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2726A - 용이한 리모델링과 공기단축을 위한 복합골조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복합골조 건물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용이한 리모델링과 공기단축을 위한 복합골조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복합골조 건물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2726A
KR20130012726A KR1020110074062A KR20110074062A KR20130012726A KR 20130012726 A KR20130012726 A KR 20130012726A KR 1020110074062 A KR1020110074062 A KR 1020110074062A KR 20110074062 A KR20110074062 A KR 20110074062A KR 20130012726 A KR20130012726 A KR 20130012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strength concrete
slab
pilla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4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7638B1 (ko
Inventor
조성찬
박현일
박우평
전병갑
김용남
이민형
전진수
박지훈
박형석
김경원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4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7638B1/ko
Publication of KR20130012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7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7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Extraordinary structures, e.g. with suspended or cantilever parts supported by masts or tower-like structures enclosing elevators or stairs;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2001/0053Build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layout gri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Abstract

본 발명은 벽식구조와 무량판구조를 복합화한 복합골조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복합골조 건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 외측의 양 측벽은 외측내력벽체로 구성하여 횡력지지에 유리한 벽식구조로 완성하는 한편, 건물 내부는 고강도콘크리트기둥과 포스트텐션 고강도콘크리트 플랫슬래브로 구성하여 리모델링에 유리한 무량판구조로 완성한다는데 특징이 있다. 고강도콘크리트와 포스트텐션의 도입으로 기둥두께를 줄일 수 있는 것은 물론 슬래브 두께를 종래 벽식구조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도 기둥간격을 넓힐 수 있기 때문에, 건물 내부에 기둥이 없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평면으로 구현한 것이다.

Description

용이한 리모델링과 공기단축을 위한 복합골조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복합골조 건물의 시공방법{Complex Frame System for Building and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벽식구조와 무량판구조를 복합화한 복합골조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복합골조 건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외측의 양 측벽은 외측내력벽체로 구성하여 횡력저항에 유리한 벽식구조로 완성하는 한편 건물 내부는 고강도콘크리트기둥과 포스트텐션 고강도콘크리트 플랫슬래브로 구성하여 리모델링에 유리한 무량판구조로 완성하는 복합골조시스템과 이를 바람직하게 적용한 복합골조 건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벽식구조는 골조가 슬래브와 내력벽으로 이루어져 구조로서, 시공이 간편하기 때문에 공동주택 건축물 공사에 많이 적용된다.
종래 공동주택에서 벽식구조는 도 1a에서와 같이 세대를 구분하는 세대경계벽은 물론 세대 내부의 칸막이벽 등 내부벽체 모두가 내력벽체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벽식구조의 공동주택은 골조를 얇게 할 수 있고, 갱폼과 같은 시스템 거푸집을 이용하여 외부 골조를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벽식구조의 공동주택은 가변성 및 융통성이 없어 입주자의 다양한 주거공간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키고, 나아가 리모델링 공사시 내력벽체로 되어 있는 내부벽체의 해체 및 변경이 곤란하여 세대간 통합 등 대공간 설계에 제약이 있다. 또한 건물 내부의 내부벽체를 슬래브와 일체로 시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만큼 현장작업이 복잡해지고 작업량이 많아져 공기가 길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도 1a에서와 같이 지하층에도 벽식구조가 그대로 적용되기 때문에 지하층은 PIT공간 정도로만 활용할 수 있을 뿐 주차공간으로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도 1b에서와 같이 로비층을 필로티구조로 마련하기 위해서는 하중전이를 위한 전이보의 춤만큼 추가적인 층고 확보가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종래 벽식구조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공기단축은 물론 자유로운 공간설계가 가능한 새로운 구조방식으로 벽식구조와 무량판구조를 복합화한 복합골조시스템과 이를 바람직하게 적용한 건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력벽체로 지하에서 지상까지 연속 설계되는 코어내력골조; 건물 지상부분의 단변방향 양쪽 외측벽으로 건물 지상부분에 설계되는 외측내력벽체; 상기 코어내력골조와 외측내력벽체 사이에 위치시키면서 지하에서 지상까지 연속 설계되는 연속고강도콘크리트기둥; 상기 외측내력벽체 양 단부에서 연속하게 이어지도록 건물 지하부분에 설계되는 지하고강도콘크리트기둥; 상기 외측내력벽체와의 경계에 위치한 지하고강도콘크리트기둥 상부에 설계되는 전이보; 상기 코어내력골조, 연속고강도콘크리트기둥, 지하고강도콘크리트기둥에 일체화되면서 건물의 층간을 구분하도록 포스트텐션 고강도콘크리트 부재로 설계되는 플랫슬래브;로 구성되어 건물 지상부분의 단변방향 양쪽 외측벽은 외측내력벽체에 의한 벽식구조로 완성되고 건물 내부는 플랫슬래브에 의한 무량판구조로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델링과 공기단축을 위한 복합골조시스템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한 복합골조시스템을 적용하면서 건물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건물 지하부분의 코어내력골조, 연속고강도콘크리트기둥, 지하고강도콘크리트기둥, 전이보, 플랫슬래브를 시공하는 제1단계; 건물 지하부분 위로 건물 지상부분의 코어내력골조, 연속고강도콘크리트기둥, 외측내력벽체, 플랫슬래브를 시공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골조 건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건물 외측의 양 측벽은 외측내력벽체로 구성하는 한편 건물 내부는 고강도콘크리트기둥과 포스트텐션 고강도콘크리트 플랫슬래브로 구성하기 때문에, 구조적인 안정성과 리모델링에 유리한 새로운 구조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고강도콘크리트와 포스트텐션을 적절히 활용하여 건물 내부에 기둥이 없거나 최소화하 수 있는 구조로 완성되기 때문에 가변적이면서 자유로운 공간설계가 가능해지고 나아가 리모델링 공사시 건축환경의 변화와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둘째, 내부벽체를 경량벽체 등으로 비내력벽화하여 골조공사에서 제외할 수 있기 때문에 골조공사의 형틀물량을 감축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벽식구조 대비 층당 공기를 기존 6일에서 4일 정도로 단축할 수 있다. 실제 30층 기준 건물의 경우 벽식 대비 87일 정도 단축(2.9개월)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건물 지상부분의 시공에서 하중전이를 위한 부재를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기준층 골조구조를 1층부터 지붕층까지 그대로 적용할 수 있기 있으며, 이에 따라 종래 벽식구조 대비 1층 로비층의 층고 절감을 이끌 수 있다. 1층 로비층의 층고 절감은 동일 높이 건물에 대해 1개층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이어진다.
넷째, 건물 지하부분은 라멘구조 내지 무량판구조로 구현하기 때문에 건물 지하부분을 주차공간으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a와 도 1b는 종래 벽식구조가 적용된 건물 도면으로, 각각 기준층 평면도, 지하층 평면도, 로비층 평/입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골조시스템이 적용된 건물에 대한 제1실시예로서, 각각 개요도, 기준층 평면도, 지하층 평면도, 로비층 평/입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골조시스템이 적용된 건물에 대한 제2실시예로서, 각각 개요도 기준층 평면도, 지하층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골조 건물의 시공방법에 대한 일례로서, 건물 지상부분의 기준층에 대한 시공공정표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골조 건물의 시공방법에서 CFT기둥으로 시공하는 경우에 대한 시공과정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골조 건물의 시공방법에서 PC기둥으로 시공하는 경우에 대한 시공과정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건물의 구조형식으로 벽식구조와 무량판구조를 복합화한다는데 특징이 있다. 즉, 건물 외측의 양 측벽은 외측내력벽체(310)로 구성하여 횡력저항에 유리한 벽식구조로 완성하는 한편, 건물 내부는 고강도콘크리트기둥(200,320)과 포스트텐션 고강도콘크리트 플랫슬래브(400)로 구성하여 리모델링에 유리한 무량판구조로 완성하는 것이다. 고강도콘크리트는 30MPa 이상으로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강도콘크리트와 포스트텐션의 도입으로 기둥두께를 줄일 수 있는 것은 물론 동시에 슬래브 두께를 종래 벽식구조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도 기둥간격을 넓힐 수 있기 때문에, 건물 내부에 기둥이 없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평면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나아가 공기단축도 실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합골조시스템은, 내력벽체로 지하에서 지상까지 연속 설계되는 코어내력골조(100); 건물 지상부분의 단변방향 양쪽 외측벽으로 건물 지상부분에 설계되는 외측내력벽체(310); 상기 코어내력골조(100)와 외측내력벽체(310) 사이에 위치시키면서 지하에서 지상까지 연속 설계되는 연속고강도콘크리트기둥(200); 상기 외측내력벽체(310) 양 단부에서 연속하게 이어지도록 건물 지하부분에 설계되는 지하고강도콘크리트기둥(320); 상기 외측내력벽체(310)와의 경계에 위치한 지하고강도콘크리트기둥(320) 상부에 설계되는 전이보(330); 상기 코어내력골조(100), 연속고강도콘크리트기둥(200), 지하고강도콘크리트기둥(320)에 일체화되면서 건물의 층간을 구분하도록 포스트텐션 고강도콘크리트 부재로 설계되는 플랫슬래브(400);로 구성된다.
위와 같이 구성결과, 건물의 지상부분은 벽식구조(외측내력벽체)와 무량판구조(연속고강도콘크리트기둥 및 플랫슬래브)가 복합된 복합구조로 완성되고, 건물의 지하부분은 무량판구조(연속고강도콘크리트기둥 및 플랫슬래브) 내지 라멘구조(지하고강도콘크리트기둥, 전이보, 플랫슬래브)로 된다. 플랫슬래브(400)는 전단보강을 위해 고강도콘크리트기둥과의 접합부에 전단보강재(440)가 매입되도록 설치하거나 지판(drop panel)이 형성되도록 시공될 수 있으며, 아울러 슬래브철근(420)과 텐돈(430)이 연속고강도콘크리트기둥(200) 및 지하고강도콘크리트기둥(320)에 적절하게 관통 배치되도록 시공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골조시스템이 적용된 건물에 대한 제1실시예가 되는데, 지상부분의 기준층 평면이 코어내력골조(100) 양쪽으로 각각의 세대가 배치되도록 설계된 2세대 조합 주거건물에 적용되는 경우이다. 이와 같은 설계에서 세대수가 증가되도록 설계되거나 다른 평면의 세대가 배치되도록 설계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다만 변경되더라도 건물 외측의 벽식구조와 건물 내부의 무량판구조는 그대로 유지된다.
도 2는 제1실시예의 개요도이고 도 3은 기준층 평면도가 되는데, 보는 바와 같이 연속고강도콘크리트기둥(200)을, 코어내력골조(100) 정면에서 2세대가 공유하도록 설계되는 제1기둥(200a); 코어내력골조(100) 양 측면에서 각 세대에 위치하도록 설계되는 제2기둥(200b); 제1기둥(200a)의 주변으로 제2기둥(200b)에 대향하도록 설계되는 제3기둥(200c);으로 구성하고 있다. 외측내력벽체(310)가 각 세대의 외측벽으로 설계되고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세대 내부에는 내력벽은 물론 기둥이 없는 구조로 완성되며, 그 결과 자유로운 평면 설계가 가능해진다. 도 3에서는 경량벽체 등의 칸막이벽을 세대경계벽 및 내부벽체로 적절히 활용하면서 내부공간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세대경계벽을 생략하여 2세대를 통합 설계하는 것은 물론 공용공간의 PIT공간으로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2세대 조합 주거건물에서 지하층 평면도가 되는데, 보는 바와 같이 외측내력벽체(310) 위치에 지하고강도콘크리트기둥(320)이 설계되고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서는 종래(도 1a)와는 달리 건물의 지하부분을 주차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2세대 조합 주거건물에서 로비층 평/입면도가 된다. 보는 바와 같이 도 1b의 종래 설계방식과 비교해보면, 본 발명은 내부공간에 기둥과 내력벽이 없기 때문에 로비층의 공간활용성이 좋아지는 것은 물론, 전이보가 필요없어 1개층 높이만으로 충분히 로비층을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도 1b와 같은 종래 벽식구조에 비해 로비층의 층고 절감이 가능해져 동일 높이 건물에 대해 1개층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골조시스템이 적용된 건물에 대한 제2실시예가 되는데, 앞서 살펴본 제1실시예와 전체적으로 동일하며 다만 연속고강도콘크리트기둥(200)의 설계에서 차이가 있을 뿐이다. 보는 바와 같이 연속고강도콘크리트기둥(200)을 한 쌍의 제1기둥(200a)으로 마련하여 코어내력골조(100) 정면에서 각 세대에 위치하도록 설계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살펴본 복합골조시스템을 적용한 건물의 시공방법도 제안한다. 복합골조 건물은 먼저 건물 지하부분을 시공한다(제1단계). 지하부분의 코어내력골조(100), 연속고강도콘크리트기둥(200), 지하고강도콘크리트기둥(320), 전이보(330), 플랫슬래브(400)를 시공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건물 지하부분 위로 건물 지상부분을 시공하는데, 코어내력골조(100), 연속고강도콘크리트기둥(200), 외측내력벽체(310), 플랫슬래브(400)를 시공한다(제2단계). 외측내력벽체(310)를 제외한 외부벽체는 비내력벽으로 코어내력골조(100)와 외측내력벽체(310)와 동시에 시공하는 것은 물론 건물 골조를 완성한 후 커튼월 외피로 시공할 수 있으며, 내부벽체는 경량벽체 등을 적절히 이용하면서 적절한 시점에서 시공하면 된다. 특히 건물 지상부분을 시공한다면 도 9와 같은 공정으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인 시공방법은 연속고강도콘크리트기둥(200)의 시공방식에 따라 세분할 수 있다.
연속고강도콘크리트기둥(200)을 RC기둥으로 시공하는 경우는 별도 도시하지 않았지만 통상의 시공방법과 동일하다. 즉, 연속고강도콘크리트기둥(200)을 위한 기둥철근과 기둥거푸집을 설치하는 제2A단계; 코어내력골조(100)와 외측내력벽체(310)를 위한 벽체철근과 벽체거푸집을 설치하는 한편, 플랫슬래브(400)를 위한 슬래브거푸집(410)을 설치하는 제2B단계; 슬래브거푸집(410) 위로 슬래브철근(420)과 텐돈(430)을 설치하는 제2C단계; 벽체거푸집 내부, 기둥거푸집 내부, 슬래브거푸집 위에 현장콘크리트(CC)를 타설 양생하는 제2D단계; 텐돈(430)을 긴장하는 제2E단계; 상기 제2E단계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상기 제2A단계 내지 제2E단계를 반복 실시하는 제2F단계;로 세분하여 진행한다. 코어내력골조(100), 외측내력벽체(310), 플랫슬래브(400), 연속고강도콘크리트기둥(200)을 매층 단위로 거푸집을 설치하면서 시공한다. 한편 슬래브거푸집(410)으로 합판 등의 탈형거푸집은 물론 데크 등의 영구거푸집을 채택할 수 있으며 다만 탈형거푸집을 채택한 경우라면 현장콘크리트(CC)가 타설 양생된 후 탈형 제거하도록 한다. 현장콘크리트(CC)는 30MPa 이상의 고강도콘크리트를 채택하도록 한다.
연속고강도콘크리트기둥(200)을 CFT기둥으로 시공하는 경우는 도 10과 같다. 다시 말해 연속고강도콘크리트기둥(200)을 위한 강관기둥(210)을 설치하는 제2A단계; 코어내력골조(100)와 외측내력벽체(310)를 위한 벽체철근과 벽체거푸집을 설치하는 한편, 플랫슬래브(400)를 위한 슬래브거푸집(410)을 설치하는 제2B단계; 강관기둥(210) 내부에 상기 2B단계에서 설치한 슬래브거푸집(410)보다 낮은 높이로 현장콘크리트(CC) 타설 양생하는 제2C단계; 슬래브거푸집(410) 위로, 슬래브철근(420)과 텐돈(430)을 설치하고 현장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2D단계; 텐돈(430)을 긴장하는 제2E단계; 상기 제2E단계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상기 제2A단계 내지 제2E단계를 반복 실시하거나 상기 제2B단계 내지 제2E단계를 반복 실시하는 제2F단계;로 세분하여 진행한다. 코어내력골조(100), 외측내력벽체(310), 플랫슬래브(400)는 매층 단위로 거푸집을 설치하면서 시공하고 연속고강도콘크리트기둥(200)으로 CFT기둥은 2~3개층을 1절 단위로 강관기둥을 설치하면서 시공하면 되는데, 1절 단위의 강관기둥 중간층에 슬래브를 시공하는 경우에는 제2B단계 내지 제2E단계를 반복 실시하고 1절 단위의 강관기둥 상부층에 슬래브를 시공한 후에는 제2A단계 내지 제2E단계를 반복 실시한다.
특히 제2D단계에서 슬래브철근(420)과 텐돈(430)은 연속고강도콘크리트기둥(200)을 관통 배치하여 일체화를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설치상태를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2C단계와 제2D단계의 순차진행(강관기둥 내부의 콘크리트를 플랫슬래브 아래에서 분리 타설함)을 통해 트레미관(TP)과 슬래브철근(420) 및 텐돈(430)의 간섭문제를 해결하고 있다(도 10 참조). 또한 도 10에서는 제2C단계에서 현장콘크리트(CC)의 충전높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플랫슬래브(400) 바로 아래 위치의 강관기둥(210)에 확인구멍(211)을 형성시킨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구멍(211)은 현장콘크리트(CC) 충전 후에 덧댐플레이트(212)로 폐쇄하면 된다.
한편 플랫슬래브(400)의 전단보강을 위해 강관기둥(210) 외표면에 전단보강재를 더 접합 설치할 수 있다.
연속고강도콘크리트기둥(200)을 PC기둥으로 시공하는 경우는 도 11과 같다. 연속고강도콘크리트기둥(200)을 위한 PC기둥(220)을 설치하는 제2A단계; 코어내력골조(100)와 외측내력벽체(310)를 위한 벽체철근과 벽체거푸집을 설치하는 한편, 플랫슬래브(400)를 위한 슬래브거푸집(410)을 설치하는 제2B단계; 슬래브거푸집(410) 위로, 슬래브철근(420)과 텐돈(430)을 설치하는 제2C단계; 슬래브거푸집(410) 위에 현장콘크리트(CC)를 타설 양생하는 제2D단계; 텐돈(430)을 긴장하는 제2E단계; 상기 제2E단계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상기 제2A단계 내지 제2E단계를 반복 실시하거나 상기 제2B단계 내지 제2E단계를 반복 실시하는 제2F단계;로 세분하여 진행하면 된다. 코어내력골조(100), 외측내력벽체(310), 플랫슬래브(400), 브는 매층 단위로 거푸집을 설치하면서 시공하고 연속고강도콘크리트기둥(200)으로 PC기둥은 2~3개층을 1절 단위로 설치하면서 시공하면 되는데, 1절 단위의 PC기둥 중간층에 슬래브를 시공하는 경우에는 제2B단계 내지 제2E단계를 반복 실시하고 1절 단위의 PC기둥 상부층에 슬래브를 시공한 후 경우에는 제2A단계 내지 제2E단계를 반복 실시한다.
도 11에서는 2개층 높이의 PC기둥(220)을 1절 단위로 시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1개층 높이나 2개층 이상 높이를 1절 단위로 시공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PC기둥(220)은, 플랫슬래브(400)의 시공 위치에서 콘크리트가 생략되어 기둥철근(221)이 노출되면서 충전홈(222)과 주입구멍(224)이 형성되는 형태를 가지고, 상부에서 기둥철근(221)이 돌출되는 형태를 가지고, 하부에서 슬리브(223)가 매입되면서 슬리브(223)로 이어지는 주입구멍(224)과 배출구멍(225)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제작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PC기둥(220)을 설치 시공한다면 플랫슬래브(400)를 시공한 후에는 주입구멍(224)으로 무수축몰탈(NSM)을 주입하여 PC기둥(220)과 플랫슬래브(400) 사이를 밀실하게 처리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부가 및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코어내력골조
200: 연속고강도콘크리트기둥(미도시)
200a: 제1기둥
200b: 제2기둥
200c: 제3기둥
210: 강관기둥
211: 확인구멍
212: 덧댐플레이트
220: PC기둥
221: 기둥철근
222: 충전홈
223: 슬리브
224: 주입구멍
225: 배출구멍
310: 외측내력벽체
320: 지하고강도콘크리트기둥
330: 전이보
400: 플랫슬래브
410: 슬래브거푸집
420: 슬래브철근
430: 텐돈
440: 전단보강재
TP: 트레미관
CC: 현장콘크리트
NSM: 무수축몰탈

Claims (9)

  1. 다층 건물에서,
    내력벽체로 지하에서 지상까지 연속 설계되는 코어내력골조(100);
    건물 지상부분의 단변방향 양쪽 외측벽으로 건물 지상부분에 설계되는 외측내력벽체(310);
    상기 코어내력골조(100)와 외측내력벽체(310) 사이에 위치시키면서 지하에서 지상까지 연속 설계되는 연속고강도콘크리트기둥(200);
    상기 외측내력벽체(310) 양 단부에서 연속하게 이어지도록 건물 지하부분에 설계되는 지하고강도콘크리트기둥(320);
    상기 외측내력벽체(310)와의 경계에 위치한 지하고강도콘크리트기둥(320) 상부에 설계되는 전이보(330);
    상기 코어내력골조(100), 연속고강도콘크리트기둥(200), 지하고강도콘크리트기둥(320)에 일체화되면서 건물의 층간을 구분하도록 포스트텐션 고강도콘크리트 부재로 설계되는 플랫슬래브(400);
    로 구성되어 건물 지상부분의 단변방향 양쪽 외측벽은 외측내력벽체(310)에 의한 벽식구조로 완성되고 건물 내부는 플랫슬래브(400)에 의한 무량판구조로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델링과 공기단축을 위한 복합골조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건물은,
    지상부분의 기준층 평면이 코어내력골조(100) 양쪽 각각에 1세대가 배치되도록 설계된 2세대 조합 주거건물이며,
    상기 연속고강도콘크리트기둥(200)은,
    상기 코어내력골조(100) 정면에서 2세대가 공유하도록 설계되는 제1기둥(200a);
    상기 코어내력골조(100) 양 측면에서 각 세대에 위치하도록 설계되는 제2기둥(200b);
    상기 제1기둥(200a)의 주변으로 상기 제2기둥(200b)에 대향하도록 설계되는 제3기둥(200c);으로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델링과 공기단축을 위한 복합골조시스템.
  3. 제1항에서,
    상기 건물은,
    지상부분의 기준층 평면이 코어내력골조(100) 양쪽 각각에 1세대가 배치되도록 설계된 2세대 조합 주거건물이며,
    상기 연속고강도콘크리트기둥(200)은,
    상기 코어내력골조(100) 정면에서 각 세대에 위치하도록 설계되는 한 쌍의 록 제1기둥(200a);으로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델링과 공기단축을 위한 복합골조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플랫슬래브(400)는,
    상기 연속고강도콘크리트기둥(200) 및 지하고강도콘크리트기둥(320)과의 접합부에, 전단보강재(440) 또는 지판(drop panel)이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델링과 공기단축을 위한 복합골조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플랫슬래브(400)는,
    슬래브철근(420)과 텐돈(430)이 상기 연속고강도콘크리트기둥(200)과 지하고강도콘크리트기둥(320)을 관통 배치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델링과 공기단축을 위한 복합골조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골조시스템을 적용하면서 건물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건물 지하부분의, 코어내력골조(100), 연속고강도콘크리트기둥(200), 지하고강도콘크리트기둥(320), 전이보(330), 플랫슬래브(400)를 시공하는 제1단계;
    건물 지하부분 위로 건물 지상부분의, 코어내력골조(100), 고강도콘크리트기둥(200), 외측내력벽체(310), 플랫슬래브(400)를 시공하는 제2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골조 건물의 시공방법.
  7. 제6항에서,
    상기 제2단계는,
    연속고강도콘크리트기둥(200)을 위한 기둥철근과 기둥거푸집을 설치하는 제2A단계;
    코어내력골조(100)와 외측내력벽체(310)를 위한 벽체철근과 벽체거푸집을 설치하는 한편, 플랫슬래브(400)를 위한 슬래브거푸집(410)을 설치하는 제2B단계;
    슬래브거푸집(410) 위로 슬래브철근(420)과 텐돈(430)을 설치하는 제2C단계;
    벽체거푸집 내부, 기둥거푸집 내부, 슬래브거푸집 위에 현장콘크리트(CC)를 타설 양생하는 제2D단계;
    텐돈(430)을 긴장하는 제2E단계;
    상기 제2E단계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상기 제2A단계 내지 제2E단계를 반복 실시하는 제2F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골조 건물의 시공방법.
  8. 제6항에서,
    상기 제2단계는,
    연속고강도콘크리트기둥(200)을 위한 강관기둥(210)을 설치하는 제2A단계;
    코어내력골조(100)와 외측내력벽체(310)를 위한 벽체철근과 벽체거푸집을 설치하는 한편, 플랫슬래브(400)를 위한 슬래브거푸집(410)을 설치하는 제2B단계;
    강관기둥(210) 내부에 상기 2B단계에서 설치한 슬래브거푸집(410)보다 낮은 높이로 현장콘크리트(CC) 타설 양생하는 제2C단계;
    슬래브거푸집(410) 위로, 슬래브철근(420)과 텐돈(430)을 설치하고 현장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2D단계;
    텐돈(430)을 긴장하는 제2E단계;
    상기 제2E단계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상기 제2A단계 내지 제2E단계를 반복 실시하거나 상기 제2B단계 내지 제2E단계를 반복 실시하는 제2F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골조 건물의 시공방법.
  9. 제6항에서,
    상기 제2단계는,
    연속고강도콘크리트기둥(200)을 위한 PC기둥(220)을 설치하는 제2A단계;
    코어내력골조(100)와 외측내력벽체(310)를 위한 벽체철근과 벽체거푸집을 설치하는 한편, 플랫슬래브(400)를 위한 슬래브거푸집(410)을 설치하는 제2B단계;
    슬래브거푸집(410) 위로, 슬래브철근(420)과 텐돈(430)을 설치하는 제2C단계;
    슬래브거푸집(410) 위에 현장콘크리트(CC)를 타설 양생하는 제2D단계;
    텐돈(430)을 긴장하는 제2E단계;
    상기 제2E단계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상기 제2A단계 내지 제2E단계를 반복 실시하거나 상기 제2B단계 내지 제2E단계를 반복 실시하는 제2F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골조 건물의 시공방법.
KR1020110074062A 2011-07-26 2011-07-26 용이한 리모델링과 공기단축을 위한 복합골조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복합골조 건물의 시공방법 KR101247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062A KR101247638B1 (ko) 2011-07-26 2011-07-26 용이한 리모델링과 공기단축을 위한 복합골조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복합골조 건물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062A KR101247638B1 (ko) 2011-07-26 2011-07-26 용이한 리모델링과 공기단축을 위한 복합골조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복합골조 건물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726A true KR20130012726A (ko) 2013-02-05
KR101247638B1 KR101247638B1 (ko) 2013-04-01

Family

ID=47893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4062A KR101247638B1 (ko) 2011-07-26 2011-07-26 용이한 리모델링과 공기단축을 위한 복합골조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복합골조 건물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76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078B1 (ko) * 2015-08-11 2016-12-27 대림산업 주식회사 모듈화된 외부벽체를 이용한 벽식 튜브 구조를 가지는 건축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211A (ko) 2014-08-21 2016-03-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철근 매립 및 단부 연속화에 의한 벽체 전단보강 공법
KR101778012B1 (ko) 2016-08-29 2017-09-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벽체 수직분할 및 수평철근 연속화에 의한 응답감소형 벽체 보강공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0304B1 (ko) * 1995-02-18 1998-10-15 홍관의 건축구조물의 지상층 및 지하층 골조의 병행 시공방법
KR100720823B1 (ko) * 2005-10-18 2007-05-23 대한주택공사 격간벽 구조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공동주택
KR100766798B1 (ko) * 2007-01-25 2007-10-17 대림산업 주식회사 지하공간 사용성 증대를 위한 이중 전이 슬래브 시스템
KR101204767B1 (ko) * 2010-03-26 2012-11-27 이창남 소규모 단위 공간형 다층 건축물의 구축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078B1 (ko) * 2015-08-11 2016-12-27 대림산업 주식회사 모듈화된 외부벽체를 이용한 벽식 튜브 구조를 가지는 건축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7638B1 (ko) 2013-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ew et al. Steel concrete composite systems for modular construction of high-rise buildings
CN102296837B (zh) 带预制件的多层建筑及其半预制构筑方法
KR10138920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와 모듈러 유닛을 이용한 중고층 주거용 건축물의 시공방법
CN105484354A (zh) 一种装配式钢结构建筑体系及其施工方法
Mota Voided Slabs Then and now.
CN103334497A (zh) 一种世构体系框架柱钢筋的连接方法
KR20070097891A (ko) 현장콘크리트 충진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그시공방법
KR101247638B1 (ko) 용이한 리모델링과 공기단축을 위한 복합골조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복합골조 건물의 시공방법
CN103572874A (zh) 钢框架房屋的钢筋混凝土叠合楼板的建造方法
KR101445286B1 (ko) 기준층의 공기단축이 가능한 pc-sf공법
JP2009209585A (ja) 既存建物の耐震補強方法および耐震補強構造
KR101395196B1 (ko) 전이층이 있는 고층건축물의 공기단축을 위한 패스트업 공법
EA034290B1 (ru) Многоэтажное здание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й конструктивной системы
CN110593397A (zh) 一种多层装配式板式建筑
KR20120131034A (ko) 루프이음에 의한 프리캐스트 천정판과 보의 결합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컨테이너 구조물
CN108625491A (zh) 装配式h型钢柱-独立基础-混凝土圈梁l形连接节点
WO2021247502A1 (en) Hybrid system for modular construction of concrete buildings
WO2016081989A1 (en) Method of constructing a concrete wall in a multi-storey building
CN102242551A (zh) 配筋砌块钢筋混凝土结构及其隔震、减震体系
KR101266215B1 (ko) 내진 성능이 향상된 중복도 격간벽구조 시스템
RU2633602C1 (ru) Способ ускоренного возведения здания методом отверточной сборки и здание из фасадных панелей с декоративной наружной отделкой и металлическим каркасом
JP2004060310A (ja) 耐震コアに依る木造耐震建築
KR101387232B1 (ko) 건축용 모멘트 골조 시스템
CN217439239U (zh) 一种构造钢筋束房屋混合结构
Ren et al. Design and top-down construction at the Nanjing Youth Olympic Center, Chi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