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1346A - 막힌 하수관을 뚫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막힌 하수관을 뚫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1346A
KR20130011346A KR1020110072436A KR20110072436A KR20130011346A KR 20130011346 A KR20130011346 A KR 20130011346A KR 1020110072436 A KR1020110072436 A KR 1020110072436A KR 20110072436 A KR20110072436 A KR 20110072436A KR 20130011346 A KR20130011346 A KR 20130011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ewer pipe
water supply
blocked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2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8792B1 (ko
Inventor
방도영
Original Assignee
방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도영 filed Critical 방도영
Priority to KR1020110072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8792B1/ko
Publication of KR20130011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8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8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0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 E03C1/304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using fluid und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물질에 의해 막힌 하수관을 신속하고도 간편하게 뚫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막힌 하수관으로 물을 주입하면서 압축공기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이 물질(머리카락, 음식찌꺼기 등)에 의해 막혔던 하수관을 뚫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관로가 막힌 하수관(10)의 입구를 제외한 나머지 하수관(11)의 입구를 폐쇄하는 단계와, 관로가 막힌 하수관(10)의 입구에 공기압 호스 연결관(31) 및 물 공급호스 연결관(32)이 구비된 체결구(30)를 기밀이 유지되게 체결하는 단계와, 상기 공기압 호스 연결관(31) 및 물 공급호스 연결관(32)에 콤프레셔(60)와 연결된 공기압 호스(50) 및 물 공급호스(70)를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물 공급호스(70)를 통해 막힌 하수관(10)으로 물을 공급하면서 공기압 호스(50)를 통해 3-20kg/cm2 압력의 압축공기를 5-20초 동안 공급하는 단계와, 막힌 하수관(10)이 뚫릴 때까지 물을 공급하면서 고압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단계를 반복적으로 실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막힌 하수관을 뚫는 방법 및 그 장치{omitted}
본 발명은 이물질에 의해 막힌 하수관을 신속하고도 간편하게 뚫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막힌 하수관으로 물을 주입하면서 압축공기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이 물질(머리카락, 음식찌꺼기 등)에 의해 막혔던 하수관을 뚫을 수 있도록 하는 막힌 하수관을 뚫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가구 주택(아파트, 주상복합아파트, 연립주택 등)은 주 하수관로에 여러 세대로부터 연결된 분기 하수관이 접속되어 각 세대에서 발생한 하수가 분기 하수관을 통해 배출되면 주 하수관로를 거쳐 배수되도록 시공하고 있다.
그러나 특정 세대의 분기 하수관이 막히면 하수가 배수되지 못하고 지대가 낮은 하수관을 통해 역류하여 세대간 분쟁을 야기시키는 경우가 발생되어 하수관이 막히면 이를 신속하게 뚫어야만 된다.
종래에는 막힌 하수관을 뚫는 장치로, 회전 손잡이를 회전시켜 몸체가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몸체 내부에 텐션을 갖고 스프링 형태로 말려진 천공 줄이 수납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막힌 하수관을 뚫기 위해서는 몸체에 수납된 천공 줄을 손으로 빼내어 하수관 속으로 밀어 넣은 후 고정 손잡이를 잡고 회전 손잡이로 몸체를 회전시키면 천공 줄이 회전되면서 막힌 하수관을 뚫어 주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를 이용한 방법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직선형태의 하수관에서는 어느 정도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으나, 굴곡된 하수관에서는 천공 줄이 하수관을 따라 진입하지 못하여 막힌 하수관을 뚫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둘째, 하수관으로 진입된 천공 줄이 엘보우 등 연결부재의 단턱부에 걸린 상태에서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천공 줄을 회전시키면 하수관의 연결부위에서 플라스틱재질의 하수관이 터지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었다.
이 경우에는 부득이 콘크리트 바닥을 해체한 다음 하수관을 교체하여야 되는 치명적인 결함을 나타낸다.
셋째, 천공작업이 끝난 후 천공 줄을 다시 몸체 속에 수납시킬 때 오물이 묻어 있는 천공 줄을 손으로 잡고 몸체 속으로 밀어 넣어야 하기 때문에 밀어 넣는 것이 원활하지를 못하였고 특히 손에 오물이 묻어 비위생적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기다란 천공 줄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막힌 하수관으로 일정량의 물을 주입하면서 주입된 물을 고압의 공기압으로 분사하여 막힌 하수관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신속하고도 간편하게 뚫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막힌 하수관으로 물을 주입하는 과정에서 소금 또는 알갱이 상태의 얼음 등과 같은 수용성물질을 함께 공급하여 하수관의 내벽에 달라붙은 기름성분의 때를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관로가 막힌 하수관의 입구를 제외한 나머지 하수관의 입구를 폐쇄하는 단계와, 관로가 막힌 하수관의 입구에 공기압 호스 연결관 및 물 공급호스 연결관이 구비된 체결구를 기밀이 유지되게 체결하는 단계와, 상기 공기압 호스 연결관 및 물 공급호스 연결관에 콤프레셔와 연결된 공기압 호스 및 물 공급호스를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물 공급호스를 통해 막힌 하수관으로 물을 공급하면서 공기압 호스를 통해 3-20kg/cm2 압력의 압축공기를 5-20초 동안 공급하는 단계와, 막힌 하수관이 뚫릴 때까지 물을 공급하면서 고압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단계를 반복적으로 실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힌 하수관을 뚫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관로가 막힌 하수관의 입구를 제외한 나머지 하수관의 입구를 폐쇄하는 밀봉부재와, 상기 관로가 막힌 하수관의 입구에 체결되며, 상부에는 공기압 호스 연결관 및 물 공급호스 연결관이 구비된 체결구와, 상기 공기압 호스 연결관에 일단이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콤프레셔에 고정되어 막힌 하수관으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압 호스와, 일단이 물 공급원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물 공급호스 연결관에 연결되는 물 공급호스와, 상기 공기압 호스 및 물 공급호스를 연결 고정하는 체결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힌 하수관을 뚫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방법 및 장치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하수관의 입구를 통해 물을 공급하면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막힌 하수관을 뚫으므로 하수관을 뚫는 과정에서 하수관이 파손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한 작업이 가능해지게 된다.
둘째, 물을 공급하면서 소금 또는 알갱이 상태의 얼음 등과 같은 수용성물질을 투입하면 하수관의 내벽에 달라붙어 있던 기름때를 말끔히 제거할 수 있게 되므로 추후 이물질에 의해 하수관이 막히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셋째, 막힌 하수관을 뚫고 나면 하수관으로부터 밀봉부재 및 체결구를 분리하기만 하면 작업이 완료되므로 더러운 하수로부터 손이 오염되는 현상 또한 방지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2는 본 발명의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체결구를 나타낸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체결구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써, 본 발명은 관로가 막힌 하수관(10)의 입구를 제외한 나머지 하수관(11)의 입구를 밀봉부재(20)에 의해 폐쇄하도록 되어 있고 관로가 막힌 하수관(10)의 입구는 상부에 공기압 호스 연결관(31) 및 물 공급호스 연결관(32)이 구비된 체결구(30)로 폐쇄하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밀봉부재(20) 및 체결구(30)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체결밴드인 고정부재(40)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도록 예시하였으나, 다양한 형태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상기 밀봉부재(20) 및 체결구(30)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돌출타입의 하수구 입구를 폐쇄하는 타입으로 나타내었으나, 상기 하수구의 입구가 세면장과 같이 바닥면과 동일면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흡착구 타입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체결구(30)의 내부를 원통형태로 하여도 무방하지만, 막힌 하수관을 보다 효율적으로 뚫을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3과 같이 체결구(30)의 내부에 나선상의 홈(33)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공기압 호스 연결관(31) 및 물 공급호스 연결관(32)이 35-40°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공기압 호스(50)를 통해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나선상의 홈(33)에 의해 회전하면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막힌 하수관을 보다 효율적으로 뚫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공기압 호스 연결관(31)에 공기압 호스(50)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공기압 호스의 다른 일단은 콤프레셔(60)에 고정되어 있으며 물 공급호스 연결관(32)에는 물 공급호스(70)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물 공급호스의 다른 일단은 물 공급원(수도 콕 또는 물탱크 등)에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공기압 호스(50) 및 물 공급호스(70)는 공기압 호스 연결관(31) 및 물 공급호스 연결관(32)에 체결밴드인 체결부재(80)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하여 막힌 하수관을 뚫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관로가 막힌 하수관(10)의 입구를 제외한 나머지 하수관(11)의 입구를 밀봉부재(20)를 이용하여 폐쇄하는데, 관로가 막히지 않은 하수관(11)의 입구에 밀봉부재(20)를 씌우고 고정부재(40)를 이용하여 밀봉부재(20)를 하수관(11)의 입구에 견고히 고정시킴에 따라 막힌 하수관을 뚫는 과정에서 밀봉부재(20)가 하수관(11)에서 이탈되지 않는다.(S100)
그 후, 관로가 막힌 하수관(10)의 입구에는 공기압 호스 연결관(31) 및 물공급호스 연결관(32)이 구비된 체결구(30)를 또 다른 고정부재(40)를 이용하여 견고히 고정시킴에 따라 막힌 하수관을 뚫는 과정에서 체결구(30)가 하수관(10)에서 이탈되지 않는다.(S200)
이와 같이 하수관(10)(11)의 입구에 밀봉부재(20) 및 체결구(30)를 견고히 고정시키고 나면 공기압 호스 연결관(31) 및 물 공급호스 연결관(32)에 콤프레셔(60) 및 물 공급원과 연결된 공기압 호스(50) 및 물 공급호스(70)를 연결하는데, 이 때에는 상기 공기압 호스(50) 및 물 공급호스(70)는 체결부재(80)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준비작업이 완료된다.(S300)
막힌 하수관(10)을 뚫기 위한 준비가 완료되고 나면 물 공급호스(70)를 통해 막힌 하수관(10)으로 물을 공급하면서 콤프레셔(60)에서 생성된 3-20kg/cm2 압력의 압축공기를 공기압 호스(50)를 통해 5-20초 동안 공급하면 압축공기가 공기압 호스 연결관(31)은 약 35-40°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체결구(30)의 내부에는 나선상 의 홈(33)이 형성되어 있어 회오리현상과 같이 소용돌이를 일으키며 물을 회전시키게 되므로 막힌 하수관(10)이 뚫리게 된다.(S400)
상기한 바와 같은 작업으로 막힌 하수관(10)을 뚫는 과정에서 물 공급호스(70)를 통해 알갱이형태의 수용성물질을 함께 공급하면 하수관(10)의 내벽에 달라붙어 있던 기름때가 알갱이형태의 수용성물질에 의해 벗겨지게 되므로 부주의로 이물질을 하수관(10)으로 흘려 보내더라도 이물질에 의해 하수관이 막히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S500)
이 때, 물과 함께 투입된 수용성물질은 물에 녹아 제거된다.
그러나 막힌 하수관(10)으로 물을 주입한 다음 압축공기를 고압으로 5-20초 동안 분사하여도 뚫리지 않으면 물 공급호스(70)를 통해 물을 다시 공급한 다음 공기압 호스(50)를 통해 고압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과정을 막힌 하수관(10)이 뚫릴 때까지 반복적으로 실시하게 된다.(S600)
전술한 바와 같은 작업을 통해 막힌 하수관(10)이 뚫리고 나면 고정부재(40)를 풀어 하수관(10)(11)으로부터 밀봉부재(20) 및 체결구(30)를 분리시키기만 하면 모든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10, 11 : 하수관 20 : 밀봉부재
30 : 체결구 31 : 공기압 호스 연결관
32 : 물 공급호스 연결관 33 : 홈
40 : 고정부재 50 : 공기압 호스
60 : 콤프레셔 70 : 물 공급호스
80 : 체결부재

Claims (6)

  1. 관로가 막힌 하수관(10)의 입구를 제외한 나머지 하수관(11)의 입구를 폐쇄하는 단계와, 관로가 막힌 하수관(10)의 입구에 공기압 호스 연결관(31) 및 물 공급호스 연결관(32)이 구비된 체결구(30)를 기밀이 유지되게 체결하는 단계와, 상기 공기압 호스 연결관(31) 및 물 공급호스 연결관(32)에 콤프레셔(60)와 연결된 공기압 호스(50) 및 물 공급호스(70)를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물 공급호스(70)를 통해 막힌 하수관(10)으로 물을 공급하면서 공기압 호스(50)를 통해 3-20kg/cm2 압력의 압축공기를 5-20초 동안 공급하는 단계와, 막힌 하수관(10)이 뚫릴 때까지 물을 공급하면서 고압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단계를 반복적으로 실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힌 하수관을 뚫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막힌 하수관(10)으로 물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알갱이 형태의 수용성물질을 함께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힌 하수관을 뚫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30)의 내주면에 나선상의 홈(33)을 형성하여 압축공기가 나선의 홈(33)을 따라 회전하면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힌 하수관을 뚫는 방법.
  4. 관로가 막힌 하수관(10)의 입구를 제외한 나머지 하수관(11)의 입구를 폐쇄하는 밀봉부재(20)와, 상기 관로가 막힌 하수관(10)의 입구에 체결되며, 상부에는 공기압 호스 연결관(31) 및 물 공급호스 연결관(32)이 구비된 체결구(30)와, 상기 공기압 호스 연결관(31)에 일단이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콤프레셔(60)에 고정되어 막힌 하수관(10)으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압 호스(50)와, 일단이 물 공급원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물 공급호스 연결관(32)에 연결되는 물 공급호스(70)와, 상기 공기압 호스(50) 및 물 공급호스(70)를 연결 고정하는 체결부재(8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힌 하수관을 뚫는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30)의 내부에 나선상의 홈(33)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공기압 호스 연결관(31) 및 물 공급호스 연결관(32)을 35-40°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힌 하수관을 뚫는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20) 및 체결구(30)를 고정부재(40)에 의해 각 하수관(10)(11)의 입구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힌 하수관을 뚫는 장치.
KR1020110072436A 2011-07-21 2011-07-21 막힌 하수관을 뚫는 방법 KR101298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436A KR101298792B1 (ko) 2011-07-21 2011-07-21 막힌 하수관을 뚫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436A KR101298792B1 (ko) 2011-07-21 2011-07-21 막힌 하수관을 뚫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346A true KR20130011346A (ko) 2013-01-30
KR101298792B1 KR101298792B1 (ko) 2013-08-22

Family

ID=47840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2436A KR101298792B1 (ko) 2011-07-21 2011-07-21 막힌 하수관을 뚫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87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8810A1 (ko) * 2017-11-06 2019-05-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싱크대의 배수관 세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세정 용기
KR20190051648A (ko) * 2017-11-07 2019-05-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싱크대의 배수관 세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세정 용기
KR20200060336A (ko) * 2020-05-25 2020-05-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싱크대의 배수관 세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세정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7514A (ja) * 2001-08-08 2003-04-22 Kawai:Kk 配管の管詰り除去及び清掃機並びに配管の清掃方法並びに圧縮空気漏洩阻止部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8810A1 (ko) * 2017-11-06 2019-05-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싱크대의 배수관 세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세정 용기
US11268268B2 (en) 2017-11-06 2022-03-08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Method for cleaning drain pipe of sink and cleaning container therefor
KR20190051648A (ko) * 2017-11-07 2019-05-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싱크대의 배수관 세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세정 용기
KR20200060336A (ko) * 2020-05-25 2020-05-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싱크대의 배수관 세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세정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8792B1 (ko) 201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7610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drain jetting
US8967183B2 (en) Drain line access device
US9359751B2 (en) Plumbing trap flushing device
KR101298792B1 (ko) 막힌 하수관을 뚫는 방법
US20140338758A1 (en) Drain line access device
US20080189844A1 (en) Aerosol drain opener
US20190344314A1 (en) Fixture flush apparatus and method
US6775857B2 (en) Drain fitting device for sealing and facilitating introduction of fluid or gas to pressurize clogged drain
US8104496B1 (en) Reverse flow back pressure pump
US20170356175A1 (en) Drain unclogging system
US20110219526A1 (en) Plunger
KR101158842B1 (ko) 가압식 배수관 뚫는 장치
JP5662193B2 (ja) 流体配管系の分岐流路遮断方法
US10975555B1 (en) Cleanout port drain assembly and method
JP2004290716A (ja) 管内夾雑物の排出方法及び排出具
JP6071740B2 (ja) 管内洗浄用部材およびその回収方法
US20160361739A1 (en) Drain Clearing Kit and Method
JP4740311B2 (ja) コマパッキング取替え具
KR20080106383A (ko) 풍선을 이용한 관 청소방법
JP5693154B2 (ja) 管内面の洗浄方法および回収用治具
CN105951966A (zh) 一种具有疏通功能的马桶及其变压装置
JPH01304090A (ja) 配管内清掃具と配管内清掃法
US20040200514A1 (en) Flushing system for a clogged drain
JP2005152782A (ja) タンク内洗浄
KR20080000117U (ko) 화장실 소변기 자동 세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