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0500A - 열 문제를 해소하고 강하게 잡히는 인장선이 설치된 저이도 가공전선 - Google Patents

열 문제를 해소하고 강하게 잡히는 인장선이 설치된 저이도 가공전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0500A
KR20130010500A KR1020130002285A KR20130002285A KR20130010500A KR 20130010500 A KR20130010500 A KR 20130010500A KR 1020130002285 A KR1020130002285 A KR 1020130002285A KR 20130002285 A KR20130002285 A KR 20130002285A KR 20130010500 A KR20130010500 A KR 20130010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tensile
conductor
wires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2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현
Original Assignee
임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재현 filed Critical 임재현
Priority to KR1020130002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0500A/ko
Publication of KR20130010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05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08Power cables for overhead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01B7/22Metal wires or tapes, e.g. made of steel
    • H01B7/228Metal bra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42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heat dissipation or condu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2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전선에 있어서 인장선의 설치 위치와 형상을 변경시켜서 전류가 흐름에 따른 저항열의 발생량을 줄이거나, 발생한 저항열을 대기 중에 빨리 발산시키도록 인장선을 전선의 최외곽에 배치하거나, 지지물에서 가공전선을 쉽고 강하게 잡아줄 수 있도록 인장선의 형상을 변형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문제를 해소하고 강하게 잡히는 인장선이 설치된 저이도 가공전선에 관한 것이다.
가공전선은 대체로 전류를 수송하는 목적의 도체집합체와 지지물에서 가공전선을 지탱하도록 잡아주는 악력에 견디도록 하는 인장선의 2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경우에 따라서 가공전선과 외물의 접촉을 막기 위하여 절연피복을 추가하기도 한다. 가공전선에 흐르는 전류의 표피효과를 고려하여 지금까지 인장선은 가공전선 단면도에서 전류가 가장 작게 흐르는 가공전선의 중심에 배치되었으며, 가공전선에서 발생하는 저항열에 의해 선팽창이 작게 일어나도록 하여 이도 발생을 작게 하려고 인바선, 스테인레스강, 섬유강화플라스틱 등 가볍고 선팽창계수가 작거나 비자성체 또는 부도체를 사용하는 상황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인장선으로 강심과 같은 도체를 사용할 경우에 인장선을 가공전선의 중심이 아닌 최외곽층에 배치하여 저항열을 외부로 빨리 발산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더불어 인장선을 절연시켜서 인장선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하여 인장선에서 저항열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였으며, 인장선의 형상을 개선함에 있어서는 기존과 같이 인장선을 단면이 넓은 구조의 선재가 아닌 세선으로 짠 끈 또는 망사 또는 직물의 형상으로 만들어 지지물에서 망사나 직물의 조직 틈새를 이용하여 쉽고 강하게 잡아 줄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동일한 전력을 수송함에 있어서 인장선에 가해지는 열 문제를 해소시키고 지지물에서 쉽고 강하게 잡아줄 수 있도록 하여 가공전선의 이도를 많이 줄일 수 있어서 전선비용 및 지지물의 높이를 줄일 수 있어서 설치비용이 약30% 이상 획기적으로 줄어들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 문제를 해소하고 강하게 잡히는 인장선이 설치된 저이도 가공전선{The low-sag electrical over-head wire with tensile line(s) of removing heat problem and being gripped strongly}
가공전선 구조분야
가공전선은 대체로 전류를 수송하는 목적으로 설치되는 도체집합체와 지지물에서 가공전선을 지탱하도록 잡아주는 악력에 견디도록 하는 인장선의 2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경우에 따라서 가공전선과 외물의 접촉을 막기 위하여 가공전선 외측면에 절연피복을 추가하기도 한다. 가공전선에 흐르는 전류의 표피효과를 고려하여 지금까지 인장선은 가공전선 단면도에서 전류가 가장 작게 흐르는 가공전선의 중심에 배치되었으며, 가공전선에서 발생하는 저항열에 의해 선팽창이 작게 일어나도록 하여 이도 발생을 작게 하려고 인바선, 스테인레스강, 섬유강화플라스틱 등 가볍거나 선팽창계수가 작거나 비자성체 또는 부도체를 사용하게 되었다. 그 사례를 나타내는 출원번호 10-2003-0001602 [가공송전전선용 고강도 비자성 스테인리스 강선, 이를 강심으로 채용한 가공송전선 및 이들 각각의 제조방법]의 경우 인장선에 의한 리액턴스와 표피효과를 줄이기 위하여 비자성체를 인장선으로 사용하는 것에 대한 발명이며, 출원번호 10-2005-0008358 [가공송전선의 인장선용 섬유강화 플라스틱 선재,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공송전선]은 인장선을 팽창계수가 적은 금속체가 아닌 플라스틱 선재로 재질을 바꾼 발명이며, 출원번호 10-2009-0078832 [중용량 저이도 가공송전선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중용량 저이도 가공 송전선]은 도체 소선들의 사이에 저항열을 외부로 유출시키는 방출갭을 형성시켜 전선이 잘 냉각되도록 하는 발명이다. 출원번호 10-2010-0071593 [고질소 강선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공송전선]은 비자성체인 고질소강을 인장선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발명이다. 대체로 지금까지의 발명은 인장선의 재질을 비자성체 또는 열팽창계수가 작은 물질로 바꾸는 것에 국한되고 있고, 전선의 구조에서 인장선의 배치 위치를 바꾸거나 악력을 높이기 위한 인장선의 형상을 바꾸는 발명은 아직 시도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종래기술에서 살펴본 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인장선에서 발생하는 저항에 의한 발열을 줄이거나, 인장선에서 발생한 저항열을 가공전선 외부로 잘 발산하도록 인장선의 배치 위치를 변경하거나, 인장선이 쉽고 강하게 잡힐 수 있도록 인장선 형상을 변경하는 것을 주요 과제로 한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하여 전선의 구조에 있어서 인장선의 최적의 위치를 다시 검토하며, 인장선이 도체일 경우 인장선에 전류의 흐름을 막기 위하여 절연시키는 방법을 고려하며, 구조물에서 인장선을 쉽고 강하게 잡아줄 수 있도록 인장선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방법을 고려한다.
전선의 중요기능인 장력을 제공하는 인장선의 설치 위치를 전선 단면의 중심이 아닌 외곽층 또는 도체집합체를 감싸도록 전선의 최외측에 배치하는 것, 인장선의 설치 위치를 전선 단면의 중심 또는 외곽층 또는 도체집합체를 감싸도록 배치하는 모든 경우에 있어서 인장선을 선재가 아닌 망상/직물 형상 또는 도전성 인장선을 절연시킨 형태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과제를 해결함
본 발명에서는 복도체를 구성할 경우 단도체일 경우와 달리 표피효과를 고려하여 인장선을 구태여 중앙에 배치할 이유가 없음을 착안하여 인장선으로 강심과 같은 도체를 사용할 경우에 인장선을 가공전선의 중심이 아닌 최외곽층에 배치하여 인장선이 대기와 직접 접하도록 하여 저항열을 외부로 빨리 발산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인장선소선(11)으로 막대형상의 선재 뿐 만 아니라 다수의 세선으로 짠 끈 또는 망사 또는 직물을 통형으로 짜거나 면형으로 짠 후 이것을 접거나 꼬아서 만든 망사/직물인장선소선(81)이거나 또는 도체 재질의 도전성인장선소선(83) 외부에 절연층(82)을 형성시켜 만든 절연인장선소선(811)으로 만들어 사용하도록 하였다. 특히 망사/직물인장선소선(81)은 세선으로 짠 끈 또는 망사 또는 직물의 형상으로 만들어 지지물에서 망사나 직물의 조직 틈새를 이용하여 쉽고 강하게 잡아 줄 수 있도록 하였다. 절연인장선소선(811)의 경우 절연층(82)에 의해 도전성인장선소선(83)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여 도전성인장선소선(83)에 저항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지지물에서 악력을 높이고 이도 발생을 현저하게 작게 하였다. 그리고 전선에서 전류를 통하도록 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도체소선(12)으로 하나 이상의 층을 이루도록 전선의 도체집합체를 형성시키고 이 도체집합체 외부를 포위하도록 외포체(91) 형상의 인장선을 설치하여 보다 안정되고 전선의 이도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시켜서 지지물의 높이를 줄이고 전선을 가볍게 만들어서 30% 이상의 전선 설치비용을 줄이도록 하였다.
도 1은 기존의 중앙에 인장선이 설치된 가공전선 단면도이다.
도 2는 단도체인 가공전선 내부 전류밀도 설명도이다.
도 3은 복도체 가공전선 설명도이다.
도 4는 가상의 중공도체와 복도체 연관성 설명도이다.
도 5는 복도체 가공전선의 단도체 내부 전류밀도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최외곽층분산인장선가공전선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최외곽층집중인장선가공전선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인장선소선 사례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외포형인장선가공전선 설명도이다.
도 10은 외포체가 선재형외포체인 외포형인장선가공전선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보강인장선이 추가된 외포형인장선가공전선 설명도이다.
도 12는 전선 중앙에 인장선이 설치된 가공전선 사례 설명도이다.
가공전선은 대체로 전류를 수송하는 목적의 도체집합체와 지지물에서 가공전선을 지탱하도록 잡아주는 악력에 견디도록 하는 인장선의 2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인장선의 설치위치 재설정과 인장선의 형태 변경을 주된 실현방법으로 택한다. 최근 인장선으로 섬유강화플라스틱 선재 등의 사용이 발명되고 있으며, 본 발명자는 탄소섬유인 아라미드섬유, 강화폴리에스테 등 고분자화합물 및 천연섬유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섬유들의 사용도 제안한다. 이들은 가벼우면서 열에 강하고 인장력이 높아서 인장선으로 사용하면 전선의 중량이 가벼워지며 열에 의한 선팽창이 작아서 현재 사용중인 가격이 비싼 인바선을 대체할 수도 있다.
도 1은 기존의 중앙에 인장선이 설치된 가공전선 단면도이다. 현재 주로 사용 중인 중앙인장선가공전선(10)을 설명하는 단면도 이다. 전선의 중앙에 하나 이상의 선재형 인장선소선(11)이 전선의 인장력에 견디도록 인장선을 구성하도록 배치되고, 인장선 외부를 도체소선(12) 들로 구성된 도체가 하나 이상의 층의 도체집합체를 이루며 전선의 존재 이유인 전류를 흐르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는 단도체인 가공전선 내부 전류밀도 설명도이다. 단도체인 가공전선의 경우 전선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표피효과가 발생을 하고 이에 따라 전류는 단면도에서 볼 때 중앙보다는 표피 쪽으로 많이 흐르는 현상이 발생한다. 전류밀도그래프(20)에서 볼 수 있듯이 하나 이상의 선재형 인장선소선(11)으로 구성된 인장선은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 부분에는 인장선전류밀도(21)로 알 수 있듯이 그 외곽을 싸고 층을 이루는 도체소선(12) 보다 훨씬 적은 전류가 흐르는 것을 알 수 있어서 단도체의 경우 지금 사용 중인 전선과 같이 인장선을 중앙에 배치하는 구조가 최적임을 알 수 있다.
도 3은 복도체 가공전선 설명도이다. 가공전선의 경우 단도체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용량 전력을 수송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단도체들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스페이샤(31)를 가공전선로 중간에 다수 설치하여 복도체가공전선(30)을 구성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도 4는 가상의 중공도체와 복도체 연관성 설명도이다. 전선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표피효과가 발생을 하고 이에 따라 전류는 가공전선 단면도에서 볼 때 중앙보다는 표피 쪽으로 많이 흐르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고려하여 전류밀도가 낮은 중앙부위는 도체를 없애고 전류밀도가 높은 표피 부근에만 전류가 흐르는 도체를 배치시키는 중공도체를 사용하는 것이 이론적으로 많은 이득이 있다. 중공도체를 사용하면 현실적으로 도체 부피의 증가로 인한 풍압하중 증가 및 설치공법의 어려움 등의 많은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중공도체를 대신하고 중공도체의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는 복도체를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가상중공도체(40)의 표피에 해당하는 공간에 일정 간격으로 단도체 전선을 배치하는 방식으로 완벽한 중공도체는 아니지만 가상중공도체(40)의 일부 효과를 획득하면서 중공도체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을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도 5는 복도체 가공전선의 단도체 내부 전류밀도 설명도이다. 복도체는 가상중공도체(40)의 표피에 일정한 간격으로 단도체를 배치한 경우이므로 전류밀도그래프(20)에서 보면 각 단도체들 단면에는 가상중공도체(40)의 표피에 해당하는 큰 전류가 흐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이한 것은 동일한 단도체의 최외곽 도체소선(12)들 중에도 복도체 내측에 배치된 도체소선(12)에는 복도체내측전류밀도(51)와 같은 작은 전류밀도를 보이는 반면에, 복도체 외측에 배치된 도체소선(12)에는 복도체외측전류밀도(53)와 같은 큰 전류밀도를 보이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복도체의 경우 하나 이상의 인장선소선(11)로 구성된 단도체 중앙에 배치된 인장선에는 복도체내측전류밀도(51)와 복도체외측전류밀도(53)의 중간 값에 상당하는 큰 복도체인장선전류밀도(52)가 가해진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복도체를 구성할 경우 인장선에 작은 전류를 흐르게 할 목적으로 복도체를 구성하고 있는 각 단도체에 있어서 각 단도체 중앙에 인장선을 배치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특히 전선은 각 소선들이 S꼬임, Z꼬임 등의 방법으로 꼬여져 형성되는 것을 감안하면 각 단도체 측면에서는 최외곽층을 꼬고 있지만 복도체 측면에서 보면 복도체 내측과 외측을 번갈아 가면서 꼬임을 만들어 가므로 인장선소선(11)을 단도체의 최외곽층에 배치하여도 중앙에 배치한 경우와 거의 유사한 전류가 인장선에 흐름을 알 수 있다.
도6과 도7을 함께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최외곽층분산인장선가공전선 설명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최외곽층집중인장선가공전선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도체를 구성할 경우 복도체를 구성하는 각 단도체의 중앙에 인장선을 배치할 의미가 없으므로, 전선에서 전류를 통하도록 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도체소선(12)으로 하나 이상의 층을 이루도록 전선의 도체집합체를 형성시키되 전선의 인장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이 도체집합체의 최외곽층은 도체소선(12)과 인장선소선(11)이 공존하도록 도체집합체의 최외곽층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도체소선(12)을 인장선소선(11)으로 분산 또는 집중되도록 대체시켜 최외곽층분산인장선가공전선(60) 또는 최외곽층집중인장선가공전선(70)을 형성하도록 한 것이 본 발명의 특징 중의 하나이다. 이렇게 할 경우 인장선소선(11)이 가공전선의 최외곽층에 배치되므로 직접 대기와 접하게 됨으로써 효과적으로 인장선소선(11)의 열을 발산시킬 수 있어서 인장선소선(11)의 온도를 낮게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어서 인장선소선(11)의 선팽창에 의한 전선의 이도발생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물리적인 특성이 강한 인장선소선(11)이 전선을 외부에서 감싸는 효과가 있으므로 전선의 외부 표면이 타 물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획기적으로 막을 수 있고, 내부의 도체소선(12)이 열팽창하여 발생하는 여분의 도체를 인장선소선(11)이 외곽에서 감싸는 효과가 있어서 인장선의 열팽창으로 늘어난 인장선 길이가 전선 길이 방향이 아닌 도체 감싸는 방향으로 소비되어 전선의 이도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인장력을 강화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인장선소선 사례 설명도이다. 지금까지의 인장선을 구성하는 인장선소선(11)은 주로 단일 막대형상의 선재가 전부이다. 인장선으로 섬유강화플라스틱 선재 등의 사용이 발명되고 있으며, 본 발명자는 탄소섬유인 아라미드섬유, 강화폴리에스테 등 고분자화합물 및 천연섬유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섬유들을 사용하도록 제안한다. 금속재질의 인장선소선(11)은 막대 형상의 선재로 사용하여도 전선을 연결하거나 지지물에서 전선을 잡을 경우 클램프에서 압착의 방법으로 쉽고 강하게 전선을 잡아줄 수 있지만 금속재질이 아닌 인장선소선(11)의 경우에는 압착의 방법을 사용하기 어려우므로 새로운 연결방법이 강구되어야 한다. 더불어 인장선소선(11)이 도체일 경우 인장선에 전류가 흐르면 인장선에 많은 저항열을 발생시켜 그 열에 의한 인장선의 선팽창을 많이 일으키며 이도 발생을 크게 하므로 도체를 사용하는 인장선의 경우에도 저항열 발생을 최소화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체나 부도체 구분 없이 인장선소선(11)이 단일 막대형상의 선재가 아닌 다수의 세선으로 짠 끈 또는 망사 또는 직물을 통형으로 짜거나 면형으로 짠 후 이것을 말거나 접거나 꼬아서 만든 망사/직물인장선소선(81)이거나 또는 도체 재질의 도전성인장선소선(83) 외부에 절연층(82)을 형성시켜 만든 절연인장선소선(81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그림에서는 망사/직물인장선소선(81)을 통형 망사형태로 짠 사례를 보여 준다. 망사/직물인장선소선(81)의 경우 선재가 아닌 세선으로 짠 끈 또는 망사 또는 직물의 형상으로 만들어져 있어서 지지물에서 끈이나 망사나 직물의 조직 틈새를 이용하여 쉽고 강하게 잡아 줄 수 있다. 절연인장선소선(811)의 경우 절연층(82)에 의해 도전성인장선소선(83)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여 도전성인장선소선(83)에 저항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절연인장선소선(811)의 경우에는 전선의 연결부위에서 절연이 되도록 전선을 시공할 때 고려하여야 한다.
도9와 도10을 함께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외포형인장선가공전선 설명도이고 도 10은 외포체가 선재형외포체인 외포형인장선가공전선 설명도이다. 본 발명을 실현시키는 다른 사례의 하나로, 전선에서 전류를 통하도록 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도체소선(12)으로 하나 이상의 층을 이루도록 전선의 도체집합체를 형성시키고 이 도체집합체 외부를 포위하도록 외포체(91) 형상의 인장선을 설치하여 외포형인장선가공전선(90)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포체(91)가 도체집합체를 완전히 밀폐되도록 감싸는 형상으로 하는 밀폐형외포체(92) 또는 다수의 세선으로 망사/직물형상으로 짠 망사/직물형외포체(93) 또는 띠를 감는 띠형외포체(94) 또는 선재인 인장선소선(11)을 감는 선재형외포체(101) 중의 하나인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외포체(91)를 절연 재질로 하여 절연피복과 인장선의 역할을 동시에 하도록 하거나 외포체(91) 내부 또는 외부를 절연피복으로 감싸서 절연전선으로 만드는 것(미도시)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외포체(91)가 열을 잘 전달하지 않는 재질일 경우 망사/직물형외포체(93) 또는 띠를 감는 띠형외포체(94) 또는 선재인 인장선소선(11)을 감는 선재형외포체(101)를 채택하도록 하면 도체집합체가 공기에 접하는 면적을 많게 하여 도체집합체에서 발생한 저항열이 쉽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어서 매우 효과적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보강인장선이 추가된 외포형인장선가공전선 설명도이다. 도 9에서 도시한 전선의 도체집합체와 도체집합체 외부를 포위하도록 외포체(91) 형상으로 설치된 인장선 사이에 하나 이상의 보강인장선(111)을 추가로 설치한 것이 특징이다. 이 경우에는 외포체(91) 형상으로 설치된 인장선에 한정하여 인장력을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추가로 설치한 보강인장선(111)도 인장력을 제공하도록 하여 보다 강한 인장력이 필요한 전선에 적용하면 유용하다. 본 그림에서는 하나의 사례로 한 방향에 3개의 소선으로 구성된 보강인장선(111)을 도시하였지만 여러 방향에 분산시켜 여러 가닥의 보강인장선(111)을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2는 전선 중앙에 인장선이 설치된 가공전선 사례 설명도이다. 도 5에서 나타내는 것은 인장선이 반드시 가공전선의 중앙만에 배치될 이유가 없고 외곽층에 배치되어도 유사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지만, 전선의 인장선에 열이 발생하지 않거나 열에 의해 선팽창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면 인장선을 전선의 단면도에서 중앙에 배치하여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선의 중앙에 하나 이상의 다수의 세선으로 짠 끈 또는 망사 또는 직물을 통형으로 짜거나 면형으로 짠 후 이것을 말거나 접거나 꼬아서 만든 망사/직물인장선소선(81) 또는 도체 재질의 도전성인장선소선(83) 외부에 절연층(82)을 형성시켜 만든 절연인장선소선(811)이 전선의 인장력에 견디도록 인장선을 구성하도록 배치하고, 인장선 외부를 도체소선(12) 들로 구성된 도체가 하나 이상의 층을 형성하도록 도체집합체를 이루는 중앙망사/직물인장선가공전선(120) 또는 중앙절연인장선가공전선(121)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에는 기존의 전선의 구조 변경을 최소로 하여 쉽게 실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실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물론 본 발명의 가공전선에서 절연을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전선 외측에 절연피복을 추가하여 절연가공전선으로 만들 수도 있음은 기존의 기술이며 널리 알려진 보편적인 사실이다.
10 : 중앙인장선가공전선 11 : 인장선소선
12 : 도체소선 20 : 전류밀도그래프
21 : 인장선전류밀도 30 : 복도체가공전선
31 : 스페이샤 40 : 가상중공도체
51 : 복도체내측전류밀도 52 : 복도체인장선전류밀도
53 : 복도체외측전류밀도 60 : 최외곽층분산인장선가공전선
70 : 최외곽층집중인장선가공전선 81 : 망사/직물인장선소선
811 : 절연인장선소선 82 : 절연층
83 : 도전성인장선소선 90 : 외포형인장선가공전선
91 : 외포체 92 : 밀폐형외포체
93 : 망사/직물형외포체 94 : 띠형외포체
101 : 선재형외포체 111 : 보강인장선
120 : 중앙망사/직물인장선가공전선 121 : 중앙절연인장선가공전선

Claims (6)

  1. 전선에서 전류를 통하도록 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도체소선(12)으로 하나 이상의 층을 이루도록 전선의 도체집합체를 형성시키되 전선의 인장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이 도체집합체의 최외곽층은 도체소선(12)과 인장선소선(11)이 공존하도록 도체집합체의 최외곽층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도체소선(12)을 인장선소선(11)으로 분산 또는 집중되도록 대체시켜 최외곽층분산인장선가공전선(60) 또는 최외곽층집중인장선가공전선(70)을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문제를 해소하고 강하게 잡히는 인장선이 설치된 저이도 가공전선.
  2. 제1항에 있어서, 인장선소선(11)이 단일 막대형상의 선재가 아닌 다수의 세선으로 짠 끈 또는 망사 또는 직물을 통형으로 짜거나 면형으로 짠 후 이것을 말거나 접거나 꼬아서 만든 망사/직물인장선소선(81)이거나 또는 도체 재질의 도전성인장선소선(83) 외부에 절연층(82)을 형성시켜 만든 절연인장선소선(8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문제를 해소하고 강하게 잡히는 인장선이 설치된 저이도 가공전선.
  3. 전선에서 전류를 통하도록 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도체소선(12)으로 하나 이상의 층을 이루도록 전선의 도체집합체를 형성시키고 이 도체집합체 외부를 포위하도록 외포체(91) 형상의 인장선을 설치하여 외포형인장선가공전선(90)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문제를 해소하고 강하게 잡히는 인장선이 설치된 저이도 가공전선.
  4. 제3항에 있어서, 외포체(91)가 완전히 밀폐되도록 감싸는 형상으로 하는 밀폐형외포체(92) 또는 다수의 세선으로 망사/직물형상으로 짠 망사/직물형외포체(93) 또는 띠를 감는 띠형외포체(94) 또는 선재인 인장선소선(11)을 감는 선재형외포체(101)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문제를 해소하고 강하게 잡히는 인장선이 설치된 저이도 가공전선.
  5. 제3항에 있어서, 전선의 도체집합체와 도체집합체 외부를 포위하도록 외포체(91) 형상으로 설치된 인장선 사이에 하나 이상의 보강인장선(111)을 추가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문제를 해소하고 강하게 잡히는 인장선이 설치된 저이도 가공전선.
  6. 전선의 중앙에 하나 이상의 다수의 세선으로 짠 끈 또는 망사 또는 직물을 통형으로 짜거나 면형으로 짠 후 이것을 말거나 접거나 꼬아서 만든 망사/직물인장선소선(81) 또는 도체 재질의 도전성인장선소선(83) 외부에 절연층(82)을 형성시켜 만든 절연인장선소선(811)이 전선의 인장력에 견디도록 인장선을 구성하도록 배치하고, 인장선 외부를 도체소선(12) 들로 구성된 도체가 하나 이상의 층을 형성하도록 도체집합체를 이루는 중앙망사/직물인장선가공전선(120) 또는 중앙절연인장선가공전선(121)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문제를 해소하고 강하게 잡히는 인장선이 설치된 저이도 가공전선.
KR1020130002285A 2013-01-08 2013-01-08 열 문제를 해소하고 강하게 잡히는 인장선이 설치된 저이도 가공전선 KR201300105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285A KR20130010500A (ko) 2013-01-08 2013-01-08 열 문제를 해소하고 강하게 잡히는 인장선이 설치된 저이도 가공전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285A KR20130010500A (ko) 2013-01-08 2013-01-08 열 문제를 해소하고 강하게 잡히는 인장선이 설치된 저이도 가공전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500A true KR20130010500A (ko) 2013-01-28

Family

ID=47839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285A KR20130010500A (ko) 2013-01-08 2013-01-08 열 문제를 해소하고 강하게 잡히는 인장선이 설치된 저이도 가공전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05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532A (ko) * 2016-11-30 2018-06-1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송전선
KR20190042171A (ko) * 2017-10-16 2019-04-2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이를 포함하는 가공송전선, 가공송선전을 포함하는 가공송전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532A (ko) * 2016-11-30 2018-06-1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송전선
KR20190042171A (ko) * 2017-10-16 2019-04-2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이를 포함하는 가공송전선, 가공송선전을 포함하는 가공송전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4605B1 (ko) 직류 초전도 케이블
RU2013142446A (ru) Сверхпроводящие кабели и способы их производства
US20180090241A1 (en) Flexible fiber and resin composite core overhead wir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20130010500A (ko) 열 문제를 해소하고 강하게 잡히는 인장선이 설치된 저이도 가공전선
KR101148574B1 (ko) 초전도 케이블
CN217444117U (zh) 耐撕裂屏蔽软电缆
CN213241995U (zh) 耐高温电缆
KR102260128B1 (ko) 절연외피가 없는 탄소나노튜브 전선을 권선한 자화소자
JP6770459B2 (ja) 超電導ケーブル
AU2021200043A1 (en) Armoured cable for transporting alternate current
RU90253U1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провод или кабель (варианты)
JP2003187651A (ja) 高温超電導ケーブル
CN219916787U (zh) 一种信号传输控制电缆
JPH04229507A (ja) 長高圧電柱間隔用光波導体架空ケーブルとその製法
CN213660020U (zh) 一种抗拉高电气性能电缆
KR20070063909A (ko) 신축성을 구비한 전선 케이블
CN212809855U (zh) 一种抗拉耐扭曲特种电缆
CN218069442U (zh) 超高压电力电缆
CN220065209U (zh) 抗冲击型纤维编织屏蔽盾构机橡套软电缆
CN217361215U (zh) 具有报警线芯的轻质7芯通信电缆
CN219832283U (zh) 结构均衡型防信号串扰差分信号多芯屏蔽电缆
CN216487404U (zh) 抗拉、耐曲绕、耐扭、耐磨的复合电缆
CN217822129U (zh) 一种高性能氟塑料绝缘特种网线
JP3851827B2 (ja) 超電導ケーブル
CN217444105U (zh) 耐热型自承式轻质多芯屏蔽通信电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