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0979A -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0979A
KR20130010979A KR1020110071820A KR20110071820A KR20130010979A KR 20130010979 A KR20130010979 A KR 20130010979A KR 1020110071820 A KR1020110071820 A KR 1020110071820A KR 20110071820 A KR20110071820 A KR 20110071820A KR 20130010979 A KR20130010979 A KR 20130010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displayed
storage period
display
p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1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종
오민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1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0979A/ko
Publication of KR20130010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09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6Stock mana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2Tim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냉장고에 보관되는 저장물의 보관기한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서 보다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상 저장공간 및 저장물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되, 입력과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저장물과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메모리부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상기 저장물에 관한 정보가 아이콘 또는 팝업창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소정의 저장물을 표시하는 저장물 아이콘을 상기 가상 저장공간 내부로 이동시킨 경우, 상기 저장물의 보관기한을 입력할 수 있는 팝업창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 A refrigerator comprising a display par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냉장고에 보관되는 저장물의 보관기한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서 보다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냉동 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냉장실 및 냉동실로 공급하여 각종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의 보관을 위한 냉장실 및 냉동실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냉장실 및 냉동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압축기, 증발기, 팽창 밸브 등의 냉동 사이클의 구성 요소가 구비되어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한 냉기를 상기 냉장실 및 냉동실에 공급하여 상기 냉장실 및 냉동실에 보관된 식품 등의 저장물을 낮은 온도에서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냉동실은 통상 -18℃ 이하의 냉각 온도를 유지하고, 냉장실은 2℃를 전후로 한 냉각 온도의 범위를 가진다.
그리고, 냉장실은 저장물의 종류에 따라 수납 및 저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선반 등에 의하여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냉장실의 상부 영역에는 생선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실이 마련되어 있고, 냉장실의 하부 영역에는 야채 및 과일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실이 마련된다.
한편, 최근에는 생활 환경의 향상으로 고급화된 냉장고에 대한 수요가 점차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냉장고에 관한 정보의 제공 및 냉장고 제어를 위해 LCD 패널과 같은 디스플레이부가 냉장고의 도어 등에 마련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사용자는 냉장실의 온도나 냉동실의 온도 등을 파악할 수 있고, 또한 냉장고 내부에 투입되는 저장물의 수량이나 종류 등의 정보를 입력하거나 입력된 정보를 볼 수 있었다.
다만, 저장물의 보관기한 등을 설정하는 기능이 디스플레이에서 제공되지 아니하여 사용자가 보관된 저장물의 보관시점이나, 또는 그 저장기간을 용이하게 알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냉장고에 보관되는 저장물의 보관기한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서 보다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상 저장공간 및 저장물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되, 입력과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저장물과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메모리부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상기 저장물에 관한 정보가 아이콘 또는 팝업창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소정의 저장물을 표시하는 저장물 아이콘을 상기 가상 저장공간 내부로 이동시킨 경우, 상기 저장물의 보관기한을 입력할 수 있는 팝업창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저장물 아이콘을 상기 가상 저장공간 내부로 이동시키고 신체와의 접촉상태를 해제한 경우, 상기 팝업창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팝업창에는 저장물의 보관기한 설정이 사용자가 복수의 보관기간 중 어느 하나의 보관기간을 선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보관기간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팝업창에는 사용자가 보관기한을 연/월/일 기준으로 변경시킬 수 있는 보관기한 변경 버튼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보관기한 변경 버튼을 누르는 경우,
보관기한 변경 팝업창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보관기한 변경 팝업창에는 보관기한의 시작일과 종료일이 표시되고, 상기 종료일에는 연도와, 월, 일을 각각 변경시킬 수 있는 버튼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보관기한 변경 버튼을 누르는 경우, 보관기한 변경 팝업창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보관기한 변경 팝업창에는 보관기한의 시작일과 종료일, 보관기간을 조절할 수 있는 스크롤바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스크롤 바에 마련되는 버튼을 움직이는 경우, 상기 버튼이 표시하는 보관기간을 상기 시작일에 더하여 상기 종료일을 계산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보관기한 변경 버튼을 누르는 경우, 보관기한 변경 팝업창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보관기한 변경 팝업창에는 보관기한의 종료일을 선택할 수 있는 달력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제품의 보관기한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특히, 보관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경우와 긴 경우를 나눠서 입력되는 방식을 다르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큰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단기 보관 기간의 경우, 원 터치 방식으로 보관기간이 설정되도록 하고, 장기 보관기간의 경우, 스크롤 방식이나, 달력 또는 연/월/일 조작방식을 제공함으로써, 장기 보관기간의 설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보관기간 설정의 결과가 디스플레이의 위젯상에 나타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관기한이 임박한 저장물의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삽입슬롯에 저장장치가 삽입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초기화면 배치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7 내지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식품관리 메뉴 초기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저장물 정보를 입력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1 내지 도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저장물의 보관기한을 설정하는 화면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보조 저장실이 선택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카테고리별로 저장물 정보를 입력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저장실의 저장물 정보를 확인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저장실에 저장된 저장물의 상세 정보를 확인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7 내지 도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음성명령을 통해 저장물이 선택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가상키보드를 통해 저장물이 선택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0 내지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가상키보드를 통해 새로운 저장물을 등록하고 저장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2 내지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위한 명령입력이 수행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레시피 메뉴에서 저장물 아이콘을 레시피 재료로 추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쇼핑리스트에 저장물 아이콘을 추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휴지통에 저장물 아이콘을 넣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저장물 아이콘을 삭제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 내지 도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위젯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본체(1)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도어에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20)가 마련된다.
상기 저장실은 냉동실(5)과 냉장실(6)로 구분된다. 상기 냉동실(5)과 냉장실(6)은 도1에서 상호 병렬적으로 배치된 것으로 하였으나, 상하로 배치될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냉동실(5) 내부에는 상기 냉동실(5) 내부의 온도보다 현저하게 낮은 온도로 유지되는 특냉실(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특냉실(미도시)을 둔 이유는 비교적 적은 양의 육류나 생선을 급속으로 냉동시키며 오랜 기간 냉동보관 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도어는 냉동실(5)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7)와, 냉장실(6)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8)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8)에는 상기 냉장실(5)과 구획되어 마련되는 보조저장실(10)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냉장고 도어(8)의 전방에는 상기 보조 저장실(10)을 개폐할 수 있는 보조도어(11)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 냉동실 도어(7)와, 상기 냉장실 도어(8)에는 각각 손잡이(7a, 8a)가 마련된다.
상기 냉동실(5) 또는 냉장실(6) 내부에는 그 내부의 공기를 정화시키고 공기 중의 세균을 제균할 수 있는 필터장치(295)가 마련되는데, 이러한 필터장치(295)는 필터유닛과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팬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장치(295)는 상기 냉동실(5) 또는 냉장실(6)의 후벽에 마련됨으로써 냉동실(5) 또는 냉장실(6)의 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공기 중의 이물질과 세균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필터장치(295) 주위에는 상기 필터장치(295)의 동작 중임을 알리는 조명장치(296)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상기 냉동실 도어(7)의 전면에 노출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냉장실 도어(8)에도 마련될 수도 있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에는 여러가지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도 있고,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를 이용하여 소정의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는 냉장고의 동작과 관련되는 것도 있고, 냉동실(5)이나 냉장실(7)에 저장된 저장물에 관한 정보, 또는 소정의 식재료를 이용하여 만들 수 있는 음식과 관련된 레서피(recipe)정보, 또는 사용자의 메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외부의 PDA나 스마트 폰과 같은 무선단말기(C)와 상호 통신가능하게 마련되어, 정보의 흐름이 연동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를 통해서 처리된 정보가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무선단말기(C)에 표시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무선단말기(C)를 통해서 처리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에 반영될 수도 있다.
도2는 상기 도어(7)와, 상기 도어(7)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는 화면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부(241)를 포함하는데, 상기 디스플레이부(241)는 상기 도어(7)의 전면의 상부 측에 외부를 향하여 도출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도어(7)의 일측에는 커버부재(30)가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는데, 상기 커버부재(30)는 후술할 저장장치(ex, SD 메모리 카드, USB저장장치)를 끼울 수 있는 삽입슬롯(도3참조,245)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7)는 도어의 전방 구성요소가 되는 전방도어(71)와, 도어의 후방 구성요소가 되는 후방도어(72)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상기 전방도어(71)와 상기 후방도어(72) 사이에 마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는 디스플레이부(241)와, 상기 디스플레이부(243)를 둘러싸는 하우징부(243)와, 상기 하우징부(243)의 일측에 마련되는 삽입슬롯(245)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는 프레임부(50)에 수용되는데, 상기 프레임부(5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50a)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후방도어(72)와 상기 전방도어(71) 내측에 마련된다.
상기 전방도어(71)의 전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41)가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전면개방부(71a)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전방도어(71)의 일측면과, 상기 프레임부(50)의 일측면에는 상기 삽입슬롯(245)이 노출되도록 하는 측면개방부(50b,71b)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기 측면개방부(50b, 71b)에는 상기 커버부재(30)가 착탈가능하게 마련된다.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슬롯(245)에 상기 저장장치(M)를 삽입시켜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에 정보를 제공하려고 하거나, 또는 펌웨이나 기타 정보를 업데이트 할 경우, 상기 커버부재(30)를 상기 측면개방부(71b,50b)로부터 탈거하여 상기 삽입슬롯(245)을 노출시키면 된다.
그리고, 업데이트나 정보제공이 끝나면, 상기 커버부재(30)를 상기 측면개방부(50b, 71b)에 결합시켜서, 상기 삽입슬롯(245)이 외부로부터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도2참조).
도1내지 도4에서는 상기 도어 중 상기 냉동실 도어(7)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가 마련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이 경우, 상기 삽입슬롯(245)이 마련되는 상기 냉동실 도어(7)의 측면은 상기 냉동실 도어(7)와 병렬적으로 배치되는 냉장실 도어(8)의 측면과 대향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통신부(210), A/V(Audio/Video) 입력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출력부(240), 메모리(250), 인터페이스부(260), RFID 리더부(270), 제어부(280) 및 전원 공급부(290), 삽입슬롯(2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상기 통신부(21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위치한 인터넷 네트워크에서 인터넷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10)는 방송 수신 모듈(211), 이동통신 모듈(212), 인터넷 모듈(213) 및 근거리 통신 모듈(2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211)은 제어부(280)의 제어에 따라,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241)에 재생한다.
이동통신 모듈(2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신호는, 음성 신호, 화상 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넷 모듈(213)은 유선/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상기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2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2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221)와 마이크(2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2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24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221)에서 처리된 화상 데이터는 메모리(25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2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2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2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사용자가 냉장고용 단말기(2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방향키,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240)는 시각 또는 청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241) 및 음향 출력 모듈(24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향 출력 모듈(242)는 스피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41)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냉장고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경우, 상기 냉장고와 관련된 정보등을 위젯, 아이콘 등과 같은 형태의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상기와 같은, 상기 디스플레이부(24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4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24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4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4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2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부(24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음향 출력 모듈(242)은 메모리(250)에 구비된 오디오가 포함된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또는, 냉장고와 관련된 동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음향을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24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250)는 제어부(2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냉장고의 작동과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250)는 본 발명에 따라, 실시간의 전력정보를 받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전력정보라 함은 시간대별 전력요금 변화 추이와 관련된 정보, 전력회사 또는 전력서비스 회사에서 제공하는 통상적인 가정에서의 시간대별 전력소비량 및 기준 전력요금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전력정보는 통신부(210)를 통해 외부의 서비스 서버, 웹 서버 등을 통해 획득될 수 있고, 인터페이스부(260)를 통해 외부의 장치로부터 획득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50)는 상기 전력정보를 사용자에게 다양한 시각적인 효과로 제공하는 그래픽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상기와 같은, 메모리(2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60)는 냉장고용 단말기(2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2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냉장고용 단말기(2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냉장고용 단말기(2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260)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280)는 통상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280)는 냉장고(100) 내의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290)는 제어부(280)의 제어에 따라, 냉장고(100)의 전원 또는 인터페이스부(260)를 통해 공급된 외부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2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250)에 저장되고, 제어부(2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80)에는 냉장고 본체에 마련되는 압축기(292), 냉기팬(293), 조명장치(296), 필터장치(295), 제상히터(297)등을 구동하는 구동부가 연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들 구성요소는 상기 제어부(280)가 내리는 명령을 받아서 작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241) 상에서 구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초기화면 배치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을 포함한 이하의 도면들에서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스크린인 것으로 가정한다.
초기화면은 냉장고에 전원이 인가되어 운영시스템(OS)의 부팅이 완료된 후 최초로 표시되거나, 디스플레이부가 꺼진 후 다시 켜지는 이벤트(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 조작이나 저장실 문열기 등)가 발생할 때 등의 경우에 표시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41) 내의 좌측 상단에는 Wi-Fi 수신강도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610)가 표시되고, 우측 상단에는 현재 시간(620)이 표시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610)의 경우 현재 활성화된 무선 인터페이스에 따라 그 형태가 변경될 수 있다. 중단부(630)에는 다양한 위젯들이 표시되며, 하단부(640)에는 본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메뉴들의 아이콘이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아이콘에는 식품관리 아이콘(641), 레시피 아이콘(642), 쇼핑리스트 아이콘(643), 환경설정 아이콘(644), 냉장고 관리 아이콘(645), 일정 아이콘(646) 및 메모 아이콘(647)이 하단부(640)에 표시될 수 있다. 각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은 순서대로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터치스크린으로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241)의 하단에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전기 신호로 전환시키기 위한 마이크(222, 222')가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서 설명한 메뉴 아이콘, 인디케이터 및 위젯의 배치 형태/위치/종류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보다 다양한 구성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메뉴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식품관리 메뉴 초기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식품관리 메뉴는 저장실에 저장된 저장물의 정보를 새로이 등록하거나, 등록된 저장물의 정보를 확인/수정/삭제를 위한 기능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초기화면에서 하단부(640)의 식품관리 아이콘(641)이 선택됨에 따라 호출될 수 있다.
식품관리 메뉴가 호출됨에 따라 초기화면에서 도 7의 (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41)에는 식품관리 메뉴로 화면이 전환되어 표시되고, 미리 저장된 저장물의 정보가 메모리(250)에 있는 경우, 이를 불러오고 있음을 나타내는 팝업창(710)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좌측 상단에는 홈버튼(701), 메뉴 버튼(703) 및 뒤로가기 버튼(705)이 표시된다.
홈버튼(701)이 선택되는 경우, 마지막으로 표시된 초기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메뉴 버튼(703)이 선택되는 경우 식품관리 메뉴의 설정을 변경하거나 하위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뒤로가기 버튼(705)이 선택되는 경우에는 마지막으로 표시된 메뉴나 마지막으로 표시된 초기화면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홈버튼(701), 메뉴 버튼(703) 및 뒤로가기 버튼(705)은 식품관리 메뉴 외의 레시피나 쇼핑리스트 등의 다른 메뉴에서도 동일/유사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그 기능은 메뉴별로 상이할 수 있다.
미리 저장된 저장물의 정보를 메모리(250)로부터 로드완료한 경우, 도 7의 (b)와 같이 냉장고 내부의 저장실의 형태를 본딴 가상 저장공간(720)과 저장물 특정을 위한 저장물 선택영역(730)이 표시된다.
그 아래에는 식품관리 메뉴의 하위 메뉴 아이콘들(741,743,745,747,749)이 표시된다.
저장물 선택영역(730)에는 저장물을 음성입력을 통해 특정하기 위한 마이크 아이콘(731) 및 가상 터치 키보드로 저장물의 이름을 텍스트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 아이콘(733)이 더 표시될 수 있다.
한편, 각 저장실에 보관된 저장물의 보관 기한 만료가 임박한 경우 해당 저장실의 색상을 변경하는 등의 시각효과가 부여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9를 참조하여 빈도별 정렬을 이용한 저장물을 추가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빈도별로 저장물 정보를 입력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먼저, 도 8과 같이 저장물 선택영역(730) 상단에는 '빈도별' 탭(810)과 '카테고리별' 탭(820)이 표시된다.
빈도별 탭(810)이 선택되는 경우, 저장물 선택영역(730)의 중단에 입력빈도가 높은 순서로 저장물의 아이콘들이 정렬되어 표시된다.
즉, 사용자가 자주 저장하는 저장물에 대응되는 아이콘일수록 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선택된 저장물 아이콘(831)은 색상이 변경될 수 있으며, 터치가 플리킹으로 이어지는 경우 저장물 아이콘들이 상하방향으로 스크롤될 수 있다.
저장물이 닭고기인 경우, 이를 상기 가상 저장실(720)의 특정 칸(941)으로 보관한다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하여 도 9(a)와 같이 저장물 선택영역(730)에서 닭고기 아이콘(831)에 일정시간 터치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닭고기 아이콘이 활성화되어 이동 가능한 아이콘(833)이 분리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도 9(b)와 같이 분리된 아이콘(833)을 원래 아이콘 위치(831)에서 희망하는 특정칸(941)으로 드래그 후 터치를 해제하면 도 10과 같이 상세 정보 팝업창(850)이 표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팝업창(1050)에는 저장물에 대응되는 저장물 아이콘(1031), 저장물의 수량을 조절하기 위한 +/- 버튼(1051) 및 보관기한 변경 버튼(1053)이 표시될 수 있다.
보관기한 변경 버튼(1053)이 선택됨에 따라 수행되는 보관기한 변경기능을 도 11 및 도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저장물 정보 중 보관기한을 설정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의 보관기한 변경 버튼(1053)이 선택되는 경우, 도 11과 같이 기한변경 팝업창(1101)이 표시된다.
상기 기한변경 팝업창(1101)에서 사용자는 복수의 보관기간(예, 1일, 2일, 10일 등) 중 어느 하나를 원 터치 방식으로 선택하고 '확인'버튼을 누름으로써 저장물의 보관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기한 변경 팝업창(1101)에서 표시되는 복수의 보관기간은 비교적 단기간(15일 이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에, 사용자가 장기간(15일 이상)의 보관기간 설정을 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한 변경 팝업창(1101)에 표시되는 보관기한 변경 버튼(1112)를 누른다.
상기 보관기한 변경 버튼(1112)를 클릭하면, 보관기한 변경 팝업창(1120)이 표시된다.
상기 보관기한 변경 팝업창(1120)에는 보관 시작일(1121)과, 보관종료일이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보관종료일은 +, -를 구비하는 연 변경버튼(1122)과, 월 변경버튼(1123)과, 일 변경버튼(1124)의 조작에 의하여 설정된다.
즉 + 버튼을 누르면 연, 월, 일이 증가하고, - 버튼을 누르면 연, 월, 일 줄어든다.
도12는 도11(a)의 상기 기한변경 팝업창(1101)에서 상기 보관기한 변경(1112) 버튼을 누른 경우, 표시되는 다른 형태의 보관기한 변경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제공하고 있다.
도12(a)에서 나타난 보관기한 변경 팝업창(1210)에서는 보관기한을 변경할 수 있는 보관기한의 시작일과, 종료일, 보관기간을 조절할 수 있는 스크롤바(1211)및 상기 스크롤바(1212)의 안내를 받아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버튼(1212)이 표시된다.
상기 스크롤바(1211)의 아래에는 여러 보관기간이 숫자로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상기 스크롤바(1211) 상에서 상기 버튼(1212)을 좌우로 움직이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도2참조, 280)는 상기 버튼(1212)이 표시하는 보관기간을 시작일(1213)에 더하여 종료일(1214)를 계산한다.
상기 시작일(1213)은 보관당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보관당일이 2011년 3월 28일이고, 사용자가 상기 버튼(1212)을 8일에 놓은 경우, 보관종료일은 2011년 4월 4일로 계산되어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12(b)는 도11(a)의 상기 기한변경 팝업창(1101)에서 상기 보관기한 변경(1112) 버튼을 누른 경우, 표시되는 다른 형태의 보관기한 변경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제공하고 있다.
여기서는 상기 보관기한 변경 팝업창(1220)에 시작일(1221)이 표시된다. 그리고, 종료일은 달력(1222)의 월과 일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월의 좌우에 마련되는 화살표 키를 이용하여 월을 조정할 수 있고, 해당 월이 바뀔 때마다, 요일과 일자도 바뀔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달력상에서 해당 월과 일을 선택함으로써 용이하게 보관기한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설정된 보관기한은 후술될 보관기한 알림 위젯상에서 임박한 순서로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 내지 도15를 참조하여 가상 보조저장실(1330)에 저장물 아이콘을 이동시켜 상기 가상 보조저장실(1330) 상에 저장물의 저장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가상 보조저장실(1330)은 일명 '매직 스페이스'라고 명명하였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별도의 저장실이 선택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3은 도 12의 순서를 따라 닭고기의 정보가 저장완료된 이후를 가정한다.
그에 따라 도 13(a)에서는 가상 저장실의 일 영역(1310)에 닭고기 아이콘(1320)이 표시되어 해당 위치에 닭고기가 저장됨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가상 보조저장실(1330)이 선택되는 경우, 도 13(b)와 같이 상기 가상 저장실(720)의 내부공간 그래픽이 외부형상 그래픽으로 변경된다.
그리고, 외부 형상에서 상기 보조저장실(1330)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상기 가상 보조저장실이 개방된 형태(1340)로 표시된다.
상기 가상 보조저장실(1330)로 저장물 정보를 추가하는 과정은 상기 가상저장실(720) 내부에 상기 저장물 아이콘(831)을 이동시켜 저장물 정보를 추가하는 과정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냉장고 외부형상 그래픽에서 상기 가상 보조저장실(1330)를 제외한 부분이 선택되면 다시 상기 가상 저장실(720)의 내부 그래픽이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를 참조하여 카테고리별 저장물 선택을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241)를 통하여 카테고리별로 저장물 정보를 입력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먼저 도 14의 (a)와 같이 저장물 선택영역 상단에 카테고리별 탭(1420)이 선택되는 경우 탭하단에 저장물의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아이콘들이 표시된다.
여기서 과일 아이콘(1421)이 선택되면, 도 11의 (b)와 같이 탭하단(1430)에는 과일 각각에 해당하는 아이콘들이 표시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특정 과일에 대한 저장 정보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과일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킨 후 저장실의 일 영역으로 드래그& 드랍(drag and drop)을 수행한다.
이후 표시되는 상세 정보 팝업창을 통하여 상세 정보를 확인/수정할 수 있음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다.
다음으로, 도 15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저장실에 보관되는 저장물의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241)를 통하여 저장실의 저장물 정보를 확인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5에서는 하나의 저장실에 4종류의 저장물에 대한 저장 정보가 미리 입력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또한, 저장물은 저장실별로 최근 보관한(즉, 보관 정보를 입력한) 2가지 저장물에 대응되는 아이콘만 표시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15의 (a)를 참조하면, 특정 저장실(1510)에 저장물의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콘들과 함께 저장물의 숫자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1520)가 표시된다.
상기 인디케이터(1520)는 해당 저장실의 저장물 종류가 2개를 초과할 때에만 표시될 수도 있고, 항상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인디케이터(1520)에 표시되는 숫자는 저장물의 종류를 나타낼 수도 있고, 입력횟수를 나타낼 수도 있다.
즉, 두 번에 걸쳐 동일한 저장물을 입력한 경우 종류를 나타낼 때는 인디케이터가 1로 표시되고, 입력횟수를 나타낼 때에는 2로 표시된다.
이때, 사용자가 해당 저장실(1510)을 선택하는 경우, 도 15의 (b)와 같이 저장실 영역이 활성화되면서 소정비율 확대될 수 있다.
그와 동시에 최근 보관한 2가지 저장물의 아이콘(1541, 1543) 각각의 하단에는 저장물의 이름이 표시되며, 그 좌우로는 다른 저장물 확인을 위한 스크롤 버튼(1531, 1533)이 표시된다.
도 15의 (b)에서 두부 아이콘(1243)이 선택된 경우를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241)를 통하여 저장실에 저장된 저장물의 상세 정보를 확인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6의 (b)에서 두부 아이콘(1243)이 선택됨에 따라 도 16의 (a)와 같이 두부의 상세 정보를 확인/변경하기 위한 팝업창이 표시된다.
이때, 팝업창의 형태는 기본적으로 도 10과 유사하다.
즉, 팝업창에는 저장물에 대응되는 아이콘(1610), 저장물의 수량을 조절하기 위한 +/- 버튼(1620) 및 보관기한 변경 버튼(1630)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하단에는 해당 저장물을 재료로 하는 추천요리보기 아이콘(1640), 해당 저장물을 쇼핑리스트에 추가하기 위한 아이콘(1650), 해당 저장물의 저장정보를 삭제하기 위한 휴지통 아이콘(1660), 확인(1670) 및 취소(1680)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다만, 도 10과의 차이점은 상세 정보가 초기 저장정보 입력시 설정된 값으로 표시된다는 점이다.
여기서 추천요리보기(1640) 아이콘이 선택되면 도 16의 (b)와 같이 해당 저장물을 재료로 하는 추천요리들을 포함하는 팝업창(1690)이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7을 참조하여 음성입력을 설명한다.
도 1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음성명령을 통해 저장물이 선택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7의 (a)와 같이 저장물 선택영역 하단의 마이크 아이콘(1710)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도5참조, 280)는 상기 마이크(도5참조, 222)를 활성화시키고, 활성화 준비를 위한 팝업창이 도17(b)와 같이 표시된다.
그리고, 음성을 입력받을 준비가 완료되면 도 17 (c)와 같이 음성입력을 지시하는 팝업창(1730)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입력된 음성이 인식되면, 도 18(a)와 같이 인식 결과에 따른 저장물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팝업창(1810)이 표시될 수 있다.
이 중 사용자가 음성 명령을 통해 의도한 저장물이 마늘인 경우, 사용자는 마늘에 해당하는 아이콘(1820)을 선택하고, 그에 따라 도 18(b)와 같이 가상 저장실의 내부공간 그래픽을 포함하는 창(1850)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가상저장실 내부공간 그래픽을 표시하는 창(1450)에서 특정한 저장실(1851)이 선택되면, 이후의 과정은 도 10 등을 참조하여 전술한 상세 정보 팝업창 표시 이후와 동일하므로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중복되는 기재는 생략하기로 한다.
만일, 음성입력의 인식에 실패한 경우, 인식 실패를 알리고 음성 재입력을 사용자에 요청하는 정보가 추가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다음으로, 도 19를 참조하여 가상 키보드 입력을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가상키보드를 통해 저장물이 선택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9의 (a)와 같이 저장물 선택영역 하단의 키보드 아이콘(1910)이 선택되면, 도 19의 (b)와 같이 가상 키보드(193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가상 키보드로 입력된 텍스트는 상단영역(1920)에 표시되며, 사용자는 희망 검색어의 입력이 완료되면 검색 버튼(1940)을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0을 참조하여 신규 저장물을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가상키보드를 통해 새로운 저장물을 등록하고 저장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0에서는 메모리(도5참조, 250)에 "감자깡"이란 식품에 대한 정보가 없으며, 그에 대응되는 빈도별 아이콘 및 카테고리별 아이콘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가정한다.
먼저 도 20의 (a)와 같이 사용자가 가상 키보드를 통하여 '감자깡'을 입력하고 검색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메모리(250)에 감자깡의 정보가 없으므로 도 20의 (b)와 같이 "감자깡"이라는 저장물 종류를 추가하기 위한 메뉴창(2010)이 표시된다.
상기 메뉴창(2010)에서 '감자깡' 음식물 추가하기 버튼(2011)이 선택됨에 따라 도 21(a)와 같이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에 해당 저장물을 추가할지 여부를 확인받기 위한 팝업창(2120)이 표시될 수 있다.
팝업창(2120)에서 추가를 위해 "예"를 선택한 경우, 도 21의 (b)와 같이 가상 저장실의 내부공간 그래픽을 포함하는 팝업창(2130)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팝업창(2130)은 '감자깡'의 저장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상 저장실의 내부공간 그래픽 내에서의 특정 저장위치(2131)가 선택된 후 상세 정보 설정 등의 후속 과정은 전술된 바와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된 저장물의 보관 정보는 외부 장치로 전송되거나, 외부 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냉장고에서 불러올 수도 있다.
이때, 외부 장치는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 단말기일 수도 있고, 서버일 수도 있다. 외부 장치로의 연결은 무선 통신부(도5참조, 21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한 명령 입력방법을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도5참조, 241)에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위한 명령입력이 수행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먼저, 현재 메모리(도5참조, 250)에 저장된 저장물의 보관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 22의 (a)와 같이 식품관리 메뉴 하단의 전송하기 버튼(2210)을 선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전송상태를 나타내는 팝업창(2220)이 도 22의 (b)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반대로, 외부 장치에 저장된 저장물의 보관 정보를 메모리(도5참조, 250)로 가져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 23의 (a)와 같이 식품관리 메뉴 하단의 불러오기 버튼(2320)을 선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전송상태를 나타내는 팝업창(2330)이 도 23의 (b)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가상저저실 내부공간 그래픽에 표시되는 아이콘은 레시피 또는 쇼핑리스트에 추가될 수도 있다.
이를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241)에 표시되는 저장물이 다른 메뉴에 추가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먼저, 도 24의 (a)와 같이 사용자는 레시피에 추가할 저장물이 보관된 저장실(2410)을 선택하여 해당 저장실을 활성화시키고, 추가할 저장물의 아이콘(1820)을 하단의 레시피 메뉴(2430)로 드래그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24의 (b)와 같이 추가 결과를 나타내는 팝업창(2440)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25의 (a)와 같이 사용자는 쇼핑 리스트에 추가할 저장물이 보관된 저장실을 선택하여 해당 저장실을 활성화시키고, 추가할 저장물의 아이콘(1820)을 하단의 쇼필이스트 메뉴(2540)로 드래그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25의 (b)와 같이 추가 결과를 나타내는 팝업창(2550)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가상 저장실 내부공간 그래픽 상에 표시되는 아이콘은 삭제될 수도 있다. 이를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저장물이 삭제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먼저, 도 26의 (a)와 같이 저장물이 저장된 저장실이 활성화된 후, 사용자가 삭제를 원하는 저장물의 아이콘(1820)을 휴지통(2620)으로 드래그하는 방법으로 저장물이 삭제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물이 삭제된다고 함은, 저장실에 표시되는 아이콘뿐만이 아니라, 삭제되는 아이콘에 대응되는 저장물의 저장 정보가 함께 삭제됨을 의미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26의 (b)와 같이 해당 저장물이 휴지통으로 들어갔음을 알리는 팝업창(2630)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범위를 정한 삭제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27의 (a)와 같이 상단의 메뉴 버튼(2740)이 선택되면, 도 27의 (b)와 같이 하단에 삭제 범위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2750)가 표시될 수 있다.
즉, 냉동실 전체삭제, 냉장실 전체삭제, 매직스페이스 전체삭제 및 냉장고 전체삭제 등과 같이 범위가 특정될 수 있으며, 범위가 특정되면 해당 범위 내에 저장된 저장물에 대한 정보가 한 번에 삭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8 내지 도 29을 참조하여 위젯 기능를 설명한다.
위젯이란 웹브라우저를 통하지 않고 날씨, 달력, 계산기 등의 기능을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든 미니 응용프로그램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젯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초기화면의 중앙에 표시될 수 있으며, 좌우로 스크롤 가능한 세 개의 화면에 나누어 배치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위젯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먼저 도 28의 (a)는 세 화면 분량의 위젯 중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위젯이 표시되는 형태를 나타낸다.
화면 상단에는 현재 표시되는 위젯이 세 화면 중 어느 화면인지를 나타내는 페이지 인디케이터(2810)가 표시된다.
페이지 인디케이터(2810)는 각 화면의 개수 만큼의 점을 포함하며, 현재 표시되는 화면에 해당하는 점에 다른 점과 시각적으로 구분되기 위한 시각효과가 부여된다.
가장 좌측 화면에는 후술될 메모 기능을 통해 작성된 메모를 표시하는 메모 위젯(2820)과 미리 설정된 지역의 날씨를 나타내는 날씨 위젯(2830)이 표시될 수 있다.
좌측 화면이 표시되고 있을 때 사용자가 중앙 화면으로 화면을 스크롤시키고자 하는 경우, 좌측 방향으로 플리킹 터치를 입력하면 터치스크린 상에는 좌측 화면이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중앙 화면이 우측으로부터 등장한다.
그에 따라 도 28의 (b)와 같이 페이지 인디케이터(2810)는 중앙 화면이 표시됨을 나타내기 위하여 가운데 점에 시각효과가 부여된다.
중앙 화면의 좌측에는 소정 단위(예를 들어, 1달)로 일정을 표시하기 위한 달력 위젯(2840)이 표시되고, 우측에는 보관 기한이 얼마 남지않은 저장물의 아이콘을 표시해주는 보관기한 알림 위젯(2850)이 표시될 수 있다.
중앙 화면이 표시될 때 사용자가 한번 더 좌측 방향으로 플리킹 터치를 입력하면 터치스크린 상에는 중앙 화면이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우측 화면이 우측으로부터 등장한다.
그에 따라 도 29의 (a)와 같이 페이지 인디케이터는 중앙 화면이 표시됨을 나타내기 위하여 가운데 점에 시각효과가 부여된다.
우측 화면의 좌측에는 보관중인 저장물을 재료로 하는 레시피를 랜덤으로 표시해주는 추천레시피 위젯(2860)이 표시되고, 우측에는 냉장고 기능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냉장고 관리 위젯(2870)이 표시된다.
우측 화면에서 중앙 화면이나 좌측 화면의 위젯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우측 방향으로 플리킹 터치를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보관기한 알림 위젯을 도 29(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보관기한 알림 위젯이 사용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먼저, 초기화면에서 사용자가 보관기한 알림 위젯을 터치로 선택하면 도 30과 같이 보관기한의 만료가 임박한 저장물의 아이콘(3010)이 표시된다.
여기에 표시되는 아이콘은 하단의 레시피(3020) 메뉴로 드래그 됨에 따라 레시피 메뉴의 재료 영역에 추가될 수 있다. 또한, 하단의 쇼핑 리스트(3030) 메뉴로 드래그되는 경우 쇼핑리스트 메뉴에 추가될 수 있다.
1: 본체 5: 냉동실
6: 냉장실 7: 냉동실 도어
8: 냉동실 도어 10: 보조저장실
200: 디스플레이 장치 241: 디스플레이부
720: 가상저장실 1120, 1210, 1220: 보관기한 변경 팝업창
1211: 스크롤 바 1212: 버튼부
1222: 달력

Claims (7)

  1. 가상 저장공간 및 저장물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되, 입력과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저장물과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메모리부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상기 저장물에 관한 정보가 아이콘 또는 팝업창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소정의 저장물을 표시하는 저장물 아이콘을 상기 가상 저장공간 내부로 이동시킨 경우, 상기 저장물의 보관기한을 입력할 수 있는 팝업창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저장물 아이콘을 상기 가상 저장공간 내부로 이동시키고 신체와의 접촉상태를 해제한 경우, 상기 팝업창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팝업창에는 저장물의 보관기한 설정이 사용자가 복수의 보관기간 중 어느 하나의 보관기간을 선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보관기간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창에는 사용자가 보관기한을 연/월/일 기준으로 변경시킬 수 있는 보관기한 변경 버튼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보관기한 변경 버튼을 누르는 경우,
    보관기한 변경 팝업창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보관기한 변경 팝업창에는 보관기한의 시작일과 종료일이 표시되고, 상기 종료일에는 연도와, 월, 일을 각각 변경시킬 수 있는 버튼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보관기한 변경 버튼을 누르는 경우,
    보관기한 변경 팝업창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보관기한 변경 팝업창에는 보관기한의 시작일과 종료일, 보관기간을 조절할 수 있는 스크롤바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스크롤 바에 마련되는 버튼을 움직이는 경우, 상기 버튼이 표시하는 보관기간을 상기 시작일에 더하여 상기 종료일을 계산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보관기한 변경 버튼을 누르는 경우,
    보관기한 변경 팝업창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보관기한 변경 팝업창에는 보관기한의 종료일을 선택할 수 있는 달력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10071820A 2011-07-20 2011-07-20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300109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820A KR20130010979A (ko) 2011-07-20 2011-07-20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820A KR20130010979A (ko) 2011-07-20 2011-07-20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979A true KR20130010979A (ko) 2013-01-30

Family

ID=47840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820A KR20130010979A (ko) 2011-07-20 2011-07-20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097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25416A (zh) * 2016-08-10 2016-12-14 广东格兰仕集团有限公司 智能冰箱的食物管理方法
KR20170027565A (ko) * 2015-09-02 2017-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7565A (ko) * 2015-09-02 2017-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CN106225416A (zh) * 2016-08-10 2016-12-14 广东格兰仕集团有限公司 智能冰箱的食物管理方法
CN106225416B (zh) * 2016-08-10 2019-02-05 广东格兰仕集团有限公司 智能冰箱的食物管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5859B2 (en) Refrigerator
EP2511634B1 (en) Refrigerator with display device
US9195960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60239179A1 (en) Refrigerator including a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2327848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음식 관리방법
US9111440B2 (en) Refrigerator and remote controller
US20140191856A1 (en) Home Appliance and Mobile Device
KR20120097683A (ko) 냉장고
KR101821196B1 (ko) 단말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20220090845A1 (en) Refrigerator
JP6797987B2 (ja) モバイル機器の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10644896B2 (en) Control device, storage medium, control method for control device, control system, terminal device, and controlled device
KR101194766B1 (ko)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 통합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026917A (ko) 조리법 추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30010980A (ko)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10097339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10979A (ko)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10097337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96775A (ko) 단말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06832A (ko)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102169951B1 (ko) 냉장고
KR20110097338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595649B1 (ko) 인공지능 냉장고 및 이를 이용하는 물품 구매 방법
US11205339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725244B1 (ko) 단말기를 구비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