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2002A - 돔 구조물 고정용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돔 구조물 고정용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2002A
KR20130012002A KR1020120080293A KR20120080293A KR20130012002A KR 20130012002 A KR20130012002 A KR 20130012002A KR 1020120080293 A KR1020120080293 A KR 1020120080293A KR 20120080293 A KR20120080293 A KR 20120080293A KR 20130012002 A KR20130012002 A KR 20130012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tud
hexagonal
pentagona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0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기환
Original Assignee
황기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기환 filed Critical 황기환
Publication of KR20130012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0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1906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central spherical, semispherical or polyhedral connect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1/3211Structures with a vertical rotation axis or the like, e.g. semi-spherical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2001/3235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having a grid frame
    • E04B2001/3241Frame connection details
    • E04B2001/3247N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오각형 및 육각형의 커넥터를 이용하여 원에 가까운 돔 구조물로 조립할 수 있게 하는 돔 구조물 고정용 커넥터 장치가 개시된다.
돔 구조물 고정용 커넥터의 일 실시예는 돔형 구조물의 기둥을 구성하는 스터드; 상기 스터드와 스터드를 연결하는 오각형 커넥터; 상기 스터드와 스터드를 연결하는 육각형 커넥터; 및 상기 스터드와 상기 오각형 커넥터 혹은 육각형 커넥터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제 1 연결구를 포함한다.
돔 구조물 고정용 커넥터에 의하면 돔 형태의 건축물을 쉽고 빠르며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돔 구조물 고정용 커넥터 장치{Apparatus of fixing connector for dome framework}
본 발명은 돔 구조물 고정용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각형 및 육각형의 커넥터를 이용하여 원에 가까운 돔 구조물로 조립하는 돔 구조물 고정용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립식 건축물의 구조물이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결속구 또는 커넥터라고 하며, 커넥터는 구조물을 빠르고 쉽게 연결 및 고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돔형 건축물은 전체적으로 반구형의 형상을 갖는 건축 구조물이며 전원주택, 별장, 카페, 체육관, 종교시설, 야외전시장, 공연장, 해상펜션, 방가로, 텐트, 천막 등의 건축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 기술의 돔형은 각 스터드와 스터드가 연결되는 지점을 용접하거나 나사 결합하므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스터드의 길이를 맞추는 재단 작업이 자유롭지 못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공사 기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기둥 등과 같은 일반적인 건축용 구조물은 직선 형태이며, 직선 구조물을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곡면을 형성하기 위하여는 다양한 종류의 커넥터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적은 종류의 커넥터를 사용하여 직선 구조물로 반구형의 돔 건축물을 조립하는 커넥터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건출물의 조립이 간편하고 시간이 적게 소요되어 공사기간이 단축되는 커넥터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은 숫자의 커넥터를 사용하여 돔형의 건축물을 쉽고 빠르며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돔 구조물 고정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돔 구조물 고정용 커넥터 장치는 돔형 구조물의 기둥을 구성하는 스터드; 상기 스터드와 스터드를 연결하는 오각형 커넥터; 상기 스터드와 스터드를 연결하는 육각형 커넥터; 상기 스터드와 상기 오각형 커넥터 혹은 육각형 커넥터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제 1 연결구;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돔 구조물 고정용 커넥터 장치는 돔형 구조물의 기둥을 구성하는 스터드; 상기 스터드와 스터드를 연결하는 오각형 커넥터; 상기 스터드와 스터드를 연결하는 육각형 커넥터; 상기 스터드와 상기 오각형 커넥터 혹은 육각형 커넥터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제 2 연결구;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돔 구조물 고정용 커넥터 장치는 돔형 구조물의 기둥을 구성하는 스터드; 상기 스터드와 스터드를 연결하는 오각형 커넥터; 상기 스터드와 스터드를 연결하는 육각형 커넥터; 및 상기 스터드와 상기 오걱형 커넥터 혹은 육각형 커넥터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제 3 연결구;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구성은 오각형과 육각형의 커넥터를 이용하여 돔 형태의 건축물을 쉽고 빠르며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5각형 커넥터의 사시도 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6각형 커넥터의 사시도 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 1 연결구 및 스터드와 제 1 연결구를 결합하는 볼트의 도면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5각형 커넥터에 제 2 연결구를 사용하여 스터드와 결합하는 순서 설명도 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6각형 커넥터에 제 2 연결구를 사용하여 스터드와 결합하는 순서 설명도 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5각형 커넥터와 6각형 커넥터가 각각 연결구를 사용하여 스터드와 연결된 상태에서 각도 변환이 간편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5 각형 커넥터에 연결구를 사용하여 스터드가 연결된 상태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6 각형 커넥터에 연결구를 사용하여 스터드가 연결된 상태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9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5각형 커넥터와 6 각형 커넥터 및 연결구와 스터드를 사용하여 돔 하우스 형상으로 조립한 상태의 도면이고,
도 10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 1 연결구의 개방된 상태도 이며,
도 1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 1 연결구의 닫힌 상태도 이고,
도 1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스터드와 결합된 제 1 연결구가 개방된 상태도 이며,
도 1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스터드와 결합된 제 1 연결구가 6 각형 커넥터와 체결된 상태의 정면도 이고,
도 1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스터드와 결합된 제 1 연결구가 6 각형 커넥터와 체결된 상태의 배면도 이며,
도 1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 2 연결구의 평면도 이고,
도 1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 2 연결구와 스터드를 조립한 상태의 정면도 이며,
도 1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 2 연결구와 스터드를 조립한 상태의 익측면도 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 3 연결구의 측면도 이며,
도 19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 3 연결구와 스터드를 조립한 상태에서 제 3 연결구를 개방한 상태의 일측면도 이고,
도 20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터드와 결합된 제 3 연결구에 5 각형 커넥터를 체결한 상태의 정면도 이며,
도 2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터드와 결합된 제 3 연결구에 5 각형 커넥터를 체결한 상태의 배면도이고,
도 2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5각형과 6각형 커넥터를 이용하여 조립된 돔 하우스의 출입구를 위하여 일측면을 개방한 상태도이고 그리고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연결구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5각형 커넥터의 사시도 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6각형 커넥터의 사시도 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 1 연결구 및 스터드와 제 1 연결구를 결합하는 볼트의 도면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5각형 커넥터에 제 2 연결구를 사용하여 스터드와 결합하는 순서 설명도 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6각형 커넥터에 제 2 연결구를 사용하여 스터드와 결합하는 순서 설명도 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5각형 커넥터와 6각형 커넥터가 각각 연결구를 사용하여 스터드와 연결된 상태에서 각도 변환이 간편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5 각형 커넥터에 연결구를 사용하여 스터드가 연결된 상태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6 각형 커넥터에 연결구를 사용하여 스터드가 연결된 상태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9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5각형 커넥터와 6 각형 커넥터 및 연결구와 스터드를 사용하여 돔 하우스 형상으로 조립한 상태의 도면이고, 도 10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 1 연결구의 개방된 상태도 이며, 도 1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 1 연결구의 닫힌 상태도 이고, 도 1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스터드와 결합된 제 1 연결구가 개방된 상태도 이며, 도 1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스터드와 결합된 제 1 연결구가 6 각형 커넥터와 체결된 상태의 정면도 이고, 도 1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스터드와 결합된 제 1 연결구가 6 각형 커넥터와 체결된 상태의 배면도 이며, 도 1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 2 연결구의 평면도 이고, 도 1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 2 연결구와 스터드를 조립한 상태의 정면도 이며, 도 1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 2 연결구와 스터드를 조립한 상태의 익측면도 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 3 연결구의 측면도 이며, 도 19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 3 연결구와 스터드를 조립한 상태에서 제 3 연결구를 개방한 상태의 일측면도 이고, 도 20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터드와 결합된 제 3 연결구에 5 각형 커넥터를 체결한 상태의 정면도 이며, 도 2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터드와 결합된 제 3 연결구에 5 각형 커넥터를 체결한 상태의 배면도 이고, 도 2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5각형과 6각형 커넥터를 이용하여 조립된 돔 하우스의 출입구를 위하여 일측면을 개방한 상태도 이다.
건축물의 기둥을 포함하는 구조물은 건물에 작용하는 힘 또는 하중을 적절하게 분산시켜 안전성을 유지시킬 수 있어야 한다.
돔형 구조의 건축물은 내부에 기둥이 없으므로 구조물에 미치는 힘이 분산되어 바닥에 전달될 수 있어야 한다.
건축물 상부의 하중을 아래로 분산시켜 건축물의 안전성을 높인 구조로 삼각형 구조가 알려져 있다.
돔형 구조물은 상부로 올라갈수록 안으로 휘어지면서 각 측면이 한점에서 만나게 된다.
이하, ‘열’은 가로 방향의 대략적으로 수평의 직선 스터드를 열로 표현하며, 제 1 열은 지면과 접촉하는 열을 의미한다.
또한, 열은 공간 높이를 위해 줄일 수도 늘릴수도 있다.
바닥이 10각인 제 1 실시예를 조립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제 1 실시예)
1. 바닥에 배치되는 제 1 열에는 6각형 커넥터가 10개 배치되고 각 커넥터의 사이를 스터드로 연결한다.
2. 제 2 열에는 순서대로 6각형, 5각형, 6각형, 5각형의 커넥터가 반복되어 배치된다.
이때, 6각과 5각은 각각 5개씩 사용된다.
제 2 열의 각 커넥터 사이 및 제 1 열의 각 커넥터 사이를 스터드로 연결한다.
3. 제 3 열에는 6각 커넥터만으로 5 개를 배치하고 각 커넥터와의 사이를 스터드로 연결한다.
또한, 제 2 열의 각 커넥터와의 사이를 스터드로 연결한다.
4. 정상의 꼭지점에는 5각 커넥터를 배치하고 제 3 열의 각 커넥터와 사이는 스터드로 연결한다.
바닥이 15각인 제 2 실시예를 조립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제 2 실시예)
1. 바닥에 배치되는 제 1 열에는 6각형 커넥터가 15개 배치되고 각 커넥터 사이를 스터드로 연결한다.
2. 제 2 열에는 6각 커넥터가 15개 배치된다.
3. 제 3 열에는 커넥터를 5각형, 6각형, 6각형, 5각형, 6각형, 6각형의 순서로 총 5번을 반복하여 배치한다.
4. 제 4 열에는 6 각형의 커넥터를 10개 배치한다.
5. 제 5 열에는 6 각형의 커넥터를 5 개 배치한다.
6. 정상의 꼭지점에는 5 각형의 커넥터만을 배치한다.
각 커넥터와 커넥터 사이에는 스터드로 연결된다.
바닥이 20각인 제 3 실시예를 조립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제 3 실시예)
1. 바닥에 배치되는 제 1 열에는 6각형 커넥터가 20개 배치되고 각 커넥터 사이를 스터드로 연결한다.
2. 제 2 열에는 6각 커넥터가 20개 배치된다.
3. 제 3 열에는 커넥터를 5각형, 6각형, 6각형, 6 각형 순서로 5 번 반복 배치한다.
4. 제 4 열에는 6 각형 커넥터를 15개 배치한다.
5. 제 5 열에는 6 각형 커넥터를 10 개 배치한다.
6. 제 6 열에는 6 각형 커넥터를 5 개 배치한다.
7. 면 정상의 꼭지점으로 5 각형 커넥터를 1 개 배치한다.
각 커넥터와 커넥터 사이에는 스터드로 연결된다.
이상 지면이 10각, 15각, 20 각형의 돔을 조립하는 최상의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돔의 상부공간을 더 활용하기 위해 3 열의 밑 부분에 해당하는 다시말하면, 5각형 커넥터와 6 각형 커넥터가 배치되어 있는 하부에 6 각형 커넥터를 한열씩 추가 배치하면 높은 돔의 형상을 조립할 수 있고, 돔의 상부 공간을 작게하고자 하는 경우,5각형 커넉터와 6각형 커넥터의 반복대치되는 하부열을 이루는 6 각형 만으로 이루어진 커넥터 부분을 제거할 수 있다.
지면에 배치되는 돔 형이 5의 배수가 되는 것이 이상적인 돔 형상에 가까운 최선의 실시예 이지만 경우에 따라서 5의 배수가 아니어도 가능하다.
돔의 출입문을 배치하는 경우 5긱 또는 6각 커넥터에 연결되어 있는 임의의 스터디를 출입문으로 하기 위해 첨부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방향을 개방된 상태로 구성할 수 있다.
돔 하우스의 조립에 있어서 6 각형 커넥터만으로 조립할 경우와 5 각형 커넥터와 6 각형 커넥터를 교차 배치하여 조립할 수 있다.
돔 하우스를 6 각형 커넥터만으로 조립할 수도 있다.
그러나 돔 하우스를 5 각형 커넥터와 6 각형 커넥터를 교차 배치하여 조립하는 경우에는 더 많은 하중을 견딜 수 있다.
즉, 돔하우스를 건설하는 경우에 동일한 하중이 상부에서 인가되어도 6 각형 커넥터 만으로 조립한 경우는 상부에서 인가되는 힘의 분산이 원활하지 않아 쉽게 무너질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5 각형 커넥터와 6 각형 커넥터를 교차 배치한 것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연결구는 둥근 머리를 가지는 "U"자형 체결구이다. 제2연결구(5)는 U자형으로 굴곡된 머리(500a), 머리(500a)의 양단에서 1자로 연장된 두 개의 몸체(500b, 500c) 그리고 몸체(500b, 500c)를 맞뚫어서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공(500d)을 포함한다. 머리(500a)는 오각형 커넥터(3) 혹은 육각형 커넥터(4)의 변에 걸쳐진다. 몸체(500b, 500c) 사이에는 스터드(6)이 끼워진다. 몸체(500b)에 스터드(6)을 끼운 상태에서 관통공(500d)사이에 볼트(미도시)를 관통시킨 후 양쪽에서 너트(미도시)로 조인다. 나사 조임에 의해 몸체(500b, 500c)가 조여지고 이러한 조임력에 의해 스터드(6)가 제2연결구(5)에 고정된다. 즉, 스터드(6)와 커넥터(3, 4)가 제2연결구(5)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도 15를 참조하면, 머리(500a)는 U자형으로 굴곡된 형태를 만들기 위해 오목한 2개의 철편을 힌지를 통하여 맞물림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개시되지만, 단순하게 U자형으로 절곡된 하나의 철편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8 내지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연결구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다른 제3연결구(7)는 베이스(700a), 베이스(700a)의 일단 및 타단에 형성된 힌지(700b, 700c), 제1힌지(700b)에 의해 베이스(700a)에 연결되며 타단에 외측으로 걸고리(700e)가 형성된 아암(700d), 베이스(700a)의 타단에서 제2힌지(700c)에 의해 설치되는 클립(700f)을 포함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3연결구(7)는 커넥터(3, 4)의 한 변에 걸쳐진다. 아암(700b)을 커넥터(3, 4)의 일 변에 걸친후 걸고리(700e)에 클립(700f)를 건 후 누름쇠(700g)를 누르면, 제3연결구(7)이 커넥터(3, 4)의 변에 고정된다.
상기 누름쇠(700g)는 클립(700f)의 타단 즉, 걸고리(700e)에 걸쳐지는 부분의 반대쪽 일단에 설치되며 클립(700f)이 걸고리(700e)에 걸쳐졌을 때 누름 작용에 의해 클립(700f)을 잡아당겨 고정시킨다.
한편, 스터드(6)는 베이스(700a)의 하부로 끼워지고 관통공(700h)에서 나사 조임에 의해 고정된다.
도 20 및 도 21은 제3연결구(7)이 오각형 커넥터 및 스터드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연결구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연결구(1)는 스터드(6)와 커넥터(3, 4)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100a), 베이스(100a)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1힌지(100c), 제1힌지(100c)에 의해 베이스(100a)와 결합되는 아암(100b), 베이스(100a)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2힌지(100d), 제2힌지(100d)에 의해 베이스(100a)와 결합되는 체결 볼트(100e), 아암(100d)을 규제하기 위한 너트(100f)를 구비한다.
베이스(100a)는 전체적으로 "ㄴ"자 형상으로 구부러지며 커넥터(3, 4)에 물려질 수 있도록 안쪽면(도면에서 오른쪽)이 커넥터(3, 4)와 맞물리는 형태의 외주면을 갖는다. 베이스(100a)의 양단에는 각각 암(100b) 및 체결 볼트(100e)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힌지(100c, 100d)가 설치된다.
아암(100b)의 타단 즉, 제2힌지(100d)쪽은 제2힌지(100d)와 맞물려지도록 갈라진 단턱부(100g)가 형성된다.
제1연결구(1)는 커넥터(3, 4)의 한 변에 걸쳐진다. 아암(100b)을 접어서 단턱부(100g)의 갈라진 부분이 제2힌지(100d)에 맞물리도록 한 후 체결볼트(100e)를 단턱부(100g)의 갈라진 부분에 위치시킨다. 이후 너트(100f)를 조이면 힌지(100d)와 단턱부(100g)가 조여지고 이에 따라 제1연결구(1)이 커넥터(3, 4)의 변에 고정된다.
한편, 베이스(100a)의 저면에는 관통공(100h)이 구비된다. 이 관통공(100h)을 통하여 제1연결구(1)가 스터드(6)가 나사 결합에 의해 고정된다.
도 24는 제1연결구를 체결하는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다.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100b)을 접고,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볼트(100e)를 아암(100b)의 접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접어올린다. 이후 너트(100f)를 조여서 단턱부(100g)와 제2힌지(100d)를 단단히 결속시킨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 제 1 연결구 2 : 볼트
3 : 5각 커넥터 4 : 6각 커넥터
5 : 제 2 연결구 6 : 스터드
7 : 제 3 연결구

Claims (6)

  1. 돔형 구조물의 기둥을 구성하는 스터드;
    상기 스터드와 스터드를 연결하는 오각형 커넥터;
    상기 스터드와 스터드를 연결하는 육각형 커넥터; 및
    상기 스터드와 상기 오각형 커넥터 혹은 육각형 커넥터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제 1 연결구; 를 포함하는 돔 구조물 고정용 커넥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구는 상기 스터드와 상기 오각형 커넥터 혹은 상기 육각형 커넥터를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ㄴ"자 형상으로 구부러지며 상기 오각형 커넥터 혹은 육각형 커넥터의 변의 일측면에 맞물리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100a)의 양단에 설치되는제1 및 제2힌지;
    상기 제1힌지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제2힌지에 맞물려지고, 상기 오각형 커넥터 혹은 육각형 커넥터의 변의 타측면에 맞물려지는 아암;
    상기 제2힌지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아암에 맞물려지는 체졀 볼트; 및
    상기 아암과 상기 제2힌지가 맞물려진 상태에서 상기 체결볼트를 통하여 상기 아암과 상기 제2힌지를 고정시키기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구조물 고정용 커넥터 장치.
  3. 돔형 구조물의 기둥을 구성하는 스터드;
    상기 스터드와 스터드를 연결하는 오각형 커넥터;
    상기 스터드와 스터드를 연결하는 육각형 커넥터; 및
    상기 스터드와 상기 오각형 커넥터 혹은 육각형 커넥터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제 2 연결구; 를 포함하는 돔 구조물 고정용 커넥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구는 상기 스터드와 상기 오각형 커넥터 혹은 육각형 커넥터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U자형으로 굴곡된 머리;
    상기 머리(500a)의 양단에서 연장된 두 개의 몸체; 및
    상기 몸체들을 맞뚤어서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구조물 고정용 커넥터 장치.
  5. 돔형 구조물의 기둥을 구성하는 스터드;
    상기 스터드와 스터드를 연결하는 오각형 커넥터;
    상기 스터드와 스터드를 연결하는 육각형 커넥터; 및
    스터드와 커넥터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제 3 연결구; 를 포함하는 돔 구조물 고정용 커넥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연결구는 상기 스터드와 상기 오각형 커넥터 혹은 육각형 커넥터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스터드가 하부로 끼워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700a)의 일단 및 타단에 형성된 제1힌지 및 제2힌지;
    제1힌지에 의해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며 타단에 외측으로 걸고리가 형성된 아암;
    상기 베이스의 타단에서 상기 제2힌지에 설치되는 클립;
    상기 클립에서 상기 걸고리에 걸쳐지는 부분의 반대쪽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클립이 상기 걸고리에 걸쳐졌을 때 누름 작용에 의해 상기 클립을 잡아당겨 고정시키는 누름쇠;를 포함하는 것을 동 구조물 고정용 커넥터 장치.
KR1020120080293A 2011-07-22 2012-07-23 돔 구조물 고정용 커넥터 장치 KR201300120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311 2011-07-22
KR20110073311 2011-07-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002A true KR20130012002A (ko) 2013-01-30

Family

ID=47840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0293A KR20130012002A (ko) 2011-07-22 2012-07-23 돔 구조물 고정용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200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122A (ko) 2015-04-07 2016-10-1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볼 조인트를 갖는 커넥터 허브 분할형 돔 커넥터
KR20160120121A (ko) 2015-04-07 2016-10-1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볼 조인트를 갖는 커넥터 허브 단일형 돔 커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122A (ko) 2015-04-07 2016-10-1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볼 조인트를 갖는 커넥터 허브 분할형 돔 커넥터
KR20160120121A (ko) 2015-04-07 2016-10-1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볼 조인트를 갖는 커넥터 허브 단일형 돔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570B1 (ko) 정글짐 연결 구조
US4118904A (en) Building structure
KR102099289B1 (ko) 내진용 케이블 트레이
US2874708A (en) Prefabricated tent frame
KR20130012002A (ko) 돔 구조물 고정용 커넥터 장치
JP6334499B2 (ja) 仮設用手摺り組立て用具
KR20110006170A (ko) 지오데식 돔 천막 및 그 제작방법
JP6742570B2 (ja) 建物の耐震耐風補強構造
JP2019508606A (ja) 足場用仮設足場板固定装置
CA3103226A1 (en) Modular support frame
JP6321599B2 (ja) 連結構造
KR101530785B1 (ko) 이중마루 지주 보강재
KR101833459B1 (ko) 돔형 온실 구조물
KR200386867Y1 (ko) 안전방호망장치
JP6445963B2 (ja) 接続具
KR101174255B1 (ko) 조임레버를 구비한 그레이팅 패널의 고정구
CN210049647U (zh) 装配式休息亭
KR200272661Y1 (ko) 천막
KR200462432Y1 (ko) 곶감 건조용 조립식 걸이구
KR101230030B1 (ko) 울타리용 메시 연결고정구
JP5339786B2 (ja) 建築用の接合金物
JP7078286B2 (ja) シート構造体
KR102453493B1 (ko) 안전 펜스
CN216787466U (zh) 一种建筑结构用支撑连接装置
JP6664282B2 (ja) 連結具と、この連結具を用いた屋根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