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6051A -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6051A
KR20130016051A KR1020120066715A KR20120066715A KR20130016051A KR 20130016051 A KR20130016051 A KR 20130016051A KR 1020120066715 A KR1020120066715 A KR 1020120066715A KR 20120066715 A KR20120066715 A KR 20120066715A KR 20130016051 A KR20130016051 A KR 20130016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housing
light source
lighting
ligh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6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키 시바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로고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로고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로고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016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60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4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a light source housing portion adjustably fixed to the remainder of the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21V7/041Optical design with conical or pyramidal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과제)
조명기구 1대에 의해 복수 개소의 조명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구성)
조명기구(100)는 랜턴 또는 비상용 조명기구로서 사용되는 기구로서, 전방에 광을 조사 가능한 회중전등인 합계 5개의 라이트(10a~10e)와, 라이트(10a~10e)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는 반투광성을 갖는 하우징(20)과, 하우징(20) 내에 설치되고 또한 라이트(10a~10e)로부터 출력된 광을 하우징(20) 밖의 측방을 향해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30)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조명기구{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랜턴 또는 비상용 조명기구로서 이용 가능한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조명기구의 종래예로서는 회중전등으로서도 사용 가능한 랜턴이 제안되고 있다. 동(同) 랜턴은 풀톱(pull-top)식의 덮개체와 램프가 수용된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풀톱이 인장되어 상기 덮개체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램프가 상기 본체 밖으로 나와서 점등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등).
일본 특허 공개 평 10-255501호 공보
그러나, 상기 랜턴은 어디까지나 랜턴 겸 회중전등이므로 상기 랜턴을 들고다니며 회중전등으로서 사용할 때에는 최초의 랜턴 설치 개소의 조명을 행할 수 없어 사용하기 불편하다. 단, 랜턴을 복수대 준비해 두면 이러한 문제는 회피되지만 비용면에서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배경을 감안해서 창작된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복수 개소의 조명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조명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구는 광을 조사 가능한 광원과 광원용의 전지를 갖는 복수의 라이트와, 상기 라이트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부를 가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라이트의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상기 하우징 밖으로 반사시키는 반사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조명기구에 의한 경우, 상기 라이트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기 때문에 복수의 상기 라이트 중 일부의 라이트를 회중전등으로서 사용 가능한 한편, 상기 하우징에 남겨진 상기 라이트에 의해 상기 하우징 주변을 조명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조명기구 1대에 의해 복수 개소의 조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기구는 비용 문제를 초래하지 않고 사용의 편리함도 양호하다.
상기 라이트는 상기 광원의 점등을 온/오프하기 위한 점등 스위치를 더 가진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조명기구에 의한 경우, 상기 각 라이트의 상기 점등 스위치의 조작을 통해서 조명의 밝기 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특별한 밝기 조정 회로 등이 불필요해진다. 따라서, 상기 조명기구의 저비용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상기 수용부의 개구가 형성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점등 스위치는 상기 라이트의 후방측에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라이트는 적어도 점등 스위치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수용부에 수납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조명기구에 의한 경우, 상기 라이트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점등 스위치가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점등 스위치의 조작이 용이해진다.
상기 하우징이 축상체(軸狀體)인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광원은 광을 상기 라이트의 전방에 조사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반사 수단은 대략 원추 형상을 한 반사 부재이고, 그 정점을 상방을 향하게 해서 하우징의 내저(內底) 부위에 동축 상으로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의 상기 수용부는 상기 하우징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환상으로 동일한 피치 간격으로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조명기구에 의한 경우, 상기 각 라이트의 광이 상기 하우징의 축심 주위에 균등하게 조사되므로 고품위의 조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하우징은 광확산성을 가진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조명기구에 의한 경우, 상기 각 라이트의 광이 상기 하우징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확산되고 그 결과 따뜻함을 띤 조명이 된다. 따라서, 상기 조명기구는 고품위의 조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하우징에 수납된 라이트는 상기 광원이 하방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반사 수단이 하우징의 하방에 매달린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조명기구에 의한 경우, 상기 각 라이트의 광이 상기 하우징을 통과하지 않고 상기 하우징 밖으로 나오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조명 영역이 넓어짐과 아울러 조명의 휘도가 높아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명기구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조명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조명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조명기구의 도 2 중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조명기구의 라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라이트의 회로도이다.
도 6(A)는 상기 조명기구의 부품인 하우징의 정면도이고, 도 6(B)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7(A)는 상기 하우징의 평면도이고, 도 7(B)는 상기 하우징의 저면도이고, 도 7(C)는 상기 하우징의 도 7(A) 중 B-B선의 단면도이다.
도 8(A)는 상기 하우징의 참고적 사시도이고, 도 8(B)는 상기 하우징의 손잡이를 올린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적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명기구(100)를 도 1~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에 예로서 드는 조명기구(100)는 주로 아웃도어용으로서 사용되는 랜턴이다. 조명기구(100)는 전방에 광을 조사 가능한 회중전등인 합계 5개의 라이트(10a, 10b, 10c, 10d 및 10e)와, 라이트(10a~10e)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는 광확산성을 가진 하우징(20)과, 라이트(10a~10e)로부터 출력된 광을 하우징(20) 밖의 측방을 향해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반사 수단)(30)(도 3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라이트(10a)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11a)와, 렌즈(12a)와, LED(13a)(광원)와, 반사판(14a)과, 기판(15a)과, 스프링(16a)과, 광원용의 전지(17a)와, 덮개(18a)와, 푸시 스위치(19a)(점등 스위치)를 갖고 있다. 원통 형상의 본체(11a)는 렌즈(12a)와, LED(13a)와, 기판(15a)과, 반사판(14a)과, 스프링(16a)과, 전지(17a)를 수용하고 있다. 렌즈(12a)는 본체(11a)의 선단측에 부착되어 있다. LED(13a)는 기판(15a)의 표면에 실장되어 있다. 기판(15a)은 본체(11a) 내에 LED(13a)가 라이트(10a)의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대략 반구 쉘 형상의 반사판(14a)은 LED(13a)의 측방광을 전방으로 반사해서 조사시키기 위하여 렌즈(12a)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16a)은 기판(15a)의 이면에 부착되고 또한 LED(13a)와 전지(17a)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고리 형상의 덮개(18a)는 본체(11a)의 후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푸시 스위치(19a)는 덮개(18a)의 중앙 부위에 설치되어 있고, 전지(17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푸시 스위치(19a)에 의해 LED(13a)의 점등이 온/오프된다. 라이트(10a)의 회로도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또한, 라이트(10b~10e)는 라이트(10a)와 동일 구성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하우징(20)은 반투광성을 가진 수지제의 원통 형상체(축상체)이다. 하우징(20)의 내부에는 라이트(10a~10e)를 수용하기 위한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을 한 수용부(21a, 2lb, 21c, 21d 및 21e)가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20)의 상면에는 수용부(21a~21e)의 개구(211a~211e)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21a~21e)는 하우징(20)의 축심(O)을 중심으로 하여 환상으로 동일한 피치 간격(본안예에서는 72°)으로 배치되어 있다. 수용부(21a)의 내경은 라이트(10a)의 외형보다 약간 크다. 수용부(21a)의 깊이 치수는 라이트(10a)의 길이 치수보다 작다.
라이트(10a)는 개구(211a)를 통해서 수용부(21a)에 삽입 가능하다. 라이트(10a)의 선단면이 수용부(21a)의 바닥에 걸림으로써 라이트(10a)는 LED(13a)가 하향으로 된 상태로 수용부(21a)에 수용 유지된다. 도 3은 라이트(10a)의 수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라이트(10a)의 후방측 부분이 수용부(21a)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라이트(10a)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푸시 스위치(19a)도 수용부(21a)로부터 노출되어 있어 온/오프의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라이트(10b~10e)도 수용부(2lb~21e)에 수용된 상태로 푸시 스위치(19b~19e)가 수용부(2lb~21e)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또한, 라이트(10a)의 LED(13a)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수용부(21a) 밖으로 나오도록 하우징(20)의 수용부(21a)의 바닥에는 개구(212a)가 형성되어 있다[도 7(A) 및 도 7(C) 참조]. 수용부(2lb~21e)의 바닥에도 라이트(10b~10e)의 LED(13b~13e)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212b~212e)가 형성되어 있다[도 7(A) 참조].
또한, 하우징(20)의 외면에는 금속제의 손잡이(23, 23)의 축부(22)가 합계 4개 형성되어 있다. 이 손잡이(23, 23)는 도 8(A)에 나타내는 상태(기구 적재 상태)에서 도 8(B)에 나타내는 상태(기구 운반 또는 기구 매달기 상태)에 걸쳐서 임의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하우징(20)의 하면은 개방되어 있다(개방부). 하우징(20)의 하면에 금속제의 덮개부(24)가 부착되어 있다. 이 덮개부(24)에 의해 하우징(20)의 상기 개방부가 폐쇄되어 있다. 또한, 덮개부(24)가 특허청구범위의 하우징의 내저 부위에 상당하고 있다.
리플렉터(30)는 대략 원추 형상을 한 수지제의 반사판이다. 리플렉터(30)는 그 정점을 상방을 향하도록 해서 하우징(20)의 덮개부(24) 상에 놓여 있다. 라이트(10a~10e)는 하우징(20)의 수용부(21a)에 수용된 상태로 리플렉터(30)의 사면의 바로 위 위치에 배치된다. 그 결과, 라이트(10a)로부터 조사된 광은 도 3 중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플렉터(30)에 의해 측방에 반사되어 하우징(20) 밖으로 출력된다. 이 점은 라이트(10b~10e)에 대해서도 완전히 동일하다.
상기한 구성의 조명기구(100)에 의한 경우, 라이트(10a~10e)가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기 때문에 라이트(10a~10e) 중 적어도 하나를 회중전등으로서 사용 가능해진다. 또한, 라이트(10a~10e) 중 하우징(10)에 남겨진 라이트에 의해 주변의 조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랜턴으로서의 기능이 유지 가능하다. 이렇게 조명기구(100)는 종래와는 달리 기구 1대로 복수 개소(본안예에서 최대 5군데)의 조명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라이트(10a~10e)가 하우징(10)에 수납된 상태로 푸시 스위치(19a~19e)가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온으로 하는 라이트(10a~10e)의 개수에 의해 랜턴 조명의 밝기 및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렇게 조명기구(100)는 특별한 밝기 조정 회로 등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회로 구성이 간단해진다. 또한, 라이트(10a~10e)의 후단 부분이 하우징(10)의 상면으로부터 나와 있으므로 라이트(10a~10e)의 하우징(10)으로의 장착/분리가 용이하다. 따라서, 조명기구(100)는 사용하기 편리하다.
또한, 라이트(10a~10e)의 광이 하우징(10)의 축심(O) 주위로 균등(본안예에서는 72°피치 간격)하게 출력되고, 리플렉터(30)에 의해 반사되어 하우징(10)을 투과해서 확산된다. 이에 따라, 상기 광이 따뜻함을 띤 조명이 된다. 따라서, 조명기구(100)는 고품위의 조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조명기구(100)는 간단한 구성이며 또한 저가격이면서 사용하기 편리하고, 고품위의 조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구성의 조명기구(100)는 매달기식뿐만 아니라 적재식으로서도 사용 가능하다. 조명기구가 적재식일 경우에는 손잡이(23) 및 축부(22)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명기구가 매달기식일 경우에는 도 3 중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플렉터(30')를 스프링(40) 등의 매달기 수단을 이용하여 하우징(10)의 하방에 매다는 구성으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덮개부(24)는 하우징(20)으로부터 분리되므로 라이트(10a~10e)의 각 광이 리플렉터(30')에 의해 반사되어 하우징(10)을 통과하지 않고 그대로 출력된다. 따라서, 조명기구의 조명 영역이 넓어짐과 아울러 조명의 휘도가 높아진다.
또한, 덮개부(24)를 하우징(20)으로부터 분리하거나 또는 덮개부(24)로서 투명한 것을 사용하거나 하는 것을 전제로, 반투과성 반사면을 갖는 리플렉터(30, 30')를 사용하면 새롭게 직하 위치도 조명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조명 영역이 한층 더 넓어진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조명기구는 랜턴으로서 사용된다고 설명했지만, 비상용 조명기구 등의 다른 조명기구로서 사용 가능하다. 하우징(10)에 충전기가 내장 또는 부착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하우징(10)에 라이트(10a~10e)가 수납된 상태로 상기 라이트(10a~10e)에 내장된 전지(17a) 등이 상기 충전기에 의해 충전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구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음과 같이 설계 변경해도 상관없다. 라이트에 대해서는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로 LED 등의 광원이 리플렉터 등의 반사 수단을 향하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라이트는 LED 등의 광원을 라이트의 측방에 광을 조사하도록 배치하거나 또는 점등 스위치가 라이트의 측면에 설치되거나 하는 형태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라이트의 수는 복수이면 좋고, 6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우징에 대해서는 라이트를 수납하는 수용부의 수, 수납 방식(라이트의 모든 부분을 수납하는 형태를 포함함), 조명 범위(정면, 하방 또는 상방만을 조명하는 형태를 포함함)가 임의여서 적당하게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은 원통 형상체 이외의 축상체(예를 들면 각통 형상체, 원기둥체, 각기둥체나 사다리꼴 원뿔 형상)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용부는 적어도 1개이면 좋다. 예를 들면, 링 형상의 오목부인 수용부에 복수의 라이트가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사 수단에 대해서는 라이트나 하우징에 따른 것을 사용하면 좋고, 라이트로부터 출력된 광을 하우징 밖을 향해서 다소라도 반사시키는 기능을 갖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반사 수단은 하우징 내의 라이트 주위의 분리벽 등이라도 상관없다.
100 : 조명기구 10a~10e : 라이트
20 : 하우징 21a~21e : 수용부
211a~211e : 개구 30 : 리플렉터(반사 수단)

Claims (6)

  1. 광을 조사 가능한 광원과 광원용의 전지를 갖는 복수의 라이트와,
    상기 라이트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부를 가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라이트의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상기 하우징 밖으로 반사시키는 반사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는 상기 광원의 점등을 온/오프 하기 위한 점등 스위치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상기 수용부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점등 스위치는 상기 라이트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라이트는 적어도 상기 점등 스위치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수용부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축상체이고,
    상기 광원은 광을 상기 라이트의 전방에 조사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반사 수단은 대략 원추 형상을 한 반사 부재이고, 그 정점을 상방을 향하게 해서 상기 하우징의 내저 부위에 동축상으로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수용부는 상기 하우징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환상으로 동일한 피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광확산성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수납된 상기 라이트는 상기 광원이 하방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게 되어 있고,
    상기 반사 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하방에 매달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KR1020120066715A 2011-08-03 2012-06-21 조명기구 KR201300160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69824 2011-08-03
JP2011169824A JP5559107B2 (ja) 2011-08-03 2011-08-03 照明器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051A true KR20130016051A (ko) 2013-02-14

Family

ID=47612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6715A KR20130016051A (ko) 2011-08-03 2012-06-21 조명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559107B2 (ko)
KR (1) KR20130016051A (ko)
CN (1) CN102913765A (ko)
TW (1) TW20130771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44052B (zh) * 2018-05-31 2018-12-11 樹德科技大學 可拆式露營燈
CN114247737B (zh) * 2021-12-20 2023-11-03 江苏烨明光电有限公司 一种led灯罩回收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5803A (ja) * 1999-01-14 2002-10-22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照明装置
JP2005327524A (ja) * 2004-05-13 2005-11-24 Takashi Oshima 非常灯装置
WO2007128311A1 (en) * 2006-05-04 2007-11-15 Peter Langkilde Light system containing at least one light source
CN101451695A (zh) * 2007-12-07 2009-06-10 富准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发光二极管灯具
CN103322426A (zh) * 2008-02-29 2013-09-25 科尔曼公司 一种便携式提灯
CN201496836U (zh) * 2009-09-01 2010-06-02 中山市远东电动工具有限公司 一种组合式灯头
JP2011096443A (ja) * 2009-10-28 2011-05-12 Hidefumi Tanaka 蓄光型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13765A (zh) 2013-02-06
JP5559107B2 (ja) 2014-07-23
JP2013033675A (ja) 2013-02-14
TW201307717A (zh) 201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4834B2 (en) Party lamp
KR101882719B1 (ko) 휴대용 엘이디조명 겸용 경광등
KR101962069B1 (ko) 아파트형 엘이디 등기구
CN102022621A (zh) 提灯装置
US20050243544A1 (en) Light emitting diode (LED) flashlight
JP2004247298A (ja) 旋回可能な光学系を備える懐中電燈
EP1811226B1 (en) Lighting means
KR20130016051A (ko) 조명기구
US20070236961A1 (en) Night light
JP6467750B2 (ja) 照明器具
JP2010160979A (ja) ランタン
JP4634944B2 (ja) 照明器具
KR101779643B1 (ko) 조명장치
KR20160003134U (ko) 엘이디 조명등기구
US20230400163A1 (en) Light fixture with lightguide trim
JP2011000974A (ja) 室内照明装置
JP4755850B2 (ja) 携帯型led照明灯装置
JP2013093283A (ja) 照明器具
JP2012119140A (ja) 照明器具
KR20090014749A (ko) 조명용 빛조사장치
EP1939521B1 (en) Photo-optical module
CN210568042U (zh) 灯具
JP6429672B2 (ja) 発光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照明器具
CN218914615U (zh) 一种多光源多功能的灯具
CN212204103U (zh) 抽拉式露营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