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4735A - 피에스엔 보철용 임플란트 지대치 - Google Patents

피에스엔 보철용 임플란트 지대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4735A
KR20130014735A KR1020110076373A KR20110076373A KR20130014735A KR 20130014735 A KR20130014735 A KR 20130014735A KR 1020110076373 A KR1020110076373 A KR 1020110076373A KR 20110076373 A KR20110076373 A KR 20110076373A KR 20130014735 A KR20130014735 A KR 20130014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implant
artificial tooth
prosthesis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6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희
Original Assignee
한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희 filed Critical 한성희
Priority to KR1020110076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4735A/ko
Publication of KR20130014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7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dditional friction enhan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7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ternal threads

Abstract

본 발명은 피에스엔 보철용 임플란트 지대치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구현의 목적은, 인공치아와, 지대치 결합 연결라인(미세간극)을 치은연(잇몸경계선) 위에 위치되게 하여, 치태(plaque)의 생성과, 염증발생 등의 원인을 예방토록 하고, 아울러, 용이한 치태 관리를 통해, 보다 청결하게 구강위생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임플란트 시술 후, 장기적인 예후를 또한 좋게 할 수 있도록 한 피에스엔 보철용 임플란트 지대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픽스처가 포함되는 공지의 임플란트를 기초로 하여, 여기에, 고정부재를 갖는 지대치와, 체결홈이 형성된 인공치아를 적용시키고, 그 지대치와 인공치아의 연결관계를 접착 레진 시멘트를 이용한. 삽입식 본딩 처리구조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Description

피에스엔 보철용 임플란트 지대치{Implant abutment tooth}
본 발명은 임플란트 지대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임플란트 보철물(인공치아)과, 지대치 결합부위의 2차 미세간극을 치은상에 위치되게 하여, 치태(plaque)의 생성과, 그 치태의 침착으로 인한 염증발생 등의 원인을 예방하고, 그에 따라, 보다 청결하게 구강위생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치태 관리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피에스엔 보철(PSN : Prosthodontic procedure Similar to that of Natural teeth)용 임플란트 지대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는 음식물을 잘게 부수어 타액과 골고루 섞이게 하는 저작기능과, 혀,입술과 조화를 이루어 소리를 내는 발음기능, 그리고, 제2의 얼굴이라 일컬으며 혀,악골, 안면근 등과 조화를 이루는 심미적 기능 등, 크게 세가지 정도의 함축된 기능을 갖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기능의 치아가 상실될 경우, 그 치아 상실자는 섭취한 음식물에 대해, 제대로 씹는 힘을 부여하지 못하게 되므로, 입맛과 식욕감소는 물론, 치명적인 소화장애 등으로 인해, 건강이 악화 될 수밖에 없는 것이며, 특히, 치아가 상실된 부위에 반복적으로 음식물이 닿으며 치주염을 유발하고, 여기에 더하여, 주변치아에도 무리가 가해져 턱관절 장애 등을 일으키게 되는 등, 이렇듯, 치아상실은 인체건강에 매우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 임상 기술분야의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 그리고, 그에 따른 눈부신 발전의 영향으로 인해, 치아상실이 가져오는 건강상의 문제점 또한, 비교적 경제적으로, 손쉽게 극복할 수 있게 된 현실인바, 이에, 이와 같은, 문제극복을 현실화시킨 대표적인 술식 중의 한 분야로써, 임플란트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실정임을 알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임플란트는, 치아의 고유기능인 저작, 발음, 심미 등의 기능을 자연 치아와 거의 동일한 형태로 재현해 내고 있는 것으로, 그 대표성을 인정하는데 결코 부족함이 없기 때문이라 할 것이다.
이에, 치아가 상실된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되는, 일반적인 임플란트의 구성 및 그 시술방법의 일예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먼저, 임플란트는, 자연치아의 뿌리부분에 해당하는 픽스처(Fixture)와, 상기 픽스처(Fixture)와, 인공치아를 연결시켜 주는 지대치(Abutment), 그리고, 심미적 기능을 담당하는 인공치아로, 구성된다.
또한, 이와 같은, 기구적 구성을 갖는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시술을 행함에 있어서는, 먼저, 치아가 상실된 부위의 잇몸을 절개한 후, 드릴링(drilling)을 통해 턱뼈에 픽스처(Fixture)가 심어질 공간(holl)을 가공하고, 그 가공된 공간에 픽스처를 나사체결 방식으로 식립한다.
이어, 상기 식립된 픽스처가 수용되도록 절개된 잇몸을 봉합하여, 일정 기간 동안, 턱뼈와 픽스처 사이에 골 유착 과정이 진행되도록 한다.
이후, 골 유착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봉합된 잇몸을 재개방하여, 픽스처의 단부를 노출시키고, 그 노출된 픽스처 상부에 지대치를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시키며, 재차, 상기 지대치가 노출된 형태로, 상기 재개방된 잇몸을 봉합처리 한다.
또한, 이와 같이, 지대치가 픽스처에 연결된 상태하에, 마지막 과정으로, 보철물, 예컨대, 인공치아를 가공하고, 그 가공된 인공치아를 상기 지대치에 견고히 결합, 고정되게 함으로써, 일련의 임플란트 시술과정을 마무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이와 같은, 임플란트 시술에 있어, 성공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갖는 것은, 임플란트 표면과 잇몸을 연결하는 조직 내의 세균막과, 상피세포의 성장둔화를 저지되게 하는 것에 있고, 특히, 여기서, 상피세포의 성장둔화는, 통상적으로 유침형 타입(Submerged Type)에서 계속 진행되는 경향이 있는 것인바, 이러한 원인은 임프란트 본체(픽스처)와 임프란트 지대치간 결합에 의해 발생되는 1차 미세간극의(Microgap)의 위치에 의해 좌우가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침형 타입(Submerged Type)으로 시술된 임플란트는, 임플란트 본체에 해당되는 픽스처와 지대치 간의 결합부위에 해당하는 1차 미세간극이, 치은연 아래(잇몸경계선 아래의 조직내)에 위치하게 되므로, 이에, 치조정 부위에 치태(plaque)가 생성되고, 그 생성된 치태로 인해 염증이 유발됨은 물론, 상피포켓(Epithelial pocke) 또한 깊어지게 되어, 구강위생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주는 것이다.
그러나, 이에 반해, 노 유침형 타입(non-submerged type)으로, 시술된 임플란트에 있어서는, 1차 미세간극이 조직의 바깥에 위치하게 되어, 구강위생을 유지하기 좋으며, 전술한 유침형 타입(Submerged Type)으로 시술된 임플란트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하지만, 임플란트 시술에 있어, 특히, 임상적으로 보다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것은, 픽스처와 지대치 연결 부위에 생기는 1차 미세간극보다 지대치와, 임프란트 보철물(인공치아)에 생기는 2차 미세간극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임플란트는, 상기 지대치와, 임프란트 보철물(인공치아)의 결합에 의해 발생되는 2차 미세간극이, 전술한 유침형 타입(Submerged Type)과 같은 형태로써, 치은연 아래(잇몸경계선 아래의 조직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인바, 따라서 치주질환에 민감한 환자들의 경우, 상기 2차 미세간극이 조직안에 위치함에 따른, 치태(plaque)의 생성과, 그 치태의 침착으로 인한 염증발생 등의 원인으로, 식립된 인플란트 본체가 치경부 외부로 노출되는 등, 심미적으로 매우 치명적인 문제점 함께, 합병증 또한 유발되게 하는 등, 매우, 심각한 구조상의 문제점을 상존되게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임플란트의 구조 및 체결 조립방법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임플란트 보철물(인공치아)과, 지대치 결합 연결라인(미세간극)을 치은연(잇몸경계선) 위, 예컨대, 치조정 부위의 조직 바깥에 위치되게 하여, 일정한 여백을 형성되게 함으로써, 치태(plaque)의 생성과, 그 치태의 침착으로 인한 염증발생 등의 원인을 예방토록 하고, 용이한 치태관리를 통해, 보다 청결하게 구강위생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지대치의 가변적 설계구성에 따라 인공치아 결합시 잇몸간섭 등을 예방되게 하여, 임플란트 지대치를 임플란트 본체에 연결하는 시술시에 어떠한 경우라도 국소마취를 하지 않고 임플란트 지대치를 임플란트 본체에 출헐없이 시술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임플란트 보철물을 임플란트 지대치에 세팅시에 시멘트의 제거를 완전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여, 추후에 잔존 시멘트로 인한 임플란트 주위염을 예방할 수가 있도록 하며, 여기에, 더하여, 상기와 같은, 염증예방과 청결한 구강위생 유지를 통해 합병증의 유발을 방지되게 함에 따라, 임플란트 시술 후, 장기적인 예후 또한 좋게 할 수 있도록 한 피에스엔 보철용 임플란트 지대치를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임플란트 지대치와, 인공치아(보철물)를 삽입식 본딩 체결구조로 연결되게 하여, 보다 간편하게 임플란트 시술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본딩 처리에 따른 미세틈새(지대치와 인공치아의 연결부위)의 보강기능으로 인해, 별도 나사체결홈의 형성과, 음식물의 저류 가능성을 배제시켜, 치태 발생률의 감소와 더불어 심미감을 향상되도록 하며, 여기에 더하여, 체결구조 단순화에 따른 부품제조비용의 절감과, 그 부품의 오차 가능성을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임플란트 시술을 행할 수 있도록 한 피에스엔 보철용 임플란트 지대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피에스엔 보철용 임플란트 지대치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픽스처가 포함되는 공지의 임플란트를 기초로 하여, 여기에, 고정부재를 갖는 지대치와, 체결홈이 형성된 인공치아를 적용시키고, 그 지대치와 인공치아의 연결관계를 접착 레진시멘트를 이용한. 삽입식 본딩 처리구조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피에스엔 보철용 임플란트 지대치는, 인공치아와 지대치의 결합 연결라인(미세틈새)을, 구강내 잇몸경계선 위, 예컨대, 치은연 상측에 위치되게 하여, 치태의 생성과, 그 치태의 침착으로 인한 염증발생 등의 원인을 예방하고, 용이한 치태 관리를 통해, 청결하게 구강위생을 유지되게 하며, 인공치아결합시 잇몸간섭 등에 의한 2차 시술의 시행을 원천적으로 방지되게 하여, 임플란트 시술 후, 장기적인 예후를 좋게 한 것이고;
또 다르게, 지대치와, 인공치아를 삽입식 본딩 체결구조로 연결하여, 보다 간편하게 임플란트 시술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본딩 처리에 따른 미세틈새(지대치와 인공치아의 연결부위)의 보강기능으로 인해, 음식물의 저류 가능성 및 치태 발생률을 감소되게 한 것이며, 특히, 이와 같은, 체결구조의 단순화로 인해 부품제조비용의 절감과, 그 부품의 오차 가능성을 대폭 줄일 수 있게 한 것으로,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에스엔 보철용 임플란트 지대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에스엔 보철용 임플란트 지대치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에스엔 보철용 임플란트 지대치의 식립상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분확대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지대치의 적용위치별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피에스엔 보철용 임플란트 지대치의 바람직한 실시예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픽스처(Fixture)(1)와, 지대치(Abutment)(2), 그리고, 인공치아(3)로 이루어지는 임플란트(100)로 구성된다.
여기서, 먼저 임플란트(100) 구성에 있어, 상기 픽스처(1)는, 자연치아의 뿌리부분에 해당하는 구성으로써, 이와 같은, 픽스처(1)는, 도 1 내지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형관체 구조를 취하며, 그 외경면에 식립나사부(11)를 형성하고, 상부면 중앙에, 암나사 구조의 지대치 연결공(12)을 구비하게 되는 것인바, 이는, 통상의 픽스처와 상이함이 없는 동일 구성을 갖는 것이다.
또한, 임플란트(100) 구성에 있어, 상기 지대치(2)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요지구성으로서, 이러한, 지대치(2)는, 하부면에 수나사 구조로 소정길이 돌출된 체결스크류(21)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체결스크류(21) 상부면에, 다이아몬드 바 형상을 취하며, 티타늄 재질에 의해 단일몸체 구조로 몰딩 성형된, 고정부재(22)를 일체로 더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와 같은, 지대치(2)에 있어서, 고정부재(22)는, 시술 환자의 잇몸높이별 구분, 예컨대, 상대적으로 잇몸이 높은 환자에게 적용될 경우에 있어서는, 도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 다이아몬드 바 형상으로 구성하고, 중간 정도의 잇몸높이를 갖는 환자에게 적용될 경우에 있어서는,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22) 중간부위에 소정의 연장길이(L)를 주어 형성하며, 또한, 잇몸높이가 낮은 환자에게 적용될 경우에 있어서는, 도 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22)의 중간부위 연장길이(L1)를 더 길게하여, 가변적 설계구성으로 형성하게 되는 것이며, 여기에, 더하여, 고정부재(22)의 외측면 둘레에는, 후술하는 인공치아(3)와의 접착 고정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도 1 내지 도 2 및 도 5 내지 도 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증강 요철홈(23)을 더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여기서, 상기 체결증강 요철홈(23)은 선택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모양, 그리고, 배치구성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단순한 설계변경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끝으로, 임플란트(100) 구성에 있어, 상기 인공치아(3)는, 금, 세렉, 피에프엠(PFM) 등의 재료로 형성되고, 임플란트 시술의 마지막 단계, 예컨대, 심미적 기능을 담당하는 통상의 구성으로써, 이에, 이와 같은, 인공치아(3)를 본 발명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기존의 나사체결공을 배제시킨 형태로 하여, 단지, 그 인공치아 내측 하부면에, 도 3 또는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은, 소정깊이의 체결홈(31)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임플란트 지대치를 이용한 일련의 시술방법에 대하여, 본원발명자는, 피에스엔 보철법(PSN : Prosthodontic procedure Similar to that of Natural teeth)이라 명칭을 부여한 것으로, 이에, 이와 같은, 피에스엔 보철용 임플란트 지대치의 상호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환자의 구강 내에 있어, 치아가 상실된 부위의 잇몸을 절개한 후, 시술용 탭 드릴에 의한 드릴링(drilling) 작업을 통해 잇몸 뼈에 픽스처(1)가 심어질 공간(holl)을 가공한다.
이어, 상기 잇몸 뼈의 가공된 공간에, 식립나사부(11)를 이용한 체결방식에 의해 픽스처(1)를 식립하고, 그와 같이, 픽스처(1)의 식립이 완료되면, 식립된 픽스처(1)가 수용되도록 절개된 잇몸을 봉합하여, 일정 기간 동안, 잇몸 뼈와 픽스처 (1)사이에 골 유착 과정이 진행되도록 한다.
이때, 픽스처(1)가 잇몸 내에 수용 봉합됨에 있어, 그 픽스처(1)의 지대치 연결공(12)으로는,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통상의 보조수단으로 커버스크류(도시생략)가 임시 체결된다.
이후, 상기 픽스처(1)에 골 유착과정이 완료되면, 봉합된 잇몸을 재개방하여, 픽스처(1)에 체결된 커버스크류를 분리하고, 그, 커버스크류가 분리된 지대치 연결공(12)에, 체결스크류(21)에 의한 나사체결방식으로 지대치(2)를 연결하며, 재차, 상기 연결된 지대치(2)가 노출되는 형태로써, 상기 재 개방된 잇몸을 봉합처리한다.
이어, 마지막 과정으로써, 픽스처(1)에 연결된 지대치(2)에, 또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홈(31)에 의한 삽입구조로, 인공치아(3)를 연결되게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련의 임플란트(100) 식립 결합관계를 마무리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또 다르게, 본 발명은 상기 지대치(2)에 인공치아(3)가 삽입연결됨에 있어, 그 연결부위인 체결홈(31)으로, 접착물질을 더 주입시켜, 지대치(2)와, 인공치아(3)가,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식 본딩 체결관계 갖도록 하는 특징을 더 부여하는 것으로, 이때, 사용되는 접착물질은, 구강내 용액에 대하여 불용성을 갖는 천연수지재의 접착물질, 예컨대, 접착 레진 시멘트(4)를 이용함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은, 접착 레진 시멘트(4)가 체결홈(31)에 주입될 경우, 지대치(2)에 형성된 체결증강 요철홈(23)은, 접착면적을 확대시켜, 인공치아(3)와의 결합, 고정력을 더욱 증대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치아가 상실된 구강내 잇몸에,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결합관계로 임플란트(100)가 식립될 경우, 상기 지대치(2)와 인공치아(3)의 결합부위, 예컨대, 그 연결라인은, 도 3 또는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내 치은연(잇몸)(200) 위에 위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연결위치의 특징은 본 발명에 있어, 가장 중요한 핵심적 구성결합 요소에 해당되는 것이며,
아울러, 환자의 잇몸높이에 따라 가변적 설계구성으로 형성되는 지대치(2)의 구조적 특성에 따라, 보철물(인공치아) 결합시, 잇몸간섭에 따른 2차 시술, 예컨대, 잇몸과 보철물(인공치아) 사이의 간섭 발생에 따른 잇몸 일부의 제거 등과 같은 시술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며, 시술의 편리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끝으로, 부연적 설명으로써, 상기 본 발명은, 지대치(2)와 인공치아(3)의 결합관계가, 기존의 나사체결 수단을 이용함 없이, 단지, 삽입식 본딩 체결관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인바, 따라서, 이러한, 지대치(2)와 인공치아(3)의 연결을, 드라이버, 나사 등과 같은, 별도 공구의 사용 없이, 단순한 수동식 장착구조에 의해 간편하게 결합되게 하는 또 다른 유기적 결합특징을 갖는 것이다.
1 : 픽스처 2 : 지대치 3 : 인공치아
4 : 접착 레진 시멘트 11 : 식립나사부 12 : 지대치 연결공
21 : 체결스크류 22 : 고정부재 23 : 체결증강 요철홈

Claims (4)

  1. 픽스처(1)와, 지대치(2), 그리고, 인공치아(3)로 이루어진 임플란트(100)에 있어서;
    상기 지대치(2)는, 하부면에 체결스크류(21)가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며, 그 체결스크류(21) 상부면에 다이아몬드 바 형상을 취하며 단일몸체 구조로 몰딩 성형된 고정부재(22)로 형성되고;
    상기 인공치아(3)는, 그 내측 하부면에, 상기 지대치(2)와 연결되는, 체결홈(31)이 형성되며;
    상기 지대치(2) 인공치아(3)의 연결관계는, 지대치(2)의 고정부재(22)를, 인공치아(3)의 체결홈(31)에 삽입시켜, 그 삽입부위에 접착물질을 주입하는, 삽입식 본딩 처리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플란트(100)를 구강 내로 식립시, 상기 지대치(2)와 인공치아(3)의 연결라인은, 치은연(200) 위에 위치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스엔 보철용 임플란트 지대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대치(2)는, 다이아몬드 바 형상을 취하는 고정부재(22)의 길이가, 식립되는 인공치아(3)의 종류별 구분에 따라 가변적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22)는, 그 외측면 둘레에, 다수개의 체결증강 요철홈(23)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스엔 보철용 임플란트 지대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대치(2)와 인공치아(3) 연결시, 이용되는 접착물질은, 접착 레진 시멘트임(4)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스엔 보철용 임플란트 지대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대치(2)와 인공치아(3)의 연결은, 별도 공구의 사용 없이, 수동식 장착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스엔 보철용 임플란트 지대치.
KR1020110076373A 2011-08-01 2011-08-01 피에스엔 보철용 임플란트 지대치 KR201300147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373A KR20130014735A (ko) 2011-08-01 2011-08-01 피에스엔 보철용 임플란트 지대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373A KR20130014735A (ko) 2011-08-01 2011-08-01 피에스엔 보철용 임플란트 지대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735A true KR20130014735A (ko) 2013-02-12

Family

ID=47894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6373A KR20130014735A (ko) 2011-08-01 2011-08-01 피에스엔 보철용 임플란트 지대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473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38860A (zh) * 2017-12-20 2019-06-28 北京德瑞森科技有限公司 一种过渡义齿
KR102069530B1 (ko) * 2019-11-20 2020-01-23 박성모 임플란트 어셈블리
KR20200060212A (ko) * 2018-11-21 2020-05-29 원화 싱 고정부분의치의 즉시보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38860A (zh) * 2017-12-20 2019-06-28 北京德瑞森科技有限公司 一种过渡义齿
KR20200060212A (ko) * 2018-11-21 2020-05-29 원화 싱 고정부분의치의 즉시보철
KR102069530B1 (ko) * 2019-11-20 2020-01-23 박성모 임플란트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8559B2 (en) Dental implant system
US8827704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dental implants
AU2012245763B2 (en) Healing abutment system for bone contouring
US5873721A (en) Implant abutment systems, devices, and techniques
US5419702A (en) Dental restoration on artificial root fixtures
US20050214714A1 (en) Dental implant system
WO1996025120A1 (en) Implant abutment systems, devices, and techniques
KR20060135786A (ko) 뼈에 사용하기 위한 앵커링 요소
KR100938991B1 (ko) 미니 임플란트.
KR20100121381A (ko) 풀림방지기능 및 미적 효과를 갖는 지르코니아 임플란트 지대주
KR20090110136A (ko) 힐링 커버를 갖는 임플란트 구조물의 힐링 어버트먼트
KR20010044362A (ko) 핀유지 인레이 브리지로 되는 의치용 보철물 및 이를이용한 시술공정
KR20130014735A (ko) 피에스엔 보철용 임플란트 지대치
JP2008149121A (ja) 人工歯根
KR200388933Y1 (ko) 연조직의 깊이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런트
WO2008002065A1 (en) An implant ring and dental implant using the same
JP4338882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用義歯の固定基盤
KR20220084854A (ko) 가공구조를 개선시킨 임플란트용 치관보철
KR200428106Y1 (ko) 치유 지대주 및 그를 구비한 임플란트
KR20140118136A (ko) 치과 임플란트용 티타늄금속계 다용도 지대주
KR200392241Y1 (ko) 치과용 임시 임플란트
KR101059741B1 (ko) 미니 임플란트
KR20160095260A (ko) 크라운과 어버트먼트의 결합 정확성을 향상시킨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KR20210071682A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KR200286847Y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