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9159A - 관 연결부의 커버장치 - Google Patents

관 연결부의 커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9159A
KR20130009159A KR1020110070055A KR20110070055A KR20130009159A KR 20130009159 A KR20130009159 A KR 20130009159A KR 1020110070055 A KR1020110070055 A KR 1020110070055A KR 20110070055 A KR20110070055 A KR 20110070055A KR 20130009159 A KR20130009159 A KR 20130009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ipe
pipe connection
cover member
cov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0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6657B1 (ko
Inventor
진용환
Original Assignee
진용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용환 filed Critical 진용환
Priority to KR1020110070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6657B1/ko
Publication of KR20130009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9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 F16L57/02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against cracking or buck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16L23/0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connection by tangentially arranged pin and n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4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 F16L55/043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instruments from water hammer or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수관 또는 배수관의 연결 부위의 외부에 결합되어, 연결부에서 발생되는 누수를 방지하고, 충격에 의한 연결부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관 연결부의 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관(100)과 관(200)이 연결되는 부위의 외부에 설치되어 파손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관 연결부위의 외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가스켓(2,2'); 상기 가스켓(2,2')의 외부에 부착되며 관 연결부위를 보호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커버부재(C)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C)는 상부커버(4)와 하부커버(6)가 상호 맞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상부커버(4) 및 하부커버(6)는, 양단부에 각 관(100,200)의 외면에 밀착되는 반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측단에는 상호 볼트 체결이 가능하도록 플랜지(5)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콘크리트 몰탈(300)이 충진되도록 공간부(9)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관 연결부의 커버장치{COVER DEVICE FOR PIPE CONNECTING PART}
본 발명은 관 연결부의 커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급수관 또는 배수관의 연결 부위의 외부에 결합되어, 연결부에서 발생되는 누수를 방지하고, 충격에 의한 연결부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관 연결부의 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의 연결부위는 통상 플렌지 결합 또는 용접에 의해 결합되며, 다른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취약하다.
따라서 관 내부에 흐르는 수압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되고, 또 수격작용과 같은 급격한 압력변동 또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인 충격에 의해 연결부위가 파손될 우려가 많고, 이러한 파손에 의해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써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252373호에 "주철관이음매의 이탈방지장치(이하 '선행기술'이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 대해 도 1 및 도 2를 토대로 살펴보면, 일측 관의 수구(1')와 타측관의 삽구(2')사이에 고무링(3')을 삽입하고 압륜(4')을 긴 볼트(19')와 1차 너트(20')로 체결하여 관 이음매를 갖추고, 상기 압륜(4') 후부의 관 외주면에 환형의 지지부재인 위치결정구(10')를 밀착 고정하고, 상기 위치결정구(10')의 뒤로 환형의 조임링(17')을 상기 긴 볼트(19')와 2차 너트(21')로 체결하여 장착하되, 상기 조임링(17')의 내주 경사면과 관사이에 상기 관의 전 둘레를 다수의 압박구(15')를 장착하고, 상기 압박구(15')의 상부 경사면과 조임링(17')의 내주 경사면에 의하여 모든 압박구(15')가 회동하면서 압박구(15')의 압박날이 관 벽에 박히게 하는 주철관 이음매의 이탈방지장치, 일명 KP 조인트에 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이 수밀성이 뛰어나다고 하더라도 오랜 시간의 경과에 따른 노후화에 의해 수밀성능이 저하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또한 관 내부에 흐르는 수압의 맥동 및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수밀성이 훼손되면서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관 연결부위의 외부에 장착되며 내부에 콘크리트 몰탈을 충진시켜 수밀성 및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누수 발생시 배수성능을 추가함으로써 관 연결부위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관 연결부의 커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관과 관이 연결되는 부위의 외부에 설치되어 파손 방지하도록 한 관 연결부의 커버장치에 있어서, 관 연결부위의 외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가스켓; 상기 가스켓의 외부에 부착되며 관 연결부위를 보호하도록 설치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는,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상호 맞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는, 양단부에 관의 외면에 밀착되는 반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측단에는 상호 볼트 체결이 가능하도록 플랜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콘크리트 몰탈이 충진되도록 공간부가 형성된 관 연결부의 커버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내부의 공간부와 통하도록 형성되며 콘크리트 몰탈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는 내부 공기압을 측정하도록 압력계를 장착시킬 수 있는 장착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는 내부 공간부에 고인 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출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 연결부위의 외부에 장착되었을때 수밀성과 내충격성이 향상될 수 있어 견고한 결합력이 발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누수 발생시 배수시킬 수 있어 누수 압력을 저하시킴으로써 해체작업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부의 커버장치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부의 커버장치에 대한 결합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부의 커버장치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부의 커버장치에 대한 결합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부의 커버장치(A)는
관(100)과 관(200)이 연결되는 부위의 외부에 설치되어 파손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관 연결부위의 외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가스켓(2,2');
상기 가스켓(2,2')의 외부에 부착되며 관 연결부위를 보호하도록 설치되는 커버부재(C)를 포함한다.
상기 가스켓(2,2')은 커버부재(C)의 내부에 결합되어 수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일종의 패킹 역할을 하며, 가스켓(2,2')의 끝단에는 커버부재(C)의 플랜지(5)와 대응되는 플랜지(20)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20)에 볼트 체결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볼트공(201)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재(C)는 관 연결부위의 상부와 하부에 맞대어지는 상부커버(4)와 하부커버(6)가 상호 맞결합된다.
상기 커버부재(C)는 내부의 공간부(9)와 통하도록 형성되며, 콘크리트 몰탈(300)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7)가 더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입구(7)는 상부커버(4)에 형성됨으로써 상부로부터 콘크리트 몰탈(300)을 주입하여 커버부재(C)의 내부 공간부(9)에 충진되도록 한다.
상기 주입구(7)는 일정한 직경을 갖는 파이프로써 수직되게 용접되며, 상단에는 개폐가능한 덮개(72)가 설치된다.
상기 덮개(72)는 원판이며, 주입구(7)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플랜지 이음에 의해 볼트 체결로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커버(4) 및 하부커버(6)는 양단부에 각 관(100,200)의 외면에 밀착되는 반원형의 개구부(92,94)가 형성되고, 측단에는 상호 볼트 체결이 가능하도록 플랜지(5)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콘크리트 몰탈(300)이 충진되도록 공간부(9)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4) 및 하부커버(6)는 상기 공간부(9)에 대응되는 부위가 외부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돌출된 부위의 양측에는 시공시 하방으로 내리기 용이하도록 승강장치(미도시)의 체인에 연결된 후크를 걸 수 있도록 홀(H10)이 형성된 걸림구(H)가 더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5)에는 다수의 볼트공(50)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공(50)에 볼트(B)가 결합된다.
상기 커버부재(C)는 내부의 공기압을 측정하도록 압력계(미도시)를 장착시킬 수 있는 장착구(8)가 더 형성된다.
장착구(8)는 주입구(7) 보다 직경이 작은 파이프로써 상부커버(4)에 통하도록 결합되며, 평소에는 플러그(P)를 막아 폐쇄시켰다가 사용이 필요할때만 플러그(P)를 제거하고 압력계를 장착시킨다.
상기 커버부재(C)는 내부 공간부에 고인 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출수단(d)이 더 구비된다.
배출수단(d)은 하부커버(6)에 통하도록 결합된 파이프로써 플러그를 막아 밀봉시켰다가 필요할때만 개방시켜 배수시키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파이프에 밸브(미도시)를 장착시켜 수시로 개방시켜 배수시킬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결합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주요 설치 용도는 KP 조인트에 적용된다.
KP 조인트는 상기 배경기술의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상부커버(4) 및 하부커버(6)의 내측으로 가스켓(2,2')을 각기 결합한다.
이후 KP 조인트의 외측에 상부커버(4)와 하부커버(6)를 덮은 후 각 플랜지(5,20)를 중첩시킨 다음, 각 플랜지(5,20)에 형성된 볼트공(50,201)에 볼트(B)를 결합시킨 다음 너트(n)를 결합시켜 조립한다.
이후 주입구(7)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 몰탈(300)을 주입하여 내부 공간부(9)에 충진시킨다.
이때 장착구(8)를 개방시켜 둠으로써 콘크리트 몰탈(300)이 충진되는 동안 내부 가스가 장착구(8)를 통해 배기되도록 한다.
이후 주입구(7)에 덮개(72)를 덮어 밀폐시키고, 장착구(8)에 플러그(P)를 체결하여 밀봉시킨다.
이렇게 KP 조인트의 외측에 커버부재(C)를 장착시킴으로써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내부의 압력맥동에 대한 내충격성도 보강할 수 있다.
한편 누설이 발생한 경우 커버부재(C)를 분리시키기 전에 배출수단(d)을 개방시켜 내부에 고인 물을 빼냄으로써 상,하부커버(4,6)의 해체 도중 내부에 고인물이 급작스럽게 분출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가스켓 4 : 상부커버
5 : 플랜지 6 : 하부커버
7 : 주입구 8 : 장착구
9 : 공간부

Claims (5)

  1. 관(100)과 관(200)이 연결되는 부위의 외부에 설치되어 파손 방지하도록 한 관 연결부의 커버장치에 있어서,
    관 연결부위의 외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가스켓(2,2');
    상기 가스켓(2,2')의 외부에 부착되며 관 연결부위를 보호하도록 설치되는 커버부재(C)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C)는 상부커버(4)와 하부커버(6)가 상호 맞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상부커버(4) 및 하부커버(6)는
    양단부에 각 관(100,200)의 외면에 밀착되는 반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측단에는 상호 볼트 체결이 가능하도록 플랜지(5)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콘크리트 몰탈(300)이 충진되도록 공간부(9)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부의 커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C)는 내부의 공간부(9)와 통하도록 형성되며, 콘크리트 몰탈(300)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7)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부의 커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C)는 내부의 공기압을 측정하도록 압력계를 장착시킬 수 있는 장착구(8)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부의 커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C)는 내부 공간부에 고인 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출수단(d)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부의 커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4) 및 하부커버(6)는 승강장치와 연결되도록 홀(H10)이 형성된 걸림구(H)가 외부에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부의 커버장치.
KR1020110070055A 2011-07-14 2011-07-14 관 연결부의 커버장치 KR101326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055A KR101326657B1 (ko) 2011-07-14 2011-07-14 관 연결부의 커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055A KR101326657B1 (ko) 2011-07-14 2011-07-14 관 연결부의 커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159A true KR20130009159A (ko) 2013-01-23
KR101326657B1 KR101326657B1 (ko) 2013-11-08

Family

ID=47838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0055A KR101326657B1 (ko) 2011-07-14 2011-07-14 관 연결부의 커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66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540B1 (ko) * 2013-05-03 2013-07-19 주식회사 시흥에스티 배관의 이음부용 안전 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13283B2 (ja) * 2018-03-07 2022-01-31 株式会社水道技術開発機構 管接続部の離脱防止構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6874A (ja) * 1997-01-14 1998-07-31 Takiron Co Ltd 管連結部のカバー装置
KR970043611U (ko) * 1997-04-10 1997-07-31 관 연결부의 누수방지 및 보호용 케이스
KR200314162Y1 (ko) * 2002-11-08 2003-05-23 진원개발 주식회사 누수방지대
KR200414315Y1 (ko) * 2006-01-27 2006-04-18 (주)신명건설기술공사 하수도, 상수도, 도로, 하천 제방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 이음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540B1 (ko) * 2013-05-03 2013-07-19 주식회사 시흥에스티 배관의 이음부용 안전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6657B1 (ko) 2013-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0837B1 (ko) 배관 이음부 누수 방지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CN106352197A (zh) 一种管道快速抢修装置及抢修方法
KR20080056531A (ko) 분할형 구조를 이루는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
KR101683427B1 (ko) 부상방지기능과 결로방지기능을 갖는 밸브실
CN106439374A (zh) 一种管道修补器
JP4311750B2 (ja) 管継手部の水圧試験装置とこれを用いた水圧試験方法
KR101326657B1 (ko) 관 연결부의 커버장치
KR102068789B1 (ko) 내진대비수단이 구비된 밸브실
JP5819278B2 (ja) 連壁部材、連壁構築方法
KR20090012572A (ko) 지지대가 설치된 수로관
CN111562057A (zh) 一种地下外墙进出管线严密性检测装置及检测方法
KR100838630B1 (ko) 연결소켓 일체형 콘크리트 맨홀
KR101613358B1 (ko) 부단수 누수방지대
JP2020143451A (ja) バルブカバー、およびエア抜きバルブとバルブカバーの組み合わせ体
CN108824559A (zh) 双检查口消防管道预制安全检查井
CN102966117B (zh) 一种桥梁水下桩柱外包混凝土的装置
KR101563108B1 (ko) 수도관 누수보수용 부단수 보수관의 구조
JP6402069B2 (ja) 筒部の補修部材、それを備えた地下排水施設、および筒部の補修方法
KR100241472B1 (ko) 매설관 내부보수용 작업통로구의 폐쇄장치
JP6420108B2 (ja) 配管接続方法
CN208815614U (zh) 双检查口消防管道预制安全检查井
KR101396514B1 (ko) 수자원 취수를 위한 조립식 취수탑의 도수관 연결장치 구조
KR101254464B1 (ko) 상하수도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및 공법
JP2006300202A (ja) 既設流体管の不断水流路処理装置
KR20130029493A (ko) 교량용 집수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