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0023A - 무선 전송을 통한 사용자 콘텐츠 교환 - Google Patents

무선 전송을 통한 사용자 콘텐츠 교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0023A
KR20130010023A KR1020127032085A KR20127032085A KR20130010023A KR 20130010023 A KR20130010023 A KR 20130010023A KR 1020127032085 A KR1020127032085 A KR 1020127032085A KR 20127032085 A KR20127032085 A KR 20127032085A KR 20130010023 A KR20130010023 A KR 20130010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station
content
user
signal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2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딥파크 피. 아야
다니엘 에이. 바우디노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filed Critical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30010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00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7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source locations or destination locations
    • H04H60/80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source locations or destination location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among 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5/0072Transmission between mobile stations, e.g. anti-coll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8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based on type of value added network service under agreement
    • H04L41/509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based on type of value added network service under agreement wherein the managed service relates to media content delivery, e.g. audio, video or 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0Multimedia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6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orientation information, e.g. comp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4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9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on transmission of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9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 H04H60/51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of receiv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콘텐츠(170)를 교환하는 방법(300). 제1 이동국(110)에서 제2 이동국(120)이 위치한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제2 이동국은 인증될 수 있다. 콘텐츠를 제2 이동국에 전달하라고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콘텐츠는 제2 이동국에 무선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동국은 디스플레이(114)를 포함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0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국은 또한 제2 이동국이 위치한 방향을 결정하고 제2 이동국을 인증하는 컨트롤러(20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콘텐츠를 제2 이동국에 전달하라고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송수신기(224)는 콘텐츠를 제2 이동국에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전송을 통한 사용자 콘텐츠 교환{USER EXCHANGE OF CONTENT VIA WIRELESS TRANSMISS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데이터 통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국들 간의 콘텐츠 공유에 관한 것이다.
지난 수십 년간 전자 공학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동 통신에 사용되는 전자 장치를 포함하여 개인용 전자 장치가 널리 확산 보급되어 왔다. 더욱이 근래 들어서는 각종 전자 기술이 통합되기 시작하였다. 예컨대 무선 통신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각종 컴퓨터 프로그램과의 사용자 인터랙션(interaction)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제공하는 개인 휴대 정보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은 이제는 아주 흔한 것이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비자와 기업들은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인간과 기계간의 인터랙션(interaction)을 간소화하기 위해 그러한 장치에서 기능을 지속적으로 증가시키려는 요구를 계속해 오고 있다.
본 발명은 콘텐츠를 교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제1 이동국에서 제2 이동국이 위치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2 이동국은 인증될 수 있다.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2 이동국에 전달하라고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콘텐츠는 상기 제2 이동국에 무선으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이동국에 관한 것이다. 이동국은 또한 제2 이동국이 위치한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이동국을 인증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국은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콘텐츠를 상기 제2 이동국에 전달하라고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2 이동국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실행 시에 기계에게 여기서 설명된 여러 가지 단계 및/또는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이용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가진 컴퓨터 이용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콘텐츠를 교환하는 방법으로서, 제1 이동국에서, 제2 이동국이 위치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이동국을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2 이동국에 전달하라고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2 이동국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이동국이 위치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이동국과 연관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이동국이 위치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적어도 2개의 입력 오디오 변환기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오디오 신호의 제1 인스턴스가 수신된 때부터 상기 오디오 신호의 제2 인스턴스가 수신된 때까지의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이동국이 위치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이동국이 발생시킨 적어도 제1 RF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RF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이동국이 위치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적어도 2개의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제1 RF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RF 신호의 제1 인스턴스가 수신된 때부터 상기 제1 RF 신호의 제2 인스턴스가 수신된 때까지의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이동국이 위치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동국의 축 이동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2 이동국이 발생시킨 적어도 제2 RF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RF 신호의 신호 강도를 상기 적어도 제2 RF 신호의 신호 강도와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국으로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2 이동국이 위치한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이동국을 인증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콘텐츠를 상기 제2 이동국에 전달하라고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2 이동국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이동국과 연관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오디오 변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상기 제2 이동국이 위치한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제2 이동국이 발생시킨 적어도 제1 RF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 이동국이 위치한 방향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 RF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 이동국과 연관된 식별자를 상기 이동국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2 이동국에 전달하라는 지시로서 상기 콘텐츠를 상기 식별자와 연관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콘텐츠와 연관된 식별자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콘텐츠를 나타내는 상기 식별자의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콘텐츠를 나타내는 상기 식별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기 제2 이동국과 연관된 상기 식별자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콘텐츠와 연관된 식별자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콘텐츠를 나타내는 상기 식별자가 상기 제2 이동국이 위치한 상기 결정된 방향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적어도 상기 제2 이동국과 연관된 식별자와 상기 콘텐츠와 연관된 다른 식별자를 상기 제1 이동국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2 이동국에 전달하라는 지시로서, 상기 다른 식별자를 상기 식별자와 연관시키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다른 식별자를 상기 식별자와 연관시키는 것은 상기 다른 식별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기 식별자 쪽으로 이동되고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적어도 상기 콘텐츠와 연관된 식별자를 상기 제1 이동국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자가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2 이동국에 전달하라는 지시로서 상기 제2 이동국이 위치하는 상기 결정된 방향으로 이동되고 있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인증 단계 후에, 상기 제1 이동국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2 이동국에 전달하라는 지시로서 상기 제2 이동국이 위치하는 상기 결정된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국 사용자들을 위해 간단하면서 직관적으로 이동국들 간의 콘텐츠 교환을 지원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통신 시스템도.
도 2는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이동국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플로우 차트.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을 정하는 청구범위로 종결되지만,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잘 이해될 것으로 생각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실시예는 필요한 만큼 개시된다. 그러나 개시된 실시예들은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는 본 발명을 예시한 것일 뿐임을 알아야 한다. 그러므로 여기서 개시된 특정 구조와 기능적 세부 사항들은 한정적인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되며, 청구범위 해석의 토대로 그리고 본 발명을 실제 적당한 구체적인 구조에 다양하게 채용하는 당업자에 대한 교시의 대표적인 토대로서만 해석되어야 한다. 더욱이 여기서 사용된 용어와 구절은 한정적인 것이 아니며 다만 본 발명을 이해가능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여기서 설명되는 구성들은 이동국 사용자들을 위해 간단하면서 직관적으로 이동국들 간의 콘텐츠 교환을 지원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로 설명하면, 이들 구성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통신 시스템(100)의 예가 제시된다.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이동국(110, 120, 130, 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국(110-140)의 예로는 개인 휴대 정보단말, 이동 컴퓨터, 이동 단말, 이동 전화, 이동 무선 장치, 주문형(application specific) 장치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성에서, 이동국(110-140)은 직접 무선 통신 회선을 통해 서로 간에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직접 무선 통신 회선은 중간에 네트워크나 중계기가 개입되지 않은 제1 장치와 적어도 제2 장치 간의 무선 통신 회선이다. 예컨대 이동국(110)과 이동국(120) 간의 통신 회선(150)은 직접 무선 통신 회선일 수 있다. 직접 무선 통신 회선(150)은 RF 신호, 적외선 신호 또는 기타 다른 적당한 무선 통신 신호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직접 무선 통신 회선(150)은 임의의 적당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직접 무선 통신 회선(150)은 IEEE 802.15,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지그비(Zigbee)와 같은 무선 PAN(personal area network) 프로토콜에 따라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직접 무선 통신 회선(150)은 802.11 또는 802.16(WiMax)와 같은 무선 네트워킹 프로토콜에 따라서 구현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 이동국(110, 120) 외부의 네트워킹 장치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다른 구성에서, 이동국(110-140)은 하나 이상의 통신망을 통해 서로 간에 통신할 수 있다. 적당한 통신망의 예로는 WAN(wide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메시망(mesh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802.11, 802.16, 3G, 4G, EUTRAN, UMB, WPA, WPA2, GSM, TDMA, CDMA, WCDMA, OFDM, LTE 등과 같은 다양한 적당한 통신 프로토콜의 어떤 것도 그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이동국(110-140)은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160, 162)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60, 162)는 기지 송수신국, 중계기, 또는 WAN, WLAN, MAN 또는 메시망과 연관된 액세스 포인트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액세스 포인트(160, 162)는 이동국들(110-140) 중 하나 이상이 적당한 통신망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임의의 다른 장치나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동작에 있어서, 이동국(110)은 이동국들(120, 130, 140) 및/또는 이 이동국(120, 130, 140)의 각 사용자들(122, 132, 142) 중 하나 이상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이동국(120-140)과 사용자(122-142)의 존재는 임의의 적당한 방식으로 이동국(110)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이동국(110-140)이 PAN 프로토콜(예컨대 IEEE 802.15,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을 통해 통신하는 구성에서는 이동국(110)은 그와 같은 프로토콜에 따라서 각 이동국(120-140)을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국(110-140)이 블루투스를 통해 서로 간에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면 이동국(110-140)은 이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서 질의를 발생하고 그리고/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질의를 찾아낼 수 있다. 그 대신에 이동국(110-140)이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간에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면 이동국(110-140)은 네트워크 존재를 설정하고 적용가능한 네트워킹 프로토콜에 따라서 다른 네트워크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더욱이 이동국(110)은 검출되는 이동국(120, 130, 140) 및/또는 사용자(122, 132, 142) 각각과 연관된 각 식별자(124, 134, 144)를 디스플레이(114) 상에 나타낼 수 있다. 그와 같은 식별자들(124-144) 더하여 또는 그 대신에 이동국(120-140) 및/또는 사용자(122-142) 그룹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식별자(154)가 나타날 수 있다. 이 이동국은 전달될 콘텐츠(170)와 연관된 식별자(174)를 나타낼 수도 있다. 식별자들(124-174) 각각은 텍스트, 아이콘, 이미지, 그래픽, 오디오 정보, 비디오 정보, 및/또는 이동국(120-140), 사용자(122-142), 콘텐츠(170) 및/또는 각 식별자(124-174)와 연관된 그룹을 식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기타 다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자들(124-174)은 임의의 적당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일 구성에서 식별자들(124-174)은 사용자 선호에 따라서 디스플레이(11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이동국(110)은 사용자(112)가 디스플레이(114) 상의 식별자들(124-174)의 각 위치를 원하는 대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식별자(174)는 디폴트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식별자들(124-144)은 이동국(120-140)이 검출되는 순서, 이동국(120-140)/사용자(122-142)의 우선 순위, 사용자들(122-142)의 이름 등에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성에서, 식별자들(124-174)은 이동국(110) 및/또는 사용자(112)에 대한 이동국(120-140) 및/또는 사용자(122-142)의 각 위치/방향에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이동국(120-140) 및/또는 사용자(122-142)의 각 위치/방향은 다양한 위치/방향 식별 기술에 따라서 이동국(110)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일 구성에서 이동국들(120-140)은 각자의 위치를 알려주는 LPS(local positioning system) 및/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자의 이동국 식별자와 위치 좌표를 이동국(110)에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이동국들(120-140)은 각자의 식별자와 위치 좌표를 그와 같은 정보가 이동국(110)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다른 장치, 예컨대 네트워크 서버에 전달할 수 있다. LPS와 GPS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다른 구성에서 이동국(110)은 각 이동국(120-140) 및/또는 사용자(122-142)를 식별하는 RF 신호 및/또는 오디오 신호를 모니터하고 이동국(120-140)/사용자(122-142)가 위치하는 상대적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국(110)은 이동국(120-140) 각각이 발생한 RF 신호를 모니터하고, 이 신호에 포함된 식별 정보(예컨대 헤더 정보 등)에 기초하여 각 RF 신호가 어느 이동국(120-140)으로부터 발생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동국(110)은 각 사용자(122-142)가 발생한 오디오 신호를 모니터하고,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 각각을 이 신호를 발생한 각 사용자(122-142)와 연관시킬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신호는 각 사용자(122-142)에 대응하는 각 이동국(120-140)에 연관될 수 있다. 사용자(122-142) 중 하나 이상이 발생한 오디오 신호가 이동국(110)에 의해 인식되지 못하면 이동국(110)은 사용자(112)에게 그러한 사용자(122-142)를 식별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을 입력하고 그러한 사용자를 검출된 오디오 신호와 연관시키도록 지시할 수 있다.
각 이동국(120-140)/사용자(122-142)의 방향은 이동국(110)의 축 이동이 검출됨에 따라 각 이동국(120-140)/사용자(122-142)로부터 수신된 RF 신호 및/또는 오디오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의 변화를 모니터하고 비교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그와 같은 구성에서 이동국(110)은 이동국(110)이 그 배향 및/또는 회전(예컨대 축) 운동을 검출할 수 있게 하는 나침판, 가속도계 및/또는 기타 다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검출은 이동국(110)이 움직였더라도 이동국(110)이 이동국(120-140) 중 어느 한쪽으로 향해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국(110)은 이동국(120-140)으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면 그 RF 신호 각각에 대한 수신 신호 강도를 결정하고 이 수신 신호 강도를 이 RF 신호를 송신한 이동국(120-140)의 표시자와 이 RF 신호가 수신되었을 때에 이동국(110)이 향해 있는 방향과 연관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동국(110)은 사용자(122-142)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면 그 오디오 신호 각각에 대한 수신 신호 강도를 결정하고 이 수신 신호 강도를 이 오디오 신호를 전송한 사용자(122-142)의 표시자와 이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었을 때에 이동국(110)이 향해 있는 방향과 연관시킬 수 있다. 가장 강한 RF/오디오 신호 강도가 수신될 때에 이동국(110)이 향해 있는 방향은 그 RF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를 송신한 이동국(120-140)/사용자(122-142)의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이동국(110)이 RF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안테나, 또는 복수의 입력 오디오 변환기를 포함하는 구성에서 이동국(110)은 각 RF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는 각 시각을 모니터할 수 있다. 그러면, 이 타이밍 정보는 예컨대 삼각측량, 삼변측량 또는 다른 적당한 기술을 이용하여 그 RF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가 발생된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처리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안테나가 특정 RF 신호의 제1 인스턴스(instance)를 수신한 시각이 제2 안테나가 그 RF 신호의 제2 인스턴스를 수신한 시각과 같으면, 이는 RF 신호원(예컨대 이동국(130))이 그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등거리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이 2개의 안테나가 이동국(110)의 정면(116)을 따라 특정 거리만큼 서로 떨어져 있다면, RF 신호원은 이동국(110)의 바로 앞이나 뒤에 위치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모든 RF 신호원이 이동국(110) 앞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될 수 있다. 만일 그렇지 않으면, 하나 이상의 추가 안테나가 그 RF 신호의 다른 인스턴스를 수신하는 시기를 나타내는 타이밍 정보가 그 RF 신호원이 이동국(110) 앞에 또는 뒤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처리될 수 있다. 또는, 그와 같은 결정을 하기 위해 신호 강도나 스펙트럼 내용과 같은 수신 신호의 특성이 처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2개의 입력 오디오 변환기가 이동국(110)의 정면(116)을 따라 특정 거리만큼 서로 떨어져 있고, 입력 오디오 변환기 각각이 그 오디오 신호의 각 인스턴스를 동시에 수신한다면, 이 또한 오디오 신호원(예컨대 사용자(132))이 그 입력 오디오 변환기 각각으로부터 등거리에 위치하고 있고 따라서 이동국(110)의 바로 앞이나 뒤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신호원이 이동국(110) 앞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되지 않는다면, 제3 입력 오디오 변환기가 그 오디오 신호의 다른 인스턴스를 수신하는 시기를 나타내는 타이밍 정보 또는 그 오디오 신호의 특성(예컨대 그 오디오 신호의 신호 강도 및/또는 스펙트럼 내용)이 그 오디오 신호원이 이동국(110) 앞에 또는 뒤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처리될 수 있다.
다시 이동국(120-140) 및/또는 사용자(122-142)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RF 신호의 처리를 설명하면, 만일 제1 안테나가 RF 신호의 제1 인스턴스를 수신하고 난 다음에 제2 안테나가 그 RF 신호의 제2 인스턴스를 수신한다면, 이는 그 RF 신호원이 제2 안테나보다 제1 안테나에 더 가까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RF 신호의 제1 인스턴스가 수신되고 난 뒤에 RF 신호의 제2 인스턴스가 수신되는 때까지의 시간 지연이 결정될 수 있다.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가 서로 떨어져 있는 물리적 거리의 표시자는 물론 이 시간 지연도 RF 신호를 발생했던 이동국(120-140)이 위치한 상대적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처리될 수 있다. 또한 그와 같은 장치가 이동국(110) 앞 또는 뒤에 위치해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은 추가 처리가 구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입력 오디오 변환기가 오디오 신호의 제1 인스턴스를 수신하고 난 다음에 제2 입력 오디오 변환기가 그 오디오 신호의 제2 인스턴스를 수신한다면, 이는 그 오디오 신호원이 제2 입력 오디오 변환기보다 제1 입력 오디오 변환기에 더 가까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오디오 신호의 제1 인스턴스가 수신되고 난 뒤에 오디오 신호의 제2 인스턴스가 수신되는 때까지의 시간 지연이 결정될 수 있다.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가 서로 떨어져 있는 물리적 거리의 표시자와 함께 이 시간 지연도 오디오 신호를 발생했던 이동국(120-140) 또는 사용자(122-142)가 위치한 상대적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처리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와 같은 장치가 이동국(110) 앞 또는 뒤에 위치해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은 추가 처리가 구현될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이동국(110-140)이 통신망을 통해 통신한다면, 이동국(120-140)의 각 위치는 삼각측량, 삼변측량 또는 기타 다른 적당한 방법을 이용하여 이동국(120-140) 또는 통신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각 이동국(120-140)이 발생한 신호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160,162)에 의해 검출될 수 있고, 이 액세스 포인트(160, 162)가 그 신호를 수신한 각 시각이 모니터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160,162)에 대한 이동국(120-140)의 상대적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160-162)에 의해 빔성형 기술이 구현될 수 있다. 그러면, 타이밍 정보 및/또는 방향 정보는 예컨대 RF 및 오디오 신호원의 상대적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전술한 기술을 이용하여 이동국(120-140)의 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처리될 수 있다.
때로는 이동국(110)의 사용자(112)가 이동국(120-140)/사용자(122-142) 중 하나 이상에 콘텐츠(170)를 전달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112)는 이동국(120)의 사용자(122)에 콘텐츠(170)를 전달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이 콘텐츠(170)는 이동국(110)에서 이동국(120)과 같은 다른 이동국으로 전달될 수 있는 전자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콘텐츠(170)는 전자적 형태로 전달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파일, 텍스트,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기타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170)의 전달을 개시하기 위해 사용자(112)는 콘텐츠(170)를 이동국(120)에 무선 전송하라고 이동국(110)에게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이동국(110)에 입력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이동국(110)은 직접 무선 통신 회선(150)을 통해 또는 액세스 포인트들(160, 162)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콘텐츠(170)를 이동국(12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전달될 콘텐츠와 이 콘텐츠(170)가 전달될 사용자(122)/이동국(120)을 나타내는 임의의 적당한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예컨대 일 구성에서, 사용자 입력은 하나 이상의 버튼, 키, 소프트 키, 키패드, 터치 패드, 제어면 등의 선택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은 이동국에 의해 검출되어 처리되는 음성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사용자 입력은 스타일러스(180)나 사용자 부속물을 이용하여 (예컨대 디스플레이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에) 디스플레이(114)에의 하나 이상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성에서, 사용자 입력은 적외선 센서, 동작 검출기, 영상 포착 장치, 또는 제스처나 동작을 검출할 수 있는 다른 장치와 같은 동작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제스처나 동작일 수 있다.
일례로서, 사용자(112)는 스타일러스(180)나 부속물을 통해 콘텐츠(170)와 연관된 식별자(174)를 선택하고 이 식별자(174)를 이동국(120) 및/또는 사용자(122)와 연관된 식별자(124) 쪽으로 이동시켜서 이동국(110)에게 콘텐츠(170)를 이동국(120)으로 무선 전송하라고 지시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112)가 이동국(120-140) 및/또는 사용자(122-142) 그룹을 나타내는 식별자(154) 쪽으로 식별자(174)를 이동시킨다면 이러한 이동은 이동국(110)에게 콘텐츠(170)를 이 그룹과 연관된 각 이동국(120-140)으로 무선 전송하라고 지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는 이동국(110)의 일부, 예컨대 이동국(110)의 앞면(116)을 콘텐츠(170)를 전달하고자 하는 이동국(120-140) 및/또는 사용자(122-142) 쪽으로 향하게 하고, 그 콘텐츠(170)의 원하는 이동국(120-140) 및/또는 사용자(122-142)로의 무선 전송을 개시하라는 사용자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국(110)이 이동국(120) 쪽으로 향해 있으면 이동국(110)은 콘텐츠(170)를 이동국(1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동국(110)이 사용자(122) 쪽으로 향해 있고 이동국(110)이 사용자(122)가 이동국(120)과 연관되어 있는 것을 알고 있다면 이동국(110)은 콘텐츠(170)를 이동국(120)에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식별자(124-154)는 이동국(110)의 디스플레이(114)에 나타날 필요가 없다. 사용자(112)는 콘텐츠(170)와 연관된 식별자(174)를 이동국/사용자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114) 상의 식별자 쪽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식별자(174)를 선택하여 이 식별자를 사용자(112)가 콘텐츠(170)를 전달하기를 원하는 이동국(120-140) 및/또는 사용자(122-142)의 일반적인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콘텐츠(170)의 무선 전송을 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의 일 양상에서, 임의의 이동국(120-140) 및/또는 사용자(122-142)가 식별자(174)가 이동되었던 방향의 특정 범위(예컨대 ±20°) 내에 위치해야 하도록 하는 공차가 정해질 수 있다. 복수의 이동국(120-140)/사용자(122-142)가 이 특정 범위 내에 위치해 있으면, 콘텐츠(170)는 이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이동국(120-140)/사용자(122-142), 즉 식별자(174)가 이동된 방향에 가장 가까이 있는 이동국(120-140)/사용자(122-142)에게 전송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112)는 목적 이동국(120-140)/사용자(122-142)를 선택하라는 추가적인 입력을 입력하도록 제시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식별자(174)를 목적 이동국(120-140)/사용자(122-142) 쪽으로 이동시키는 대신에 사용자(112)는 이동국(110)의 일부를 콘텐츠(170)의 수신 대상인 이동국(120-140) 및/또는 사용자(122-142) 쪽으로 향하게 하고, 콘텐츠(170)의 그 수신 대상으로의 무선 전송을 개시하라는 전술한 것과 같은 적당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만일 콘텐츠(170)가 교체 대상인 콘텐츠(예컨대 콘텐츠(170)가 현재 포커스를 가진 콘텐츠임)인 것으로 가정되면 이동국(110)은 식별자(174)를 선택할 필요없이 그와 같은 입력에 응답하여 콘텐츠(170)를 무선 전송할 수 있다.
일 구성에서, 이동국(110)은 나침판, LPS, GPS, 가속도계 또는 다른 적당한 장치나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신이 어느 방향으로 향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이동국(110)은 자신이 현재 어느 방향으로 향해 있는지는 알 필요가 없고, 단지 어느 이동국(120-140) 및/또는 사용자(122-142)가 현재 이동국(110)의 바로 앞에 위치해 있는가 만을 알면 된다. 그와 같은 이동국(120-140) 및/또는 사용자(122-14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신 RF 신호 및/또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이동국(110)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콘텐츠(170)를 이동국(120)과 같은 이동국에 전송할 때에 또는 그 전에 이동국(110)이 이동국(120)을 인증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이동국(110)은 이동국(120)이 검출될 때에, 이동국(110)이 사용자(112)로부터 콘텐츠(170)를 이동국(120)에 전달하라는 지시를 받을 때에, 또는 기타 다른 적당한 때에 이동국(120) 및/또는 사용자(122)를 인증할 수 있다. 더욱이, 당업계에는 수 많은 적당한 인증 방식이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콘텐츠가 우발적으로 의도하지 않은 수신자에게 전송될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이동국(110)에 (또는 사용된다면 통신망 내에) 추가적인 보안 및/또는 사용자 프롬프트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료하게 하기 위해서 콘텐츠(170)와 연관된 식별자(174) 만이 본 예에서 도시되어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 콘텐츠와 연관된 복수의 식별자가 디스플레이(114) 상에 있을 수 있으며, 이 복수의 식별자 각각은 여기서 설명된 프로세스에 따라서 여러 이동국(120-140)/사용자(122-142)에게 관련 콘텐츠를 무선 전송하도록 선택, 이동 또는 조작될 수 있다.
더욱이, 복수의 식별자가 동시에 선택될 수 있으며, 각 식별자와 연관된 콘텐츠의 무선 전송은 그러한 식별자를 함께 조작함으로써 개시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복수의 선택된 콘텐츠가 콘텐츠(170)에 대해 여기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특정 이동국(120-140) 또는 이동국(120-140) 그룹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이동국(110)의 블록도이다. 이동국(110)은 예컨대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장치(CPU), 하나 이상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PLD), 데이터 처리를 지원할 수 있는 복수의 이산적 성분, 및/또는 기타 다른 적당한 처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는 컨트롤러(202)를 포함할 수 있다. 그와 같은 복수의 성분이 구비된 구성에서, 이 성분들은 서로 연결되어 여기서 설명되는 각종 처리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국(110)은 또한 여기서 설명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 검출하고 그 사용자 입력을 더 처리하기 위해 컨트롤러(202)에 전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04)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114), 오디오 프로세서(208), 하나 이상의 입력 오디오 변환기(210, 212), 그리고, 선택적으로, 촉각 입력 장치(214) 및/또는 동작 센서(21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에서 디스플레이(114)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은 시각적 정보를 제시하는 것 이외에도, 예컨대 스타일러스나 부속물(예컨대 손가락이나 엄지)을 통해 촉각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디스플레이이다.
오디오 프로세서(208)는 하나 이상의 입력 오디오 변환기(예컨대 마이크로폰)(210, 212)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오디오 프로세서(208)는 입력 오디오 변환기(210, 212)에 의해 검출된 입력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이 입력 오디오 신호에 대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실시하고, 이 입력 오디오 신호가 수신된 때를 타임 스탬핑하거나 식별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프로세서(208)는 수신된 입력 오디오 신호를 더 처리하기 위해 컨트롤러(202)에 전달할 수 있다.
입력 오디오 신호는 이동국 사용자의 음성일 수 있다. 더욱이 이동국(110)의 가청 범위 내의 다른 사용자의 음성은 입력 오디오 변환기(210, 212)에 의해 검출되고, 오디오 프로세서(208)에 의해 처리되고, 추가 처리를 위해 (예컨대 다른 사용자가 위치해 있는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컨트롤러(202)에 전달될 수 있다. 그와 같은 다른 사용자들은 다른 이동국들과 연관된 오디오 소스들일 수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입력 오디오 변환기(210, 212)가 구비된 구성에서는, 입력 오디오 변환기(210, 212)는 오디오 신호원이 위치해 있는 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소정 거리만큼 서로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오디오 프로세서(208)는 또한 디지털 출력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이 출력 오디오 신호에 대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실시하고, 이 신호를 하나 이상의 출력 오디오 변환기(미도시)에 전달할 수 있다. 일 구성에서, 오디오 프로세서(208)는 컨트롤러(202)의 일 성분이지만, 반드시 그러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촉각 입력 장치(214)는 하나 이상의 버튼, 키, 소프트 키, 키패드, 터치 패드, 제어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4)가 터치 스크린인 구성에서는, 이 촉각 입력 장치(214)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선택 사양이다. 그와 같은 동작 센서들은 당업자에게는 잘 알려져 있는 것이다.
동작 센서(216)는 비촉각 사용자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동작 센서(216)는 예컨대 적외선 검출기, 동작 검출기, 영상 포착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부속물, 스타일러스, 또는 다른 적당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툴의 제스처나 동작을 검출할 수 있는 다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국(110)은 이동국(110)의 위치를 검출하는 LPS나 GPS와 같은 위치 탐색 시스템(218)도 포함할 수 있다. 이동국(110)은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다른 이동국과 위치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나침판(220) 및/또는 가속도계(222)는 위치 탐색 시스템(218)에 추가하여 또는 이 대신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이동국(110)이 다른 이동국들의 각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이동국(110)이 다른 이동국 쪽으로 향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이 나침판(220) 및/또는 가속도계(222)가 이동국(110)의 방향 및/또는 회전 운동을 추적할 수 있다. 위치 탐색 시스템(218), 나침판(220) 및/또는 가속도계(222)로부터는 데이터는 처리를 위해 컨트롤러(202)로 전달될 수 있다.
이동국(110)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226, 228)를 통해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224)도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224)는 IEEE 802 무선 통신, 예컨대 802.11, 802.15 및 802.16, 블루투스, 지그비, 3G, 4G, EUTRAN, UMB, WPA, WPA2, GSM, TDMA, CDMA, WCDMA, OFDM, LTE 또는 기타 다른 통신 포맷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더욱이 송수신기(224)는 직접 무선 통신을 통해 그리고/또는 통신망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복수의 안테나(226, 228)가 구비된 구성에서, 안테나들(226, 228) 중 하나 이상은 RF 신호 수신 전용일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안테나 각각이 RF 신호 송수신 전용일 수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226, 228)가 구비된 구성에서, 안테나들(226, 228)은 RF 신호원이 위치해 있는 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소정 거리만큼 서로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이동국(110)은 데이터 스토리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스토리지(230)는 하나 이상의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저장 디바이스 각각은 자기 저장 매체, 전자 저장 매체, 광 저장 매체, 광자기 저장 매체, 및/또는 기타 디지털 정보 저장에 적합한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성에서, 데이터 스토리지(230)는 컨트롤러(202) 내에 집적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콘텐츠 교환 애플리케이션(232)과 음성 인식 애플리케이션(234)은 데이터 스토리지(230)에 저장되거나 컨트롤러(202)에 액세스되게 할 수 있다. 콘텐츠 교환 애플리케이션(232)은 컨트롤러(202)에 의해 실행되어 이동국(110)에 의해 수행되는 여기서 설명된 방법과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러(202)는 콘텐츠 교환 애플리케이션(232)을 실행하여 다른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고 콘텐츠를 이 다른 이동국에 무선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러(202)는 콘텐츠 교환 애플리케이션(232)을 실행하여 다른 이동국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고, 입력 오디오 변환기(210, 212)를 통해 수신된 입력 오디오 신호 그리고/또는 안테나(226, 228)를 통해 수신된 RF 신호를 처리하여 다른 이동국의 상대적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202)는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204)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여 그 사용자 입력 등에 따라서 콘텐츠를 송수신기(224)를 통해 다른 이동국으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
음성 인식 애플리케이션(234)은 컨트롤러(202)에 의해 실행되어 입력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사용자를 식별하고, 입력 오디오 신호가 알고 있는 사용자에 대응하지 않은 때를 나타내고, 음성을 사용자 입력으로 수신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입력 오디오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음성 인식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도 3은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방법(300)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이 방법(300)은 제1 이동국이 작동되어 직접 무선 통신을 통해 또는 하나 이상의 통신망을 통해 하나 이상의 다른 이동국과 통신할 준비가 된 상태에서 시작할 수 있다.
단계(302)에서, 제2 이동국이 위치해 있는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이동국과 연관된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어 처리될 수 있다. 이 오디오 신호는 적어도 2개의 입력 오디오 변환기를 통해 수신될 수 있으며, 오디오 신호의 제1 인스턴스가 수신된 때부터 오디오 신호의 제2 인스턴스가 수신된 때까지의 시간 지연이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2 이동국이 발생한 적어도 제1 RF 신호가 수신되어 처리될 수 있다. 일 구성에서, 제1 RF 신호는 적어도 2개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될 수 있으며, 제1 RF 신호의 제1 인스턴스가 수신된 때부터 제1 RF 신호의 제2 인스턴스가 수신된 때까지의 시간 지연이 결정될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제1 이동국의 축 이동이 검출될 수 있다. 제2 이동국이 발생한 적어도 제2 RF 신호가 수신될 수 있으며, 제1 RF 신호의 신호 강도는 적어도 제2 RF 신호의 신호 강도와 비교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성에서, 제2 이동국의 상대적 위치에 대응하는 로컬 위치 좌표 또는 글로벌 위치 좌표를 수신함으로써 제2 이동국이 위치해 있는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단계(304)에서, 제2 이동국이 인증될 수 있다. 단계(306)에서, 콘텐츠와 연관된 식별자가 제1 이동국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계(308)에서, 제2 이동국과 연관된 식별자가 제1 이동국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단계(310)에서, 콘텐츠를 제2 이동국에 전달하라고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일 구성에서, 사용자 입력은 콘텐츠를 제2 이동국과 연관된 식별자와 연관시킬 수 있다. 예컨대 콘텐츠를 나타내는 식별자의 사용자 선택이 수신될 수 있고, 그 식별자가 디스플레이 상에서 제2 이동국과 연관된 식별자 쪽으로 이동되는 것이 검출될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콘텐츠를 제2 이동국으로 전달하라고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콘텐츠를 나타내는 식별자가 제2 이동국이 위치해 있는 결정된 방향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성에서, 콘텐츠를 제2 이동국으로 전달하라고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부속물 또는 스타일러스를 이용한, 콘텐츠를 나타내는 식별자의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와 이 부속물이나 스타일러스가 제2 이동국이 위치해 있는 결정된 방향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312)로 진행하여, 콘텐츠는 예컨대 직접 무선 통신을 통해 또는 통신망을 통해 제2 이동국에 무선 전송될 수 있다.
도면에 있는 플로우 차트와 블록도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가능한 구현들의 구조, 기능 및 동작을 예시한다. 이와 관련하여 플로우 차트 또는 블록도에서의 각 블록은 특정 논리 기능을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실행 명령어를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및 코드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블록에 나타낸 기능은 도면에 나타낸 순서와는 다른 순서로 발생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연속한 2개의 블록은 실제로는 거의 동시에 실행될 수 있으며, 블록들은 때로는 관련 기능에 따라서는 역순으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처리 시스템 내에서의 중앙 집중 방식으로 구현되거나 서로 다른 구성요소들이 여러 개의 상호 접속된 처리 시스템에 걸쳐 분산되어 있는 분산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방법을 실시하기에 적합하다면 어떤 처리 시스템이나 장치도 적합하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통상적인 조합은 실행 시에 처리 시스템이 여기서 설명된 방법을 실시하도록 처리 시스템을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가진 처리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방법과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기계 실행 명령어 프로그램을 실체적으로 구체화하는 기계 판독 프로그램 저장 장치에 내장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방법의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모든 특성을 포함하며, 처리 시스템에 로드될 때에 이들 방법을 실시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제품에 내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그 변형 및/또는 조합"은 정보 처리 기능을 가진 시스템이 특정 기능을 직접적으로 또는 a) 다른 언어, 코드 또는 표기로의 변환; b) 다른 재료 형태에서의 재생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를 행한 후에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 세트의 임의의 언어, 코드 또는 표기로 된 임의의 표현을 의미한다. 예컨대 애플리케이션은 스크립트, 서브루틴, 함수, 프로시저, 오브젝트 메소드, 오브젝트 임플리멘테이션, 실행 애플리케이션, 애플릿, 서브릿, MIDlet, 소스 코드, 오브젝트 코드, 공유 라이브러리/다이나믹 로드 라이브러리 및/또는 처리 시스템상에 실행하도록 설계된 기타 다른 명령어 계열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사용된 단수 관사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 "복수"는 2 또는 3 이상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 "다른"은 적어도 제2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된 "포함하는" 및/또는 "가지는"은 구성하는(즉, 포괄적 포현)을 의미한다.
더욱이 여기서 사용된 서수 용어(예컨대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제7, 제8, 제9, 제10 등)는 한 메시지, 신호, 항목, 객체, 디바이스, 시스템, 장치, 단계, 프로세스 등을 다른 메시지, 신호, 항목, 객체, 디바이스, 시스템, 장치, 단계, 프로세스와 구별한다. 따라서 여기서 사용된 서수 용어는 특정 위치를 서수 계열로 나타낼 필요는 없다. 예컨대 "제2 프로세스"로 나타낸 프로세스는 "제1 프로세스"로 나타낸 프로세스보다 먼저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제1 프로세스와 제2 프로세스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본질이나 근본적 속성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세한 설명이 아니라 다음의 청구범위가 본 발명의 범위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Claims (1)

  1. 콘텐츠를 교환하는 방법.
KR1020127032085A 2008-05-28 2009-05-21 무선 전송을 통한 사용자 콘텐츠 교환 KR201300100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28,497 2008-05-28
US12/128,497 US20090298419A1 (en) 2008-05-28 2008-05-28 User exchange of content via wireless transmission
PCT/US2009/044835 WO2009154938A2 (en) 2008-05-28 2009-05-21 User exchange of content via wireless transmissi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6704A Division KR101233877B1 (ko) 2008-05-28 2009-05-21 무선 전송을 통한 사용자 콘텐츠 교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023A true KR20130010023A (ko) 2013-01-24

Family

ID=413804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2085A KR20130010023A (ko) 2008-05-28 2009-05-21 무선 전송을 통한 사용자 콘텐츠 교환
KR1020107026704A KR101233877B1 (ko) 2008-05-28 2009-05-21 무선 전송을 통한 사용자 콘텐츠 교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6704A KR101233877B1 (ko) 2008-05-28 2009-05-21 무선 전송을 통한 사용자 콘텐츠 교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298419A1 (ko)
EP (1) EP2281401A4 (ko)
KR (2) KR20130010023A (ko)
CN (1) CN102047694A (ko)
RU (1) RU2010153671A (ko)
WO (1) WO200915493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17489A1 (en) * 2010-02-09 2012-12-1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for Transmission of a Content Package
US20110221607A1 (en) * 2010-03-15 2011-09-15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Device Adaptation Based on Proximity to Other Devices
US10303357B2 (en) * 2010-11-19 2019-05-28 TIVO SOLUTIONS lNC. Flick to send or display content
US20120201472A1 (en) * 2011-02-08 2012-08-09 Autonomy Corporation Ltd System for the tagging and augmentation of geographically-specific locations using a visual data stream
JP5677873B2 (ja) * 2011-03-01 2015-02-25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ータ送信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TWI451267B (zh) * 2011-04-01 2014-09-01 Univ Nat Central 資料傳輸系統以及方法
US8638223B2 (en) * 2011-05-18 2014-01-28 Kodak Alaris Inc. Mobile communicator with orientation detector
US20130110974A1 (en) * 2011-10-31 2013-05-0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ed selection and copying of files to a target device
CN102830906B (zh) * 2012-07-04 2016-08-03 华为终端有限公司 基于用户界面进行文件处理的方法及终端设备
US10038957B2 (en) * 2013-03-19 2018-07-31 Nokia Technologies Oy Audio mixing based upon playing device location
TWI493497B (zh) * 2013-05-15 2015-07-21 Quanta Comp Inc 電子裝置及其控制方法
JP2014239344A (ja) * 2013-06-07 2014-12-18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
JP6255839B2 (ja) * 2013-09-20 2018-01-10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KR20170013272A (ko) * 2014-06-04 2017-02-06 톰슨 라이센싱 핸드-헬드 전자 디바이스용 정보 교환
US9671780B2 (en) 2014-09-29 2017-06-06 Sonos, Inc. Playback device control
KR102324079B1 (ko) * 2015-03-20 2021-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각도 추정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4833B1 (en) * 2000-04-17 2003-09-23 Lucent Technologies Inc. Gesture-based input interface system with shadow detection
US7302280B2 (en) * 2000-07-17 2007-11-27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phone operation based upon context sensing
GB0017460D0 (en) * 2000-07-18 2000-08-30 Hewlett Packard Co Message passing to a known location
US7095401B2 (en) * 2000-11-02 2006-08-22 Siemens Corporate Research, Inc. System and method for gesture interface
US20020123325A1 (en) * 2001-03-01 2002-09-05 Cooper Gerald M.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security of wireless data services
CA2485100C (en) * 2002-05-06 2012-10-09 David Goldberg Localized audio networks and associated digital accessories
US7184025B2 (en) * 2002-05-31 2007-02-27 Microsoft Corporation Altering a display on a viewing device based upon a user controlled orientation of the viewing device
US20040008255A1 (en) * 2002-07-11 2004-01-15 Lewellen Mark A. Vehicle video system and method
US7289813B2 (en) * 2002-09-12 2007-10-30 Broadcom Corporation Using signal-generated location information to identify and list available devices
US7254608B2 (en) * 2002-10-31 2007-08-07 Sun Microsystems, Inc. Managing distribution of content using mobile agents in peer-topeer networks
KR20050104382A (ko) * 2003-02-19 2005-11-02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휴대용 디바이스들 사이의 콘텐트 아이템들의 ad hoc공유를 위한 시스템 및 그를 위한 상호작용 방법들
US6978023B2 (en) * 2003-03-25 2005-12-20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location based wireless client authentication
GB0311177D0 (en) * 2003-05-15 2003-06-18 Qinetiq Ltd Non contact human-computer interface
US7792988B2 (en) * 2003-10-20 2010-09-07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Peer-to-peer data relay
US20050219211A1 (en) * 2004-03-31 2005-10-06 Kotzin Michael 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 management and control
US20050239511A1 (en) * 2004-04-22 2005-10-27 Motorola, Inc. Speaker identific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20060136997A1 (en) * 2004-12-21 2006-06-22 Eastman Kodak Company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060241864A1 (en) * 2005-04-22 2006-10-26 Outland Research,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oint-and-send data transfer within a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US8339363B2 (en) * 2005-05-13 2012-12-25 Robert Bosch Gmbh Sensor-initiated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devices
US20060276205A1 (en) * 2005-06-01 2006-12-07 Henrik Bengtsso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and methods that display relative positions of other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US7869386B2 (en) * 2005-08-29 2011-01-11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veying media source location information
KR101149524B1 (ko) * 2005-09-21 2012-05-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획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7864210B2 (en) * 2005-11-18 2011-01-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s for video conferencing
US7706828B2 (en) * 2006-03-20 2010-04-27 Samsung Electronic Co., Ltd. Method and procedure for self discovery of small office or home interior structure by means of ultra-wideband pulse ranging techniques
US20070264976A1 (en) * 2006-03-30 2007-11-1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 Ab Portable device with short range communication function
US7986917B2 (en) * 2006-07-10 2011-07-2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and system for data transfer from a hand held device
US20080066181A1 (en) * 2006-09-07 2008-03-13 Microsoft Corporation DRM aspects of peer-to-peer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WO2008135625A1 (en) * 2007-05-07 2008-11-13 Nokia Corporation A device for presenting visual information
US20090140986A1 (en) * 2007-11-30 2009-06-04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transferring files between devices via drag and drop
US8077157B2 (en) * 2008-03-31 2011-12-13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wireless transfer of fi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54938A3 (en) 2010-02-25
US20090298419A1 (en) 2009-12-03
KR20100135963A (ko) 2010-12-27
CN102047694A (zh) 2011-05-04
WO2009154938A2 (en) 2009-12-23
RU2010153671A (ru) 2012-07-10
EP2281401A4 (en) 2014-05-28
KR101233877B1 (ko) 2013-02-15
EP2281401A2 (en)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3877B1 (ko) 무선 전송을 통한 사용자 콘텐츠 교환
US9191773B2 (en) Establishing directed communication based upon physical interaction between two devices
US9538569B2 (en) Data transfer between wireless devices
US20150195649A1 (en) Method for proximity based audio device selection
KR101610454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와, 터치 스크린을 갖는 단말기
WO2017140276A1 (zh) 网络连接方法及装置、计算机存储介质
TWI442081B (zh) 多裝置間轉移工作的方法及手持通訊裝置
CN107430394B (zh) 一种与车机交互数据的方法、服务器、移动终端和装置
US2012011546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with bluetooth devices in portable terminal
KR102077238B1 (ko) 디바이스들 간의 연결 설립 방법
US9727204B2 (en) Rearranging chat messages
US10447841B2 (en) Wireless pairing and control using spatial location and indication to aid pairing
EP2736230A1 (en) Direct wireless connection between two terminals
US20140206287A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ion establishment method between mobile electronic devices
EP357959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onnection and terminal
KR101618783B1 (ko)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그리고,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제어시스템
WO2017189280A1 (en) Mobile device in-motion proximity guidance system
KR101632220B1 (ko)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그리고, 제어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101481891B1 (ko) 모바일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15043523A (ja) 通信装置
JP2016092469A (ja) デバイス選択方法、端末、無線システム、デバイス選択プログラム
JP2010161601A (ja) 接続端末選択システム
JP2017194923A (ja) ミラーリングシステム及び操作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