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1841A - 차량용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1841A
KR20130011841A KR1020110073266A KR20110073266A KR20130011841A KR 20130011841 A KR20130011841 A KR 20130011841A KR 1020110073266 A KR1020110073266 A KR 1020110073266A KR 20110073266 A KR20110073266 A KR 20110073266A KR 20130011841 A KR20130011841 A KR 20130011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haft
power
motor
nut memb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3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5744B1 (ko
Inventor
김종성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3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744B1/ko
Publication of KR20130011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F16D65/183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with force-transmitting members arranged side by side acting on a spot type force-apply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8Electric or magnetic
    • F16D2121/24Electric or magnetic using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20Mechanical mechanisms converting rotation to linear movement or vice versa
    • F16D2125/34Mechanical mechanisms converting rotation to linear movement or vice versa acting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rotation
    • F16D2125/40Screw-and-n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부품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여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모터의 동력을 출력축을 통해 전달하는 액추에이터; 출력축에 구비되고 모터의 동력에 의해 직선운동되어 브레이크패드를 디스크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 및 출력축과 가압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제동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제동장치 {BRAKE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부품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여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차량용 제동장치는 차량의 구동휠에 연결되는 디스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브레이크패드와, 브레이크패드를 가압하여 브레이크패드와 디스크를 마찰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조작하면 제어부의 구동신호에 따라 가압부가 작동되므로 브레이크패드가 디스크에 마찰되면서 디스크 및 구동휠의 회전을 구속하게 된다.
차량용 제동장치는 가압부의 종류에 따라 분류할 수 있으며, 제동장치는, 유압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작동유체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식 제동장치와, 모터의 동력에 의해 가압부가 구동되는 전동식 제동장치가 있다.
전동식 제동장치는 모터의 동력이 가압부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전달되므로 브레이크패드를 디스크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030012호(2010년 3월 18일 공개, 발명의 명칭 : 기어를 이용한 주차 제동 기능을 갖춘 전동 브레이크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차량용 제동장치는 모터의 출력축과 가압부가 볼트 및 너트 방식으로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기 때문에 가압부가 스트로크 이상의 범위에서 작동되는 오작동이 발생되면 볼트와 너트가 잠기는 것과 같은 현상이 모터의 출력축과 가압부 사이에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부품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여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제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터의 동력을 출력축을 통해 전달하는 액추에이터; 상기 출력축에 구비되고 모터의 동력에 의해 직선운동되어 브레이크패드를 디스크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출력축과 상기 가압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출력축에 동력을 제공하는 상기 모터; 상기 모터의 동력을 변속시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고 나사산이 형성되는 상기 출력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출력축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부는 상기 너트부재에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출력축에 대향되는 단부에 돌출되는 곡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는, 출력축과 가압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출력축과 가압부가 서로 압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출력축과 가압부가 서로 압입되어 발생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의 가압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의 가압부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의 가압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의 가압부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는, 모터(12)의 동력을 출력축(16)을 통해 전달하는 액추에이터(10)와, 출력축(16)에 구비되고 모터(12)의 동력에 의해 직선운동되어 브레이크패드(72)를 디스크(74)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30)와, 출력축(16)과 가압부(3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50)를 포함한다.
차량 주행 중에 제동장치가 작동되면 모터(12)에 전원이 인가되어 출력축(16)이 회전되고, 출력축(16)의 회전운동이 가압부(3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브레이크패드(72)를 디스크(74) 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브레이크패드(72)와 디스크(74)가 마찰되면 디스크(74)의 회전을 구속하게 되므로 디스크(74)에 연결되는 구동휠의 회전속도가 감소되면서 제동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액추에이터(10)는, 출력축(16)에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2)와, 모터(12)의 동력을 변속시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4)와, 동력전달부(14)에 연결되고 나사산이 형성되는 출력축(16)을 포함한다.
동력전달부(14)는 다수 개의 기어가 연속되게 배치되고 서로 기어연결되며, 각각 서로 다른 개수의 기어치가 형성되므로 출력축(16)을 통해 전달되는 모터(12)의 동력이 가속되거나 감속되어 출력축(16)에 전달된다.
출력축(16)은 캘리퍼 바디(76)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출력축(16)의 외측 단부에는 가압부(30)가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압부(30)는 출력축(16)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32)를 포함하므로 모터(12)의 동력에 의해 출력축(16)이 회전되면 너트부재(32)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너트부재(32) 외부로 배출되는데, 출력축(16)은 동력전달부(14)에 고정되므로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없어 너트부재(32)가 전진 또는 후진되는 직선운동을 행하게 된다.
너트부재(32)는 캘리퍼 바디(76)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너트부재(32) 및 브레이크패드(72) 장착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너트부재(32)는 저면이 개방된 캡 모양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따라서 모터(12)의 동력에 의해 출력축(16)이 정회전하면 너트부재(32)가 브레이크패드(72) 측으로 직선운동되고, 출력축(16)이 역회전되면 너트부재(32) 내부로 출력축(16)이 삽입되면서 너트부재(32)가 액추에이터(10) 측으로 직선운동된다.
간격유지부(50)는 너트부재(32)에 형성되는 돌기부(52)를 포함하므로 출력축(16)이 역회전되어 너트부재(32) 내측으로 삽입될 때에 출력축(16)의 단부와 너트부재(32)의 내벽 상면 사이에 돌기부(52)가 개재된다.
따라서 출력축(16)의 단부와 너트부재(32)의 내벽이 밀착되면서 조여진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출력축(16)이 정회전될 때에 너트부재(32)가 전진되지 않는 오작동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돌기부(52)는 출력축(16)에 대향되는 단부에 곡면부(54)가 형성되므로 너트부재(32)의 내벽 상면과 돌기부(52)가 점접촉되어 돌기부(52)의 단부와 너트부재(32)의 내벽 상면이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차량 주행 중에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제동작동이 개시되면, 먼저, 모터(12)에 전원이 인가되어 모터(12)의 동력이 동력전달부(14)를 따라 출력축(16)에 전달된다.
출력축(16)이 정회전되면 출력축(16)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32)가 캘리퍼 바디(76) 측으로 직선운동되면서 브레이크패드(72)를 디스크(74) 측으로 가압한다.
브레이크패드(72)와 디스크(74)가 마찰되면 디스크(74) 및 구동휠의 회전이 구속되면서 제동작동이 이루어진다.
제동작동이 완료되어 브레이크페달의 조작이 해제되면 모터(12)가 역회전되면서 역회전 동력이 동력전달부(14)를 따라 출력축(16)에 전달된다.
출력축(16)이 역회전되면 너트부재(32)가 출력축(16) 측으로 이동되어 브레이크패드(72)에 제공되던 가압력이 해제되므로 브레이크패드(72)와 디스크(74)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면서 제동작동이 종료된다.
이때, 출력축(16)의 역회전이 지속되면 너트부재(32) 내부로 출력축(16)이 삽입되는데, 돌기부(52)에 의해 출력축(16)의 단부와 너트부재(32)의 내벽 상면이 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출력축(16)과 너트부재(32)가 밀착되어 조여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다음의 제동작동이 개시될 때에 출력축(16)이 정회전되면 너트부재(32)가 출력축(16)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어 제동작동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돌기부(52)의 단부가 출력축(16)에 접촉될 때에는 곡면부(54)에 의해 돌기부(52)와 출력축(16)이 점접촉되므로 돌기부(52)와 너트부재(32)가 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부품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여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제동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차량용 제동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차량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제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액추에이터 12 : 모터
14 : 동력전달부 16 : 출력축
30 : 가압부 32 : 너트부재
50 : 간격유지부 52 : 돌기부
54 : 곡면부 72 : 브레이크패드
74 : 디스크 76 : 캘리퍼 바디

Claims (5)

  1. 모터의 동력을 출력축을 통해 전달하는 액추에이터;
    상기 출력축에 구비되고 상기 모터의 동력에 의해 직선운동되어 브레이크패드를 디스크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출력축과 상기 가압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출력축에 동력을 제공하는 상기 모터;
    상기 모터의 동력을 변속시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고 나사산이 형성되는 상기 출력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출력축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는 상기 너트부재에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출력축에 대향되는 단부에 돌출되는 곡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동장치.
KR1020110073266A 2011-07-22 2011-07-22 차량용 제동장치 KR101845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266A KR101845744B1 (ko) 2011-07-22 2011-07-22 차량용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266A KR101845744B1 (ko) 2011-07-22 2011-07-22 차량용 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841A true KR20130011841A (ko) 2013-01-30
KR101845744B1 KR101845744B1 (ko) 2018-04-05

Family

ID=47840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3266A KR101845744B1 (ko) 2011-07-22 2011-07-22 차량용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744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1767A (ja) * 1999-04-01 2000-10-20 Shibaura Densan Kk 電動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5744B1 (ko)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2403B1 (ko)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KR101371992B1 (ko) 자동차용 전동식 브레이크
KR101479625B1 (ko) 전기 기계 브레이크
EP2878848B1 (en) Electro-mechanical brake with differential gear
KR20070033627A (ko) 주차기능을 갖춘 디스크브레이크
CN110173519B (zh) 电子钳式制动器
US9835214B2 (en) Electronic disc brake
US10024375B2 (en) Electronic disc brake
US9242658B2 (en) Brake device
JP2010038307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KR20170124743A (ko) 전동식 브레이크
KR101220405B1 (ko)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JP6581543B2 (ja) ブレーキキャリパー及びブレーキ装置
KR20120060069A (ko) 차량용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01876006B1 (ko) 코깅 토크 저감장치를 가진 전동식 브레이크
KR20130102924A (ko) 차량용 제동장치
KR20030093690A (ko) 캠을 이용한 전기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KR20130058263A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KR20150072582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동력전달장치
KR20130011841A (ko) 차량용 제동장치
JP6676989B2 (ja) 車両用電動ブレーキ装置
KR101536598B1 (ko)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KR20160122946A (ko)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20080054305A (ko) 자동차 브레이크 장치
KR20100039072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을 갖춘 디스크 브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