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0837A - 입력 제스처를 감지하여 선택받은 기호를 입력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입력 제스처를 감지하여 선택받은 기호를 입력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0837A
KR20130010837A KR1020120074980A KR20120074980A KR20130010837A KR 20130010837 A KR20130010837 A KR 20130010837A KR 1020120074980 A KR1020120074980 A KR 1020120074980A KR 20120074980 A KR20120074980 A KR 20120074980A KR 20130010837 A KR20130010837 A KR 20130010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means
electronic device
touch area
gesture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6791B1 (ko
Inventor
박정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2/00576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3012267A1/en
Priority to US13/553,444 priority patent/US20130021380A1/en
Priority to EP12177161A priority patent/EP2549362A2/en
Publication of KR20130010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0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터치 영역으로부터 설정된 높이 이하의 위치에서 입력수단이 감지되었음을 확인하는 과정; 상기 입력수단의 위치가 상기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된 터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터치 영역에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입력수단의 제스처(gesture)를 분석하여 상기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기호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는 과정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하는 입력 제스처를 감지하여 선택받은 기호를 입력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입력 제스처를 감지하여 선택받은 기호를 입력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APPARATAS AND METHOD OF INPUTTING SELECTED SYMBOL FOR DETECTING INPUT GESTURE IN A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 정보 서비스가 발달함에 따라 사회복지 실현의 차원에서 장애인을 위하여 이를 뒷받침해 줄 수 있는 전자 장치에 대한 요구가 절실해지고 있다. 특히 시각장애인을 위한 전자 장치는 청각과 촉감 등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강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적용하여 사용자가 지닌 제한적 능력을 보완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재 전자 장치는 비장애인 위주로 만들어지며, 예를 들어 전자 장치와 사람 사이의 인터페이스가 모두 터치 스크린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각 장애인의 경우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받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종래 키보드 입력시스템은 키보드를 물리적으로 인지할 수 없는 스마트 터치 디바이스나 가상공간에서는 입력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장애인, 시력 약화자 및 노약자들이 편평한 터치형 키보드 입력시스템에서는 앞이 보이지 않는 동시에 피드백으로 키가 눌렸다는 반응을 받지 못해 실제로 키가 제대로 입력이 되었는지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키보드의 문자위치를 인지할 수 없는 스마트 디바이스나 스마트 디바이스상의 공간입력 가상공간에서 원터치 입력의 연결동작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입력을 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력 약화자, 시각 장애인, 노약자 및 스마트 디바이스에 익숙하지 않은 일반인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에게 시각뿐만 아니라, 청각 및 촉각으로 피드백을 주어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터치 영역으로부터 설정된 높이 이하의 위치에서 입력수단이 감지되었음을 확인하는 과정; 상기 입력수단의 위치가 상기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된 터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터치 영역에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입력수단의 제스처를 분석하여 상기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표기 타입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는 과정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 영역으로부터 설정된 높이 이하의 위치에서 입력수단이 감지되었음을 확인하는 과정은, 카메라, 압전센서, 적외선 센서 및 터치 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영역으로부터 상기 입력수단까지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수단이 포함되어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표기 타입 중 선택받은 표기 타입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수단이 포함되어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복수의 표기 타입 중 선택받은 표기 타입에 대한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수단이 상기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된 각각의 터치 영역 사이를 이동하였음을 확인할 때마다 상기 입력수단으로 촉각신호를 전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을 설정된 크기만큼 확대하고, 나머지 영역을 설정된 크기만큼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수단의 제스처를 분석하여 상기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표기 타입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는 과정은, 상기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표기 타입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과정; 상기 입력수단이 상기 설정된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 감지되지 않음을 확인하는 과정; 상기 입력수단이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음을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받은 표기 타입을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수단의 제1 제스처를 감지하는 과정; 및 상기 감지한 제1 제스처가 설정된 제스처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설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동종의 표기 타입 중 차순위의 표기 타입을 선택받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수단의 제2 제스처를 감지하는 과정; 및 상기 감지한 제2 제스처가 설정된 제스처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설정된 순서에 따라 현재 선택받은 표기 타입의 형태에서 다른 종류의 표기 타입의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기 타입은, 숫자, 문자 및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터치 영역으로부터 설정된 높이 이하의 위치에서 입력수단이 감지되었음을 확인하고, 상기 입력수단의 위치가 상기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된 터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터치 영역에 포함되어 있음을 카메라, 움직임 센서 및 터치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가 확인하고, 상기 입력수단의 제스처를 분석하여 상기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표기 타입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는 프로세서 유닛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메라 서브 시스템, 움직임 센서 및 터치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터치 영역으로부터 상기 입력수단까지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입력수단이 포함되어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표기 타입 중 선택받은 표기 타입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수단이 포함되어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복수의 표기 타입 중 선택받은 표기 타입에 대한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오디오 서브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입력수단이 상기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된 각각의 터치 영역 사이를 이동하였음을 확인할 때마다 상기 입력수단으로 촉각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을 설정된 크기만큼 확대하고, 나머지 영역을 설정된 크기만큼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표기 타입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고,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입력수단이 상기 설정된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 감지되지 않음을 확인하고, 상기 입력수단이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음을 확인하며, 상기 선택받은 표기 타입을 입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입력수단의 제1 제스처를 감지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감지한 제1 제스처가 설정된 제스처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설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동종의 표기 타입 중 차순위의 표기 타입을 선택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입력수단의 제2 제스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제2 제스처가 설정된 제스처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설정된 순서에 따라 현재 선택받은 표기 타입의 형태에서 다른 종류의 표기 타입의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기 타입은, 숫자, 문자 및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력 제스처를 감지하여 선택받은 기호를 입력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키보드를 인지할 수 없는 스마트 디바이스나 가상공간에서 원터치 입력의 연결동작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입력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제스처를 감지하여 선택받은 기호를 입력하는 전자 장치를 전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수단으로부터 선택받은 표기 타입을 입력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택받은 특정 기능을 사용자에게 음향으로 피드백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수단의 제스처를 분석하여 입력수단으로부터 선택받은 표기 타입을 입력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수단의 제스처를 분석하여 입력수단으로부터 선택받은 표기 타입을 입력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제스처를 감지하여 다른 형태의 표기 타입을 선택받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수단으로 촉각신호를 전달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수단으로부터 제1 제스처를 감지하여 선택받은 표기 타입을 입력하는 동작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수단으로부터 제2 제스처를 감지하여 선택받은 표기 타입을 입력하는 동작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제스처를 감지하여 선택받은 기호를 입력하는 전자 장치를 전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의 공간적인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가 터치 영역으로부터 입력수단까지의 임의의 높이를 설정된 높이로 입력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설정된 임의의 높이 이하에 위치한 입력수단의 공간적인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설정된 높이 이하에 위치함을 전자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 압전센서, 적외선 센서 등 센서 입력 장치로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h라는 높이를 설정된 높이로 입력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터치 영역으로부터 h이하의 높이에 위치하고 있음을 전자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 압전센서, 적외선 센서 등 센서 입력 장치로 감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입력수단을 터치 영역에 터치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입력수단을 설정된 임의의 높이 이하에 위치시켜 공간적인 터치 입력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전자 장치는 터치 패드(touch pad)를 이용하여 입력수단이 터치 영역에 터치 입력되었음을 감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포함되어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표기 타입 중 선택받은 표기 타입(mark type)을 터치 스크린(10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먼저, 전자 장치의 터치 영역은 문자, 숫자 및 기호 등을 입력받기 위하여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어 있는데, 각각의 터치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표기 타입이 할당되어 있다. 여기서, 표기 타입이란 숫자, 문자 및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된 터치 영역 중 입력수단이 포함되어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표기 타입 중 선택받은 표기 타입을 터치 스크린(10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표기 타입에 관한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포함되어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복수의 표기 타입 중 선택받은 표기 타입에 대한 정보를 스피커(102)를 통하여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영문자 K를 입력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영문자 케이"라는 음향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입력한 표기 타입에 관한 정보를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시각 장애인, 시력 약화자 및 노약자들이 본 발명의 전자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 자신이 입력한 표기 타입을 시각적으로 확인하지 않아도 표기 타입에 대한 정보를 청각적으로 피드백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시력에 문제없는 일반 사용자가 운전 중에 문자를 전송해야 하는 경우나 긴급한 통화가 필요한 경우와 같이 전송하고자 하는 문자나 통화하고자 하는 번호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된 각각의 터치 영역 사이를 이동하였음을 확인할 때마다 입력수단으로 촉각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각각의 터치 영역 사이를 이동할 때마다 입력수단으로 촉각신호를 피드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된 터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서 다른 터치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전자 장치로부터 진동 등과 같은 촉각 신호를 피드백 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복수의 터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터치 영역에서 다른 하나의 터치 영역으로 이동하였음을 시각, 청각 및 촉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의 제스처(gesture)를 분석하여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표기 타입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을 수 있다. 먼저,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의 제1 제스처를 감지하여 제1 제스처가 설정된 제스처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설정된 순서에 따라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동종의 표기 타입 중 차순위의 표기 타입을 선택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스처란 설정된 순서에 따라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동종의 표기 타입 중 차순위의 표기 타입을 선택하는 입력수단의 제스처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영문자 "J, K, L"이 포함되어 있는 터치 영역에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하면 최초 "J"라는 영문자를 선택받는다. 이후, 전자 장치가 입력수단으로부터 설정된 제1 제스처를 감지하였다면 동종의 표기 타입인 영문자 중 차순위로 설정된 "K"라는 영문자를 선택받는다. 같은 의미로, 전자 장치가 입력수단으로부터 설정된 제1 제스처를 다시 감지하였다면 동종의 표기 타입인 영문자 중 다음 차순위로 설정된 "L"이라는 영문자를 선택받는다. 즉, 사용자는 설정된 제1 제스처를 취하여 적어도 하나의 동종의 표기 타입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사용자는 영문자 "J, K, L"이 포함되어 있는 터치 영역에 입력수단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설정된 제1 제스처를 취하여 영문자 "J, K, L" 중 전자 장치에 입력하고자 하는 영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에 "J"라는 영문자가 선택되었다면, 사용자는 설정된 제1 제스처를 한 번 취하여 영문자 "K"를 선택할 수도 있고, 설정된 제1 제스처를 두 번 취하여 영문자 "L"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의 제2 제스처를 감지하여 제2 제스처가 설정된 제스처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설정된 순서에 따라 현재 선택받은 표기 타입의 형태에서 다른 종류의 표기 타입의 형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제스처란 설정된 순서에 따라 현재의 표기 타입의 형태에서 다른 종류의 표기 타입의 형태로 변환하고자 하는 제스처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숫자 "5", 한글 자음 "ㄴ, ㄹ" 및 영문자 "J, K, L" 이 포함되어 있는 터치 영역에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하면 숫자, 한글 자음 및 영문자 중 설정된 순서에 따라 어느 하나의 표기 타입을 선택받는다. 만약, 전자 장치가 숫자, 한글 자음 및 영문자 순서로 설정된 상태에서 숫자 "5", 한글 자음 "ㄴ, ㄹ" 및 영문자 "J, K, L" 이 포함되어 있는 터치 영역에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면, 전자 장치는 최초 숫자 "5"를 선택받는다. 이후, 전자 장치가 입력수단으로부터 설정된 제2 제스처를 감지하였다면 차순위로 설정된 한글 자음의 표기 타입인 "ㄴ"이라는 한글 자음을 선택받는다. 같은 의미로, 전자 장치가 입력수단으로부터 설정된 제2 제스처를 다시 감지하였다면 다음 차순위로 설정된 영문자 표기 타입인 "J"라는 영문자를 선택받는다. 즉, 사용자는 설정된 제2 제스처를 취하여 같은 터치 영역에 할당된 표기 타입의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사용자는 숫자 "5", 한글 자음 "ㄴ, ㄹ" 및 영문자 "J, K, L" 이 포함되어 있는 터치 영역에 입력수단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설정된 제2 제스처를 취하여 숫자 "5"에서 한글 자음 "ㄴ"으로 표기 타입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을 설정된 크기만큼 확대(103)하고, 나머지 영역을 설정된 크기만큼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의 위치가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된 터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터치 영역에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면, 현재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을 설정된 크기만큼 확대하고, 나머지 터치 영역을 설정된 크기만큼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서 제1 제스처 또는 제2 제스처 등을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수단으로부터 선택받은 표기 타입을 입력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a)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수단으로부터 표기 타입을 선택받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설정된 높이(h) 이하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만 입력수단을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설정된 높이(h) 이하의 위치에 입력수단이 위치한 경우에만 입력수단이 위치한 터치 영역의 표기 타입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가 설정된 높이(h) 이하의 위치에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음을 감지하였다면,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의 위치가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된 터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터치 영역에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설정된 높이(h) 이하에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다면, 직접 터치 뿐만 아니라 공간적인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설정된 높이 이하에 위치함을 전자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 압전센서, 적외선 센서 등 센서 입력 장치로 공간적인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h라는 높이를 설정된 높이로 입력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터치 영역으로부터 h이하의 높이에 위치하고 있음을 전자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 압전센서 및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감지할 수 있다. 물론, 전자 장치는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입력수단이 터치 영역에 직접 터치 입력되었음을 감지할 수도 있다. 즉, 입력수단이 전자 장치에 직접 터치 입력되었다는 것은 설정된 높이(h)로 0이 입력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가 설정된 높이(h) 이하에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음을 감지하였다면, 전자 장치의 터치 영역 중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기 타입을 선택받는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복수의 터치 영역 중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숫자 "4", 영문자 "G, H, I" 및 한글 자음 "ㄱ, ㅋ"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설정된 순서에 따라 어느 하나의 표기 타입을 선택받는다. 만약, 전자 장치에 설정된 표기 타입의 순서가 숫자 "4", 영문자 "G, H, I" 및 한글 자음 "ㄱ, ㅋ"이라고 가정하면, 전자 장치는 숫자 "4"를 선택받는다. 이후,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이동하면, 현재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다른 표기 타입을 선택받는다. 즉, 사용자는 설정된 높이(h) 이하에 입력수단을 위치한 상태로 선택하고자 하는 표기 타입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으로 입력수단을 이동한다.
도 2의(b)는 본 발명에 따른 선택받은 표기 타입을 입력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설정된 높이(h) 이하의 위치에서 설정된 높이(h)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선택받은 표기 타입을 입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표기 타입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은 상태에서 입력수단이 설정된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 감지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면,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음을 확인한 후 선택받은 표기 타입을 입력한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입력수단으로부터 선택받은 표기 타입이 영문자 "L"이고, 설정된 높이가 h이며, 설정된 시간이 1초라고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전자 장치가 설정된 높이인 h보다 높은 위치에 입력수단이 위치하여 입력수단이 감지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면, 전자 장치는 설정된 시간인 1초가 경과하였는지 판단한다. 만약,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시간인 1초가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영문자 "L"을 입력한다. 즉, 사용자는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선택한 표기 타입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 입력수단을 설정된 높이(h)보다 높은 위치에서 설정된 시간 이상 위치시키면 된다. 여기서,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시간 이상 경과한 경우에만 선택받은 표기 타입을 입력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게 설정된 높이(h)보다 높은 위치에 입력수단이 위치하여 선택받은 표기 타입이 잘못 입력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임의의 표기 타입을 선택한 이후에 의도하지 않게 입력수단을 설정된 높이(h)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시킨 경우, 사용자는 다시 설정된 높이(h) 이하의 위치에 입력수단을 위치시켜 잘못 입력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전자 장치를 입력하는 동작이 미숙한 경우에는 설정된 시간을 높게 설정하여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후 전자 장치를 입력하는 동작이 숙달된 경우에는 설정된 시간을 낮게 설정하여 빠른 입력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택받은 특정 기능을 사용자에게 음향으로 피드백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a)는 본 발명에 따른 선택받은 통화 기능을 사용자에게 음향으로 피드백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각종 기능들을 터치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 구비된 각종 기능들을 바로 실행할 수 있는 아이콘들을 터치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화 아이콘, 메시지 아이콘, 전화 번호부 아이콘 및 메뉴 아이콘 등을 터치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설정된 높이(h) 이하에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다고 감지하면, 터치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아이콘 중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아이콘에 관한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3의(a)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같이, 전자 장치는 터치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아이콘 중 입력수단이 통화 기능의 아이콘에 위치하고 있다면, 전자 장치는 "통화 기능입니다"와 같이 해당 아이콘에 관한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기능에 관한 정보를 음향으로 사용자에게 피드백해주기 때문에 일반인도 사용 가능하지만 특히 시각 장애인, 시력 약화자 및 노약자들이 사용하기에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3의(b)는 본 발명에 따른 선택받은 문자 입력 기능을 사용자에게 음향으로 피드백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각종 기능들을 터치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 구비된 각종 기능들을 바로 실행할 수 있는 아이콘들을 터치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화 아이콘, 메시지 아이콘, 전화 번호부 아이콘, 메뉴 아이콘 등을 터치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설정된 높이(h) 이하에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다고 감지하면, 터치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아이콘 중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아이콘에 관한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3의(b)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같이, 전자 장치는 터치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아이콘 중 입력수단이 문자 입력 기능의 아이콘에 위치하고 있다면, 전자 장치는 "문자 입력 기능입니다"와 같이 해당 아이콘에 관한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기능에 관한 정보를 음향으로 사용자에게 피드백해주기 때문에 일반인도 사용 가능하지만 특히 시각 장애인, 시력 약화자 및 노약자들이 사용하기에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수단의 제스처를 분석하여 입력수단으로부터 선택받은 표기 타입을 입력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a)는 본 발명에 따른 설정된 높이 이하의 위치에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음을 감지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설정된 높이(h) 이하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만 입력수단을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설정된 높이(h) 이하의 위치에 입력수단이 위치한 경우에만 입력수단이 위치한 터치 영역의 표기 타입을 선택받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설정된 높이(h) 이하에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다면, 직접 터치 뿐만 아니라 공간적인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설정된 높이 이하에 위치함을 전자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 압전센서, 적외선 센서 등 센서 입력 장치로 공간적인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h라는 높이를 설정된 높이로 입력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터치 영역으로부터 h이하의 높이에 위치하고 있음을 전자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 압전센서 및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감지할 수 있다. 물론, 전자 장치는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입력수단이 터치 영역에 직접 터치 입력되었음을 감지할 수도 있다. 즉, 입력수단이 전자 장치에 직접 터치 입력되었다는 것은 설정된 높이(h)로 0이 입력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4의(b)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수단의 위치를 분석하여 임의의 표기 타입을 선택받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가 설정된 높이 이하의 위치에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음을 감지하였다면, 전자 장치는 설정된 순서에 따라 복수의 터치 영역 중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기 타입을 선택받는다. 이하, 전자 장치에서 표기 타입을 선택받는 순서가 영문자, 숫자 및 한글 자음의 순서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하고 입력수단의 위치를 분석하여 표기 타입을 선택받는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4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으로부터 선택받은 터치 영역을 설정된 크기만큼 크게 확대하고, 그 외 선택받지 않은 터치 영역은 설정된 크기만큼 작게 축소하에 디스플레이한다. 즉,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으로부터 선택받은 터치 영역을 설정된 크기만큼 크게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선택받은 터치 영역에서 임의의 제스처 등을 취하기에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설정된 순서가 영문자, 숫자 및 한글 자음의 순서로 설정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한 후, 입력수단이 선택한 영문자 중 첫 번째로 "M"을 선택받는다. 만약, 전자 장치에서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설정된 순서가 숫자, 영문자 및 한글 자음의 순서로 설정되어 있다면 숫자 "6"을 선택받음은 물론이다. 같은 의미로, 전자 장치에서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설정된 순서가 한글 자음, 숫자, 영문자의 순서로 설정되어 있다면 한글 자음 중 첫 번째로 "ㄷ"을 선택받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표기 타입에 관한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4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으로부터 선택받은 표기 타입에 관한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선택받은 표기 타임을 청각적으로 피드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으로부터 영문자 "M"을 선택받았다는 것을 "영문자 엠"과 같이 음향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자신이 선택한 표기 타입을 청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으로부터 선택받은 표기 타입에 관한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하여 시각 장애인, 시력 약화자 및 노약자 등과 같은 사용자가 청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으로부터 선택받은 표기 타입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음을 물론이고, 입력수단이 복수의 터치 영역 사이를 이동할 때마다 입력수단으로 촉각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 장치의 터치 영역을 시각으로 확인하면서 표기 타입을 입력하지 않더라도, 복수의 터치 영역 사이를 이동할 때마다 촉각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어 입력수단이 하나의 터치 영역에서 다른 하나의 터치 영역으로 이동되었음을 피드백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의(c)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수단의 제스처를 분석하여 임의의 표기 타입을 선택받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의 제1 제스처를 감지하여, 감지한 제1 제스처가 설정된 제스처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설정된 순서에 따라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동종의 표기 타입 중 차순위의 표기 타입을 선택받는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복수의 터치 영역 중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숫자 "6", 영문자 "M, N, O" 및 한글 자음 "ㄷ, ㅌ"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해 보자. 또한, 전자 장치에 설정된 순서는 영문자, 숫자 및 한글 자음 순서로 설정되어 있으며, 영문자가 선택받은 순서는 "M, N, O"의 순서로 선택받을 수 있다고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으로 제1 제스처를 입력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입력받은 제1 제스처가 설정된 제스처와 동일한지 판단한다. 여기서, 제1 제스처란 설정된 순서에 따라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동종의 표기 타입 중 차순위의 표기 타입을 선택하는 입력수단의 제스처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제1 제스처로 시계방향으로 원을 그리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가정에서,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기 타입 중 영문자 "M"을 선택받는다. 이후, 도 4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가 입력수단으로부터 설정된 제1 제스처를 감지하였다면 동종의 표기 타입인 영문자 중 차순위로 설정된 "N"이라는 영문자를 선택받는다. 같은 의미로, 전자 장치가 입력수단으로부터 설정된 제1 제스처를 다시 감지하였다면 동종의 표기 타입인 영문자 중 다음 차순위로 설정된 "O"라는 영문자를 선택받는다. 즉, 사용자는 설정된 제1 제스처를 취하여 적어도 하나의 동종의 표기 타입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표기 타입에 관한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4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으로부터 선택받은 표기 타입에 관한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선택받은 표기 타임을 청각적으로 피드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으로부터 영문자 "N"을 선택받았다는 것을 "영문자 엔"과 같이 음향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자신이 선택한 표기 타입을 청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으로부터 선택받은 표기 타입에 관한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하여 시각 장애인, 시력 약화자 및 노약자 등과 같은 사용자가 청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4의(d)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수단의 위치를 감지하여 선택받은 표기 타입을 입력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설정된 높이(h) 이하의 위치에서 설정된 높이(h)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선택받은 표기 타입을 입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표기 타입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은 상태에서 입력수단이 설정된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 감지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면,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음을 확인한 후 선택받은 표기 타입을 입력한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입력수단으로부터 선택받은 표기 타입이 영문자 "N"이고, 설정된 높이가 h이며, 설정된 시간이 0.5초라고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전자 장치가 설정된 높이인 h보다 높은 위치에 입력수단이 위치하여 입력수단이 감지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면, 전자 장치는 설정된 시간인 0.5초가 경과하였는지 판단한다. 만약,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시간인 0.5초가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영문자 "N"을 입력한다. 즉, 사용자는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선택한 표기 타입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 입력수단을 설정된 높이(h)보다 높은 위치에서 설정된 시간 이상 위치시키면 된다. 여기서,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시간 이상 경과한 경우에만 선택받은 표기 타입을 입력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게 설정된 높이(h)보다 높은 위치에 입력수단이 위치하여 선택받은 표기 타입이 잘못 입력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임의의 표기 타입을 선택한 이후에 의도하지 않게 입력수단을 설정된 높이(h)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시킨 경우, 사용자는 다시 설정된 높이(h) 이하의 위치에 입력수단을 위치시켜 잘못 입력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전자 장치를 입력하는 동작이 미숙한 경우에는 설정된 시간을 높게 설정하여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후 전자 장치를 입력하는 동작이 숙달된 경우에는 설정된 시간을 낮게 설정하여 빠른 입력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수단의 제스처를 분석하여 입력수단으로부터 선택받은 표기 타입을 입력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a)는 본 발명에 따른 설정된 높이 이하의 위치에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음을 감지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설정된 높이 이하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만 입력수단을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설정된 높이 이하의 위치에 입력수단이 위치한 경우에만 입력수단이 위치한 터치 영역의 표기 타입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설정된 높이 이하에 위치함을 전자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 압전센서, 적외선 센서 등 센서 입력 장치로 공간적인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h라는 높이를 설정된 높이로 입력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터치 영역으로부터 h이하의 높이에 위치하고 있음을 전자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 압전센서 및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감지할 수 있다. 물론, 전자 장치는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입력수단이 터치 영역에 직접 터치 입력되었음을 감지할 수도 있다. 즉, 입력수단이 전자 장치에 직접 터치 입력되었다는 것은 설정된 높이(h)로 0이 입력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5의(a)에서는 전자 장치에 설정된 높이가 0으로 입력된 것으로,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직접 터치로 입력받은 경우에만 터치 입력받을 수 있다.
도 5의(b)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수단의 위치를 분석하여 임의의 표기 타입을 선택받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가 설정된 높이 이하의 위치에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음을 감지하였다면, 전자 장치는 설정된 순서에 따라 복수의 터치 영역 중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기 타입을 선택받는다. 이하, 전자 장치에서 표기 타입을 선택받는 순서가 한글 자음, 영문자 및 숫자의 순서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하고 입력수단의 위치를 분석하여 표기 타입을 선택받는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5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으로부터 선택받은 터치 영역을 설정된 크기만큼 크게 확대하고, 그 외 선택받지 않은 터치 영역은 설정된 크기만큼 작게 축소하에 디스플레이한다. 즉,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으로부터 선택받은 터치 영역을 설정된 크기만큼 크게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선택받은 터치 영역에서 임의의 제스처 등을 취하기에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설정된 순서가 한글 자음, 영문자 및 숫자의 순서로 설정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한 후, 입력수단이 선택한 한글 자음 중 첫 번째로 "ㅈ"을 선택받는다. 만약, 전자 장치에서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설정된 순서가 숫자, 영문자 및 한글 자음의 순서로 설정되어 있다면 숫자 "9"를 선택받음은 물론이다. 같은 의미로, 전자 장치에서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설정된 순서가 영문자, 한글 자음 및 숫자의 순서로 설정되어 있다면 영문자 중 첫 번째로 "W"를 선택받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표기 타입에 관한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5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으로부터 선택받은 표기 타입에 관한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선택받은 표기 타임을 청각적으로 피드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으로부터 한글 자음 "ㅈ"을 선택받았다는 것을 "한글 자음 지읒"과 같이 음향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자신이 선택한 표기 타입을 청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으로부터 선택받은 표기 타입에 관한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하여 시각 장애인, 시력 약화자 및 노약자 등과 같은 사용자가 청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으로부터 선택받은 표기 타입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음을 물론이고, 입력수단이 복수의 터치 영역 사이를 이동할 때마다 입력수단으로 촉각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 장치의 터치 영역을 시각으로 확인하면서 표기 타입을 입력하지 않더라도, 복수의 터치 영역 사이를 이동할 때마다 촉각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어 입력수단이 하나의 터치 영역에서 다른 하나의 터치 영역으로 이동되었음을 피드백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의(c)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수단의 제스처를 분석하여 임의의 표기 타입을 선택받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의 제1 제스처를 감지하여, 감지한 제1 제스처가 설정된 제스처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설정된 순서에 따라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동종의 표기 타입 중 차순위의 표기 타입을 선택받는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복수의 터치 영역 중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숫자 "9", 영문자 "W, X, Y" 및 한글 자음 "ㅈ, ㅊ"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해 보자. 또한, 전자 장치에 설정된 순서는 한글 자음, 영문자 및 숫자의 순서로 설정되어 있으며, 한글 자음이 선택받은 순서는 "ㅈ, ㅊ"의 순서로 선택받을 수 있다고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으로 제1 제스처를 입력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입력받은 제1 제스처가 설정된 제스처와 동일한지 판단한다. 여기서, 제1 제스처란 설정된 순서에 따라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동종의 표기 타입 중 차순위의 표기 타입을 선택하는 입력수단의 제스처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제1 제스처로 시계방향으로 원을 그리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가정에서,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기 타입 중 한글 자음 "ㅈ"을 선택받는다. 이후, 도 5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가 입력수단으로부터 설정된 제1 제스처를 감지하였다면 동종의 표기 타입인 한글 자음 중 차순위로 설정된 "ㅊ"이라는 한글 자음을 선택받는다. 즉, 사용자는 설정된 제1 제스처를 취하여 적어도 하나의 동종의 표기 타입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표기 타입에 관한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5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으로부터 선택받은 표기 타입에 관한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선택받은 표기 타임을 청각적으로 피드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으로부터 한글 자음 "ㅊ"을 선택받았다는 것을 "한글 자음 치읓"과 같이 음향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자신이 선택한 표기 타입을 청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으로부터 선택받은 표기 타입에 관한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하여 시각 장애인, 시력 약화자 및 노약자 등과 같은 사용자가 청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5의(d)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수단의 위치를 감지하여 선택받은 표기 타입을 입력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설정된 높이 이하의 위치에서 설정된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선택받은 표기 타입을 입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표기 타입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은 상태에서 입력수단이 설정된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 감지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면,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음을 확인한 후 선택받은 표기 타입을 입력한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입력수단으로부터 선택받은 표기 타입이 한글 자음 "ㅊ"이고, 설정된 높이가 0이며, 설정된 시간이 0.3초라고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전자 장치가 설정된 높이인 0보다 높은 위치에 입력수단이 위치하여 입력수단이 감지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면, 전자 장치는 설정된 시간인 0.3초가 경과하였는지 판단한다. 만약,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시간인 0.3초가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한글 자음 "ㅊ"을 입력한다. 즉, 사용자는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선택한 표기 타입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 입력수단을 설정된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서 설정된 시간 이상 위치시키면 된다. 여기서,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시간 이상 경과한 경우에만 선택받은 표기 타입을 입력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게 설정된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입력수단이 위치하여 선택받은 표기 타입이 잘못 입력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임의의 표기 타입을 선택한 이후에 의도하지 않게 입력수단을 설정된 높이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시킨 경우, 사용자는 다시 설정된 높이 이하의 위치에 입력수단을 위치시켜 잘못 입력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전자 장치를 입력하는 동작이 미숙한 경우에는 설정된 시간을 높게 설정하여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후 전자 장치를 입력하는 동작이 숙달된 경우에는 설정된 시간을 낮게 설정하여 빠른 입력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제스처를 감지하여 다른 형태의 표기 타입을 선택받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a)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수단의 위치를 분석하여 임의의 표기 타입을 선택받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가 설정된 높이 이하의 위치에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음을 감지하였다면, 전자 장치는 설정된 순서에 따라 복수의 터치 영역 중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기 타입을 선택받는다. 이하, 전자 장치에서 표기 타입을 선택받는 순서가 숫자, 한글 자음 및 영문자의 순서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하고 입력수단의 위치를 분석하여 표기 타입을 선택받는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6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으로부터 선택받은 터치 영역을 설정된 크기만큼 크게 확대하고, 그 외 선택받지 않은 터치 영역은 설정된 크기만큼 작게 축소하에 디스플레이한다. 즉,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으로부터 선택받은 터치 영역을 설정된 크기만큼 크게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선택받은 터치 영역에서 임의의 제스처 등을 취하기에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설정된 순서가 숫자, 한글 자음 및 영문자의 순서로 설정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한 후, 입력수단이 선택한 숫자 "6"을 선택받는다. 만약, 전자 장치에서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설정된 순서가 영문자, 숫자 및 한글 자음의 순서로 설정되어 있다면 영문자 "J"를 선택받음은 물론이다. 같은 의미로, 전자 장치에서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설정된 순서가 한글 자음, 영문자 및 숫자의 순서로 설정되어 있다면 한글 자음 중 첫 번째로 "ㄴ"을 선택받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표기 타입에 관한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6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으로부터 선택받은 표기 타입에 관한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선택받은 표기 타임을 청각적으로 피드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으로부터 숫자 "5"를 선택받았다는 것을 "숫자 오"와 같이 음향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자신이 선택한 표기 타입을 청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으로부터 선택받은 표기 타입에 관한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하여 시각 장애인, 시력 약화자 및 노약자 등과 같은 사용자가 청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6의(b)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제스처를 감지하여 표기 타입을 선택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의 제2 제스처를 감지하여, 감지한 제2 제스처가 설정된 제스처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설정된 순서에 따라 현재 선택받은 표기 타입의 형태에서 다른 종류의 표기 타입의 형태로 변환한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복수의 터치 영역 중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숫자 "5", 영문자 "J, K, L" 및 한글 자음 "ㄴ, ㄹ"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해 보자. 또한, 전자 장치에 설정된 순서는 숫자, 한글 자음 및 영문자의 순서로 설정되어 있으며, 한글 자음이 선택받은 순서는 "ㄴ, ㄹ"의 순서로 선택받을 수 있다고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으로 제2 제스처를 입력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입력받은 제2 제스처가 설정된 제스처와 동일한지 판단한다. 여기서, 제2 제스처란 설정된 순서에 따라 현재 선택받은 표기 타입의 형태에서 다른 종류의 표기 타입의 형태로 변환하는 입력수단의 제스처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제2 제스처로 반 시계방향으로 원을 그리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가정에서,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기 타입 중 숫자 "5"를 선택받는다. 이후, 도 6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가 입력수단으로부터 설정된 제2 제스처를 감지하였다면 차순위로 설정된 다른 형태의 표기 타입인 한글 자음 "ㄴ"을 선택받는다. 즉, 사용자는 설정된 제2 제스처를 취하여 다른 종류의 표기 타입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표기 타입에 관한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6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으로부터 선택받은 표기 타입에 관한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선택받은 표기 타임을 청각적으로 피드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으로부터 한글 자음 "ㄴ"을 선택받았다는 것을 "한글 자음 니은"과 같이 음향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자신이 선택한 표기 타입을 청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으로부터 선택받은 표기 타입에 관한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하여 시각 장애인, 시력 약화자 및 노약자 등과 같은 사용자가 청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수단으로 촉각신호를 전달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a)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영역 내에 위치한 입력수단으로 촉각신호를 전달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터치 영역으로부터 설정된 높이(h) 이하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으로 촉각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터치 영역 내(d)에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진동 등과 같은 촉각신호를 입력수단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서 입력수단이 터치 영역 내(d)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현재 터치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입력수단으로 촉각신호를 통하여 피드백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된 각각의 터치 영역 사이를 이동하였음을 확인할 때마다 입력수단으로 촉각신호를 전달하여 시각 장애인 등과 같이 시력이 좋지 못한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7의(b)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영역 밖에 위치한 입력수단으로 촉각신호를 전달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터치 영역(d)을 벗어날 때 입력수단으로 촉각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터치 영역(d) 내에 위치할 때 뿐만 아니라 터치 영역을 벗어날 때에서 입력수단으로 진동 등과 같은 촉각 피드백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면, 시력이 좋지 못한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터치 영역 내에서 밖으로 이동할 때 전자 장치는 입력장치로 진동 등과 같은 촉각신호를 전달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직접 확인하며 입력하지 않더라도 현재 입력수단이 터치 영역을 벗어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복수의 터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터치 영역에서 다른 하나의 터치 영역으로 이동하였거나 터치 영역을 벗어났음을 촉각으로 피드백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수단으로부터 제1 제스처를 감지하여 선택받은 표기 타입을 입력하는 동작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터치 영역으로부터 설정된 높이 이하의 위치에서 입력수단이 감지되었는지 판단한다(801).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가 터치 영역으로부터 입력수단까지의 임의의 높이를 설정된 높이로 입력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설정된 임의의 높이 이하에 위치한 입력수단의 공간적인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게 때문이다. 즉, 전자 장치는 설정된 높이 이하의 위치에서 입력수단이 감지된 경우에만 터치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설정된 높이 이하에 위치함을 전자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 압전센서 및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h라는 높이를 설정된 높이로 입력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터치 영역으로부터 h이하의 높이에 위치하고 있음을 전자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 압전센서 및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감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입력수단을 터치 영역에 터치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입력수단을 설정된 임의의 높이 이하에 위치시켜 공간적인 터치 입력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전자 장치는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입력수단이 터치 영역에 터치 입력되었음을 감지할 수도 있다.
만약, 전자 장치에서 터치 영역으로부터 설정된 높이 이하의 위치에서 입력수단이 감지되었다고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을 설정된 크기만큼 확대하고, 나머지 영역을 설정된 크기만큼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한다(803).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의 위치가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된 터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터치 영역에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면, 현재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을 설정된 크기만큼 확대하고, 나머지 터치 영역을 설정된 크기만큼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서 제1 제스처 또는 제2 제스처 등을 보다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표기 타입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다(805).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복수의 터치 영역 중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숫자 "4", 영문자 "G, H, I" 및 한글 자음 "ㄱ, ㅋ"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설정된 순서에 따라 어느 하나의 표기 타입을 선택받는다. 만약, 전자 장치에 설정된 표기 타입의 순서가 숫자 "4", 영문자 "G, H, I" 및 한글 자음 "ㄱ, ㅋ"이라고 가정하면, 전자 장치는 숫자 "4"를 선택받는다.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표기 타입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은 전자 장치는 감지한 입력수단의 제1 제스처가 설정된 제스처와 동일한지 판단한다(807). 여기서, 제1 제스처란 설정된 순서에 따라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동종의 표기 타입 중 차순위의 표기 타입을 선택하는 입력수단의 제스처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서 제1 제스처가 시계방향으로 원을 그리는 것으로 설정되었다면,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시계방향으로 원을 그리는 제1 제스처가 감지되었는지 판단한다.
만약, 전자 장치에서 감지한 입력수단의 제1 제스처가 설정된 제스처와 동일하다고 판단되었다면, 전자 장치는 설정된 순서에 따라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표기 타입 중 동종의 표기 타입을 선택받는다(809).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영문자 "J, K, L"이 포함되어 있는 터치 영역에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하면 최초 "J"라는 영문자를 선택받는다. 이후, 전자 장치가 입력수단으로부터 설정된 제1 제스처를 감지하였다면 동종의 표기 타입인 영문자 중 차순위로 설정된 "K"라는 영문자를 선택받는다. 같은 의미로, 전자 장치가 입력수단으로부터 설정된 제1 제스처를 다시 감지하였다면 동종의 표기 타입인 영문자 중 다음 차순위로 설정된 "L"이라는 영문자를 선택받는다. 즉, 사용자는 설정된 제1 제스처를 취하여 적어도 하나의 동종의 표기 타입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사용자는 영문자 "J, K, L"이 포함되어 있는 터치 영역에 입력수단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설정된 제1 제스처를 취하여 영문자 "J, K, L" 중 전자 장치에 입력하고자 하는 영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에 "J"라는 영문자가 선택되었다면, 사용자는 설정된 제1 제스처를 한 번 취하여 영문자 "K"를 선택할 수도 있고, 설정된 제1 제스처를 두 번 취하여 영문자 "L"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설정된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한다(811).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표기 타입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은 상태에서 입력수단이 설정된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 감지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면,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입력수단으로부터 선택받은 표기 타입이 영문자 "L"이고, 설정된 높이가 h이며, 설정된 시간이 1초라고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전자 장치가 설정된 높이인 h보다 높은 위치에 입력수단이 위치하여 입력수단이 감지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면, 전자 장치는 설정된 시간인 1초가 경과하였는지 판단한다.
만약, 전자 장치에서 입력수단이 설정된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 감지 않은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었다면,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기호를 입력한다(813).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입력수단으로부터 선택받은 표기 타입이 영문자 "L"이고, 설정된 높이가 h이며, 설정된 시간이 1초라고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전자 장치가 설정된 높이인 h보다 높은 위치에 입력수단이 위치하여 입력수단이 감지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면, 전자 장치는 설정된 시간인 1초가 경과하였는지 판단한다. 만약,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시간인 1초가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영문자 "L"을 입력한다. 즉, 사용자는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선택한 표기 타입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 입력수단을 설정된 높이(h)보다 높은 위치에서 설정된 시간 이상 위치시키면 된다. 여기서,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시간 이상 경과한 경우에만 선택받은 표기 타입을 입력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게 설정된 높이(h)보다 높은 위치에 입력수단이 위치하여 선택받은 표기 타입이 잘못 입력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임의의 표기 타입을 선택한 이후에 의도하지 않게 입력수단을 설정된 높이(h)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시킨 경우, 사용자는 다시 설정된 높이(h) 이하의 위치에 입력수단을 위치시켜 잘못 입력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전자 장치를 입력하는 동작이 미숙한 경우에는 설정된 시간을 높게 설정하여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후 전자 장치를 입력하는 동작이 숙달된 경우에는 설정된 시간을 낮게 설정하여 빠른 입력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만약, 상술한 판단과정(801)에서, 전자 장치가 터치 영역으로부터 설정된 높이 이하의 위치에서 입력수단이 감지않았다고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으로부터 터치 입력을 감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판단과정(801)을 반복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판단과정(807)에서, 전자 장치가 감지한 입력수단의 제1 제스처가 설정된 제스처와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판단과정(807)을 반복함은 물론이다. 또한, 전자 장치에서 입력수단이 설정된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상술한 판단과정(801)을 반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수단으로부터 제2 제스처를 감지하여 선택받은 표기 타입을 입력하는 동작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터치 영역으로부터 설정된 높이 이하의 위치에서 입력수단이 감지되었는지 판단한다(901).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가 터치 영역으로부터 입력수단까지의 임의의 높이를 설정된 높이로 입력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설정된 임의의 높이 이하에 위치한 입력수단의 공간적인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게 때문이다. 즉, 전자 장치는 설정된 높이 이하의 위치에서 입력수단이 감지된 경우에만 터치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설정된 높이 이하에 위치함을 전자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 압전센서 및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h라는 높이를 설정된 높이로 입력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터치 영역으로부터 h이하의 높이에 위치하고 있음을 전자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 압전센서, 적외선 센서 등 센서 입력 장치로 감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입력수단을 터치 영역에 터치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입력수단을 설정된 임의의 높이 이하에 위치시켜 공간적인 터치 입력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전자 장치는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입력수단이 터치 영역에 터치 입력되었음을 감지할 수도 있다.
만약, 전자 장치에서 터치 영역으로부터 설정된 높이 이하의 위치에서 입력수단이 감지되었다고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을 설정된 크기만큼 확대하고, 나머지 영역을 설정된 크기만큼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한다(903).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의 위치가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된 터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터치 영역에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면, 현재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을 설정된 크기만큼 확대하고, 나머지 터치 영역을 설정된 크기만큼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서 제1 제스처 또는 제2 제스처 등을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표기 타입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다(905).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복수의 터치 영역 중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숫자 "5", 영문자 "J, K, L" 및 한글 자음 "ㄴ, ㄹ"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설정된 순서에 따라 어느 하나의 표기 타입을 선택받는다. 만약, 전자 장치에 설정된 표기 타입의 순서가 숫자 "5", 영문자 "J, K, L" 및 한글 자음 "ㄴ, ㄹ"이라고 가정하면, 전자 장치는 숫자 "5"를 선택받는다.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표기 타입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은 전자 장치는 감지한 입력수단의 제2 제스처가 설정된 제스처와 동일한지 판단한다(907). 여기서, 제2 제스처란 설정된 순서에 따라 현재의 표기 타입의 형태에서 다른 종류의 표기 타입의 형태로 변환하고자 하는 제스처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서 제2 제스처가 반 시계방향으로 원을 그리는 것으로 설정되었다면,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반 시계방향으로 원을 그리는 제2 제스처가 감지되었는지 판단한다.
만약, 전자 장치에서 감지한 입력수단의 제2 제스처가 설정된 제스처와 동일하다고 판단되었다면, 전자 장치는 설정된 순서에 따라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표기 타입 중 다른 종류의 표기 타입을 선택받는다(909).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숫자 "5", 한글 자음 "ㄴ, ㄹ" 및 영문자 "J, K, L" 이 포함되어 있는 터치 영역에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하면 숫자, 한글 자음 및 영문자 중 설정된 순서에 따라 어느 하나의 표기 타입을 선택받는다. 만약, 전자 장치가 숫자, 한글 자음 및 영문자 순서로 설정된 상태에서 숫자 "5", 한글 자음 "ㄴ, ㄹ" 및 영문자 "J, K, L" 이 포함되어 있는 터치 영역에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면, 전자 장치는 최초 숫자 "5"를 선택받는다. 이후, 전자 장치가 입력수단으로부터 설정된 제2 제스처를 감지하였다면 차순위로 설정된 한글 자음의 표기 타입인 "ㄴ"이라는 한글 자음을 선택받는다. 같은 의미로, 전자 장치가 입력수단으로부터 설정된 제2 제스처를 다시 감지하였다면 다음 차순위로 설정된 영문자 표기 타입인 "L"이라는 영문자를 선택받는다. 즉, 사용자는 설정된 제2 제스처를 취하여 같은 터치 영역에 할당된 표기 타입의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사용자는 숫자 "5", 한글 자음 "ㄴ, ㄹ" 및 영문자 "J, K, L" 이 포함되어 있는 터치 영역에 입력수단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설정된 제2 제스처를 취하여 숫자 "5"에서 한글 자음 "ㄴ"으로 표기 타입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설정된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한다(911).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표기 타입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은 상태에서 입력수단이 설정된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 감지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면,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이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입력수단으로부터 선택받은 표기 타입이 영문자 "L"이고, 설정된 높이가 h이며, 설정된 시간이 1초라고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전자 장치가 설정된 높이인 h보다 높은 위치에 입력수단이 위치하여 입력수단이 감지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면, 전자 장치는 설정된 시간인 1초가 경과하였는지 판단한다.
만약, 전자 장치에서 입력수단이 설정된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 감지 않은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었다면,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기호를 입력한다(913).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입력수단으로부터 선택받은 표기 타입이 영문자 "L"이고, 설정된 높이가 h이며, 설정된 시간이 1초라고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전자 장치가 설정된 높이인 h보다 높은 위치에 입력수단이 위치하여 입력수단이 감지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면, 전자 장치는 설정된 시간인 1초가 경과하였는지 판단한다. 만약,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시간인 1초가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선택받은 영문자 "L"을 입력한다. 즉, 사용자는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선택한 표기 타입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 입력수단을 설정된 높이(h) 보다 높은 위치에서 설정된 시간 이상 위치시키면 된다. 여기서,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시간 이상 경과한 경우에만 선택받은 표기 타입을 입력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게 설정된 높이(h)보다 높은 위치에 입력수단이 위치하여 선택받은 표기 타입이 잘못 입력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임의의 표기 타입을 선택한 이후에 의도하지 않게 입력수단을 설정된 높이(h)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시킨 경우, 사용자는 다시 설정된 높이(h) 이하의 위치에 입력수단을 위치시켜 잘못 입력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전자 장치를 입력하는 동작이 미숙한 경우에는 설정된 시간을 높게 설정하여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후 전자 장치를 입력하는 동작이 숙달된 경우에는 설정된 시간을 낮게 설정하여 빠른 입력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만약, 상술한 판단과정(901)에서, 전자 장치가 터치 영역으로부터 설정된 높이 이하의 위치에서 입력수단이 감지않았다고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입력수단으로부터 터치 입력을 감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판단과정(901)을 반복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판단과정(907)에서, 전자 장치가 감지한 입력수단의 제2 제스처가 설정된 제스처와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판단과정(907)을 반복함은 물론이다. 또한, 전자 장치에서 입력수단이 설정된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전자 장치는 상술한 판단과정(901)을 반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러한 전자 장치(1000)는, 휴대용 전자 장치(portable electronic device)일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전화(mobile phone), 이동 패드(mobile pad),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장치들 중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결합한 장치를 포함하는 임의의 휴대용 전자 장치일 수도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1000)는 메모리(1010), 프로세서 유닛(processor unit)(1020), 제1 무선통신 서브시스템(1030), 제2 무선통신 서브시스템(1031), 외부 포트(1060), 오디오 서브시스템(1050), 스피커(1051), 마이크로폰(1052), 입출력(IO, Input Output) 시스템(1070), 터치스크린(1080) 및 기타 입력 또는 제어 장치(1090)를 포함한다. 메모리(1010)와 외부 포트(1060)는 다수 개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 유닛(1020)은, 메모리 인터페이스(102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1022)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023)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프로세서 유닛(1020) 전체를 프로세서로 칭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프로세서 유닛(1020)은, 입력수단의 제스처를 분석하여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표기 타입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한다. 또한, 프로세서 유닛(1020)은, 입력수단이 설정된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 감지되지 않음을 확인하고, 입력수단이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음을 확인하며, 선택받은 표기 타입을 입력한다. 또한, 프로세서 유닛(1020)은, 입력수단의 제1 제스처를 감지하고, 입력수단의 제2 제스처를 감지하며, 감지한 제2 제스처가 설정된 제스처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설정된 순서에 따라 현재 선택받은 표기 타입의 형태에서 다른 종류의 표기 타입의 형태로 변환시킨다.
프로세서(1022)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자 장치(1000)를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프로세서(1022)는 메모리(1010)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한 소프트웨어 모듈(명령어 세트)을 실행하여 그 모듈에 대응하는 특정한 여러 가지의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도 한다. 즉, 프로세서(1022)는 메모리(101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들과 연동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방법을 수행한다.
프로세서(1022)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로세서, 이미지 프로세서, 또는 코덱(CODEC)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프로세서, 이미지 프로세서 또는 코덱은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여러 개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023)는 전자 장치(1000)의 입출력 서브시스템(1070) 및 여러 가지 주변 장치를 프로세서(1022) 및 메모리(1010)(메모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에 연결시킨다.
전자 장치(1000)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참조번호 미기재) 또는 스트림 선(참조번호 미기재)에 의해 결합될(coupled) 수 있다.
외부 포트(1060)는, 휴대용 전자 장치(미도시)를 다른 전자 장치로 직접 연결되거나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 인트라넷, 무선 LAN 등)를 통하여 다른 전자 장치로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외부 포트(1060)는, 예를 들면,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또는 FIREWIRE 포트 등을 말한다.
움직임 센서(1091) 및 제1 광 센서(1092)는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023)에 결합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움직임 센서(1091) 및 광 센서(1092)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023)에 결합되어 각각 전자 장치의 움직임 감지 및 외부로부터의 빛 감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위치측정 시스템, 온도센서 또는 생체 센서 등과 같은 기타 센서들이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023)에 연결되어 관련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움직임 센서(1091)는 터치 영역으로부터 설정된 높이 이하의 위치에서 입력수단이 감지되었음을 확인하고, 입력수단의 위치가 상기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된 터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터치 영역에 포함되어 있음 확인한다. 또한, 움직임 센서(1091)는 터치 영역으로부터 입력수단까지의 높이를 감지한다.
카메라 서브시스템(1093)은 사진 및 비디오 클립 레코딩과 같은 카메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서브 시스템(1093)은 터치 영역으로부터 설정된 높이 이하의 위치에서 입력수단이 감지되었음을 확인하고, 입력수단의 위치가 상기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된 터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터치 영역에 포함되어 있음 확인한다. 또한, 카메라 서브 시스템(1093)은 터치 영역으로부터 입력수단까지의 높이를 감지한다.
광 센서(1092)는 CCD(charged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1030, 1031)을 통해 통신 기능이 수행된다.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1030, 1031)은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수신기 및 송수신기 및/또는 광(예컨대, 적외선) 수신기 및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서브시스템(1030)과 제2 통신 서브 시스템(1031)은 전자 장치(1000)가 통신하는 통신 네트워크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는, 이들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i-Fi(Wireless Fidelity) 네트워크, WiMax 네트워크 또는/및 Bluetooth네트워크 등을 통해 동작하도록 설계되는 통신 서브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Wi-Fi(Wireless Fidelity) 네트워크를 통한 WiFi 통신이 필요하므로, 제1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1030)과 제2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1031)은 합하여 하나의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오디오 서브시스템(1050)이 스피커(1051) 및 마이크로폰(1052)에 결합되어 음성 인식, 음성 복제, 디지털 레코딩(recording) 및 전화 기능과 같은 오디오 스트림의 입력과 출력을 담당할 수 있다. 즉, 오디오 서브시스템(1050)은 스피커(speaker)(1051) 및 마이크로폰(1052)을 통해 사용자와 소통한다(communicate). 오디오 서브시스템(1050)은 프로세서 유닛(1020)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023)를 통하여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 스트림을 전기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변환된 전기 스트림(electric signal)는 스피커(1051)로 전달된다. 스피커(1051)는 전기 스트림을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음파(sound wave)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마이크로폰 (1052)은, 사람이나 기타 다른 소리원(sound source)들로부터 전달된 음파를 전기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오디오 서브시스템(1050)은 마이크로폰(1052)으로부터 변환된 전기 스트림을 수신한다. 오디오 서브시스템(1050)은 수신한 전기스트림을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으로 변환하며,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을 주변 인터페이스 (1023)로 전송한다. 오디오 서브시스템(1050)은 탈부착 가능한(attachable and detachable) 이어폰(ear phone), 헤드폰(head phone) 또는 헤드셋(head set)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서브 시스템(1050)은 입력수단이 포함되어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복수의 표기 타입 중 선택받은 표기 타입에 대한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한다.
입출력(I/O, Input/Output) 서브시스템(1070)은 터치 스크린 제어기(1071) 및/또는 기타 입력 제어기(1072)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제어기(1071)는 터치 스크린(1080)에 결합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080) 및 터치 스크린 제어기(1071)는, 이하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터치 스크린(1080)과의 하나 이상의 접촉점을 결정하기 위한 용량성, 저항성, 적외선 및 표면 음향파 기술들뿐만 아니라 기타 근접 센서 배열 또는 기타 요소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멀티 터치 감지 기술을 이용하여 접촉 및 움직임 또는 이들의 중단을 검출할 수 있다. 기타 입력 제어기(1072)는 기타 입력/제어 장치들(1090)에 결합될 수 있다. 기타 입력/제어 장치들(1090)에 하나 이상의 버튼, 로커(rocker) 스위치, 섬 휠(thumb-wheel), 다이얼(dial), 스틱(stick), 및/또는 스타일러스와 같은 포인터 장치 등 일수 있다.
터치스크린(1080)은 전자 장치(1000)와 사용자 사이에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터치스크린(1080)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전자 장치(1000)에 전달한다. 또한 전자 장치(1000)로부터의 출력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매개체이다. 즉, 터치스크린 (1080)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보여준다. 이러한 시각적 출력(visual output)은 텍스트(text), 그래픽(graphic), 비디오(video)와 이들의 조합의 형태로 나타난다.
터치스크린(1080)은 여러 가지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또는 FLED(Flexible LED)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터치 스크린(1080)은, 터치 영역으로부터 설정된 높이 이하의 위치에서 입력수단이 감지되었음을 확인하고, 입력수단의 위치가 상기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된 터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터치 영역에 포함되어 있음 확인한다. 또한, 터치 스크린(1080)은 터치 영역으로부터 입력수단까지의 높이를 감지한다. 또한, 터치 스크린(1080)은 입력수단이 포함되어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표기 타입 중 선택받은 표기 타입을 디스플레이하고, 입력수단이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된 각각의 터치 영역 사이를 이동하였음을 확인할 때마다 입력수단으로 촉각신호를 전달한다. 또한, 터치 스크린(1080)은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을 설정된 크기만큼 확대하고, 나머지 영역을 설정된 크기만큼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표기 타입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다. 또한, 터치 스크린(1080)은 감지한 제1 제스처가 설정된 제스처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설정된 순서에 따라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동종의 표기 타입 중 차순위의 표기 타입을 선택받는다.
메모리(1010)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021)에 결합될 수 있다. 메모리(1010)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와 같은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하나 이상의 광 저장 장치 및/또는 플래시 메모리(예컨대, NAND, NOR)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010)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는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모듈(1011), 통신 모듈(1012), 그래픽 모듈(1013),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014) 및 MPEG 모듈(1015), 카메라 모듈(1016),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모듈(1017) 등을 포함한다. 또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인 모듈은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모듈을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모듈은 또한 프로그램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메모리(1010)는 제2 지도 타일 이미지를 자동으로 저장한다.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1011)[예를 들어, WINDOWS, LINUX, 다윈(Darwin), RTXC, UNIX, OS X, 또는 VxWorks와 같은 내장 운영 체제]는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system operation)을 제어하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의 제어는, 예를 들면, 메모리 관리 및 제어, 저장 하드웨어(장치) 제어 및 관리, 전력 제어 및 관리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는 여러 가지의 하드웨어(장치)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모듈) 사이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통신 모듈(1012)은, 무선통신 서브시스템(1030, 1031)이나 외부 포트(1060)를 통해 컴퓨터, 서버 및/또는 휴대용 단말기 등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래픽 모듈(1013)은 터치스크린(1080) 상에 그래픽을 제공하고 표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그래픽(graphics)이란 용어는 텍스트(text), 웹 페이지(web page), 아이콘(icon), 디지털 이미지(digital image), 비디오(video), 애니메이션(animation)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터치 스크린(1080)은, 스마트 회전 기능의 설정 여부에 관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메시지에 포함된 임의의 영역을 선택받는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014)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련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어떻게 변경되는지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의 변경이 어떤 조건에서 이루어지는지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코덱(CODEC) 모듈(1015)은 비디오 파일의 인코딩 및 디코딩 관련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코덱 모듈은 MPEG 모듈 및/또는 H204 모듈과 같은 비디오 스트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코덱 모듈은 AAA, AMR, WMA 등 여러 가지 오디오 파일용 코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코덱 모듈(1015)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대응하는 명령어 세트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1016)은 카메라 관련 프로세스 및 기능들을 가능하게 하는 카메라 관련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모듈(1017)은 브라우저(browser), 이메일(email), 즉석 메시지(instant message), 워드 프로세싱(word processing), 키보드 에뮬레이션(keyboard emulation), 어드레스 북(address book), 접촉 리스트(touch list), 위짓(widget),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 Management),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음성 복제, 위치 결정 기능(position determining function),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그리고 이하에서 언급할,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000)의 다양한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스트림 프로세싱(processing)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1: 터치 스크린 102: 스피커
103: 설정된 크기만큼 확대된 터치 영역
1000: 전자장치
1010: 메모리 1011: 운영체제 모듈
1012: 통신모듈 1013: 그래픽 모듈
1014: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1015: CODEC 모듈
1016: 카메라 모듈 1017: 애플리케이션
1020: 프로세서 유닛 1021: 메모리 인터페이스
1022: 프로세서 1023: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
1030: 제1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 1031: 제2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
1050: 오디오 서브 시스템 1051: 스피커
1052: 마이크로폰 1060: 외부 포트
1070: 입출력 시스템 1071: 터치 스크린 제어기
1072: 기타 입력 제어기 1080: 터치 스크린
1090: 기타 입력/제어 장치들 1091: 움직임 센서
1092: 광 센서 1093: 카메라 서브 시스템

Claims (20)

  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터치 영역으로부터 설정된 높이 이하의 위치에서 입력수단이 감지되었음을 확인하는 과정;
    상기 입력수단의 위치가 상기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된 터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터치 영역에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입력수단의 제스처(gesture)를 분석하여 상기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표기 타입(mark type)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영역으로부터 설정된 높이 이하의 위치에서 입력수단이 감지되었음을 확인하는 과정은,
    카메라, 압전센서, 적외선 센서 및 터치 패드(touch pad)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영역으로부터 상기 입력수단까지의 높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이 포함되어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표기 타입 중 선택받은 표기 타입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이 포함되어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복수의 표기 타입 중 선택받은 표기 타입에 대한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이 상기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된 각각의 터치 영역 사이를 이동하였음을 확인할 때마다 상기 입력수단으로 촉각신호를 전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을 설정된 크기만큼 확대하고, 나머지 영역을 설정된 크기만큼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의 제스처(gesture)를 분석하여 상기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표기 타입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는 과정은,
    상기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표기 타입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과정;
    상기 입력수단이 상기 설정된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 감지되지 않음을 확인하는 과정;
    상기 입력수단이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음을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받은 표기 타입을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의 제1 제스처를 감지하는 과정; 및
    상기 감지한 제1 제스처가 설정된 제스처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설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동종의 표기 타입 중 차순위의 표기 타입을 선택받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의 제2 제스처를 감지하는 과정; 및
    상기 감지한 제2 제스처가 설정된 제스처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설정된 순서에 따라 현재 선택받은 표기 타입의 형태에서 다른 종류의 표기 타입의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기 타입은,
    숫자, 문자 및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터치 영역으로부터 설정된 높이 이하의 위치에서 입력수단이 감지되었음을 확인하고, 상기 입력수단의 위치가 상기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된 터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터치 영역에 포함되어 있음을 카메라, 움직임 센서 및 터치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가 확인하고,
    상기 입력수단의 제스처를 분석하여 상기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표기 타입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는 프로세서 유닛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서브 시스템, 움직임 센서 및 터치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터치 영역으로부터 상기 입력수단까지의 높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입력수단이 포함되어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표기 타입 중 선택받은 표기 타입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이 포함되어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복수의 표기 타입 중 선택받은 표기 타입에 대한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오디오 서브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입력수단이 상기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된 각각의 터치 영역 사이를 이동하였음을 확인할 때마다 상기 입력수단으로 촉각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을 설정된 크기만큼 확대하고, 나머지 영역을 설정된 크기만큼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입력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표기 타입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고,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입력수단이 상기 설정된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 감지되지 않음을 확인하고, 상기 입력수단이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음을 확인하며, 상기 선택받은 표기 타입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입력수단의 제1 제스처를 감지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감지한 제1 제스처가 설정된 제스처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설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터치 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동종의 표기 타입 중 차순위의 표기 타입을 선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입력수단의 제2 제스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제2 제스처가 설정된 제스처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설정된 순서에 따라 현재 선택받은 표기 타입의 형태에서 다른 종류의 표기 타입의 형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기 타입은,
    숫자, 문자 및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20074980A 2011-07-19 2012-07-10 입력 제스처를 감지하여 선택받은 기호를 입력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1426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2/005769 WO2013012267A1 (en) 2011-07-19 2012-07-19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nsing input gesture and inputting selected symbol
US13/553,444 US20130021380A1 (en) 2011-07-19 2012-07-19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nsing input gesture and inputting selected symbol
EP12177161A EP2549362A2 (en) 2011-07-19 2012-07-19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nsing input gesture and inputting selected symb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385 2011-07-19
KR20110071385 2011-07-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837A true KR20130010837A (ko) 2013-01-29
KR101426791B1 KR101426791B1 (ko) 2014-08-05

Family

ID=47839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980A KR101426791B1 (ko) 2011-07-19 2012-07-10 입력 제스처를 감지하여 선택받은 기호를 입력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7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655B1 (ko) * 2013-01-30 2014-04-17 전자부품연구원 3d 공간 터치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7375B2 (ja) * 2007-12-03 2011-01-26 新日鉄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半導体装置用ボンディングワイヤ
KR20100033214A (ko) * 2008-09-19 2010-03-29 주식회사 텔로드 터치패드의 입력패턴 인식을 통한 입력모드 자동전환 방법
KR101613551B1 (ko) * 2009-07-02 2016-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10022780A (ko) * 2009-08-28 2011-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655B1 (ko) * 2013-01-30 2014-04-17 전자부품연구원 3d 공간 터치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6791B1 (ko) 2014-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0155B1 (ko) 양면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전자장치의 멀티태스킹 제어 방법 및 장치
US8949743B2 (en) Language input interface on a device
US7956846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content-dependent touch sensitivity
KR102157327B1 (ko) 이미지 형식의 객체를 텍스트 형식으로 변환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0613739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multiple devices in an accessibility mode
KR102234400B1 (ko) 컨텐츠의 순서 또는 위치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130268897A1 (en) Interaction method and interaction device
KR20170062954A (ko) 사용자 단말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20130108745A (ko) 폴더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EP2645290A2 (en) Devices and methods for unlocking a lock mode
US9477831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leasing lock using element combining color and symbol
KR20140045741A (ko) 가상 폴더를 생성하여 저장된 애플리케이션들을 관리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090225034A1 (en) Japanese-Language Virtual Keyboard
US20140176600A1 (en) Text-enlargement display method
KR20140047887A (ko) 메모 기능 수행 시 모드 전환이 가능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40106775A (ko) 터치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40106801A (ko) 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음성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장치
KR102042211B1 (ko) 벤딩 상태에 따라 오브젝트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50007889A (ko) 어플리케이션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2014119914A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20140082434A (ko) 전자장치에서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EP2549362A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nsing input gesture and inputting selected symbol
KR20150019061A (ko) 무선 연결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426791B1 (ko) 입력 제스처를 감지하여 선택받은 기호를 입력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078208B1 (ko) 터치 오 입력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