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4738A - 농업 및 원예 혹은 각종 구역 지정 및 표시를 위한 땅 속에서 지지가 되는 막대기 - Google Patents

농업 및 원예 혹은 각종 구역 지정 및 표시를 위한 땅 속에서 지지가 되는 막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4738A
KR20130014738A KR1020110076376A KR20110076376A KR20130014738A KR 20130014738 A KR20130014738 A KR 20130014738A KR 1020110076376 A KR1020110076376 A KR 1020110076376A KR 20110076376 A KR20110076376 A KR 20110076376A KR 20130014738 A KR20130014738 A KR 20130014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oot
shaft
reverse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6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태섭
Original Assignee
현태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태섭 filed Critical 현태섭
Priority to KR1020110076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4738A/ko
Publication of KR20130014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7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2Stak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2Stakes
    • A01G9/124Means for holding stakes upright in, on, or beside po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4Piles with prefabricated supports or anchoring parts; Anchoring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1Posts therefor with hollow cross s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기둥형으로써 속이 비어있는 파이프관(10)의 속이 빈 내부에 파이프관(10)의 안지름에 맞는 지름의 원기둥 하면 중앙에 돌출된 원기둥형의 축을 구비하여 이를 정면에서 보았을 시 알파벳 T자와 같은 형상으로 구성된 벌림축(20)을 통해 다수의 원형 패턴으로써 벌림축(20)이 힘 전달봉(30)에 의해 밀려서 힘을 전달하면 지렛대의 원리로 인해 땅 속에서 벌려져 지지가 되도록 구성한 근부(40)가 벌려지도록 구성하였고, 힘을 전달해주는 원기둥형으로 구성된 상기 힘 전달봉(30)이 역근나사(60)에서 받은 힘을 전달하여 벌림축(20)을 밀고, 밀린 벌림축(20)은 접혀있던 근부(40)를 밀어 근부(40)가 벌려지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고 상기 힘 전달 봉(30)으로 힘을 전달하기위해 파이프관(10) 상단에 구성되어 있는 너트축(50)에 돌려 끼울 수 있도록 파이프관의 외경면적과 동일한 크기의 원기둥으로써 볼트 형으로 나사 패턴을 파고 사용자가 쉽게 돌릴 수 있도록 기둥의 측면에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의 역근나사(60)가 구비되어 파이프관(10)을 땅에 꼽은 후 역근나사(60)를 돌리면 역근나사(60)가 너트축(50)으로 인해 파이프관(10)으로 들어가면서 힘 전달 봉(30)이 밀리고 힘 전달 봉(30)이 밀리면서 벌림축(20)을 밀어 힘을 전달하면 벌림축(20)이 땅에 꼽혀있는 파이프관(10)의 하단에 있는 근부(40)를 벌림축(20)이 밀어 지렛대의 원리로 조금씩 벌려지게 함으로써 벌려진 근부(40)가 파이프관(10)을 지지하여 와부적인 힘이나 자연 재해에 의해 쉽게 뽑혀지지 않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울타리를 설치하거나 덩굴형 식물을 심어 기를 때 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본 발명이 기상악화나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쉽게 쓰러지거나 뽑히지 않아 덩굴형 식물의 경우 막대기가 쓰러지거나 뽑히면서 자연적으로 눕혀지거나 뭉개어지게 되어 재배가 원활히 되지 않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고 보호구역등에서 설비가 망가지지 않기 때문에 그 안에 있던 야생동물들이 탈출하거나 외부에서 작물이나 가축을 잡아먹는 야생동물, 기생충 등이 들어올 수 있었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존 기술에서는 볼 수 없는 접이식의 지지축이 있기 때문에 쉽게 쓰러지거나 뽑히지 않고 상기의 장점으로 인해 덩굴형의 작물 재배에 있어서 작물이 감고 있던 막대기가 쓰러지지 않음으로써 흉작으로 작물이 죽어 버리거나 다음 해를 위한 거름으로 전락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물의 폭등, 폭락을 방지하여 보다 원활한 농수산물의 거래가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야생동물 보호구역이나 접근 제한구역의 경계를 보다 더 확실히 다질 수 있어 그럴 수 있음으로써 보호 중인 야생동물이 탈출하거나 그 안으로 기생충, 전염병, 밀렵꾼들이 침투하지 않게 되고 접근 제한구역의 경계를 보다 더 명확히 하여 그 안으로 사람이 접근하여 목숨을 잃거나 큰 사고가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방지할 수도 있는 특징을 향상 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농업 및 원예 혹은 각종 구역 지정 및 표시를 위한 땅 속에서 지지가 되는 막대기 {A stick, which can insert into ground for agriculture, horticulture, designating sector or indicating something}
본 발명은 농업과 원예를 할 때 덩굴형 식물을 지지할 수 있는 막대 혹은 위험구역, 보호구역, 제한구역 등 각종 구역 지정 및 표시를 위한 막대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땅 속에서 펼칠 수 있는 뿌리형의 근부를 포함하여 땅 속에서 지지가 되게 할 수 있는 장치와 근부를 펴게 할 수 있도록 힘을 전달한 장치를 구비한 근 막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울타리를 감아 각종 보호구역을 표시하거나 혹은 덩굴형 식물을 심어 기르는 막대기를 구비할 때에 있어서 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종래의 막대가 기상악화나 외부의 힘에 의해 쉽게 쓰러지거나 뽑혀서 덩굴형 식물의 경우 막대기가 쓰러지거나 뽑히면서 자연적으로 눕혀지거나 뭉개어지게 되어 재배가 원활히 되지 않고 보호구역 및 제한구역 등에서 설비가 망가져 그 안에 있던 야생동물들이 탈출하거나 외부에서 작물이나 가축을 잡아먹는 야생동물, 기생충 등이 들어올 수 있었으며 해당 구역 안에서 사고 및 상해가 발생할 수 있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명세서의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상기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 울타리를 설치하거나 덩굴형 식물을 심어기를 때 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종래의 막대기가 기상악화나 인위적인 요인에 의해 쉽게 쓰러지거나 뽑혀 덩굴형 식물의 경우 막대기가 쓰러지거나 뽑히면서 자연적으로 눕혀지거나 뭉개어지게 되어 재배가 원활히 되지 않고 보호구역등에서 설비가 망가져 그 안에 있던 야생동물들이 탈출하거나 외부에서 작물이나 가축을 잡아먹는 야생동물, 기생충 등이 들어올 수 있었던 문제점에 의해 울타리나 덩굴형 식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막대기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는 도구의 상단 축을 돌리면 하단에 있는 다수의 뿌리축이 벌어져 땅 속에서 펼쳐 지지현상을 일으키면서 기상악화나 다른 자연적 요인으로도 쓰러지지 않는 경계표시용 막대기를 구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원기둥형으로써 속이 비어있는 파이프관(10)의 속이 빈 내부에 파이프관(10)의 안지름에 맞는 지름의 원기둥 하면 중앙에 돌출된 원기둥형의 축을 구비하여 이를 정면에서 보았을 시 알파벳 T자와 같은 형상으로 구성된 벌림축(20)을 통해 다수의 원형 패턴으로써 벌림축(20)이 힘 전달봉(30)에 의해 밀려서 힘을 전달하면 지렛대의 원리로 인해 땅 속에서 벌려져 지지가 되도록 구성한 근부(40)가 벌려지도록 구성하였고, 힘을 전달해주는 원기둥형으로 구성된 상기 힘 전달봉(30)이 역근나사(60)에서 받은 힘을 전달하여 벌림축(20)을 밀고, 밀린 벌림축(20)은 접혀있던 근부(40)를 밀어 근부(40)가 벌려지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고 상기 힘 전달 봉(30)으로 힘을 전달하기위해 파이프관(10) 상단에 구성되어 있는 너트축(50)에 돌려 끼울 수 있도록 파이프관의 외경면적과 동일한 크기의 원기둥으로써 볼트 형으로 나사 패턴을 파고 사용자가 쉽게 돌릴 수 있도록 기둥의 측면에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의 역근나사(60)가 구비되어 파이프관(10)을 땅에 꼽은 후 역근나사(60)를 돌리면 역근나사(60)가 너트축(50)으로 인해 파이프관(10)으로 들어가면서 힘 전달 봉(30)이 밀리고 힘 전달 봉(30)이 밀리면서 벌림축(20)을 밀어 힘을 전달하면 벌림축(20)이 땅에 꼽혀있는 파이프관(10)의 하단에 있는 근부(40)를 벌림축(20)이 밀어 지렛대의 원리로 조금씩 벌려지게 함으로써 벌려진 근부(40)가 파이프관(10)을 지지하여 와부적인 힘이나 자연 재해에 의해 쉽게 뽑혀지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파이프관(10)을 땅에 꼽은 후 역근나사(60)를 돌리면 역근나사(60)가 너트축(50)으로 인해 파이프관(10)으로 들어가면서 힘 전달 봉(30)이 밀리고 힘 전달 봉(30)이 밀리면서 벌림축(20)을 밀어 힘을 전달하면 벌림축(20)이 땅에 꼽혀있는 파이프관(10)의 하단에 있는 근부(40)를 벌림축(20)이 밀어 지렛대의 원리로 조금씩 벌려지게 함으로써 벌려진 근부(40)가 파이프관(10)을 지지하여 쉽게 뽑혀지지 않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울타리를 설치하거나 덩굴형 식물을 심어 기를 때 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본 발명이 기상악화나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쉽게 쓰러지거나 뽑히지 않아 덩굴형 식물의 경우 막대기가 쓰러지거나 뽑히면서 자연적으로 눕혀지거나 뭉개어지게 되어 재배가 원활히 되지 않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고 보호구역등에서 설비가 망가지지 않기 때문에 그 안에 있던 야생동물들이 탈출하거나 외부에서 작물이나 가축을 잡아먹는 야생동물, 기생충 등이 들어올 수 있었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존 기술에서는 볼 수 없는 접이식의 지지축이 있기 때문에 쉽게 쓰러지거나 뽑히지 않고 상기의 장점으로 인해 덩굴형의 작물 재배에 있어서 작물이 감고 있던 막대기가 쓰러지지 않음으로써 흉작으로 작물이 죽어 버리거나 다음 해를 위한 거름으로 전락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물의 폭등, 폭락을 방지하여 보다 원활한 농수산물의 거래가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야생동물 보호구역이나 접근 제한구역의 경계를 보다 더 확실히 다질 수 있어 그럴 수 있음으로써 보호 중인 야생동물이 탈출하거나 그 안으로 기생충, 전염병, 밀렵꾼들이 침투하지 않게 되고 접근 제한구역의 경계를 보다 더 명확히 하여 그 안으로 사람이 접근하여 목숨을 잃거나 큰 사고가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방지할 수도 있는 특징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도1은 발명의 모든 구성요소를 나타낸 분리 등각 투상도
도2는 발명에 관한 원리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
도3은 발명을 실현하는데 있어서 근부(40)를 접고 역근나사(60)의 힘 전달 이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4는 발명을 실현하는데 있어서 근부(40)를 펴고 역근나사(60)의 힘 전달 이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5는 발명을 설명하는 부호에 있어서 근부(40)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등각 투상도
도6은 발명을 설명하는 부호에 있어서 역근나사(60)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등각 투상도
도7은 발명을 설명하는 부호에 있어서 파이프관(10)의 종속 부호를 나타낸 부분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 발명의 각 부호와 도면에 상기된 내용을 참고로 발명을 실현하는데 있어서 각 부호의 역할과 발명의 실시예를 토대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원기둥형의 기둥으로써 벌림축(20)과 힘 전달봉(30)을 포함하기 위하여 속이 비어있고 땅에 심어 근부(40)가 벌어지게 하기 위해 구성된 역근나사(60)가 돌아가 힘 전달봉(30)에 힘을 전달 하게 할 수 있도록 상단 내부에 역근나사(60)의 볼트의 나사산 지름과 일치하도록 구성된 너트축(50)을 포함한 파이프관(10)은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땅에 심을 때 근부(40)가 용이하게 들어가고 역근나사(60)에 의해 용이하게 땅속에서 벌려질 수 있도록 하게 하기위해 하단 끝부분이 뾰족하게 돌출되어 있고 근부(40)를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도록 하게 하기 위하여 다수의 홈을 파 놓아 근부(40)가 접었다 폈다 하게 할 수 있어서 땅에 꽂아 심어 사용할 때 그것을 보다 더 용이하게 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근부(40)를 고정하게 할 수 있도록 홈 하단에 이음구멍(11)을 구성하고 근부(40)의 움직임을 유연하게 하여 인위적인 힙으로 뽑을 때에 한해서 쉽게 뽑힐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관(10)의 이음구멍(11)을 기준으로 하단까지 근부(40)의 굵기에 맞는 넓이로써 일자로 파이도록 구성한 근부 수납 홈(12)을 구성하였다.
근부(40)를 벌려 본 발명의 의한 내용을 실현하게 위함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관(10)의 속이 빈 내부에 파이프관(10)의 내경지름에 맞는 지름의 원기둥 하면 중앙에 돌출된 원기둥형의 축을 구비하여 이를 정면에서 보았을 시 알파벳 T자와 같은 형상으로 구성된 벌림축(20)은 역근나사(60)의 압력을 받은 힘 전달봉(30)에 의해 밀어지면서 근부(40)를 밀어내도록 하여 근부(40)가 땅 속에서 벌어지도록 하게 하여 발명에 구성된 장치가 발명에 의한 목적이 실현되게 하게 할 수 있도록 근부(40)를 밀어주는 역할을 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역근나사(60)의 힘을 받아 벌림축(20)에 전달하여 근부(40)가 벌려지게 하여 발명이 추구한 목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있어서 힘 전달봉(30)은 원기둥으로 구성되어 파이프관(10)의 안지름에 맞게 하도록 구성되어 벌림축(20)에 힘을 보다 더 잘 전달하기 위해 구성하였고, 벌림축(20)이 근부(40)에 도달하여 근부(40)가 벌어지게 하게 할 수 있도록 역근나사(60)로부터 벌림축(20)까지 그 거리가 도달하게 할 수 있는 길이로써 구성된다.
또한 다수의 원형 패턴으로써 파이프관(10)에 구성되도록 하고 벌림축(20)이 힘 전달봉(30)에 의해 밀려서 힘을 전달하면 지랫대의 원리로 인해 땅 속에서 벌려져 지지가 되도록 구성한 근부(40)는 지렛대의 원리로써 역근나사(60)로부터 힘 전달봉(30)을 통해 힘을 전달받은 벌림축(20)의 힘을 받아 땅 속에서 벌려지도록 하게 하기위해 직각 삼각형의 형상으로 비스듬한 부분이 파이프관(10)에 구성된 홈에 들어가도록 구성하였고 상기 파이프관(10)에 원활히 접혀지면서도 파이프관(10)을 땅에 박아서 심을 때 저항완화 및 이물질 끼임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장치를 제작할 시 상기 근부(40)를 끼울 때 구성된 근부 수납 홈(12)의 방향으로 접어 본 발명을 실현하기 전에는 근부(40)의 전체적인 모습이 보이지 않도록 구성하고 또한 벌림축(20)의 힘을 받게 하기 위하여 비스듬한 쪽이 파이프관(10)의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하고 파이프관(10)에 구성된 이음구멍(11)에 끼워 고정시키기 위해 수평으로 구성 된 면 중 작은 면에 수납 돌출부(41)를 형성하고 수납 돌출부(41)의 중앙 원심에 근부 수납 돌출부(42)을 구성하여 끼울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상기 힘 전달봉(30)으로 힘을 전달하기위해 파이프관(10) 상단에 구성되어 있는 너트축(50)에 돌려 끼울 수 있도록 상단의 지름이 파이프관(10)의 외경면적과 동일한 크기의 원기둥으로써 하단에 볼트형의 나사산 및 피치를 구성하고 사용자가 잡아 쉽게 돌릴 수 있도록 기둥의 측면에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의 파임부(61)가 구성되어 있는 역근나사(60)는 파이프관(10)을 땅에 심어 박은 후 이를 돌리면 상기 역근나사(60)의 나사산이 너트축(50)의 나사산에 들어가면서 힘을 형성하여 힘 전달봉(30)이 밀리고 힘 전달봉(30)이 밀리면서 벌림축(20)을 밀어 힘을 전달하면 벌림축(20)이 땅에 꼽혀있는 파이프관(10)의 하단에 구성되어 있는 근부(40)를 벌림축(20)이 밀게 하여 지렛대의 원리로 조금씩 벌려지게 함으로써 벌려진 근부(40)가 파이프관(10)을 지지하여 쉽게 뽑혀지지 않도록 하단의 지름이 파이프관(10)의 내경면적과 일치하도록 구성하고 나사산이 구성되어 너트축(50)에 들어가면서 힘이 전달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상과 같은 내용으로 발명의 실시예는 지지를 해야 하는 물체를 지지하는 데에 있어서 지지대가 쓰러지거나 뽑히지 않고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농원을 가꾸고 있는 농업 종사자들이 덩굴형의 식물을 재배할 때 태풍이나 자연적 요인에 의해 작물 등이 쓰러지지 않아 용이하게 지탱할 수 있고 혹은 개발 제한구역 혹은 접근 제한구역 등을 지정하여 설정할 때에도 종래에 비특허 문헌으로써 나와 있는 그물 울타리를 걸어 여러 개를 구비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하여 야생동물 보호구역 등에서도 보호 중인 야생동물이 빠져나오지 않고 밀렵꾼이나 인명 및 보호구역 외 동물 등이 침투하지 않게 하는 목적에서 이용할 수 있고 원예 등을 할 때에도 지지축이 쓰러지거나 뽑히지 않기 때문에 키우는 식물이 죽지 않게끔 할 수 있다. 그 외 치안구역의 설정 혹은 개인 사유의 토지임을 증명할 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은 상기된 발명의 효과에서 구체적으로 진술한바 이상에서 진술하던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어 농업 혹은 환경보호의 방안 혹은 제한구역의 설정 혹은 보호구역의 설정 혹은 원예 등 지지 및 구역 지정 막대기를 이용해야하는 분야에서 널리 이용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에서 언급하지 않은 1,2차 산업은 물론 행정과 치안 등에서도 널리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이 기술과 이 기술에 관한 발명은 일정한 크기 및 규격에 제한을 두지 않고 산업상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에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더 넓은 범위에서 다양한 크기 및 규격으로 생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10; 파이프관
11; 이음구멍
12; 근부 수납 홈
20; 벌림축
30; 힘 전달봉
40; 근부
41; 수납 돌출부
42; 근부 수납 돌출부
50; 너트축
60; 역근나사
61; 파임부

Claims (5)

  1. 도 1에 있어서 원기둥형의 기둥으로써 벌림축(20)과 힘 전달봉(30)을 포함하기 위하여 속이 비어있고 땅에 심어 근부(40)가 벌어지게 하기 위해 구성된 역근나사(60)가 돌아가 힘 전달봉(30)에 힘을 전달 하게 할 수 있도록 상단 내부에 역근나사(6)의 볼트의 나사산 지름과 일치하도록 구성된 너트축(50)을 포함하고 근부(40)를 고정하게 할 수 있도록 홈 하단에 이음구멍(11)을 구성한 파이프관(10);
    혹은 도 1에 있어서 원기둥형의 기둥으로써 벌림축(20)과 힘 전달봉(30)을 포함하기 위하여 속이 비어있고 땅에 심어 근부(40)가 벌어지게 하기 위해 구성된 역근나사(60)가 돌아가 힘 전달봉(30)에 힘을 전달 하게 할 수 있도록 상단 내부에 역근나사(6)의 볼트의 나사산 지름과 일치하도록 구성된 너트축(50)을 포함하고 근부(40)의 움직임을 유연하게 하여 인위적인 힙으로 뽑을 때에 한해서 쉽게 뽑힐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관(10)의 이음구멍(11)을 기준으로 하단까지 근부(40)의 굵기에 맞는 넓이로써 일자로 파이도록 구성한 근부 수납 홈(12)을 구성한 파이프관(10);
  2. 청구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관(10)의 속이 빈 내부에 파이프관(10)의 내경지름에 맞는 지름의 원기둥 하면 중앙에 돌출된 원기둥형의 축을 구비하여 이를 정면에서 보았을 시 알파벳 T자와 같은 형상으로 구성된 벌림축(20);
  3. 청구 제 1항에 있어서 원기둥으로 구성되어 파이프관(10)의 내경지름에 맞게 하도록 구성되어 벌림축(20)에 힘을 보다 더 잘 전달하기 위해 구성하였고, 벌림축(20)이 근부(40)에 도달하여 근부(40)가 벌어지게 하게 할 수 있도록 역근나사(60)로부터 벌림축(20)까지 그 거리가 도달하게 할 수 있는 길이로써 구성된 힘 전달봉(30);
  4. 청구 제 1항에 있어서 다수의 원형 패턴으로써 파이프관(10)에 구성되도록 하고 직각 삼각형의 형상으로 비스듬한 부분이 파이프관(10)에 구성된 홈에 들어가도록 구성하였고 상기 파이프관(10)에 원활히 접혀지면서도 파이프관(10)을 땅에 박아서 심을 때 저항완화 및 이물질 끼임을 방지하기 위해 끼울 때 구성된 근부 수납 홈(12)의 방향으로 접어 본 발명을 실현하기 전에는 전체적인 모습이 보이지 않도록 구성하고 또한 벌림축(20)의 힘을 받게 하기 위하여 비스듬한 쪽이 파이프관(10)의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하고 파이프관(10)에 구성된 이음구멍(11)에 끼워 고정시키기 위해 수평으로 구성 된 면 중 작은 면에 수납 돌출부(41)를 형성하고 수납 돌출부(41)의 중앙 원심에 근부 수납 돌출부(42)을 구성하여 끼울 수 있게 한 근부(40);
  5. 청구 제 1항에 있어서 파이프관(10) 상단에 구성되어 있는 너트축(50)에 돌려 끼울 수 있도록 상단의 지름이 파이프관(10)의 외경면적과 동일한 크기의 원기둥으로써 하단에 볼트형의 나사산 및 피치를 구성하고 사용자가 잡아 쉽게 돌릴 수 있도록 기둥의 측면에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의 파임부(61)가 구성되어 있는 역근나사(60);
KR1020110076376A 2011-08-01 2011-08-01 농업 및 원예 혹은 각종 구역 지정 및 표시를 위한 땅 속에서 지지가 되는 막대기 KR201300147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376A KR20130014738A (ko) 2011-08-01 2011-08-01 농업 및 원예 혹은 각종 구역 지정 및 표시를 위한 땅 속에서 지지가 되는 막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376A KR20130014738A (ko) 2011-08-01 2011-08-01 농업 및 원예 혹은 각종 구역 지정 및 표시를 위한 땅 속에서 지지가 되는 막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738A true KR20130014738A (ko) 2013-02-12

Family

ID=47894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6376A KR20130014738A (ko) 2011-08-01 2011-08-01 농업 및 원예 혹은 각종 구역 지정 및 표시를 위한 땅 속에서 지지가 되는 막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473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65593A (zh) * 2015-10-21 2015-12-23 苍南海鹏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坛紫菜养殖专用耐腐蚀铝合金插杆
KR101707582B1 (ko) 2016-02-25 2017-02-16 주식회사 디에이치아이 교정판이 구비된 농업용 비닐하우스 지지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65593A (zh) * 2015-10-21 2015-12-23 苍南海鹏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坛紫菜养殖专用耐腐蚀铝合金插杆
CN105165593B (zh) * 2015-10-21 2018-03-13 苍南海鹏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坛紫菜养殖专用耐腐蚀铝合金插杆
KR101707582B1 (ko) 2016-02-25 2017-02-16 주식회사 디에이치아이 교정판이 구비된 농업용 비닐하우스 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5071B2 (en) Enclosing vegetative sheath
US5479741A (en) Vegetation maintenance system
US5245878A (en) Vegetation maintenance system
US7627982B2 (en) Plant watering and feeding device
GB2480610A (en) Flexible tubing arranged on a support structure for growing plants
US20180255715A1 (en) Modular Versatile Plant Protection System
KR20130014738A (ko) 농업 및 원예 혹은 각종 구역 지정 및 표시를 위한 땅 속에서 지지가 되는 막대기
US5495692A (en) Root protection apparatus
Love et al. Tree seedling establishment in living fences: a low-cost agroforestry management practice for the tropics
DE69922401T2 (de) Vorrichtung zum umpflanzen und pflegen von bäumen, sträuchern und blumen
KR100914255B1 (ko) 가지유인기
JP4687213B2 (ja) 法面緑化構造物
US20170118928A1 (en) Subsurface Water, Air and/or Nutrient Delivery Tube
CN101946659B (zh) 屏障法防治地下害虫危害作物幼苗的方法
CN206808261U (zh) 一种树根保护装置
DE202019106631U1 (de) Pflanzenschutzvorrichtung
JP2007516710A (ja) 侵入防止の植物性の防御垣根の装置、およびその実施方法
US20030024156A1 (en) Squirrel combaton
CN215912736U (zh) 一种柱子顶端钢丝夹
JPH0642453Y2 (ja) 植物扶助柵
CN215582767U (zh) 一种用于野外树苗种植栽培的遮阴架
DE3734074C2 (ko)
CN213719064U (zh) 一种果树防霜罩
EP3886569B1 (en) Arbor stake stabilization member
CN206433491U (zh) 一种市政园林用植物支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