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4953A - 프로젝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프로젝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4953A
KR20130014953A KR1020110076725A KR20110076725A KR20130014953A KR 20130014953 A KR20130014953 A KR 20130014953A KR 1020110076725 A KR1020110076725 A KR 1020110076725A KR 20110076725 A KR20110076725 A KR 20110076725A KR 20130014953 A KR20130014953 A KR 20130014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ission source
screen
reflector
projector system
imag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6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4845B1 (ko
Inventor
이천석
Original Assignee
이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천석 filed Critical 이천석
Priority to KR1020110076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4845B1/ko
Publication of KR20130014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4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4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8Reflectors in projection bea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0Projectors with built-in or built-on scree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2Adjusting of projection op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29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scanning a light beam on the display screen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이 구현되는 스크린까지의 거리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프로젝터 시스템을 위하여, 스크린 투사용 이미지광을 방출할 수 있는 방출원과, 상기 방출원의 전방(前方)에 배치되어 상기 방출원에서 방출된 이미지광을 반사시켜 상기 방출원 상부(上部) 또는 상기 방출원의 후방(後方) 상부(上部)에 배치된 스크린으로 투영할수 있는 반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반사부는 볼록 반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방출원에서 방출된 이미지광의 상기 반사부 상의 입사영역 중 일 지점에서의 상기 반사부의 곡률반경은, 상기 입사영역의 다른 일 지점에서의 상기 반사부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프로젝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프로젝터 시스템{Projector System}
본 발명은 프로젝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영상이 구현되는 스크린까지의 거리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프로젝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젝터 시스템은 이미지광을 스크린 상에 투영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최근에는 소위 3D 디스플레이라고도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stereoscopic display)를 구현하기 위한 이미지광을 스크린 상에 투영할 수 있는 프로젝터 시스템 등도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프로젝터 시스템의 경우, 충분한 크기의 영상이 스크린 상에 투영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스크린과 프로젝터 시스템 사이의 거리가 충분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스크린과 프로젝터 사이의 충분한 거리를 확보하지 못할 경우, 스크린 상의 이미지 크기가 작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영상이 구현되는 스크린까지의 거리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프로젝터 시스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스크린 투사용 이미지광을 방출할 수 있는 방출원과, 상기 방출원의 전방(前方)에 배치되어 상기 방출원에서 방출된 이미지광을 반사시켜 상기 방출원 상부(上部) 또는 상기 방출원의 후방(後方) 상부(上部)에 배치된 스크린으로 투영할수 있는 반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반사부는 볼록 반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방출원에서 방출된 이미지광의 상기 반사부 상의 입사영역 중 일 지점에서의 상기 반사부의 곡률반경은, 상기 입사영역의 다른 일 지점에서의 상기 반사부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프로젝터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방출원에서 방출된 이미지광의 상기 반사부 상의 입사영역 중 곡률반경이 제일 작은 지점에서 상기 입사영역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상기 반사부의 곡률반경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스크린 투사용 이미지광을 방출할 수 있는 방출원과, 상기 방출원의 전방(前方)에 배치되어 상기 방출원에서 방출된 이미지광을 반사시켜 상기 방출원 상부(上部) 또는 상기 방출원의 후방(後方) 상부(上部)에 배치된 스크린으로 투영할수 있는 반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반사부는 상기 방출원에서 방출된 이미지광을 반사시키는 제1반사체와 상기 제1반사체에서 반사된 광을 다시 반사시켜 상기 방출원 상부(上部)에 배치된 스크린으로 투영하는 제2반사체를 구비하는, 프로젝터 시스템이 제공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기 방출원과 상기 반사부를 수용하는 프레임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부에, 상기 반사부에서 반사된 이미지광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과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방출원에서 방출된 광의 상기 방출원에서 상기 반사부까지의 광경로를 제1광경로라 하고, 상기 반사부에서 반사된 광의 상기 반사부에서 스크린까지의 광경로를 제2광경로라 할 시, 상기 제1광경로와 상기 제2광경로 사이의 각은 예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출원에 대한 상기 반사부의 각도를 고정한 채, 상기 방출원과 상기 반사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이 구현되는 스크린까지의 거리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프로젝터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에 구비될 수 있는 반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반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용 스크린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용 스크린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 또는 도 9의 스크린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은 방출원(10)과 반사부(20)를 구비한다.
방출원(10)은 스크린 투사용 이미지광을 방출할 수 있다. 즉, 방출원(10)이 방출하는 광은 단순한 광이 아니라 스크린에 입사 시 스크린 상에 이미지가 나타나도록 하는 이미지광이다. 예컨대 방출원(10)은 종래의 프로젝터 자체가 될 수도 있고, 종래의 프로젝터 내의 일부분일 수도 있다. 종래의 프로젝터 내의 일부분인 경우에는 최종 투과창 등을 제외한 부분으로서 해당 부분에서 방출된 광이 스크린에 입사할 시 이미지가 스크린 상에 나타나면 충분하다.
반사부(20)는 방출원(10)의 전방(前方)에 배치되어 방출원(10)에서 방출된 이미지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도면에서는 반사부(20)는 방출원(10)으로부터 +x 방향에 배치되어, 방출원(10)에서 +x 방향으로 방출된 이미지광을 반사시키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반사부(20)는, 방출원(10)에서 방출된 이미지광을 반사시켜 방출원(10) 상부(上部)에 배치된 스크린(30)으로 투영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은 종래의 프로젝터 시스템에 비하여 프로젝터 시스템으로부터 스크린까지의 거리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과 스크린(30)을 포함한 전체 사이즈(TSL)는, 스크린(30) 상에 동일한 크기의 이미지가 투영되도록 할 시의 종래의 프로젝터 시스템과 스크린(30)을 포함한 전체 사이즈(TSL')보다 획기적으로 줄어들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의 경우 방출원(10)에서 방출된 이미지광이 방출원(10)에서 반사부(20)까지의 광경로(L11, L12)를 따라 반사부(20)에 입사하고, 반사부(20)에서 반사된 후 반사부(20)에서 스크린(30)까지의 광경로(L21, L22)를 거쳐 스크린(30) 상에 투영됨에 따라, 종래의 방출원(10')을 이용할 시 스크린(30) 상에 동일한 사이즈의 이미지가 투영되도록 하기 위한 이미지광의 광경로(L11', L12') 거리를 컴팩트한 사이즈로 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방출원(10)이 종래의 프로젝터 자체일 경우, 방출원(10)과 반사부(20)는 예컨대 레일 등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반사부(20)는 레일을 통해 방출원(10) 방향으로 가까이 이동되거나 방출원(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방출원(10)에 대한 반사부(20)의 각도 등을 고정한 채, 방출원(10)과 반사부(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방출원(10)과 반사부(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스크린(30) 상에 투영되는 이미지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방출원(10)이 종래의 프로젝터 내의 일부분일 경우, 방출원(10)과 반사부(20)는 프레임에 수용되어 마치 종래의 프로젝터와 비슷한 외형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후술할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방출원(10)에서 방출된 광의 방출원(10)에서 반사부(20)까지의 광경로(L11, L12)를 제1광경로라 하고, 반사부(20)에서 반사된 광의 반사부(20)에서 스크린(30)까지의 광경로(L21, L22)를 제2광경로라 할 시, 제1광경로와 제2광경로 사이의 각은 예각이다. 즉, 광경로(L11)와 광경로(L21) 사이의 각은 예각이고, 광경로(L12)와 광경로(L22) 사이의 각 역시 예각이다. 이는 방출원(10)에서 방출된 광이 반사부(20)에서 반사된 후, 반사부(20)를 기준으로 방출원(10) 방향에 배치된 스크린(30) 상으로 이미지광이 투영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이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과 상이한 점은, 반사부(20')가 볼록 반사면을 포함한다는 점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반사부(20')가 볼록 반사면을 포함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에 비하여 프로젝터 시스템으로부터 스크린까지의 거리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과 스크린(30)을 포함한 전체 사이즈(TSL)는, 스크린(30) 상에 동일한 크기의 이미지가 투영되도록 할 시의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과 스크린(30)을 포함한 전체 사이즈(TSL')보다 획기적으로 줄어들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의 경우 방출원(10)에서 방출된 이미지광이 방출원(10)에서 반사부(20)까지의 광경로(L11, L12)를 따라 반사부(20')에 입사하고, 반사부(20')에서 반사될 시 반사부(20')의 볼록 반사면에서 반사되면서 반사부(20')에서 스크린(30)까지의 광경로(L21, L22)가 퍼지게 된다. 이와 같이 광이 퍼지며 스크린(30) 상에 투영됨에 따라,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의 반사부(20)를 이용할 시 스크린(30) 상에 동일한 사이즈의 이미지가 투영되도록 하기 위한 이미지광의 광경로(L21', L22') 거리를 컴팩트한 사이즈로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반사부(20')는 방출원(10)에서 방출된 이미지광을 반사시켜 방출원(10)의 후방(後方) 상부(上部)에 배치된 스크린으로 투영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 후술할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에서 광경로(L21)와 광경로(L23)는 인접한 화소들에 대응하는 광경로들이고, 광경로(L22)와 광경로(L24) 역시 인접한 화소들에 대응하는 광경로들이다.
반사부(20')가 볼록 반사면을 갖도록 함으로써 프로젝터 시스템과 스크린(30)을 포함한 전체 사이즈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나, 반사부(20')가 볼록 반사면을 가짐에 따라 광경로(L21)와 광경로(L23)가 나타내는 인접한 화소들 사이의 스크린(30) 상의 거리(d1)와 광경로(L22)와 광경로(L24)가 나타내는 인접한 화소들 사이의 스크린(30) 상의 거리(d2)가 상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스크린(30)의 하부에 위치하는 인접한 화소들 사이의 스크린(30) 상의 거리(d1)보다 스크린(30)의 상부에 위치하는 인접한 화소들 사이의 스크린(30) 상의 거리(d2)가 커지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에 구비될 수 있는 반사부(2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반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반사부(20'')는 인접한 화소들 사이의 스크린(30) 상의 거리가 덜 커지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방출원(10)에서 방출된 이미지광의 반사부(20'') 상의 입사영역 중 일 지점(22a'')에서의 반사부(20'')의 곡률반경은, 입사영역의 다른 일 지점(22b'')에서의 반사부(20'')의 곡률반경보다 작다.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방출원(10)에서 방출된 이미지광의 반사부(20') 상의 입사영역 중 일 지점에서의 인접한 화소들의 스크린(30) 상에서의 거리(d1)가, 반사부(20') 상의 입사영역 중 다른 일 지점에서의 인접한 화소들의 스크린(30) 상에서의 거리(d2)보다 작은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반사부(20'')를 형성함으로써 그 거리 차이를 줄일 수 있다.
특히, 방출원(10)에서 방출된 이미지광의 반사부(20'') 상의 입사영역 중 곡률반경이 제일 작은 지점(22a'')에서, 입사영역의 가장자리의 지점(22c'')으로 갈수록 반사부(20'')의 곡률반경이 증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이는 도 6의 반사부(20'')를 z=0인 위치에서 xy평면으로 자를 시의 단면도인 도 5에 도시된 단면에서의 의미로, 그러한 단면 상에서가 아니더라도, 방출원(10)에서 방출된 이미지광의 반사부(20'') 상의 입사영역 중 곡률반경이 제일 작은 지점(22a'')에서, 입사영역의 가장자리의 임의의 지점으로 갈수록 반사부(20'')의 곡률반경이 증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이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과 상이한 점은, 반사부(20''')가 복수개의 반사체들(21, 22)을 구비한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반사부(20''')가 방출원(10)에서 방출된 이미지광을 반사시키는 제1반사체(21)와, 제1반사체(21)에서 반사된 광을 다시 반사시켜 방출원(10) 상부(上部)에 배치된 스크린(30)으로 투영하는 제2반사체(22)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의 경우, 1개의 반사체만을 구비하는 반사부(20)를 이용할 시보다, 스크린(30) 상의 투영영역 중 최하 지점이 더 낮은 위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의 경우 스크린(30) 상의 투영영역 중 광경로(L22)에 의해 형성되는 최하 지점과, 반사부(20)를 이용하는 경우 스크린(30) 상의 투영영역 중 광경로(L22')에 의해 형성되는 최하 지점을 비교할 시,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의 경우의 최하지점이 반사부(20)를 이용하는 경우의 최하지점으로부터 거리(g)만큼 더 낮게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프로젝터 시스템과 스크린(30) 사이의 거리를 더 좁혀 컴팩트한 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의 경우의 광경로(L21, L22)에 의해 형성되는 스크린(30) 상의 투영영역의 넓이가, 반사부(20)를 이용하는 경우의 광경로(L21', L22')에 의해 형성되는 스크린(30) 상의 투영영역의 넓이보다 더 넓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의 경우 프로젝터 시스템과 스크린(30) 사이의 거리를 더 좁혀 컴팩트한 구성을 구현하면서도 스크린(30) 상의 투영영역의 넓이를 획기적으로 넓힐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용 스크린(30)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스크린(30)은 베이스(32)를 가지며, 베이스(32)의 투영면(32a) 상에 복수개의 돌출부들(34a, 34b)이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이나 그 변형예들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스크린(30) 상에 이미지광이 입사할 시 대략 -x 방향으로 입사하는 것이 아니라 상부쪽(+y 방향)으로 비스듬한 이미지광이 입사하게 되는바, 이 경우 통상 스크린(30)의 전방인 +x 방향에 위치하는 시청자 방향으로 반사되는 광량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단면이 삼각형과 유사한 돌출부들(34a, 34b)이 스크린(30)의 투영면(32a) 상에 배치되도록 하여, 해당 돌출부들(34a, 34b) 상으로 입사한 이미지광이 돌출부들(34a, 34b)의 반사면(34a', 34b')에서 반사된 후 대략 +x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x 방향에 위치한 시청자들이 관찰하게 되는 광의 광량이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스크린(30)의 하측과 상측에 입사하는 입사광의 입사면(32a)에 대한 입사각도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스크린(30)의 하측에 입사하는 입사광보다 상측에 입사하는 입사광의 입사면(32a)에 대한 입사각도가 더 크게 된다. 따라서 스크린(30)의 하측에 입사하는 입사광과 상측에 입사하는 입사광 모두 대략 +x 방향으로 반사되도록 하기 위해, 입사면(32a)에 대한 하측 돌출부(34a)의 반사면(34a')의 각도보다 입사면(32a)에 대한 상측 돌출부(34b)의 반사면(34b')의 각도가 더 크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돌출부들(34a, 34b)을 이용할 시 스크린(30) 상의 이미지의 시야각이 줄어들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용 스크린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인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돌출부들(34a, 34b)의 반사면(34a', 34b')이 굴곡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돌출부들(34a, 34b) 상으로 입사한 이미지광이 돌출부들(34a, 34b)의 반사면(34a', 34b')에서 반사된 후 대략 +x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하면서도, 충분한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돌출부들(34a, 34b)의 반사면(34a', 34b')이 굴곡을 갖도록 하는 방법은, 비드(bead) 또는 알갱이가 포함되어 표면이 울퉁불퉁한 코팅막을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돌출부들(34a, 34b)의 반사면(34a', 34b')에 몰드(mold)를 이용하여 굴곡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울퉁불퉁한 면 상에 금속 반사막이 형성되도록 하여, 울퉁불퉁한 경면(鏡面) 반사면을 확보할 수도 있다.
도 10은 도 8 또는 도 9의 스크린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스크린(30) 상의 돌출부들(34a, 34b, 도 8 또는 도 9 참조)의 반사면 중앙부를 연결한 선(34'L)을 도시하고 있다.
방출원에서 방출된 이미지광이 스크린(30) 상에 입사할 시 입사각이 동일한 영역은 선들(34'L)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입사각은 동일하되 입사방향은 화살표로 일부 표시한 것과 같이 방사형태로 나타나는 등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선(34'L)에 있어서 입사광의 입사각이 동일하되 입사방향이 상이하므로, 해당 선(34'L) 상에 위치하는 돌출부들은 그 반사면과 베이스의 입사면이 이루는 각이 동일하되, 각 돌출부의 반사면의 중앙부에서 해당 반사면이 각 선(34'L)에 접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100)은 방출원(10)과 반사부(20'')를 수용하는 프레임(40)을 더 구비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100)은 종래의 프로젝터와 유사한 외형을 갖되, 다만 이미지광 방출 개구(통과부)가 (+x 방향의) 측면이 아닌 (+y 방향의) 상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그 상면 상의 개구를 통해 이미지광이 +y 방향과 -x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와 상이한 방향으로 이미지광을 방출하는 프로젝터를 구현하여, 스크린 상에 충분한 넓이의 이미지가 투영되도록 하면서도 스크린과 프로젝터 사이의 거리를 획기적으로 좁힐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프로젝터가 구비하는 반사부는 전술한 실시예들이나 그 변형예들에 따른 반사부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들이나 그 변형예들에 따른 프로젝터 시스템은 소위 3D 디스플레이라고도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stereoscopic display)를 구현하기 위한 이미지광을 스크린 상에 투영할 수 있는 프로젝터 시스템으로 기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방출원(10)과 반사부(20, 20', 20'', 20''') 사이에 입체 디스플레이용 필터가 추가될 수도 있다. 입체 디스플레이용 필터는 예컨대 좌안용 이미지광과 우안용 이미지광에 상이한 편광상태를 부여하는 것일 수 있다.
입체 디스플레이 프로젝터 시스템의 경우 편광상태가 유지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따라서 편광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면서 시야각을 넓히기 위해, 도 9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같이 스크린(30)의 베이스(32) 상의 돌출부들(34a, 34b)의 반사면(34a', 34b')이 굴곡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돌출부들(34a, 34b)의 반사면(34a', 34b')이 굴곡을 갖지 않고 난반사면이 되도록 하여 시야각을 넓히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반사 후에 편광상태가 유지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방출원 20: 반사부
30: 스크린 40: 프레임

Claims (7)

  1. 스크린 투사용 이미지광을 방출할 수 있는 방출원; 및
    상기 방출원의 전방(前方)에 배치되어 상기 방출원에서 방출된 이미지광을 반사시켜 상기 방출원 상부(上部) 또는 상기 방출원의 후방(後方) 상부(上部)에 배치된 스크린으로 투영할수 있는 반사부;
    를 구비하며,
    상기 반사부는 볼록 반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방출원에서 방출된 이미지광의 상기 반사부 상의 입사영역 중 일 지점에서의 상기 반사부의 곡률반경은, 상기 입사영역의 다른 일 지점에서의 상기 반사부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프로젝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원에서 방출된 이미지광의 상기 반사부 상의 입사영역 중 곡률반경이 제일 작은 지점에서 상기 입사영역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상기 반사부의 곡률반경이 증가하는, 프로젝터 시스템.
  3. 스크린 투사용 이미지광을 방출할 수 있는 방출원; 및
    상기 방출원의 전방(前方)에 배치되어 상기 방출원에서 방출된 이미지광을 반사시켜 상기 방출원 상부(上部) 또는 상기 방출원의 후방(後方) 상부(上部)에 배치된 스크린으로 투영할수 있는 반사부;
    를 구비하며,
    상기 반사부는 상기 방출원에서 방출된 이미지광을 반사시키는 제1반사체와 상기 제1반사체에서 반사된 광을 다시 반사시켜 상기 방출원 상부(上部)에 배치된 스크린으로 투영하는 제2반사체를 구비하는, 프로젝터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원과 상기 반사부를 수용하는 프레임을 더 구비하는, 프로젝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부에, 상기 반사부에서 반사된 이미지광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과부를 갖는, 프로젝터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원에서 방출된 광의 상기 방출원에서 상기 반사부까지의 광경로를 제1광경로라 하고, 상기 반사부에서 반사된 광의 상기 반사부에서 스크린까지의 광경로를 제2광경로라 할 시, 상기 제1광경로와 상기 제2광경로 사이의 각은 예각인, 프로젝터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원에 대한 상기 반사부의 각도를 고정한 채, 상기 방출원과 상기 반사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프로젝터 시스템.
KR1020110076725A 2011-08-01 2011-08-01 프로젝터 시스템 KR101284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725A KR101284845B1 (ko) 2011-08-01 2011-08-01 프로젝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725A KR101284845B1 (ko) 2011-08-01 2011-08-01 프로젝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953A true KR20130014953A (ko) 2013-02-12
KR101284845B1 KR101284845B1 (ko) 2013-07-10

Family

ID=47894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6725A KR101284845B1 (ko) 2011-08-01 2011-08-01 프로젝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4845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2156A (ja) * 2003-02-20 2004-09-09 Nec Viewtechnology Ltd 投射表示装置
KR100765765B1 (ko) * 2005-11-15 2007-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터/프로젝션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4845B1 (ko) 201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3947B2 (en) Directional flat illuminators
US9753361B2 (en) Transparent display including a screen with patterned light deflective elements
KR20200123175A (ko) 지향성 백라이트
JP2012093506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6030578B2 (ja) 光源制御装置及び映像表示装置
TWI610121B (zh) 投影系統與照明系統
JP6361828B2 (ja) 空中映像表示装置
CN114460759A (zh) 显示方法及显示装置
JP2015055856A (ja) 背面投射型表示装置
JP2017142284A (ja) 表示装置及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EP1202079A2 (en) Projection system
JP5309980B2 (ja) プロジェクタ
CA2378827A1 (en) Projection system
KR101284845B1 (ko) 프로젝터 시스템
JP3658246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投影装置
US8696183B2 (en) Backlight module
TWI391772B (zh) 影像顯示裝置
CN115079437A (zh) 导光板器件
JP5975089B2 (ja) 投射光学系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3652012B2 (ja) 自動焦点検出用の投光系
US6873470B2 (en) Arrangement for the visualization of information in a motor vehicle
KR20210080130A (ko) 다중 홀로그래픽 구현 장치
JPWO2018043713A1 (ja) 虚像表示装置
US11982823B2 (en) Light guide plate device including optical path changer
KR101290237B1 (ko) 공간 영상 투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