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5990A - 산양유 중 cla 함량을 높이는 사료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산양유 중 cla 함량을 높이는 사료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5990A
KR20130015990A KR1020110078367A KR20110078367A KR20130015990A KR 20130015990 A KR20130015990 A KR 20130015990A KR 1020110078367 A KR1020110078367 A KR 1020110078367A KR 20110078367 A KR20110078367 A KR 20110078367A KR 20130015990 A KR20130015990 A KR 20130015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eed
soybean
milk
dry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8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5566B1 (ko
Inventor
이홍구
송만강
김영성
최윤재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78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566B1/ko
Publication of KR20130015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30/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preservation of materials in order to produce animal feeding-stuffs
    • A23K30/20Dehyd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양유 중 CLA함량을 높이는 사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비유후기 유량 억제를 막고, 전 비유기 유량증가에 도움이 되며, 특히, 유중 CLA 함량이 기존 보다 크게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산양유 중 CLA 함량을 높이는 사료 및 그 제조방법 {Feed increasing CLA content in the goat milk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산양유 중 CLA함량을 높이는 사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CLA (conjugated linoleic acid)는 리놀레산의 기하학적 이성질체로서, 우유 및 유제품 등의 각종 낙농 제품과 반추동물에서 유래한 육고기에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CLA는 항암, 항 동맥경화증, 항 당뇨병, 체지방 감소, 면역반응증진 등 다양한 유익한 기능을 갖는 물질인 바, 이는 반추동물의 미생물에 의해 30% 정도 생성되고, 유선조직에서 60% 이상 생합성된다.
종래, 사료 배합을 통해 반추위 중 CLA 합성을 증가시켜 유중 CLA 함량을 높이는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왔으나, 대부분 우유생산에 집중하고 있을 뿐, 우유 중 CLA 함량 증가에 의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을 만큼의 농도에는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특히 젖산양의 경우, 현재 구체적인 산양유 생산을 위한 일반사료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한 가운데 산양유 유지방 중 CLA함량이 0.5% 미만으로 실제적 CLA기능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한편, 산양유의 성분은 모유와 비슷하여 최근 몇 년 전부터 선진국을 포함 세계적인 식품관련 연구기관들로부터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이는, 모유 대신 분유를 섭취함으로써 우유의 단백질인 카제인을 소화하지 못해 위와 십이지장 및 소장에서의 소화 불량을 일으키는 빈도가 높은, 유아에게 일어날 수 있는 질병들의 대안으로 산양유 혹은 산양분유가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지고 있기 때문이다.
산양유는 우유에 함유되어 있는 유단백질과는 다른 종류의 유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어 우유 섭취로 인해 발생하는 allergies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또한, 산양유는 우유와 달리 allergeies을 유발하는 단백질 Alpa-s1-casein의 함량이 낮고 Alpa-s2-casein으로 구성되며, 모유와 동일하게 주로 beta-casein으로 함유되고 있으며, beta-lactoglobulin의 함량도 우유보다 낮아 소화가 용이하다. 또한, 소화 장애를 일으키는 유당(lactose)의 함량이 우유보다는 13%, 모유보다는 41% 적게 함유되어 있으며, 산양유의 유단백은 A2 Beta-Casein을 포함하고, 우유에 포함되는 A1 Beta-Casein을 포함하지 않고 있다.
또한, A1 Beta-Casein은 type 1 diabetes과 기타 건강발행에 관련성이 있는데, 이러한 유지방의 지방구 크기가 모유와 우유에 비하여 작은 것이 특징인 바, 통상 산양유의 지방구크기는 우유 지방구의 27%보다 작다. 이는 우유와 모유에 비하여 탄소수가 6개부터 14개 사이의 중간사슬길이의 지방산 함량이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지방구의 크기가 작으며, 따라서, 소화 흡수되기가 쉽다. 이러한 지방산들은 구성성분으로도 쓰이지만 주로 에너지원으로 쓰이기 때문에 중요한 인자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산양유의 특성을 이용하여 그 기능성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종래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아직까지 산양유에 있어서 CLA함량을 증대시킴으로써 기존 발명보다 비유후기 유량 억제를 막고, 전 비유기 유량증가에 도움이 되며, 특히, 유중 CLA 함량이 기존 보다 크게 증가되는 효과 에 대하여 개시된 문헌은 찾아볼 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의 산양유 관련 연구가 지니는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기능성 획득을 위한 연구 개발에 예의 노력을 계속하던 중, 상기 본 발명과 같이, 영양적 가치 및 자연 친환경적 가치가 우유보다 뛰어난 젖 산양유의 소비를 촉진시킬 수 있고, 산양유 유지방 중 CLA함량이 고 함량이며, 급여 시 유량을 감소시키지 않는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산양유 중 CLA함량을 높이는 사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산양유 중 CLA함량을 높이는 사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산양유 중 CLA함량을 높이는 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산양유 중 CLA함량을 높이는 사료는, 비유후기 유량 억제를 막고, 전 비유기 유량증가에 도움이 되며, 특히, 유중 CLA 함량이 기존 보다 크게 증가되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표1에 제시된 사료로, 유산양을 60일간 사육하였을 때, 유지방 중 cis-9, trans-11 CLA함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표1에 제시된 사료, 대조구(CON), 대두유(SO) 및 아마유(LO) 처리구의 60일간의 사육기간 동안 유량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표1에 제시된, 대족사료(CON), 대두유첨가사료(SO) 및 아마유 첨가사료(LO)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유산양 사양시험설계에 있어서, 농후사료 급여과정 및 착유 후 조사료 급여과정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각 부재료의 건물질에 식물성 오일(oil)을 첨가하여 제조한, 산양유 중 CLA(공액리놀레인산)의 함량을 높이는 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건물질(dried material)”은 생물체 따위에서 수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물성 오일(식물성 유지, vegetable oil)”은 값싸고 풍부하며 대량생산이 가능한 대표적인 천연자원으로 이를 어떻게 유용한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만드는지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식물성 오일의 주성분인 oleic acid와 linoleic acid와 같은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은 soybean oil의 경우 각각 22%와 55%, olive oil의 경우 78%와 7%에 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산양유(goat milk)”는 염소젖으로 카제인이 우유보다 적고 알부민, 글로불린이 풍부하며 지방 함량이 많고 지방구는 미세하며, 모유와 조성이 유사하여 소화되기 쉽고 영양가도 높으며, 수분 86.88%, 지방 4.07%, 단백질 3.76%, 락토오스 4.44%, 회분 0.85% 정도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CLA(Conjugated Linoleic Acid, 공액리놀레산)”는 리놀레산의 이중결합이 cis -9, trans -11이나 trans -10, cis -12 등 공액(짝, 접합, conjugated) 상태로 존재하는 리놀레산을 의미하는 바, 천연계에 존재하는 리놀레산은 두 개의 이중결합이 cis -9, cis-12 상태로 존재하는 비공액(비짝, 비접합, non-conjugated) 지방산이고, 이는 체지방 감소, 항암성, 성장촉진, 항동맥경화, 콜레스테롤 감소, 당뇨 억제 등의 활성을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 부재료의 건물질은 옥수수, 단백피, 대두박, 미강, 대두피, 광물질 첨가제 및 비타민 첨가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백피(Corn Gluten Feed)”는 옥수수 전분과 시럽을 제조할 때 나오는 부산물로써, 단백질이 18%이상 함유되어 있으며, 젖소용사료 또는 단미사료로 쓰이고, 다른 곡류사료와 비교해 볼 때 중간수준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대두박(soybean meal, soybean oil meal(SBM))”은 콩을 분쇄하여 hexane으로 기름을 추출하고 남은 부산물로써, 평균 단백질 함량은 44%이고, 껍질을 벗기고 제조한 탈피 대두박의 단백질 함량은 48%이며, 아미노산 조성이 좋고 양적으로도 많이 생산되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식물성 단백질 공급원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미강(rice bran)”은 쌀겨라고 하며, 현미를 도정하여 정백미를 만들 때에 얻어지는 외피와 배아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다소의 전분도 존재하지만 지방이나 단백질이 풍부하고 인 등의 회분도 많기 때문에 주로 가축 사료에 이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광물질 첨가제(mineral supplement)”는 칼슘, 인, 아연, 미량광물질 등과 같이 일반 배합사료에 부족하기 쉬운 광물질을 공급해 주는 보충사료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타민 첨가제(vitamin supplement)”는 가축의 사료에 부족되기 쉬운 영양소를 공급하거나 기호성을 증진시키는 등의 특수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과학사료의 일종으로써, 비타민이 함유된 영양제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 부재료의 건물질은, 옥수수 18~24 중량%, 단백피 22~26 중량%, 대두박 26~32 중량%, 미강 6~10 중량%, 대두피 4~16 중량%, 광물질 첨가제 1~5 중량% 및 비타민 첨가제 0.5~1.5 중량%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오일(oil)은, 대두유, 아마유, 리놀레인산 및 리놀레인산 함량이 높은 식물성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대두유(soybean oil)”는 대두에서 추출한 기름으로써, 요오드가는 123~142이다. 우리나라에서 소비량이 가장 많은 식용유로, 대두는 주로 미국에서 수입되는 데, 리놀레산이 주성분이며, 리놀렌산을 약 10% 함유하기 때문에 산화되기 쉽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마유(아마인유, inseed oil)”는 아마의 씨에 함유된 건성 지방유로써, 특히, 생아마인유는 리놀레산과 리놀렌산 등의 불포화산을 다량으로 함유하기 때문에 불포화성이 풍부하고 (아이오딘값 175~195), 도료용의 건성유로서 매우 중요하다. 또한, 그 구성비는 포화산 8~9%, 올레산 10~15%, 리놀레산 25~35%, 리놀렌산 35~45%, 산소산 6.5%, 비 비누화물 0.5~1.5%, 글리세롤기 4.5% 등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리놀레인산(리놀레산, linoleic acid)”은 탄소수 18의 디엔산으로, 계통명은 9, 12-octa decadienoic acid이고, CH3(CH2)4CH = CHCH2CH(CH2)7COOH로 표현되며, 이중결합은 모두 시스형이다. 또한, 융점 -5℃. 대두유, 옥수수유, 면실유 등 반 건성유의 주성분이다. 특히, 홍화유는 약 80%의 리놀레산을 함유하고 있다. 체내에서는 12번째 위치에 이 결합을 도입할 수 없기 때문에, 올레산으로부터 유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음식물로부터 섭취해야 하는 중요한 필수지방산이다. 리놀렌산과 함께 비타민 F라고도 한다. 리놀레산은 이중결합 사이에 있는 활성 메틸렌기를 갖기 때문에 산화되기 쉽다.
본 발명에 있어서, “리놀레인산 함량이 높은 식물성 오일”은 예를 들어, 피마자 오일, 아몬드 오일, 코코넛 오일, 달맞이꽃 종자 오일, 호호바 오일, 포도씨 오일, 올리브 오일, 해바라기 오일, 윗점 오일, 동백 오일, 팜 오일, 미강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오일은 6~10중량%인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6중량% 미만 시에는 유중CLA함량이 높은 수준에 도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10중량% 초과 시에는 반추위발효억제, 유량감소와 젖산양생산성 저하 등 문제점이 있는 바, 따라서, 상기 6~10중량%에서 수행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옥수수, 단백피, 대두박, 미강, 대두피, 광물질 첨가제, 및 비타민 첨가제의 수분을 제거하여 각 건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각 건물질에 식물성 오일(oil)을 첨가하여 사료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사료를 동물에 급여 후 사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양유 중 CLA(공익리놀레인산)의 함량을 높이는 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혼합단계는, 각 건물질을 분쇄한 뒤 열처리를 하지 않은 상황에서 혼합 후, 식물성 오일을 첨가하여 분말사료 형태로 제조하는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물은 유산양인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산양(milk goat)”은 젖 생산을 위하여 사육되는 산양을 의미하는 바, 통상 젖 염소라고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유산양 사료의 제조
NRC사용표준으로 실제 농가사육상황을 고려하여 대조구사료(CON), 대두유첨가사료(SO), 아마유 첨가사료(LO)를 개발하였다 (도 3 참조).
이때, 2Mineral-vitamun mix에는 40000.0 IU/kg의 비타민A; 8000.0 IU/kg의 비타민D3; 50.0 mg/kg의 비타민E; 40.0 mg/kg의 칼판(CAL-PANTOTHENIC ACID); 2.55 mg/kg의 바이오틴; 0.55 mg/kg의 비타민B12; 25.0 mg/kg의 나이아신; 110.0 mg/kg의 CU; 440.0 mg/kg의 ZN; 632.5 mg/kg의 MN; 550.0 mg/kg의 FE; 1.1 mg/kg의 CO가 포함되어 있다 (표 1 참조).
대조구와 대두유, 아마유 처리구의 사료조성-1
Item
Ingredients (% of DM )
Diet 1
CON SO LO
옥수수 22 20 20
단백피 24 24 24
대두박 28 30 30
미강 8 8 8
대두피 14 6 6
대두유 - 8 -
아마유 - - 8
Calcium phosphate 3 3 3
Mineral-vitamun mix2 1 1 1
소계 100 100 100
1 CON = control ; SO = diet CON including soybean oil ; LO = diet CON including linseed oil .
본 실시예에 의한 사료분석 결과, 건물(DM), 조단백(CP), Ca, P은 같은 함량을 보이며, SO, LO첨가사료에서는 대조구보다 조지방(EE) 함량이 2.38%에서 10.12%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기본사료에 대두유와 아마유를 첨가한 결과이다. 또한 유리지방산(NEF), 조섬유(CF)의 경우, 대조구보다 44.56%에서 39.50%로, 8.64%에서 5.76%로 감소하였지만, 전체적 TDN의 경우, 78.19%에서 89.30%로 증가하였다 (표 2 참조).
대조구와 대두유, 아마유 처리구의 사료성분분석
Item
Ingredients (% of DM )
Diet 1
CON SO LO
DM 94.91 95.86 95.86
CP 24.38 24.39 24.39
EE 2.38 10.12 10.12
NEF 44.56 39.50 39.50
CF 8.64 5.76 5.76
TDN 78.19 89.30 89.30
Ca 1.19 1.16 1.16
P 1.01 1.00 1.00
1 CON = control ; SO = diet CON including soybean oil ; LO = diet CON including linseed oil .
한편, 효율적인 CLA생산을 위하여 SO첨가사료와 LO첨가사료는 대조구에 비교하여 사료 중 C18:2와 C18:3의 함량을 조절하였다. 전체적 사료성분 중 CLA 합성 관련된 지방산 C18:2의 경우 LO첨가사료는 23.45%로, 대조구 33.85%와 SO첨가사료 35.76%보다 낮지만, C18:3의 경우 LO첨가사료는 26.05%로 대조구 9.39%와 SO처리구 10.19%보다 높다 (표 3 참조).
대조구와 대두유, 아마유 처리구의 사료 중 지방산조성-3
Item
Ingredients (% of DM )
Diet 1
CON SO LO
c14:0 0.44 0.42 0.40
c15:0 0.26 0.25 0.25
c15:1trans 2.77 2.78 2.79
c16:0 20.15 18.62 16.51
c16:1trans 0.37 0.35 0.36
c16:1 0.42 0.39 0.38
c17:0 0.26 0.26 0.25
c18:0 3.51 4.22 3.94
c18:1(oleate) 20.12 18.28 17.56
c18:1(vaccenate) 0.95 1.04 0.80
c18 :2 33.85 35.76 23.45
c20:0 0.70 0.69 0.61
c20:1 4.58 4.54 4.51
c18 :3 9.39 10.19 26.05
c20:2 0.09 0.08 0.08
c20:3(EPA) 0.65 0.69 0.61
c24:0 0.74 0.68 0.66
c24:1 0.22 0.20 0.19
Others 0.54 0.56 0.61
소계 100 100 100
1 CON = control ; SO = diet CON including soybean oil ; LO = diet CON including linseed oil .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사료의 형태는 분말사료로 선정하였다. 기본 젖소의 경우, 대부분 농후사료는 pellet 형식으로 제조되며, 일부 TMR 사료의 경우는 pellet혹은 분말로 첨가하여 사용한다. 사료의 형태에 따라 소화율이나 유성분에 대한 영향은 크게 차이가 없지만 제조공법에 따라 pellet화하는 과정이 있으므로 분말사료보다 다소 가격이 높다.
한편, 분말사료의 경우, 본 사료구성은 주로 옥수수, 단백피, 대두박, 미강, 대두피, 대두유 혹은 아마유, calcium phosphate, mineral-vitamun mix이므로 일반농가에서도 용이하게 구매할 수 있으며, 혹은 자체적으로 제조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농가에서 분말 형태로 구입할 경우, 사양관리에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사육 시 남은 사료에 대하여 대체로 산양은 거부하는 모습을 보이지만 건초와 다시 혼합하여 급여하면 대부분 섭취를 하는 바, 사료를 직접 건초와 혼합하여 TMR 형식으로 제조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실험에 추가로 첨가한 대두유 혹은 아마유의 경우, 일부 기존 사료에 자체적으로 보충하여 사용도 가능하다.
실시예 2. 유산양 사양시험설계
본 실시예를 위해, 전남 광양의 덕천 농장에서, 비유시기 110일~150일된 유산양 45두를 선발하고 처리당 15두를 선택하여, 15일의 사료교체 적응기를 포함하여 총 60일간 실험을 실시하게 되었다. 이때, 사료급여량은 건물기준 조농비율은 50:50이고, 총 건물섭취량은 2.3kg, 농후사료는 1.2kg, 조사료는 기존 시장에 판매된 수입제품으로써, 각 연맥이 0.6kg, 알파파가 0.6 kg으로 총 1.2kg이다.
본 실시예를 통하여, 유량 및 유지방 중 CLA 함량을 조사하였고, 사양관리로써, 유산양을 총 3처리구로 선정하여 각 처리구당 한 군에서 사육하였다. 조사료는 각 군 단위로 급여하되 착유시 각 마리식 농후사료를 급여한다. 남은 농후 사료 경우 다시 조사료와 같이 급여한다. 실험군의 운동공간은 충분하며 기타 실험 사료 이외의 풀을 섭취 못 하기 위하여 풀이 없는 큰 운동장에서 같이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유산양은 착유 시 농후사료를 급여하고, 각 마리당 하나의 단독 착유통을 사용하며, 중간에 착유 후 원활한 신진대사를 위해 운동을 하고, 상기와 같이, 3칸으로 나누어 3군을 분리하여 조사료를 급여하게 된다 (도 4 참조).
실시예 3. 유산양 사양시험결과
실시예 3-1. 유산양을 사육 시, 유지방 중 cis -9, trans-11 CLA 함량 변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시험 전(0일), 유지방 중 cis-9, trans-11 CLA함량을 분석한 결과, 대조구(CON)는 0.28%, 대두유첨가구(SO)는 0.21%, 아마유첨가구 (LO)는 0.18%이며, 대조구(CON)는 대두유첨가구(SO)와 아마유첨가구(LO)보다 유 중 CLA함량이 유의성 있게 높지만, 전제적으로 0.3% 미만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60일간 시험사료를 급여하여 유지방 중 cis-9, trans-11 CLA함량을 분석한 결과, 대두유첨가구(SO)와 아마유첨가구(LO)에서 유지방 중 cis-9, trans-11 CLA함량은 각각 2.15%와 2.49%인 반면에, 대조구(CON)는 0.51% 정도로 대조구에 비하여 유지방중 CLA함량이 각각 4.2배, 4.9배로 증가하였다 (도 1 참조).
각 처리구의 시험 전과 후를 비교해 보면, 대조구(CON)의 경우, 0.28%에서 0.51%로 약 1.8배 증가하였지만, 대두유첨가구(SO)와 아마유첨가구(LO)는 각각 10.4배와 13.8배로 증가한 수치이다.
본 실험의 유산양은 비유 중 후기이며 비유 말기에 도달되는 시기라 대조구의 경우, 유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60일간 시험사료를 급여하여 그 유량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 전 유량은 동일한 수준이며, 대조구의 경우 60일간 사육 시 유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보이며, 대두유 첨가구와 아마유 첨가구의 유량도 감소하는 패턴을 보이지만, 대조구보다는 유량이 감소하는 정도가 낮으며, 60일째 유량을 분석결과 대조구보다 유량이 유의성 있게 높게 나타남을(p<0.05) 알 수 있었다 (도 2 참조). 따라서, 대두유 첨가구와 아마유 첨가구는 유량의 감소를 억제뿐만 아니라 유 중 CLA함량도 증가하는 사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현재 국내에서 젖소의 기본사양 시스템에서 분석한 CLA함량이 0.6%미만이며, 특히, 유사한 특허출원 “우유 중 CLA 함량을 높이는 사료 및 그 제조방법(출원번호:10-2001-0063661)(이하, 대조구 출원)”에서의 대조구 유량은 평균 5.9mg/g지방 즉 유지방 중 CLA 이 0.59%인 바, 본원 발명의 CLA 사료구2에서는 10.45mg/g지방 즉 유지방 중 CLA함량이 1.045%로 되며, 2배 정도의 효율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상기 대조구 출원의 경우 사료가공에 고온 단시간 처리(HTMT;high temperature micro time)의 기법을 사용하여 유중 CLA 함량을 증가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와 비교해보면 본 연구는 최종적으로 유중 CLA함량을 대조구보다 약 4~5배정도 증가하였으며, 실험 처리 구의 전과 후를 비교하면 약 10~14배의 높은 효율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 사용되는 원료에 대하여 특수 장치를 통한 추가적인 가공처리를 하지 않았다는 것이 사료의 제조를 용이하게 함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유 생산량에서 보면 상기 대조구 출원에서는 유량변화는 없지만, 본 연구는 유량감소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기존 발명보다는 비유후기 유량억제를 막는 효과가 있어 전 비유기 유량 증가에 도움이 되고, 특히 유 중 CLA함량은 기존보다 4~5배정도 이상 증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실험 전후의 CLA함량은 10~14배정도 더 높은 수준으로 도달할 수 있는 사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8)

  1. 각 부재료의 건물질에 식물성 오일(oil)을 첨가하여 제조한, 산양유 중 CLA(공액리놀레인산)의 함량을 높이는 사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부재료의 건물질은 옥수수, 단백피, 대두박, 미강, 대두피, 광물질 첨가제 및 비타민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부재료의 건물질은, 옥수수 18~24 중량%, 단백피 22~26 중량%, 대두박 26~32 중량%, 미강 6~10 중량%, 대두피 4~16 중량%, 광물질 첨가제 1~5 중량% 및 비타민 첨가제 0.5~1.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되는 식물성 오일은 대두유(soybean oil), 아마유(inseed oil), 리놀레인산 및 리놀레인산 함량이 높은 식물성 오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오일은 6~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6. a) 옥수수, 단백피, 대두박, 미강, 대두피, 광물질 첨가제, 및 비타민 첨가제의 수분을 제거하여 각 건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각 건물질에 식물성 오일(oil)을 첨가하여 사료를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혼합된 사료를 동물에 급여 후 사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양유 중 CLA(공익리놀레인산)의 함량을 높이는 사료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의 혼합단계는, 각 건물질을 분쇄한 뒤 열처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혼합 후, 식물성 오일을 첨가하여 분말사료 형태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의 동물은 유산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20110078367A 2011-08-05 2011-08-05 산양유 중 cla 함량을 높이는 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325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367A KR101325566B1 (ko) 2011-08-05 2011-08-05 산양유 중 cla 함량을 높이는 사료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367A KR101325566B1 (ko) 2011-08-05 2011-08-05 산양유 중 cla 함량을 높이는 사료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990A true KR20130015990A (ko) 2013-02-14
KR101325566B1 KR101325566B1 (ko) 2013-11-05

Family

ID=47895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8367A KR101325566B1 (ko) 2011-08-05 2011-08-05 산양유 중 cla 함량을 높이는 사료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56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59128A (zh) * 2017-07-25 2017-10-20 贵州册亨海铭巍生态畜牧业开发有限公司 一种哺乳母羊饲料及其制备方法
CN108887489A (zh) * 2018-07-16 2018-11-27 新疆畜牧科学院畜牧业质量标准研究所(新疆维吾尔自治区种羊与羊毛羊绒质量安全监督检验中心) 一种生产功能性羊肉的肉羊日粮配制方法
CN114747675A (zh) * 2022-04-29 2022-07-15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优化山羊乳脂品质的饲粮及其应用
KR20220111427A (ko) * 2021-02-02 2022-08-09 서형완 고능력 착유우의 조농비 개선을 위한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68335A (zh) * 2017-10-09 2018-02-09 芜湖市久鑫养殖有限公司 一种成年山羊的育肥饲料
CN107594151A (zh) * 2017-10-09 2018-01-19 芜湖市久鑫养殖有限公司 一种60日龄断山羊的育肥饲料
KR102007293B1 (ko) 2018-02-05 2019-08-06 농업회사법인 강진군명품한우연구회 주식회사 올레인산 및 cla 강화 수퍼오메가3 한우고기 생산 기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906B1 (ko) * 2001-10-16 2004-05-17 주식회사 애그리브랜드 퓨리나코리아 우유중 cla 함량을 높이는 사료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59128A (zh) * 2017-07-25 2017-10-20 贵州册亨海铭巍生态畜牧业开发有限公司 一种哺乳母羊饲料及其制备方法
CN108887489A (zh) * 2018-07-16 2018-11-27 新疆畜牧科学院畜牧业质量标准研究所(新疆维吾尔自治区种羊与羊毛羊绒质量安全监督检验中心) 一种生产功能性羊肉的肉羊日粮配制方法
KR20220111427A (ko) * 2021-02-02 2022-08-09 서형완 고능력 착유우의 조농비 개선을 위한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747675A (zh) * 2022-04-29 2022-07-15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优化山羊乳脂品质的饲粮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5566B1 (ko) 2013-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chroeder et al. Effects of fat supplementation on milk production and composition by dairy cows on pasture: a review
KR101325566B1 (ko) 산양유 중 cla 함량을 높이는 사료 및 그 제조방법
CN103564176B (zh) 一种猪饲料及其制备方法
CN103636997A (zh) 一种用于生产适宜孕妇婴儿食用鸡蛋的饲料及其制备方法
CN101703170A (zh) 一种家禽饲料及其制备方法
CN103609915B (zh) 一种提高牛奶中保健性脂肪酸同时减少硬脂酸的奶牛饲料及饲喂方法
CN105010856B (zh) 一种提高牛肉中多不饱和脂肪酸含量的饲料
CN103564262B (zh) 一种大猪饲料
CN106615810A (zh) 一种改善妊娠母猪便秘的日粮及其配制方法
CN103750028A (zh) 一种乳猪教槽料及其制备方法
CN104872395A (zh) 一种富含ω-3脂肪酸和共轭亚油酸的牛奶及其生产方法
CN102805256B (zh) 膨化大豆粉替代油脂的猪用饲料
JP5397727B2 (ja) 特定の飼料を給与することを特徴とする家畜の飼育方法
CN105660520B (zh) 一种奶牛的饲养管理方法
KR101786893B1 (ko) 지방산 함량 및 오메가-3, 6의 비율이 개선된 우유를 생산하기 위한 사료조성물
CN102960558A (zh) 苏淮猪乳猪饲料及其制备方法
CN102497783A (zh) 奶组成物及其用途、基于其的产品、给哺乳动物喂食的配方、以及生产该奶组成物的方法
CN103039757A (zh) 加有松针粉、黄粉虫添加剂的牛饲料
KR102206583B1 (ko) 고기능성 지방산이 강화된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45424B1 (ko) 천연 dha 강화 섬유질 완전 혼합 사료 조성물
CN106173357A (zh) 一种提高牛奶品质的饲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01520028A (ja) 反芻動物の乳脂肪および/または組織脂肪における共役リノール酸の濃度を増加させる方法。
CN105941890A (zh) 预防育肥绵羊黄脂膘的精料补充饲料
KR101816996B1 (ko) 항암성분 cla를 함유하는 고기능성 한우고기 생산기술
Chilliard et al. Trans and conjugated fatty acids in milk from cows and goats consuming pasture or receiving vegetable oils or see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