments
CN107846382B (zh) * 2016-09-19 2022-09-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融合通信中多屏共享的方法、服务器、终端及系统
CN106547563B (zh) * 2016-11-14 2020-03-31 海能达通信股份有限公司 对讲机中操作功能的实现方法、装置和对讲机终端
US10528794B2 (en) * 2017-06-05 2020-01-07 Motorola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tailoring an electronic digital assistant inquiry response as a function of previously detected user ingestion of related video information
US11349589B2 (en) 2017-08-04 2022-05-31 Metrom Rail, Llc Methods and systems for decentralized rail signaling and positive train control
US10686618B2 (en) 2017-08-13 2020-06-16 Carbyne Ltd. Method for streaming real-time data from a user device to a dispatch unit terminal
US10354169B1 (en) 2017-12-22 2019-07-16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daptive training of machine learning models via detected in-field contextual sensor events and associated located and retrieved digital audio and/or video imaging
US10789255B2 (en) * 2018-03-27 2020-09-29 Lenovo (Singapore) Pte. Ltd. Presenting data chunks for a working memory event
CN108834113B (zh) * 2018-06-20 2020-09-15 江苏大学 一种面向5g蜂窝网物理层安全的d2d隐蔽通信系统及其通信方法
US11965952B2 (en) 2018-11-28 2024-04-23 Metrom Rail, Llc Methods and systems for ultra-wideband (UWB) based subway personnel detection
US10798533B1 (en) 2019-03-12 2020-10-06 Motorola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subscription based deployment and management of a communication system
WO2020210321A1 (en) 2019-04-08 2020-10-15 Metrom Rail, Llc. Methods and systems for achieving vital ultra-wideband (uwb) based train control
US11528583B2 (en) 2020-12-08 2022-12-13 Motorola Solutions, Inc.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primary location of a public-safety unit
CN113362639B (zh) * 2021-05-25 2022-11-25 电子科技大学 一种低功耗监测系统及其网络调度方法
CN113946385A (zh) * 2021-10-18 2022-01-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应用程序的清理方法和应用程序的清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5839A (en) * 1990-03-08 1991-09-03 Rand G. Ellis Personnel monitoring man-down alarm and location system
US5179721A (en) * 1990-11-05 1993-01-12 Motorola Inc. Method for inter operation of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and a trunking communication system
JP3617930B2 (ja) * 1998-09-30 2005-02-09 株式会社東芝 無線携帯端末装置、ゲートウェイ装置及び通信処理制御方法
US6496508B1 (en) * 1998-11-12 2002-12-17 Nortel Networks Limited Communication system architecture and method of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therein
US6978294B1 (en) * 2000-03-20 2005-12-20 Invensys Systems, Inc. Peer-to-peer hosting of intelligent field devices
US20020003794A1 (en) * 1999-07-14 2002-01-10 Magnus Hallenstal Combining narrowband applications with broadband transport
EP1944759B1 (en) * 2000-08-09 2010-10-20 Sony Corporation Voice data processing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US7302634B2 (en) * 2001-03-14 2007-11-27 Microsoft Corporation Schema-based services for identity-based data access
US7617328B2 (en) * 2001-11-16 2009-11-10 At&T Mobility Ii Llc System for translation and communication of messaging protocols into a common protocol
US7486194B2 (en) * 2002-03-12 2009-02-03 Sydney Devlin Stanners Personal alarm system for obtaining assistance from remote recipients
US7260357B2 (en) * 2002-04-17 2007-08-21 Broadcom Corporation Bluetooth fast connection mode for wireless peripheral device
US7603406B2 (en) * 2002-07-25 2009-10-13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software download and remote transaction settlement
US6928476B2 (en) * 2002-08-23 2005-08-09 Mirra, Inc. Peer to peer remote data storage and collaboration
US7181234B2 (en) 2002-09-17 2007-02-20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ridging talk groups in public/private communication systems
US20040068551A1 (en) * 2002-10-08 2004-04-08 James Hymel Method of accessing content data on a wireless device
US7613773B2 (en) * 2002-12-31 2009-11-03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Asynchronous network audio/visual collaboration system
JP2006520657A (ja) * 2003-03-21 2006-09-14 ウェルチ・アリ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個人状態生理学的監視システム及び構造、及びモニタリング方法
US7103890B2 (en) * 2003-03-24 2006-09-05 Microsoft Corporation Non-blocking buffered inter-machine data transfer with acknowledgement
US7194756B2 (en) * 2003-06-20 2007-03-20 N2 Broadband,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sioning a host device for enhanced services in a cable system
US7624421B2 (en) * 2003-07-31 2009-11-24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nd displaying contact authentication in a peer-to-peer collaboration system
US7188167B2 (en) 2004-03-19 2007-03-06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multiple communication devices of a user in a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based communication system
US7508840B2 (en) * 2004-05-28 2009-03-24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Mobile temporary incident area network for local communications interoperability
SG121921A1 (en) * 2004-11-02 2006-05-26 Soon Seah Toh Network management appliance
GB2423888B (en) 2005-03-01 2007-06-06 Motorola In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nd apparatus and methods and protocols for use therein
RU55522U1 (ru) * 2005-03-14 2006-08-10 Васильев Олег Владимирович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контроля, информирования и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чрезвычайных ситуаций
JP4668013B2 (ja) 2005-08-30 2011-04-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ンテンツ配信方法、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通信端末装置及び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DE202005015177U1 (de) 2005-09-21 2006-11-09 Herpolsheimer, Klaus Vorrichtung zum Steuern eines Senders und/oder Empfängers für Navigation-, Ortung-, Peilung-, Information- und/oder Kommunikationssysteme sowie Sender und/oder Empfänger hiermit
EP1768323A1 (en) 2005-09-27 2007-03-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s for feature sharing between mobile devices
US20070213088A1 (en) * 2006-02-22 2007-09-13 Federal Signal Corporation Networked fire station management
CN101502135B (zh) * 2006-07-21 2012-11-14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利用了特定的移动用户信息的紧急呼叫系统
US20080027750A1 (en) * 2006-07-27 2008-01-31 Barkeloo Jason E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WO2008027750A2 (en) 2006-08-29 2008-03-06 At & T Mobility Ii Llc First responder ad-hoc communications
KR100791097B1 (ko) 2006-11-29 2008-01-03 시코드 주식회사 블루투스를 이용한 원격 피티티 장치 및 핸즈프리통신시스템과 그 제공방법
US20090207768A1 (en) * 2008-02-19 2009-08-20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Optimal cross-layer scheduling for multi-user communication systems with imperfect channel state information and unknown interference
US8135333B2 (en) * 2008-12-23 2012-03-13 Motorola Solutions, Inc. Distributing a broadband resource locator over a narrowband audio stream
US8041305B2 (en) * 2009-03-31 2011-10-18 Motorola Solutions, Inc. Selectively rendering a communication at a communication device
US8208891B2 (en) * 2009-05-01 2012-06-2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and systems for relaying out of range emergency information
US8149717B2 (en) * 2009-05-29 2012-04-03 Motorola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differentiated routing in multi-hop multi-radio wireless networks
US8504090B2 (en) * 2010-03-29 2013-08-06 Motorola Solutions, Inc. Enhanced public safety communication system
US8380160B2 (en) * 2010-03-29 2013-02-19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safety in a public safety communication system
US8934387B2 (en) * 2010-05-07 2015-01-13 Qualcomm Incorporated Detecting a WLAN signal using a bluetooth receiver during bluetooth scan activity
US20110299478A1 (en) 2010-06-08 2011-12-08 Joshua Clark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mizing the networking experience for users by enabling priority profile matching
WO2013067089A2 (en) * 2011-11-01 2013-05-10 Totus Solutions, Inc. Networked modular security and lighting device grids and systems, methods and devices thereof
US8995918B2 (en) * 2011-11-14 2015-03-31 Motorola Solutions, Inc. Mitigating transmission interference between digital radio and broadband communication de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4106A (ko) * 2014-04-28 2015-11-05 전자부품연구원 유류 관리 정보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44714A1 (en) 2013-09-19
US8903446B2 (en) 2014-12-02
US20130237273A1 (en) 2013-09-12
EP2797302A3 (en) 2014-12-03
IL222101A (en) 2016-07-31
WO2011123157A1 (en) 2011-10-06
US8880110B2 (en) 2014-11-04
ES2514646T3 (es) 2014-10-28
CN102859980B (zh) 2015-01-21
US8504090B2 (en) 2013-08-06
US20110237287A1 (en) 2011-09-29
US20130310101A1 (en) 2013-11-21
CA2794608A1 (en) 2011-10-06
CA2794608C (en) 2015-08-18
CA2891567A1 (en) 2011-10-06
EP2797302B1 (en) 2016-03-09
RU2518064C1 (ru) 2014-06-10
CN102859980A (zh) 2013-01-02
US20130244713A1 (en) 2013-09-19
CA2891567C (en) 2017-06-06
EP2553916B1 (en) 2014-09-03
US8897827B2 (en) 2014-11-25
RU2012145806A (ru) 2014-05-10
CA2891447C (en) 2017-07-04
CA2891561C (en) 2017-07-04
KR101440204B1 (ko) 2014-09-12
AU2010349742A1 (en) 2012-10-25
US8738061B2 (en) 2014-05-27
EP2553916A1 (en) 2013-02-06
CA2891561A1 (en) 2011-10-06
AU2010349742B2 (en) 2014-07-24
EP2797302A2 (en) 2014-10-29
CA2891447A1 (en)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0204B1 (ko) 향상된 공중 안전 통신 시스템
US9363381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a call between devices of a single user
WO20151678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an audio signal between devices of a single user
CN103891257A (zh) 用于监测至少一个传感器的中央处理器
US7265683B2 (en) Roadside-base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KR20170027516A (ko) 알람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회안전망 서비스 제공방법
EP2885954B1 (en) Communications assembly and apparatus
US9820112B2 (en) Method of and system for provisioning public safety communication devices via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protocol to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in a common talk group configuration
US9042861B2 (en) Emergency wireless connection system and emergency wireless connection method
JP5487642B2 (ja) 防犯情報通知方法、防犯情報通知システムおよび通信端末装置
US20070287470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access to emergency services via a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CN111107665A (zh) 一种wifi热点三方通讯方法及系统
JP2010010875A (ja) 携帯電話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