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5955A - 저수통의 살균공기 공급형 냉온수기 - Google Patents

저수통의 살균공기 공급형 냉온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5955A
KR20130015955A KR1020110078312A KR20110078312A KR20130015955A KR 20130015955 A KR20130015955 A KR 20130015955A KR 1020110078312 A KR1020110078312 A KR 1020110078312A KR 20110078312 A KR20110078312 A KR 20110078312A KR 20130015955 A KR20130015955 A KR 20130015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reservoir
water
cold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8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7147B1 (ko
Inventor
김대영
Original Assignee
김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영 filed Critical 김대영
Priority to KR1020110078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147B1/ko
Publication of KR20130015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5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dispensing valves actuated by the receptacle to be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 B67D3/003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the bottle or container being held upside down and provided with a closure, e.g. a cap, adapted to cooperate with a feed tub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온수기의 저수통에 공급되는 공기가 소정의 밀폐된 공간에 가두어져 완전 살균 후 공급됨에 따라, 저수통 내부 및 그에 수용된 물(생수)이 외부의 오염된 공기와 전혀 접촉되지 않고 그 결과 정수기를 통해 배출되는 물은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는 저수통의 살균공기 공급형 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저수통의 살균공기 공급형 냉온수기는, 물이 공급되어 냉수 및 온수 상태로 배출되는 냉온수기에 있어서, 물의 공급 부분이 외부와 밀폐되며, 물이 저장 및 배출되는 저수통과, 상기 저수통에 공급되기 위한 내부공기가 밀폐된 상태로 저장되고, 상기 내부공기는 상기 저수통의 물 배출에 따른 저수통 내 부압 현상 발생 시마다 해당 부압을 대기압에 맞추는 량만큼 상기 저수통 내로 유입되며, 상기 내부공기 배출시 발생되는 내부 부압을 대기압에 맞추기 위해,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내부공기와 차단된 상태로 수용되는 공기 저장부와, 상기 공기 저장부의 내부공기를 살균하는 살균수단과, 상기 저수통과 공기 저장부를 서로 통하는 상태로 연결하여 상기 공기 저장부의 내부공기를 상기 저수통으로 유도하는 공기 유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저수통의 살균공기 공급형 냉온수기{A water cooling and heating unit having for suppling sterilized air in water tank}
본 고안은 저수통의 살균공기 공급형 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온수기의 저수통에 공급되는 공기가 소정의 밀폐된 공간에 가두어져 완전 살균 후 공급됨에 따라, 저수통 내부 및 그에 수용된 물(생수)이 외부의 오염된 공기와 전혀 접촉되지 않고 그 결과 정수기를 통해 배출되는 물은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는 저수통의 살균공기 공급형 냉온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온수기는 상온의 물을 냉각 및 가열하여 냉수와 온수로써 공급히는 편리한 생활 기기이다. 즉, 사용자는 냉온수기의 냉수밸브와 온수밸브를 통해 냉수 또는 온수를 컵 등의 용기에 선택적으로 받아 사용하게 되는데, 통상 과립(예:커피믹스 등)이나 분말(예:분유, 코코아 등) 또는 팩(예:녹차 팩 등) 등의 재료에 온수(or 냉수)를 혼합하여 음용하게 된다.
따라서, 냉온수기는 상온의 물을 온수로 만들기 위한 가열장치 및 상온의 물을 냉수로 만들기 위한 냉각장치를 구비하며, 이렇게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된 온수 또는 냉각장치에 의해 냉각된 냉수를 저장 및 배출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들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냉온수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냉온수기는 본체(10)의 상판에 생수통 삽입구(11)가 형성되고, 이러한 생수통 삽입구(11)에 생수통(20)의 토출구(21)가 삽입된다. 그리고, 생수통 삽입구(11)의 바닥면에는 생수통(20)으로부터 공급되는 생수를 아래쪽으로 흘려보내는 생수공급관(30)이 설치되며, 이러한 생수공급관(30)의 하측으로는 저수통(40)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저수통(40)은 생수공급관(30)으로부터 공급되는 생수를 냉각기(미도시)로 냉각시켜 저장한다.
여기서, 저수통(40)의 내부공간은 분리판(41)에 의해 생수저장공간(42)과 냉수저장공간(43)으로 구획되며, 이렇게 구획된 생수저장공간(42)과 냉수저장공간(43)에 상온의 생수 및 냉각된 냉수가 각각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통(40)의 하측으로 온수저장탱크(50)가 설치되며, 이러한 온수저장탱크(50)는 분리판(41)과 온수연결관(60)으로 연결되어 생수저장공간(42)으로부터 상온의 생수를 공급받으며, 이렇게 공급된 생수를 히터(미도시)로 가열하여 저장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냉온수기는 저수통의 생수저장공간으로부터 생수 배출시, 생수저장공간 내의 부압 현상 및 그에 따른 생수 배출의 방해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생수저장공간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이 과정에서 외부 공기 중의 세균, 먼지, 유해물질 등이 생수저장공간 내로 함께 유입된다. 이는 생수저장공간의 생수 및 냉수저장공간의 냉수에 다량의 세균이 증식되게 함은 물론 생수저장공간 및 냉수저장공간 내의 세균 증식 현상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결과적으로는 냉온수기에 최종 배출되는 냉수(or 온수)는 다량의 세균을 포함하여 비위생적인 상태가 된다.
따라서, 냉온수기의 저수통은 자주 소독되어야 하는 것이지만, 상당 수의 냉온수기는 그 저수통에 대한 정기적인 소독이 이루어지지 못해 세균을 다량 포함한 비위생적인 물을 배출하는 상황이다. 그리고, 가정이나 사무실 등 비교적 소수의 사람이 이용하는 냉온수기는 그래도 정기적인 소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반면에,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공공장소의 냉온수기는 정기적인 소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해 냉수저장탱크 내의 세균 오염 상태가 매우 심각한 경우도 종종 발생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냉온수기의 저수통에 공급되는 공기를 소정의 밀폐된 공간에 가두어 완전히 살균 후 저수통으로 공급함에 따라, 냉온수기의 저수통 내부 및 그에 수용된 물(생수)이 외부의 오염된 공기와 전혀 접촉되지 않고, 그 결과 정수기를 통해 항상 깨끗한 물이 배출될 수 있는 저수통의 살균공기 공급형 냉온수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냉온수기의 저수통에 항상 살균된 공기만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 비교적 단순하면서도 저수통에 대한 외부공기 유입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새로 제작되는 냉온수기는 물론 기존 냉온수기에도 매우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어, 비교적 적은 비용이 사용되면서도 냉온수기의 저수통 내 청결 유지는 완벽하게 구현되도록 하는 저수통의 살균공기 공급형 냉온수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저수통의 살균공기 공급형 냉온수기는, 물이 공급되어 냉수 및 온수 상태로 배출되는 냉온수기에 있어서, 물의 공급 부분이 외부와 밀폐되며, 물이 저장 및 배출되는 저수통과, 상기 저수통에 공급되기 위한 내부공기가 밀폐된 상태로 저장되고, 상기 내부공기는 상기 저수통의 물 배출에 따른 저수통 내 부압 현상 발생 시마다 해당 부압을 대기압에 맞추는 량만큼 상기 저수통 내로 유입되며, 상기 내부공기 배출시 발생되는 내부 부압을 대기압에 맞추기 위해,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내부공기와 차단된 상태로 수용되는 공기 저장부와, 상기 공기 저장부의 내부공기를 살균하는 살균수단과, 상기 저수통과 공기 저장부를 서로 통하는 상태로 연결하여 상기 공기 저장부의 내부공기를 상기 저수통으로 유도하는 공기 유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공기 저장부는, 상기 내부공기 저장을 위한 밀폐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 내에 상기 살균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에서 살균된 내부공기가 상기 저수통의 물 배출에 따른 저수통 내 부압 현상 발생시마다 해당 부압을 대기압에 맞추는 량만큼 상기 저수통 내로 유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기 배출시 발생되는 하우징 내 부압을 대기압에 맞추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로 외부공기를 유입하는 공기유입구와,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상기 내부공기와 차단되는 상태로 수용하며 팽창하고, 상기 하우징 내에 외부압력 작용시 수용된 외부공기를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배출하며 수축하는 공기주머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유입구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공기가 상기 저수통에 공급시 발생되는 상기 하우징 내 부압 현상에 따라 개방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수용공간 내로 흡입 후, 상기 하우징 내 부압 현상 해소에 따라 다시 차단되는 체크밸브와, 상기 체크밸브의 강제 개방을 위한 밸브개방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살균수단은 상기 공기 저장부의 내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살균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저수통의 살균공기 공급형 냉온수기는, 상기 저수통이 내측에 설치되고, 상판에 생수통 삽입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생수통 삽입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생수통 삽입부에 삽입되는 생수통의 외면에 밀착되어 생수통의 외면과 상기 생수통 삽입부 간을 밀폐하는 제1 기밀부재와, 상기 저수통과 상기 공기 유도부 간의 연결 부위를 밀폐하는 제2 기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냉온수기의 저수통에 공급되는 공기가 소정의 밀폐된 공간에 가두어져 완전 살균 후 저수통에 공급됨에 따라, 냉온수기의 저수통 내부 및 그에 수용된 물(생수)이 외부의 오염된 공기와 전혀 접촉되지 않고, 그 결과 정수기를 통해 항상 깨끗한 물이 배출될 수 있고, 따라서 냉온수기의 위생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냉온수기의 저수통에 항상 살균된 공기만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 비교적 단순하면서도 저수통에 대한 외부공기 유입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이러한 구성이 새로 제작되는 냉온수기는 물론 기존 냉온수기에도 매우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냉온수기의 저수통 내 청결 유지를 완벽하게 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냉온수기의 구조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수통의 살균공기 공급형 냉온수기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수통의 살균공기 공급형 냉온수기에서 생수 완전 배출에 따라 공기주머니가 최대 팽창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냉온수기의 저수통에 생수가 유입되기 시작하여 공기주머니가 수축되기 시작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냉온수기의 저수통에 생수가 가득 채워져 공기주머니가 완전히 수축된 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수통의 살균공기 공급형 냉온수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수통의 살균공기 공급형 냉온수기를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수통의 살균공기 공급형 냉온수기(100: 이하, “냉온수기”라 함)는 저수통(130), 공기 저장부(160), 살균수단(170), 공기 유도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100)는 본체(110), 온수통(150), 제1 기밀부재(140), 제2 기밀부재(1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공기 저장부(160), 살균수단(170), 공기 유도부(180)의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100)의 기본 구성인 본체(110), 저수통(130), 온수통(150) 그리고 저수통(130)에 대한 생수 공급 구조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본체(110)는 냉온수기(100)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는 부분이며, 따라서 본체(110) 내측에 저수통(130)과 온수통(150)은 물론이고 본 고안의 특징적 구성에 해당하는 공기 저장부(160), 살균수단(170), 공기 유도부(180), 제1 기밀부재(140), 제2 기밀부재(190)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본체(110)의 상판에 생수통 삽입부(111)가 형성되며, 생수통(200)은 그 주둥이(210)가 생수통 삽입부(111)에 삽입된 상태로 그 상부는 본체(110)의 상판에 지지된다. 또한, 생수통 삽입부(111)는 그 바닥면에 생수공급관(120)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생수공급관(120)은 생수통 삽입부(111)에 유입되는 생수통(200)의 생수를 저수통(130)에 흘려보내는 기능을 한다.
저수통(130)은 생수공급관(120)을 통해 공급되는 생수를 담아 저장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저수통(130)은 상온의 생수를 그대로 담아 저장하는 생수저장공간(131) 및 이러한 생수저장공간(131)으로부터 유입되는 생수를 받아 냉각시켜 저장하는 냉수저장공간(132)으로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저수통(130)의 생수를 공급받는 부분은 외부와 밀폐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본체(110)의 생수통 삽입부(111)에 그 둘레를 따라 제1 기밀부재(140)가 설치되고, 이러한 제1 기밀부재(140)에 생수통(200)의 표면이 접하여 밀착되므로, 생수통 삽입부(111)와 생수통(200) 간 접촉 부위는 완전히 밀폐되어 기밀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생수통(200)은 그 하중이 클수록 제1 기밀부재(140)에 더 강하게 밀착되므로, 생수통(200)의 하중을 크게 할 수 있는 구조가 추가될 수도 있다. 그리고, 냉수저장공간(132)에는 상온의 생수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기(미도시)가 설치된다.
온수통(150)은 저수통(130)의 생수저장공간(131)으로부터 상온의 생수를 공급받고, 이렇게 공급된 상온의 생수를 가열하여 온수 상태로 만든다. 이를 위해 온수통(150)에는 상온의 생수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기(미도시)가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온수통(150)이 저수통(130)과 분리되어 생수저장공간(131)으로부터 별도의 연결관(151)을 통해 생수를 공급받는 형태를 예로 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온수통(150)은 냉수저장공간(132)과 차단되는 상태로 저수통(13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은, 공기 저장부(160), 살균수단(170), 공기 유도부(180), 제1 기밀부재(140), 제2 기밀부재(190)에 대해 설명한다.
공기 저장부(160)는 밀폐된 수용공간(161)을 구비하며, 이렇게 수용공간(161)에 저장된 내부공기는 저수통(130)의 생수 배출에 따른 저수통(130) 내 부압 현상 발생시 해당 부압을 대기압에 맞추는 량만큼 저수통(130) 내로 유입된다. 여기서, 수용공간(161)의 내부공기는 냉온수기(100)의 본체(110)로부터 생수통(200) 분리시 생수통 삽입구(111) 및 생수공급관(120)을 통해 유입된다. 또한, 공기 저장부(160)는 수용공간(161)의 내부공기 배출시마다 그 내부에 부압이 발생되며, 이러한 공기 저장부(160) 내의 부압을 대기압에 맞추기 위해, 외부 공기가 공기 저장부 (160)내로 유입되며, 이때 공기 저장부(160) 내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는 수용공간(161) 내의 내부공기와 차단된 상태로 공기 저장부(160)에 수용된다.
이러한 공기 저장부(160)를 본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공기 저장부(160)는 하우징(162), 공기유입구(163), 공기주머니(164)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하우징(162)은 수용공간(161)이 형성되어 수용공간(161) 내측에 내부공기를 저장한다. 즉, 냉온수기(100)의 본체(110)로부터 생수통(200) 분리시, 냉온수기(100)의 생수통 삽입구(111) 및 생수공급관(120)을 통해 하우징(162) 내로 공기가 유입되며, 이렇게 유입된 공기는 살균수단(170)에 의해 살균되는 동시에 수용공간(161) 내의 내부공기를 형성한다. 그리고, 수용공간(161)의 내부공기는 저수통(130)의 물 배출에 따른 저수통(130) 내 부압 현상 발생시마다 해당 부압을 대기압에 맞추는 량만큼 저수통(130) 내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저수통(130)의 내부 압력이 항상 대기압과 동일한 압력을 유지하면서, 저수통(130)의 물 배출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저수통(130)의 냉수저장공간(132)으로부터 냉수가 배출되고, 이에 따라 생수저장공간(131)의 생수가 냉수저장공간(132)에 채워지면서 생수저장공간(131)에 부압이 발생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온수통(150)으로부터 온수가 배출되고, 이에 따라 생수저장공간(131)의 생수가 온수통(150)에 채워지면서 생수저장공간(151)에 부압이 발생되는 형태 등, 수용공간(161)의 내부공기는 저수통(130)에 채워진 전체 물의 량에서 일부 량의 물 배출시 발생되는 저수통(130) 내 부압을 기준으로 공급된다.
공기유입구(163)는 하우징(162)의 내부공기 배출시 발생되는 하우징(162) 내 부압을 대기압에 맞추기 위해 하우징(162) 내에 외부공기를 유입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의 공기유입구(163)는 후술되는 공기주머니(164)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우징(162)의 통기구(162a)를 통해 노출되며, 이러한 공기유입구(163)는 하우징(162) 내의 부압 현상에 따라 외부공기를 자동 유입하고, 반대로 하우징(162)의 내부 압력이 대기압 이상으로 상승시 유입된 외부공기를 자동 배출하여 하우징(162)의 내부압력을 대기압에 맞춘다.
공기주머니(164)는 연질 소재로 이루어져 하우징(162) 내측에 설치되며, 이러한 공기주머니(164)는 공기유입구(163)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하우징(162) 내의 내부공기와 차단된 상태로 수용한다. 그리고, 공기주머니(164)는 외부공기의 유입시 팽창되고, 외부공기의 배출시 수축되는 것으로써, 다시 말해 하우징(162) 내의 부압 발생에 따라 하우징(162) 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고, 이렇게 팽창된 상태에서 하우징(162) 내에 외부압력 작용시 수용된 외부공기를 상기 공기유입구(163)를 통해 배출하면서 수축된다.
또한, 공기유입구(163)의 다른 형태로써, 공기유입구(163)는 체크밸브와 밸브개방 조작부(미도시)를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체크밸브와 밸브개방 조작부는 통상의 구성을 통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는바, 본 실시예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하는 동시에 간략하게 설명키로 한다.
체크밸브는 하우징(162)의 통기구(162a)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즉 체크밸브는 하우징(162) 내의 부압 현상 발생시 하우징(162) 내에 유입되려는 외부공기의 압력에 의해 개방되고, 이렇게 개방된 체크밸브를 통해 외부공기가 하우징(162) 내로 유입된다. 그리고, 체크밸브는 하우징(162)의 내부 압력과 대기압이 동일한 상태가 되면 자중에 의해 통기공(162a)을 차단하는 상태로 복귀된다.
밸브개방 조작부는 하우징(162)의 내부 압력이 대기압 이상으로 높아질 때, 다시 말해 공기주머니(164)가 팽창된 상태인 동시에 저수통(130)에 생수가 공급되어 저수통(130) 내의 공기가 하우징(162) 내로 유입될 때, 체크밸브를 강제 개방시켜 공기주머니(164) 내의 공기를 외부에 배출시키기 위한 용도이다.
살균수단(170)은 공기 저장부(160)의 내부공기를 살균하는 기능을 하며, 이에 따라 저수통(130)의 물 배출시마다, 저수통(130)에는 살균수단(170)에 의해 살균된 하우징(162)의 깨끗한 내부공기만 공급된다. 이에 따라, 저수통(130)의 내부공간 및 그에 수용된 물은 외부공기 및 그에 포함된 오염물질과 접촉되는 것 자체가 방지되고, 따라서 저수통(130)을 통해 배출되는 물은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살균수단(170)이 공기 저장부(160), 더 구체적으로 하우징(162)의 내측에 설치되는 살균램프(통상 자외선 램프)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살균수단(170)은 공기 저장부(160) 내의 내부공기를 살균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공기 유도부(180)는 저수통(130)과 공기 저장부(160)를 서로 통하는 상태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공기 저장부(160)의 살균된 내부공기가 이러한 공기 유도부(180)를 통해 흘러 저수통(130) 내로 유입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공기 유도부(180)가 비교적 긴 관 형태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공기 유도부(180)는 공기 저장부(160) 내의 살균된 내부공기를 저수통(130)에 공급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공기 저장부(160) 등의 위치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제1 기밀부재(140)는 냉온수기(100)의 본체(1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즉 제1 기밀부재(140)는 본체의 생수통 삽입부(111)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생수통 삽입부(111)와 생수통(200) 외면 사이를 밀폐하며, 이에 대해서는 본체(110)에 대한 설명에서 이미 언급한바 있으므로 여기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제2 기밀부재(190)는 저수통(130)과 공기 유도부(180) 간의 연결 부위를 긴밀하게 밀폐함으로써, 저수통(130)과 공기 유도부(180) 간의 연결 부위를 통해 소량의 외부공기도 저수통(130) 내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전체적인 작용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도 2는 냉온수기(100)의 물 배출에 따라 공기 저장부(160)의 내부공기가 저수통(130) 내로 유입되고, 이와 동시에 공기 저장부(160)의 공기유입구(163)를 통해 외부공기가 유입되면서 공기주머니(164)가 조금씩 팽창하는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이때, 공기 저장부(160)에서 저수통(130) 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공기 저장부(160) 내에서 살균수단(170)에 의해 살균된 깨끗한 공기이며, 또한 공기 저장부(160)로 유입되는 공기는 공기주머니(164) 내에 가두어져 공기 저장부(160) 내의 살균된 내부공기와 전혀 섞이지 않는다.
도 3은 생수통(200)의 물이 모두 저수통(130)에 유입된 후, 저수통(130) 내의 물 역시 모두 배출되고, 이에 따라 공기 저장부(160)의 살균된 내부공기가 저수통(130) 내로 모두 공급된 상태인 동시에, 공기 저장부(160)의 공기주머니(164)가 외부공기로 가득 채워져 완전히 팽창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냉온수기(100)의 생수통 삽입구(111)로부터 생수통이 분리되고, 이에 따라 생수통 삽입부(111) 및 생수공급관(120)을 통해 저수통(130) 내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동시에 저수통(130) 내의 공기가 공기 유도부(180)를 통해 하우징(162) 내로 유입되며, 이에 따라 하우징(162)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공기주머니(164)가 수축되면서 공기주머니(164) 내의 공기가 공기유입구(163)를 통해 배출되는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공기주머니(164)가 완전히 수축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도 2 내지 도 5의 실시예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기(100)에 의해서, 냉온수기(100)의 저수통(130)에 공급되는 공기가 공기 저장부(160)의 밀폐된 공간에 가두어져 완전 살균 후 공급됨에 따라, 냉온수기(100)의 저수통(130) 내부 및 그에 수용된 물(생수)이 외부의 오염된 공기와 전혀 접촉되지 않고, 그 결과 냉온수기(100)를 통해 항상 깨끗한 물이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냉온수기(100)의 위생성 극대화로 이어진다.
또한, 냉온수기(100)의 저수통(130)에 항상 살균된 공기만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 저수통(130) 주변에 설치되는 하우징(162), 공기주머니(164), 공기유입구(163)의 비교적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새로 제작되는 냉온수기에 이러한 구성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기존 냉온수기에도 이러한 구성을 용이하게 부설하여 저수통(130)에 대한 외부공기 유입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이는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냉온수기(100)의 저수통 내 청결 유지를 완벽하게 기할 수 있는 이점으로 이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저수통의 살균공기 공급형 냉온수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냉온수기 110 : 본체
111 : 생수통 삽입부 120 : 생수공급관
130: 저수통 131 : 생수저장공간
132 : 냉수저장공간 140 : 제1 기밀부재
150 : 온수통 151 : 연결관
160 : 공기 저장부 161 : 수용공간
162 : 하우징 162a : 통기구
163 : 공기유입구 164 : 공기주머니
170 : 살균수단 180 : 공기 유도부
190 : 제2 기밀부재 200 : 생수통
210 : 주둥이

Claims (5)

  1. 물이 공급되어 냉수 및 온수 상태로 배출되는 냉온수기에 있어서,
    물의 공급 부분이 외부와 밀폐되며, 물이 저장 및 배출되는 저수통;
    상기 저수통에 공급되기 위한 내부공기가 밀폐된 상태로 저장되고, 상기 내부공기는 상기 저수통의 물 배출에 따른 저수통 내 부압 현상 발생 시마다 해당 부압을 대기압에 맞추는 량만큼 상기 저수통 내로 유입되며, 상기 내부공기 배출시 발생되는 내부 부압을 대기압에 맞추기 위해,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내부공기와 차단된 상태로 수용되는 공기 저장부;
    상기 공기 저장부의 내부공기를 살균하는 살균수단;
    상기 저수통과 공기 저장부를 서로 통하는 상태로 연결하여 상기 공기 저장부의 내부공기를 상기 저수통으로 유도하는 공기 유도부를 포함하는 저수통의 살균공기 공급형 냉온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저장부는
    상기 내부공기 저장을 위한 밀폐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 내에 상기 살균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에서 살균된 내부공기가 상기 저수통의 물 배출에 따른 저수통 내 부압 현상 발생시마다 해당 부압을 대기압에 맞추는 량만큼 상기 저수통 내로 유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기 배출시 발생되는 하우징 내 부압을 대기압에 맞추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로 외부공기를 유입하는 공기유입구;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상기 내부공기와 차단되는 상태로 수용하며 팽창하고, 상기 하우징 내에 외부압력 작용시 수용된 외부공기를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배출하며 수축하는 공기주머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통의 살균공기 공급형 냉온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구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공기가 상기 저수통에 공급시 발생되는 상기 하우징 내 부압 현상에 따라 개방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수용공간 내로 흡입 후, 상기 하우징 내 부압 현상 해소에 따라 다시 차단되는 체크밸브;
    상기 체크밸브의 강제 개방을 위한 밸브개방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통의 살균공기 공급형 냉온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단은 상기 공기 저장부의 내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살균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통의 살균공기 공급형 냉온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통이 내측에 설치되고, 상판에 생수통 삽입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생수통 삽입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생수통 삽입부에 삽입되는 생수통의 외면에 밀착되어 생수통의 외면과 상기 생수통 삽입부 간을 밀폐하는 제1 기밀부재;
    상기 저수통과 상기 공기 유도부 간의 연결 부위를 밀폐하는 제2 기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통의 살균공기 공급형 냉온수기.
KR1020110078312A 2011-08-05 2011-08-05 저수통의 살균공기 공급형 냉온수기 KR101347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312A KR101347147B1 (ko) 2011-08-05 2011-08-05 저수통의 살균공기 공급형 냉온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312A KR101347147B1 (ko) 2011-08-05 2011-08-05 저수통의 살균공기 공급형 냉온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955A true KR20130015955A (ko) 2013-02-14
KR101347147B1 KR101347147B1 (ko) 2014-01-03

Family

ID=47895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8312A KR101347147B1 (ko) 2011-08-05 2011-08-05 저수통의 살균공기 공급형 냉온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1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6469A1 (ko) 2014-02-27 2015-02-05 Kim Ill Bong 수소수 냉온수기
KR20150014816A (ko) * 2013-07-30 2015-02-0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정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593857U (zh) * 2015-03-21 2015-08-26 广东澳德绅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气压调节的热泵热水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405Y1 (ko) * 2000-02-21 2000-07-15 조철래 생수통과 냉온수기 간의 연결 지지장치
KR200276040Y1 (ko) * 2002-02-22 2002-05-18 주식회사 기가씨앤이 공기 살균 장치
KR100859067B1 (ko) * 2007-06-08 2008-09-17 이성근 공기 여과기능을 가지는 냉온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4816A (ko) * 2013-07-30 2015-02-0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정수기
WO2015016469A1 (ko) 2014-02-27 2015-02-05 Kim Ill Bong 수소수 냉온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7147B1 (ko) 201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08265B (zh) 饮水机
JP5529237B2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CN105073629B (zh) 饮水机
CN206534885U (zh) 一种多功能的奶瓶消毒装置
WO2013121599A1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KR101347147B1 (ko) 저수통의 살균공기 공급형 냉온수기
TW201437560A (zh) 開飲機
JP2005511435A (ja) 生水安全注出装置
US6601699B1 (en) Antiseptic toothbrush soak system
TW201447193A (zh) 開飲機
MX2012004664A (es) Envase a prueba de derrames.
KR101184099B1 (ko) 음료수 공급기
KR100528589B1 (ko) 냉온수기
CN101559861A (zh) 水气分离式饮水桶
CN212346228U (zh) 一种保鲜冷热直饮饮水机
CN218606180U (zh) 一种茶吧机
JP2004269049A (ja) 容器詰め飲料の製造方法
CN107032277A (zh) 一种液态食品包装消毒装置
CN216931700U (zh) 奶粉杀菌装置
CN108502273A (zh) 一种液态食品包装消毒装置
CN2436069Y (zh) 改进的饮水机水路装置
KR20180091130A (ko) 페트병 적용 냉온수기
CN214910848U (zh) 一种病原微生物消杀装置
JP2003104494A (ja) 飲料水ディスペンサー
CN102670077A (zh) 供水装置以及安装有该供水装置的饮水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