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2759A - 위치 감지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광학 장치 - Google Patents

위치 감지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광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2759A
KR20130012759A KR1020110074121A KR20110074121A KR20130012759A KR 20130012759 A KR20130012759 A KR 20130012759A KR 1020110074121 A KR1020110074121 A KR 1020110074121A KR 20110074121 A KR20110074121 A KR 20110074121A KR 20130012759 A KR20130012759 A KR 20130012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sensing unit
magnetic sensing
frame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4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0506B1 (ko
Inventor
박치영
변광석
김정수
방진영
황영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4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0506B1/ko
Priority to US13/370,411 priority patent/US8842382B2/en
Publication of KR20130012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0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position, not involving coordinate determin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rotary motion, e.g. rotary motors
    • H02N2/12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관한 위치 감지 조립체는, 주위의 자기력이 변함에 따라 변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자성 감지부와, 자성 감지부로부터 이격되어 자성 감지부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자성 감지부를 향하는 일면에 양측 극성의 각각의 단부에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한 자석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위치 감지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광학 장치{Position sensing assembly and optical device having the same}
실시예들은 위치 감지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광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컴팩트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면서도 위치 변동을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는 위치 감지 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광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는 피사체의 영상을 사진이나 동영상의 디지털 파일로 저장할 수 있는 장치로서, 디지털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 DSC),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digital video camera; DVC), 또는 휴대 전화에 장착되는 디지털 카메라 모듈 등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의 광학 장치는 이와 같은 디지털 카메라에 사용될 수 있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렌즈나 광학적 필터와 같은 광학요소를 이용해 광의 경로를 조정하고 촬상 작업을 위해 광을 집속시켜 상을 만드는 등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감지 조립체는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에서 광학요소의 위치를 조정할 때, 광학요소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실시예는 컴팩트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위치 변동을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는 위치 감지 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광학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자석과 자성 감지부의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하면서도 위치 변동을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는 위치 감지 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광학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위치 감지 조립체는, 주위의 자기력이 변함에 따라 변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자성 감지부와, 자성 감지부로부터 이격되어 자성 감지부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자성 감지부를 향하는 일면에 양측 극성의 각각의 단부에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한 자석을 구비한다.
자석의 일면은 돌출부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오목한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자석의 일면은 돌출부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오목한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자석의 일면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성 감지부는 자석의 양측 극성의 각각의 돌출부의 단부를 잇는 가상선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관한 광학 장치는, 광을 통과시키는 광학요소와, 광학요소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프레임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와, 프레임을 베이스에 대해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와, 프레임과 베이스의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일측 가장자리의 양측 극성의 각각의 단부에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한 자석과, 자석에 대응하도록 프레임과 베이스의 다른 하나에 배치되며 자석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변동에 따른 자기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자성 감지부를 구비한다.
구동부는 자석에 대응하도록 프레임과 베이스의 다른 하나에 배치된 코일을 구비할 수 있고, 코일에 의해 생성된 자기력의 변화에 의해 프레임이 베이스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구동부는 초음파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관한 위치 감지 조립체에 의하면, 자석의 양측 극성의 각각의 단부에 형성된 돌출부의 작용에 의해 자성 감지부가 출력하는 감지 신호의 선형성이 향상되어 위치 변동을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위치 변동을 감지하는 자성 감지부의 출력 신호의 선형성을 확보하면서도 자석과 자성 감지부의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컴팩트한 설계가 가능하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위치 감지 조립체를 구비하는 광학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광학 장치가 조립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광학 장치의 위치 감지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위치 감지 조립체의 자성 감지부의 작동을 설명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1의 광학 장치의 위치 감지 조립체의 변형예들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각 변형예에서 이동 거리에 대한 출력 신호의 선형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위치 감지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위치 감지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위치 감지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실시예들에 관한 위치 감지 조립체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위치 감지 조립체를 구비하는 광학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도, 도 2는 도 1의 광학 장치가 조립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광학 장치는, 광을 통과시키는 광학요소(10)와, 광학요소(10)를 지지하는 프레임(20)과, 프레임(20)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40)와, 프레임(20)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60)와, 자석(30)과, 자성 감지부(90)를 구비한다.
광학요소(10)는 광을 통과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광학요소(10)는 하나의 렌즈로 구현되거나, 또는 복수 개의 렌즈들과 필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렌즈 조립체로 구현될 수 있다.
광학요소(10)는 외측 가장자리에 결합하는 지지체(11)를 개재하여 프레임(20)의 통공(22)에 결합된다.
프레임(20)에는 자석(30)이 배치된다. 자석(30)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자극이 배치되는 제1 자석(31, 32)과,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자극이 배치되는 제2 자석(33, 34)을 구비한다. 자석(30)은 프레임(20)에서 통공(22)의 외측에 형성된 장착홈(21)에 삽입되므로, 광학요소(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40)는 프레임(20)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즉 프레임(20)은 광학요소(10)를 통과하는 광축(Z축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1 방향(X축 방향)과, 광축 및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프레임(20)은 광학요소(10)를 지지하므로, 광학요소(10)가 베이스(40)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광학 장치에서, 프레임(20)과 베이스(40)의 사이에는 복수 개의 볼 베어링(70)이 배치된다. 볼 베어링(70)은 프레임(20)이 베이스(40)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볼 베어링(70)은 프레임(20)의 외측 가장자리에 돌출된 베어링 지지부(23)를 베이스(4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와 같은 볼 베어링(70)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를 변형하여 다른 기계적 요소나 전자적 요소를 이용하여 프레임(20)을 베이스(40)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할 수 있다.
그러므로 광학 장치는, 손떨림 등의 원인으로 인해 흔들림 현상이 발생하여 촬상소자(미도시)에서 획득하는 이미지가 선명하지 않을 수 있다면, 광학요소(10)를 이동시킴으로써 획득되는 이미지가 선명하게 되도록 흔들림 현상을 보정할 수 있다.
광학 장치는 복수 개의 렌즈들을 포함하는 경통에 배치되며 렌즈들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광학 장치는 손떨림 등의 흔들림 현상이 발생하여 획득되는 이미지가 흐려지는 경우에 경통의 렌즈들의 광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이미지의 흔들림 현상을 보정할 수 있다.
베이스(40)는 광학요소(10)에 대응하는 위치에 통공(42)을 구비한다. 통공(42)은 광학요소(10)를 통과한 광을 외부로 통과시키는 부분이다.
커버부(50)는 자석(30)을 덮도록 배치된다. 커버부(50)는 프레임(20)의 외측의 위치에서 베이스(40)에 돌출 형성된 벽부(48)에 결합함으로써 자석(30)을 덮는다.
벽부(48)에는 복수 개의 나사홈(47)이 형성되고, 커버부(50)에는 각각의 나사홈(47)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57)이 형성된다. 커버부(50)는 구멍(57)을 통과하여 나사홈(47)에 나사 결합하는 체결수단(55)에 의해 베이스(40)에 결합한다. 체결수단(55)의 외측 면에는 나사면(55a)이 형성된다.
커버부(50)에는 자석(30)에 대응되는 각각의 위치에 홈부(51)가 형성된다. 홈부(51)에는 구동부(60)가 삽입된다. 구동부(60)는 예를 들어 코일로 이루어지므로 외부에서 전기 신호가 인가되면 자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동부(60)의 각각에는 인쇄회로기판(61c)을 통해 외부의 전기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구동부(60)의 제1 구동부(61, 62)는 제1 자석(31, 32)에 대응하고, 제2 구동부(63, 64)는 제2 자석(33, 34)의 각각에 대응하므로 자력을 발생시킴으로써 프레임(20)을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한다. 제1 구동부(61, 62)는 프레임(20)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자기력을 발생하고, 제2 구동부(63, 64)는 프레임(20)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자기력을 발생할 수 있다.
커버부(50)는 예를 들어 절연성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되거나 금속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커버부(50)는 광학요소(10)에 대응하는 통공(52)을 구비한다. 커버부(50)의 통공(52)을 통해 외부의 광이 광학요소(10)로 유입될 수 있다.
베이스(40)에는 자석(30)의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의 철판(80)이 설치된다. 철판(80)과 자석(30)의 사이에는 자기력이 작용한다. 구동부(60)에 대한 전기 신호 인가가 중단되어 구동부(60)의 자기력이 사라지면 철판(80)의 작용으로 인해 프레임(20)이 최초 조립된 상태의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40)에는 자석(30)을 감지할 수 있는 자성 감지부(90)가 배치된다.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서 자성 감지부(90)는 예를 들어 자기장(magnetic field)의 세기에 따라 유도되는 전류(또는 전압)의 크기가 변화하는 원리를 이용한 홀 센서(hall sensor)로 구현될 수 있다.
자성 감지부(90)는 제1 자석(31, 32)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91, 92)와, 제2 자석(33, 34)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93, 94)를 구비한다.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 관한 광학 장치는, 위치 감지 조립체(100)를 구비한다. 위치 감지 조립체(100)는 베이스(40)에 대한 프레임(20)의 상대적인 위치 변동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위치 감지 조립체(100)는 상술한 자성 감지부(90)와 자석(30)을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프레임(20)의 위치 변동을 감지하는 위치 감지 조립체(100)와 프레임(20)을 구동하는 구동부(60)가 자석(30)을 공유하지만, 실시예는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프레임(20)을 구동하기 위한 자석과, 프레임(20)의 위치 변동을 감지하기 위한 자석을 독립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실시예는 베이스(40)에 대해 프레임(20)을 이동시키기 위해, 전기 신호가 인가되면 자기력을 발생하는 구동부(60)와 자석(30)을 이용하였지만 실시예는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베이스(40)와 프레임(20)을 직선 운동 가이드로 연결하고, 스텝 모터나 압전 소자 액추에이터와 같은 구동 수단에 의한 구동력을 프레임(20)에 전달함으로써 프레임(20)을 구동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광학 장치의 위치 감지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위치 감지 조립체의 자성 감지부의 작동을 설명한 개념도이다.
위치 감지 조립체(100)는 주위의 자기력이 변함에 따라 변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자성 감지부(90)와, 자성 감지부(90)로부터 이격되어 자성 감지부(9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자석(30)을 구비한다.
자석(30)은 자성 감지부(90)를 향하는 일면(38)에 양측 극성의 각각의 단부에서 돌출된 돌출부(35, 36)를 구비한다. 자석(30)의 일면(38)은 돌출부(35, 36)로부터 중심(37)을 향하여 오목하게 만곡되는 곡면을 형성한다.
자성 감지부(90)를 향하는 자석(30)의 일면(38)을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함으로써, 자성 감지부(90)의 출력 신호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와 같은 촬상 장치에 광학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컴팩트한 설계를 위해 자성 감지부(90)와 자석(30)의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그런데 자성 감지부(90)와 자석(30)의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수록 자성 감지부(90)가 자기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신호의 선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즉 자성 감지부(90)가 자석(30)의 위치 변화에 정비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여야 하지만, 간격이 작게 설계된 경우에는 자석(30)의 위치 변화를 정밀하게 나타낼 수 없다. 이러한 현상은 자석(30)과 자성 감지부(90)가 너무 가깝게 배치됨으로 인해 자성 감지부(90)에 미치는 자석(30)의 자속 밀도의 변화가 균일하지 않기 때문이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자석(30)이 양측 극성의 단부에 돌출된 돌출부(35, 36)를 구비함으로써, 자성 감지부(90)의 출력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자석(30)과 자성 감지부(90)의 상대적인 위치가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A, B, 및 C의 지점의 사이에서 변화되는 동안 자성 감지부(90)가 감지할 수 있는 자석(30)의 자속 밀도가 균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자성 감지부(90)와 자석(30)의 간격이 매우 작게 설정되어도, 자성 감지부(90)가 출력하는 감지 신호가 a, b, 및 c 의 구간을 따르며 매우 정밀하게 선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광학 장치의 위치 감지 조립체의 변형예들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한 도면이다.
도 5의 (a), (b), (c), 및 (d)의 각각의 변형예들은 자석(230)과 자성 감지부(290)의 간격을 동일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자석(230)의 형상을 변형시킨 각각의 경우에 해당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변형예 1은 자성 감지부(290)를 향하는 자석(230)의 일 면이 평평한 면을 유지한다.
도 5의 (b)에 도시된 변형예 2에서는 자석(230)이 양단에 돌출부(235, 236)를 구비하며 자성 감지부(290)를 향하는 자석(230)의 면이 곡면을 형성한다. 도 5의 (c)에 도시된 변형예 3에서도 자석(230)이 양단에 돌출부(235, 236)를 구비하며 자성 감지부(290)를 향하는 자석(230)의 면이 곡면을 형성한다.
변형예 2 및 변형예 3에서는 자성 감지부(290)가 자석(230)에 대해 배치되는 위치가 자석(230)의 양단의 돌출부(235, 236)를 잇는 가상선(L1, L2)의 외측에 놓인다.
도 5의 (d)에 도시된 변형예 4에서는 자석(230)이 양단에 돌출부(235, 236)를 구비하지만, 자성 감지부(290)를 향하는 자석(230)의 면이 변형예 2와 변형예 3에 비해서 곡률 반경이 큰 곡면을 형성한다. 또한 변형예 4에서는 자성 감지부(290)가 돌출부(235, 236)를 잇는 가상선(L3)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변형되어서, 자성 감지부(290)의 배치 위치가 변형예 2 및 변형예 3과 다르다.
도 6은 도 5의 각 변형예에서 이동 거리에 대한 출력 신호의 선형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에서 "Original"로 표시된 선이 도 5의 (a)의 변형예 1에 대응하고, "A", "B", 및 "C"의 각각은 도 5의 (b)의 변형예 2, (c)의 변형예 3, (d)의 변형예 4에 대응한다.
도 6에서 가로축은 위치 변화(스트로크, 단위: mm)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이동 길이에 따라 자성 감지부(290)가 출력하는 신호의 선형성(단위: 백분율)을 나타낸다. 세로축의 선형성이 100%에 가까울수록 자성 감지부(290)의 출력 신호가 이동 길이에 비례하여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고, 세로축의 선형성의 값이 작을수록 정밀도록 떨어진다.
변형예 1에 대응하는 "Original"의 곡선을 참조하면, 약간의 위치 변화가 있어도 출력 신호의 선형성이 크게 떨어짐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변형예 2와 변형예 3에 대응하는 "A", "B"의 곡선을 참조하면, 변형예 1에 비하여 출력 신호의 선형성이 우수한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변형예 4에 대응하는 "C"의 곡선은 오히려 선형성이 나빠져 "Original"의 곡선과 유사한 패턴을 보이고 있다.
그러므로 실시예에 관한 촬상장치와 위치 감지 조립체에서는, 도 5의 (b)와 (c)에 도시된 변형예 2 및 변형예 3의 경우와 같이 자성 감지부(290)를 자석(230)의 양단의 돌출부(235, 236)를 잇는 가상선(L1, L2)의 외측에 배치하여 위치 변동을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위치 감지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위치 감지 조립체는 주위의 자기력이 변함에 따라 변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자성 감지부(390)와, 자성 감지부(390)로부터 이격되어 자성 감지부(390)에 대해 위치가 변하도록 배치된 자석(330)을 구비한다. 자석(330)은 자성 감지부(390)를 향하는 일면에 양측 극성의 각각의 단부에서 돌출된 돌출부(335, 336)를 구비한다.
자석(330)의 일면은 돌출부(335, 336)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오목한 경사면(331)을 형성한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위치 감지 조립체의 자석의 구성과 상이하지만, 자성 감지부(390)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335, 336)의 작용으로 인해 정밀한 위치 감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위치 감지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위치 감지 조립체는 주위의 자기력이 변함에 따라 변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자성 감지부(490)와, 자성 감지부(490)로부터 이격되어 자성 감지부(490)에 대해 위치가 변하도록 배치된 자석(430)을 구비한다. 자석(430)은 자성 감지부(490)를 향하는 일면에 양측 극성의 각각의 단부에서 돌출된 돌출부(435, 436)를 구비한다.
자석(430)은 자성 감지부(490)를 향하는 일면(431)에 양측 극성의 각각의 단부에서 돌출된 돌출부(435, 436)를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자성 감지부(490)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435, 436)의 작용으로 인해 정밀한 위치 감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돌출부(435, 436)를 형성하는 방법은 자석(430)을 소결에 의해 제조할 때에 자석(430)의 양측 단부가 돌출되도록 돌출부(435, 436)에 대응하는 돌출홈을 갖는 금형을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자석(430)의 단부에 예를 들어 철과 같이 강한 자성을 나타내는 것을 강자성체(Ferromagnetic body) 소재의 블록을 부착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돌출부(435, 436)를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위치 감지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9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위치 감지 조립체는 주위의 자기력이 변함에 따라 변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자성 감지부(590)와, 자성 감지부(590)로부터 이격되어 자성 감지부(590)에 대해 위치가 변하도록 배치된 자석(530)을 구비한다. 자석(530)은 자성 감지부(590)를 향하는 일면에 양측 극성의 각각의 단부에서 돌출된 돌출부(535, 536)를 구비한다. 또한 자석(530)은 자성 감지부(590)를 향하는 일면에 홈(537)을 구비한다.
자성 감지부(590)를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535, 536)와 홈(537)의 작용으로 인해, 자성 감지부(590)와 자석(530)의 사이의 간격을 축소하는 경우에도 자성 감지부(590)에 의해 출력되는 감지 신호의 선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 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발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발명에 병합될 수 있다.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상기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상기 특정 용어에 의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업 테이블(look 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발명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발명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등의 표현은 기술의 개방형 종결부의 용어로 이해되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선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술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는 발명의 범위와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수정과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명확히 알 수 있다.
10: 광학요소 57: 구멍
11: 지지체 60: 구동부
20: 프레임 61c: 인쇄회로기판
21: 장착홈 31, 32: 제1 자석
22: 통공 33, 34: 제2 자석
23: 베어링 지지부 70: 볼 베어링
30: 자석 80: 철판
38: 일면 90: 자성 감지부
37: 중심 331: 경사면
40: 베이스 431: 일면
42: 통공 537: 홈
47: 나사홈 100: 위치 감지 조립체
48: 벽부 61, 62: 제1 구동부
50: 커버부 63, 64: 제2 구동부
51: 홈부 91, 92: 제1 감지부
52: 통공 93, 94: 제2 감지부
55a: 나사면 230, 330, 430, 530: 자석
55: 체결수단 290, 390, 490, 590: 자성 감지부
35, 36, 235, 236, 335, 336, 435, 436, 535, 536: 돌출부

Claims (12)

  1. 주위의 자기력이 변함에 따라 변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자성 감지부; 및
    상기 자성 감지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자성 감지부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자성 감지부를 향하는 일면에 양측 극성의 각각의 단부에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한 자석;을 구비하는, 위치 감지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의 상기 일면은 상기 돌출부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오목한 곡면을 형성하는, 위치 감지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의 상기 일면은 상기 돌출부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오목한 경사면을 형성하는, 위치 감지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의 상기 일면에는 홈이 형성된, 위치 감지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감지부는 상기 자석의 상기 양측 극성의 각각의 상기 돌출부의 단부를 잇는 가상선의 외측에 배치된, 위치 감지 조립체.
  6. 광을 통과시키는 광학요소;
    상기 광학요소를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프레임을 상기 베이스에 대해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
    상기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의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일측 가장자리의 양측 극성의 각각의 단부에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한 자석; 및
    상기 자석에 대응하도록 상기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의 다른 하나에 배치되며, 상기 자석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변동에 따른 자기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자성 감지부;를 구비하는, 광학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의 상기 일면은 상기 돌출부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오목한 곡면을 형성하는, 광학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의 상기 일면은 상기 돌출부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오목한 경사면을 형성하는, 광학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의 상기 일면에는 홈이 형성된, 광학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감지부는 상기 자석의 상기 양측 극성의 각각의 상기 돌출부의 단부를 잇는 가상선의 외측에 배치된, 광학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자석에 대응하도록 상기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의 다른 하나에 배치된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코일에 의해 생성된 자기력의 변화에 의해 상기 프레임이 상기 베이스에 대해 이동하는, 광학 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초음파 모터를 구비하는, 광학 장치.
KR1020110074121A 2011-07-26 2011-07-26 위치 감지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광학 장치 KR101960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121A KR101960506B1 (ko) 2011-07-26 2011-07-26 위치 감지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광학 장치
US13/370,411 US8842382B2 (en) 2011-07-26 2012-02-10 Position sensor assembly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121A KR101960506B1 (ko) 2011-07-26 2011-07-26 위치 감지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광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759A true KR20130012759A (ko) 2013-02-05
KR101960506B1 KR101960506B1 (ko) 2019-07-16

Family

ID=47597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4121A KR101960506B1 (ko) 2011-07-26 2011-07-26 위치 감지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광학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842382B2 (ko)
KR (1) KR1019605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21384B2 (en) * 2013-02-14 2016-12-13 Red.Com, Inc. Green average subtraction in image data
KR102166329B1 (ko) * 2013-08-19 2020-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10133086B2 (en) * 2013-10-25 2018-11-20 Jahwa Electronics Co., Ltd. Camera lens module
KR101725442B1 (ko) * 2014-03-07 2017-04-11 자화전자(주) 카메라 렌즈 모듈
TWI542936B (zh) 2014-06-23 2016-07-21 台灣東電化股份有限公司 抗傾斜電磁式馬達及鏡頭裝置
TWI650587B (zh) * 2016-08-04 2019-02-11 台灣東電化股份有限公司 鏡頭驅動裝置
JP7313330B2 (ja) 2017-07-05 2023-07-24 レッド.コム,エルエルシー 電子機器でのビデオ画像データ処理
CN111338048B (zh) * 2020-05-18 2020-09-01 昆山联滔电子有限公司 一种镜头推动装置
US20210373353A1 (en) * 2020-05-28 2021-12-02 New Shicoh Motor Co., Ltd. Lens driving device, camera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28637A1 (en) 2006-07-25 2009-05-21 Takayoshi Noji Image blur correction device and imaging device furnished therewith
US20100033822A1 (en) * 2008-08-08 2010-02-11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Lens actuator and camera system having same
KR20140076213A (ko) * 2012-12-12 2014-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74926B (en) * 2005-05-27 2007-03-01 Powergate Optical Inc A suspension apparatus for auto-focus lens device and a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2011039481A (ja) * 2009-03-26 2011-02-24 Sanyo Electric Co Ltd レンズ駆動装置
JP2011095435A (ja) * 2009-10-29 2011-05-12 Sony Corp 光学部材駆動装置、光学部材鏡筒、および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28637A1 (en) 2006-07-25 2009-05-21 Takayoshi Noji Image blur correction device and imaging device furnished therewith
US20100033822A1 (en) * 2008-08-08 2010-02-11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Lens actuator and camera system having same
US7983551B2 (en) * 2008-08-08 2011-07-19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Lens actuator and camera system having same
KR20140076213A (ko) * 2012-12-12 2014-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42382B2 (en) 2014-09-23
KR101960506B1 (ko) 2019-07-16
US20130027790A1 (en) 201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12759A (ko) 위치 감지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광학 장치
US10073236B2 (en) Lens driving apparatus, camera module, and camera-equipped mobile terminal
US11947183B2 (en)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US9304326B2 (en) Lens actuator
JP7040929B2 (ja) オートフォーカスおよび光学式手ブレ補正機構の一体構造
US8818181B1 (en) Camera module, and position detector and position detection method used in the camera module
CN109413305B (zh) 多镜头摄像模块
KR101706267B1 (ko) 위치 조정이 가능한 광학 요소를 구비한 광학 장치
US10819909B2 (en) Driving apparatus capable of satisfactorily detecting position of movable unit and ensuring large driving thrust, image blur correction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TWI592732B (zh) 攝影模組
US7991278B2 (en) Camera module with anti-shake mechanism
KR101255207B1 (ko) 카메라용 손떨림 보정 모듈
JP6056883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JP5765361B2 (ja) レンズ保持装置
KR20170023884A (ko) 렌즈 홀더 구동 장치 및 카메라 탑재 휴대 단말
KR20060122237A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
JP2017076135A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JP2017058169A (ja) 位置検出装置及び光学装置
US11181710B2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7561820B (zh) 致动器以及具备该致动器的透镜单元、摄像机
KR102494325B1 (ko) 카메라 모듈
KR20160082035A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30052754A (ko) 위치 검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경통 조립체
JP2016133371A (ja) 磁気式位置検出装置、駆動装置および光学機器
JP6065563B2 (ja) 位置検出装置および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