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8748A - 청정산소가습기 - Google Patents

청정산소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8748A
KR20130008748A KR1020110069299A KR20110069299A KR20130008748A KR 20130008748 A KR20130008748 A KR 20130008748A KR 1020110069299 A KR1020110069299 A KR 1020110069299A KR 20110069299 A KR20110069299 A KR 20110069299A KR 20130008748 A KR20130008748 A KR 20130008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humidifier
air
clea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9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7757B1 (ko
Inventor
서순기
Original Assignee
(주) 디엔디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디엔디전자 filed Critical (주) 디엔디전자
Priority to KR1020110069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7757B1/ko
Publication of KR20130008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8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05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9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4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6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adding oxy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정산소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공기에 부유하는 먼지를 제거함과 동시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하되, 공기배출부에 별도의 살균장치를 형성하고, 산소발생기를 활용하여 순도 99% 이상의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쾌적한 실내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한 청정산소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3단으로 나뉘어진 몸체의 내부에 저수조가 형성되고, 상기 저수조에서 펌프에 의해서 물이 살수되는 살수부가 형성되며, 상기 살수부를 지난 공기가 덕트를 통과하여 최상단에 형성된 공기배출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청정산소가습기에 의하면 공기가 살수되는 물에 최대한 접촉을 많이 하여 공기중에 부유하는 먼지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습기를 공급하여 가습을 할 수 있고, 순수산소를 공급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청정산소가습기{CLEAN OXYGEN HUMIDIFIER}
본 발명은 청정산소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공기에 부유하는 먼지를 제거함과 동시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하되, 공기배출부에 별도의 살균장치를 형성하고, 산소발생기를 활용하여 순도 99% 이상의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쾌적한 실내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한 청정산소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공기는 난방기구의 가동이나 사람의 활동으로 인해서 건조해지기 쉽고, 또 부유먼지 등이 많이 발생하며, 사람의 호흡으로 인한 이산화탄소의 양이 증가하여 매우 혼탁한 환경이 되기 쉽다.
실내의 공기의 질을 좋게 하기 위해서 종래에도 가습기, 공기청정기, 산소발생기 등의 공기의 질 개선을 위한 장치들이 개발되었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전열식가습기, 초음파식가습기, 기화식가습기 등으로 분류되는데, 전열식가습기는 전극봉으로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방식이고, 초음파식가습기는 특정 주파수의 전기신호를 발생시켜 물속에 설치된 진동자를 초음파진동시켜서 물을 무화(霧化) 시키는 방식이며, 기화식가습기는 흡수력이 우수한 소재로 모세관현상을 통해 물을 일정높이로 끌어올리고 증발하는 표면적을 넓히는 방식이다.
종래에는 가습기에 공기청정기능을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되는데, 안개방식으로 분사되는 물이 존재하는 공간에 공기를 통과시켜 습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부유먼지를 제거하는 장치가 개발되었다.
또한, 실내공기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가습기에 산소발생기를 설치하여 산소의 양이 떨어져서 혼탁해진 실내공기에 산소를 공급하여 쾌적하게 바꿔주는 기능을 하도록 형성된 장치들이 제공되었다.
상기 가습기, 공기청정기, 산소발생기 등의 기술은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07199호, 공개특허공보 제2002-90624호 및 등록특허공보 제566116호 등에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가습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 가습기능에 치중한 나머지 산소공급, 공기청정 등의 다양한 기능을 한꺼번에 수행하지 못한다.
(2) 가습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물에 세균이 증식하여 세균이 습기와 함께 배출된다.
(3) 설치된 산소발생기는 순도가 높은 산소를 제공하지 못하고, 산소발생효율도 적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내부가 하단, 중간단, 상단의 3단으로 나뉘어지고, 전면에 도어가 형성된 몸체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최상단에는 전방이 개방된 공기배출부가 형성되되,
상기 몸체의 하단에는 저수조가 형성되고, 상기 저수조의 측면에는 펌프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중간단에는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노즐에 의해서 분사되는 노즐관이 형성된 살수부가 형성되고, 상기 살수부의 측면에는 산소발생기가 형성되며, 상기 살수부의 후방에서 공기배출부까지 연결되는 덕트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단에는 컨트롤패널이 형성되며, 상기 컨트롤패널의 후방에 형성된 덕트의 가운데에는 송풍팬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청정산소가습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1) 살수부에 의해서 공기가 정화되면서 가습을 하기 때문에 공기청정 기능이 한꺼번에 수행된다.
(2) 저수조에 전기분해식 살균장치가 형성되어 살수부에서 살수되는 물에 세균이 전혀 없다.
(3) 전기분해방식의 산소발생기에 의해서 순도 99%의 산소가 제공되므로 청정한 공기가 공급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청정산소가습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청정산소가습기의 측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청정산소가습기의 산소발생기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청정산소가습기의 내부의 공기흐름도를 나타낸 개념도.
본 발명은 내부가 하단(110), 중간단(120), 상단(130)의 3단으로 나뉘어지고, 전면에 도어(104)가 형성된 몸체(100)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최상단(140)에는 전방이 개방된 공기배출부(144)가 형성되되,
상기 몸체(100)의 하단(110)에는 저수조(112)가 형성되고, 상기 저수조(112)의 측면에는 펌프(114)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100)의 중간단(120)에는 펌프(114)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노즐에 의해서 분사되는 노즐관(122)이 형성된 살수부(124)가 형성되고, 상기 살수부(124)의 측면에는 산소발생기(126)가 형성되며, 상기 살수부(124)의 후방에서 공기배출부(144)까지 연결되는 덕트(150)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00)의 상단(130)에는 컨트롤패널(132)이 형성되며, 상기 컨트롤패널(132)의 후방에 형성된 덕트(150)의 가운데에는 송풍팬(13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0)는 내부가 하단(110), 중간단(120), 상단(130)으로 나뉘어져 있고, 최상단(140)은 전방이 개방되어 형성된다.
상기 몸체(100)의 양측면에는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그릴(106)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몸체(100)의 전방에는 하단(110)과 중간단(120)을 가릴 수 있도록 도어가 형성된다.
상기 도어(104)는 중간단(120)의 살수부(124)가 보일 수 있도록 투명창(104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단(130)은 전방패널에 의해서 막혀 있고, 내부에 컨트롤패널(132)이 형성된다.
상기 하단(110)에는 저수조(112)와 펌프(114)가 형성되는데, 상기 저수조(112)의 내부에는 두 개의 전극봉을 이용하여 물을 전기분해하여 물을 이온화시킴으로써 세균의 증식을 막는 종래의 살균장치가 형성된다.
상기 저수조(112)의 하단에는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가 포집되어 가라앉았을 때 이를 제거하도록 배수구가 형성된다.
상기 저수조(112)에는 수위센서가 형성되고, 수위센서에서 일정수위 이하로 수위가 떨어지면 부저가 울리도록 형성된다.
상기 살균장치의 전극봉에 인가되는 전극을 양극과 음극이 서로 교번되도록 하여 전극봉에 발생하는 스케일을 억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중간단(120)에는 살수부(124)가 형성되는데, 상기 살수부(124)는 상단이 개발되고, 전방에 비스듬한 경사부(124a)가 형성되며, 후방하단은 개방되어 덕트(150)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살수부(124)의 개방된 상단 가운데를 가로질러서 노즐관(122)이 형성되는데, 상기 노즐관(122)은 저수조(112)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하단으로 퍼지면서 분사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노즐이 하단으로 형성된다.
상기 살수부(124)의 경사부(124a)는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고, 살수부(124)의 하단에는 퇴수관(124b)이 형성되어 살수된 물이 다시 저수조(112)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살수부(124)의 하단에 연결되는 퇴수관(124b)에는 필터가 형성되어 살수부(124)에서 공기중에서 흡수된 먼지 등의 이물질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필터는 쉽게 청소할 수 있도록 퇴수관(124b)의 상단 끝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필터는 펌프(114)의 입구에도 형성되고, 좀더 확실하게 필터링하기 위해서 퇴수관(124b)의 하단 끝부분에 또하나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산소발생기(126)는 살수부(124)의 측면에 부착되고, 산소가 공급되는 관이 노즐관(122)에 노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산소발생기(126)에서 산소가 배출되는 부분에는 오존분해장치가 부착되고, 상기 오존분해장치는 사용자가 선택에 따라 켜고 끌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오존분해장치는 산소발생기(126)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존을 분해할 수 있는 것으로, 종래의 방법과 같이 이산화망간을 촉매재로 사용한 것이거나, 열분해방법으로 분해하는 방법인 것이 적당하다.
상기 펌프(114)는 몸체(100)의 하단(110) 바닥에 설치되고, 소음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 케이스에 의해서 완전히 밀봉되어 형성된다.
상기 산소발생기(126)는 맴브레인 격벽으로 수소실(126b)과 산소실(126c)로 나뉘어진 수조(126a)에 물을 공급하고, 수소실(126b) 쪽에 음극봉(126d)을 넣고, 산소실(126c) 쪽에 양극봉(126e)을 넣어 각각 전기를 인가하여 산소실(126c)의 상단에서 산소를 얻어내는 것으로, 이때 발생하는 산소는 순도 99%의 순수한 산소이다.
상기 살수부(124)의 후방에는 살수부(124)의 후방하단과 연통되는 덕트(150)가 형성되는데, 상기 덕트(150)는 상단(130)을 지나 최상단(140)의 공기배출부(144)까지 연결된다.
상기 덕트(150)가 지나가는 상단(130) 후방에는 송풍팬(134)이 형성되어 외부공기를 빨아들임과 동시에 공기배출부(144)로 공기를 내보낸다.
상기 송풍팬(134)에 의해서 덕트(150)를 통해서 공기배출부(144)의 배기홀(144a)로 공기가 배출된다.
상기 공기배출부(144)의 배기홀(144a)의 전방에는 자외선램프(160)가 형성되는데, 상기 자외선램프(160)는 배출되는 공기를 살균해 주기 위해서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청정산소가습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청정산소가습기를 작동시켰을 때 몸체(100)의 내부의 공기유동 형태는 'S'자 형태로 유로를 최대한 길게하여 살수부(124)에서 살수되는 물과 최대한 많이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저수조(112)에서 공급되는 물은 살균장치에 의해서 1차로 살균되어 펌프(114)를 통해서 공급되고, 노즐관(122)에서 물은 안개 형태와 같이 분사된다.
상기 산소발생기(126)는 물의 전기분해에 의해서 얻어지는 순도 99%이상의 순수 산소를 발생하여 공기가 유입되는 살수부(124)의 상단으로 공급되므로, 실내공기를 청정공기로 바꾸어준다.
상기 산소발생기(126)에서 오존이 발생되면 오존분해장치를 켜서 오존을 제거할 수 있어서 오존이 많이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청정산소가습기에 의하면 공기가 살수되는 물에 최대한 접촉을 많이 하여 공기중에 부유하는 먼지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습기를 공급하여 가습을 할 수 있고, 순수산소를 공급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100 : 몸체 110 : 하단
112 : 저수조 114 : 펌프
120 : 중간단 122 : 노즐관
124 : 살수부 126 : 산소발생기
130 : 상단 132 : 컨트롤패널
134 : 송풍팬 150 : 덕트

Claims (7)

  1. 내부가 하단(110), 중간단(120), 상단(130)의 3단으로 나뉘어지고, 전면에 도어(104)가 형성된 몸체(100)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최상단(140)에는 전방이 개방된 공기배출부(144)가 형성되되,
    상기 몸체(100)의 하단(110)에는 저수조(112)가 형성되고, 상기 저수조(112)의 측면에는 펌프(114)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100)의 중간단(120)에는 펌프(114)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노즐에 의해서 분사되는 노즐관(122)이 형성된 살수부(124)가 형성되고, 상기 살수부(124)의 측면에는 산소발생기(126)가 형성되며, 상기 살수부(124)의 후방에서 공기배출부(144)까지 연결되는 덕트(150)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00)의 상단(130)에는 컨트롤패널(132)이 형성되며, 상기 컨트롤패널(132)의 후방에 형성된 덕트(150)의 가운데에는 송풍팬(13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구성된 청정산소가습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104)는 하단(110)과 중간단(120)을 가릴 수 있도록 형성되고, 중간단(120) 부분에 투명창(104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산소가습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부(124)는 상단이 개발되고, 전방에 비스듬한 경사부(124a)가 형성되며, 후방하단은 개방되어 덕트(150)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산소가습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부(124)의 경사부(124a)는 투명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산소가습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부(144)의 전방에 살균을 위한 자외선램프(1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산소가습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114)는 몸체(100)의 하단(110) 바닥에 설치되고, 소음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 케이스에 의해서 완전히 밀봉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산소가습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발생기(126)의 산소가 배출되는 부분에 오존분해장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산소가습기.
KR1020110069299A 2011-07-13 2011-07-13 청정산소가습기 KR101277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299A KR101277757B1 (ko) 2011-07-13 2011-07-13 청정산소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299A KR101277757B1 (ko) 2011-07-13 2011-07-13 청정산소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748A true KR20130008748A (ko) 2013-01-23
KR101277757B1 KR101277757B1 (ko) 2013-06-24

Family

ID=47838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9299A KR101277757B1 (ko) 2011-07-13 2011-07-13 청정산소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775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50622A (zh) * 2017-12-15 2018-05-18 山东佳星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室内通风增氧机及其控制方法
CN111219808A (zh) * 2020-01-15 2020-06-02 青岛道一空优科技有限公司 一种高海拔氧气弥散系统
CN112082246A (zh) * 2020-09-15 2020-12-15 吴党军 一种高层建筑用风能换气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1486A (ko) * 2000-02-15 2001-08-29 이강 산소를 발생하는 공기정화기
KR20050012055A (ko) * 2003-07-24 2005-01-31 안정오 음이온 발생 및 공기정화 방법 및 그 장치
JP2008045856A (ja) 2006-08-21 2008-02-28 Sanyo Electric Co Ltd 空気除菌装置
KR100883071B1 (ko) 2008-06-25 2009-02-10 주식회사 신우엔지니어링 공기조화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50622A (zh) * 2017-12-15 2018-05-18 山东佳星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室内通风增氧机及其控制方法
CN111219808A (zh) * 2020-01-15 2020-06-02 青岛道一空优科技有限公司 一种高海拔氧气弥散系统
CN111219808B (zh) * 2020-01-15 2022-02-15 青岛道一空优科技有限公司 一种高海拔氧气弥散系统
CN112082246A (zh) * 2020-09-15 2020-12-15 吴党军 一种高层建筑用风能换气系统
CN112082246B (zh) * 2020-09-15 2021-05-14 深圳市铸匠工坊建筑设计有限公司 一种高层建筑用风能换气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7757B1 (ko) 2013-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2243B1 (ko) 공기 제균 장치
KR100939791B1 (ko) 공기청정기
KR101277757B1 (ko) 청정산소가습기
JP2000334240A (ja) 湿式空気清浄機
KR101478428B1 (ko) 초음파 가습기
CN213514308U (zh) 空气处理装置
US20100200398A1 (en) Alkaline humidifier
CN213657051U (zh) 一种负氧离子空气净化器
CN218627181U (zh) 空气净化加湿器
KR20110068395A (ko) 습성 공기정화 살균장치
CN104941084B (zh) 多功能空气净化装置
KR20210158619A (ko) 차아염소산수 생성 및 미세분사 키트 및 장치
CN213577937U (zh) 一种带有雾化机构的高效空气消毒机
CN109405115A (zh) 空气净化器
CN212204868U (zh) 一种杀菌加湿装置
KR20080018115A (ko) 이물질 제거 기구를 갖는 공기 제균 장치
CN211261150U (zh) 空气净化加湿器
CN210186689U (zh) 一种节能环保粉尘处理装置
CN111306643A (zh) 一种内置臭氧水超声波雾化装置的空调
KR100849218B1 (ko) 복합 전해조
KR20110127496A (ko) 복합 기능 가습기
JP2012075487A (ja) 除菌装置及びこの除菌装置を備えた調湿装置
CN211781516U (zh) 一种内置臭氧水超声波雾化装置的空调
KR102553468B1 (ko) 다기능 수소수 가습장치
KR100625329B1 (ko) 균일급수 기능을 갖는 가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7